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카에 조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카에 조민은 일본의 사상가, 번역가, 정치인으로, 민주주의 사상을 일본에 전파하고 자유민권 운동에 기여했다. 고치현에서 태어나 사무라이 계급인 아시가루가 되었으며, 프랑스어를 배우고 유학하여 루소의 '사회 계약론' 등을 번역했다. 메이지 유신 후 겐로인에서 일하다 사임하고, 도쿄 외국어학교 교장과 겐로인 권소서기관을 거쳐 재야에서 활동했다. 자유민권운동에 참여하여 신문을 창간하고,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었으나 사임 후 홋카이도로 이주하여 사업을 했다. 1901년 후두암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사상은 긍정적으로 평가받지만, 여성 참정권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 제국주의 옹호 등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계몽사상가 - 가토 히로유키
    가토 히로유키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계몽 사상가, 교육자, 정치인으로, 천부인권론을 주창하며 계몽 운동에 앞장섰으나 사회 진화론을 수용하며 국가주의적 성향을 강화했고, 도쿄대학 총장 등을 역임하며 일본 근대 교육 발전에 기여했으며 입헌정우회에 가입하여 정치 활동을 펼쳤다.
  • 일본의 계몽사상가 - 니지마 조
    니지마 조는 일본의 교육자로서, 기독교 정신과 서구식 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도지샤 영학교를 설립하여 일본 근대 교육 발전에 기여한 도지샤 대학의 설립자이다.
  • 일본의 무신론자 - 고토쿠 슈스이
    고토쿠 슈스이는 일본의 사회주의자, 무정부주의자, 언론인, 사상가로서 사회민주당 창당 참여, 러일전쟁 반대 운동 주도, 언론 활동, 무정부주의 전향, 직접행동론 주장 등의 활동을 펼치다 대역사건으로 사형당했으며, 그의 사상은 일본 사회주의, 무정부주의 운동, 문학계, 한국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무신론자 - 오다 노부나가
    오다 노부나가는 일본 전국 시대의 무장으로, 오와리 출신에서 시작하여 일본 통일을 목표로 센고쿠 시대를 지배하며 막강한 세력을 구축했으나 혼노지의 변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사형폐지론자 - 빅토르 위고
    빅토르 위고는 19세기 프랑스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시인으로, 낭만주의 운동을 이끌고 《레 미제라블》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정치에도 참여하여 국민적 시인으로 존경받았다.
  • 사형폐지론자 - 고토쿠 슈스이
    고토쿠 슈스이는 일본의 사회주의자, 무정부주의자, 언론인, 사상가로서 사회민주당 창당 참여, 러일전쟁 반대 운동 주도, 언론 활동, 무정부주의 전향, 직접행동론 주장 등의 활동을 펼치다 대역사건으로 사형당했으며, 그의 사상은 일본 사회주의, 무정부주의 운동, 문학계, 한국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나카에 조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메이지 진부츠 쇼칸의 초상화
이름나카에 조민
원어 이름中江 兆民
본명나카에 도쿠스케
출생일1847년 12월 8일
출생지고치현, 일본
사망일1901년 12월 13일
사망지오사카, 일본
국적일본
직업언론인, 정치인, 사상가
활동 분야자유주의 발전
정치
정당자유당, 입헌자유당
학력
출신 학교대학난코
가족
배우자마쓰자와 지노 (마쓰자와 이요코)
자녀나카에 우시지요시

2. 생애

고치현고치시(당시 도사번)에서 태어나, 아시가루 신분이었다. 서양 학문에 재능을 보여 나가사키시에도에서 프랑스어네덜란드어를 공부했고, 레옹 로셰스의 통역관으로 일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이와쿠라 사절단의 일원으로 1871년부터 1874년까지 프랑스에서 철학, 역사, 프랑스 문학을 공부했다. 장 자크 루소의 "사회 계약론"과 외젠 베롱의 ''예술학''을 일본어로 번역했고, 파리에서 사이온지 긴모치와 교류했다.

