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은 운동 신경 세포의 선택적 손상으로 발생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아직 명확한 발병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 증상으로는 근육 쇠약, 위축, 경직, 호흡 곤란 등이 나타나며, 상위 및 하위 운동 신경원의 퇴행 정도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진단은 임상 증상, 근전도 검사, 뇌척수액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현재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으나, 릴루졸, 에다라본 등의 약물과 비침습적 인공호흡, 물리 치료, 작업 치료, 언어 치료 등을 통해 증상 완화 및 삶의 질 개선을 목표로 한다. ALS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에 이어 세 번째로 흔한 신경퇴행성 질환이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연구와 치료법 개발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경과학의 미해결 문제 - 의사결정
    의사결정은 특정 결과를 위해 여러 선택지 중 하나를 고르는 과정으로, 불확실성, 인지적 편향, 구조에 따라 분류되며, 합리적, 비합리적 접근과 개인 및 집단 역학의 영향을 받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객관적인 정보와 인지적 편향 인식이 중요하며, 인공지능 발전으로 윤리적 논의가 필요하다.
  • 신경과학의 미해결 문제 - 알츠하이머병
    알츠하이머병은 뇌의 아밀로이드 플라크와 신경원섬유 엉킴 축적을 특징으로 하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인지 기능 저하, 일상생활 기능 장애, 기억 상실, 언어 장애 등을 동반하며 완치법은 없지만 증상 완화 치료와 관리가 중요하다.
  • 신경변성 질환 - 파킨슨병
    파킨슨병은 뇌의 흑질에서 도파민을 생성하는 신경세포 손실로 발생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진전, 서동증, 근육 강직, 자세 불안정과 같은 운동 증상과 신경정신 증상, 인지 장애, 자율신경계 장애와 같은 비운동 증상이 나타나며, 증상 관리를 위한 약물 치료, 심부 뇌 자극술, 재활 치료 등이 시행된다.
  • 신경변성 질환 - 알츠하이머병
    알츠하이머병은 뇌의 아밀로이드 플라크와 신경원섬유 엉킴 축적을 특징으로 하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인지 기능 저하, 일상생활 기능 장애, 기억 상실, 언어 장애 등을 동반하며 완치법은 없지만 증상 완화 치료와 관리가 중요하다.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질병 개요
ALS에 의해 영향을 받는 신경계통 부위
ALS에 의해 영향을 받는 신경계통 부위, 전신에 걸쳐 골격근에 점진적인 증상 유발
다른 이름운동 뉴런 질환 (MND)
루 게릭
샤르코 병
진료과신경과
증상초기: 근육 경직, 근육 연축, 점진적인 근력 약화
후기: 말하기 곤란, 삼키기 곤란, 호흡 곤란; 호흡 부전; 10–15%는 전두측두엽 치매 경험
합병증낙상
호흡 부전
폐렴
영양실조
발병 연령45–75세
원인알려지지 않음 (약 85%), 유전 (약 15%)
위험 요인유전적 위험 요인; 연령; 남성; 중금속; 유기 화학 물질; 흡연; 감전; 신체 운동; 두부 손상
진단다른 설명으로 설명할 수 없는 상위 및 하위 운동 뉴런 퇴행의 점진적인 증상에 기반한 배제 진단. 근전도 검사, 유전자 검사 및 신경 영상으로 뒷받침되는 증거
감별 진단다초점 운동 신경병증
케네디병
유전성 경직성 하반신마비
신경 압박 증후군
당뇨병성 신경병증
소아마비 후 증후군
중증 근무력증
다발성 경화증
예방해당 없음
치료보행 보조기
휠체어
비침습적 환기
경관 급식
보완대체 의사소통
증상 관리
약물릴루졸
에다라본
페닐부티르산나트륨/우르소데옥시콜타우린
토퍼센
덱스트로메토르판/퀴니딘
예후기대 수명은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진단 후 2–4년
빈도발병률: 연간 100,000명당 1.6명
유병률: 생존하는 100,000명당 4.4명
평생 위험: 400명 중 1명
추가 정보
사망해당 없음

2. 원인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유전적 요인:
  • ALS 환자의 약 10%는 가족성으로, 유전적인 특징을 보인다.[242]
  • 가족성 ALS의 약 20%는 21번 염색체에서 원인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확인된다.[242]
  • ''C9orf72'', ''SOD1'', ''FUS'', ''TARDBP'' 등 40개 이상의 유전자가 ALS와 관련되어 있다.[64]
  • ''C9orf72'' 유전자 변이는 가족성 ALS의 약 40%, 산발성 ALS의 약 7%를 차지한다.[64]
  • ''SOD1'' 유전자 변이는 가족성 ALS의 약 12%, 산발성 ALS의 약 1~2%를 차지한다.[64]
  • 가족력이 없는 산발성 ALS 환자에게도 유전자 변이가 발견될 수 있다.[141][142]
  • 유전자 검사를 통해 ALS 관련 유전자 변이를 확인하여 가족성 또는 산발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63]

  • 환경적 요인:
  • 대부분의 ALS는 산발적으로 발생하며, 환경적 요인이 유전적 요인과 거의 동일한 중요성을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9]
  • 중금속(예: , 수은), 화학 물질(예: 농약, 용제), 전기 쇼크, 부상(두부 손상 포함), 흡연 등이 ALS 발병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69]
  • 프로 스포츠 참여, 낮은 체질량 지수, 낮은 학력, 육체 노동 직업, 군 복무, 베타-메틸아미노-L-알라닌(BMAA) 노출, 바이러스 감염 등도 위험 요인으로 제시되지만, 증거는 약하다.[69]

  • 기타 가설:
  • 글루타민산 과잉설: 신경 전달 물질인 글루타민산이 과도하게 분비되어 운동 신경을 파괴한다는 가설이다.[242]
  • 신경영양인자 결핍설: 신경 성장 및 손상 세포 회복에 필요한 영양 성분이 부족하여 운동 신경이 파괴된다는 가설이다.[242]
  • 바이러스 감염설, 중금속 축적설 등도 제기되고 있다.[242]
  • 내재성 레트로바이러스 가설: 인간 유전자 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유래 유전자가 ALS 발병에 관여한다는 가설이다.[143]

  • 분자 메커니즘:
  • 단백질 항상성 및 품질 관리 이상, 운동 뉴런 축삭의 세포 골격 동태 손상, RNA 안정성/기능/대사 교란 등이 ALS의 분자 메커니즘으로 제시된다.[143]


ALS는 다단계 취약성 임계 모델에 따라, 유전적 요인과 평생 동안의 환경적 위험 노출로 인해 세포 손상이 축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59]

3. 증상

초기에는 손과 손가락, 다리의 근육이 약해지고 가늘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243] 또, 말하기가 어려워지고 음식물을 삼키기가 어려워진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증세가 점점 심해진다. 전신의 근력이 약해져서 음식물을 삼키거나 말을 하는 것이 힘들어지며 자력으로 일어날 수 없게 된다. 또, 호흡근이 약해져 호흡장애가 나타난다. 의식과 오감은 말기까지 정상이므로 지능에는 이상은 없으며, 많은 환자들에게서 안구운동장애, 방광/직장장애 및 욕창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243]

모든 환자에게 같은 패턴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근육의 약화나 마비는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발견된다.[243]


  • 근육의 약화: 상위운동뉴런의 퇴화에 의해 근육의 경직이 일어나고, 하위운동뉴런의 퇴화에 의해 근육의 약화, 위축, 경련이 일어난다. 초기에는 손과 손가락의 근육이 약해지기 시작하여 퇴화가 진행됨에 따라 몸의 다른 부분에서도 나타난다. 환자들은 목과 팔, 다리가 약해지며 병의 진행됨에 따라 움직임에 더 큰 어려움을 겪는다. 나중에는 혀와 볼의 근육이 약해져서 씹고 삼키는 일조차 힘들어진다.[243]

  • 단일 수축: 거의 대부분, 근육의 약화가 발생한 이후 피부 아래의 근육이 일시적으로 수축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단일 수축에는 많은 원인이 있으나, 이 질병을 겪는 환자에게는 운동뉴런질병(motor neuron's disease)의 징후로 나타난다. 뇌와 인체의 나머지 부분의 상호작용이 파괴되면서 제 위치를 벗어난 자극 전달이 단일 수축을 초래한다. 하위운동뉴런의 퇴화도 피부 바로 아래의 근육 수축에 영향을 끼친다.[243]

  • 언어 능력 감소: 초기 증상에 해당한다. 말을 할 때 코먹은 소리가 나며, 단어를 구성하여 말하는 것이나 긴 대화가 어렵다. 연구개가 약해지고 뇌에서 혀로 전달되는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호흡근이 약화되었을 경우에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큰 목소리를 내기 어렵기 때문에 의사소통에 지장이 많다.[243]

  • 호흡 장애: 말기 증상에 해당한다. 서서히 호흡근이 악화되기 시작하며 호흡이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따라서 자각적인 호흡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결과적으로 피로가 증가하고 호흡이 어려워진다. 호흡근의 약화는 감기, 독감 또는 폐렴 같은 호흡 기관의 감염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이 폐로 유입될 가능성도 높인다.[244]




ALS는 영향을 받는 운동 신경원의 유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25] 뇌에서 근육으로 가는 과정에서 상위 또는 하위 운동 신경원이 손상되면 다양한 유형의 증상이 나타난다.[19] 상위 운동 신경원의 손상은 일반적으로 뻣뻣함과 증가된 건반사 및/또는 간대성 근경련을 포함한 경직을 유발하는 반면, 하위 운동 신경원의 손상은 일반적으로 근력 약화, 근육 위축 및 근육 다발 수축을 유발한다.[20]

ALS의 주요 아형
상위 운동 신경원 퇴행하위 운동 신경원 퇴행
고전적 ALS
원발성 측삭 경화증(PLS)아니요
진행성 근 위축증(PMA)아니요



고전적 ALS는 전체 ALS 사례의 약 70%를 차지하며, 초기 증상이 나타나는 부위에 따라 ''사지 발병'' ALS(척수 발병)와 ''구 발병'' ALS로 세분될 수 있다.[6] 사지 발병 ALS는 손, 팔, 발, 다리의 약화로 시작하여[7] 모든 고전적 ALS 사례의 약 2/3를 차지한다.[6] 구 발병 ALS는 언어, 저작 및 삼킴 근육의 약화로 시작하며[19] 고전적 ALS 사례의 약 25%를 차지한다.[2] 환자의 약 3%에게 영향을 미치는 드문 유형의 고전적 ALS는 호흡기 발병이다.[6] 이 경우 초기 증상은 운동 시, 휴식 시 또는 누워 있을 때의 호흡 곤란(호흡 곤란)이다.[21]

