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오반드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오반드파는 19세기 영국령 인도에서 이슬람 부흥과 반제국주의를 목표로 결성된 이슬람 운동이다. 무굴 제국의 쇠퇴와 영국의 지배에 대한 반발로, 무하마드 카심 나노트비 등 인도 학자들이 영국으로부터의 자금 지원 없이 다르울 울룸 데오반드 신학교를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 인도 독립 운동 시기에는 힌두-무슬림 연합을 주장하며 복합 민족주의를 옹호했으나, 인도 분할 이후에는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 남아시아 각국으로 확산되었다. 현재 남아시아 이슬람의 주류를 이루며, 아프가니스탄,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지에서도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하지만 여성 인권, 종교적 관용, 극단주의와의 연관성 등 여러 논란에 휩싸여 있으며, 탈레반 등 과의 연관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2. 역사

무굴 제국의 쇠퇴와 영국의 인도 진출이라는 역사적 상황 속에서, 1867년 인도 대반란 이후 몰락한 무슬림들은 영국으로부터의 자금 지원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기존의 방식을 혁신한 종교 학교를 설립하여 운영 및 교육을 실시했다. 이것이 데오반드 학원의 시작이다. 이 학원은 혁신적인 종교 학교 운영과 교육 실천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종교 학교로서는 이집트의 알 아즈하르 대학교에 이어 높은 명성을 얻게 되었다. 남아시아뿐만 아니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미얀마에서도 유학생들이 모여들었다.

초기에는 정치 운동과 거리를 두었으나,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범이슬람 운동의 영향으로 마흐무드 하산과 같이 반영 운동을 지도하는 학자들이 나타났다. 1919년에 결성된 인도 울라마 협회(Jamiat Ulema-e-Hind, 인도 울라마 연합)는 데오반드파의 종교 정당이다.

인도·파키스탄 분리 독립을 계기로 인도 지지층은 인도 울라마 협회에 그대로 잔류했고, 파키스탄 지지층은 이슬람 울라마 협회(Jamiat Ulema-e-Islam)로 분열되었다. 분리 독립 이후, 인도의 데오반드 학원에서 배운 학자들이 파키스탄 각지에서 종교 학교를 설립하면서 카이베르 파크툰크와 주의 1947년 설립된 하카니야 학원과 1951년 신드 주 카라치에 설립된 카라치 학원이 유명해졌다.

파키스탄과 인도 간의 지속적인 분쟁으로 인해 파키스탄인이 인도의 데오반드 학원에 유학하는 것이 어려워졌고, 양국 간 데오반드파 학자들의 직접적인 인적 교류는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현재 아프가니스탄을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탈레반 지도층 다수는 하카니야 학원 졸업생이다.

2. 1. 설립 배경

영국의 식민 지배가 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라시드 아흐마드 강고히, 무하마드 야쿠브 나나우타위, 샤 라피 알딘, 사이드 무하마드 아비드, 줄피카르 알리, 파즐루르 라흐만 우스마니, 무하마드 카심 나노트비를 포함한 인도 학자 그룹은 이슬람을 부패시키는 것으로 간주했다.[4] 이들은 다르울 울룸 데오반드라는 이슬람 신학교(''마드라사'')를 설립했고,[3][5][6][7] 여기서 데오반드파의 이슬람 부흥주의와 반제국주의 이념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다르울 울룸 데오반드는 알 아자르 대학교 다음으로 이슬람 교육과 연구의 큰 중심지가 되었다. 인도 독립 운동 시기와 그 이후 식민지 시대 이후의 인도에서, 데오반드파는 무슬림과 힌두교도가 영국 통치에 맞서 단결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하나의 국가로 간주되는 복합 민족주의 개념을 옹호했다.[8]

1919년에 데오반드파 학자들의 대규모 그룹이 자미아트 울레마-에-힌드라는 정당을 결성하여 인도 분할 반대를 했다.[8] 데오반드파 학자인 마울라나 사이드 후세인 아흐마드 마다니는 그의 저서 ''무타히다 카우미야트 아우르 이슬람''을 통해 이러한 사상을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8]

2. 2. 초기 발전과 확장

영국의 식민주의가 인도에 미친 영향에 대해, 라시드 아흐마드 강고히, 무하마드 야쿠브 나나우타위, 샤 라피 알딘, 사이드 무하마드 아비드, 줄피카르 알리, 파즐루르 라흐만 우스마니, 무하마드 카심 나노트비로 구성된 인도 학자 그룹은 이슬람을 부패시키는 것으로 간주했다.[4] 이들은 다르울 울룸 데오반드라는 이슬람 신학교(''마드라사'')를 설립했고,[3][5][6][7] 여기서 데오반드파의 이슬람 부흥주의와 반제국주의 이념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다르울 울룸 데오반드는 알 아자르 대학교 다음으로 이슬람 교육과 연구의 중심지가 되었다. 인도 독립 운동 시기와 그 이후, 데오반드파는 무슬림과 힌두교도가 영국 통치에 맞서 단결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복합 민족주의 개념을 옹호했다.[8]

