맨위로가기

국립부경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부경대학교는 1996년 부산수산대학교와 부산공업대학교의 통합으로 설립된 국립대학교이다. 부산수산대학교는 1941년 부산고등수산학교로 설립되어 국립부산수산대학을 거쳐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고, 부산공업대학교는 1924년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로 시작하여 부산공업전문학교, 부산공업대학을 거쳐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 2023년 국립학교 설치령 개정에 따라 '국립부경대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대연캠퍼스와 용당캠퍼스를 운영하며, 해양과학기술 및 에코버시티를 특징으로 한다. 인문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경영대학, 공과대학, 수산과학대학, 환경·해양대학, 정보융합대학 등을 포함한 다양한 학부와 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립부경대학교 - 부산수산대학교
    1941년 부산고등수산학교로 개교한 부산수산대학교는 부산대학교와의 통합 및 분리, 그리고 부산공업대학교와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부경대학교로 출범한 대학으로, 일제강점기부터 국립대학 체제 변화, 종합대학교 승격, 그리고 정부의 대학 통합 정책 등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 국립부경대학교 - 부산공업대학교
    부산공업대학교는 1924년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학교를 거쳐 1993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나 1996년 부경대학교로 통합되었다.
  • 부산 남구의 학교 - 동명대학교
    부산 남구에 위치한 동명대학교는 1977년 동명전문대학으로 설립되어 동명대학과 동명정보대학교를 거쳐 2006년 통합 출범한 사립 종합대학교로, AI융합대학, 공과대학, 경영대학 등 특성화된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 부산 남구의 학교 - 부산혜남학교
    부산혜남학교는 1989년 3월 1일에 개교한 대한민국의 특수학교이다.
  • 부산광역시의 대학교 -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는 1946년 개교한 대한민국 최초의 국립 종합대학교로, 진리·자유·봉사를 교육 이념으로 삼아 부산, 양산, 밀양에 캠퍼스를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대학 및 대학원을 갖춘 동남권 대표 거점국립대학교이다.
  • 부산광역시의 대학교 - 동아대학교
    동아대학교는 1946년 남조선대학으로 설립되어 부산광역시에 3개의 캠퍼스를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국립부경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2010년 4월)
교훈미래를 우리 손으로
개교1996년 7월 6일
설립1924년 (부산공업대학교)
학교 종류국립
총장배상훈
위치대연캠퍼스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
용당캠퍼스 부산광역시 남구 신선로 365
캠퍼스 규모2개의 캠퍼스, 8개의 대학, 7개의 대학원
학생 수학부 18,351명 (2023년)
대학원생 수1,287명 (2023년)
교직원 수2,281명 (전임 615명, 비전임 1,031명, 직원 635명) (2023년)
전화번호051-629-4114
교색하늘색
파란색
상징백경
웹사이트국립부경대학교 홈페이지
명칭
한글부경대학교
한자釜慶大學校
로마자 표기Bugyeong Daehakgyo
영어 표기Pukyong National University
구성원
교수진573명
행정 직원396명
재학생27,954명 (학부 25,341명, 대학원 2,613명)

2. 연혁

국립부경대학교는 부산수산대학교와 부산공업대학교를 통합하여 1996년에 설립되었으므로, 통합 전 두 학교의 연혁을 모두 인정한다.

'''부산수산대학교'''


  • 1941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부산고등수산학교'''가 설립되었다.
  • 1944년 4월: '''부산수산전문학교'''로 개칭했다.
  • 1945년 9월: 부산수산전문학교를 미국군이 접수했다.
  • 1946년 5월: 부산수산전문학교를 모체로 부산대학교를 설립하고, '''부산대학교 수산학부'''로 개편했다.
  • 1946년 9월: '''부산대학교 수산대학'''으로 개편했다.
  • 1948년 7월: '''국립부산수산대학'''으로 분리되었다.
  • 1961년 9월: 부산대학교에 통합되었다.
  • 1964년 1월: 부산대학교에서 '''부산수산대학'''으로 재분리되었다.
  • 1990년 12월: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어, '''부산수산대학교'''로 개칭했다.


'''부산공업대학교'''

  • 1924년 5월: 2년제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의 설립이 인가되었다.
  • 1932년 4월: '''부산공립공업실수학교'''로 개칭했다.
  • 1933년 6월: '''부산공립직업학교'''로 개편했다.
  • 1940년 5월: 5년제 '''부산공립공업학교'''가 설립되어, 부산공립직업학교를 병설화했다.
  • 1944년 4월: 부산제2공립공업학교의 설립에 따라, '''부산제1공립공업학교'''로 개칭했다.
  • 1945년 3월: 부산공립직업학교가 폐교되었다.
  • 1947년 9월: 6년제 '''부산공립공업중학교'''로 개편했다.
  • 1951년 8월: 3년제 '''부산공업고등학교'''로 개편했다.
  • 1963년 4월: 5년제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로 승격했다.
  • 1971년 12월: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를 국립으로 개편했다.
  • 1973년 9월: 부산공업고등학교와 분리된 2년제 '''부산공업전문학교'''가 설립되었다.
  • 1979년 1월: '''부산공업전문대학'''으로 개칭했다.
  • 1983년 12월: 4년제 '''부산개방대학'''으로 승격이 인가되었다.
  • 1988년 5월: '''부산공업대학'''으로 개칭했다.
  • 1993년 2월: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어, '''부산공업대학교'''로 개칭했다.


'''부경대학교'''

2. 1. 통합 이전(~1996년)

1996년, 부경대학교는 오랜 역사를 지닌 두 국립대학인 1941년에 설립된 '''부산수산대학교'''와 1924년에 설립된 '''부산산업대학교'''의 통합으로 설립되었다.

한국 전쟁 동안, 대연 캠퍼스는 미국 공군의 비행장으로 사용되었다.

'''부경대학교'''는 1996년 7월, '''부산수산대학교'''와 '''부산공업대학교'''가 통합되어 개교했다. 구·부산수산대학교의 부지는 대연캠퍼스, 구·부산공업대학교의 부지는 용당캠퍼스가 되었다.