원발성 측삭 경화증(PLS)는 전체 ALS의 약 5%를 차지하며 팔, 다리 및 구 부위의 상위 운동 신경원에만 영향을 미친다.[22] 진행성 근 위축증(PMA)은 전체 ALS의 약 5%를 차지하며 팔, 다리 및 구 부위의 하위 운동 신경원에 영향을 미친다.[22]

고립된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변이형은 최소 1년 동안 증상이 특정 부위로 제한되며, 전형적인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보다 더 느리게 진행되고 생존 기간이 더 길다.[25] 팔 늘어짐 증후군은 팔 근육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운동 신경 손상으로 특징지어지며, 일반적으로 양쪽 상완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손까지 진행된다.[25] 다리 늘어짐 증후군은 발 근처에서 시작하여 다리에 비대칭적인 쇠약과 위축을 유발하는 하위 운동 신경 손상으로 특징지어진다.[25] 고립성 구마비는 구 영역(최소 20개월 동안 사지 증상이 없는 경우)의 상위 또는 하위 운동 신경 손상으로 특징지어지며,[26] 점진적인 언어 장애(구음 장애)와 연하 곤란(연하 장애)의 시작으로 이어진다.

그림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의 가장 흔한 두 가지 유형(위쪽 행)과 가장 흔한 희귀 아형 세 가지(아래쪽 행)의 상위 및 하위 운동 신경의 분포 범위를 보여준다.


이 질환은 상위 운동 신경과 하위 운동 신경의 퇴화로 인해 전신에 걸쳐 근육 약화, 위축근육 경련을 유발한다. 감각 신경과 자율 신경계는 일반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으며, 이는 ALS 환자 대다수가 청각, 시각, 체감각, 후각 및 미각을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5]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의 시작은 매우 미미하여 증상이 간과될 수 있다.[5] 초기 증상은 근육 쇠약 또는 근육 위축으로, 일반적으로 신체의 한쪽에서 나타난다. 다른 초기 증상으로는 삼키거나 숨쉬기 어려움, 경련, 또는 영향을 받은 근육의 뻣뻣함, 팔 또는 다리에 영향을 미치는 근육 쇠약, 또는 어눌하고 코맹맹이 소리의 발음 등이 있다. 초기 증상으로 영향을 받는 신체 부위는 신체의 어떤 운동 신경이 먼저 손상되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30]

사지 발병 ALS의 경우, 첫 번째 증상은 팔이나 다리에서 나타난다. 다리가 먼저 영향을 받는 경우, 걷거나 달릴 때 어색함, 걸려 넘어짐, 또는 비틀거림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종종 땅에 살짝 끌리는 "발 처짐"으로 나타난다. 팔이 먼저 영향을 받는 경우, 셔츠 단추를 잠그거나, 글을 쓰거나, 자물쇠에 열쇠를 돌리는 등 손재주가 필요한 작업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31]

구 발병 ALS의 경우, 첫 번째 증상은 말하거나 삼키기 어려움이다. 발음이 어눌해지거나, 코맹맹이 소리가 나거나, 목소리가 작아질 수 있다. 삼키기 어려움과 혀의 운동성 상실이 나타날 수 있다. 소수의 사람들은 호흡을 지원하는 늑간근이 먼저 영향을 받는 "호흡기 발병" ALS를 경험한다.[14]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들은 움직임, 삼키기(연하 곤란), 말하기 또는 단어 형성(구음 장애)에 점점 더 어려움을 겪는다. 상위 운동 신경 침범 증상으로는 꽉 조이고 뻣뻣한 근육(경직), 과장된 반사(과반사), 과도한 구토 반사를 포함한다.[19] 이 질병은 직접적으로 통증을 유발하지 않지만, 감소된 운동성으로 인해 ALS 환자 대부분이 통증을 경험한다.[32] 하위 운동 신경 퇴행 증상으로는 근육 쇠약 및 위축, 근육 경련, 피부 아래에서 보이는 근육의 일시적인 경련(근육 다발 수축) 등이 있다.[20]

증상의 초기 발현 부위와 그에 따른 장애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처음 증상이 나타난 신체 부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장 심하게 영향을 받으며, 증상은 인접한 신체 부위로 확산된다. 예를 들어, 한쪽 팔에서 시작된 증상은 보통 반대쪽 팔이나 같은 쪽 다리로 확산된다.[19]

진행 속도는 수정된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기능 평가 척도(ALSFRS-R)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ALSFRS-R은 임상 면담이나 자가 보고 설문지를 통해 시행되는 12가지 항목의 도구로, 48점(정상 기능)에서 0점(심각한 장애) 사이의 점수를 생성한다.[34]

; 해리성 소수근 위축(split hand)

경추증 등으로 척골 신경이 손상되면, 척골 신경 지배(C8>Th1)인 소지구근과 제1배측 골간근은, 일반적으로 함께 손상된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에서는 초기 단계에서 단무지 외전근(정중 신경 지배, Th1>C8)과 제1배측 골간근의 근위축이 보여도, 소지구근은 비교적 보존되는 경우가 많아, 같은 척골 신경 지배이면서 제1배측 골간근과 소지구근의 근위축에 해리가 인정된다. 이를 해리성 소수근 위축(split hand)이라고 한다.

; 인지 기능 장애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의 약 50%에서 경과 중에 인격 변화, 행동 장애(이상), 언어 장애, 수행 기능 장애 등의 전두엽 기능 장애로 특징지어지는 인지 기능 장애를 병발한다. 치매를 동반하는 ALS(ALS-D)는 '''ALS-FTSD'''(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frontotemporal spectrum disorder)라는 질환 개념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 음성 징후

감각 장애, 안구 운동 장애, 방광 직장 장애, 욕창의 4대 음성 징후가 유명하다. 그 외, 소뇌 증상, 추체외로 증상, 자율 신경 증상 등도 인정되지 않는다. 음성 징후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의 발병 초기에는 인정되지 않지만, 말기에는 안구 운동 장애를 동반하는 증례가 있다.

4. 진단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은 일차적으로 나타나는 임상적 증상을 바탕으로 진단한다. 신경과 의사의 진료를 통해 증상을 확인하여 임상적 진단을 내릴 수 있다.

임상적 진단 후에는 확진을 위해 근전도 및 근조직 검사, 뇌척수액 검사를 시행한다. ALS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일 가능성을 고려하여 혈액검사(혈청단백전기영동, 갑상선 호르몬 측정, 부갑상선 호르몬 측정, 항체검사), 소변검사, 경부 척추 X-선 및 MRI 검사도 함께 진행한다.[245]

뇌 MRI (축 방향 FLAIR)로, 위에서 사람을 바라본 모습으로, 이미지 중앙 주변의 내부 캡슐 후방 부분에서 작은 흰색 영역으로 ''T2'' 신호가 증가한 것을 보여주며, 이는 ALS 진단과 일치한다.


ALS를 확진할 수 있는 단일 검사는 없다.[5] ALS 진단은 다른 질병을 배제한 후 의사의 임상 평가를 기반으로 주로 이루어진다.[5] 의사는 환자의 병력을 확인하고, 근력 약화, 근육 위축, 과반사, 바빈스키 징후, 경직 등의 징후와 증상이 악화되는지 평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신경학적 검사를 실시한다.[5] 2023년 현재, 이 질환에 대한 많은 생체 지표가 연구되고 있지만, 일반적인 의학적 사용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84]

측면에서 사람을 바라본 뇌 MRI로, T2 신호 증가가 내부 캡슐 후방 부분에서 흰색 영역으로 나타나며, 이는 운동 피질까지 추적 가능하며, ALS 진단과 일치한다.


ALS 증상은 다른 다양한 질병이나 장애의 증상과 유사할 수 있으므로, 다른 상태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적절한 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검사 중 하나는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감지하는 근전도 검사(EMG)이다. 특정 근전도 검사 결과는 ALS 진단을 뒷받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반적인 검사는 신경전도 검사 (NCV)를 측정하는 것이다.[85] NCV 결과의 이상은 ALS가 아닌 말초 신경병증 또는 근육병증을 시사할 수 있다. 자기 공명 영상(MRI)은 초기 단계의 ALS 환자에게는 정상인 경우가 많지만, 척수 종양, 다발성 경화증, 목의 추간판 탈출증, 척수공동증, 또는 경추 척추증과 같이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문제의 증거를 나타낼 수 있다.[5]

의사는 환자의 증상과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른 질병의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 혈액 및 소변 샘플에 대한 검사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실험실 검사를 지시할 수 있다. 의사가 환자가 ALS가 아닌 근육병증을 가지고 있다고 의심하는 경우 근육 생검을 수행할 수 있다.[5]

HIV, 인간 T-림프구 친화성 바이러스(HTLV), 라임병, 매독과 같은 감염성 질환이 ALS 유사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5][6] 다발성 경화증, 소아마비 후 증후군, 다발성 운동 신경병증,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신경병증(CIDP), 척수성 근위축증, 척수 구근 근위축증과 같은 신경 질환도 고려해야 한다.[5]

ALS는 "ALS 모방 증후군"과 구별되어야 한다.[86] 신경과 전문의는 다른 진단 가능성을 평가하고 배제하기 위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신경근 접합부 질환인 중증 근무력증(MG) 및 람베르트-이튼 근무력 증후군도 ALS를 모방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단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는 드물다.[87][88] 양성 근다발 수축 증후군 및 경련 근다발 수축 증후군도 ALS의 초기 증상 중 일부를 모방할 수 있지만, 숙련된 신경과 전문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 신경학적 특징의 유무를 통해 구별할 수 있으며, 의심이 남는 경우 근전도 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다.[89]

1950년대에 전기진단 검사(EMG)와 신경 전도 속도(NCV) 검사가 ALS 의심 환자 평가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1969년 에드워드 H. 램버트는 ALS에 대한 최초의 EMG/NCS 진단 기준을 발표했다.[127] 이후 여러 진단 기준이 개발되었으며, 주로 연구 목적으로 사용된다. ALS 연구 진단 기준으로는 1994년의 "엘 에스코리알"[128] 기준(1998년 개정[129]), 2006년의 "아와지" 기준[130], 2019년의 "골드 코스트" 기준[131]이 있다.

