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화 반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당화 반응은 혈류 내 단순당과 단백질 또는 지질 간의 비효소적 반응으로, 최종 당화 산물(AGE)을 생성한다. 이 반응은 아마도리 반응, 시프 염기 반응, 마이야르 반응 등을 통해 일어나며, 과당이 포도당보다 약 10배 높은 반응 활성을 보인다. 생체 내에서는 DNA 손상을 유발하여 돌연변이, 세포독성을 일으키며, 심혈관계 질환, 알츠하이머병, 당뇨병, 백내장, 동맥경화 등의 만성 질환과 연관된다. 당화된 단백질은 체내에서 배출되며, 적혈구의 당화 헤모글로빈(HbA1c) 측정을 통해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생체 외에서는 음식 조리 시 발생하며, 아크릴아미드와 같은 발암 물질의 전구체를 생성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번역 후 변형 - 단백질 카보닐화
- 번역 후 변형 - 메틸화
메틸화는 메틸기를 분자에 첨가하는 과정으로, 생물학에서 유전자 발현 조절 등 생명현상에 관여하고 유기화학에서 유기 합성에 활용되며, 다양한 생물종에 존재하는 중요한 생리적 과정이다. - 탄수화물 - 단당류
단당류는 (CH₂O)ₓ 화학식을 가지는 더 이상 가수분해되지 않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탄수화물로, 탄소 원자 수에 따라 분류되고 알데히드기 또는 케톤기를 가지며, 수용액 상태에서 고리형 구조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고, 포도당, 리보스, 데옥시리보스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 탄수화물 - 소당류
소당류는 2~10개의 단당류로 구성된 탄수화물로, 당단백질 및 당지질 형성에 중요하며 세포 인식, 혈액형 결정, 세포 부착 등의 생리적 기능과 모유 올리고당과 같은 기능성 물질로 활용된다.
당화 반응 | |
---|---|
개요 | |
정의 | 단백질 또는 지질에 당이 부착되는 반응 |
다른 이름 | 비효소적 당화 |
상세 정보 | |
특징 | 당화는 단백질이나 지질 분자에 당이 결합되는 것을 말하며, 때로는 당화 반응와 혼동되기도 함 |
설명 | 당화는 효소의 작용 없이 진행되는 반응으로, 환원당이 단백질이나 지질의 아미노기와 반응하여 아마도리 생성물을 형성하는 초기 단계를 거침 |
추가 설명 | 아마도리 생성물은 이후에 고급 당화 최종 생성물(AGEs)로 알려진 더 복잡한 화합물로 추가적인 화학 반응을 거침 |
관련 질병 | AGEs의 축적은 노화와 당뇨병 합병증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과 관련이 있음 |
관련 연구 | AGE 수용체(RAGE)는 당뇨병 및 노화의 심혈관 합병증 발병 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2. 생화학
당화 반응은 주로 혈류에서 흡수된 단순당(포도당, 과당, 갈락토스)에 의해 일어난다. 과당은 포도당보다 약 10배 높은 당화 반응 활성을 보인다.[32] 당화 반응은 아마도리 반응, 시프 염기 반응, 마이야르 반응을 통해 일어나며, 최종 당화 산물(AGE)을 형성한다.[27]
생체 내 당화 반응은 주로 혈액 중에 흡수된 포도당, 과당, 갈락토스 등의 단당류를 사용하며, 이 중 과당과 갈락토스는 포도당에 비해 약 10배나 당화 반응에 사용되기 쉽다.[19] 당화 반응의 생성물 중에는 해가 없는 것도 있지만, 반응성이 높고, 노화 현상의 주된 원인으로 안티에이징 관점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20] 당화 반응은 당뇨병, 심장병, 알츠하이머병, 암, 말단 신경 장애, 난청, 실명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21][22] 질병의 종류가 광범위한 이유는 당화 반응이 매우 기초적인 수준에서 분자와 세포의 관계를 저해하고, 과산화 수소 등의 강한 산화제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당화된 물질은 체내에서 천천히 배출되며, 당화 생성물의 반감기는 세포의 평균 수명의 약 2배에 달한다. 적혈구 세포는 체내에서 가장 짧은 수명인 약 120일이며, 당화 생성물의 반감기는 240일이다. 이 때문에, 혈중 당화된 헤모글로빈(HbA1c)의 농도를 관찰함으로써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반대로, 신경 세포 등 수명이 긴 세포, 콜라겐과 같이 수명이 긴 단백질이나 DNA에서는 손상이 장시간 축적된다.[23] 또한 신장의 사구체, 눈의 망막 세포, 랑게르한스 섬의 β 세포 등 대사가 활발한 세포에서도 손상이 축적되기 쉽다. 게다가 혈관의 상피 세포는 당화에 의해 직접 손상되어, 관상 동맥 입구 등 혈류가 많은 곳에 죽상 동맥 경화증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처럼 당화 반응은 다양한 질환의 원인이 되며 건강 유지와 깊은 관련을 맺는 현상이므로, 항당화 케어라는 말도 생겨났다.[20]
2. 1. 반응 경로

당화는 주로 혈류에서 흡수된 단순 당( 포도당, 과당, 갈락토스)에서 발생한다. 과당은 주요 체내 연료인 포도당보다 약 10배의 당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8] 당화는 아마도리 반응, 시프 염기 반응, 마이야르 반응을 통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최종 당화 산물로 이어진다.[1]
3. 생체 내 당화 반응
생체 내 당화 반응은 혈액에서 흡수된 포도당, 과당, 갈락토스와 같은 단당류에 의해 일어난다. 과당과 갈락토스는 포도당보다 약 10배 더 당화 반응을 일으키기 쉽다.[32] 당화 반응은 아마도리 반응, 시프 염기 반응, 마이야르 반응 등 복잡한 반응의 첫 단계이다.
