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의 교회 (무악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도의 교회 (무악기)는 19세기 초 미국에서 시작된 복원 운동의 일환으로, 신약성경에 따라 교회를 재건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교파주의를 거부하고, "그리스도의 교회"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악기를 사용하지 않는 아카펠라 예배를 드리는 특징을 가진다. 성경을 유일한 권위로 여기며, 구원, 세례, 성령의 역사, 종말론 등에 대한 독특한 신념을 가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170만에서 200만 명의 신자와 4만 개 이상의 회중이 있으며, 미국 외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서 신자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그리스도의 교회 (무악기)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 개신교, 복원주의 |
신학적 지향 | 복음주의 |
정치 체제 | 회중 정치 |
분리 | 기독교 교회 (그리스도의 제자) (1906년) 그리스도의 교회 (비 제도적) (1960년대) 국제 그리스도의 교회 (1993년) |
설립일 | 1906년 |
총회 수 | 41,498개 (전 세계) 11,790개 (미국) |
신자 수 | 2,000,000명 (추정) 전 세계; 1,113,362명 (2020년 미국) |
관련 출판물 | Christian Courier WVBS (비디오, 교육 자료) The Christian Chronicle (뉴스) The Christian Worker (UK) Apologetics Press House to House Heart to Heart |
2. 역사
복원 운동은 사도적 기독교로 돌아가려는 여러 독립적인 노력들이 수렴되면서 시작되었다.[14][31] 이 운동의 발전에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 두 가지 흐름은 켄터키 주 케인 리지에서 바턴 W. 스톤의 지도하에 시작된 "크리스천"과 펜실베이니아 서부에서 토마스 캠벨과 그의 아들 알렉산더 캠벨의 지도하에 시작된 "그리스도의 제자들"이었다. 두 그룹 모두 신약에 제시된 패턴에 따라 전체 기독교 교회를 복원하려 했으며, 신조가 기독교를 분열시킨다고 믿었다.[14][31]
캠벨 운동은 초기 교회의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재건"을 특징으로 한 반면,[14] 스톤 운동은 급진적인 자유와 교리의 부재가 특징이었다. 두 운동은 초기 교회를 복원하여 기독교 자유를 얻고, 사도적 기독교를 모델로 기독교인들의 연합을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14] 1832년 두 운동은 통합되었다.[31][113][114][115] 당시 자주 사용되던 슬로건은 "본질적인 것에서는 연합, 본질적이지 않은 것에서는 자유, 모든 것에서는 사랑"이었다.[112]
그리스도의 교회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신학적 신념과 관행을 공유한다.[20]
- 종파적 감독이 없는 자율적인 회중주의 정치 교회 조직;[21][48]
- 공식적인 신조 또는 비공식적인 "교리적 진술" 또는 "신앙 고백"을 고수하는 것을 거부하고, 대신 교리와 관행에 대해 성경에만 의존;[47][21][48]
- 남성 장로의 복수에 의한 지역 통치;[21][48][32]
- 침례는 침수 침례를 통해 동의하는 신자에게 주어지며,[21][48] 아버지, 아들, 그리고 성령의 이름으로 죄 사함을 받음;[20][47][48]
- 일요일에[47][21] 매주 성찬을 지킴;[48]
- 예배에서 아 카펠라 찬양을 실천.[22] 이는 악기 음악에 대한 언급 없이 예배를 위해 노래하라고 가르치는 신약 성경 구절에 근거한다.[21][48]
1906년, 미국 종교 인구 조사는 그리스도의 교회와 그리스도의 교회를 별개의 그룹으로 처음 분류했다.[117] 이는 다니엘 솜머와 같은 보수주의자들의 영향으로 수년간 진행되어 온 분열을 인정한 것이었으며, 분열에 대한 보고는 188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1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리스도의 교회는 전쟁으로 파괴된 유럽과 아시아에 목회자와 인도주의적 구호 물품을 보내기 시작했다.[128]
국제 그리스도의 교회는 1970년대 "제자 훈련" 운동에서 기원했다. 킵 맥키언을 중심으로 한 이 운동은 주류 그리스도의 교회와 조직 및 신학적 차이를 보이며 1993년에 공식적으로 분리되었다.[75]
19세기 초, 스코틀랜드 침례교도들은 알렉산더 캠벨의 저서 ''크리스천 침례교도(Christian Baptist)''와 ''밀레니얼 하빈저(Millennial Harbinger)''의 영향을 받았다.[136] 1836년, 노팅엄의 한 그룹이 스코틀랜드 침례교회에서 분리되어 그리스도의 교회를 형성했다.[136]
2. 1. 복원 운동의 기원
현대 그리스도의 교회는 복원 운동에서 역사적 기원을 찾을 수 있다.[20][14] 이 운동은 19세기 초, 미국의 종교적 부흥 운동인 제2차 대각성 운동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의 원래 형태로 돌아가려는 여러 독립적인 움직임들이 나타난 것이다. 이 운동의 참가자들은 성경만을 교리와 실천의 근거로 삼으려 했다.[20][14]복원 운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두 가지 흐름이 있었다.[14][31] 켄터키 주 케인 리지에서 바턴 W. 스톤을 중심으로 한 흐름은 스스로를 "크리스천"이라 불렀고, 펜실베이니아 서부에서 토마스 캠벨과 알렉산더 캠벨 부자를 중심으로 한 흐름은 "그리스도의 제자들"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두 그룹 모두 신약에 제시된 패턴에 따라 전체 기독교 교회를 복원하려 했으며, 신조가 기독교를 분열시킨다고 믿었다.[14][31]