대뇌 위축은 없고 중심전회의 위축도 일반적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다만, 중심전회의 변성이 고도인 경우에는 해당 위축과 단면에서의 중심전회 피질의 위축 및 엷은 갈색 변색, 피질척수로의 변성이 인정된다. 정상 척수근의 흰색은 수초의 색이다. 축삭이 소실되면 수초도 붕괴되어 흰색이 사라진다. 척수의 세미매크로 소견으로는 전각 대형 운동 뉴런의 탈락, 전각이 배복 방향으로 위축되어 그 외측각이 뾰족해지는 현상이 있다. 추체 측삭로·전삭로는 담명화된다. 또한 추체로 이외의 전삭·측삭부도 담명화된다.

;MRI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진단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는 자기 공명 영상(MRI) 소견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다른 질환을 배제하기 위해 두부 MRI나 척수 MRI를 시행한다.

;신경전도 검사

신경전도 검사는 탈수초성 신경병증을 배제하기 위해 필수적이다.[158][159]

;침 근전도 검사

침 근전도 검사는 하위 운동 뉴런 장애를 민감하게 감지하는 데 유용하다. 신체를 뇌간 영역, 경수 영역, 흉수 영역, 요천수 영역의 4개 부위로 분류하고, 뇌간 영역과 흉수 영역에서는 각 1개의 근육, 경수 영역과 요천수 영역에서는 신경근 지배와 말초 신경 지배가 다른 각 2개의 근육을 선택한다.

;혈액 검사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에서도 CK가 종종 높은 값을 보이지만 정상치의 10배 이상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

;뇌척수액 검사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에서도 뇌척수액 단백질 상승이 나타나지만 100mg/dL 이상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

;신경 심리 검사

ALS 환자에서는 전두측두엽 치매(FTD)의 부분적인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160], 신경 심리 검사로 평가된다. ALS-FTD-Q는 주된 간병인이 질문에 답하는 정확한 변화·행동 이상에 대한 평가이다. ALS-FTD-Q 일본어판의 타당성과 유효성이 평가되고 있다.[161] 인지 기능 장애의 평가로는 MoCA-J가 종종 사용된다. 포괄적인 평가로는 ECAS가 알려져 있다.[162]

5. 치료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법은 아직 없지만,[6] 증상 완화, 삶의 질 개선, 생존 기간 연장을 위한 보조적 관리가 중심이 된다.[6] 이러한 관리는 다학제 의료 전문가 팀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다학제 ALS 클리닉에 다니는 것은 더 긴 생존 기간, 더 적은 입원 횟수, 그리고 개선된 삶의 질과 관련이 있다.[11]

'''약물 치료'''


  • '''릴루졸''': 생존 기간을 약 2~3개월 정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92][91] 구마비성 ALS 환자에게서 더 큰 효과를 보일 수 있다.[91] 글루탐산의 방출을 감소시켜 신경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7] 메스꺼움, 무력증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91]
  • '''에다라본''': 초기 단계의 ALS 환자에게서 기능 저하 속도를 약간 늦추는 효과가 있다.[95][96]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운동 뉴런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97] 멍, 보행 장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96]
  • '''AMX0035''' (Relyvrio): 초기 연구에서 환자의 생존 기간을 평균 6개월 연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99] 2024년 4월에 제조사에 의해 철회되었다.[100]
  • '''토페르센''' (Qalsody): 2023년 4월 미국에서 SOD1 관련 ALS 치료제로 승인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다.[102] SOD1 관련 ALS 환자에게서 진행 속도 둔화 경향과 신경 손상 지표 감소 효과를 보였다.[103][104]
  • '''메코발라민''': 2024년 9월 24일, 메코발라민의 고용량 주사 제제(상품명: 로제발라민 근주용 25mg)가 일본 후생노동성으로부터 효능을 승인받았다.[172]


'''호흡 보조'''

비침습적 환기는 인공호흡기에 연결된 안면 마스크 또는 비강 마스크로 호흡을 보조한다.


비침습적 인공호흡(NIV)은 ALS의 호흡 부전 치료에 중요하며,[7] 생존율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11] NIV는 인공호흡기에 연결된 안면 또는 비강 마스크를 통해 호흡을 돕는다. 처음에는 수면 중 저환기 증상 완화를 위해 밤에만 사용되지만,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사용 시간이 늘어난다.[107]

NIV는 생존 기간을 연장시키지만,[108] 모든 환자에게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특히 구개 기능이 좋지 않은 환자에게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109]

기관절개술을 통한 침습적 인공호흡은 NIV로 증상 관리가 어려운 환자에게 선택 사항이다.[11] 생존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지만, 질병 진행과 기능 저하는 계속된다.[12]

'''기타 보조 요법'''

  • '''물리 치료''': 유산소 운동, 가동 범위 운동, 스트레칭 등을 통해 기능적 독립을 증진시킨다.[105]
  • '''작업 치료''': 적응형 장비를 통해 일상생활 활동을 지원한다.[114]
  • '''언어 치료''': 말하기 어려운 환자를 지원하며, 보완 및 대체 의사 소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112]
  • '''영양 관리''': 체중 감소영양실조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며, 연하 곤란이 있는 경우 경구 영양 튜브를 고려할 수 있다.[7]


위루술 튜브가 복벽을 통해 위로 삽입되어 있다.


'''완화 치료'''

완화 치료는 증상 완화와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며, ALS 진단 직후부터 시작해야 한다.[93] 임종 관리에 대한 논의를 통해 환자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호스피스 치료를 통해 평화로운 임종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돕는다.[13]

'''연구 중인 치료법'''

  • '''파워드 슈트(HAL)''': 생체 전위 신호에 기초하여 하지의 움직임을 돕고 보행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189]
  • '''페람파넬''': AMPA형 글루탐산 수용체 길항제로, ALS 치료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190]
  • '''보스치니브''': 백혈병 치료제로, ALS 진행 억제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194][195]
  • '''로피니롤''': 파킨슨병 치료제로, ALS 진행을 늦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209]

6. 분류

운동 신경 질환의 일종인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은 신체의 골격근을 제어하는 세포인 운동 신경을 선택적으로 침범하는 신경 질환이다.[5] ALS는 질병으로서 운동 신경의 어떤 부분이 영향을 받는지, 신체의 어떤 부분이 처음 영향을 받는지, 유전적인지 여부, 그리고 시작된 연령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18]

ALS는 영향을 받는 운동 신경원의 유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25] 뇌의 운동 피질에서 척수를 따라 내려가는 상위 운동 신경원의 손상은 경직을 유발하고, 근육 자체에 연결되는 하위 운동 신경원의 손상은 근력 약화, 근육 위축 및 근육 다발 수축을 유발한다.[20]


  • '''고전적 ALS'''는 뇌의 상위 운동 신경원과 척수의 하위 운동 신경원 모두의 퇴행을 포함한다.[2][25] 전체 ALS 사례의 약 70%를 차지한다.[6]
  • '''사지 발병 ALS''': 손, 팔, 발, 다리의 약화로 시작하여[7] 모든 고전적 ALS 사례의 약 2/3를 차지한다.[6]
  • '''구 발병 ALS''': 언어, 저작 및 삼킴 근육의 약화로 시작하여[19] 고전적 ALS 사례의 약 25%를 차지한다.[2]
  • '''호흡기 발병 ALS''': 운동 시, 휴식 시 또는 누워 있을 때의 호흡 곤란(호흡 곤란)이 초기 증상이다.[21] 환자의 약 3%에게 영향을 미치는 드문 유형의 고전적 ALS이다.[6]
  • '''원발성 측삭 경화증(PLS)'''는 상위 운동 신경원만 퇴행을 포함한다.[6] 모든 사례의 약 5%를 차지하며, 진행 속도가 느리고, 기능 저하가 적으며, 호흡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고전적 ALS보다 심각한 체중 감소를 유발하지 않아 예후가 좋다.[22]
  • '''진행성 근 위축증(PMA)'''는 하위 운동 신경원만 포함한다.[6] 전체 ALS 범주의 약 5%를 차지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전히 진행되어 결국 호흡 부전과 사망으로 이어진다.[6]


주요 ALS 아형
상위 운동 신경원 퇴행하위 운동 신경원 퇴행
고전적 ALS
원발성 측삭 경화증 (PLS)아니요
진행성 근 위축증 (PMA)아니요



고립된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변이형은 최소 1년 동안 증상이 특정 부위로 제한되며, 전형적인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보다 더 느리게 진행되고 생존 기간이 더 길다.[25]


  • '''팔 늘어짐 증후군''': 팔 근육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운동 신경 손상으로 특징지어진다.[25]
  • '''다리 늘어짐 증후군''': 발 근처에서 시작하여 다리에 비대칭적인 쇠약과 위축을 유발하는 하위 운동 신경 손상으로 특징지어진다.[25]
  • '''고립성 구마비''': 구 영역(최소 20개월 동안 사지 증상이 없는 경우)의 상위 또는 하위 운동 신경 손상으로 특징지어진다.[26]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은 발병 연령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 '''젊은 발병 ALS''': 45세 이전에 시작되는 경우[19]
  • '''소아 ALS''': 25세 이전에 시작되는 경우[19]
  • '''늦은 발병 ALS''': 65세 이후에 시작되는 경우[29]


소아 ALS는 성인 발병 ALS보다 유전적 기원을 가질 가능성이 더 높으며, 소아 ALS와 관련된 가장 흔한 유전자로는 ''FUS'', ''ALS2'', ''SETX''가 있다.[27]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의 병형은 매우 다양하다.[144][145]