'''부산수산대학교'''

  • 1941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부산고등수산학교'''가 설립되었다.
  • 1944년 4월: '''부산수산전문학교'''로 개칭했다.
  • 1945년 9월: 부산수산전문학교를 미국군이 접수했다.
  • 1946년 5월: 부산수산전문학교를 모체로 부산대학교를 설립하고, '''부산대학교 수산학부'''로 개편했다.
  • 1946년 9월: '''부산대학교 수산대학'''으로 개편했다.
  • 1948년 7월: '''국립부산수산대학'''으로 분리되었다.
  • 1961년 9월: 부산대학교에 통합되었다.
  • 1964년 1월: 부산대학교에서 '''부산수산대학'''으로 재분리되었다.
  • 1990년 12월: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어, '''부산수산대학교'''로 개칭했다.


'''부산공업대학교'''

  • 1924년 5월: 2년제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의 설립이 인가되었다.
  • 1932년 4월: '''부산공립공업실수학교'''로 개칭했다.
  • 1933년 6월: '''부산공립직업학교'''로 개편했다.
  • 1940년 5월: 5년제 '''부산공립공업학교'''가 설립되어, 부산공립직업학교를 병설화했다.
  • 1944년 4월: 부산제2공립공업학교의 설립에 따라, '''부산제1공립공업학교'''로 개칭했다.
  • 1945년 3월: 부산공립직업학교가 폐교되었다.
  • 1947년 9월: 6년제 '''부산공립공업중학교'''로 개편했다.
  • 1951년 8월: 3년제 '''부산공업고등학교'''로 개편했다.
  • 1963년 4월: 5년제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로 승격했다.
  • 1971년 12월: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를 국립으로 개편했다.
  • 1973년 9월: 부산공업고등학교와 분리된 2년제 '''부산공업전문학교'''가 설립되었다.
  • 1979년 1월: '''부산공업전문대학'''으로 개칭했다.
  • 1983년 12월: 4년제 '''부산개방대학'''으로 승격이 인가되었다.
  • 1988년 5월: '''부산공업대학'''으로 개칭했다.
  • 1993년 2월: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어, '''부산공업대학교'''로 개칭했다.

2. 1. 1. 부산수산대학교

1941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관립 부산고등수산학교(4년제)로 설치인가를 받아 설립되었다.[9] 1944년 부산수산전문학교로 개칭되었다.[9] 일제는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에 수산대학교를 설립하였으며,[9] 부산수산전문학교는 대구의학전문학교(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광주의학전문학교(현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대구농업전문학교(현 경북대학교 농업생명대학)과 더불어 일제강점기 지방에 있던 4개의 고등교육기관 중 하나였다.[9]

1946년 5월 15일 부산대학교가 설립되면서 수산학부로 통합됐다가 1947년 7월 독립하면서 국립부산수산대학으로 승격되었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직후 정부의 외압으로 부산대학교에 강제 통합됐다가 1964년 다시 분리되었다.

1990년 3월 1일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어 부산수산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부산수산대학교는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경상남도 지역의 유일한 고등교육기관 중 하나였으며, 한국 수산·해양산업 발전을 선도하며 수많은 전문 인재를 배출하였다.

2. 1. 2. 부산공업대학교

1924년 5월 5일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2년제)로 설립인가를 받아 중구 보수동에 설립되었다.[6] 1963년 교육자치제의 부활과 교육에 관한 임시 특례법이 폐기되어 교육환경의 변화와 산업화에 대한 고등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해 3월 11일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5년제)로 승격되었다.

1973년 9월 29일에는 국립'''부산공업전문학교'''(5년제)로 설립인가를 받았다. 1983년 12월 7일 '''부산개방대학'''(4년제)으로 승격 및 개편인가, 8개 학과가 설치되었다.[7]

1988년 5월 4일 '''부산공업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8] 1990년 3월 6일 산업대학원을 신설하며 5개 학과를 개설하였다. 1993년 2월 24일에 종합대학교로 승격 '''부산공업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 2. 국립부경대학교

1996년 7월 6일 부산수산대학교부산공업대학교가 통합되어 '''부경대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았다.[10] 통합 당시 6개 대학 5학부 58학과와 석사과정 31개 학과,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4개 학과, 산업대학원 석사과정 31개 학과를 운영하였다. 교명 변경은 통합 이전 부산수산대학교 시절부터 논의되었으나 당시 교육부의 인가를 받지 못해 통합될 때까지 부산수산대학교라는 교명을 사용했다.[10]

1996년 국제교류센터 및 유럽정보센터를 신설하고, 1997년 캐나다 수산해양부 소속 태평양연안과학부연구소(밴쿠버)에 수산과학연구소 현지Lab을 설치하였다.[10] 1998년에는 공동실험실습관을 신설하였다.[10] 1999년 BK21 지역선도형 기계산업분야 인력육성사업단 및 산업 자동화 및 정보통신분야 인력양성사업단 사업팀을 설치하고, 부경대학교부설 평생교육원을 설립하였다.[10]

2001년 학점 상태평가제를 도입하고, 2004년부터 졸업인증제를 운영하고 있다. 국립대 첫 공학교육인증, 부산 첫 경영교육 인증, 전국 첫 무역교육 인증 등 학문별 인증을 받았다.

2003년 지역협력연구센터(RRC)로 선정(친환경첨단에너지기계연구센터)되었다.[10] 2006년 친환경첨단에너지기계연구센터(RRC)를 신재생에너지부품소재지역혁신센터(RIC)로 전환하였다.[10] 2008년 건축학교육프로그램 5년 유효기간 인증을 획득하였다.[10] 2009년 수산질병관리원을 준공하였다.[10]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4년 연속 대학교육역량강화사업에 선정되었다.[10] 같은 해 부산대학교와 공동발전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상생발전을 위한 공동발전 선언문을 채택했다.[10]

2020년 제7대 총장 장영수 박사가 취임했다.

2023년 11월, 국립학교 설치령 개정에 따라 공식 교명을 '부경대학교'에서 '''국립부경대학교'''로 변경하였다.

