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식 (국문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윤식은 1936년 경상남도 김해 출신의 국문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국어교육과 및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1962년 평론으로 등단하여 2001년까지 서울대학교 국문과 교수를 역임했다. 그는 평론, 문학사 연구, 작가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1930년대 카프(KAPF)에 대한 비평으로 주목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근대문예 비평사 연구》, 《한국문학사》 등이 있으며, 2018년 지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봉비평문학상 수상자 - 구중서
구중서는 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 시조 시인, 서예가, 화가이며, 수원대학교 교수,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이사장, 한국작가회의 이사장을 역임하고 리얼리즘 문학론 등 다양한 문학 이론을 연구했으며 요산문학상과 팔봉문학상을 수상했다. - 팔봉비평문학상 수상자 - 김우창
김우창은 사회와 개인의 변증법적 융합을 강조하며 한국 문학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한 문학평론가이자 영문학자로, '심미적 이성'과 '구체적 보편성' 개념을 통해 한국 문학의 인식론적 구조를 분석하고 비평의 질적 향상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국문학자 - 마광수
마광수는 대한민국의 국문학자이자 작가, 대학교수로, 시인과 소설가로 활동하며 성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문학관으로 기성 문단과 갈등을 빚었고, 소설 《즐거운 사라》로 외설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국문학자 - 조지훈
조지훈은 1939년 등단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국문학자로, 박목월, 박두진과 함께 청록파 시인으로 불리며 자연을 소재로 민족 정서를 노래했고, 해방 후에는 교육자, 학자, 문화운동가로 활동하며 민족 문화 발전에 헌신했다. - 김해시 출신 - 허형구
허형구는 김해 출신의 법조인으로, 검사,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검찰총장 재임 중 봉사하는 검찰상을 정립하고 선거법 위반 사범을 수사했으나 저질 연탄 사건 수사로 경질되었다. - 김해시 출신 - 박찬종
박찬종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변호사, 공인회계사로, 고시 3관왕 및 5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유신 정권 시절 소신 발언과 대선 출마, 정당 활동 등을 통해 활동해왔으나 지역감정 조장 발언 등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김윤식 (국문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윤식 |
출생 | 1936년 |
사망 | 2018년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
학교 | 서울대학교 |
직업 정보 | |
직업 | 문학 평론가, 번역가, 대학교수 |
분야 | 국문학 |
2. 생애