  • '''상위 운동 뉴런 징후와 하위 운동 뉴런 징후가 모두 나타나는 경우''': 고전형과 진행성 구마비형이 해당한다.
  • '''상위 운동 뉴런 징후가 없는 경우''': 진행성 근위축증(PMA)이라고 한다.
  • '''하위 운동 뉴런 징후가 없는 경우''': 상위 운동 뉴런형 또는 추체로형이라고 한다.
  • '''기타''': 치매를 동반하는 ALS(ALS-D)와 호흡근형이 알려져 있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환자의 약 절반에서 어떤 형태의 인지 기능 장애가 발견되지만, 임상적으로 뚜렷한 치매가 보이는 사례는 약 20% 정도이다.[148][149][150] 전두엽 기능 저하(행동 이상, 의욕 저하, 언어 기능 저하)가 전면에 나타난다. 치매를 동반하는 ALS(ALS-D)는 '''ALS-FTSD'''(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frontotemporal spectrum disorder,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전두측두 스펙트럼 장애)라는 질환 개념으로 언급되기도 한다.[151][152]

7. 병리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은 대부분 산발적으로 발병하며, 약 10%는 유전적인 특징을 보인다.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가설들이 제시되고 있다.[242]


  • 글루타민산 과잉설: 운동 신경에 신호를 전달하는 글루타민산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져 운동 신경을 파괴한다는 가설이다.
  • 환경설
  • 신경영양인자 결핍설: 신경 성장이나 손상 세포 회복에 필요한 영양 성분이 부족하여 운동 신경이 파괴된다는 가설이다.
  • 가족성/유전성설: 전체 환자의 5~10%가 유전적 특징을 보이며, 이 중 약 20%는 21번 염색체에서 원인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확인된다. 현재까지 8개의 유전자가 가족성 루게릭병을 유발한다고 보고되었다.
  • 그 외의 학설: 바이러스 감염설, 환경 오염으로 인한 중금속 축적설, 혈액형 B형 등이 있다.


초기에는 손과 손가락, 다리의 근육이 약해지고 가늘어지는 증상이 나타나며, 말하기나 음식물을 삼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신의 근력이 약해져 보행이 힘들어지고, 호흡근 약화로 호흡 장애가 나타난다. 의식과 오감은 말기까지 정상이므로 지능에는 이상이 없으며, 많은 환자들에게서 안구운동장애, 방광/직장장애 및 욕창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모든 환자에게 같은 패턴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근육 약화나 마비가 발견된다.[243]

  • 근육 약화: 상위운동뉴런의 퇴화로 근육 경직이 일어나고, 하위운동뉴런의 퇴화로 근육 약화, 위축, 경련이 일어난다. 초기에는 손과 손가락 근육이 약해지기 시작하여 점차 다른 부분으로 퍼져나간다.
  • 단일 수축: 근육 약화 이후 피부 아래 근육이 일시적으로 수축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는 운동뉴런질병의 징후로, 뇌와 신체 간 상호작용이 파괴되면서 발생한다.
  • 언어 능력 감소: 초기 증상으로, 코 먹은 소리가 나거나 단어 구성 및 긴 대화가 어려워진다. 연구개 약화와 뇌-혀 상호작용 문제, 호흡근 약화 등이 원인이다.
  • 호흡 장애: 말기 증상으로, 호흡근 약화로 자각적인 호흡이 필요해져 에너지 소모가 증가하고 피로가 심해진다. 감기, 독감, 폐렴 등의 감염 위험이 높아지고, 음식물이 폐로 유입될 가능성도 커진다.[244]


음식 섭취 및 삼킴의 어려움은 영양 튜브 삽입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호흡 보조를 위해 비침습적 인공호흡을 사용하기도 한다. ALS 환자의 대부분은 진단 후 2~4년 사이에 사망하며,[11]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호흡 부전이다.[14]

ALS는 임상 시험에서 사용되는 병기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킹스 병기 시스템과 밀라노-토리노(MiToS) 기능적 병기 시스템이 대표적이다.[2]

style="text-align: left;" |킹스 ALS 병기 시스템 및 각 병기별 예후
1단계2단계3단계4단계
병기 설명증상 발현, 첫 번째 영역 관련2A: 진단, 2B: 두 번째 영역 관련세 번째 영역 관련4A: 위관 영양 필요, 4B: 비침습적 인공호흡 필요
각 병기까지의 중앙값 시간13.5개월17.7개월23.3개월4A: 17.7개월, 4B: 30.3개월



style="text-align: left;" | MiToS ALS 병기 시스템 및 각 병기별 예후
0단계1단계2단계3단계4단계5단계
병기 설명기능적 영역 손실 없음1개 영역 손실2개 영역 손실3개 영역 손실4개 영역 손실사망
각 병기별 사망 확률7%26%33%33%86%



개별 환자의 예후는 발병 연령, 진행 속도, 발병 부위, 전두측두 치매 유무 등에 따라 달라진다.[2] 구개 발병 환자는 사지 발병 ALS보다 예후가 좋지 않다.[48]

ALS의 특징은 상위 운동 뉴런과 하위 운동 뉴런의 죽음이다.[73] 전두측두엽 치매가 있는 경우 뇌의 전두엽과 측두엽 뉴런도 죽는다.[74] ALS의 병리학적 특징은 운동 뉴런 세포질 내 봉입체인 부니나 소체의 존재이다. ALS 환자의 약 97%에서 봉입체의 주성분은 TDP-43 단백질이다.[7]



ALS에서 뉴런이 죽는 이유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세포 및 분자 과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6] ALS 관련 유전자는 단백질 분해, 세포 골격, RNA 처리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79]

흥분 독성, 즉 글루탐산에 의한 과도한 자극으로 인한 신경 세포 죽음은 모든 형태의 ALS에 공통적인 메커니즘으로 생각된다. 운동 뉴런은 칼슘 완충 능력이 낮고 글루탐산 수용체(AMPA 수용체)가 있어 흥분 독성에 더 민감하다. ALS에서는 시냅스에서 글루탐산을 제거하는 수송체인 흥분성 아미노산 수송체 2 (EAAT2)의 수준이 감소하여 시냅스 글루탐산 수준이 증가하고 흥분 독성이 발생한다. ALS에서 생존을 약간 연장하는 약물인 릴루졸은 글루탐산 방출을 억제하지만, 이 메커니즘이 치료 효과의 원인인지는 불분명하다.[7]

특발성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의 원인은 불분명하다. 그러나 특발성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환자 중 일부에게 가족성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에서 확인된 유전자 변이가 확인되었다.[141][142] 그 때문에 특발성과 가족성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에 공통적인 분자 메커니즘이 상정되게 되었다. 가족성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에서 확인된 유전자군은 3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그것은 단백질 항상성·품질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 운동 뉴런의 축삭에서 세포 골격 동태를 손상시키는 것, RNA의 안정성·기능·대사를 교란하는 것이다. 또한 그 외에 글루탐산의 흥분 독성 가설과 내재성 레트로바이러스 가설이라는 것도 알려져 있다.[143]

;단백질 항상성·품질 관리 이상

: 변이 SOD1 유전자 변이가 있으면 SOD1 단백질을 올바르게 접을 수 없다. 이상하게 접힌 SOD1은 소포체의 세포질 측 표면에 결합하여 소포체에서 이상하게 접힌 단백질을 분해 제거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소포체 관련 분해를 억제한다. 또한 변이형 SOD1은 미세 아교 세포에 슈퍼옥사이드 생성을 증가시킨다.

;축삭에서 세포 골격 동태 손상

: 운동 뉴런의 생존에는, 세포체에서 합성된 세포 성분을 축삭과 시냅스 말단으로 보내는 축삭 수송이 중요하다. 변이형 SOD1은 발병 전부터 순행성 및 역행성 수송을 손상시킨다. DCTN1의 변이는 역행성 수송을 저하시킨다.

;RNA의 안정성·기능·대사 교란

: TDP-43은 주로 핵 내에 분포하는 RNA 결합 단백질이다. 유전자 변이는 세포 내 국재에 변화를 가져와 핵 내에서 제거되어 세포질에 응집체로 축적된다. 이 국재 변화는 TDP-43의 정상 기능의 상실(loss of function)을 초래한다. 전사, 스플라이싱 조절, RNA 안정화 등에 영향이 생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세포질로의 이동은 TDP-43의 섬유화를 초래하고 새로운 독성의 획득을 일으킨다(gain of function). TDP-43의 변이에서 생각되는 RNA 대사에 대한 영향과 단백질 응집에 의한 독성의 획득은, TDP-43과 같은 hnRNP 패밀리에 속하는 RNA 결합 단백질인 FUS, hnRNP A1에서도 비슷한 메커니즘이 생각되고 있다.

;글루탐산의 흥분 독성 가설

: 신경 전달 물질인 글루탐산이 과잉으로 운동 뉴런을 흥분시키기 때문에 신경 세포가 죽음에 이른다는 가설이다.

;내재성 레트로바이러스 가설

: 인간의 유전자 일부에는 바이러스 유래의 유전자가 짜 맞춰져 있다. 특발성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이 내재적으로 존재하는 레트로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한다는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의 임상 증상은 하위 운동 뉴런 증상, 상위 운동 뉴런 증상, 구마비 증상, 인지 기능 장애, 음성 징후가 알려져 있다. 또한 특징적인 증상으로 해리성 소수근 위축(split hand)이 알려져 있다.

;해리성 소수근 위축(split hand)

: 경추증 등으로 척골 신경이 손상되면, 척골 신경 지배(C8>Th1)인 소지구근과 제1배측 골간근은, 일반적으로 함께 손상된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에서는 초기 단계에서 단무지 외전근(정중 신경 지배, Th1>C8)과 제1배측 골간근의 근위축이 보여도, 소지구근은 비교적 보존되는 경우가 많아, 같은 척골 신경 지배이면서 제1배측 골간근과 소지구근의 근위축에 해리가 인정된다. 이를 해리성 소수근 위축(split hand)이라고 한다.

