깍두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깍두기는 무를 깍둑썰기하여 소금, 고춧가루, 파, 생강 등으로 간을 하여 발효시킨 한국의 김치 종류이다. 1940년 요리책에 따르면 조선 정조의 딸 숙선옹주가 처음 만들었으며, 왕이 깍둑썰기한 모양을 보고 이름을 지었다고 전해진다. 굴깍두기, 게걸무깍두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설렁탕, 갈비탕 등과 함께 먹는다. 깍두기는 소화를 돕는 효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 요리 - 단무지
단무지는 동아시아에서 즐겨 먹는 무 절임 반찬으로, 일본에서 유래되어 '다쿠앙'이라고도 불리며 한국에서는 짜장면이나 김밥과 함께 먹는 대중적인 반찬으로, 다양한 맛과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 무 요리 - 치킨무
치킨무는 한국식 프라이드 치킨과 함께 제공되는 새콤달콤한 무 절임으로, 치킨의 느끼함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 김치 - 세계김치연구소
세계김치연구소는 김치산업진흥법에 따라 김치 종주국의 위상 회복을 목표로 설립된 광주광역시 소재 연구기관으로, 김치 관련 다양한 연구와 김치 산업 기술 개발 등을 수행하며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속으로 운영된다. - 김치 - 마르코프차
마르코프차는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이 배추김치 대신 당근으로 만든 샐러드 형태의 반찬으로, 구소련 국가에서 널리 소비되며 한국에도 소개되었다.
깍두기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김치 |
주재료 | 무 |
명칭 | |
한국어 (한글) | 깍두기 |
한국어 (한자) | 없음 |
로마자 표기 | kkakdugi |
관련 정보 | |
음식 종류 | 반찬 |
2. 역사
깍두기는 조선 정조 때 숙선옹주가 처음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왕실 잔치에서 깍둑썰기한 무로 만든 새로운 음식을 선보였는데, 정조가 이를 칭찬하고 '깍두기'라는 이름을 붙였다. 당시에는 '각독기(刻毒氣)'라고 불렸으며, 이후 일반 백성들에게도 퍼져나갔다.
2. 1. 기원과 어원
깍두기의 기원은 1940년 홍선표(洪善杓)가 저술한 요리책인 《조선요리학(朝鮮料理學)》에 언급되어 있다.[1] 이 책에 따르면, 깍두기는 조선 정조 (재위 1776–1800)의 딸이자 홍현주(洪顯周)의 부인인 숙선옹주가 만들었다. 홍현주는 영명위(永明慰)라는 칭호를 받은 고위 관료였다. 왕실에 경사가 있을 때 왕족들이 모여 잔치를 벌였는데, 숙선옹주는 깍둑썰기한 무로 만든 새로운 음식을 왕에게 선보였다. 정조는 이를 매우 칭찬하며 음식의 이름을 물었고, 숙선옹주는 실수로 만들었지만 맛이 좋아 왕실에 가져왔기에 이름이 없다고 대답했다. 정조는 음식을 네모 모양으로 썰어 만들었으니, 한국어로 깍둑썰기라고 하는 데서 이름을 따 '깍두기'라고 명명했다. 당시 깍두기는 각(刻, 해치다, 손상시키다) + 독(毒, 건강이나 생명에 해로운 물질) + 기(-氣, 에너지, 기운, 요소)를 합쳐 '각독기(刻毒氣, 거친 기운을 제거한다)'라고 불렸으며, 이후 일반 백성들에게 퍼져나갔다.[1]3. 종류
깍두기는 사용되는 재료와 만드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3] 일반 깍두기 외에도 굴깍두기, 게걸무깍두기, 명태서더리깍두기, 숙깍두기, 무송송이 등이 있다.