김윤식은 경상남도 김해 진영읍 사산리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및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62년 《현대문학》에 평론이 추천되어 등단하였으며, 1973년 현대문학상 신인상을 수상했다. 1930년대 카프에 대한 비평으로 알려져 있으며, 2001년까지 서울대 국문과 교수를 역임했다. 1970년 도쿄 대학 유학, 1978년 아이오와 대학교 객원 교수, 1980년 도쿄 대학 비교문학과 객원 연구원을 지냈다. 저서로는 《한국근대문예 비평사 연구》, 《근대 한국문학연구》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임화연구》, 《최재서론》, 《한국문예비평의 특성》 등이 있다. 30년 넘게 문학 잡지에 최근 소설에 대한 월간 평론을 기고했다.[2]
2. 1. 출생과 성장
김윤식은 1936년 8월 10일 경상남도 김해 진영읍 사산리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세 명의 누나가 있었다.[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및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1960년부터 1976년 사이에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2]2. 2. 학력 및 학문 활동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및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62년 《현대문학》에 평론이 추천되어 등단하였으며, 1973년 현대문학상 신인상을 수상했다. 1970년 도쿄 대학에서 유학했고, 1978년 아이오와 대학교 객원교수, 1980년 도쿄 대학 비교문학과 객원 연구원을 지냈다. 1930년대 카프에 대한 비평이 탁월하다는 평을 받으며, 2001년까지 서울대 국문과 교수를 역임했다.[2]2. 3. 등단 및 주요 경력
1962년 《현대문학》에 평론이 추천되어 등단하였으며, 1973년 현대문학상 신인상을 수상했다.[1] 1930년대 카프에 대한 비평이 탁월하다는 평을 받았다.[1] 2001년까지 서울대학교 국문과 교수 등을 역임하였다.[1]2. 4. 사망
김윤식은 2018년 82세의 나이로 지병으로 사망했다.[2]3. 주요 연구 분야 및 업적
김윤식은 1964년 첫 저서 『밤바다』를 출간한 이후 148권의 저서, 41권의 공저, 6권의 번역서, 9권의 교재를 출간하며 왕성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그의 연구는 학술 저작, 비평, 산문, 번역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며, 크게 현장 비평, 작가 비평, 문학사 및 사상 연구, 기행문, 예술 철학, 자전적 글쓰기의 네 가지 범주로 나뉜다.[3]
김윤식은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마르크스주의와 같은 특정 학파나 이데올로기에 대한 편향성을 부인하며, 인간의 이성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유일한 힘이라고 믿는다고 밝혔다.[14] 그는 도스토옙스키[15]나 헤겔과 같은 유럽 철학과 문학 전통에 정통했으며,[16] 문학을 통해 철학적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2022년, 서울대학교는 김윤식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김윤식 학술상을 제정했다.[17] 그의 제자로는 소설가 권여선, 김탁환과 평론가 서영채, 정홍수, 권성우, 류보선, 신수정 등이 있다.[18]
3. 1. 카프(KAPF) 연구
김윤식은 박사 학위 논문을 바탕으로 한 현대 한국 문학 연구인 『한국 근대 문학 비평사 연구』를 통해 진보적인 한국 작가들의 단체인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KAPF)을 발굴했다.[5] 그는 검열로 인해 잊혀질 수 있었던 KAPF의 3천 개에 달하는 금지된[6] 작품들을 파고들었다. 후에 김윤식은 KAPF에 대한 연구로 인해 정부의 여러 차례 심문과 협박을 받았다고 고백했다. 그의 노력으로 이러한 자료는 한국 문학 연구자들에게 제공되었다.[7] 그는 이 급진적인 문학 운동의 존재를 밝혀냈을 뿐만 아니라, KAPF 운동을 한국의 근대성과 연결시켰다. KAPF는 마르크스주의적 근대성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근대적이었지만, 일본 통치하의 한국이라는 특수한 맥락으로 인해 그 근대성은 독특했다.[8] 요약하면, 『한국 근대 문학 비평사 연구』에서 그는 KAPF를 한국 근대 문학의 출발점으로 보고, 서구의 유토피아주의와 식민주의 팽창주의 간의 긴장에 주목했다.3. 2. 한국 근대성 연구