1919년, 데오반드파 학자들은 자미아트 울레마-에-힌드라는 정당을 결성하여 인도 분할에 반대했다.[8] 마울라나 사이드 후세인 아흐마드 마다니는 저서 ''무타히다 카우미야트 아우르 이슬람''을 통해 이 사상을 전파했다.[8]

자미아트 울레마-에-힌드와 타블리키 자마아트를 통해,[8][10][11] 데오반드파 운동이 확산되기 시작했다.[12][13] 남아프리카, 중국, 말레이시아 등지의 다르울 울룸 데오반드 졸업생들은 전 세계에 수천 개의 ''마다리스''를 열었다.[14]

인도 데오반드 운동은 다르울 울룸 데오반드[3][5][6][7]와 자미아트 우레마-에-힌드[8][10][11]가 관리하고 확산시켰다.

데오반드 이슬람은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을 구분하는 듀랜드 라인 양쪽의 파슈툰족 지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운동이다.[16][3] 아프간과 파키스탄 탈레반 지도자들도 데오반드 신학교에서 공부했다.[18]

2. 3. 인도 독립 운동과 분단

영국의 식민주의에 맞서 라시드 아흐마드 강고히, 무하마드 야쿠브 나나우타위 등 인도 학자 그룹은 다르울 울룸 데오반드라는 이슬람 신학교를 설립했다.[4] 이곳에서 데오반드파의 이슬람 부흥주의와 반제국주의 이념이 발전했다. 데오반드파는 복합 민족주의 개념을 옹호하며, 무슬림과 힌두교도가 단결하여 영국 통치에 맞서야 한다고 주장했다.[8]

1919년 데오반드파 학자들은 자미아트 울레마-에-힌드를 결성하여 인도 분할 반대 운동을 펼쳤다.[8] 마울라나 사이드 후세인 아흐마드 마다니는 저서 ''무타히다 카우미야트 아우르 이슬람''을 통해 이러한 사상을 전파했다.[8] 그러나 일부는 이 입장에 반대하여 무하마드 알리 진나의 무슬림 연맹에 합류했고, 1945년에는 자미아트 울레마-에-이슬람을 결성했다.[9]

자미아트 울레마-에-힌드는 인도에서 주요 데오반드파 조직 중 하나로, 아흐마드 사이드 데흘라비, 사나울라 암리트사리 등 여러 학자들에 의해 영국령 인도에서 창설되었다. 초대 임시 회장은 키파야툴라 데흘라비였다. 자미아트는 복합 민족주의 철학의 신학적 근거를 제시하며, 독립 이후 인도에서 무슬림과 비무슬림이 세속 국가를 수립하기 위한 상호 계약을 체결했다고 주장했다.[78] 인도 헌법은 이 계약을 나타낸다고 보았다.[79]

자미아트 울레마-에-이슬람(JUI)은 1945년 자미아트 울레마-에-힌드에서 분리되어 결성된 데오반드 운동 조직이다.[80] JUI는 분리된 파키스탄을 위한 전인도 무슬림 연맹의 로비에 대항하여 인도 국민 회의를 지지했다. JUI의 초대 회장은 샤비르 아흐마드 우스마니였다.

인도·파키스탄 분리 독립을 계기로 인도 지지층은 자미아트 울레마-에-힌드에 잔류했고, 파키스탄 지지층은 자미아트 울레마-에-이슬람으로 분열되었다.

2. 4. 분단 이후

영국의 식민 통치에 맞서 복합 민족주의를 옹호하며 인도 분할 반대 운동을 펼쳤던 자미아트 울레마-에-힌드는 인도 분할 이후 인도와 파키스탄으로 분리되었다.[8] 인도에 남은 자미아트 울레마-에-힌드는 타블리키 자마아트와 같은 조직과 함께 데오반드 운동을 확산시켰다.[10][11][12][13] 인도 무슬림의 약 15%가 데오반드파에 속하며, 이들은 다르울 울룸 데오반드와 인도 울라마 협회에 의해 관리된다.[3][5][6][7]

파키스탄에서는 무슬림 인구의 약 15~30%가 데오반드파에 속하며, 특히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와 발루치스탄의 파슈툰족과 발루치족 사이에서 널리 퍼져있다.[15] 파키스탄 내 마드라사의 약 65%가 데오반드파에 의해 운영된다.[16] 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까지 사우디아라비아의 자금 지원을 받았으나, 이후 지원은 아흘-이 하디스로 전환되었다.[16] TTP, SSP 등 데오반드파 관련 단체들은 수피 성지 공격 등 과격한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17]

방글라데시에서는 무슬림 인구의 절반 이상이 데오반드파에 속하며, 대부분의 코우미 마드라사가 데오반드 계열이다.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을 가르는 듀랜드 라인 양쪽의 파슈툰족 지역에서는 데오반드 이슬람이 가장 인기 있는 운동이며,[16][3] 탈레반 지도자들도 데오반드 신학교에서 공부했다.[18]

이란에서는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를 중심으로 데오반드 운동이 확산되었으며,[21]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이란 지식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22] 발루치족과의 문화적 관계 등으로 인해 시스탄오발루체스탄에서 중요한 지적 흐름 중 하나가 되었다.

