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예선은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 대륙으로 노예를 수송하는 데 사용된 선박을 의미한다. 17세기 초부터 대서양 노예 무역이 성행하면서 노예선은 수익성 있는 사업이 되었으며, 18세기 후반에 절정에 달했다. 노예들은 비위생적인 환경과 질병, 학대로 인해 쇠사슬에 묶인 채 좁은 공간에 갇혀 수송되었으며, 선원들 또한 열악한 환경에서 낮은 임금을 받으며 일했다. 19세기 초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노예 무역 폐지 운동이 시작되었고, 법적으로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불법 노예 무역은 지속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예선 - 라 아미스타드
라 아미스타드 사건은 1839년 스페인 선박에서 멘데족 노예들이 일으킨 반란으로, 노예 무역 불법성, 노예 권리 옹호, 미국 노예제 폐지 운동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법적 판례를 남겼다. - 상선 - 선박
선박은 수상 운송 수단으로, 인류 역사와 함께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 발전해왔으며, 해상 무역과 탐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지만, 환경 문제 또한 안고 있다. - 상선 - 여객선
여객선은 법령상 여객 정원을 기준으로 정의되는 선박으로 내항/외항으로 나뉘며, 크루즈선, 페리 등 다양한 형태가 있고, 국제 해사기구의 규정 준수와 강화된 안전 기준으로 안전이 확보되며, 종류에 따라 설계와 운항 방식에 차이가 있다. - 노예제 - 헤일로타이
헤일로타이는 고대 스파르타의 라코니아와 메세니아 지역에 거주하며 스파르타 시민에게 예속되어 농업 노동에 종사했던 원주민 집단으로, 생산물 일부를 바치고 억압 속에서 생활하며 반란을 시도하기도 했다. - 노예제 - 1850년 타협
1850년 타협은 미국-멕시코 전쟁 이후 노예제 문제로 갈등이 심화된 북부와 남부의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 헨리 클레이가 주도하여 캘리포니아의 자유주 편입, 도망 노예법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지만, 남북 전쟁을 10년 연기하는 데 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노예선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화물선 |
사용 목적 | 대서양 노예 무역 노예 무역 |
시대 | 16세기 - 19세기 |
주요 항로 | 중간 항로 |
주요 출발지 | 아프리카 |
주요 도착지 | 아메리카 |
설계 및 특징 | |
선실 | 좁고 비위생적인 공간 노예들을 빽빽하게 수용 |
환기 | 환기 부족 질병 확산 용이 |
위생 | 매우 열악한 위생 상태 |
선박 크기 | 다양 (크고 작은 선박 모두 사용) |
수용 인원 | 수백 명에서 수천 명까지 |
역사적 맥락 | |
주요 역할 | 노예를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로 운송 |
선박 종류 | 다양한 종류의 선박 사용 (화물선, 상선 등) |
항해 조건 | 매우 위험하고 힘든 항해 |
사망률 | 높음 (질병, 영양실조, 학대 등) |
관련 주제 | |
관련 주제 | 노예제 대서양 노예 무역 중간 항로 인신매매 노예 해방 운동 |
기타 | |
참고 문헌 | 아미스타드 재단 History Today - 노예제 폐지 및 아프리카 무역 |
2. 대서양 노예 무역
17세기 초부터 아메리카 대륙의 농장 노동력 수요 증가로 노예 매매가 수익성 있는 사업이 되었으며,[3] 대서양 노예 무역은 18세기 후반, 특히 콩고 내전 이후 절정에 달했다.[4]
2. 1. 삼각 무역과 중간 항로