김윤식은 한국 근대 문학 연구에 있어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특히, 그의 연구는 한국 근대성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한국 문학사를 새롭게 구성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그의 저서 『한국 근대 문학 비평사 연구』는 박사 학위 논문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KAPF)을 발굴하여 한국 문학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5] 그는 검열로 인해 잊혀질 수 있었던 KAPF의 3천 개에 달하는 금지된 작품들을 연구하여,[6] 한국 문학 연구자들에게 귀중한 자료를 제공했다.[7] 김윤식은 KAPF를 한국 근대 문학의 출발점으로 보고, 서구의 유토피아주의와 식민주의 팽창주의 간의 긴장에 주목했다.[8]
김윤식은 김현과 공동으로 저술한 『한국문학사』(1973)를 통해 일본 식민주의로 인한 한국 역사 왜곡을 극복하고자 했다.[9] 이 책은 18세기 조선 시대(영조, 정조)를 한국 근대성의 출발점으로 제시하며, 이전까지 이광수와 최남선을 한국 근대 문학의 선구자로 여겼던 학계의 통념에 도전했다.[10] 『한국문학사』는 한국 근대 문학의 시기 구분에 대한 학술적 논쟁을 촉발했으며, 한국 문학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11]
3. 3. 작가 연구
김윤식은 첫 저서인 『밤바다』(1964) 이후 148권의 저서, 41권의 공저, 6권의 번역서, 9권의 교재를 출간했다. 그의 작품은 학술 저작, 비평, 산문, 번역 등 광범위한 장르를 아우르며,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범주로 분류된다.[3] (i) 현장 비평, (ii) 작가 비평, (iii) 문학사 및 사상 연구, (iv) 기행문, 예술 철학, 자전적 글쓰기.작가 비평은 작가의 사회적 맥락과 심리를 탐구하며, 묘사된 작가를 주인공으로 하는 소설처럼 읽히는 독특한 접근 방식을 취한다.[4] 김윤식의 작가 비평은 『이광수와 그의 시대 1-3』(1986), 『염상섭 연구』등이 대표적이다. 『이광수와 그의 시대 1-3』은 이광수의 생애와 시대적 함의를 이해하기 위한 자료를 찾아 일본 현지 답사를 다루며,[12] 작가의 고아 의식을 일제강점기 한국의 민족적 고아 의식과 연결하는 독특한 스타일을 보여준다. 이는 작가의 개인적 삶이 식민지 상황과 떼려야 뗄 수 없음을 시사한다.[13]
3. 4. 문학사 연구
김윤식은 첫 저서인 『밤바다』(1964) 이후 148권의 저서, 41권의 공저, 6권의 번역서, 9권의 교재를 출간했다. 그의 작품은 학술 저작, 비평, 산문, 번역 등 광범위한 장르를 아우르며, 현장 비평, 작가 비평, 문학사 및 사상 연구, 기행문, 예술 철학, 자전적 글쓰기 등 네 가지 주요 범주로 분류된다.[3]그의 한국 문학사 연구는 다음과 같다.
- 『한국 현대 소설사』
- 『한국 현대 문학사상 연구』: 금지된 문헌을 다루고 기존의 한국 현대 문학 정의에 도전함으로써 한국 문학에서의 근대성 개념을 재정의하고자 한다.
- 『한국 근대 문학 비평사 연구』: 박사 학위 논문을 바탕으로 한다.[5]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KAPF)을 발굴하여 검열로 인해 잊혀질 수 있었던 3천 개에 달하는 금지된[6] 작품들을 파고들었다. KAPF에 대한 연구로 인해 정부의 심문과 협박을 받았으나, 이 자료들을 한국 문학 연구자들에게 제공했다.[7] KAPF 운동을 한국의 근대성과 연결시켜, 마르크스주의적 근대성을 추구했지만 일본 통치하의 한국이라는 특수한 맥락으로 인해 그 근대성이 독특했다고 보았다.[8] KAPF를 한국 근대 문학의 출발점으로 보고, 서구의 유토피아주의와 식민주의 팽창주의 간의 긴장에 주목했다.