귀국 후 겐로인에서 일했으나, 일본 정부의 부패에 환멸을 느껴 사임하고 문학 및 교육 활동에 전념했다. 1874년 프랑스어 학교를 설립했고, 1881년 동양자유신문(東洋自由新聞일본어)을 창간했으나 탄압받았다. 이듬해 자유신문(自由新聞일본어)으로 다시 창간하여 정부를 비판하고 불평등 조약 개정과 국회 설립을 촉구했다. 1887년 보안조례(保安条例일본어)로 도쿄에서 추방되어[25] 오사카시에서 동운신문(東雲新聞일본어)을 창간했다.

1889년 메이지 헌법 공포 후 사면받고, 1890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중의원 오사카부 제4구에 당선되었다.[26][27] 차별 부락으로 본적을 옮기고 신평민임을 선언하며 지지를 얻었다. 입헌자유당 창당에 노력했으나, 토사파의 배신으로 1891년 입헌자유신문 주필을 사직했다.[31]

1891년 홋카이도 오타루로 이주하여 북문신보를 창간하고 주필이 되었다.[32] 김옥균을 소개받기도 했다.[33] 1892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재선된 후 철도 개발을 지지했다. 1893년 삿포로에서 "고치야"를 개업하고,[38] 목재업, 철도회사 설립 등 여러 사업을 시도했으나 대부분 실패했다. 1898년 국민당을 만들어 정계 복귀를 시도했다.

1901년 후두암으로 사망할 때까지 저술 활동을 계속했다. 아오야마 묘지에 묻혔으며, 기인으로 여러 일화가 전해진다.

2. 1. 초년

고치성 아래 야마다초(山田町)에서 태어났다.[23] 1861년 2월 아버지 사망 후 가독을 이어받아 아시가루가 되었다. 1862년 번교인 문무관(文武館)이 열려 호소카와 준지로, 하기와라 산케이에게서 배웠다. 외국어를 공부하던 중 1865년 9월 도사번 파견유학생이 되어 나가사키에서 공부했다. 같은 도사번 출신인 사카모토 료마와 친하게 지냈으며, 료마의 담배 심부름을 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23] 이후 막부 어학소 학두인 히라이 요시주로에게서 프랑스어를 배웠다. 1867년 에도로 옮겨 무라카미 히데토시의 달리당(達理堂)에서 배웠으나 파문당했고, 요코하마의 천주당(天主堂)에서도 공부했다. 효고항이 개항되면서 프랑스 외교단의 통역으로 일했다.

2. 2. 관직 시절

대정봉환으로 에도 막부가 해체되고 메이지 시대가 되면서 초민은 통역일을 그만두고 도쿄로 돌아와 공부를 계속했다. 미츠쿠리 린쇼에게 배우기 시작했고, 1870년에는 대학남교(大学南校)의 득행생(得行生)이 되었다.[23] 1871년 폐번치현이 되어 토사번의 신분제로부터도 자유로워졌고 이와쿠라 사절단의 일원으로 사법성 9등 관료가 되었다. 초민은 사절단에 따라가기 위해 오쿠보 도시미치에게 자신의 채용을 직접 호소했다.[23] 요코하마에서 출발해 미국을 거쳐 프랑스 제3공화국으로 갔다. 파리와 리옹에 머무는 도중 사이온지 긴모치와 교류했다.