17세기 초, 유럽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한 지 1세기가 넘어서면서,[3] 농장 등에서 일할 무보수 노동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자 노예 매매는 수익성 높은 사업이 되었다. 대서양 노예 무역은 18세기 후반 20년 동안, 특히 콩고 내전 이후 절정에 달했다.[4]선박 소유주들은 최대한의 이익을 얻기 위해[5] 배 내부를 좁은 공간으로 나누어 가능한 한 많은 노예를 실었다. 이러한 선박 내부는 매우 비위생적이었고, 노예들은 탈수, 이질, 괴혈병 등에 시달려야 했다. 이로 인해 항해 중 사망률은 평균 15%에 달했으며,[5] 심한 경우 3분의 1이 목숨을 잃기도 했다. 노예선은 종종 수백 명의 노예를 태웠는데, 이들은 판자로 만든 침대에 빽빽하게 누워 쇠사슬에 묶인 채 운송되었다. 예를 들어, 노예선 '헨리에타 마리'(Henrietta Marieeng)호는 약 200명의 노예를 싣고 긴 중간 항로를 항해했다. 노예들은 배의 화물칸에 갇혀 각자 움직일 공간도 거의 없이 쇠사슬에 묶여 있어야 했다.[6]
노예선의 가장 중요한 항로는 아프리카 북서부 및 서부 해안에서 시작하여 남아메리카와 오늘날 미국 남동부 해안 및 카리브해 지역으로 이어졌다. 이 항로를 통해 최대 2천만 명에 달하는 아프리카인들이 강제로 수송된 것으로 추정된다.[7]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 대륙으로 노예를 실어 나르던 이 끔찍한 뱃길은 삼각 무역의 일부인 중간 항로로 알려져 있다.
3. 노예선의 환경
노예선 선주들은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예들을 배 안의 비좁은 공간에 최대한 많이 실었다. 노예들은 쇠사슬에 묶인 채 열악한 위생 환경과 산소 부족에 시달렸으며, 영양 부족과 학대, 각종 질병으로 인해 항해 중 많은 수가 사망했다.[8][9] 죽거나 죽어가는 노예는 바다에 버려지기도 했다. 올라우다 에퀴아노와 같은 생존자들의 증언은 당시의 참혹한 실상을 전한다.[10][32]
이러한 비인간적인 환경을 개선하려는 움직임도 있었다. 포르투갈에서는 1684년 Tonnage Act|톤수법eng을 통해 선박의 재화중량톤수당 실을 수 있는 노예 수를 제한하려 했고,[8] 영국에서는 1788년 노예 무역법( Slave Trade Act 1788eng ), 일명 Dolben's Act|돌벤 법eng을 제정하여 처음으로 노예선의 환경 규제를 시도했다.[11][33] 이 법은 윌리엄 돌벤 경에 의해 발의되었으며, 선박의 크기에 따라 수송 가능한 노예 수를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유명한 노예선 ''Brooks''의 사례는 이러한 규제의 영향을 보여준다.[1]
노예무역폐지협회가 공개한 노예선 Brooks|브룩스eng호의 선내 평면도는 당시 노예선의 과밀하고 비참한 상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자료로 널리 알려졌다.[30][31] 그러나 이러한 규제들이 실제 노예들의 사망률 감소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역사가들 사이에 이견이 존재한다.[14]
3. 1. 노예

노예선 선주들은 항해의 수익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노예를 배에 실었다. 공간 활용을 위해 노예들을 억지로 밀어 넣고 쇠사슬로 묶었으며, 때로는 특정 기준으로 분류하기도 했다. 이러한 극심한 과밀 상태는 산소 부족을 유발하여 노예들이 사망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포르투갈에서는 1684년 톤수법(Tonnage Act)을 통해 선박의 톤수당 실을 수 있는 노예 수를 제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8]
선상의 노예들은 심각한 영양 부족과 잔혹한 학대에 시달렸고,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 죽거나 죽어가는 노예들은 그대로 바다에 버려졌다. 평균 1~2개월이 걸리는 항해 동안, 노예들은 대부분 알몸 상태로 여러 종류의 쇠사슬에 묶여 비좁은 침대 밑 바닥에 수용되었다. 움직일 공간은 거의 없었으며, 일부 선장은 노예 중에서 감시자를 임명하여 다른 노예들을 통제하기도 했다. 노예들은 오랜 시간 바닥에 고정되어 지내야 했고, 이 때문에 팔꿈치 살갗이 마모되어 뼈가 드러날 정도였다.