;인지 기능 장애

: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의 약 50%에서 경과 중에 인격 변화, 행동 장애(이상), 언어 장애, 수행 기능 장애 등의 전두엽 기능 장애로 특징지어지는 인지 기능 장애를 병발한다. 치매를 동반하는 ALS(ALS-D)는 '''ALS-FTSD'''(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frontotemporal spectrum disorder)라는 질환 개념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음성 징후

: 감각 장애, 안구 운동 장애, 방광 직장 장애, 욕창의 4대 음성 징후가 유명하다. 그 외, 소뇌 증상, 추체외로 증상, 자율 신경 증상 등도 인정되지 않는다. 음성 징후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의 발병 초기에는 인정되지 않지만, 말기에는 안구 운동 장애를 동반하는 증례가 있다. 특히, 임상 경과가 빠르고, 발병부터 약 1.5년 이내의 비교적 초기에 인공 호흡기에 이르는 증례 중에는, 초기부터 안구 운동 장애를 시작으로 감각 장애나 자율 신경 장애를 동반하여, 운동계를 넘어 광범위한 병변을 나타내는 일군이 있다. 이를 광범위성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이라고 한다.

7. 1. 육안 소견

고립성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의 세포 병리 소견은 운동 뉴런이 변성 및 소실되는 과정과 이상 구조물의 출현으로 나눌 수 있다. 추체로의 변성이 종종 관찰된다. 축삭 탈락이 경미한 경우에는 투명화가 감지되기 어렵기 때문에, 은 염색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 중심전회에서는 베츠 세포의 변성 및 위축, 그리고 그 소실 부위에 대식세포의 집합이 관찰된다.

치매를 동반하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에서는 비운동 뉴런 병변이 관찰된다. 전두측두엽 변성을 나타내지만 위축 정도는 다양하다. 조직학적으로는, 피질 표층의 불명확한 해면상 변화를 나타내며, 측두엽 극 내측면 피질의 변성과 해마 융기부의 CA1-지각 이행부의 국소성 신경세포 탈락은 치매를 동반하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의 특징이다. 이는 초기 변화일 가능성이 높다. 편도체의 변성 또한 관찰된다. 뇌의 광범위한 영역의 뉴런과 글리아에 TDP-43 봉입체가 나타난다. 해마 과립 세포층이나 대뇌 피질의 신경세포 내에 TDP-43 봉입체가 관찰된다. 흑질에도 루이 소체의 출현을 동반하지 않는 명백한 변성이 보인다.

7. 2. 조직 소견

고립성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의 세포 병리 소견은 운동 뉴런의 변성 및 소실 과정과 이상 구조물의 출현으로 나눌 수 있다.

추체로의 변성이 종종 관찰된다. 축삭 탈락이 경미한 경우에는 투명화가 감지되기 어렵기 때문에, 은 염색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143] 중심전회에서는 베츠 세포의 변성 및 위축, 그리고 그 소실 부위에 대식세포의 집합이 관찰된다.

치매를 동반하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에서는 비운동 뉴런 병변이 관찰된다. 전두측두엽 변성을 나타내지만 위축 정도는 다양하다. 조직학적으로는 피질 표층의 불명확한 해면상 변화를 나타내며, 측두엽 극 내측면 피질의 변성과 해마 융기부의 CA1-지각 이행부의 국소성 신경세포 탈락은 치매를 동반하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의 특징이다. 이는 초기 변화일 가능성이 높다. 편도체의 변성 또한 관찰된다. 뇌의 광범위한 영역의 뉴런과 글리아에 TDP-43 봉입체가 나타난다. 해마 과립 세포층이나 대뇌 피질의 신경세포 내에 TDP-43 봉입체가 관찰된다. 흑질에도 루이 소체의 출현을 동반하지 않는 명백한 변성이 보인다.

8. 역학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은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에 이어 세 번째로 흔한 신경퇴행성 질환이며, 성인에게 가장 흔한 운동신경원 질환이다.[57] 전 세계적으로 매년 ALS가 발생하는 사람(발병률)은 연간 10만 명당 1.9명, 특정 시점에 ALS를 앓고 있는 사람(유병률)은 10만 명당 약 4.5명으로 추정된다.[118] 유럽에서는 연간 신규 환자 수가 10만 명당 약 2.6명, 환자 수는 10만 명당 7~9명이다.[119] ALS 발병 평생 위험은 유럽 남성의 경우 350명 중 1명, 유럽 여성의 경우 400명 중 1명으로, 남성이 더 높은 위험을 보이는 주된 이유는 척수 발병 ALS가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흔하기 때문이다.[59]

2015년 미국 내 ALS 환자 수는 10만 명당 5.2명이었으며, 백인, 남성, 60세 이상에서 더 높았다.[120] 동아시아의 신규 환자 수는 연간 10만 명당 약 0.8명, 남아시아는 연간 10만 명당 약 0.7명이다. ALS 역학 연구의 약 80%가 유럽과 미국에서, 주로 북유럽 출신 사람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7] 아프리카, 아시아 일부 지역, 인도, 러시아, 남아메리카를 포함한 세계 대부분 지역의 ALS 발병률을 파악할 정보가 부족하다.[59]

, 일본의 기이 반도, 서뉴기니를 포함하여 ALS 유병률이 세계 다른 지역보다 50~100배 더 높은 서태평양 지역의 여러 지리적 클러스터가 있다. 이 지역의 발병률은 1960년대 이후 감소했지만,[121] 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59]



모든 인종과 민족이 ALS의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120] 백인이 아프리카계, 아시아계 또는 히스패닉계보다 더 흔하다.[122] 2015년 미국에서 백인의 ALS 유병률은 10만 명당 5.4명, 흑인의 유병률은 10만 명당 2.3명이었다.

2015년 미국 ALS 유병률 (10만 명당)[120]
지역유병률
중서부5.5
북동부5.1
남부4.7
서부4.4



중서부와 북동부는 남부와 서부보다 백인의 비율이 더 높기 때문에 ALS 유병률이 더 높을 가능성이 있다.[120] 민족 혼합 인구는 ALS 발병 위험이 낮을 수 있는데, 쿠바의 한 연구에 따르면 혼혈인들은 백인이나 흑인보다 ALS로 사망할 가능성이 낮았다.[124]

또한, 서로 다른 민족 집단 간에 ALS의 유전적 차이가 있다. 유럽에서 가장 흔한 ALS 유전자는 ''C9orf72''이며, 그 다음은 ''SOD1'', ''TARDBP'', ''FUS'' 순이다. 아시아에서 가장 흔한 ALS 유전자는 ''SOD1''이며, 그 다음은 ''FUS'', ''C9orf72'', ''TARDBP'' 순이다.[123]

ALS는 모든 연령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50] 최고 발병률은 50세에서 75세 사이이며[6] 80세 이후 급격히 감소한다.[14] 노년층에서 발병률이 감소하는 이유는 불분명하다. 한 가지 가설은 80세 이상까지 생존하는 사람들은 ALS가 발생할 유전적 감수성이 없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가능성은 고령자의 ALS가 합병증(다른 질병), 신경과 전문의를 만나기 어려움, 또는 공격적인 형태의 ALS로 인해 빠르게 사망하여 진단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124]

2015년 미국 연령대별 ALS 유병률 (10만 명당)[120]
연령대유병률
18~39세가장 낮음
70~79세가장 높음



산발성 ALS는 보통 58~63세경에 시작되지만, 유전성 ALS는 더 일찍, 보통 47~52세경에 시작된다.[14] 전 세계 ALS 환자 수는 2015년 222,801명에서 2040년 376,674명으로 6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주로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세계 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것이다.[122]

일본에서의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발병률은 연간 10만 명당 1.1~2.5명이며, 유병률은 10만 명당 7~11명이다. 이 중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약 5%이다. 가족성 ALS 중 SOD1|SOD1영어 유전자 이상이 원인인 것이 약 20%를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빈도가 높은 것은 FUS 유전자 이상이다. 2021년, 일본 국내 환자는 약 9,000명으로 추정된다.

9. 역사

이 질병에 대한 설명은 적어도 1824년 찰스 벨에 의해 거슬러 올라간다.[16] 1869년, 장-마르탱 샤르코는 증상과 기저 신경학적 문제 간의 연관성을 처음으로 설명했으며, 1874년 논문에서 처음으로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이라는 용어를 소개했다.[16]

''근위축성(Amyotrophic)''은 그리스어로 ''a-''는 "없음"을, ''myo-'' (''mûs''에서 유래)는 "근육"을, ''trophḗ''는 "영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근위축''(amyotrophy)은 "근육 영양 불량"[133] 또는 근육 조직의 위축을 의미한다.[132] ''측삭(Lateral)''은 영향을 받는 운동 신경의 척수 위치를 나타낸다. ''경화증(Sclerosis)''은 "흉터" 또는 "경화"를 의미하며, 척수 내 운동 신경의 죽음을 나타낸다.[133]

ALS는 때때로 ''샤르코병''으로 불리기도 하는데(샤르코-마리-투스병 또는 샤르코 관절병과 혼동하지 말 것), 이는 장 마르탱 샤르코가 임상 증상과 부검에서 관찰된 병리를 처음으로 연결했기 때문이다.[134]



일부 국가, 특히 미국에서는 ALS를 1939년에 ALS 진단을 받은 미국의 야구 선수 루 게릭의 이름을 따서 ''루 게릭병''이라고 부른다.[136][137]



최초 보고는 1869년 샤르코 (Jean-Martin Charcot) 등에 의해 이루어졌으며[219][220], 일본에서는 1891년 나카무라[221][222]에 의해 보고되었다.[223]

샤르코와 조프로이 A(프랑스)가 ALS를 명확하게 기술한 1869년(메이지 2년)부터 23년 후인 1892년(메이지 25년) 제3 고등 중학교 의과(오늘날의 오카야마 대학 의학부)를 갓 졸업한 신입 의국원인 와타나베 에이키치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의 실험"이라는 제목으로 일본에서 완결된 ALS 논문 중 제3보를 보고했는데, 이듬해 1893년(메이지 26년)에는 일본에서 ALS와 인지 장애가 합병된 최초의 논문으로 여겨지는 "피질 운동성 실어증과 연수 마비 및 진행성 근위축을 합병한 한 환자에 관하여"를 발표했다.[224]

와타나베 논문 2년 후인 1895년(메이지 28년), 가와하라 한은 "근위축성 측삭 경결 환자 공개"라는 제목으로 39세 남성 환자를 보고했다. 오와리국히가시카스가이 군에 거주하며, 아버지가 2~3년 전부터 노인성 진전을 겪고 있었다. 37세부터 콧소리로 시작하여, 점차 언어 장애, 감정 변화를 겪고 내원했다. 이 논문은 앞서 언급한 와타나베 논문에 이어 일본에서 두 번째로 ALS와 고차 기능 장애의 존재를 시사하는 데 의의가 있다.[224]

ALS는 motor system 내의 clinical variation은 있지만, 임상적으로는 거의 motor neuron selective한 퇴행성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병리학적으로 또는 인공호흡기에 의한 장기 생존 예에서는 motor system 이외에도 병변이 발견되므로, 본질적으로는 motor neuron predominant한 다계통 장애성 질환이라고 해야 한다.[224]

10. 사회와 문화

이 질환은 야구 선수 루 게릭과 이론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특히 이 질환을 앓았던 다른 사람보다 더 오래 산 것으로 유명함)의 사례로 널리 알려졌다.[61] 미국의 사회학 교수이자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환자인 모리 슈워츠는 회고록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과 동명의 영화의 주인공이었으며, 스티븐 호킹은 전기 영화 ''사랑에 대한 모든 것''의 주인공이었다.