영국에서는 1970년대부터 데오반드파 신학교가 설립되어 이맘과 종교 학자들을 교육하고 있으며,[24] 영국 무슬림의 상당수에게 종교적, 영적 요구를 충족시켜 왔다.[24] 2014년에는 영국 모스크의 45%가 데오반드파에 의해 통제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9]

3. 주요 특징

데오반드 운동은 인도 아대륙아프가니스탄의 식민지 이전 이슬람 학문 전통을 계승하며, 이스마일 데흘라위를 정신적 지도자로 여긴다.[1][30][31][32] 데흘라위는 무함마드 이븐 압드 알-와하브와 동시대 인물로, 메디나에서 같은 스승에게 가르침을 받았다.[33]

데오반드파는 이슬람 신학의 마투리디 학파를 따르며,[45][35][36] 하나피 법학을 따른다.[45][46] 수피즘과 관련하여, 데오반디는 나크슈반디, 치쉬티, 카디리, 수라와르디 등 여러 수피 교단을 포용한다.

칼릴 아흐마드 알-사하란푸리는 그의 저서 ''알-무한나드 알라 알-무판나드''에서 데오반디의 신조를 요약했다.

그러나 데오반디는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탄생일 축하, ''우르스'' 축하, ''아슈라 애도''와 같은 일부 전통적인 수피 관행에는 반대한다.[54]''[55][56][57][58] 또한 무덤 위에 구조물을 짓는 것, 수피 성자들의 성지 순례, 시끄러운 ''디크르, 카왈리, 와즈드'' 그리고 ''사마''와 같은 관행도 "혁신적"이라며 반대한다.[54]''[55][56][57][58]

무하마드 카심 나나타비와 라시드 아흐마드 강고히 등 데오반디 학파 창시자들은 샤 발리울라의 가르침에서 영감을 받았다.[5] 강고히는 수피 셰이크 하지 임다둘라 무하지르 마키에게서 배웠지만, 여러 면에서 그의 견해와 달랐다.[63] 강고히는 시끄러운 ''디크르'', 수피 성자 무덤 방문, ''우르스'' 축하 등 전통적인 수피 관행에 반대했다.[57]

경전 연구와 관련하여 데오반드파는 마드라사에서 ''하디스'' 연구를 중요하게 여기며, 수니파 하디스의 여섯 가지 정경 모음집(''사히 시타'')을 모두 검토하는 ''다우라-에 하디스'' 과정을 운영한다.[51]

3. 1. 신학

데오반디파는 이슬람 신학의 마투리디 학파를 따른다.[45][35][36] 이들은 하나피-마투리디 학자인 나즘 알-딘 '우마르 알-나사피의 신념에 관한 짧은 텍스트인 ''알-'아카이드 알-나사피야''를 가르친다.[37]

할릴 아흐마드 알-사하라푸리는 데오반디파를 쿠프르(불신 또는 신성 모독) 혐의로부터 방어하고 면제하기 위해 ''알-무한나드 '알라 알-무판나드''(반박된 것에 대한 검, ''알-타스디카트 리-다프 알-탈비스아트''(기만 행위 방어를 위한 보증)로도 알려짐)를 저술했다. 이 책은 데오반디파가 일반적으로 믿는 신념을 요약한 것이다.[38]

브래넌 D. 잉그램에 따르면, 데오반디파는 세 가지 신학적 입장에서 바렐비파와 다르다.[39] 라시드 아흐마드 강고히는 신이 거짓말을 할 수 있는 능력(''임칸-이 키즈브'')이 있다고 주장했다.[39][40] 신은 전능하기 때문에 거짓말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39] 강고히는 또한 신이 무함마드 이후에 추가적인 예언자를 만들 수 있는 능력(''임칸-이 나지르'')과 무함마드와 동등한 다른 예언자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을 지지했다.[39][40] 다만, 강고히는 신이 무함마드와 "동등"한 예언자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이 있지만, "결코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명시했다.[39]

3. 2. 법학

데오반디는 하나피 법학을 따르며, 타클리드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68] 타클리드는 권위 있는 이슬람 학자를 따르는 것을 의미하며, 데오반디 학자들은 이슬람 율법을 올바르게 해석하고 적용하기 위해, 특히 이즈티하드를 할 수 있는 충분한 지식과 전문성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타클리드가 필수적이라고 본다. 그러나 이즈티하드는 이슬람 율법 발전에 필요하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다룰 울룸 데오반드는 1892년에 최초로 파트와 부서인 다르울 이프타를 설립했다.[69] 이후 데오반드 마드라사와 인도 이슬람 피크 아카데미 같은 단체들이 설립되어 데오반드 법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69]

라시드 아흐마드 간고히는 데오반드 법학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아쉬라프 알리 탄위와 아지즈 울 라흐만 우스마니는 핵심 인물로 간주된다.[70] 데오반드 법학의 초기 텍스트로는 ''파트와-에-라시디야''가 있으며, ''임다드-울-파트와''와 ''파트와 다르울 울룸 데오반드''도 중요한 텍스트로 여겨진다.