이질, 설사, 안구마비, 말라리아, 천연두, 황열병, 괴혈병, 홍역, 장티푸스, 구충, 조충, 수면병, 트리파노소마증, 야우즈, 매독, 나병, 코끼리병, 멜랑콜리아 등 각종 질병이 노예선에 만연하여 수많은 노예의 생명을 앗아갔다.[9] 올라우다 에퀴아노와 같이 노예 생활에서 살아남은 이들의 증언은 당시 노예들이 겪어야 했던 끔찍한 상황을 잘 보여준다.[10] 노예무역폐지협회가 공개한 노예선 브룩스호의 선내 평면도는 이러한 참상을 시각적으로 드러내는 대표적인 예이다. 이 평면도에 따르면, 노예들을 최대한 많이 싣기 위해 선내를 4층으로 나누고 각 층에 2단 침대까지 설치하여 재화중량톤수 1톤당 2.3명의 노예를 태웠음을 알 수 있다.[30] 그러나 이 평면도는 물과 식량 저장 공간 부족, 갑판 해치 부재 등 현실적인 문제점을 간과했다는 비판도 있다.[31]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룩스호 평면도는 노예선의 비인간적인 환경을 고발하는 강력한 상징으로 널리 사용되었다.[31]
1788년, 영국에서는 노예 무역법 1788, 일명 돌벤 법(Dolben's Act)이 제정되어 노예 무역 시작 이후 처음으로 영국 노예선의 선상 환경을 규제하게 되었다. 이 법안은 노예제 폐지를 지지했던 윌리엄 돌벤 경이 영국 의회에 제출한 것이다. 법안은 선박의 재화중량톤수에 따라 수송 가능한 노예 수를 제한했는데, 최대 207톤까지는 톤당 1.67명, 그 이상은 톤당 1명의 노예만 수송하도록 규정했다.[11][33] 예를 들어, 악명 높았던 노예선 ''브룩스''는 이전에 최대 609명의 노예를 실었으나, 이 법에 따라 454명으로 수송 인원이 제한되었다.[1] 올라우다 에퀴아노는 이 법안을 지지했지만, 윌리엄 윌버포스와 같은 일부 노예제 폐지론자들은 이 법이 노예 무역 자체를 근절하는 대신 단순한 규제 대상으로 만들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반대하기도 했다.[12] 노예 수는 등록된 재화중량톤수가 아닌 갑판 면적을 기준으로 추정하는 것이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보고된 수치와의 편차는 6%에 불과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3][34]
돌벤 법 시행 이후 노예선의 과밀 상태가 다소 완화되면서 선상 사망률이 감소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일부 역사가들은 그 실질적인 효과에 대해 여전히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14]
3. 2. 선원과 승무원
18세기와 19세기 초, 노예선 선원들은 매우 낮은 임금을 받았으며, 종종 잔혹한 규율과 가혹한 대우에 시달렸다.[17][37] 항해 중 선원 사망률은 약 2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주된 원인은 질병, 태형과 같은 가혹한 처벌, 그리고 노예들의 반란이었다.[15][16][35][36] 선원들의 생활 환경은 노예들보다는 나았지만 여전히 매우 열악했으며, 이는 높은 사망률의 주요 원인이었다. 선박의 갑판 아래 공간은 노예들을 수용하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에, 선원들은 대서양 항해 내내 비바람에 노출된 갑판 위에서 생활하고 잠을 자야 했다.[17][37]
선원들의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말라리아와 황열병 같은 질병이었다.[16][36] 일부 선장들은 귀항 항해 중 선원 사망률이 높은 것을 오히려 이익으로 여겼는데, 이는 모항에 도착했을 때 지급해야 할 임금을 줄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16][36] 항해에서 살아남은 선원들조차 귀항 후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거나 속임을 당하는 경우가 흔했다.[17][37]