캠벨 운동은 초기 교회의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재건"을 특징으로 했다.[14] 두 운동은 초기 교회를 복원하여 기독교 자유를 얻고, 사도적 기독교를 모델로 기독교인들의 연합을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14] 1832년에 두 운동은 통합되었다.[31][113][114][115]
당시 자주 사용되던 슬로건은 "본질적인 것에서는 연합, 본질적이지 않은 것에서는 자유, 모든 것에서는 사랑"이었다.[112]
2. 1. 1. 바턴 W. 스톤의 운동
복원 운동은 사도적 기독교로 돌아가려는 여러 독립적인 노력들이 수렴되면서 시작되었다.[14][31] 이 운동의 발전에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 두 가지 흐름이 있었는데,[14][31] 그중 하나는 켄터키 주 케인 리지에서 바턴 W. 스톤의 지도하에 시작되었으며, 이들은 스스로를 단순히 "크리스천"이라고 불렀다.[14][31] 이들은 신약에 제시된 패턴에 따라 전체 기독교 교회를 복원하려 했으며, 신조가 기독교를 분열시킨다고 믿었다.[14][31]스톤 운동은 급진적인 자유와 교리의 부재가 특징이었다.[14] 초기 교회를 복원하고 기독교인들을 연합하려는 스톤 운동의 헌신은 많은 사람이 연합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기에 충분했다.[71] 성경이 교리를 추구하는 유일한 원천임을 강조하면서, 다양한 의견을 가진 기독교인들을 수용하는 것이 진리를 추구하는 데 있어서 일반적인 규범이었다. "본질적인 것에서는 연합, 본질적이지 않은 것에서는 자유, 모든 것에서는 사랑"은 이 시대의 자주 인용되는 슬로건이었다.[112]
복원 운동은 제2차 대각성 운동의 큰 영향을 받았는데,[116] 대각성 운동의 남부 단계는 "바턴 스톤의 개혁 운동의 중요한 모체"였으며, 스톤이 사용한 전도 기술을 형성했다.[116]
2. 1. 2. 토마스 캠벨과 알렉산더 캠벨의 운동
현대 그리스도의 교회는 복원 운동에서 역사적 기원을 찾을 수 있다.[20][14] 이 운동은 기독교 종파의 경계를 넘어 기독교의 원래의 "종파 이전" 형태로 돌아가려는 기독교인들의 수렴이었다. 이 운동의 참가자들은 첫 번째 세기 이후 기독교를 정의해 온 전통적인 시노드와 종파적 위계 대신 성경만을 교리와 실천의 근거로 삼으려 했다.[20][14]
복원 운동은 사도적 기독교로 돌아가려는 여러 독립적인 노력들이 수렴되면서 시작되었다.[14][31] 이 운동의 발전에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 두 가지 흐름이 있었다.[14][31] 켄터키 주 케인 리지에서 바턴 W. 스톤의 지도하에 시작된 첫 번째 흐름은 스스로를 단순히 "크리스천"이라고 불렀다. 펜실베이니아 서부에서 토마스 캠벨과 그의 아들 알렉산더 캠벨의 지도하에 시작된 두 번째 흐름은 "그리스도의 제자들"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두 그룹 모두 신약에 제시된 패턴에 따라 전체 기독교 교회를 복원하려 했으며, 신조가 기독교를 분열시킨다고 믿었다.[14][31]
캠벨 운동은 급진적인 자유와 교리의 부재가 특징이었던 스톤 운동과는 대조적으로, 초기 교회의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재건"을 특징으로 했다.[14] 그들의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두 운동은 몇 가지 중요한 문제에 대해 동의했다.[14] 둘 다 초기 교회를 복원하는 것을 기독교 자유로 가는 길로 보았으며, 사도적 기독교를 모델로 사용하여 기독교인들 사이의 연합을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14] 초기 교회를 복원하고 기독교인들을 연합하려는 두 운동의 헌신은 두 운동의 많은 사람들이 연합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기에 충분했다.[71]
2. 2. 그리스도의 교회와 그리스도의 교회(제자교회)의 분리 (1906)
1906년, 미국 종교 인구 조사는 그리스도의 교회와 그리스도의 교회를 별개의 그룹으로 처음 분류했다.[117] 이는 다니엘 솜머와 같은 보수주의자들의 영향으로 수년간 진행되어 온 분열을 인정한 것이었으며, 분열에 대한 보고는 188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17]두 그룹의 가장 눈에 띄는 차이점은 그리스도의 교회에서 예배 시 악기 사용을 거부하는 것이었다. 악기에 대한 논쟁은 1860년 일부 교회에 오르간이 도입되면서 시작되었다. 더 근본적인 차이점은 성경 해석에 대한 접근 방식이었다. 그리스도의 교회는 신약 예배 기록에 없는 모든 관행은 교회에서 허용하지 않았으며, 예배에서 악기 사용에 대한 신약 문서가 없다고 보았다. 반면, 그리스도의 교회(제자교회)는 명시적으로 금지되지 않은 모든 관행을 고려할 수 있었다.[117]
또 다른 논쟁의 원인은 선교회의 역할이었다. 1849년 10월에 최초의 선교회인 미국 기독교 선교 협회가 결성되었다.[118] 전도의 필요성에는 이견이 없었지만, 많은 사람들은 선교회가 성경에 의해 권한을 부여받지 않았으며 지역 교회의 자율성을 훼손할 것이라고 믿었다.[119] 미국 남북 전쟁에서 비롯된 문화적 요인 또한 분열에 영향을 미쳤다.[120]
데이비드 립스콤은 1899년에 "지금까지 함께 일하고 사랑했던 사람들과의 분리보다 내 마음에 더 큰 고통을 준 것은 없다"라고 말했다.[121]
2. 3. 인종 관계
초기 재건 운동 지도자들은 노예제도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보였다. 바튼 W. 스톤은 노예제도에 강력하게 반대하며 즉각적인 노예 해방을 요구한 반면, 알렉산더 캠벨은 노예제도를 종교적 문제보다는 정치적 문제로 간주했다.[122] 감리교인과 침례교인이 노예제도 문제로 분열되는 것을 본 캠벨은 성경이 노예제도를 금지하기보다는 규제한다고 주장했다.[122]남북 전쟁 이후, 흑인 기독교인들은 자체 회중을 형성했다.[122] 백인 신자들은 시대의 많은 인종적 편견을 공유했다.[122] 마샬 키블은 제칠일 그리스도의 교회에서 저명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전도사였다.[122]