2014년 8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연구 기금 모금을 위한 "아이스 버킷 챌린지"가 온라인에서 유행했다.[139] 참가자들은 얼음물로 가득 찬 양동이를 자신에게 쏟는 모습을 촬영했고, 다른 사람들을 지명하여 똑같이 하도록 했다. 많은 참가자들이 ALS 협회, ALS 치료 개발 연구소, 캐나다 ALS 협회, 또는 영국의 운동신경세포 질환 협회에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연구 기금을 기부했다.[140]

얼음물 샤워 챌린지를 시연하는 학생


이 병은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샤르코병'''(Charcot病)[225]이라고도 불린다. 또는 MLB의 국민적 인기 선수였던 루 게릭(1941년 사망)이 이 병에 걸린 것에서 유래하여 ''''루 게릭병'''(Lou Gehrig's disease)'[226]이라고도 불리며, 그의 사후에 공개된 영화 타격왕(원제: ''The Pride of the Yankees'') 등에 의해 주로 미국에서 급격히 알려지게 되었다.[227] 2014년 아이스 버킷 챌린지의 확산으로 인해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아이스 버킷 챌린지는 2014년 미국에서 시작된 ALS 지원 운동으로, 양동이에 담긴 얼음물을 머리 위로 쏟는 모습을 촬영하여 이를 페이스북 등의 소셜 미디어에 공개하거나, 100USD를 ALS 지원 단체에 기부하거나, 또는 이 두 가지를 모두 수행하는 것을 선택하는 방식이었다. 그리고 다음으로 이 챌린지를 수행할 사람 3명을 지명하며, 지명된 사람은 24시간 이내에 위의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232]

다음은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을 다룬 작품들이다.

  • 만화: 『우주 형제』 - 코야마 츄야의 작품. 2012년, 실사 영화 및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화. 2014년, 애니메이션 영화가 제작되었다. 또한, 본작의 등장인물에 연유하여 "세리카 기금"이 설립되었다.
  • 텔레비전 드라마: 『내가 있던 시간』 - 2014년 1월 ~ 3월에 방송되었다.