1874년 6월 귀국해 도쿄의 고지마치에 살다가 8월에 자신의 학숙인 불란서학사(仏蘭西学舎)를 열었다. 어학과 사상사 외에 한문 실력을 중시하였는데 한문과 일본어 실력이 없으면 프랑스어도 잘 못한다는 생각이 반영되어있다. 또 장자크 루소사회계약론을 발췌 번역한 『민약론(民約論)』을 썼다. 한문, 가나가 섞인 문체였다. 민권론을 가르치기도 했는데 당시 학생 중에는 이후 오쿠마 시게노부를 습격한 기지마 츠네키도 있다.[23]

1875년에는 도쿄외국어학교의 교장이 되었으나 덕으로 가르치는 것[徳育教育]을 중요시하는 초민의 교육방침과 일본 문부성의 관점에 차이가 있어 곧 사직했다. 원로원 부의장으로 일하던 고토 쇼지로가 서기관으로 임명했다.[24] 조사과 번역국 등을 거쳐 1876년 국헌취조국에서 일하면서 이노우에 이와오 등과 헌법 초안[국헌안(国憲案)] 작성을 위한 번역일을 계속했다. 가쓰 가이슈와도 교류하게 되었고 다음해에 혼담이 있었으나 깨졌다. 가쓰 가이슈, 사쓰마 번벌의 가이에다 노부요시, 시마즈 히사미쓰 등과 함께 책론(策論)『책론』을 건의했다. 1877년 사직했고 세이난 전쟁 중에도 불란서학교를 계속 운영했다. 이 시기 미야자키 하치로의 사쓰마 군 참전을 말리기 위해 구마모토로 갔었다는 말도 있다. 1879년 고치현 사족의 딸인 鹿와 결혼했지만 다음해 이혼했다.

2. 3. 재야 시절

원로원 사직 후 나카에 조민은 가숙(家塾) 경영 및 번역업 외에도 사숙(私塾) 제미강에서 고타니 류슈에게 한학을 배웠다. 자유민권운동이 활발해지던 1881년 3월, 사이온지 긴모치 등과 함께 동양자유신문을 창간하고 주필을 맡았으나, 곧 폐간되었다.[5] 1882년에는 불란서학사(仏蘭西学舎)에서 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을 한문으로 번역한 『민약역해(民約譯解)』를 간행했다. 자유당 창당에 관여하여 당에서 발행하는 자유신문의 사설 담당자가 되었다. 1883년에는 일본출판회사를 설립했다. 1885년에는 나가노현 출신의 치노와 결혼했다. 외무대신 이노우에 가오루의 조약 개정 교섭을 둘러싼 대동단결 운동에 참여하여, 1887년에는 나가노에서 연설, 고토 쇼지로의 농상무대신 사임을 요구하는 봉서를 대필하는 등 운동에 관여했기 때문에, 같은 해 공포된 보안조례로 도쿄에서 쫓겨났다.[5] 1888년에는 불란서학사도 문을 닫았다.

1888년 오사카에서 창간된 동운신문의 주필도 맡았다. 조민의 연설에 감명받은 가도 후지사다노리는 연극 공연을 기획했고, 가도는 오사카 신마치좌에서 대일본장사개량연극회를 창설하여, 이른바 장사극의 선구가 되었다. 이때 상연된 연극 중 하나인 『근왕미담 우에노 새벽(勤王美談上野曙)』은 조민이 고토쿠 슈스이에게 의뢰했다고 전해진다.

2. 4. 중의원 의원 시절

1890년 총선에서 나카에 조민은 중의원 일본 제국 의회 오사카부 제4구에서 당선되었다.[26][27] 그는 스스로 본적을 오사카의 차별 부락으로 옮기고, "나는 사회의 최하층, 그 아래층에 있는 종족으로, 인도의 '파리아', 그리스의 '일로트'와 동료인 신평민으로, 옛날에 여러분이 에타라고 부르던 인물이다"라고 연설하여 차별 부락민들의 지지를 얻었다.