데오반드 법학은 아프가니스탄 사법부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71] 타키 우스마니와 할리드 사이풀라 라흐마니는 현대 데오반드 학파의 저명한 학자이다. Darulifta-Deoband.com 및 Askimam과 같은 디지털 이니셔티브는 데오반드 법학의 디지털화를 보여준다.[72]

2016년 파리드 우딘 마수드가 발표한 ''인류 평화를 위한 파트와''는 데오반드 법학의 중요한 파트와 중 하나이다.[73] 이 파트와는 방글라데시의 10만 명 이상의 이슬람 학자들이 지지했으며, 이슬람 경전과 전통에 근거하여 테러리즘을 하람으로 선언했다.[73]

3. 3. 하디스

데오반드파는 ''타클리드''를 강하게 지지한다.[41][42][43] 즉, 수니 이슬람 율법의 네 학파(마드하브) 중 하나를 따라야 하며, 학파 간 절충주의를 장려하지 않는다.[44] 이들은 스스로 하나피 학파의 추종자라고 주장한다.[45][46]

''타클리드''에 대한 견해와 관련하여, 데오반드파의 주요 반대 개혁 그룹 중 하나는 ''아흘-이 하디스''(Ahl-i-Hadith)이다. 아흘-이 하디스는 직접적인 꾸란과 하디스 사용을 선호하여 ''타클리드''를 회피했기 때문에, 비순응주의자라는 뜻의 ''가이르 무칼리드''(Ghair Muqallid)로 알려져 있다.[48] 아흘-이 하디스는 한 학자 또는 법학 학파의 판례를 따르는 사람들을 맹목적인 모방이라고 비난하며, 종종 모든 논쟁과 법적 판례에 대한 성경적 증거를 요구한다.[49] 데오반드 학자들은 ''마드하브''를 고수하는 것을 옹호하기 위해 많은 학술적 결과물을 생성해 왔다. 특히 데오반드파는 하나피 마드하브가 ''꾸란''과 ''하디스''와 완전히 일치한다는 주장을 옹호하는 많은 문헌을 저술했다.[50]

4. 현대적 의의

데오반드 운동은 남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이슬람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 남아시아 국가들에서는 무슬림 인구의 상당수가 데오반드파에 속하며, 이슬람 교육기관인 마드라사의 상당수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파키스탄에서는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와 발루치스탄 지역의 파슈툰족과 발루치족 사이에서 널리 퍼져있다.

자미아트 울레마-에-힌드와 타블리키 자마아트 같은 조직을 통해 데오반드 운동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중국, 말레이시아 등 세계 각지로 확산되었다. 이들 국가의 다르울 울룸 데오반드 졸업생들은 수천 개의 이슬람 학교를 설립하여 데오반드 사상을 전파했다. 영국에서는 데오반드파가 이슬람 신학교를 설립하고 이맘과 종교 학자들을 교육하며, 영국 내 가장 큰 단일 이슬람 단체로 성장했다.

이란에서도 데오반드 운동은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를 중심으로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지식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 이란에서 데오반드 학교 학생들은 선교 단체를 통해 이 사상을 확장하며, 시스탄오발루체스탄의 주요 지적 흐름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데오반드 운동은 여러 논란과 비판에 직면해 왔다. 특히 탈레반샤리아 율법에 대한 엄격한 해석을 강요하고 여성에 대한 잔혹한 대우로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았다.[96][100][101] 다룰 울룸 데오반드는 바미안 석불 파괴를 포함하여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을 지지했으며,[14] 탈레반 지도자 대다수는 데오반드 근본주의의 영향을 받았다.[98] 파키스탄 탈레반(TTP)과 라슈카르-에-장비(LJ)와 같은 데오반드 관련 단체들은 군사적 성격을 띠며, 극단주의와 연관되어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4. 1. 남아시아 이슬람의 주류

인도의 데오반드 운동은 다르울 울룸 데오반드[3][5][6][7]와 자미아트 울레마-에-힌드[8][10][11]에 의해 관리되고 확산된다. 인도 무슬림의 약 15%(약 1억 7천만 명)가 데오반드파에 속하며,[15] 이들은 주로 데오반드 신학교와 인도 울라마 협회를 통해 국가 자원 접근 및 무슬림 단체 대표권을 가진다.