2024년 제8대 총장 배상훈 박사가 취임했다.

3. 총장



통합되기 전의 부산공업대학교의 총장 목록은 부산공업대학교 총장 목록 문서를, 부산수산대학교의 총장 목록은 부산수산대학교 총장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대수이름임기
초대 총장한영호 (韓英鎬)1996.7.20 ~ 2000.7.19
2대 총장강남주 (姜南周)2000.7.20 ~ 2004.8.4
3대 총장목연수 (睦演洙)2004.8.5 ~ 2008.8.4
4대 총장박맹언 (朴孟彦)2008.8.5 ~ 2012.8.4
5대 총장김영섭 (金榮燮)2012.8.5 ~ 2016.8.4
6대 총장김영섭 (金榮燮)2016.9.2 ~ 2020.9.1
7대 총장장영수 (張瑛秀)2020.10.19 ~ 2024.10.18
8대 총장배상훈 (裵尙勳)2024.11.15. ~ 2028.11.14.


4. 교육

4. 1. 교육 이념과 비전

국립부경대학교의 대학 이념은 '열린 사고로 인류의 밝은 미래창조'이며, 교훈은 '미래를 우리 손으로'이다.[11] 1996년 통합 당시 대학 이념, 교육 목적, 교훈이 공포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개인의 창조적 성장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책임과 봉사를 함의하고 있다.[11]

대학 이념은 대학과 학생의 발전뿐만 아니라 그 발전이 지역, 사회, 인류로 확산되는 것을 지향한다.[11] 2016년 10월 27일에는 대연캠퍼스를 교육 연구 면에서, 용당캠퍼스를 산학협력 플랫폼 면에서 특성화시키고, 교육 시스템과 국제화 역량을 강화하여 성장하는 명문대학교를 만들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11]

4. 2. 학사 제도

4. 2. 1. 국내 교류

경상국립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부산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와 부산·경남 국립대학교 도서관 상호이용 및 상호구매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인근의 4년제 사립대학인 동명대학교, 경성대학교와도 상호교류계약을 체결하였다.

4. 2. 2. 해외 교류

베를린공과대학교, 국립 타이베이 대학, 빅토리아대학교, 와세다대학교 등 다양한 대학교들과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하였다.[12]

현재 아시아 22개국 213개 대학 및 기관, 유럽 22개국 59개, 아프리카 6개국 7개, 오세아니아 2개국 15개, 북아메리카 4개국 38개, 남아메리카 5개국 8개 등 총 61개국 340개 대학 및 기관과 자매결연을 맺고 복수학위제, 어학연수, 교환학생 프로그램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일본의 홋카이도 대학, 무로란 공업대학, 도호쿠 대학, 센다이 시라유리 여자대학, 우츠노미야 대학, 쓰쿠바 대학, 치바 대학, 메이지 대학, 도쿄 해양대학, 요코하마 국립대학, 니가타 대학, 가나자와 대학, 후쿠이 대학, 야마나시 대학, 미에 대학, 교토 대학, 교토 산업대학, 오사카 대학 과학산업연구소, 칸사이 대학, 효고 대학, 돗토리 대학, 시마네 대학, 슈우지츠 대학, 히로시마 대학, 큐슈 대학, 후쿠오카 대학, 세이난 학원 대학, 사가 대학, 나가사키 대학, 구마모토 대학, 미야자키 대학 농학부, 가고시마 대학, 오키나와 국제대학, 메이오 대학, 수산대학 등 37개 대학 및 기관과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5. 특징

부산대학교와 다르게, 국립부경대학교는 외국인 학생을 적극적으로 유치하여 현재 1,000명이 넘는 외국인이 재학 중이다. 일본, 중국, 미얀마, 인도, 베트남, 러시아, 몽골 등 세계 각국에서 온 유학생들이 국립부경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있다.

부산의 거의 모든 대학이 산에 위치해 있지만, 국립부경대학교의 메인 캠퍼스인 대연캠퍼스는 부산에서 유일하게 평지에 자리 잡고 있다. 이는 국립부경대학교만의 독특한 특징이다.

국립부경대학교 앞은 지방 최대의 대학가이며, 근처에 광안리가 있는 등 매우 좋은 입지를 자랑한다. 이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문화생활과 편리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해양과학기술의 메카

국립부경대학교는 양식, 어업 등 전통적인 수산해양 분야뿐만 아니라 해양의 기후, 해양환경, 해양지질, 해양물리, 해양생물, 위성정보, 해수용존 원소 및 광물자원탐사, 해양에너지 등 해양과학기술 전반을 교육하고 연구하는 국내 유일의 대학이다. 전신인 부산수산대학교는 근대화 과정에서 '해양입국'을 이끌었으며, 한국에서 가장 오랫동안 해양과학기술 분야를 연구해온 대학이다.

부산권 환경 연구를 전담하는 '부산지역환경기술개발사업단', 한국의 마린바이오 연구를 주도하는 '해양바이오프로세스연구단' 등을 운영하고 있다. 세계 최초로 슈퍼 미꾸라지를 개발하는 등 유전자 변형 수산 생물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을 자랑한다.

해외어업협력센터를 통해 아프리카 수산새마을운동을 추진하는 등 해양과학기술을 세계에 전파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2007년부터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협력하여 아프리카 국가의 수산 정책 입안자들이 매년 국립부경대학교에서 수산 기술을 연수받고 있다. 대학원 과정에 개설된 '국제수산과학협동과정'은 세계 20개국에 선진 수산과학기술을 전수하는 과정이다.

;Eco`versity

국립부경대학교는 2008년 생명 존중과 친환경적인 삶을 실천하기 위해 에코버시티(Eco`versity)를 선포했다.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친환경적 인간주의 확산을 목표로, 생태학적 이론과 실천 방향을 교육하고 있다. 녹색 캠퍼스 조성, 바다 및 육지 생태계 살리기 운동 등을 실천하고 있다.

