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뇌실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뇌실계는 뇌척수액이 순환하는 뇌 속의 공간으로, 4개의 뇌실과 이를 연결하는 통로로 구성된다. 가쪽뇌실, 셋째뇌실, 넷째뇌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뇌실사이구멍, 중간뇌수도관, 정중공, 가쪽구멍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뇌실계는 뇌척수액을 생성하고 순환시키며, 뇌를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뇌에 영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뇌실계 관련 질환으로는 수두증, 수막염, 뇌실염 등이 있으며, 정신 분열증과 같은 정신 질환과도 연관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뇌실계 - 뇌척수액
    뇌척수액은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뇌의 신진대사 노폐물을 제거하며 뇌 조직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액체로, 맥락총에서 생성되어 뇌실 계통을 따라 순환하고 거미막 과립을 통해 혈관계로 재흡수된다.
  • 뇌실계 - 두개내압
    두개내압은 뇌 조직, 뇌척수액, 혈액의 부피 변화에 따라 변동하는 두개골 내의 압력으로, 정상적인 유지는 뇌 관류압 유지 및 뇌 기능 보존에 필수적이며, 상승 시 다양한 증상과 함께 심각한 뇌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 뇌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뇌 - 뇌하수체
    뇌하수체는 터키안에 위치한 콩알 크기의 기관으로, 전엽, 중엽, 후엽으로 구성되어 인체의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하며, 시상하부의 조절을 받고 기능 이상 시 질병을 유발하고 외배엽과 신경외배엽에서 발생한다.
  • 신경해부학 - 시상
    시상은 감각 정보를 대뇌 피질로 전달하고 수면-각성 조절, 운동 조절, 기억 및 인지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회백질 구조물이다.
  • 신경해부학 - 회색질
    회색질은 수초가 없는 뉴런과 중추신경계의 다른 세포로 구성되며, 뇌, 뇌간, 소뇌 및 척수에 존재하며,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발달하고 알코올 섭취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구조가 영향을 받는다.
뇌실계
개요
뇌실계 해부도
뇌실계 해부도
4개의 뇌실과 연결부를 회전하는 3D 렌더링
4개의 뇌실과 연결부를 회전하는 3D 렌더링
라틴어 명칭ventriculi cerebri
구성 요소측뇌실
제3뇌실
뇌실간공
중뇌수도
제4뇌실
정중구멍
가쪽구멍
중심관
상세 정보
역할뇌척수액을 담고 있음
뇌척수액 흐름 통로 역할
구성뇌실막세포: 뇌실 벽을 구성, 뇌척수액-뇌 장벽 형성
맥락얼기: 뇌척수액 생성
발생신경관의 머리 부분의 내강에서 발생
뇌척수액 흐름 경로가쪽뇌실 → 뇌실사이구멍 (몬로 구멍) → 제3뇌실 → 중뇌수도 (실비우스 수도) → 제4뇌실
제4뇌실에서 대부분의 뇌척수액은 거미막밑공간으로 흘러가고, 소량은 척수 중심관으로 들어감
관련 질병수두증
관련 정보
동맥해당 정보 없음
정맥해당 정보 없음

2. 구조

뇌실계는 뇌 안쪽에 위치한 네 개의 뇌실로 구성되며, 서로 연결되어 뇌척수액이 순환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20][5] 뇌실사이구멍(몬로공)은 가쪽뇌실을 셋째뇌실과 연결한다.