1950년대와 1960년대의 시민권 운동 동안 제칠일 그리스도의 교회는 변화하는 인종적 태도와 고군분투했다.[122] 포이 E. 월리스 주니어와 하딩 대학교의 조지 S. 벤슨과 같은 일부 지도자들은 인종 통합에 대해 비난했다.[124][125] 프리드-하드먼의 총장 N.B. 하드먼은 흑인과 백인이 섞여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으며 흑인 기독교인과 악수를 거부했다.[125] 애빌린 크리스찬 칼리지는 1962년에 처음으로 흑인 학부생을 입학시켰다.[122]
인종 차별에 대처하기 위한 노력은 수십 년 동안 계속되었다.[122] 1999년에는 사우스웨스턴 크리스찬 칼리지에서 강연을 하는 동안 애빌린 크리스찬 대학교 총장이 "학교의 과거 분리주의 정책에서 인종 차별이라는 죄를 고백"하고 흑인 기독교인에게 용서를 구했다.[122][127]
2. 4. 기관 논쟁 (20세기 중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리스도의 교회는 전쟁으로 파괴된 유럽과 아시아에 목회자와 인도주의적 구호 물품을 보내기 시작했다.[128]별도의 초교파 "선교 단체"를 설립할 수는 없다는 데에는 의견 일치를 보았지만(그러한 활동은 지역 교회를 통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는 믿음에 근거), 이 활동을 어떻게 수행할지에 대한 교리적 갈등이 발생했다. 결국, 고아원, 요양원, 선교 활동, 새로운 교회 설립, 성경 대학 또는 신학교, 대규모 라디오 및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미국의 봉사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 지원 및 통제가 논쟁의 일부가 되었다.[128]
이러한 기관 활동을 위해 자금을 모으는 데 지원하고 참여한 교회는 "후원 교회"라고 불린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조직적인 후원 활동에 반대해 온 교회는 "비기관" 교회라고 불린다. 기관 논쟁은 20세기 그리스도의 교회 내에서 가장 큰 분열을 가져왔다.[128]
2. 5. 국제 그리스도의 교회 분리 (1993)
국제 그리스도의 교회는 1970년대 "제자 훈련" 운동에서 기원했다. 킵 맥키언을 중심으로 한 이 운동은 주류 그리스도의 교회와 조직 및 신학적 차이를 보이며 1993년에 공식적으로 분리되었다.[75]2. 6. 영국 그리스도의 교회
19세기 초, 스코틀랜드 침례교도들은 알렉산더 캠벨의 저서인 ''크리스천 침례교도(Christian Baptist)''와 ''밀레니얼 하빈저(Millennial Harbinger)''의 영향을 받았다.[136] 1836년, 노팅엄의 한 그룹이 스코틀랜드 침례교회에서 분리되어 그리스도의 교회를 형성했다.[136] 그 그룹의 일원이었던 제임스 윌리스는 1837년 ''영국 밀레니얼 하빈저(The British Millennial Harbinger)''라는 잡지를 창간했다.[136] 1842년, 영국에서 최초의 그리스도의 교회 협동 회의가 에든버러에서 열렸다.[136] 약 50개의 교회가 참여했으며, 1,600명의 회원을 대표했다.[136] "그리스도의 교회"라는 이름은 1870년 연례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136] 알렉산더 캠벨은 그의 저술을 통해 영국의 재건 운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1847년 몇 달 동안 영국을 방문하여 "체스터에서 열린 영국 교회들의 두 번째 협동 회의"를 주재했다.[136] 그 당시 이 운동은 80개의 교회로 성장했으며 총 2,300명의 회원을 보유했다.[136] 1847년 이후 연례 회의가 개최되었다.[136]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예배에서 악기 사용이 영국 그리스도의 교회 내 분열의 원인이 아니었다. 더 중요한 문제는 평화주의였다. 1916년에는 전쟁에 반대하는 교회들을 위한 전국 회의가 설립되었다.[136] "옛 길" 교회들을 위한 회의는 1924년에 처음 열렸다.[136] 관련된 문제들은 기독교 협회가 다른 단체들과의 에큐메니컬 관계를 추구하면서 전통적인 원칙을 훼손하고, 성경을 "믿음과 실천의 모든 충분한 규칙"으로 버렸다는 인식에 대한 우려를 포함했다.[136] 1931년에 두 개의 "옛 길" 교회가 협회에서 탈퇴했고, 1934년에 두 교회가 더 탈퇴했으며, 1943년에서 1947년 사이에 19개의 교회가 더 탈퇴했다.[136]
제1차 세계 대전 중과 이후에 회원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136][137] 영국 그리스도의 교회 협회는 1980년에 해산되었다.[136][137] 대부분의 협회 교회들(약 40개)은 1981년에 연합 개혁 교회와 연합했다.[136][137] 같은 해에 다른 24개의 교회들이 그리스도의 교회 교우회를 형성했다.[136] 이 교우회는 1980년대에 그리스도 교회와 그리스도의 교회와 관계를 발전시켰다.[136][137]
3. 특징
현대 그리스도의 교회는 기독교의 원래 형태로 돌아가려는 복원 운동에서 역사적 기원을 찾을 수 있다.[20][14] 이 운동의 참가자들은 성경만을 교리와 실천의 근거로 삼으려 했다.[20][14] 그리스도의 교회 신자들은 예수가 하나의 교회만 세웠으며, 현재 기독교인들 사이의 분열은 하나님의 뜻을 나타내지 않고, 기독교 통일성을 회복하는 유일한 기초는 성경이라고 믿는다.[20] 그들은 다른 종교적 또는 종파적 신원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스스로를 "그리스도인"으로 식별하며,[15][16][17] 그리스도가 세운 신약 교회가 되기를 열망한다.[18][19][47]
그리스도의 교회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신학적 신념과 관행을 공유한다.[20]
- 종파적 감독이 없는 자율적인 회중주의 정치 교회 조직[21][48]
- 공식적인 신조 또는 비공식적인 "교리적 진술" 또는 "신앙 고백"을 고수하는 것을 거부하고, 대신 교리와 관행에 대해 성경에만 의존[47][21][48]
- 남성 장로의 복수에 의한 지역 통치[21][48][32]
- 침례는 침수 침례를 통해 동의하는 신자에게 주어지며,[21][48] 아버지, 아들, 그리고 성령의 이름으로 죄 사함을 받음[20][47][48]
- 일요일에[47][21] 매주 성찬을 지킴[48] (영국 회중에서는 "빵을 떼는 것", 미국 회중에서는 "성찬" 또는 "몸과 피"라는 용어 사용. 그리스도의 교회는 일반적으로 매주 첫째 날에 열린 성찬을 제공하며, 각 사람의 자기 성찰에 따라 빵과 포도주를 참석한 모든 사람에게 제공.)