통도사와 협약을 맺어 방생 행사 등 바다 살리기 운동을 진행하고, 장기기증 운동도 전개하고 있다. '그린아이디어' 공모전, '에코 축제' 등을 통해 환경 보호와 에너지 절약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09년에는 남구청과 '담장 가꾸기' 협약을 체결하여 캠퍼스 담장을 허물고 녹지를 조성해 그린캠퍼스를 만들었다. '환경지킴이'를 선발하여 '탄소발자국 줄이기 10계명'을 전파하는 활동도 진행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공용자전거 시범 대학으로 선정되었고, 2011년 공용자전거 시스템을 도입했다. 국립부경대학교는 저탄소 녹색성장 학문 분야에서 독보적인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구환경·에너지, 해양수산, 나노·바이오·IT 융합기술 등 한국 최고 수준의 학문을 통해 '에코버시티'로 사회에 공헌하고 있다.

5. 1. 해양과학기술의 메카

국립부경대학교는 양식, 어업 등 전통적인 수산해양 분야를 포함하여 해양의 기후, 해양환경, 해양지질, 해양물리, 해양생물, 위성정보, 해수용존 원소 및 광물자원탐사, 해양에너지 등 해양과학기술 학문 분야를 총망라하여 교육, 연구하는 국내 유일의 대학이다. 전신인 부산수산대학교는 근대화 과정에서 '해양입국'을 이끌어왔으며 한국에서 가장 오랫동안 해양과학기술 분야를 연구해온 대학이다.

부산권 환경 연구를 전담하는 '부산지역환경기술개발사업단', 한국의 마린바이오 연구를 주도하는 '해양바이오프로세스연구단' 등을 운영하고 있다. 세계 최초로 슈퍼 미꾸라지를 개발하는 등 유전자 변형 수산 생물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을 자랑한다.

해외어업협력센터를 통해 아프리카 수산새마을운동을 추진하는 등 해양과학기술 세계 전파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2007년부터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손잡고 아프리카 국가의 수산 정책 입안자들이 해마다 부경대에서 수산 기술을 연수받고 있다. 대학원 과정에 개설된 '국제수산과학협동과정'은 세계 20개국에 선진 수산과학기술을 전수하는 과정이다.

5. 2. Eco`versity

국립부경대학교는 2008년 생명 존중과 친환경적인 삶을 실천하기 위해 에코버시티(Eco`versity)를 선포했다.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친환경적 인간주의 확산을 목표로, 생태학적 이론과 실천 방향을 교육하고 있다. 녹색 캠퍼스 조성, 바다 및 육지 생태계 살리기 운동 등을 실천하고 있다.

통도사와 협약을 맺어 방생 행사 등 바다 살리기 운동을 진행하고, 장기기증 운동도 전개하고 있다. '그린아이디어' 공모전, '에코 축제' 등을 통해 환경 보호와 에너지 절약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09년에는 남구청과 '담장 가꾸기' 협약을 체결하여 캠퍼스 담장을 허물고 녹지를 조성해 그린캠퍼스를 만들었다. '환경지킴이'를 선발하여 '탄소발자국 줄이기 10계명'을 전파하는 활동도 진행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공용자전거 시범 대학으로 선정되었고, 2011년 공용자전거 시스템을 도입했다. 국립부경대학교는 저탄소 녹색성장 학문 분야에서 독보적인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구환경·에너지, 해양수산, 나노·바이오·IT 융합기술 등 한국 최고 수준의 학문을 통해 '에코버시티'로 사회에 공헌하고 있다.

6. 캠퍼스와 기숙사

1996년 부산수산대학교부산공업대학교가 통합되면서, 부산수산대학교대연캠퍼스와 부산공업대학교의 용당캠퍼스를 모두 사용하게 되었다. 못골에 위치한 못골캠퍼스도 있었으나, 남구청 청사 건립으로 인해 1999년 해당 부지를 남구청에 이전하였다.[13]

현재 국립부경대학교는 대연캠퍼스와 용당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대연캠퍼스는 대학본부와 모든 단과대학이 위치한 교육·연구 중심 캠퍼스이다. 용당캠퍼스는 산·학·연 혁신 공간으로 공과대학 일부 연구소 및 기업체 등이 위치해 있다.

'''못골 캠퍼스'''는 부산 2호선 못골역 인근에 있었던 부산공업대학교의 옛 캠퍼스이다. 2000년대 부산광역시 남구청 이전을 위해 부지를 남구청에 이전하면서 폐쇄되었다.

대연캠퍼스는 부산 남부에 위치하며,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경성대·부경대역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광안리가 근처에 있는 등 좋은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용당캠퍼스는 과거 공과대학 캠퍼스였으나, 2019년 공과대학이 대연캠퍼스로 이전하면서 현재는 일부 연구 시설만 남아있다.

6. 1. 대연캠퍼스

부산 시내에서 유일한 완전 평지 캠퍼스이다.[14] 경성대학교동명대학교와 맞닿아 있어 지방 최대의 대학가가 형성되어 있으며, 광안리와도 가까워 지리적 이점을 갖는다. 한국전쟁 당시에는 미군사령부 및 스웨덴 야전병원으로 사용되었다.[14] 과거 동양에서 최고로 호화스러운 대학 건물이었으나, 현재는 철거 후 새로운 본관이 건축되었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경성대·부경대역이 400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다양한 시내버스 노선이 캠퍼스 외부를 연결한다. 캠퍼스 내에는 대연캠퍼스와 용당캠퍼스를 잇는 통근버스가 운행된다. 2023년에는 전국 최초 전기로 운행되는 저상트램인 부산 도시철도 오륙도선이 개통될 예정이다.[14]

6. 2. 용당캠퍼스

용당캠퍼스는 면적이 319,132m2이며 통합 전 부산공업대학교의 소재지였다. 대연캠퍼스에서 직선거리로 약 2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부산, 울산, 경남 지역 기업들에게 개방되어 산학연 혁신캠퍼스인 드래곤밸리로 특화 운영되고 있다.[15] 5년 동안 총 100억 원의 국고를 지원받아 시설을 기업 친화적으로 리모델링할 예정이다.