참조

[1] 논문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mimics 2022-09
[2] 논문 Recent advances in the diagnosis and prognosis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22-05
[3] 논문 Lifetime Risk and Heritability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9-11
[4] 웹사이트 Motor Neuron Diseases Fact Sheet https://www.ninds.ni[...]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2020-10-27
[5] 웹사이트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Fact Sheet https://www.ninds.ni[...]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2020-10-22
[6] 논문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7-11
[7] 논문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http://eprints.white[...] 2019-12-20
[8] 웹사이트 Understanding ALS https://www.als.org/[...] The ALS Association 2020-10-28
[9] 논문 The heritability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in a clinically ascertained United States research registry
[10] 웹사이트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https://medlineplus.[...] 2023-08-07
[11] 논문 Supportive and symptomatic management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http://eprints.white[...] 2019-12-20
[12] 논문 Care management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7-05
[13] 논문 End-of-life management in patient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5-04
[14] 논문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1-03
[15] 논문 Long-term survival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 population-based study 2014-02
[16] 논문 How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got its name: the clinical-pathologic genius of Jean-Martin Charcot 2001-03
[17] 웹사이트 8B60 Motor neuron disease https://icd.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01-24
[18] 논문 Discussing Personalized Prognosis Empowers Patient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to Regain Control over Their Future: A Qualitative Study 2021-11
[19] 논문 Clinical Spectrum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2017-08
[20]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3-08-27
[21] 논문 ALS with respiratory onset: clinical features and effects of non-invasive ventilation on the prognosis 2010-08
[22] 논문 The phenotypic variability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https://lirias.kuleu[...] 2018-08-22
[23] 논문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moving towards a new classification system 2016-10
[24] 논문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Regional Variants (Brachial Amyotrophic Diplegia, Leg Amyotrophic Diplegia, and Isolated Bulbar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5-11
[25] 논문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 clinical review 2020-10
[26] 논문 Disease duration of progression is helpful in identifying isolated bulbar palsy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21-10
[27] 논문 Juvenile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 Review 2021-11
[28] 논문 Inherited Paediatric Motor Neuron Disorders: Beyond Spinal Muscular Atrophy 2017
[29] 논문 Clinical features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nd their prognostic value 2017-05
[30] 논문 Deciphering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what phenotype, neuropathology and genetics are telling us about pathogenesis 2013-05
[31] 웹사이트 Motor neurone disease https://www.nhs.uk/c[...] National Health Service 2020-10-24
[32] 논문 Pain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7-02
[33] 논문 Spreading in ALS: The relative impact of upper and lower motor neuron involvement 2020-07
[34] 논문 The ALSFRS-R: a revised ALS functional rating scale that incorporates assessments of respiratory function. BDNF ALS Study Group (Phase III) 1999-10
[35] 논문 Clinical trials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 systematic review and perspective 2021
[36] 논문 Prognostic factors for the course of functional status of patients with ALS: a systematic review 2015-06
[37] 논문 The PRO-ACT database: design, initial analyses, and predictive features 2014-11
[38] 논문 How common are ALS plateaus and reversals? 2016-03
[39] 논문 Clinical significance in the change of decline in ALSFRS-R
[40] 논문 Clinical Measures of Bulbar Dysfunction in ALS 2019
[41]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moderate intensity exercise on function and disease progression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09-06
[42] 논문 Communication Support for People with ALS 2011
[43] 논문 An observational study on quality of life and preferences to sustain life in locked-in state 2019-09
[44] 논문 The optimisation of noninvasive ventilation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 systematic review 2019-09
[45] 논문 Palliative care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 review of current international guidelines and initiatives https://epub.ub.uni-[...] 2023-04-30
[46] 논문 Causes of death in a post-mortem series of ALS patients 2008-01-01
[47] 논문 Comparison of the King's and MiToS staging systems for ALS 2017-05
[48] 논문 Phenotypic heterogeneity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 population based study https://hal.archives[...] 2022-08-04
[49] 웹사이트 Stephen Hawking serves as role model for ALS patients http://www.cnn.com/2[...] CNN 2009-09-20
[50] 논문 What causes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7
[51] 논문 ALS-specific cognitive and behavior changes associated with advancing disease stage in ALS 2018-10
[52] 논문 Risk factors for cognitive impairment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1-07
[53] 논문 Excessive yawning is common in the bulbar-onset form of ALS 2007-07
[54] 논문 Recognizing and treating pseudobulbar affect 2016-12
[55]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behavioural changes in motor neuron disease 2012-10
[56] 논문 ALS and frontotemporal dementia belong to a common disease spectrum 2017-05
[57] 논문 State of play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genetics 2014-01
[58] 논문 The cognitive profile of A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update 2016-06
[59] 논문 The epidemiology of ALS: a conspiracy of genes, environment and time 2013-11
[60] 웹사이트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2022-04-06
[61] 웹사이트 Who Gets ALS? https://www.als.org/[...] 2022-04-06
[62] 논문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Genetic Studies: From Genome-wide Association Mapping to Genome Sequencing https://eprints.qut.[...] 2019-12-20
[63] 논문 Predictive genetic testing for Motor neuron disease: time for a guideline? 2022-06
[64] 논문 Emerging insights into the complex genetics and pathophysiology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22-05
[65] 논문 A survey of current practice in genetic testing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in the UK and Republic of Ireland: implications for future planning 2023-08
[66] 논문 De novo mutations in ''SOD1'' are a cause of ALS 2022-02
[67] 논문 Predictive genetic testing for Motor neuron disease: time for a guideline? 2022-06
[68] 논문 The importance of offering early genetic testing in everyone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https://academic.oup[...] 2023-05-27
[69] 논문 Identification of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onset and progression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us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linkinghub.e[...] 2023-05-27
[70] 논문 Premorbi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ALS 2006-03
[71] 논문 Are people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particularly nice? An international online case-control study of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2018-10
[72] 논문 "Patient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are usually nice persons"-How physicians experienced in ALS see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ir patients 2017-01
[73] 논문 The changing scene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3-04
[74] 논문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https://kclpure.kcl.[...] 2019-12-20
[75] 논문 Bunina bodies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08-04
[76] 논문 Axonal Transport and Neurodegeneration: How Marine Drugs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s 2016-05
[77] 논문 Defining novel functions for cerebrospinal fluid in ALS pathophysiology 2020-08
[78] 논문 Modelling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progress and possibilities 2017-05
[79] 논문 The genetics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current insights 2016
[80] 논문 Mechanisms of FUS mutations in familial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6-09
[81] 논문 ALS Genes in the Genomic Era and their Implications for FTD 2018-06
[82] 논문 There has been an awakening: Emerging mechanisms of C9orf72 mutations in FTD/ALS 2016-09
[83] 논문 Mitochondrial bioenergetic deficits in C9orf72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motor neurons cause dysfunctional axonal homeostasis 2021-02
[84] 논문 Biomarkers in Motor Neuron Disease: A State of the Art Review 2019
[85] 논문 Electrodiagnosis in person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3-05
[86] 논문 The diagnosis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in 2010 2011-03
[87] 웹사이트 Lambert-Eaton Myasthenic Syndrome (LEMS) http://misc.medscape[...] Misc.medscape.com 2013-04-18
[88] 웹사이트 Lambert-Eaton Myasthenic Syndrome: About http://www.lems.com/[...] BioMarin Pharmaceutical Inc. 2013-04-18
[89] 논문 Characteristics of fasciculations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nd the benign fasciculation syndrome 2010-11
[90] 논문 Enteral tube feeding for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motor neuron disease 2023-08
[91] 논문 Riluzole for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motor neuron disease (MND) 2012-03
[92] 논문 Strategies for clinical approach to neurodegeneration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1-03
[93] 논문 EFNS guidelines on the clinical management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MALS)--revised report of an EFNS task force 2012-03
[94] 웹사이트 FDA-Approved Drugs for Treating ALS https://www.als.org/[...] 2023-04-25
[95] 논문 Safety and efficacy of edaravone in well defined patient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2017-07
[96] 논문 Disease-modifying and symptomatic treatment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97] 논문 Edaravone and its clinical development for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7-10
[98] 웹사이트 FDA Approves Oral Form for the treatment of adult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3-04-25
[99] 웹사이트 AMX0035 (RELYVRIO) https://www.als.org/[...] 2023-04-25
[100] 뉴스 ALS drug will be pulled from US market after study showed patients didn't benefit https://apnews.com/a[...] 2024-04-04
[101] 간행물 A Phase III,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Multicenter Trial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AMX0035 Versus Placebo for 48-week Treatment of Adult Patient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https://clinicaltria[...] clinicaltrials.gov 2023-01-04
[102] 보도자료 FDA approves treatment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ssociated with a mutation in the SOD1 gene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23-04-25
[103] 논문 Trial of Antisense Oligonucleotide Tofersen for ''SOD1'' ALS 2022-09
[104] 논문 Neurofilament light chain: A prognostic biomarker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5-06
[105] 논문 Motor neuron disease: systematic reviews of treatment for ALS and SMA 2010
[106] 논문 Comprehensive rehabilitative care across the spectrum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5
[107] 논문 Sleep disorders and respiratory function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6-04
[108] 논문 Breathing new life into treatment advances for respiratory failure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patients 2014
[109] 논문 Mechanical ventilation for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motor neuron disease 2017-10
[110] 논문 Ethical considerations in the management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3-11
[111] 논문 The role of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112] 웹사이트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http://www.asha.org/[...]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Rockville, MD 2016-11-30