파키스탄의 무슬림 인구는 약 2억 3천만 명이며, 이 중 약 15~30%(4천만~8천만 명)가 자신을 데오반디로 여긴다.[15]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와 발루치스탄에서 다수를 이루며, 파슈툰족과 발루치족 사이에서 가장 널리 따르는 운동이다.[15] 파키스탄 전체 마드라사의 약 65%가 데오반디에 의해 운영된다.[16] TTP, SSP, Let 등 데오반디 관련 단체들은 군사적 성격을 띠며,[17] 수피 박해와 관련하여 바렐비 운동의 수니파 무슬림에게 신성한 라호르의 다타 다르바르 등을 공격하기도 했다.[17]

방글라데시의 무슬림 인구 약 1억 4천만 명 중 절반 이상이 데오반드파(또는 타블리키 자마아트)에 속해 있다. 대부분의 코우미 마드라사(Quami Madrasah)는 데오반드 계열이다.

듀랜드 라인 주변,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국경에 많이 거주하는 파슈툰족 사이에서 일반적인 교육 시설로 인식되는 것이 데오반드 학파 마드라사이다.[3][16] 탈레반과 파키스탄 이슬람 율법학자 협회의 지도층에도 파슈툰족이 많다.

4. 2. 국제적 확산

자미아트 울레마-에-힌드 및 타블리키 자마아트와 같은 조직을 통해,[8][10][11] 데오반드파 운동이 남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로 확산되기 시작했다.[12][13] 남아프리카, 중국, 말레이시아와 같은 국가의 인도 다르울 울룸 데오반드 졸업생들은 전 세계에 수천 개의 ''마다리스''(이슬람 학교)를 열었다.[14]

1970년대, 데오반드파는 영국 최초의 이슬람 종교 신학교(다룰 울룸)를 열어 이맘과 종교 학자들을 교육했다.[24] 2014년에는 영국 모스크의 45%와 영국 내 이슬람 학자 훈련의 거의 전부가 데오반드파에 의해 통제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는 영국 내 가장 큰 단일 이슬람 단체이다.[29]

이란에서는 시스탄오발루체스탄을 포함한 다양한 지역의 학생들이 데오반드에서 수학하면서 창시자들의 사상이 퍼져나갔다.[21]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이 운동은 일부 이란 지식인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22] 이란에 들어온 후, 데오반드 학교 학생들은 선교 단체를 결성하여 이러한 사상을 계속 확장했으며, 오늘날 시스탄오발루체스탄의 지적 흐름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인도에서는 다룰 울룸 데오반드 다음으로 마자히르 울룸, 사하란푸르가 전 세계 데오반드 운동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이며, 무하마드 카심 나나타비가 설립한 마드라사 샤히, 모라다바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파키스탄에서는 무프티 샤피 우스마니가 설립한 다룰 울룸 카라치, 자미아 비노리아, 자미아 울룸-울-이스라미아가 주요 데오반드 교육 기관이다.

1970년대 유수프 모탈라가 설립한 다룰 울룸 버리는 서양 최초의 데오반드 마드라사였다.[110]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카심 모하메드 세마가 1971년에 설립한 뉴캐슬과[113] 레네시아에 있는 다르 알-울룸 자카리야,[114][115][116] 캠퍼다운의 마드라사 인아미야 등이 있다.[117] 방글라데시에는 알-자미아툴 아흘리아 다룰 울룸 모이눌 이슬람이 최초로 설립된 데오반드 마드라사이다. 이 외에도 캐나다 온타리오의 알-라시드 이슬람 연구소, 미국 뉴욕주 버팔로의 다룰 울룸 알-마다니아, 이란의 자미아 다르 울룸 자헤단 및 다룰 울룸 라히미야 등이 주요 데오반드 교육 기관으로 꼽힌다.

4. 3. 논란과 비판

데오반드 운동은 여러 논란과 비판에 직면해 왔다. 특히 여성 인권, 종교적 관용, 극단주의와의 연관성 등은 주요 쟁점이었다.

탈레반은 '학생들'이라는 뜻으로, 아프가니스탄에서 샤리아 율법에 대한 엄격한 해석을 강요하여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았다.[96] 특히, 여성에 대한 잔혹한 대우는 국제적인 비난을 불러일으켰다.[100][101] 다룰 울룸 데오반드는 바미안 석불 파괴를 포함하여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을 일관되게 지지했으며,[14] 탈레반 지도자들의 대다수는 데오반드 근본주의의 영향을 받았다.[98]

파키스탄 탈레반(TTP)은 파키스탄의 북서부 연방 직할 부족 지역아프가니스탄 국경을 따라 위치한 다양한 이슬람주의 무장 단체의 연합 조직이다. 이들은 파키스탄 정부에 대한 저항, 샤리아 해석 강제 등을 목표로 한다.[102][103][104]

라슈카르-에-장비(LJ)는 파키스탄에서 시파-에-사하바(SSP)의 분파로 활동하는 데오반드파 무장 단체이다.[88] 이들은 민간인 공격에 연루되어 테러 단체로 지정되었다.[90][91][92] 수파에 사하바 파키스탄(SSP) 역시 파키스탄의 금지된 무장 단체로, 이란 혁명 이후 파키스탄에서 시아파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06][107]