노예 무역의 이러한 비인간적인 측면은 널리 알려져 있었다. 선원들 사이에서 노예선의 악명이 높았기 때문에, 노예선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강제로 동원되었거나 다른 일자리를 찾지 못해 어쩔 수 없이 선택한 경우가 많았다. 특히 감옥에서 복역했던 사람들이 노예선 선원이 되는 경우가 흔했다.[18][38]
영국 노예선의 선원 중에는 흑인들도 포함되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들은 아프리카나 카리브해 지역 출신이거나 영국 태생이었다. 연구자들은 남아있는 기록을 통해 수십 명의 흑인 선원들을 확인했지만, 많은 선장들이 선박의 승선 명부에 선원의 민족을 기록하지 않아 정확한 규모를 파악하기는 어렵다.[19][39] 아프리카 출신 남성(때로는 여성)들은 통역 역할을 하기도 했다.[20][40]
4. 노예 무역의 폐지
대서양 노예 무역은 1807년 미국과 영국에서 법적으로 금지되었다. 같은 해 영국은 노예 무역 금지법을 제정하여 영국 제국 전역에서 노예 무역을 금지했으며, 미국의 노예 수입 금지법은 1808년 1월 1일부터 발효되었다.[21] 이 법들의 시행에 따라 아프리카를 떠나는 모든 미국과 영국 소속 노예선은 해적선으로 간주되어 미국 해군이나 영국 해군에 의해 나포될 수 있었다.[22] 1815년 빈 회의에서는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네덜란드도 노예 무역 폐지에 합의했다.[23]
그러나 노예 무역은 법적인 폐지 조치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근절되지 않았다. 영국 해군은 1807년부터 1860년 사이에 1,600척의 노예선을 나포하고 16만 명의 노예를 해방시키는 등 불법 노예 무역 단속 활동을 지속했다.[24]
노예 무역 폐지 이후, 노예선들은 해군 군함의 추적과 나포를 피하기 위해 더 빠르고 기동성이 뛰어난 형태로 개조되었다. 이 시기에는 볼티모어 클리퍼와 같은 선박 형태가 인기를 끌었다. 일부 노예선은 선체에 동판 피복을 입혀 해조류가 달라붙어 항해 속도를 늦추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속도를 크게 높이기도 했다.[25] 이는 당시로서는 비용이 많이 드는 기술이었으며, 주로 영국 해군 함정에만 적용되던 방식이었다. 이러한 노예선의 빠른 속도는 역설적으로 해적 행위에 적합하게 만들었고, 나포된 후에는 해군에서 활용하기에도 매력적이었다. USS 나이팅게일 (1851)과 HMS 블랙 조크 (1827)가 대표적인 예이다. 특히 HMS ''블랙 조크''는 영국 해군 소속으로 활동하며 많은 노예선을 나포하고 수백 명의 노예를 해방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한편, 아프리카 노예의 후손들은 과거 노예선들이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 대륙으로 노예를 운송하는 과정에서 보험 계약을 체결하며 이익을 얻었다는 이유로 로이드 런던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다.[27]
5. 주요 노예선
역사적으로 알려진 주요 노예선은 다음과 같다.
- 아델레이드 (Adelaide): 프랑스 국적. 1714년 쿠바 근해에서 침몰했다.
- 안테로프 (Antelope): 스페인 국적. ''The Antelope'' 사건으로 알려져 있다.
- 오롤 (Aurore): 프랑스 국적. 듀크 뒤 메인(Duc du Maine)호와 함께 아프리카인 노예를 최초로 루이지애나주로 수송했다.
- 라 아미스타드 (La Amistad): 일반 화물선이었으나 때때로 노예 수송에 이용되었다. 아미스타드호 사건으로 유명하다.
- 브라운피쉬 (Braunfisch): 브란덴부르크에서 제작되었다.
- 브룩스 (Brookes): 1780년대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41] 노예를 빽빽하게 실었던 선실 구조도로 악명이 높다.