나카에 조민은 민당 결성을 위해 노력했고, 1890년 입헌자유당이 결성되자 『입헌자유신문』의 주필을 맡았다. 그러나 자유당 토사파의 배신으로 정부 예산안이 통과된 것에 분노하여 1891년 2월 사직했다.[31] 그는 사직 사유를 알코올 중독이라고 썼지만, 내용은 토사파에 대한 비판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2. 5. 홋카이도 이주와 사망

1891년(메이지 24년) 7월, 홋카이도 오타루시로 이주하여 사업가로 활동했다. 오타루 최초의 신문인 북문신보(『北門新報』)를 창간하고 주필을 맡았다.[12] 북문신보의 사주 가네코 겐사부로는 일본에 망명 중인 김옥균을 조민에게 소개하기도 했다.[12]

그해 12월 중의원 해산으로 총선거가 다시 열리자, 조민은 도쿄로 가 불란서학교 출신인 고야마 히사노스케와 호리우치 겐로의 선거 운동을 지원했다.[13] 두 사람은 모두 낙선했다.[13] 1892년(메이지 25년) 1월에는 모친이 사망했다.[13]

1892년 북문신보는 삿포로까지 진출했지만, 조민은 퇴사하고 고치로 갔다.[14] 1893년(메이지 26년) 삿포로에서 "고치야"를 개업하고,[15] 목재업을 위해 홋카이도 산림조(北海道山林組)를 설립했다.[16] 1894년(메이지 27년)에는 조노 철도(常野鉄道), 게무 철도(毛武鉄道) 등 다수의 철도회사 발기인이 되었고,[17][18] 1897년(메이지 30년)에는 나카노 청결 회사를 설립했다. 1898년(메이지 31년)에는 군마의 유곽 재설치 운동을 하는 등 여러 사업을 진행했지만 대부분 실패했다. 12월에는 국민당을 만들어 정계 복귀를 시도했다.

국민동맹회 회의 참석차 오사카에 갔다가 병을 얻어, 1901년(메이지 34년) 12월 13일, 54세에 후두암으로 사망했다. 전년부터 인후에 이상을 느꼈고, 1901년 4월 후두암 진단을 받고 여명이 1년 반이라는 선고를 받았다. 그의 저서 『일년유반(一年有半)』은 이 여명 선고에서 유래했다.[19] 5월에 절개 수술을 받았으나, 병세는 악화되어 12월 13일 도쿄 자택에서 사망했다.[20] 사망 후 식도암과 양쪽 폐 전이가 확인되었다.[21] 장례는 종교적 색채를 뺀 고별식[2]으로 치러졌으며, 도쿄도 미나토구 아오야마 묘지에 묻혔다.

3. 사상

나카에 조민은 일본 제국 헌법 발포에 기뻐하는 민중의 모습을 보고 "우리에게 주어진 헌법이 과연 어떤 것일까. 옥인가 기와인가, 아직 그 실체를 보지도 않고 먼저 그 이름에 취한다. 국민의 어리석음이 이와 같으니 광적이다. 어찌 이와 같을까"라며 서생 고토쿠 슈스이에게 한탄했다.[22]

4. 저서

나카에 조민은 프랑스 유학 경험을 바탕으로 장 자크 루소의 사상을 일본에 소개하고, 자유 민권 운동에 영향을 준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1882년 루소의 『사회계약론』을 한문으로 번역한 『민약역해』를 출간했고, 1887년에는 『삼취인경륜문답』을 통해 자유 민권 운동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다.[24] 1901년에는 자신의 철학적 사상을 담은 『일년유반』을 저술하였다.

4. 1. 번역서


  • 민약역해 (仏学塾, 1882년) 루소의 『사회 계약론』 (한문 번역)
  • 비개화론 (일본출판회사, 1883년) 루소의 『학문예술론』
  • 위씨미학 (문부성, 1883년 - 1884년) 외젠 베롱(fr)의 ''L'Esthétique'' (''미학#번역어 참조'')
  • 이학연혁사 (문부성, 1886년) 알프레드 푸이에의 ''Histoire de la Philosophie'' (''철학#「이학」 참조'')
  • 이학구현 (集成社, 1886년)
  • 혁명전법랑서이세기사 (集成社, 1886년)
  • 삼취인경륜문답 (集成社, 1887년)
  • 평민의 눈뜸 (문창당, 1887년)
  • 논리학참고서도덕학대원론 (전후편) (일이삼관, 1894년) 쇼펜하우어의 ''Über die Grundlage der Moral'' (오귀스트 뷔르도(fr)의 프랑스어 번역본 중역)
  • 일년유반 (博文館, 1901년)
  • 속일년유반 (博文館, 1901년)
  • 나카에 조민 전집 (전17권・별권) (岩波書店)
  • 정부론에 대한 취생몽담