용당동이라는 지명에서 착안하여 하늘을 비상하는 용처럼 큰 기업들의 보금자리라는 뜻으로 작명되었으며, 현재 300여개 기업이 입주해 1,500여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15] 입주 기업들은 국립부경대학교의 산학협력 인프라 활용 및 LINC+사업단, 산학연협력단지조성사업단(URP+), 창업지원단 등과 협업하여 연구 및 기술개발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다.[15]

부산항이 바로 옆에 위치해 있으며, 2004년에 개사한 기숙사 '광개토관'이 있다. 2021년에는 부산광역시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로 전환되어 학부생의 입주가 불가능하다.

7. 대학 시설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은 대연캠퍼스와 용당캠퍼스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대연캠퍼스에는 중앙도서관과 청운관이 있으며, 용당캠퍼스에는 공학도서관이 있다. 중앙도서관에는 계단을 이용한 학습 공간 및 외부인 출입을 제한하는 게이트가 설치되어 있어, 학생증으로만 출입할 수 있다. 소장자료 검색, 원문 제공, 타기관의 자료 검색 및 복사 신청 등 대부분의 서비스는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제공된다. 대연캠퍼스에는 24시간 열람실 '미래로'가 있어 학생들이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다.

국립부경대학교의 대학생활관은 1986년 180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이후 1988년 1차 증축(160명 증원), 1990년 2차 증축(120명 증원)을 통해 증축되었다. 통합 이후에는 2000년 여학생 기숙사를 개사하여 광개토관을 건축하였으며 기존 공업대학교 기숙사를 인수하여 광개토관 A동을 준공했다. 이후 2007년 광개토관 B동이 개관되었으며 2009년에는 세종 1관을 준공하면서 구 생활관이었던 한솔학사 폐관을 결정했다.

2015년에는 부경대행복기숙사 사업이 착공되어 2017년 준공하였으며, 2016년에는 세종 2관을 준공하고 2019년2020년 광개토관을 리모델링했다. 부경대행복기숙사는 국립부경대학교가 부지를 제공하고, 주택도시기금(국토교통부)·사학진흥기금(한국사학진흥재단)·국가보조금(교육부)으로 구성된, 공공기금이 사용되어 건립된 기숙사이다.

현재 세종 1관, 세종 2관, 광개토관, 부경대행복기숙사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총 4,000여 명 이상의 학생을 수용할 수 있다. 세종 1관은 대연캠퍼스에 위치해 있으며 여대생을 위한 A동(806명 수용)과 남대생을 위한 B동(826명 수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종 2관은 대연캠퍼스에 위치해 있으며 여대생을 위한 A동(527명 수용)과 남대생을 위한 B동(469명 수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개토관은 용당캠퍼스에 위치해 있으며 남대생을 위한 A동(295명 수용)과 여대생을 위한 B동(212명 수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경대행복기숙사는 대연캠퍼스에 위치해 있으며 1528명을 수용할 수 있다.

학술정보도서관(청운관), 대연캠퍼스


국립부경대학교 박물관은 부산수산대학교 시절인 1984년 3월 5일에 박물관 규정을 제정하고, 같은 해 5월 24일에 옛 도서관 건물을 개조하여 단독 건물을 갖춘 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16] 청운관 1∼2층에 걸쳐 총 1,695㎡ 규모의 전시실과 수장고, 학예연구실, 정리실, 보존처리실 등을 갖추고 있다. 유물은 매장문화재 1,400여 점 및 기타 2,200여 점 등 약 3,600여 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전시실에는 1,200여 점이 전시되어 있다.

고대 유적들에 대한 발굴조사를 통해 고대문화의 해명과 복원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전국의 대학박물관 중에서는 유일하게 바다를 배경으로 한 지역문화와 자연생태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전시하여 지역사회에 이바지하고 있다.[16]

박물관은 선사고고실, 해양수산실, 역사민속실, 어구어선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사고고실에는 신석기시대의 패총부터 조선시대의 무덤에 이르기까지 직접 유적을 발굴 조사하여 수습한 유물을 시대 순으로 전시하고 있다. 해양수산실에는 우리나라 연근해와 대양에 서식하는 여러 물고기와 갑각류, 거인조개, 바다동물 및 참고래 뼈와 실러캔스 박제 표본을 볼 수 있다. 역사민속실에서는 각종 재래식 어구의 실물과 모형을 전시하고 있으며, 근·현대에 사용된 각종 어구를 분류하여 전시하고 있다. 어구어선실에서는 우리나라 어업기술의 역사와 발전과정을 어선과 어구모형을 통해 볼 수 있도록 기획되어 있다.

국내 대학 중 수산 및 해양 분야에서 가장 많은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1,262점의 문화재, 374점의 해양 생물, 287점의 어구 및 어선, 55척의 선박, 283점의 부경대학교 관련 역사 자료, 17점의 민속 자료 등 총 2,278점의 전시물을 보유하고 있다.[16]

리모델링 전 국립부경대학교 구도서관 내의 부경고사우루스


청운관 로비에는 약 1억 4천만 년 전 한반도에 서식했던 초식 공룡이자 한국 이름이 붙은 최초의 공룡인 ''부경고사우루스 밀레니''가 전시되어 있다.

'''동원장보고관'''은 2010년 완공된 건물로 국립부경대학교 동문인 동원그룹 김재철 회장의 기증으로 건립되었으며, 부산지역 내에서 최초로 설치된 푸코의 진자가 있다. 이곳에서 유엔 식량 농업 기구의 세계수산대학 유치가 이루어졌으며 부산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남도부산광역시(부경대)가 후보에 당선되었다. 2015년 12월에는 유엔 식량 농업 기구 이사회에서 49개국 중 25개국의 지지를 얻어 국내 유치를 얻어냈으며 2017년 9월 7일 세계수산대학 시범사업 개원식을 가졌다.

1층에는 대형 목조벽화인 ‘위대한 바다의 빛나는 새벽의 노래’가 있으며,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가 국립부경대학교에 기증한 것이다. 이는 ‘중국공예미술대사’ 칭호를 받은 육광정/陆光正중국어 씨가 1년여에 걸쳐 완성한 작품으로, 피나무로 제작되었다.