- 『한국문학사』(1973, 김현과 공동 저술): 일본 식민주의로 인한 한국 역사 왜곡을 극복하려는 시도이다.[9] 식민주의 전후의 시민 사회를 향한 역사적 운동에 초점을 맞춰 한국 역사를 재구성하고자 했다. 영조와 정조가 통치했던 18세기 조선 시대를 한국 근대성의 출발점으로 보았다. 이전 학자들이 이광수와 최남선을 한국 근대 문학의 선구자로 여겼던 것에 비해, 1960-70년대 이후 한국 근대성의 시기 구분에 대한 학술적 논쟁을 촉발했다.[10] 한국 근대 문학 시작 시점에 대한 기존 가설을 해체하여 한국 문학 시기 구분의 전환점이 되었다.[11]
3. 5. 현장 비평
김윤식은 첫 저서인 『밤바다』(1964) 이후 148권의 저서, 41권의 공저, 6권의 번역서, 9권의 교재를 출간했다. 그의 작품은 학술 저작, 비평, 산문, 번역 등 광범위한 장르를 아우른다. 현장 비평은 시대정신의 최신 버전을 파악하기 위해 동시대에 새롭게 생산된 문학을 비평하는 것으로 정의된다.[3] 김윤식의 월간 서평집인 『우리 문학의 넓이와 깊이』(1979)와 『김윤식의 소설현장비평』(1997) 등이 현장 비평에 포함된다.[4]4. 비판 및 논란
1999년, 박사 과정 학생이었던 이명원은 김윤식이 일본 평론가 가라타니 고진의 연구를 적절한 인용 없이 상당 부분 인용했다며 표절 의혹을 제기했다. 이 사건은 학연을 중시하는 학계의 권위적인 시스템에 대한 문제 제기로 이어졌다. 소설가 이정서는 이 사건을 《당신들의 감동은 위험하다》(2014)라는 소설로 썼다.[19] 김윤식은 퇴임을 앞둔 인터뷰에서 이명원의 주장이 타당하다고 인정했다.[21]
4. 1. 표절 논란
1999년, 박사 과정 학생이었던 이명원은 김윤식이 일본 평론가 가라타니 고진의 연구를 적절한 인용 없이 상당 부분 인용했다며 표절 의혹을 제기했다.[19] 이 주장은 이명원이 자신의 저서를 출판한 지 2년 후에 학자들 사이에서 문제가 되었고, 이로 인해 이명원은 지도 교수들의 적대적인 태도로 인해 대학원 과정을 중단했다.[19] 이명원이 학위를 마치지 않고 서울대학교를 떠나자, 사람들은 학연에 기반한 권위적인 시스템의 존재를 알아차리기 시작했다. 김윤식은 서울대학교 출신의 많은 동료와 제자를 거느린 저명한 학자였고, 이들은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었다.[20] 소설가 이정서는 이 사건을 《당신들의 감동은 위험하다》 (2014)라는 소설로 썼다. 김윤식은 퇴임을 앞둔 인터뷰에서 이명원의 주장이 타당하다고 인정했다. 김윤식은 지속적인 수정을 요구하는 그러한 실수들이 자신의 저작물에서 흔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덧붙였다.[21]5.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내역 |
---|---|
2016년 | 은관문화훈장 |
2014년 | 제1회 이승휴문화상 문학부문 |
2011년 | 제20회 수당상 인문사회부문 |
2008년 | 제9회 청마문학상 |
2003년 | 제7회 만해상 학술부문 |
2002년 | 제10회 대산문학상 평론부문 |
2001년 | 황조근정훈장 |
1994년 | 제11회 요산문학상 |
1993년 | 제3회 평운문학상 |
1991년 | 제2회 팔봉비평문학상 |
1989년 | 제1회 김환태문학평론상 |
1987년 | 제1회 대한민국문학상, 한국문학작가상 |
6. 저서
김윤식은 1964년 첫 저서 『밤바다』를 출간한 이후 148권의 저서, 41권의 공저, 6권의 번역서, 9권의 교재를 펴냈다.[3] 그의 작품은 학술 저작, 비평, 산문, 번역 등 광범위한 장르를 아우르며, 현장 비평, 작가 비평, 문학사 및 사상 연구, 기행문·예술 철학·자전적 글쓰기 등 네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3]
현장 비평은 시대정신의 최신 버전을 파악하기 위해 동시대에 새롭게 생산된 문학을 비평하는 것을 말한다. 김윤식의 월간 서평집인 『우리 문학의 넓이와 깊이』(1979), 『김윤식의 소설현장비평』(1997) 등이 이에 해당한다. 작가 비평은 작가의 사회적 맥락과 심리를 탐구하며, 묘사된 작가를 주인공으로 하는 소설처럼 읽힌다.[4] 『이광수와 그의 시대』(전3권), 『염상섭 연구』 등이 대표적이다. 한국 문학사에 관한 저서로는 『한국 현대 소설사』, 『한국 현대 문학사상 연구』 등이 있으며, 금지된 문헌을 다루고 기존의 한국 현대 문학 정의에 도전함으로써 한국 문학에서의 근대성 개념을 재정의하고자 했다. 『내가 읽고 만난 일본』(2012)은 기행문 및 자전적 글쓰기로, 이광수의 삶과 그가 독립 운동가에서 친일파로 전향한 이유를 다룬다.