3. 1. 일반 깍두기
깍두기에는 여러 가지 주요 종류가 있으며, 모두 재료와 준비 과정이 상당히 유사하다.[3]3. 2. 지역 특산 깍두기
감동젓깍두기는 무를 골패 모양으로 썰어서 자하젓 또는 곤쟁이젓이라고 불리는 새우젓과 배, 낙지, 오이, 파, 잣, 밤, 전복 등과 버무려 칼칼한 맛이 나게 한다. 그 밖에 배추 속대와 미나리, 실파, 표고버섯, 석이 그리고 생굴, 북어, 새우, 해삼 등을 넣기도 한다. 본래 감동젓깍두기는 서울음식으로 귀하게 여겨 선물로 주고 받기도 하였다. 해물이 들어가 쉽게 상하기 때문에 담근 후 1주일 후에는 먹어야 한다.굴깍두기는 통째로 넣은 생 굴로 맛을 낸 깍두기 종류이다. 특히 설날 즈음 겨울에 만든다.[4] 새우젓과 미나리 잎, 그리고 다른 양념들을 사용하여 만든다.[4] 굴을 사용하기 때문에 굴깍두기는 다른 종류의 깍두기에 비해 보존 기간이 비교적 짧다. 주로 제주도와 서울에서 소비된다.
게걸무깍두기는 여주 지역의 특산물인 게걸무로 만든다.[5]
명태서더리깍두기는 명태의 아가미로 만든다. 명태는 물고기를 지칭하고 서더리는 한국어로 물고기의 내장을 의미한다.[6]
숙깍두기는 삶은 무를 깍둑썰기하여 만든다.[7] 따라서 소화가 더 잘 되어 노인에게 좋다고 알려져 있다.
무송송이는 한때 궁중에서 먹던 깍두기의 한 종류로, 사용되는 무가 잘게 썰리기 때문에 부사 송송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3. 3. 해산물 깍두기
감동젓깍두기는 무를 골패 모양으로 썰어서 자하젓 또는 곤쟁이젓이라고 불리는 새우젓과 배, 낙지, 오이, 파, 잣, 밤, 전복 등과 버무려 칼칼한 맛이 나게 한다. 그 밖에 배추 속대와 미나리, 실파, 표고버섯, 석이버섯 그리고 생굴, 북어, 새우, 해삼 등을 넣기도 한다.[3] 본래 감동젓깍두기는 서울음식으로 귀하게 여겨 선물로 주고 받기도 하였다. 해물이 들어가 쉽게 상하기 때문에 담근 후 1주일 후에는 먹어야 한다.굴깍두기는 통째로 넣은 생 굴로 맛을 낸 깍두기 종류이다. 특히 설날 즈음 겨울에 만든다.[4] 새우젓과 미나리 잎, 그리고 다른 양념들을 사용하여 만든다. 굴을 사용하기 때문에 굴깍두기는 다른 종류의 깍두기에 비해 보존 기간이 비교적 짧다. 주로 제주도와 서울에서 소비된다.
명태서더리깍두기는 명태의 아가미로 만든다.[6] 명태는 물고기를 지칭하고 서더리는 한국어로 물고기의 내장을 의미한다.
3. 4. 기타 깍두기
감동젓깍두기는 무를 골패 모양으로 썰어서 자하젓 또는 곤쟁이젓이라고 불리는 새우젓과 배, 낙지, 오이, 파, 잣, 밤, 전복 등과 버무려 칼칼한 맛이 나게 한다. 그 밖에 배추 속대와 미나리, 실파, 표고버섯, 석이 그리고 생굴, 북어, 새우, 해삼 등을 넣기도 한다. 본래 감동젓깍두기는 서울음식으로 귀하게 여겨 선물로 주고 받기도 하였다. 해물이 들어가 쉽게 상하기 때문에 담근 후 1주일 후에는 먹어야 한다.[3]깍두기에는 여러 가지 주요 종류가 있으며, 모두 재료와 준비 과정이 상당히 유사하다.[3]
- 일반 깍두기
- 굴깍두기는 통째로 넣은 생 굴로 맛을 낸 깍두기 종류이다. 특히 설날 즈음 겨울에 만든다. 새우젓과 미나리 잎, 그리고 다른 양념들을 사용하여 만든다.[4] 굴을 사용하기 때문에 굴깍두기는 다른 종류의 깍두기에 비해 보존 기간이 비교적 짧다. 주로 제주도와 서울에서 소비된다.