국립부경대학교의 언론사에는 교내 방송을 주관하는 국립부경대학교 방송국과 신문을 발행하는 《부경대신문》, 부경저널이 있으며 영어 신문을 발행하는 The Pukyung Herald (부경헤럴드)가 모두 대연캠퍼스에 있다.

부경대는 해양생명공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 실적을 보유한 대학으로 해양생명연구와 실습을 위한 탐사선(탐양호) 및 실습선(가야호)을 운영하고 있다.[17] 탐사선(탐양호)은 해양관력학과 및 해양과학공동연구소 등의 실습을 지원하며, 실습선(가야호)는 승선학과인 기계시스템공학과와 해양생산시스템관리학부의 승선실습 및 수산관련학과의 현장실습을 지원하고, 1992년부터 매년 여름수산학교를 개최하고 있다.[17]

  • 해양바이오프로세스연구단: 2004년부터 10년간 정부로부터 2,500억원을 지원받아 해양바이오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게 껍질에서 키토산 올리고당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연구단장 김세권 교수는 영국 국제인명센터(IBC)로부터 ‘2007년 세계 100대 과학자(TOP 100 scientists 2007)'에 선정되었다.

  • 미세조류은행: 1995년 처음 지정된 이후 16년 연속 국가지정연구소재은행으로 지정되었다. 1,600여 종의 미세조류를 보유하고 있으며, 과학자들에게 필요한 연구자료를 제공한다.

  • LED-해양융합기술지원센터: 선박, 양식, 항만 조명 등 해양용 LED분야 신제품 개발을 지원하여 해양LED산업을 국가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 수산질병관리원: 수산물 질병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예방활동을 펼치고 있다. 해마다 남해안 어류 양식장을 왕진하며 수산물 질병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 부산지역환경기술개발사업단: 환경부가 전국 16개 광역시도에 운영하는 부산권 관할 사업단이다. 국립대 중 처음으로 환경공학과가 설치되었고, 환경을 연구하는 단과대학이 별도로 설치된 유일한 대학으로서, 이 사업단은 2010년 환경부로부터 전국 최우수 평가를 받았다.

  • 수송기계 안전편의 융합부품소재 인재양성센터: 2014년까지 정부로부터 250억원을 지원받아 기계, 전자, 제어, IT 융합형 인재를 양성해 동남경제권 신성장 선도사업 발전을 지원한다.


국립부경대학교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한민국 육군 학군단과 대한민국 해군 학군단이 동시에 존재하는 대학교이다. 육군 학군단과 해군 학군단은 모두 부산수산대학교에서 이어졌다. 육군 학군단은 일반적인 학군단과 비슷한 체계로 운영된다. 해군 학군단은 2007년부터 일반 학과 학생들의 지원을 받기 시작했으며, 1학년만 지원 가능하다. 2023년부터는 해병대 학군단도 신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국립부경대학교 백경탑


1971년 부산수산대학교 개교 30주년을 기념해 건립된 것으로 원양어업을 개척하다 바다에서 숨진 젊은 마도로스를 기리는 탑이다. ‘백경탑’이라는 명칭은 대한민국 원양어업의 본거지인 북태평양 바다를 처음 개척한 국립부경대학교 실습선박인 ‘백경호(398톤)’에서 이름을 딴 것으로, 동창회와 학생들이 뜻을 모아 수산대학 교정 내 바다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세웠다. 이주홍 선생은 비의 휘호 ‘백경’과 함께 백경탑 비문에 시를 남겼다. 2011년 5월 15일 어업학과(국립부경대학교 해양생산시스템관리학부) 설립 70주년을 맞아 이전 준공하였다.

국립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에는 여러 식당이 있었으나 2019년 청운관 리모델링 공사로 워커하우스의 식당시설을 철수시켰고 2020년 코로나19 발병으로 다래락을 임시 휴업시켰다. 학생식당인 들락날락은 위드센터 1층에, 교수식당인 라일락은 미래관 3층에 있다. 용당캠퍼스에는 한미락이 있으며, 2020년 3월부터 석식은 취식할 수 없다.

7. 1. 도서관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은 대연캠퍼스와 용당캠퍼스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대연캠퍼스에는 중앙도서관과 청운관이 있으며, 용당캠퍼스에는 공학도서관이 있다. 중앙도서관에는 계단을 이용한 학습 공간 및 외부인 출입을 제한하는 게이트가 설치되어 있어, 학생증으로만 출입할 수 있다. 소장자료 검색, 원문 제공, 타기관의 자료 검색 및 복사 신청 등 대부분의 서비스는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제공된다.

대연캠퍼스에는 24시간 열람실 '미래로'가 있어 학생들이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다.

7. 2. 대학생활관(기숙사)

국립부경대학교의 대학생활관은 1986년 180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이후 1988년 1차 증축(160명 증원), 1990년 2차 증축(120명 증원)을 통해 증축되었다. 통합 이후에는 2000년 여학생 기숙사를 개사하여 광개토관을 건축하였으며 기존 공업대학교 기숙사를 인수하여 광개토관 A동을 준공했다. 이후 2007년 광개토관 B동이 개관되었으며 2009년에는 세종 1관을 준공하면서 구 생활관이었던 한솔학사 폐관을 결정했다.

2015년에는 부경대행복기숙사 사업이 착공되어 2017년 준공하였으며, 2016년에는 세종 2관을 준공하고 2019년2020년 광개토관을 리모델링했다. 부경대행복기숙사는 국립부경대학교가 부지를 제공하고, 주택도시기금(국토교통부)·사학진흥기금(한국사학진흥재단)·국가보조금(교육부)으로 구성된, 공공기금이 사용되어 건립된 기숙사이다.

현재 세종 1관, 세종 2관, 광개토관, 부경대행복기숙사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총 4,000여 명 이상의 학생을 수용할 수 있다. 세종 1관은 대연캠퍼스에 위치해 있으며 여대생을 위한 A동(806명 수용)과 남대생을 위한 B동(826명 수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종 2관은 대연캠퍼스에 위치해 있으며 여대생을 위한 A동(527명 수용)과 남대생을 위한 B동(469명 수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개토관은 용당캠퍼스에 위치해 있으며 남대생을 위한 A동(295명 수용)과 여대생을 위한 B동(212명 수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경대행복기숙사는 대연캠퍼스에 위치해 있으며 1528명을 수용할 수 있다.