- 예배에서 아 카펠라 찬양을 실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22] 이는 악기 음악에 대한 언급 없이 예배를 위해 노래하라고 가르치는 신약 성경 구절에 근거함 (초기 교회에서 수세기 동안 교회 회중의 예배에서 아 카펠라 찬양을 실천했다는 사실도 포함).[21][48]
그리스도의 교회는 교리와 교회 구조의 문제에 대한 유일한 신앙과 실천의 규칙으로 신약을 주장한다.[23] 구약을 신성하게 영감을 받았고[47] 역사적으로 정확하다고 여기지만, 그리스도 안에서 새 언약 하에서는 신약에 반복되지 않는 한 구약의 율법이 구속력이 있다고 여기지 않는다(히브리서 8:7-13).[68][72][24] 신약이 사람이 어떻게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는지(따라서 그리스도의 보편적인 교회의 일부가 될 수 있는지)와 교회가 어떻게 집단적으로 조직되어야 하고 그 성경적 목적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보여준다고 믿는다.[20]
많은 지도자들은 그리스도의 교회가 성경만을 따르며 "신학"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한다.[82] 고전적으로 이해되는 기독교 신학은 이 운동 내에서 비교적 최근의 현상이며 드물다.[82] 그리스도의 교회는 성경에 추가하거나 덧붙인다는 이유로 모든 공식화된 신조를 거부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개념적 교리적 입장을 즉시 거부한다.[83]
그리스도의 교회는 성경 (해석학), 교회 (교회론) 및 "구원의 계획" (구원론)과 같은 "주도적 동기"를 발전시키는 경향이 있다.[82] 가르침 또는 "교리"로 이해되는 신학의 중요성은 교리에 대한 이해가 다른 사람들의 질문에 지적으로 응답하고, 영적 건강을 증진하며, 신자를 하나님께 더 가까이 이끌기 위해 필요하다는 근거로 옹호되었다.[84]
복원주의에 따르면 교회의 문제점이나 결점을 원시 교회를 "규범적 모델"로 사용하여 수정할 수 있다.[96] 복원 요구는 종종 교회의 원래 순수성을 타락시킨 "타락"을 근거로 정당화된다.[33][97][98] 이러한 타락은 가톨릭교와 교파주의의 발달과 동일시된다.[32][33][97][98]
신약 교회에 대한 강조는 1세기와 현대 교회 사이의 중간 역사를 "무관하거나 심지어 혐오스러운" 것으로 보는 "역사 부재 의식"을 낳기도 한다.[14]
3. 1. 명칭
"그리스도의 교회"는 이 그룹이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이름이다.[29] 이들은 교파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며, 에베소서 1장 22-23절을 인용하여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으로, 몸은 나눌 수 없다는 점을 근거로 삼는다.[29] 따라서 회중들은 스스로를 주로 지역 교회로, 부차적으로는 그리스도의 교회로 식별해왔다.[29] 훨씬 더 오래된 전통은 회중을 특별한 지역에 있는 "교회"로 식별하는 것으로, 다른 설명이나 수식어는 붙이지 않는다.[29][31]이러한 명칭은 신약성경에서 발견되는 성경적인 이름을 사용하려는 열망에서 비롯되었다.[13][32][31][33] 알렉산더 캠벨은 "성경의 것을 성경의 이름으로 부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으며,[36] 이는 복원 운동의 초기 슬로건이 되었다.[41] 이러한 회중들은 일반적으로 교회를 특정 인물(그리스도 외) 또는 특정 교리나 신학적 관점(예: 루터교, 웨슬리교, 개혁주의)과 연관시키는 이름을 피한다.[13][16] 그들은 그리스도께서 단 하나의 교회만을 세우셨으며, 교파 이름을 사용하는 것은 기독교인들 사이에 분열을 조장하는 것이라고 믿는다.[32][31][37][38][39][41]
신약성경에서는 "하나님의 교회", "주의 교회", "그리스도의 교회들", "맏아들의 교회", "살아 계신 하나님의 교회", "하나님의 집", "하나님의 백성" 등의 용어가 사용되었다.[31][42] 그러나 하나님의 교회와 같이 성경적인 용어로 인정되는 용어들은 다른 그룹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사용을 자제한다.[13][31]
신자들은 성경적인 이름이 "교파적" 또는 "종파적"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13][31][42] "그리스도의 교회"라는 용어를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교파를 식별하는 것으로 비판받기도 한다.[13][31][45][46] 이는 "그리스도의 교회"라는 용어가 신약성경에서 고유 명사가 아닌, 교회가 그리스도에게 속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적인 구절로 사용된다는 이해에 기반한다.[31]
3. 2. 교회 조직
그리스도의 교회는 교단이라기보다는 회중 중심의 교회 구조를 가지고 있다.[17][47][21][48][49] 중앙 본부나 의회 등 지역 교회 이상의 조직 구조는 의도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17][47][21][48][49] 대신, 독립적인 회중들이 다양한 봉사와 친교 활동에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네트워크 형태로 운영된다.[20][48][50][51] 이들은 성경적 회복 원칙에 대한 공통된 헌신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20][47] 다른 교회 회중과 협력하지 않거나, 외부 활동(선교, 고아원, 성경 대학 등) 지원을 위한 자원 공유를 거부하는 회중은 "비제도적" 교회로 불리기도 한다.일반적으로 각 회중은 장로들의 감독을 받으며, 집사들이 다양한 사역을 돕는다.[20][48][32] 장로들은 회중의 영적인 복지를, 집사들은 비영적 필요를 책임지는 것으로 여겨진다.[56] 집사들은 장로들의 감독 아래 봉사하며 특정 사역에 배정되는 경우가 많다.[56] 성공적인 집사 봉사는 장로직을 위한 준비로 간주되기도 한다.[56] 장로와 집사는 디모데전서 3장과 디도서 1장에 나오는 자격 요건에 따라 회중이 임명하는데, 이들은 남성이어야 한다(여성 장로와 집사는 성경에서 발견되지 않으므로 인정되지 않는다).[32][52][53] 회중은 목사를 감독하고 가르치며 "통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만큼 성경을 잘 이해하는 장로를 찾는다.[54] 이러한 자격을 갖춘 남자가 없을 경우, 회중의 남성 전체가 감독하기도 한다.[55]
초기 복원 운동은 "정착된 목사"보다는 순회 설교자의 전통을 가졌으나, 20세기에는 장기적이고 공식적으로 훈련된 회중 목사가 보편화되었다.[56] 목사는 장로들의 감독 아래 봉사하는 것으로 이해되며,[54] 장로 자격을 갖추었을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장기적인 전문 목사의 존재는 때때로 "사실상의 목사적 권위"를 만들고 목사와 장로 사이에 갈등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장로직은 "회중의 궁극적인 권위 중심"으로 남아있다.[56] 그러나 "정착된 목사" 개념에 반대하는 소수의 그리스도의 교회 신자들도 있다.