- 게걸무깍두기는 여주 지역의 특산물인 게걸무로 만든다.[5]
- 명태서더리깍두기는 명태의 아가미로 만든다. 명태는 물고기를 지칭하고 서더리는 한국어로 물고기의 내장을 의미한다.[6]
- 숙깍두기는 삶은 무를 깍둑썰기하여 만든다.[7] 따라서 소화가 더 잘 되어 노인에게 좋다고 알려져 있다.
- 무송송이는 한때 궁중에서 먹던 깍두기의 한 종류로, 사용되는 무가 잘게 썰리기 때문에 부사 송송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4. 만드는 방법
깍두기를 만들려면 우선 무를 깍둑썰기하여 소금, 고춧가루, 파, 생강 등으로 간을 한다.[11] 무와 다른 재료를 잘 섞은 뒤에는 장독이나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서 약 2주 동안 발효시킨다.[11] 깍두기는 차갑게 해서 먹으며, 무가 아삭아삭할 때 먹는다.
4. 1. 재료
깍두기를 담그려면, 먼저 무를 작은 장방형으로 깍둑썰기하고, 소금, 고춧가루, 파, 생강 등으로 간을 한다.[11] [2]
4. 2. 과정
깍두기를 담그려면, 먼저 무를 작은 장방형으로 깍둑썰기하고, 소금, 고춧가루, 파, 생강 등으로 간을 한다.[11] 무와 다른 재료를 서로 섞은 후에, 장독이나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서 약 2주 동안 발효시킨다.[11]깍두기는 차갑게 해서 먹으며, 일반적으로 무가 너무 무르기 전에 아삭아삭할 때 먹는다.
5. 음식 궁합
설렁탕, 갈비탕, 삼계탕과 같은 한국 국 요리는 ''깍두기''와 잘 어울리는 음식으로 여겨진다.[8]
''깍두기''는 찌개의 맛을 조화롭게 하고 특유의 냄새를 없애준다. 또한, 무는 소화를 돕는 효능이 있어, 고기가 들어간 찌개와 함께 먹으면 소화를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6. 효능
깍두기는 김치와 같이 발효 과정으로 인해 여러 건강상의 이점을 가진다. 특히, 깍두기의 주재료인 무는 소화를 돕는 효능이 있어, 찌개에 들어있는 고기 등의 음식과 함께 섭취하면 소화를 돕는 효과를 볼 수 있다.[9]
참조
[1]
뉴스
막 버무린 깍두기에 밥 한그릇 뚝딱
http://www.ohmynews.[...]
OhmyNews
2004-01-12
[2]
웹사이트
Brief information about ''kkakdugi''
http://kimchi.munhwa[...]
Munhwa Ilbo
[3]
웹사이트
Gul kkakdugi(굴깍두기)
http://100.naver.com[...]
Naver/Doosan Encyber
[4]
웹사이트
굴깍두기
http://food.chosun.c[...]
Chosun
2013-03-26
[5]
웹사이트
무 활용 음식
http://culturedic.da[...]
Dictionary of Korean Culture
2013-03-26
[6]
웹사이트
Myeongtae seodeori kkakdugi (명태서더리깍두기)
http://100.naver.com[...]
Naver/Doosan Encyber
[7]
웹사이트
숙깍두기
http://koreanfood.rd[...]
Korean Food RDA
2013-03-26
[8]
서적
Growing Up in a Korean Kitchen: A Cookbook
https://books.google[...]
Ten Speed Press
2008-05-18
[9]
웹사이트
Good match: Seolleongtang and Kkagdugi (궁합: 설렁탕과 깍두기)
http://www.schoolmea[...]
Daegu Schools Nutritionist Association
2008-05-18
[10]
서적
음식잡학사전
북로드
[11]
웹인용
깍두기
http://kimchi.munhwa[...]
문화일보 김치 엑스포 2007
2006-11-2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