6. 1. 단독 저서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
1973 | <근대한국문학연구> | 일지사 |
1973 |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 한얼문고 |
1976 |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개정신판) | 일지사 |
1973 | <한국문학사론고> | 법문사 |
1973 | <한국근대문학의 이해> | 일지사 |
1973 | <박용철 이헌구 연구> | 법문사 |
1974 | <한국근대작가론고> | 일지사 |
1974 | <한국문학의 논리> | 일지사 |
1974 | <한일문학의 관련양상> | 일지사 |
1975 | <상흔과 극복-한국문학자와 일본>(傷痕と克服-韓国文学者と日本|쇼콘토 쿄쿠후쿠-캉코쿠 분가쿠샤토 니혼일본어) | 조일신문사 |
1974 | <한국근대문학사상> | 서문당 |
1975 | <한국현대시론비판> | 일지사 |
1985 | <한국현대시론비판>(증보판) | 일지사 |
1975 | <문학사와 비평> | 일지사 |
1976 | <한국현대문학사> | 일지사 |
1978 | <(속)한국근대문학사상> | 서문당 |
1976 | <한국근대문학사상비판> | 일지사 |
1979 | <한국현대문학명작사전> | 일지사 |
1979 | <우리 문학의 넓이와 깊이> | 서래헌 |
1979 | <문학과 미술 사이> | 일지사 |
1980 | <한국근대문학양식론고> | 아세아문화사 |
1990 | <한국근대문학양식론고> | 아세아문화사 |
1981 | <한국현대소설비판> | 일지사 |
1981 | <우리 소설의 표정> | 문학사상사 |
1981 | <(속)한국근대작가론고> | 일지사 |
1982 | <한국현대문학비평사> | 서울대출판부 |
1984 | <황홀경의 사상> | 홍성사 |
1995 | <지상의 빵과 천상의 빵>(중보재간) | 솔 |
1984 | <한국근대문학사상사> | 한길사 |
1984 | <한국근대문학과 문학교육> | 을유문고 |
1984 | <한국근대문학사상연구1-도남과 최재서> | 일지사 |
1985 | <작은 생각의 집짓기-비평가의 표정> | 나남 |
1986 | <우리 문학의 안과 바깥> | 성문각 |
1986 | <안수길 연구> | 정음사 |
1986 | <우리 소설과의 만남> | 민음사 |
1986 | <이광수와 그의 시대>(전3권) | 한길사 |
1999 | <이광수와 그의 시대>(개정증보, 전3권) | 솔 |
1986 | <한국근대소설사연구> | 을유문화사 |
1986 | <우리 근대소설론집> | 이우출판사 |
1987 | <염상섭 연구> | 서울대출판부 |
1987 | <한국문학의 근대성과 이데올로기 비판> | 서울대출판부 |
1987 | <김동인 연구> | 민음사 |
2000 | <김동인 연구>(개정증보판) | 민음사 |
1987 | <이상 연구> | 문학사상사 |
1988 | <오늘의 문학과 비평> | 문예출판사 |
1988 | <낯선 신을 찾아서> | 일지사 |
1988 | <이상소설 연구> | 문학과비평사 |
1988 | <한국현대문학사론> | 한샘 |
1989 | <80년대 우리 문학의 이해> | 서울대출판부 |
1989 | <80년대 우리 소설의 흐름.1> | 서울대출판부 |
1989 | <80년대 우리 소설의 흐름.2> | 서울대출판부 |
1989 | <한국근대문학과 문인들의 독립운동> | 독립기념관 |
1989 | <박영희 연구> | 열음사 |
1989 | <해방공간의 문학사론> | 서울대출판부 |
1989 | <임화 연구> | 문학사상사 |