그리스도의 교회는 모든 신자의 제사장직을 지지한다.[57] 설교자나 목사에게 "성직자"임을 나타내는 특별한 칭호는 사용되지 않는다.[47][72] 많은 목사들은 종교학 학사 또는 석사 학위를 가지고 있거나, 비대학 설교 학교를 통해 설교 훈련을 받기도 한다.[29][56][58][59] 그리스도의 교회는 "성직자"와 "평신도" 사이에 구분이 없으며, 모든 구성원이 교회의 사역을 완수하는 데 기여할 재능과 역할을 가지고 있음을 강조한다.[60]
3. 3. 예배
그리스도의 교회는 예배에서 악기를 사용하지 않고 아 카펠라 찬양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22] 이는 신약성경에 악기 사용에 대한 언급이 없고,[20][32] 초기 교회 예배에서 수 세기 동안 아카펠라 찬양을 실천했기 때문이다.[21][48]그리스도의 교회는 매주 첫째 날(일요일)에 성찬을 지킨다.[47][21][48] 영국 회중에서는 "빵을 떼는 것"이라는 용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며, 미국 회중에서는 "성찬" 또는 "몸과 피"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그리스도의 교회는 일반적으로 열린 성찬을 제공하며, 참석한 모든 사람에게 빵과 포도주를 제공하고 각 사람이 스스로 성찰하도록 한다.
3. 4. 신념
그리스도의 교회는 성경을 교리를 찾는 유일한 자료로 여기며, 성경의 영감과 무오성을 믿는다.[23] 성경을 역사적으로 정확하고 문자적으로 해석하며, 구약은 신성하게 영감받았고 역사적으로 정확하다고 여기지만, 그리스도 안에서 새 언약 하에서는 신약에 반복되지 않는 한 구약의 율법이 구속력이 있다고 여기지 않는다(히브리서 8:7-13).[68][72][24] 신약이 사람이 어떻게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는지, 그리고 교회가 어떻게 집단적으로 조직되어야 하고 그 성경적 목적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보여준다고 믿는다.[20]그리스도의 교회 신자들은 예수가 하나의 교회만 세웠으며, 현재 기독교인들 사이의 분열은 하나님의 뜻을 나타내지 않으며, 기독교 통일성을 회복하는 유일한 기초는 성경이라고 믿는다.[20] 그들은 다른 종교적 또는 종파적 신원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스스로를 "그리스도인"으로 식별하며,[15][16][17] 그리스도가 세운 신약 교회가 되기를 열망한다.[18][19][47]
그리스도의 교회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신학적 신념과 관행을 공유한다.[20]
- 종파적 감독이 없는 자율적인 회중주의 정치 교회 조직[21][48]
- 공식적인 신조 또는 비공식적인 "교리적 진술" 또는 "신앙 고백"을 고수하는 것을 거부하고, 대신 교리와 관행에 대해 성경에만 의존[47][21][48]
- 남성 장로의 복수에 의한 지역 통치[21][48][32]
- 침례는 침수 침례를 통해 동의하는 신자에게 주어지며,[21][48] 아버지, 아들, 그리고 성령의 이름으로 죄 사함을 받음[20][47][48]
- 일요일에[47][21] 매주 성찬을 지킴[48] (영국 회중에서는 "빵을 떼는 것", 미국 회중에서는 "성찬" 또는 "몸과 피"라는 용어 사용. 그리스도의 교회는 일반적으로 매주 첫째 날에 열린 성찬을 제공하며, 각 사람의 자기 성찰에 따라 빵과 포도주를 참석한 모든 사람에게 제공.)
- 예배에서 아 카펠라 찬양을 실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22] 이는 악기 음악에 대한 언급 없이 예배를 위해 노래하라고 가르치는 신약 성경 구절에 근거함 (초기 교회에서 수세기 동안 교회 회중의 예배에서 아 카펠라 찬양을 실천했다는 사실도 포함).[21][48]
많은 지도자들은 그리스도의 교회가 성경만을 따르며 "신학"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한다.[82] 고전적으로 이해되는 기독교 신학은 이 운동 내에서 비교적 최근의 현상이며 드물다.[82] 그리스도의 교회는 성경에 추가하거나 덧붙인다는 이유로 모든 공식화된 신조를 거부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개념적 교리적 입장을 즉시 거부한다.[83]
그리스도의 교회는 성경 (해석학), 교회 (교회론) 및 "구원의 계획" (구원론)과 같은 "주도적 동기"를 발전시키는 경향이 있다.[82] 가르침 또는 "교리"로 이해되는 신학의 중요성은 교리에 대한 이해가 다른 사람들의 질문에 지적으로 응답하고, 영적 건강을 증진하며, 신자를 하나님께 더 가까이 이끌기 위해 필요하다는 근거로 옹호되었다.[84]
복원주의에 따르면 교회의 문제점이나 결점을 원시 교회를 "규범적 모델"로 사용하여 수정할 수 있다.[96] 복원 요구는 종종 교회의 원래 순수성을 타락시킨 "타락"을 근거로 정당화된다.[33][97][98] 이러한 타락은 가톨릭교와 교파주의의 발달과 동일시된다.[32][33][97][98]
신약 교회에 대한 강조는 1세기와 현대 교회 사이의 중간 역사를 "무관하거나 심지어 혐오스러운" 것으로 보는 "역사 부재 의식"을 낳기도 한다.[14]
그리스도의 교회는 정치적으로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107] 2016년 퓨 리서치 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신자 중 50%는 공화당 지지, 39%는 민주당 지지, 11%는 선호 정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108] 그러나 ''크리스천 크로니클''은 대다수의 신자들이 현대 사회 문제에 대해 보수적인 견해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신자들의 정치적 이념을 묻는 설문 조사에서 51%가 "보수", 29%가 "중도", 12%만이 "진보"라고 답했으며, 8%는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109] 대다수는 동성애를 죄악으로 여기며,[110] 레위기 18:22과 로마서 1:26–27을 근거로 제시한다. 대부분은 동성 간의 성적 매력을 죄악으로 보지 않지만, "동성애적 욕망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비난한다.[111]
3. 4. 1. 구원론
그리스도의 교회는 구원이 믿음, 회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고백, 침례, 그리고 충실한 삶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가르친다.[20] 침례는 몸을 물에 담그는 침수 침례로만 집행되며,[21][48] 죄 사함과 구원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이해한다.[20][47][48]이러한 침례 방식은 아버지, 아들, 그리고 성령의 이름으로 행해진다.[20][47][48] 일부에서는 그리스도의 교회가 세례를 받아야 구원을 받는다는 세례 재생 교리를 지지한다고 비판하지만, 교회는 세례를 공로 있는 행위가 아니라 믿음의 수동적인 행위로 간주한다.