'''뇌실계의 구조'''(위에서 아래 순서): 가쪽뇌실(파란색), 뇌실사이구멍(청록색), 셋째뇌실(노란색), 중간뇌수도관(적색), 넷째뇌실(보라색), 중심관(녹색)


뇌실의 3D 렌더링(가쪽 및 앞쪽 보기)

2. 1. 뇌실

뇌실은 뇌척수액으로 채워진 공간이며, 뇌의 각 부분에 위치하며 서로 연결되어 있다. 뇌실계는 네 개의 뇌실로 구성된다.[20]

  • 가쪽뇌실(측뇌실): 좌우 대뇌반구에 하나씩 총 두 개이다. C자 모양이며 몸통, 앞뿔(이마뿔), 뒤뿔(뒤통수뿔), 아래뿔(관자뿔)로 구성된다. 몸통은 두정엽 내측에, 앞뿔은 전두엽에, 뒤뿔은 후두엽에, 아래뿔은 측두엽에 위치한다. 뇌실사이구멍을 통해 제3뇌실과 연결된다.
  • 제3뇌실(셋째뇌실): 좌우 시상시상하부 사이의 좁은 틈새로, 앞뇌소포에서 유래한다. 뇌실사이구멍을 통해 가쪽뇌실과, 중간뇌수도관을 통해 제4뇌실과 연결된다.
  • 제4뇌실(넷째뇌실): 텐트 모양이며 소뇌 앞, 다리뇌숨뇌 뒤에 위치한다. 위로는 중간뇌수도관, 아래로는 숨뇌의 중심관과 연결된다. 천장의 세 구멍을 통해 거미막밑공간과도 연결된다.


각 뇌실 사이의 연결관
이름출발도착
뇌실사이구멍가쪽뇌실제3뇌실
중간뇌수도관제3뇌실제4뇌실
정중구멍제4뇌실소뇌숨뇌수조를 거쳐 거미막밑공간
양쪽 가쪽구멍제4뇌실큰대뇌정맥을 거쳐 거미막밑공간



맥락얼기는 중간뇌수도관, 가쪽뇌실의 앞뿔과 뒤뿔을 제외한 뇌실의 전 부분에 존재하며, 뇌척수액을 생성한다.[7]

2. 2. 맥락얼기

맥락얼기(맥락총, choroid plexus|코로이드 플렉서스영어)는 중간뇌수도관, 가쪽뇌실의 앞뿔과 뒤뿔을 제외한 뇌실 전체에 존재한다. 맥락얼기는 뇌실막으로 덮인 연막으로 구성되며 혈관이 발달되어 있고 뇌실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맥락얼기의 주요 기능은 뇌척수액 생성이다.[1]

3. 발생

뇌실계는 배아 발생 과정 중 신경관(neural tube영어)의 중심 통로인 신경수관(neural canal영어)에서 기원한다.[21] 초기 신경관은 뇌줄기가 되면서 등쪽과 옆쪽으로 팽창하여 제4뇌실을 형성하고, 팽창하지 않고 중간뇌(midbrain영어)와 같은 크기를 유지하는 제4뇌실 윗부분은 중간뇌수도관이 된다.[21] 제4뇌실은 숨뇌 꼬리쪽의 빗장(obex영어)에서 좁아져 척추의 중심관이 된다.

발생 3주 째에 배아는 세 개의 엽으로 구성된 판 구조를 가지는데, 등쪽 표면을 덮고 있는 세포층을 외배엽이라고 한다. 배아 등쪽 표면 가운데에는 척삭(notochord영어)이 있다. 내배엽이 증식하면 척삭은 발생 중인 배아 가운데로 끌려가서[22] 바로 위에 있는 외배엽이 신경관으로 분화하도록 유도하고 몸의 앞뒤축을 정한다.[23]

뇌가 발달하면서 배아 발생 4주 째가 되면 신경관은 머리가 생길 곳에 여러 군데 부풀어 오른다. 각각의 소포는 각기 다른 중추신경계 구성 요소가 된다. 앞쪽부터 앞뇌(prosencephalon영어), 중간뇌(mesencephalon영어), 뒤뇌(능형뇌, rhombencephalon영어) 이렇게 1차 소포 3개는 다시 5개로 나뉜다. 신경수관 주위로 초기 뇌가 발달하면서 내부 공간은 원시적인 뇌실이 된다.[22]