[113] 논문 Rehabilitation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why it matters 2014-07
[114] 논문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related interventions for people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115] 논문 Pulmonary Physical Therapy Techniques to Enhance Survival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 Systematic Review 2016-07
[116] 논문 Causes and place of death in Italian patient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0-09
[117] 서적 Molecular Epidemiology: Principles and Practices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118] 논문 Global epidemiology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 systematic review of the published literature 2013
[119] 논문 The changing picture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lessons from European registers https://kclpure.kcl.[...] 2018-08-22
[120] 논문 Prevalence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United States, 2015 2018-11
[121] 논문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09-02
[122] 논문 Projected increase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from 2015 to 2040 2016-08
[123] 논문 Genetic epidemiology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07
[124] 논문 Current issues in ALS epidemiology: Variation of ALS occurrence between populations and physical activity as a risk factor 2017-05
[125] 논문 The history of progressive muscular atrophy: syndrome or disease? 2008-02
[126] 논문 Natural history and clinical features of the flail arm and flail leg ALS variants 2009-03
[127] 논문 Clinical neurophysiology in the diagnosis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the Lambert and the El Escorial criteria 1998-10
[128] 논문 El Escorial World Federation of Neurology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Subcommittee on Motor Neuron Diseases/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of the World Federation of Neurology Research Group on Neuromuscular Diseases and the El Escorial "Clinical limits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workshop contributors 1994-07
[129] 논문 El Escorial revisited: revised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00-12
[130] 논문 Electrodiagnostic criteria for diagnosis of ALS 2008-03
[131] 논문 A proposal for new diagnostic criteria for ALS 2020-08
[132] 웹사이트 ALS: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https://www.mda.org/[...] 2018-12-23
[133] 웹사이트 What is ALS? http://www.alsa.org/[...] 2018-12-23
[134] 논문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early contributions of Jean-Martin Charcot 2000-03
[135] 서적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CRC Press
[136] 논문 What's in a name? Problems, facts and controversies regarding neurological eponyms 2016-05
[137] 논문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n update for 2013 Clinical Features, Pathophysiology, Management and Therapeutic Trials 2013-10
[138] 논문 Assessment of the upper motor neuron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2016-07
[139] 뉴스 George Bush delivers possibly the best ALS ice bucket challenge yet https://www.independ[...] 2014-08-20
[140] 논문 The ALS ice bucket challenge – can a splash of water reinvigorate a field? 2014-12
[141] 논문 Nature. 2016 Nov 10;539(7628):197-206.
[142] 논문 Neurobiol Aging. 2016 Mar;39:219.e1-8.
[143] 논문 Ann Neurol. 2011 Jan;69(1):141-51.
[144] 논문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11 Jul;82(7):740-6.
[145] 논문 Neurology. 2009 Mar 24;72(12):1087-94.
[146] 논문 BMJ Open. 2014 May 14;4(5):e005213.
[147] 논문 Neurology. 2009 Nov 17;73(20):1686-92.
[148] 논문 Neurology. 2005 Aug 23;65(4):586-90.
[149] 논문 Eur J Neurol. 2010 Jan;17(1):103-10.
[150] 논문 Neurology. 2003 Apr 8;60(7):1094-7.
[151] 논문 Amyotroph Lateral Scler. 2009 Jun;10(3):131-46.
[152] 논문 Amyotroph Lateral Scler Frontotemporal Degener. 2017 May;18(3-4):153-174.
[153] 논문 Muscle Nerve. 1992 Feb;15(2):219-24.
[154] 논문 Muscle Nerve. 2000 Jan;23(1):138.
[155] 논문 Muscle Nerve. 2008 Apr;37(4):426-30.
[156] 논문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12 Apr;83(4):399-403.
[157] 논문 Acta Neuropathol. 2008 Aug;116(2):169-82.
[158] 논문 Amyotroph Lateral Scler Other Motor Neuron Disord. 2000 Dec;1(5):293-9.
[159] 논문 Lancet. 2011 Mar 12;377(9769):942-55.
[160] 논문 J Neurol. 2020 May;267(5):1321-1330.
[161] 논문 J Neurol Sci. 2016 Aug 15;367:51-5.
[162] 논문 Amyotroph Lateral Scler Frontotemporal Degener. 2021 Feb;22(1-2):66-72.
[163] 논문 Clin Neurophysiol. 2008 Mar;119(3):497-503.
[164] 논문 Clin Neurophysiol. 2016 Jul;127(7):2684-91.
[165] 논문 Clin Neurophysiol. 2020 Aug;131(8):1975-1978.
[166] 논문 Ann Neurol. 2021 May;89(5):979-986.
[167] 웹사이트 筋萎縮性側索硬化症(ALS)(指定難病2) – 難病情報センター https://www.nanbyou.[...] 2024-04-01
[168] 웹사이트 国内初の近視抑制薬「リジュセア」、肥満症薬「ゼップバウンド」など承認|製薬業界きょうのニュースまとめ読み(2024年12月27日) ! AnswersNews https://answers.ten-[...] 株式会社 クイック 2024-12-27
[169] 웹사이트 筋萎縮性側索硬化症 ~人工呼吸器装着の背景因子と予後分析~ https://www.neurolog[...] 日本神経学会
[170] PDF 田辺三菱製薬 - プレスリリース - 筋萎縮性側索硬化症(ALS)に関する一部変更承認取得「ラジカット注30mg」「ラジカット点滴静注バッグ30mg」 http://www.mt-pharma[...] 田辺三菱製薬
[171] 웹사이트 ALS治療薬ラジカヴァの米国FDAによる承認取得について http://www.mt-pharma[...] 田辺三菱製薬プレスリリース
[172] 웹사이트 ALS薬ロゼバラミン、国内承認を取得 エーザイ、海外開発も「今後検討」 https://nk.jiho.jp/a[...] 株式会社じほう 2024-09-25
[173] 웹사이트 徳島大学開発の筋萎縮性側索硬化症(ALS)の新薬「ロゼバラミン」発表 早ければ年内に製造・販売か【徳島】|JRT NEWS NNN https://news.ntv.co.[...] 日本テレビ 2024-09-25
[174] 웹사이트 発症早期の筋萎縮性側索硬化症(ALS)患者さんを対象とした 高用量メチルコバラミン第Ⅲ相試験(JETALS)のご報告 ― 症状の進行抑制効果が示されました ― https://www.tokushim[...] 学校大学法人徳島大学 2022-04-25
[175] 웹사이트 メコバラミンの高用量製剤について、日本において筋萎縮性側索硬化症(ALS) に係る適応で新薬承認を申請 https://www.eisai.co[...] エーザイ
[176] 웹사이트 発症早期の筋萎縮性側索硬化症(ALS)患者さんを対象とした 高用量メチルコバラミン第Ⅲ相試験(JETALS)のご報告 ― 症状の進行抑制効果が示されました ― https://www.tokushim[...] 徳島大学 2024-04-19
[177] 웹사이트 メコバラミンの高用量製剤が日本において筋萎縮性側索硬化症(ALS)の病態及び機能障害の進行抑制を予定される効能又は効果として、厚生労働省より希少疾病用医薬品に指定 {{!}} ニュースリリース:2022年 https://www.eisai.co[...] エーザイ株式会社 2024-04-16
[178] 웹사이트 エーザイ、メコバラミンの高用量製剤について日本において筋萎縮性側索硬化症(ALS)に係る適応で新薬承認を申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24-04-16
[179] 웹사이트 ALS薬「ロゼバラミン」の承認了承 第一部会、およそ9年半ぶりに新薬登場へ https://nk.jiho.jp/a[...] 株式会社じほう 2024-08-26
[180] 웹사이트 新医薬品一覧表(令和6年11月20日収載予定)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4-11-21
[181] 웹사이트 アメリカで難病ALS=筋萎縮性側索硬化症の治療薬を承認 https://web.archive.[...] 2023-05-01
[182] 웹사이트 難病ALSの新薬、独自投与へ 進行速い患者に、東京医科歯科大: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中日新聞東京本社 2023-06-09
[183] 웹사이트 遺伝性ALSや近視の治療薬、承認へ 厚労省・医薬品第一部会 https://nk.jiho.jp/a[...] 株式会社じほう 2024-12-04
[184] 웹사이트 厚労省 ALS新薬 製造販売を了承 国内初の治療薬となる見通し {{!}} NHK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4-12-04
[185] 웹사이트 ALS治療薬の承認了承 特定の遺伝子変異が対象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24-12-04
[186] 웹사이트 ALSのうち遺伝子に変異ある患者対象の新薬 承認申請 {{!}} NHK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4-05-24
[187] 웹사이트 ALS新薬「トフェルセン」、厚労省承認 原因たんぱく質減らす効果: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4-12-27
[188] 웹사이트 アメリカで難病ALS=筋萎縮性側索硬化症の治療薬を承認 {{!}} NHK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3-06-09
[189] 뉴스 ロボットスーツHAL、いよいよ保険が適用 https://xtech.nikkei[...] 日経BP 2016-12-21
[190] 뉴스 東大、既存の抗てんかん薬を用いたALSの新規治療法 - マウスで有効性確認 https://news.mynavi.[...] マイナビニュース 2016-12-18
[191] 문서 東京医科大学神経内科「孤発性筋萎縮性側索硬化症に対するペランパネルの第Ⅱ相臨床試験」 http://team.tokyo-me[...]
[192] 문서 一般社団法人日本ALS協会公式サイト>IBCグラント研究奨励/郭伸先生との懇談のご報告 http://alsjapan.org/[...]
[193] 문서 Drug Screening for ALS Using Patient-Specifi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n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http://stm.sciencema[...]
[194] 뉴스 難病ALSに治療薬候補 iPS細胞使い発見 https://www.j-cast.c[...] ジェイ・キャスト 2017-10-23
[195] 뉴스 筋肉の難病ALSに白血病薬が有効 京大、iPS活用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10-23
[196] 문서 CiRA公式サイト>2017年>患者さん由来iPS細胞を用いた化合物スクリーニングにより、筋萎縮性側索硬化症の治療標的分子経 http://www.cira.kyot[...]
[197] 웹사이트 白血病治療薬 ALS進行抑制 京大研、患者iPSで実証 https://mainichi.jp/[...] 2017-05-25
[198] 웹사이트 ALS 白血病薬で治験…京大チーム iPS使い効果確認 : テクノロジー https://www.yomiuri.[...] 読売新聞社 2019-03-31
[199] 웹사이트 京大もALS患者の治験=iPSで発見の白血病薬 https://web.archive.[...] 時事通信社 2019-03-31
[200] 웹사이트 難病ALS、白血病薬で治験へ 京大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9-03-31
[201] 웹사이트 京大、ALS患者の病気の進行停止 iPS創薬で成果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24-04-27
[202] 웹사이트 白血病薬ボスチニブ、ALS患者に中間治験…iPS細胞の研究で効果確認 https://www.yomiuri.[...] 読売新聞社 2022-10-14
[203] 웹사이트 成人ALSに対するボスチニブのP2医師主導試験が開始-CiRAほか http://www.qlifepro.[...] 株式会社QLife 2022-10-14
[204] 웹사이트 筋萎縮性側索硬化症(ALS)患者さんを対象としたボスチニブ第2相試験 主要評価項目達成(速報)~iPS創薬からALS進行停止を目指すiDReAM Study~ http://www.cira.kyot[...] 京都大学iPS細胞研究所 CiRA(サイラ) 2024-06-12
[205] 웹사이트 iPS創薬でALS進行を抑制 京都大学、白血病既存薬で治験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24-06-12
[206] 웹사이트 ALS治療薬候補「ボスチニブ」が病状の進行を一定抑制 iPS細胞使い、京都大学など治験|社会|地域のニュース|京都新聞 https://www.kyoto-np[...] 京都新聞社 2024-06-12
[207] 웹사이트 「白血病」の薬で『難病ALS』の症状進行を抑制…治験で患者半数で確認 京都大学iPS細胞研究所が発表 {{!}} TBS NEWS DIG (1ページ) https://newsdig.tbs.[...] TBS 2024-06-12
[208] 웹사이트 「iPS創薬」ALS進行抑制の鍵に、遺伝子情報利用で病気再現 試薬の効果高ま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24-06-12
[209] 웹사이트 ALS、別の疾患薬で治験…iPS使い効果確認 https://www.yomiuri.[...] 2018-12-05
[210] 뉴스 ALSにパーキンソン薬 慶大、iPS細胞で効果発見 https://www.nikkei.c[...] 2018-12-03
[211] 웹사이트 アイス・バケツ・チャレンジ(IBC)を振り返って http://alsjapan.org/[...] 日本ALS協会 2021-05-22
[212] 웹사이트 慶大岡野教授インタビュー、「ALSでロピニロール早期承認の可能性は十分ある」 https://bio.nikkeibp[...] 日本経済新聞社 2021-05-21
[213] 웹사이트 iPS創薬で初の有効性確認、ALSの治験で 慶応大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21-05-21
[214] 뉴스 難病ALSの進行抑制に効果の薬 https://jp.reuters.c[...] 2021-05-21
[215] 웹사이트 iPS細胞で確認 パーキンソン病の薬がALS患者にも効果か 慶応大 https://web.archive.[...] 日本放送協会 2021-05-21
[216] 웹사이트 慶應義塾とREADYFORが業務提携を開始 提携第一号プロジェクトがスタート-プロジェクト「基礎・臨床融合による神経難病研究:ALS克服に向けた研究の加速を」-:[慶應義塾] https://www.keio.ac.[...] 慶応義塾大学 2023-09-07
[217] 웹사이트 iPS創薬、数年後に世界初実用化へ 慶大がALS治療薬 https://www.sankei.c[...] 産業経済新聞社 2023-09-07
[218] 웹사이트 細胞製剤でALSの臨床試験開始、三菱ケミカル系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21-05-23
[219] 논문 主要疾患の歴史 4.筋萎縮性側索硬化症 https://doi.org/10.2[...] 2002
[220] 웹사이트 初めてのALSの報告と病気の名称 https://alsjapan.org[...] 一般社団法人日本ALS協会 2024-04-27
[221] 문서 中村桃二郎.筋萎縮性側索硬変ノ実験.東京医事新誌 1891;693号:1049-1053.(未完)、中村桃二郎.筋萎縮性側索硬変ノ実験(承前).東京医事新誌 1891;694号:1813-1818.(完)
[222] 논문 日本におけるamyotrophic lateral sclerosis(ALS)の初期論文とその今日的考察 https://doi.org/10.5[...] 2017
[223] 문서 平井政道, 「筋萎縮性側索硬変の実験」『東京医学会雑誌』 4: 259-299, 1890, {{naid|10010929825}}. の論文は未完論文との指摘が研究者(阿部康二ほか)からある
[224] 학술지 日本における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ALS )関連疾患の 初期論文とその今日的展開 https://www.neurolog[...]
[225] 웹사이트 ALSという病気の概略 http://alsjapan.org/[...] 日本ALS協会 2018-03-10
[226] 잡지 アメリカ野球雑学概論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9-04-20
[227] 웹사이트 The Golden West Chapter to Honor Gary Cooper for “Pride of the Yankees”and for Raising International Awareness About ALS/Lou Gehrig’s Disease http://webgw.alsa.or[...] ALSA.org 2014-10-13
[228] 뉴스 뇌진탕과 ALS http://www.nikkei-sc[...] 日経サイエンス 2012-05
[229] 뉴스 アメリカ医療の光と影 第267回 米スポーツ界を震撼させる変性脳疾患(7) http://www.igaku-sho[...]
[230] 웹사이트 Namesake Disease May Not Have Killed Lou Gehrig http://www.time.com/[...] タイム (雑誌) 2014-10-13
[231] 웹사이트 この声が、いまの自分の声なんです|日本作業療法士協会 https://www.jaot.or.[...] 2024-04-27
[232] 뉴스 氷水かぶり Coolに難病支援/セレブ続々動画投稿 寄付7億円超 https://web.archive.[...] SankeiBiz 2014-08-20
[233] 문서 前述の通り、別の病気であったという説も提出されている。
[234] 뉴스 「やさしく歌って」の歌手ロバータ・フラックが難病ALSと診断 会話も困難に https://web.archive.[...] 東スポWEB 2022-11-15
[235] 웹사이트 美容家の佐伯チズさん死去 76歳、3月にALS公表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0-08-05
[236] 뉴스 TOTOのマイク・ポーカロ、死去 https://www.barks.jp[...] BARKS 2015-03-19
[237] 뉴스 大平まゆみさん、ALSの可能性公表 バイオリニスト https://www.asahi.co[...] 2019-11-20
[238] 뉴스 参院委員会で意見陳述 ALSの岡部氏「難病でも“境を超える”しなやかな社会を」 https://dot.asahi.co[...]
[239] 뉴스 「ニャンちゅう」声優・津久井教生、難病ALSを公表「今のところ『声』だけは無事」声優仲間エール https://www.sponichi[...] スポニチ 2019-10-02
[240] 뉴스 FC岐阜社長、難病ALS公表J1昇格目指し続投 http://www.chunichi.[...] 中日新聞社 2015-01-31
[241] 뉴스 石井竜也 元米米CLUB・ジュリアーノ勝又さんの死去伝える ALSで闘病1年…5月から介護施設に https://www.sponichi[...] Sponichi Annex 2024-11-29
[242] 웹사이트 Web MD http://www.webmd.com[...] 2012-12-06
[243] 웹사이트 ALS Association http://www.alsa.org/[...] 2012-12-06
[244] 웹사이트 ALSInfo http://www.alsinfo.c[...] 2012-12-12
[245] 웹사이트 ALS Association http://www.alsa.org/[...] 2012-12-06
[246] 네이버 백과사전 루게릭병 http://health.naver.[...] 2012-12-13
[247] Science magazine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with Antibiotics http://www.sciencema[...] 2012-12-06
[248] 웹사이트 Understanding ALS -- Diagnosis & Treatment http://www.webmd.com[...] 2012-12-13
[249] ALSInfo Treatment http://www.alsinfo.c[...] 2012-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