4. 2. 저서


  • 민약론(民約訳解) (仏学塾, 1882년)
  • 비개화론(非開花論) (일본출판회사, 1883년)
  • 유씨미학(維氏美学) (문부성, 1883년 - 1884년)
  • 이학연혁사(理学沿革史) (문부성, 1886년)
  • 이학구현(理学鉤玄) (集成社, 1886년)
  • 혁명전법랑서이세기사(革命前法朗西二世記事) (집성사, 1886년)
  • 삼취인경륜문답(三酔人経綸問答) (집성사, 1887년)
  • 평민의 눈뜸(平民の目さまし) (문창당, 1887년)
  • 논리학참고서도덕학대원론(論理学参考書道徳学大原論) (전후편) (일이삼관, 1894년)
  • 일년유반(一年有半) (博文館, 1901년)
  • 속일년유반(続一年有半) (박문관, 1901년)
  • 나카에 조민 전집(中江兆民全集) (전17권・별권) (岩波書店)
  • 정부론에 대한 취생몽담

5. 평가

나카에 조민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민권 운동과 민주주의 사상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서양, 특히 프랑스의 정치 사상을 일본에 소개하고 전파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을 번역한 『민약론(民約論)』은 일본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자유민권운동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23] 또한, 언론 활동을 통해 정부의 부패와 전제 정치를 비판하고, 국민 주권과 국회 설치를 주장하며 민주주의 의식을 고취했다.

1890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된 후에는 부라쿠민의 권익 보호를 위해 노력했다. 그는 자신의 본적을 부라쿠민 거주 지역으로 옮기고, "나는 사회 최하층 중에서도 하층의 사람이 되겠다"라고 선언하며 차별 철폐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26]

그러나 나카에 조민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자유당토사 파벌과의 갈등, 잦은 정계 은퇴와 복귀, 사업 실패 등은 그의 정치적 역량과 일관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특히 알코올 중독은 그의 공적인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31]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카에 조민은 일본 근대화 과정에서 서구 민주주의 사상을 소개하고, 민권 운동을 이끈 선구자 중 한 명으로 기억된다. 그의 사상과 활동은 일본 사회뿐만 아니라, 일제강점기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6. 가족 관계

젊은 시절의 나카에 도쿠스케


나카에 가문은 1766년(메이와 3년) 고시 주식을 얻어 신규 족경으로 등용된 이후의 가계로, 조민은 4대손에 해당한다. 장남 우시키치는 1942년(쇼와 17년)에 자식 없이 사망하여 나카에 가문은 단절되었다.[23]

아버지 모토스케는 도사번 아시가루였고, 어머니 야나기는 도사번사 아오키 긴시치의 딸이었다. 남동생으로 토라마가 있었다. 아내 치노는 나가노현 출신으로, 슬하에 1남 1녀를 두었다. 딸 치미는 다케우치 츠나의 3남 토라지(虎治)의 아내이며, 그 딸은 중국 공산당원이었던 스즈에 겐이치의 아내 나미코이다.[1]

7. 기타

나카에 조민은 기인으로 유명했는데, 대낮부터 기생들과 다리 아래를 오가며 놀거나, 연설할 때 목공 차림으로 다리를 벌리고 서는 등 여러 일화가 전해진다. 구리하라 료이치에게 방귀를 뀌는 등의 기행도 있었다.[42] 그의 사망일(1901년 12월 13일) 직후인 12월 30일에 '나카에 조민 기행담'이라는 책이 출간될 정도였다. 이 책은 1902년 1월에 재판을 찍을 만큼 인기가 있었다.[42]