앞뇌는 끝뇌(telencephalon영어)와 사이뇌(간뇌, diencephalon영어)로 나뉜다. 끝뇌에 있는 뇌실은 가쪽뇌실이 되고, 사이뇌에 있는 것은 제3뇌실이 된다. 중간뇌에 있는 뇌실은 중간뇌수도관(aqueduct of Sylvius영어)이 된다. 뒤뇌는 뒤뇌(후뇌, metencephalon영어)와 숨뇌(연수, myelencephalon영어)로 나뉜다. 뒤뇌에 있는 뇌실은 제4뇌실이 된다.[21]

투명중격은 가쪽뇌실의 앞뿔을 분리하는 얇고 삼각형 모양의 수직 막으로, 뇌량에서 뇌궁까지 뻗어 있다. 태아 발달 3개월 동안 투명중격 동굴(CSP)이 형성되는데, 이는 태아 신경 발달 불량의 지표가 된다. 발달 5개월 동안 닫히기 시작하여 출생 후 약 3~6개월에 완료된다. 중격판의 융합은 해마, 편도체, 중격핵 등의 발달에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변연계 발달이 부족하면 융합이 중단되어 CSP가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다.[10]

4. 기능

척수뇌척수액( cerebrospinal fluid영어, CSF)으로 채워진 뇌실계에 떠 있다. 뇌와 척수는 경막, 거미막, 연질막으로 구성된 뇌막으로 덮여있다. 뇌척수액은 두개골 내의 거미막과 연질막 사이의 거미막밑공간으로 유입되어 완충 작용을 함으로써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뇌를 보호한다. 뇌척수액의 비중은 뇌의 비중보다 약간 낮아 뇌에 부력을 제공하고[25][26] 중력으로부터 뇌를 지탱한다.[24] 뇌척수액의 부력은 뇌의 무게를 약 1/30 정도로 감소시켜 중추신경계 영역에 있는 혈관과 신경에 대한 압력을 낮춘다.[19]

뇌실계에서 생성되는 뇌척수액은 화학적 안정성과 뇌에 필요한 영양소 공급에도 필요하다.

4. 1. 뇌척수액의 생성과 순환

뇌척수액은 주로 뇌실의 맥락얼기에서 생성되어 가쪽뇌실로부터 뇌실사이구멍을 통해 셋째뇌실로 이동한다. 이후 뇌줄기에 있는 중간뇌수도관을 통해 넷째뇌실로 들어간다.[24] 이 과정에서 맥락얼기의 동맥박동이 뇌척수액의 순환을 돕는다. 뇌척수액은 넷째뇌실에서부터 정중구멍과 가쪽오목의 가쪽구멍을 통해 거미막밑공간으로 유입된다. 이어서 소뇌숨뇌수조 및 다리뇌수조를 거쳐 서서히 이동하여 좌우 소뇌천막 사이의 간격을 통해 위로 올라온다. 이후 뇌척수액은 대뇌반구의 옆면을 따라 위로 순환한다. 척수로 간 뇌척수액은 계속해서 아래로 이동하여 말총 주위의 거미막밑공간에 분포한다. 허리천자는 이 부위에서 행한다.[24] 뇌척수액은 경막의 정맥굴, 특히 위시상정맥굴로 돌출된 거미막융모에서 주로 흡수된다.[24] 정맥굴로 들어간 뇌척수액은 목정맥을 거쳐 정맥계에 합류한다.

뇌척수액의 흐름을 보여주는 MRI


거미막융모(arachnoid villi)를 지나 두개골의 정맥굴(venous sinus)로 가는 뇌척수액


뇌 주변의 정맥굴 모습


뇌척수액은 뇌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고 화학적 안정성을 유지한다. 뇌척수액에는 단백질이나 혈액 세포가 거의 없고, 맥락얼기는 뉴런에게 맞는 세포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혈액보다 K+, Ca2+, HCO3-, 포도당 농도를 낮추고 H+ 농도는 높인다. 뇌척수액은 중추신경계의 간질액과 용질을 교환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glymphatic system)[19]

셋째뇌실넷째뇌실 사이에 있는 중간뇌수도관은 지름이 매우 작기 때문에 쉽게 막힐 수 있다.