5. 관련 단체 및 인물

다르울 울룸 데오반드의 공동 설립자인 무하마드 카심 나노트비와 라시드 아흐마드 강고히는 데오반드 운동의 주요 지도자였다.[4] 마흐무드 하산 데오반디는 "샤이크 알 힌드"로 알려진 인도 독립 운동에 참여한 학자였으며,[119][120] 아슈라프 알리 타나위는 현대 인도의 저명한 수피 학자였다.[121] 후세인 아흐마드 마다니는 복합 민족주의를 주장했고,[123] 샤비르 아흐마드 우스마니는 파키스탄 건국 운동에 참여했다.[125]

이름출생-사망주요 활동 및 업적
무하마드 카심 나노트비다르울 울룸 데오반드 공동 설립[4]
라시드 아흐마드 강고히데오반드 운동 주요 지도자[4]
마흐무드 하산 데오반디1851–1920인도 독립 운동 참여, "샤이크 알 힌드"로 알려짐[119][120]
아슈라프 알리 타나위1863–1943현대 인도 수피 학자[121]
후세인 아흐마드 마다니1879–1957복합 민족주의 주장[123]
샤비르 아흐마드 우스마니1887–1949파키스탄 건국 운동 참여[125]
무함마드 샤피 데오반디1897–1976파키스탄 초대 대법관[126]
무함마드 타키 우스마니현대 파키스탄 학자, 이슬람 금융 전문가
마흐무드 데오반디- 1886다르울 울룸 데오반드 초대 교사[118]
우바이둘라 신디1863–1943인도 독립 운동가, 자미아 밀리아 이슬라미아 종신 회원
안와르 샤 카슈미리1875–1933[122]
무하마드 일리아스 알-칸달라위1884–1944타블리기에 자마아트 창시자[124]
우자르 굴 페샤와리1886–1989인도 독립 운동가, 루르키 마드라사 라흐마니아 전 대표
무하마드 자카리야 알-칸달라위1898–1982[127]
자이 알-아비딘 사자드 미르티1910–1991자미아 밀리아 이슬라미아 이슬람 연구학과 전 대표
압둘 마틴 초우두리1915–1990[128]
파즐룰 카림1935–2006[129]
샤 아흐마드 샤피1916–2020헤파자트-에-이슬람 방글라데시 전 대표, 알-자미아툴 아흘리아 다룰 울룸 모이눌 이슬람 하타자리 학장, 방글라데시 카우미 마드라사 교육 위원회 의장[130]
압두르 라흐만 방글라데시1920–2015이슬람 연구 센터 방글라데시 (다카) 및 데오반드 학원 창립 이사, 이슬람 은행 샤리아 위원회 전 의장[131]
무하마드 압둘 와하브1923–2018타블리기에 자마아트 파키스탄 지부 전 아미르[132]
누르 우딘 고호르푸리1924–2005[133]
칼리드 마흐무드1925–2020영국 맨체스터 이슬람 아카데미 창립자(1974년).[134] 머레이 칼리지 시알코트와 MAO 칼리지 라호르 전 교수, 버밍엄 대학교 비교 종교학 박사(1970년). 50권 이상 저술, 파키스탄 대법원 판사(샤리아 항소부) 역임.[135]
무하마드 유누스 자운푸리1937-2017수석 하디스 학자, 마자히르 울룸 사하란푸르 전 샤이크 알-하디스, 무하마드 자카리야 알-칸달라위 선배 제자
우스만 만수르푸리1944-2021자미아트 울라마-에-힌드 마흐무드 파벌 전국 회장
유수프 모탈라1946–2019영국 다르 알-울룸 버리 창립자, "학자들의 학자". 영국 데오반드 학자 다수가 그의 후원 아래 공부.[136]
누르 호세인 카세미1945–2020헤파자트-에-이슬람 방글라데시 전 사무총장[137]
에브라힘 데사이1963–2021남아프리카 공화국, 아스 키맘 파트와 포털 무프티이자 창립자[117]
타하 카란1969–2021남아프리카 공화국 학자, 법학자
마흐무둘 하산방글라데시, 알-하이아툴 울야 릴-자미아틸 카우미아 방글라데시 및 베파쿨 마다리실 아라비아 방글라데시 회장, 자미아 이슬라미야 다르울 울룸 마다니야 총장, 마즐리스-에-다와툴 하크 방글라데시 아미르
세예드 레자울 카림알-하이아툴 울야 릴-자미아틸 카우미아 방글라데시 및 베파쿨 마다리실 아라비아 방글라데시 부회장, 아미르 이슬라미 안돌란 방글라데시 대통령, 방글라데시 무자히드 위원회 및 방글라데시 꾸란 교육 위원회 회장
A F M 칼리드 호사인방글라데시 이슬람 학자
압둘 할림 부카리방글라데시, 알 자미아 알 이슬라미아 파티야 총장
주나이드 바부나가리방글라데시 이슬람 학자, 알-자미아툴 아흘리아 다룰 울룸 모이눌 이슬람 하타자리 부국장, 헤파자트-에-이슬람 방글라데시 사무총장 역임
세예드 파이줄 카림이슬라미 안돌란 방글라데시 수석 부회장, 방글라데시 무자히드 위원회와 방글라데시 꾸란 교육 위원회 부회장, 베파쿨 마다리실 아라비아 방글라데시 중앙 위원
마무눌 하크방글라데시 켈라파트 마즐리스 사무총장, 방글라데시 켈라파트 마즐리스 방글라데시 켈라파트 청소년 마즐리스 회장
무히부울라 바부나가리1935년 출생헤파자트-에-이슬람 방글라데시 수석 고문
무하마드 라피 우스마니파키스탄, 다룰 울룸 카라치 전 회장, 수석 강사
마울라나 파즐루르 레만파키스탄, 자미아트 울레마-에-이슬람 (F) 회장
누룰 이슬람 지하다1948년 출생헤파자트-에-이슬람 방글라데시 사무총장
알라마 누룰 이슬람 올리푸리방글라데시 출신 무파시르
타리크 자밀파키스탄, 타블리히 자마아트 학자, 설교자
이스마일 이븐 무사 멘크짐바브웨 학자
압두르 라흐만 이븐 유수프 멩게라무프티, 화이트레드 연구소 및 잠잠 아카데미 설립자
무하마드 수피얀 카스미다룰 울룸 와크프, 데오반드 현재 학장
라흐마툴라 미르 카스미다룰 울룸 라히미야 설립자, 학장
마흐푸줄 하크베파쿨 마다리실 아라비아 방글라데시 사무총장
무하마드 이븐 아담 알-카우타리다룰 이프타 레스터 설립자, 수석-무프티
압돌하미드 이스마엘자히"이란 수니 무슬림 인구 영적 지도자"로 여겨지는 이란 수니 학자
야시르 나딤 알 와지디시카고 거주 인도 학자, 다룰 울룸 온라인 설립자
줄피카르 아흐마드 나크쉬반디파키스탄 이슬람 학자, 수피 셰이크
다니엘 하키카트주미국 무슬림 작가, 논객, 웹사이트 무슬림 회의론자(Muslim Skeptic) 설립자