1989 | <우리 소설을 위한 변명> | 고려원 |
1990 | <한국현대 현실주의 소설 연구> | 문학과지성사 |
1991 | <김윤식 평론문학선> | 문학사상사 |
1991 | <작가와 내면풍경-김윤식 소설론집> | 동서문학사 |
1992 | <현대소설과의 대화-김윤식 평론집> | 현대소설사 |
1992 | <환각을 찾아서-김윤식 문학기행> | 세계사 |
1992 | <한국현대문학사상사론> | 일지사 |
1992 | <운명과 형식> | 솔 |
1992 | <근대시와 인식-김윤식 평론집> | 시와시학사 |
1992 | (교재용)<한국현대문학사> | 서울대출판부 |
2008 | (수정판)<한국현대문학사> | 서울대출판부 |
1993 | <한국문학의 근대성 비판> | 문예출판사 |
1994 | <90년대 한국소설의 표정> | 서울대출판부 |
1994 | <한국근대문학사상연구2-문협정통파의 사상구조> | 아세아문화사 |
1994 | <설렘과 황홀의 순간-김윤식 예술기행> | 솔 |
1994 | <소설과 현장비평> | 새미 |
1994 | <현대문학과의 대화> | 서울대출판부 |
1995 | <풍경과 계시> | 동아출판사 |
1995 | <김동리와 그의 시대> | 민음사 |
1995 | <김윤식의 소설 읽기-90년대 중반에 빛난 작품들> | 열림원 |
1996 | <북한문학사론> | 새미 |
1996 | <작가와의 대화- 최인훈에서 윤대녕까지> | 문학동네 |
1996 | <김윤식선집1-문학사상사> | 솔 |
1996 | <김윤식선집2-소설사> | 솔 |
1996 | <김윤식선집3-비평사> | 솔 |
1996 | <김윤식선집4-작가론> | 솔 |
1996 | <김윤식선집5-시인.작가론> | 솔 |
1996 | <김윤식선집6-예술기행, 에세이, 연보> | 솔 |
1996 | <글쓰기의 모순에 빠진 작가들에게> | 강 |
1996 | <해방공간 문단의 내면풍경-김동리와 그의 시대2> | 민음사 |
1997 | <김윤식의 현대문학사탐구> | 문학사상사 |
1997 | <동양정신과의 감각적 만남> | 고려대출판부 |
1996 | <사반과의 대화-김동리와 그의 시대3> | 민음사 |
1997 | <천지 가는 길> | 솔 |
1997 | <김윤식의 소설현장비평> | 문학사상사 |
1997 | <발견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사> | 서울대출판부 |
1997 | <바깥에서 본 한국문학의 현장> | 집문당 |
1997 | Understanding Modern Korean Literature | Jipmoondang |
1998 | <이상문학 텍스트연구> | 서울대출판부 |
1999 | <농경사회 상상력과 유랑민의 상상력> | 문학동네 |
1999 | <체험으로서의 한국근대문학연구> | 아세아문화사 |
1999 | <한국근대문학연구방법입문> | 서울대출판부 |
1999 | <청춘의 감각, 조국의 사상> | 솔 |
1999 | <한국현대문학비평사론> | 서울대출판부 |
2000 | <초록빛 거짓말, 우리 소설의 정체> | 문학사상사 |
2001 | <김윤식 문학기행-머나먼 울림, 선연한 헛것> | 문학사상사 |
2001 | <김윤식 서문집> | 사회평론 |
2001 | <한일 근대문학 관련양상 신론> | 서울대출판부 |
2001 | <우리 소설과의 대화> | 문학동네 |
2001 | <한국근대문학사와의 대화> | 새미 |
2002 | <미당의 어법과 김동리의 문법> | 서울대출판부 |
2002 | <평론가 김윤식이 주목한 오늘의 작가 오늘의 작품> | 문학사상사 |
2002 | <아! 고은> | 김영사 |
2003 | <아! 우리 소설 우리 작가들-김윤식의 한국문학 읽기> | 현대문학 |