4. 2. 뇌 보호

뇌와 척수는 경막, 거미막, 연막 세 겹의 보호막인 수막으로 덮여 있다. 두개골과 척수 내의 뇌척수액은 추가적인 보호와 부력을 제공하며, 연막과 거미막 사이의 지주막하 공간에서 발견된다.

뇌척수액은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과 타격으로부터 뇌를 보호하며, 중력에 대한 뇌의 부력과 지지력을 제공한다. 뇌와 뇌척수액은 밀도가 비슷하기 때문에 뇌는 뇌척수액에 떠서 중성 부력을 유지한다. 이것은 뇌가 신경 조직을 파괴할 수 있는 두개골 바닥에 놓이지 않고 크기와 무게가 증가할 수 있도록 한다.[11][12]

5. 질병

뇌실계와 관련된 질병에는 물뇌증(뇌수두증), 수막염(뇌수막염), 뇌실염 등이 있으며, 감염이나 뇌출혈 혹은 거미막밑출혈 같은 외상이나 출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1] 뇌실관 및 구멍의 협착은 뇌출혈이나 뇌졸중 후 혈액에 의해 막힐 수 있다. 뇌척수액은 뇌실 내 맥락총에서 지속적으로 생성되므로 유출이 막히면 가쪽뇌실(측뇌실) 내 압력이 높아져 수두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6. 그림

뇌실을 보여주는 가로단면


뇌실


뇌실과 뇌 표면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림


위에서 본 뇌실 내부 공간

참조

[1] 서적 Fundamental Neuroscience for Basic and Clinical Applications Elsevier
[2] 서적 Pediatric Critical Care Elsevier
[3] 서적 Pediatric Critical Care Elsevier
[4] 서적 Clinical Biochemistry of Domestic Animals Elsevier
[5] 서적 Anatomy & Physiology OpenStax CNX 2023-07-16
[6] 웹사이트 Ventricles of the brain https://www.nlm.nih.[...] nih.gov 2011-12-13
[7] 문서 International school of medicine and applied sciences kisumu library
[8] 서적 Larsen's human embryology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9] 학술지 Evolution of the neocortex: a perspective from developmental biology. 2009-10
[10] 학술지 Neurodevelopmental marker for limbic maldevelopment in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nd psychopathy". BJPsych
[11] 서적 Biological Psychology Worth Publishers
[12] 서적 Anatomy & Physiology. The Unit of Form and Function. McGraw-Hill
[13] 학술지 Genetic influences on human brain structure: A review of brain imaging studies in twins
[14] 학술지 Normal neuroanatomical variation in the human brain: an MRI-volumetric study 2002-08
[15] 학술지 Cavum septum pellucidum and its increased prevalence in schizophrenia: a neuroembryological classification
[16] 학술지 Cavum septum pellucidum in monozygotic twins discordant for combat exposure: relationship to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https://dash.harvard[...]
[17] 학술지 Increased diffusion in the brain of professional boxers: a preclinical sign of traumatic brain injury?
[18] 학술지 Chronic traumatic encephalopathy in athletes: progressive tauopathy after repetitive head injury 2009-07
[19] 서적 인체생리학 라이프사이언스 2011-03-01
[20] 서적 신경과학: 뇌의 탐구 바이오메디북 2009-08-17
[21] 서적 발생생물학 라이프사이언스 2011-03-01
[22] 서적 Larsen's human embryology https://archive.org/[...]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3] 서적 발생생물학 라이프사이언스 2011-03-01
[24] 서적 Clinical Neuroanatomy http://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5] 서적 Biological Psychology Worth Publishers
[26] 서적 Anatomy & Physiology:The Unit of Form and Function https://archive.org/[...] McGraw-Hi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