3. 4. 2. 성령의 역사
그리스도의 교회는 성경의 영향만을 통해 성령이 활동한다는 견해를 역사적으로 공유해왔다.[20] 20세기 초 이후 이러한 전통적인 견해에 변화가 있었지만, 여전히 은사 중단론적 관점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3. 4. 3. 종말론
그리스도의 교회는 일반적으로 무천년설을 따른다.[20]3. 4. 4. 삼위일체
알렉산더 캠벨은 "삼위일체"라는 용어를 거부했지만, 기독교에서 말하는 하나님의 삼위일체라는 신학적 개념 자체를 거부하지는 않았다.[94] 반면 바톤 스톤은 비삼위일체론자였다.[93] 이 두 사람이 이끄는 운동이 하나로 합쳐졌다는 사실은, 비록 서로 다른 의견이 있었지만 삼위일체 문제가 주요 쟁점은 아니었음을 보여준다.[95]3. 5. 사회적, 정치적 견해
그리스도의 교회는 교단 내에서 다양한 정치적 입장을 보인다. 그러나 현대 사회 문제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견해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17][29][61][71][62]초기 재건 운동 지도자들은 노예제도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보였다. 바튼 W. 스톤은 노예제도에 강력히 반대하며 즉각적인 노예 해방을 주장했다.[122] 반면 알렉산더 캠벨은 노예제도를 종교적 문제보다는 정치적 문제로 간주하는 입장이었다.[122] 그는 성경이 노예제도를 금지하기보다는 규제한다고 보았고, 노예 폐지 문제가 기독교인 간의 분열을 야기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122]
남북 전쟁 이후, 흑인 기독교인들은 자체 회중을 형성하기 시작했다.[122] 백인 회중들은 당시의 인종적 편견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았다.[122] 마샬 키블과 같은 흑인 전도사들이 활동하기도 했다.[122]
1950년대와 1960년대 시민권 운동 시기에 그리스도의 교회는 인종 문제와 관련하여 변화하는 사회적 태도와 갈등을 겪었다.[122] 일부 지도자들은 인종 통합에 반대하며 인종 차별을 옹호하기도 했다.[124][125]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인종 차별에 대한 인식이 변화했고, 인종 차별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122]
4. 세계의 그리스도의 교회
2022년 기준으로 그리스도의 교회 전체 신자 수는 170만 명에서 200만 명 사이로 추산되며, 전 세계적으로 40,000개 이상의 개별 회중이 있다.[25][26] 미국에는 약 1,087,559명의 신자와 11,776개의 회중이 있으며,[26] 1990년과 2008년 모두 약 130만 명이었다.[27] 미국 성인 인구 중 그리스도의 교회 소속 비율은 0.8%에서 1.5%로 추정된다.[27][28]
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인 약 1,240개의 회중(172,000명)과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240개의 회중(10,000명)이 있다.[29] 평균 회중 규모는 약 100명이며, 큰 회중은 1,000명 이상이다.[29]
1980년부터 2007년까지 미국 내 신자 수는 약 12% 감소했으며, 고등학교 졸업 후 젊은 성인의 유지율은 약 60%이다. 신자 수는 13개 주에 집중(미국 신자의 70%)되어 있다. 2,429개 카운티에 분포하며, 이는 연합 감리교회, 가톨릭 교회, 남침례교, 하나님의 성회에 이어 다섯 번째이지만, 카운티당 평균 신자 수는 약 677명이다. 이혼율은 6.9%로 전국 평균보다 낮다.[30]
대다수 신자는 미국 외부에 거주한다. 아프리카에 100만 명 이상, 인도에 약 100만 명, 중앙 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 5만 명의 신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9]
4. 1.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그리스도의 교회(무악기) 신도는 10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된다.[29] 교회는 약 14,000개이다.[131] 신도가 가장 많은 곳은 나이지리아, 말라위, 가나, 잠비아, 짐바브웨, 에티오피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수단, 케냐이다.[131]4. 2. 아시아
인도에는 2,000개 이상의 재건 운동 교회가 있으며,[132] 신자 수는 약 100만 명에 이른다.[29] 필리핀에는 100개 이상의 교회가 있다.[132] 다른 아시아 국가의 성장세는 더 작지만 여전히 상당하다.[132]4. 3. 호주
역사적으로 영국에서 온 재건 운동 단체들은 호주에서 이 운동의 초기 발전에 미국에서 온 단체들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다.[133] 그리스도의 교회는 여러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성장했다.[133] 호주의 초기 그리스도의 교회는 신조를 분열적이라고 여겼지만, 19세기 말에는 "신앙 요약문"을 2세대 구성원과 다른 종교 단체에서 개종한 사람들을 가르치는 데 유용하다고 보기 시작했다.[133] 1875년부터 1910년까지의 기간에는 예배 시 악기 사용, 크리스천 엔데버 소사이어티(Christian Endeavor Societies) 및 주일 학교에 대한 논쟁도 있었다.[133] 결국 이 세 가지 모두 이 운동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다.[133] 현재, 재건 운동은 미국만큼 호주에서 분열되어 있지 않다.[133] 그리스도 교회 (제자회)와 강한 유대 관계가 있었지만, 많은 보수적인 목회자와 회중은 대신 그리스도 교회와 그리스도의 교회와 연관되어 있다.[133] 다른 사람들은 "회의" 회중이 "재건 이상에서 벗어났다"고 생각하는 비악기 그리스도의 교회, 특히 그들로부터 지원을 구했다.[133]4. 4. 남아메리카
브라질에는 600개 이상의 교회와 10만 명의 복원 운동 신자가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로이드 데이비드 샌더스에 의해 설립되었다.[140]5. 한국의 그리스도의 교회
한국에는 일제 강점기 말엽인 1940년대 초, 일본에 유학 중이던 한국인 학생들에 의해 그리스도의 교회가 소개되었다.[1] 당시 일본에는 그리스도의 교회 선교사들이 활동하고 있었는데, 이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1]
해방 후, 이들은 귀국하여 서울, 대구, 부산 등지에서 교회를 시작했다.[1] 특히, 1950년대 후반부터 미국 그리스도의 교회 선교사들이 내한하여 활발한 선교 활동을 펼치면서 교세가 확장되었다.[1] 이들은 학교, 병원, 고아원 등을 운영하며 사회사업에도 기여했다.[1]
그러나 1980년대 이후 한국 교회의 보수화 경향과 함께, 그리스도의 교회 역시 성장의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1] 또한, 일부 교단과의 통합 논의 과정에서 내분을 겪기도 했다.[1]
현재 한국의 그리스도의 교회는 여러 분파로 나뉘어 있으며, 교세는 미약한 편이다.[1] 다만, 꾸준한 선교 활동과 사회 봉사를 통해 한국 사회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Churches of Christ (1906 - Present) - Religious Group
https://www.thearda.[...]