이 반응의 생성물 중 일부는 반응성이 높아 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며, 당뇨병, 심장병, 알츠하이머병, 암, 말초 신경 장애, 난청, 실명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21][22] 당화된 물질은 체내에서 천천히 배출되며, 세포의 평균 수명보다 약 2배 긴 반감기를 가진다.
적혈구는 약 120일의 수명을 가지므로, 당화 헤모글로빈(HbA1c) 농도를 통해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신경 세포, 콜라겐, DNA 등 수명이 긴 세포나 단백질은 당화로 인한 손상이 장시간 축적된다. 신장 사구체, 눈의 망막 세포, 랑게르한스 섬의 β 세포 등 대사가 활발한 세포도 손상되기 쉽다. 혈관 상피 세포는 당화에 의해 직접 손상되어 관상 동맥 입구 등 혈류가 많은 곳에 죽상 동맥 경화증을 유발할 수 있다.
3. 1. DNA 당화
DNA 당화는 당 대사의 부산물로 세포 내에 존재하는 반응성 카보닐(주로 메틸글리옥살과 글리옥살)에 의해 유도되는 DNA 손상을 의미한다.[13] DNA의 당화는 돌연변이, DNA 절단 및 세포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2] DNA 내의 구아닌은 당화에 가장 취약한 염기이다. 당화된 DNA는 손상의 한 형태로, 더 잘 연구된 산화적 DNA 손상만큼 빈번하게 나타난다. DJ-1(또는 PARK7)으로 지정된 단백질은 인간의 당화된 DNA 염기를 복구하는 데 사용되며, 이 단백질의 상동체는 박테리아에서도 확인되었다.[2]4. 생체 외 당화 반응
생체 외에서의 당화 반응은 설탕을 단백질이나 지질과 함께 조리할 때 등에 일어난다. 온도가 120℃ 이상이 되면 급속하게 반응이 진행되지만, 온도가 낮더라도 조리 시간이 길면 반응은 진행된다.
당화된 단백질이나 지질은 30% 정도가 소화되어 체내에 흡수된다. 마이야르 반응처럼 색이 갈색으로 변하는 것이 이 반응이 일어났다는 증거이다. 실제로 프렌치 프라이나 빵의 색을 좋게 하는데 설탕이 사용된다. 또한 조리 중, 당화 반응에 의해 발암 물질의 전구체인 아크릴아미드가 생성된다[15]。최근까지, 당화 반응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해도 될 정도라고 생각되어 왔지만, 최근의 연구로 실제로는 매우 심각하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16]。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당뇨병에 관해서 이루어져 왔지만, 당화 반응은 망막증이나 심장병 등의 발병에도 크게 관여하고 있다.
식품 제조업자는 지난 50년 동안 당화 반응물을 향료나 착색료로 사용해 왔지만, 이로 인해 질병이나 염증이 유발될 가능성은 적지 않다[17]。특히 당화 반응물이 많은 식품은 도넛, 바비큐, 케이크, 진한 색의 소다 등이다[18]。
5. 생물의학적 의미
적혈구는 약 120일의 수명을 가지며, 당화 헤모글로빈 측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bA1c (당화 헤모글로빈의 주요 형태) 측정을 통해 당뇨병 환자의 중기 혈당 조절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부 당화 반응 생성물은 심혈관 질환(내피, 피브리노겐, 콜라겐 손상) 및 알츠하이머병(아밀로이드 단백질은 최종 당화 산물로 진행되는 반응의 부산물)을 비롯한 여러 연령 관련 만성 질환과 관련이 있다.[35][36]
수명이 긴 세포(예: 신경 및 다양한 유형의 뇌세포), 오래 지속되는 단백질(예: 수정체 및 각막의 크리스탈린) 및 DNA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당한 당화를 유지할 수 있다. 당화 반응에 의한 손상은 혈관벽의 콜라겐을 경화시켜 특히 당뇨병에서 고혈압을 유발한다.[37] 당화는 또한 혈관벽의 콜라겐을 약화시켜 미세동맥류 또는 거대동맥류를 유발할 수 있다.[38] 이것이 뇌에서 일어날 경우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다.