7. 3. 박물관

국립부경대학교 박물관은 부산수산대학교 시절인 1984년 3월 5일에 박물관 규정을 제정하고, 같은 해 5월 24일에 옛 도서관 건물을 개조하여 단독 건물을 갖춘 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16] 청운관 1∼2층에 걸쳐 총 1,695㎡ 규모의 전시실과 수장고, 학예연구실, 정리실, 보존처리실 등을 갖추고 있다. 유물은 매장문화재 1,400여 점 및 기타 2,200여 점 등 약 3,600여 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전시실에는 1,200여 점이 전시되어 있다.

고대 유적들에 대한 발굴조사를 통해 고대문화의 해명과 복원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전국의 대학박물관 중에서는 유일하게 바다를 배경으로 한 지역문화와 자연생태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전시하여 지역사회에 이바지하고 있다.[16]

박물관은 선사고고실, 해양수산실, 역사민속실, 어구어선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사고고실에는 신석기시대의 패총부터 조선시대의 무덤에 이르기까지 직접 유적을 발굴 조사하여 수습한 유물을 시대 순으로 전시하고 있다. 해양수산실에는 우리나라 연근해와 대양에 서식하는 여러 물고기와 갑각류, 거인조개, 바다동물 및 참고래 뼈와 실러캔스 박제 표본을 볼 수 있다. 역사민속실에서는 각종 재래식 어구의 실물과 모형을 전시하고 있으며, 근·현대에 사용된 각종 어구를 분류하여 전시하고 있다. 어구어선실에서는 우리나라 어업기술의 역사와 발전과정을 어선과 어구모형을 통해 볼 수 있도록 기획되어 있다.

국내 대학 중 수산 및 해양 분야에서 가장 많은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1,262점의 문화재, 374점의 해양 생물, 287점의 어구 및 어선, 55척의 선박, 283점의 부경대학교 관련 역사 자료, 17점의 민속 자료 등 총 2,278점의 전시물을 보유하고 있다.[16]

청운관 로비에는 약 1억 4천만 년 전 한반도에 서식했던 초식 공룡이자 한국 이름이 붙은 최초의 공룡인 ''부경고사우루스 밀레니''가 전시되어 있다.

7. 4. 동원장보고관

'''동원장보고관'''은 2010년 완공된 건물로 국립부경대학교 동문인 동원그룹 김재철 회장의 기증으로 건립되었으며, 부산지역 내에서 최초로 설치된 푸코의 진자가 있다. 이곳에서 유엔 식량 농업 기구의 세계수산대학 유치가 이루어졌으며 부산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남도부산광역시(부경대)가 후보에 당선되었다. 2015년 12월에는 유엔 식량 농업 기구 이사회에서 49개국 중 25개국의 지지를 얻어 국내 유치를 얻어냈으며 2017년 9월 7일 세계수산대학 시범사업 개원식을 가졌다.

1층에는 대형 목조벽화인 ‘위대한 바다의 빛나는 새벽의 노래’가 있으며,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가 국립부경대학교에 기증한 것이다. 이는 ‘중국공예미술대사’ 칭호를 받은 육광정/陆光正중국어 씨가 1년여에 걸쳐 완성한 작품으로, 피나무로 제작되었다.

7. 5. 교내 언론

국립부경대학교의 언론사에는 교내 방송을 주관하는 국립부경대학교 방송국과 신문을 발행하는 《부경대신문》, 부경저널이 있으며 영어 신문을 발행하는 The Pukyung Herald (부경헤럴드)가 모두 대연캠퍼스에 있다.

7. 6. 부설 연구 기관

부경대는 해양생명공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 실적을 보유한 대학으로 해양생명연구와 실습을 위한 탐사선(탐양호) 및 실습선(가야호)을 운영하고 있다.[17] 탐사선(탐양호)은 해양관력학과 및 해양과학공동연구소 등의 실습을 지원하며, 실습선(가야호)는 승선학과인 기계시스템공학과와 해양생산시스템관리학부의 승선실습 및 수산관련학과의 현장실습을 지원하고, 1992년부터 매년 여름수산학교를 개최하고 있다.[17]

  • 해양바이오프로세스연구단: 2004년부터 10년간 정부로부터 2,500억원을 지원받아 해양바이오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게 껍질에서 키토산 올리고당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연구단장 김세권 교수는 영국 국제인명센터(IBC)로부터 ‘2007년 세계 100대 과학자(TOP 100 scientists 2007)'에 선정되었다.

  • 미세조류은행: 1995년 처음 지정된 이후 16년 연속 국가지정연구소재은행으로 지정되었다. 1,600여 종의 미세조류를 보유하고 있으며, 과학자들에게 필요한 연구자료를 제공한다.

  • LED-해양융합기술지원센터: 선박, 양식, 항만 조명 등 해양용 LED분야 신제품 개발을 지원하여 해양LED산업을 국가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 수산질병관리원: 수산물 질병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예방활동을 펼치고 있다. 해마다 남해안 어류 양식장을 왕진하며 수산물 질병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 부산지역환경기술개발사업단: 환경부가 전국 16개 광역시도에 운영하는 부산권 관할 사업단이다. 국립대 중 처음으로 환경공학과가 설치되었고, 환경을 연구하는 단과대학이 별도로 설치된 유일한 대학으로서, 이 사업단은 2010년 환경부로부터 전국 최우수 평가를 받았다.

  • 수송기계 안전편의 융합부품소재 인재양성센터: 2014년까지 정부로부터 250억원을 지원받아 기계, 전자, 제어, IT 융합형 인재를 양성해 동남경제권 신성장 선도사업 발전을 지원한다.