5. 1. 주요 단체

자미아트 울레마-에-힌드는 1919년 아흐마드 사이드 데흘라비, 사나울라 암리트사리 등 여러 학자들에 의해 영국령 인도에서 창설된 인도의 주요 데오반드파 조직 중 하나이다.[78] 초대 임시 회장으로는 키파야툴라 데흘라비가 선출되었다. 이들은 복합 민족주의에 대한 신학적 근거를 제시했는데, 독립 이후 인도에서 무슬림과 비무슬림이 세속 국가를 수립하기 위한 상호 계약을 체결했으며, 인도 헌법이 이를 나타낸다고 주장했다.[79]

자미아트 울레마-에-이슬람(JUI)은 1945년 자미아트 울레마-에-힌드에서 분리되어 결성된 데오반디 조직이다.[80] 당시 자미아트 울레마-에-힌드는 인도 분할에 반대하며 인도 국민 회의를 지지했고, 이에 반대하는 일부 그룹이 전인도 무슬림 연맹에 합류하여 JUI를 결성했다. JUI의 초대 회장은 샤비르 아흐마드 우스마니였다.

마즐리스-에-아흐라르-에-이슬람(아흐라르)은 1929년 12월 29일 라호르에서 창당된 보수적인 데오반드 정치 정당이다.[81] 초드리 아프잘 하크, 사예드 아타 울라 샤 부카리 등이 창립자였다.[81] 이들은 칼리파 운동에 환멸을 느낀 인도 무슬림들로 구성되었으며, 인도 국민 회의에 가까웠다.[84] 무하마드 알리 진나와 파키스탄 건국에 반대하고, 아흐마디야 운동을 비판했다.[85] 1947년 파키스탄 독립 이후, 아흐라르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두 부분으로 나뉘었다.

타블리크 자마아트는 데오반드 운동에서 시작된 비정치적 데오반디 선교 단체이다.[86] 힌두 개혁 운동에 대한 대응으로 시작되어, 현재는 200개 이상의 국가에 추종자를 둔 초국가적 운동으로 성장했다. 데오반디 운동에서 비롯되었지만, 현재는 독립적인 정체성을 확립하고 데오반드 율레마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87]

  • 자미아트 울레마-에-힌드
  • 자미아툴 울라마 남아프리카
  • 자미아트 울레마-에-브리튼
  • 자미야툴 울라마 캐나다
  • 자미아트-울-울라마 모리셔스
  • 마즐리술 울라마 짐바브웨
  • 자미아트 울레마-에-이슬람
  • 자미아트 울레마-에-이슬람 방글라데시
  • 자미아트 울라마-네팔
  • 마즐리스-에-아흐라르-울-이슬람
  • 시파-에-사하바 파키스탄
  • 이슬라미 안돌란 방글라데시
  • 헤파자트-에-이슬람 방글라데시
  • 무슬림 연합당
  • 올 세일론 자미야툴 울라마