2003 | <아득한 회생, 선연한 초록-김윤식 학술기행> | 문학동네 |
2003 | <거리재기의 시학-김윤식 시론집> | 시학 |
2003 | <일제말기 한국작가의 일본어 글쓰기론> | 서울대출판부 |
2003 | <샹그리라를 찾아서-김윤식 중국기행> | 강 |
2003 | <김윤식의 비평수첩-김윤식 비평집> | 문학수첩 |
2004 | <내가 읽고 만난 파리-김윤식 파리기행> | 현대문학 |
2004 | <20세기 한국작가론> | 서울대출판부 |
2005 | <비도 눈도 내리지 않는 시나가와역> | 솔 |
2005 | <작은 글쓰기, 큰 글쓰기-김윤식 비평집> | 문학수첩 |
2005 | <내가 살아온 20세기 문학과 사상> | 문학사상사 |
2005 | <김윤식 선집7-문학사와 비평> | 솔 |
2006 | <작가론의 새 영역-김윤식 평론집> | 강 |
2006 | <해방공간 한국작가의 민족문학 글쓰기론> | 서울대출판부 |
2007 | <문학사의 새 영역-김윤식 평론집> | 강 |
2007 | <비평가의 사계-김윤식 산문집> | 랜덤하우스 |
2007 | <일제말기 한국인 학병세대의 체험적 글쓰기론> | 서울대출판부 |
2007 | <현장에서 읽은 우리 소설> | 강 |
2008 | <백철 연구> | 소명 |
2008 | <임화-그들의 문학과 생애> | 한길사 |
2009 | <내가 살아온 한국 현대문학사> | 문학과지성사 |
2009 | <박경리와 토지> | 강 |
2009 | <탄생 백주년 속의 한국문학 지적도> | 서정시학 |
2009 | <최재서의 ‘국민문학’과 사토 기요시 교수> | 역락 |
2009 | <신 앞에서의 곡예-황순원 소설의 창작방법론> | 문학수첩 |
2009 | <우리 시대의 소설가들> | 강 |
2010 | <이병주와 지리산> | 국학자료원 |
2010 | <엉거주춤한 문학의 표정-김윤식 교수의 문학산책> | 솔 |
2010 | <다국적 시대의 우리 소설 읽기> | 문학동네 |
2010 | <기하학을 위해 죽은 이상의 글쓰기론> | 역락 |
2011 | <한국문학, 연꽃의 길> | 서정시학 |
2011 | <혼신의 글쓰기 혼신의 읽기> | 강 |
2011 | <임화와 신남철> | 역락 |
2012 | <한일 학병 세대의 빛과 어둠> | 소명 |
2012 | <전위의 기원과 행로-이인성 소설의 앞과 뒤> | 문학과지성사 |
2012 | <내가 읽고 만난 일본> | 그린비 |
2013 | <내가 읽은 박완서> | 문학동네 |
2013 | <내가 읽은 우리 소설> | 강 |
2012 | <문학사의 라이벌 의식> | 그린비 |
2013 | <6.25의 소설과 소설의 6.25> | 푸른사상 |
2013 | <3대 계간지가 세운 문학의 기틀> | 역락 |
2014 | <내가 읽고 쓴 글의 갈피들> | 푸른사상 |
2014 | <문학을 걷다> | 그린비 |
2015 | <내가 읽은 기행문들> | 서정시학 |
2015 | <이병주 연구> | 국학자료원 |
2015 | <김윤식 평론선집> | 지만지 |
2015 | <아비 어미 그림 음악 바다 그리고 신> | 역락 |
6. 2. 공저
김윤식은 여러 연구자와 함께 다양한 주제의 책을 저술한 기록이 현재 섹션에 존재하지 않아,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6. 3. 번역서
참조
[1]
뉴스
Kim Yunsik, Literary Critic and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ies [문학평론가 김윤식 서울대 교수 별세]
https://www.hani.co.[...]