- 클로틸다 (Clotilda): 기록상 미국의 마지막 노예선이다. 1859년 노예 밀무역 증거를 인멸하기 위해 앨라배마주 모빌에서 불태워져 자침되었다.
- 코라 (Cora): 1860년 미국 해군 군함 USS 콘스텔레이션에 의해 나포되었다.
- 크레올 (Creole): 크리올 사건으로 알려져 있다.
- 데자이어 (Desire): 미국에서 최초로 제작된 노예선이다.[42]
- 엘리자베스 (Elisabeth): 자메이카와 서아프리카 사이를 항해했다.
- Duc du Maine: 프랑스 국적. 오롤호와 함께 최초로 루이지애나주로 노예를 수송했다.
- Fredensborg: 덴마크 국적. 1768년 노르웨이 트로뫼위섬(Tromøy) 해상에서 침몰했다.
- 게레로 (Guerrero): 스페인 국적. 1827년 플로리다키스에서 561명의 아프리카인과 함께 침몰했다.
- 한니발 (Hannibal): 영국 국적.
- 헨리에타 마리 (Henrietta Marie): 1700년 플로리다 마르케사스키스(Marquesas Keys)에서 침몰했으며, 1980년대에 발굴되었다.
- 호프 (Hope): 미국의 브리그선. 로드아일랜드주로 노예를 수송했다.
- 예수스 오브 뤼벡 (Jesus of Lübeck): 중량 700톤의 대형 선박. 1564년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세가 존 호킨스에게 대여하여, 아프리카인 400명을 태운 존 호킨스의 두 번째 노예 무역 항해에 사용되었다.
- Kron-Printzen: 덴마크 국적. 1706년 820명의 노예와 함께 침몰했다.
- 르 콩코르드 (Le Concord): 후에 해적 검은 수염의 기함 앤 여왕의 복수호로 사용되었다. 1717년 침몰했다.
- Lord Ligonier: 알렉스 헤일리의 소설 『뿌리』에 묘사된 노예선이다.
- 돈 프란시스코 (Don Francisco): 1837년 나포된 후, 식민지 무역선 "제임스 매슈스호"(James Matthews)로 매각되었다. 1974년 서호주 박물관에 의해 발굴되었다.
- Madre de Deus (Mother of God): 존 호킨스에 의해 나포되었으며, 400명의 아프리카인을 수송했다.
- 마누엘라 (Manuela): 써니 사우스(Sunny South)라는 이름으로 건조되었다. 800명 이상의 노예를 싣고 모잠비크 해협에서 영국 해군 군함 HMS 브리스크에 의해 나포되었다.
- 마가렛 스콧 (Margaret Scott): 1862년 압류되어 남북 전쟁 중 폐쇄선으로 사용되어 침몰했다.
- Meermin: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 소속으로 남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등지에서 사용되었다. 1766년 노예 반란(Meermin slave mutiny)으로 파괴되었다.[43]
- 나이팅게일 (Nightingale): 1861년 앙골라 카빈다에서 961명의 노예와 함께 미국 해군 군함 USS 새러토가에 의해 나포되었다.
- Pons: 미국에서 제작되었다. 1845년 12월 1일, 850~900명의 노예와 함께 미국 해군 군함 USS 요크타운에 의해 나포되었다.[44]
- 살라만더 (Salamander): 브란덴부르크에서 사용되었다.
- Sally: 로드아일랜드주 뉴포트를 거점으로 활동했다.
- Tecora: 포르투갈 국적. 아미스타드호 사건과 관련 있다.
- Triton: 1861년 미국 해군 군함 USS 콘스텔레이션에 의해 나포되었다.
- Trouvadore: 1841년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에서 난파되었다. 노예 193명이 생존했으며, 2004년 발굴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45]
- 워렌더 (Wanderer): 미국 국적의 마지막 노예선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 Wildfire: 바크선. 1860년 플로리다 연안에서 노예 450명을 태운 채 미국 해군에 체포되었다.[46]
- Whydah Gally: 원래 노예선이었으나 해적 새뮤얼 벨라미에게 나포되어 해적선으로 사용되다 1717년 침몰했다.