동시대인들은 그의 기행과 기담을 많이 기록했다. 예를 들어, 게이샤와 낮에 놀고 난 후 하반신을 길거리에 드러내거나, 지폐 100장 정도를 뿌리고 게이샤들에게 줍게 한 뒤 "아, 유쾌 유쾌"라고 말하는 파격적인 인물이었다고 한다.[22]

일본 제국 헌법 발포에 기뻐하는 민중을 보고 "우리에게 주어진 헌법이 과연 어떤 것일까. 옥인가 기와인가, 아직 그 실체를 보지도 않고 먼저 그 이름에 취한다. 국민의 어리석음이 이와 같으니 광적이다. 어찌 이와 같을까"라며 고토쿠 슈스이에게 한숨을 쉬었다고 한다.

참조

[1] 서적 A Discourse By Three Drunkards On Government Weatherhill 1984
[2] 간행물 新聞集成明治編年史 第11巻 https://dl.ndl.go.jp[...] 林泉社 1940
[3] 웹사이트 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中江兆民」 https://kotobank.jp/[...]
[4] 간행물 掌中官員録 明治8年7月 https://dl.ndl.go.jp[...] 西村組出版組 1875
[5] 간행물 新聞集成明治編年史 第6巻 https://dl.ndl.go.jp[...] 林泉社 1940
[6] 문서 新民世界 東雲新聞 1889
[7] 간행물 衆議院議員総選挙一覧 https://dl.ndl.go.jp[...] 衆議院事務局 1912-02
[8] 문서 部落の歴史と解放理論
[9] 문서 桑原
[10] 문서 松本
[11] 간행물 官報 第2297号 https://dl.ndl.go.jp[...] 1891-02-28
[12] 문서 飛鳥井 1999
[13] 문서 飛鳥井 1999
[14] 문서 飛鳥井 1999
[15] 문서 飛鳥井 1999
[16] 문서 飛鳥井 1999
[17] 웹사이트 東武鉄道以前の毛武鉄道計画:東上線と上福岡駅2 http://www.city.fuji[...] 2006-10-06
[18] 문서 常野鉄道・毛武鉄道
[19]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s://dl.ndl.go.jp[...] 2023-07-05
[20] 웹사이트 https://www.asahi-ne[...]
[21] 서적 病が語る日本史 講談社 2008
[22] 간행물 二代芸者 : 紅灯情話 https://dl.ndl.go.jp[...] 新栄社 1913
[23] 문서 고치시 하리마야초 산초메(高知市はりまや町三丁目)
[24] 웹인용 수중 관원록 메이지 8년 7월 』 니시무라 구미 출판 조로 1875년 https://web.archive.[...] 2019-06-21
[25] 뉴스 신문 집성 메이지 편년사 제6권 http://dl.ndl.go.jp/[...] 임천사 1940
[26] 문서 신민 세계 새벽 신문 1889
[27] 웹인용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일람 』 중의원 사무국, 1912년 2월 p.6 https://web.archive.[...] 2019-06-21
[28] 문서 부락의 역사와 해방 이론
[29] 문서 쿠와바라
[30] 문서 마츠모토
[31] 웹인용 관보 』 제2297호, 메이지 24년 2월 28일 p.281 https://web.archive.[...] 2019-06-21
[32] 문서 아스카 1999
[33] 문서 아스카 1999
[34] 문서 아스카 1999
[35] 문서 아스카 1999
[36] 서적 아스카
[37] 서적 아스카
[38] 서적 아스카
[39] 서적 아스카
[40] 웹사이트 도부 철도 이전 당시 다케시 철도 계획:조센과 가미 후쿠오카 역 2 http://www.city.fuji[...] 2006-10-06
[41] 문서
[42] 문서 삼취인경륜문답 해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