Hankyoreh
2018-10-26
[2]
뉴스
Kim Yunsik, Renowned Literary Critic and Professor Emeritu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ies. If You Ask Why He Didn’t Stop Writing ‘Monthly Reviews’, [‘문학평론계 거목’ 김윤식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쉼표 없는 ‘월평’ 왜 썼냐고 묻거든]
http://www.updownnew[...]
Updownnews
2018-10-26
[3]
간행물
Bibliographical Notes on Kim Yunsik [김윤식 저서목록 해제]
2015
[4]
간행물
Bibliographical Notes on Kim Yunsik [김윤식 저서목록 해제]
2015
[5]
간행물
Crisis of Criticism, Crisis of Literary History: Kim Yunsik and His Age [위기의 비평, 위기의 문학사]
2019
[6]
서적
The 20th Century Literature and Thoughts I lived in [내가 살아온 20세기 문학과 사상]
[7]
뉴스
"[People Focus]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Kim Yunsik’s Retirement in the Last Month [[인물포커스] 지난달 정년퇴임 서울대 김윤식 교수]"
https://n.news.naver[...]
Dong-a Daily
2001-09-06
[8]
간행물
Crisis of Criticism, Crisis of Literary History: Kim Yunsik and His Age [위기의 비평, 위기의 문학사]
2019
[9]
서적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한국문학사]
Mineumsa [민음사]
1973
[10]
간행물
Koreanology, Korean Literature, Korean History, and the Universality of World History: An Origin of 1970’s Cristicism [국학, 국문학, 국사학과 세계사적 보편성-1970년대 비평의 한 기원]
2012
[11]
간행물
A Study on the Point at Issues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한국 근대문학 연구의 쟁점]
2016
[12]
서적
Yi Gwangsu and His Age I-III [이광수와 그의 시대1-3]
Hangilsa [한길사]
1986
[13]
간행물
Crisis of Criticism, Crisis of Literary History: Kim Yunsik and His Age [위기의 비평, 위기의 문학사]
2019
[14]
뉴스
"[People Focus]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Kim Yunsik’s Retirement in the Last Month [[인물포커스] 지난달 정년퇴임 서울대 김윤식 교수]"
https://n.news.naver[...]
Dong-a Daily
2001-09-06
[15]
서적
Collected Prefaces of Kim Yunsik [김윤식 서문집]
Sapyoung [사회평론]
2017
[16]
서적
Collected Prefaces of Kim Yunsik [김윤식 서문집]
Sapyoung [사회평론]
2017
[17]
뉴스
Professor Kim Miji Wins the 1st Kim Yunsik Scholar Award [제1회 김윤식 학술상에 김미지 교수 선정]
http://www.munhaknew[...]
Munhaknews
2022-10-17
[18]
뉴스
Death of Literary Critic Kim Yunsik…His Pupils’ Condolence Messages Follow [문학평론가 김윤식 교수 별세…이어지는 제자들의 추모 메시지]
https://www.viva100.[...]
Bridgenews
2018-10-26
[19]
뉴스
Why Did Critic Lee Myeongwon Leave Academia? [비평가 이명원씨가 상아탑을 떠난 까닭은?]
http://www.sisajourn[...]
Sisa Journal
2000-11-09
[20]
뉴스
How Cultural Power Is Formed [문화권력, 어떻게 만들어지나]
https://www.khan.co.[...]
The Kyunghyang Shinmun
2007-06-03
[21]
뉴스
"[People Focus]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Kim Yunsik’s Retirement in the Last Month [[인물포커스] 지난달 정년퇴임 서울대 김윤식 교수]"
https://n.news.naver[...]
Dong-a Daily
2001-09-06
[22]
뉴스
문학평론가 김윤식 서울대 교수 별세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8-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