2023-05-16
[2]
서적
Protestant Reformation
Wm. B. Eerdmans Publishing
[3]
웹사이트
Church numbers listed by country
https://web.archive.[...]
ChurchZip
2014-12-05
[4]
웹사이트
How Many churches of Christ Are There?
https://church-of-ch[...]
2020-03-20
[5]
웹사이트
Churches of Christ in the United States
https://web.archive.[...]
2020-06
[6]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eb.archive.[...]
2020-03-20
[7]
웹사이트
About World Video Bible School
https://video.wvbs.o[...]
2020-03-20
[8]
웹사이트
About The Christian Chronicle
https://christianchr[...]
2021-03-31
[9]
웹사이트
What We Believe
https://apologeticsp[...]
2020-03-20
[10]
웹사이트
Who Are These People
https://apologeticsp[...]
2002-12-31
[11]
웹사이트
Reaching the Lost
https://my.housetoho[...]
Jacksonville church of Christ
2019-07
[12]
서적
The Churches of Christ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1
[13]
서적
I Just Want to Be a Christian
20th Century Christian
1984
[14]
서적
Discovering Our Roots: The Ancestry of the Churches of Christ
Abilene Christian University Press
1988
[15]
서적
What Is the Church of Christ?
Central Printers & Publishers
[16]
서적
Neither Catholic, Protestant nor Jew
Church of Christ
1960
[17]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in the South
Mercer University Press
2005
[18]
서적
A Distinct People: A History of the Churches of Christ in the 20th Century
Simon and Schuster
1993
[19]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2005
[20]
웹사이트
Who are the churches of Christ and what do they believe in?
http://woodsonchapel[...]
[21]
서적
The Unauthorized Guide to Choosing a Church
Brazos Press
2003
[22]
AV media
Eschatological Weeds
https://podcasts.app[...]
2020-06-06
[23]
bibleverse
[24]
서적
The Beginning of Our Confidence: Seven Weeks of Daily Lessons for New Christians
21st Century Christian
2000
[25]
웹사이트
Churches of Christ - 10 Things to Know about their History and Beliefs
https://www.christia[...]
2018-11-01
[26]
웹사이트
Church numbers listed by country
https://web.archive.[...]
ChurchZip
2022-07-27
[27]
간행물
American Religious Identification Survey (ARIS 2008)
http://b27.cc.trinco[...]
Trinity College
2009-03
[28]
뉴스
The Religious Composition of the United States,
http://religions.pew[...]
Pew Forum on Religion & Public Life, Pew Research Center
2008-02
[29]
서적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30]
간행물
Good News and Bad News: A Realistic Assessment of Churches of Christ in the United States: 2008
[31]
서적
Redigging the Wells: Seeking Undenominational Christianity
Quality Publications, Abilene, Texas
1976
[32]
서적
What Is the Church of Christ?
Central Printers & Publishers, West Monroe, Louisiana
1971
[33]
서적
The Church, the Falling Away, and the Restoration
Gospel Advocate Company, Nashville, Tennessee
1929
[34]
웹사이트
Campbellism and the Church of Christ
http://www.faithdefe[...]
2014
[35]
서적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Merriam-Webster, Inc.
2003
[36]
웹사이트
On the Breaking of Bread
https://www.scrollpu[...]
Scroll Publishing
2024-11-21
[37]
문서
Thomas Campbell, Declaration and Address
https://archive.toda[...]
[38]
간행물
The Church of Christ
https://webfiles.acu[...]
1945-09
[39]
뉴스
Bible Things by Bible Names – The General and Local Senses of the Term 'Church'
Gospel Advocate
1920-10-14
[40]
뉴스
The New Testament Church
Gospel Advocate
1920-11-11
[41]
서적
Slogans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42]
뉴스
Bible Things by Bible Names – Different Designations of the Church Further Considered
Gospel Advocate
1920-09-30
[43]
문서
[44]
문서
[45]
서적
The Stone-Campbell Movement: The Story of the American Restoration Movement
College Press
2002
[46]
웹사이트
Gospel Advocate website
http://stores.homest[...]
[47]
서적
How to Be a Perfect Stranger: A Guide to Etiquette in Other People's Religious Ceremonies
Wood Lake Publishing Inc.
1999
[48]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Christian Denominations
Harvest House Publishers
2005
[49]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50]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51]
서적
The Stone-Campbell Movement: The Story of the American Restoration Movement
College Press
2002
[52]
간행물
Authority and Tenure of Elders
http://www.acu.edu/s[...]
1975
[53]
서적
The Church of Christ: A Biblical Ecclesiology for Today
Wm. B. Eerdmans Publishing
1996
[54]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55]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56]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57]
서적
Studies for New Converts
The Standard Publishing Company
1979
[58]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59]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60]
서적
Now That I'm a Christian
Sweet Publishing
1948
[61]
서적
All People, All Times Rethinking Biblical Authority in Churches of Christ
Xulon Press
2009
[62]
서적
A Heritage in Crisis: Where We've Been, Where We Are, and Where We're Going in the Churches of Christ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8
[63]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64]
웹사이트
Nation's largest Church of Christ adding instrumental service
http://www.christian[...]