- 좀그 (Zong): 영국 국적. 1781년, 선주가 보험금을 타내기 위해 병들거나 죽은 노예 132명을 바다에 던져버린 좀그호 학살 사건으로 악명이 높다. 이 사건은 노예제 폐지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서적
[2]
웹사이트
Guineaman
http://www.oed.com/v[...]
2017-10-24
[3]
웹사이트
Native Americans Prior to 1492
http://www.historyce[...]
2015-12-03
[4]
서적
Africa and Africans in the Making of the Atlantic World, 1400–18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Creation of the British Atlantic World
[6]
웹사이트
History: The Middle Passages
http://www.melfisher[...]
Mel Fisher Maritime Heritage Society, Inc.
2018-01-16
[7]
논문
Abolition and the Africa Trade
[8]
논문
The Early Portuguese Slave Ship and the Infrastructure of Racial Capitalism
https://read.dukeupr[...]
Duke University Press
2022-12
[9]
논문
The Guinea Surgeons on the Middle Passage: The Provision of Medical Services in the British Slave Trade
https://doi.org/10.2[...]
1981-11-29
[10]
서적
Freedom on My Mind
Bedford/St. Martin's
[11]
논문
Deaths of Slaves in the Middle Passage
[12]
서적
[13]
논문
The Allotment of Space for Slaves aboard Eighteenth-Century British Slave Ships
1985-04
[14]
서적
[15]
서적
Royal Navy Versus the Slave Traders: Enforcing Abolition at Sea 1808–1898
Pen & Sword Books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웹사이트
1807 U.S. Law on Slave Trade
http://amistad.mysti[...]
2006-02-07
[22]
웹사이트
Slave Ships – The Last Slave Ships
http://www.melfisher[...]
Melfisher.org
[23]
웹사이트
Timeline: The Atlantic Slave Trade
https://web.archive.[...]
[24]
논문
The Trouvadore Project: The Search for a Slave Ship and its Cultural Importance
2008-03
[25]
서적
Ships' Fastenings: From Sewn Boat to Steamship
Texas A&M University Press
[26]
웹사이트
Real Pirates: The Untold Story of the Whydah from Slave Ship to Pirate Ship – National Geographic
https://web.archive.[...]
Events.nationalgeographic.com
2012-12-14
[27]
뉴스
Slave descendants to sue Lloyd's
http://news.bbc.co.u[...]
2004-03-29
[28]
논문
Abolition and the Africa Trade
[29]
웹사이트
Exploring Amistad at Mystic Seaport
https://web.archive.[...]
[30]
서적
[31]
논문
A War at the Heart of Man: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of Ships Bound for Africa
http://digitalcommon[...]
2015
[32]
서적
Freedom on My Mind
Bedford/St. Martin's
[33]
논문
Deaths of Slaves in the Middle Passage
[34]
논문
The Allotment of Space for Slaves aboard Eighteenth-Century British Slave Ships
1985-04
[35]
서적
Royal Navy Versus the Slave Traders: Enforcing Abolition at Sea 1808–1898
Pen & Sword Books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웹사이트
Brooks Slave Ship
http://www.mersey-ga[...]
E. Chambre Hardman Archives
2008-02-28
[42]
웹사이트
Encyclopedia
http://www.encyclope[...]
2011-07-03
[43]
웹사이트
The Slave Mutiny on the slaver ship Meermin
http://cape-slavery-[...]
Cape Slavery Heritage
2008-03-26
[44]
저널
Deliverance from this Floating Hell
[45]
웹사이트
Slave Ship Trouvadore Website
http://www.slaveship[...]
Turks & Caicos National Museum and Ships of Discovery
2012-10-01
[46]
뉴스
African slave ship
http://www.sonofthes[...]
Harper's Weekly
1860-06-02
[47]
저널
Abolition and the Africa Tra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