7. 7. 학군단

국립부경대학교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한민국 육군 학군단과 대한민국 해군 학군단이 동시에 존재하는 대학교이다. 육군 학군단과 해군 학군단은 모두 부산수산대학교에서 이어졌다. 육군 학군단은 일반적인 학군단과 비슷한 체계로 운영된다. 해군 학군단은 2007년부터 일반 학과 학생들의 지원을 받기 시작했으며, 1학년만 지원 가능하다. 2023년부터는 해병대 학군단도 신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7. 8. 백경탑

1971년 부산수산대학교 개교 30주년을 기념해 건립된 것으로 원양어업을 개척하다 바다에서 숨진 젊은 마도로스를 기리는 탑이다. ‘백경탑’이라는 명칭은 대한민국 원양어업의 본거지인 북태평양 바다를 처음 개척한 국립부경대학교 실습선박인 ‘백경호(398톤)’에서 이름을 딴 것으로, 동창회와 학생들이 뜻을 모아 수산대학 교정 내 바다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세웠다. 이주홍 선생은 비의 휘호 ‘백경’과 함께 백경탑 비문에 시를 남겼다. 2011년 5월 15일 어업학과(국립부경대학교 해양생산시스템관리학부) 설립 70주년을 맞아 이전 준공하였다.

7. 9. 식당

국립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에는 여러 식당이 있었으나 2019년 청운관 리모델링 공사로 워커하우스의 식당시설을 철수시켰고 2020년 코로나19 발병으로 다래락을 임시 휴업시켰다. 학생식당인 들락날락은 위드센터 1층에, 교수식당인 라일락은 미래관 3층에 있다. 용당캠퍼스에는 한미락이 있으며, 2020년 3월부터 석식은 취식할 수 없다.

8. 학부

국립부경대학교는 인문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경영대학, 공과대학, 수산과학대학, 환경·해양대학, 정보융합대학, 미래융합대학, 글로벌자율전공학부, 학부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인문사회과학대학은 인문학, 사회, 디자인 분야의 이론과 실습을 교육하며, 법학, 정치학, 경제학, 언론 등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양성한다.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사학과, 경제학과, 법학과, 행정학과, 국제지역학과, 신문방송학과, 정치외교학과, 유아교육과, 의류학과, 중어중문학과가 있다.

자연과학대학은 응용수학, 통계학, 물리학, 화학, 미생물학, 간호학, 해양 스포츠 등의 학문 분야를 교육하고 연구한다. 응용수학과, 화학과, 간호학과, 물리학과, 미생물학과, 과학시스템시뮬레이션학과가 있다.

경영대학은 경영학, 금융 회계, 관광학 및 국제 통상 분야를 교육하며, 경영학부와 국제 통상학부가 있다.

공과대학은 부산산업대학교와 부경대학교의 통합으로 설립되었으며, 공학 분야의 혁신적인 교육을 선도하고 있다. 산업데이터공학과, 전기공학부, 기계공학부, 에너지·응용시스템공학부, 화학공학과, 응용화학·고분자공학부, 나노융합공학부, 시스템경영안전공학부, 소방공학과, 융합소재공학부, 건축학과, 지속가능소재공학부가 있다.

수산과학대학은 1941년 설립 이후 수산학 지식의 활용과 보급을 촉진해 왔으며, 수산 과학 발전에 기여할 글로벌 리더를 육성한다. 식품생명공학과, 해양생산시스템관리학과, 해양수산경영경제학과, 수산생명의학과, 해양수산산업교육학과, 해양생물학과가 있다.

환경·해양과학기술대학은 해양 및 환경 과학 기술 분야의 연구 및 교육을 증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지구환경시스템과학과, 에너지자원공학과, 해양공학과가 있다.

정보융합대학은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위한 미래 지향적인 국가 산업 계획을 선도하며, 공학 분야와 사회 과학 분야를 통합하여 설립되었다. 데이터과학 및 정보 융합학부, 미디어·소통 학부, 스마트 헬스케어 학부, 전기·통신공학부, 조형예술학부, 컴퓨터공학부가 있다.

미래융합대학에는 평생교육·상담학과, 기계조선융합공학과, 전기전자소프트웨어공학과, 공공안전경찰학과가 있다. 글로벌자율전공학부와 학부대학도 운영되고 있다.

9. 대학원

국립부경대학교는 일반대학원과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전문대학원에는 기술경영전문대학원이 있으며, 특수대학원으로는 교육대학원, 산업대학원, 경영대학원, 글로벌정책대학원, 글로벌수산대학원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Briefing < About PKNU < Pukyong National University http://www.pknu.ac.k[...]
[2] 웹사이트 Harukasan Mirror Station https://ftp.harukasa[...] 2020-01-10
[3] 웹인용 학부, 대학원 전임교원의 합 https://www.academyi[...]
[4] 웹인용 학부, 대학원 비전임교원의 합 https://www.academyi[...]
[5] 웹인용 직원 https://www.academyi[...]
[6] 뉴스 工補校開校式(공보교개교식)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4면 1924-05-31
[7] 뉴스 開放大学(개방대학) 3개校(교) 지정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0면 1983-08-14
[8] 뉴스 개방대학들 이름바꿔 공업-산업-경상大(대)로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4면 1988-02-18
[9] 웹인용 시모노세키 수산대학교 연혁 http://www.fish-u.ac[...] 2021-09-07
[10] 뉴스 부경대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면 2011-08-11
[11] 뉴스 [부경대]"차세대 산업혁명 선도할 인재 키우는 대학, 1등 대학보다 위대한 대학으로 도약시키겠다" http://www.dhnews.co[...] 대학저널 2016-10-27
[12] 웹인용 부경대학교 학술교류협정체결현황 https://www.pknu.ac.[...]
[13] 뉴스 내고향에선…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27면 1999-10-11
[14] 뉴스 ‘국내 1호’ 트램, 관광·상권 활성화 기대…교통불편 막을 대비책 마련해야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9-02-20
[15] 뉴스 부경대, ‘산학연협력단지 조성사업’ 선정...‘유니콘 캠퍼스’ 조성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19-05-02
[16] 웹인용 네이버 백과사전 〈부경대학교박물관〉 https://terms.naver.[...] 한국민족문화사전
[17] 뉴스 부경대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33면 2010-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