The Christian Chronicle
2007-01
[65]
웹사이트
Who are we?
http://www.christian[...]
The Christian Chronicle
[66]
문서
[67]
서적
The Cultural Church
20th Century Christian
1992
[68]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69]
간행물
Hermeneutics in the Churches of Christ,
http://www.acu.edu/s[...]
1995
[70]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71]
서적
The Churches of Christ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1
[72]
서적
The Church of Christ: The Distinctive Nature of the New Testament Church
Gospel Advocate Co.
1997
[73]
서적
Understanding Four Views on Baptism
Zondervan
2007
[74]
서적
Baptism, Why Wait?: Faith's Response in Conversion
College Press
1999
[75]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76]
간행물
Churches of Christ and Baptism: An Historical and Theological Overview,
http://www.acu.edu/s[...]
2001
[77]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78]
웹사이트
Stone-Campbell tradition, the
Grove Music Online
2014-01-31
[79]
웹사이트
Nation's largest Church of Christ adding instrumental service
http://www.christian[...]
The Christian Chronicle
2008-09-19
[80]
뉴스
Local Church of Christ adds Instruments to Worship
http://www.dnj.com/s[...]
2017-01-06
[81]
뉴스
Church of Christ opens door to musical instruments
https://www.usatoday[...]
The Tennessean
2017-01-06
[82]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83]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Christian Denominations
Harvest House Publishers
2005
[84]
서적
Theology Matters: In Honor of Harold Hazelip: Answers for the Church Today
College Press
1998
[85]
문서
[86]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87]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88]
서적
A Distinct People: A History of the Churches of Christ in the 20th Century
Howard Publishing
1994
[89]
서적
Churches of Christ in the United States: inclusive of her commonwealth and territories
Twentieth Century Christian Books
2000
[90]
간행물
Waves of the Spirit Against a Rational Rock: The Impact of the Pentecostal, Charismatic and Third Wave Movements on American Churches of Christ,
http://www.acu.edu/s[...]
2003
[91]
서적
Is the Holy Spirit for me?: A search for the meaning of the Spirit in today's church
20th Century Christian
1981
[92]
간행물
Barton W. Stone and Walter Scott on the Holy Spirit and Ministry
https://digitalcommo[...]
2004-01-01
[93]
웹사이트
An Address to the Christian Churches, Second Edition (1821)
https://webfiles.acu[...]
2024-07-05
[94]
웹사이트
Alexander Campbell on Trinity and Christology
https://johnmarkhick[...]
2024-07-05
[95]
웹사이트
The Christologies of Barton Stone and Alexander Campbell
http://focusonthekin[...]
2024-07-05
[96]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97]
간행물
"The Restoration Principle": A Critical Analysis,
http://www.acu.edu/s[...]
1965
[98]
간행물
Restoration or Reformation?
http://www.leroygarr[...]
1980-04
[99]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100]
간행물
Why Church of Christ Exclusivism Must Go,
http://www.leroygarr[...]
1984-10
[101]
간행물
What We've Been Saying (2),
http://www.leroygarr[...]
1992-11
[102]
웹사이트
History
http://coc-gc.org/?p[...]
2013-12-04
[103]
서적
Churches of Christ: Who Are They?
Publishing Designs, Inc.
2006
[104]
서적
Tradition and History of the Early Churches of Christ In Central Europe
http://www.netbibles[...]
Firm Foundation Publishing House
1963
[105]
서적
Traces of the Kingdom
http://www.churches-[...]
self-published under the imprint "Forbidden Books,"
2011
[106]
서적
The Crux of the Matter
ACU Press
2002
[107]
웹사이트
U.S. religious groups and their political leanings
https://www.pewresea[...]
2020-03-20
[108]
웹사이트
Elephant in the pews: Is the GOP the party of Churches of Christ?
https://christianchr[...]
2020-03-20
[109]
웹사이트
Political ideology among members of the Churches of Christ - Religion in America: U.S. Religious Data, Demographics and Statistics
https://www.pewforum[...]
2020-03-20
[110]
웹사이트
Homosexuality and Transgenderism: The Science Supports the Bible
https://apologeticsp[...]
2020-03-20
[111]
웹사이트
Straight Talk About Homosexuality
https://web.archive.[...]
2020-03-20
[112]
간행물
"In Essentials Unity: The Pre-history of a Restoration Movement Slogan,"
http://www.acu.edu/s[...]
Restoration Quarterly
1997
[113]
서적
The Disciples of Christ, A History
The Bethany Press
1948
[114]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115]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116]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117]
서적
Journey in Faith: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alice Press
1975
[118]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119]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120]
서적
Dictionary of Christianity in America
InterVarsity Press
1990
[121]
서적
The Stone-Campbell Movement: The Story of the American Restoration Movement
College Press
2002
[122]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123]
간행물
Gospel Advocate
1907-08-01
[124]
뉴스
Despite school sentiment, Harding's leader said no to integration
https://www.arktimes[...]
Arkansas Times
2012-06-06
[125]
문서
"Negro Meetings for White People,"
Bible Banner
1941-03
[126]
저널
Abilene Christian College Desegregates its Graduate School
https://webfiles.acu[...]
1961-06-09
[127]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128]
학위논문
"A history of the institutional controversy among Texas Churches of Christ: 1945 to the present,"
2007
[129]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130]
서적
America's Alternative Religions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07
[131]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132]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133]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134]
간행물
"The Strangers Among Us,"
http://www.gospelher[...]
Gospel Herald
2007-02
[135]
웹사이트
"Church of Christ Directory,"
http://www.gospelher[...]
Gospel Herald
2013-12-06
[136]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137]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 Churche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138]
서적
Let Sects and Parties Fall: A Short History of the Association of Churches of Christ in Great Britain and Ireland
Berean Publishing Trust
1980-01
[139]
서적
Historical Survey of Churches of Christ in the British Isles
1995
[140]
웹사이트
As Igrejas de Cristo / Cristãs e o Movimento de Restauroção
https://web.archive.[...]
Movimento de Restauração
2019-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