6. 수명과의 관계
1971년부터 1980년까지의 일본 데이터를 보면, 당뇨병 환자는 일반인보다 남성은 약 10년, 여성은 약 15년 수명이 단축되었다.[24][25] 높은 혈당은 생체 단백질을 비효소적으로 당화시켜 단백질 기능을 손상시키는데, 이는 콜라겐이나 수정체 단백질 크리스탈린과 같이 수명이 긴 단백질에 큰 영향을 준다. 백내장은 노화에 의해 발생하지만, 고혈당 환경에서는 노화 현상이 더욱 심하게 진행된다.[24] 동맥경화도 유사한 메커니즘으로 진행되며, 당화 반응으로 생성된 프리 라디칼은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킨다.[26]
수명이 긴 세포(예: 신경 및 다양한 유형의 뇌세포), 오래 지속되는 단백질(예: 수정체 및 각막의 크리스탈린) 및 DNA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당한 당화를 겪을 수 있다. 당화 반응에 의한 손상은 혈관벽의 콜라겐을 경화시켜 특히 당뇨병에서 고혈압을 유발한다.[11] 당화는 또한 혈관벽의 콜라겐을 약화시켜[12] 미세동맥류 또는 거대동맥류를 유발할 수 있으며, 뇌에서 일어날 경우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Glycation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13-01-01
[2]
논문
The role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in retinal ageing and disease
[3]
논문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nd their circulating receptors predict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in older community-dwelling women
[4]
논문
Serum carboxymethyl-lysine, an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aortic pulse wave velocity in adults
[5]
논문
Receptor for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RAGE): a formidable force in the pathogenesis of the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of diabetes & aging
[6]
논문
Chemistry of Amadori Rearrangement Products: Analysis, Synthesis, Kinetics, Reactions, and Spectroscopic Properties
[7]
논문
Methylglyoxal, a Potent Inducer of AGEs, Connects between Diabetes and Cancer
[8]
논문
Role of fructose in glycation and cross-linking of proteins
1988-03
[9]
논문
Influence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nd AGE-inhibitors on nucleation-dependent polymerization of β-amyloid peptide
1997-02-27
[10]
논문
Glycoxidative stress creates a vicious cycle of neurodegeneration in Alzheimer's disease--a target for neuroprotective treatment strategies?
[11]
논문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nd vascular structure and function
2006-12
[12]
논문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 cross-linking inhibits biomechanical plasticity and characteristic failure morphology of native tendon
2019-04-02
[13]
논문
Guanine glycation repair by DJ-1/Park7 and its bacterial homologs
2017-07-14
[14]
논문
Failure of common glycation assays to detect glycation by fructose
[15]
논문
Acrylamide from Maillard reaction products
[16]
논문
Advanced glycation in health and disease: role of the modern environment
[17]
논문
Glucose,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nd Diabetes Complications: What Is New and What Works
https://web.archive.[...]
[18]
논문
Orally absorbed reactive glycation products (glycotoxins): an environmental risk factor in diabetic nephropathy
[19]
논문
Role of fructose in glycation and cross-linking of proteins
[20]
웹사이트
抗糖化って知っていますか
http://bihadasabo.jp[...]
コンコード
2014-07-13
[21]
논문
Influence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nd AGE-inhibitors on nucleation-dependent polymerization of β-amyloid peptide
http://www.sciencedi[...]
1997-02-27
[22]
논문
Glycoxidative stress creates a vicious cycle of neurodegeneration in Alzheimer's disease--a target for neuroprotective treatment strategies?
[23]
논문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nd vascular structure and function
[24]
논문
糖尿病合併症の成因と対策
https://doi.org/10.2[...]
[25]
논문
The features of causes of death in Japanese diabetics during the period 1971-1980
[26]
논문
特集 糖尿病と動脈硬化症 動脈硬化症の分子機構
https://doi.org/10.1[...]
[27]
간행물
Glycation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13-01-01
[28]
논문
The role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in retinal ageing and disease
[29]
논문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nd their circulating receptors predict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in older community-dwelling women
[30]
논문
Serum carboxymethyl-lysine, an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aortic pulse wave velocity in adults
[31]
논문
Receptor for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RAGE): a formidable force in the pathogenesis of the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of diabetes & aging
[32]
논문
Role of fructose in glycation and cross-linking of proteins
1988-03
[33]
논문
Chemistry of Amadori Rearrangement Products: Analysis, Synthesis, Kinetics, Reactions, and Spectroscopic Properties
[34]
논문
Methylglyoxal, a Potent Inducer of AGEs, Connects between Diabetes and Cancer
[35]
논문
Influence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nd AGE-inhibitors on nucleation-dependent polymerization of β-amyloid peptide
1997-02-27
[36]
저널
Glycoxidative stress creates a vicious cycle of neurodegeneration in Alzheimer's disease--a target for neuroprotective treatment strategies?
[37]
저널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nd vascular structure and function
2006-12
[38]
저널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 cross-linking inhibits biomechanical plasticity and characteristic failure morphology of native tendon
2019-0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