라슈카르-에-장비(LJ)는 1996년 파키스탄에서 시파-에-사하바(SSP)의 분파로 결성된 데오반드파 무장 단체였다.[88] 리야즈 바스라가 지도부와의 의견 차이로 SSP에서 탈퇴하여 결성했다.[89] 파키스탄과 미국에 의해 테러 단체로 지정되었으며,[90] 민간인 공격에 연루되었다.[91][92]

탈레반은 '학생들'이라는 뜻으로, 아프가니스탄의 이슬람 근본주의 정치 및 군사 운동이다.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에미리트라는 정부를 수립하고 샤리아 율법에 대한 엄격한 해석을 강요했다.[96] 다룰 울룸 데오반드는 바미안 석불 파괴를 포함하여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을 일관되게 지지했으며,[14] 탈레반 지도자 대다수는 데오반드 근본주의의 영향을 받았다.[98]

파키스탄 탈레반(TTP)은 파키스탄 북서부 연방 직할 부족 지역아프가니스탄 국경을 따라 위치한 다양한 이슬람주의 무장 단체의 연합 조직이다. 2007년 12월, 약 13개의 단체가 바이트울라 메수드의 지도 아래 테흐리크-이-탈레반 파키스탄을 결성했다.[102][103] TTP는 물라 오마르가 이끄는 아프간 탈레반 운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104][105]

수파에 사하바 파키스탄(SSP)은 파키스탄의 금지된 무장 단체이자 과거 파키스탄의 등록 정당이었다. 1980년대 초 하크 나와즈 장그비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이란 혁명 이후 파키스탄에서 시아파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06][107] 2002년 페르베즈 무샤라프 대통령에 의해 테러 단체로 지정되었다.[106][107]

5. 2. 주요 인물

이름출생-사망주요 활동 및 업적
무하마드 카심 나노트비다르울 울룸 데오반드의 공동 설립자[4]
라시드 아흐마드 강고히데오반드 운동의 주요 지도자[4]
마흐무드 하산 데오반디1851–1920인도 독립 운동에 참여한 학자, "샤이크 알 힌드"로 널리 알려짐[119][120]
아슈라프 알리 타나위1863–1943현대 인도의 저명한 수피 학자[121]
후세인 아흐마드 마다니1879–1957복합 민족주의를 주장한 학자[123]
샤비르 아흐마드 우스마니1887–1949파키스탄 건국 운동에 참여한 학자[125]
무함마드 샤피 데오반디1897–1976파키스탄의 초대 대법관[126]
무함마드 타키 우스마니현대 파키스탄의 저명한 학자, 이슬람 금융 전문가
마흐무드 데오반디- 1886다르울 울룸 데오반드의 초대 교사[118]
우바이둘라 신디1863–1943인도 독립 운동가이자 자미아 밀리아 이슬라미아의 종신 회원
안와르 샤 카슈미리1875–1933[122]
무하마드 일리아스 알-칸달라위1884–1944타블리기에 자마아트의 창시자[124]
우자르 굴 페샤와리1886–1989인도 독립 운동가이자 루르키에 있는 마드라사 라흐마니아의 전 대표
무하마드 자카리야 알-칸달라위1898–1982[127]
자이 알-아비딘 사자드 미르티1910–1991자미아 밀리아 이슬라미아의 이슬람 연구학과 전 대표
압둘 마틴 초우두리1915–1990[128]
파즐룰 카림1935–2006[129]
샤 아흐마드 샤피1916–2020헤파자트-에-이슬람 방글라데시의 전 대표, 알-자미아툴 아흘리아 다룰 울룸 모이눌 이슬람 하타자리의 학장, 방글라데시 카우미 마드라사 교육 위원회의 의장[130]
압두르 라흐만 방글라데시1920–2015이슬람 연구 센터 방글라데시, 다카 및 많은 데오반드 학원의 창립 이사, 많은 이슬람 은행의 샤리아 위원회 전 의장[131]
무하마드 압둘 와하브1923–2018타블리기에 자마아트 파키스탄 지부의 전 아미르[132]
누르 우딘 고호르푸리1924–2005[133]
칼리드 마흐무드1925–2020영국 맨체스터 이슬람 아카데미의 창립자이자 이사(1974년 설립).[134] 머레이 칼리지 시알코트와 MAO 칼리지 라호르의 전 교수, 1970년 버밍엄 대학교에서 비교 종교학 박사 학위 취득. 50권이 넘는 저술, 파키스탄 대법원 판사(샤리아 항소부) 역임.[135]
무하마드 유누스 자운푸리1937-2017수석 하디스 학자이자 마자히르 울룸 사하란푸르의 전 샤이크 알-하디스, 무하마드 자카리야 알-칸달라위의 선배 제자이자 제자
우스만 만수르푸리1944-2021자미아트 울라마-에-힌드의 마흐무드 파벌의 첫 번째 전국 회장
유수프 모탈라1946–2019영국, 서부에서 가장 오래된 데오반드 마드라사 중 하나인 다르 알-울룸 버리의 창립자이자 수석 강사, "그는 학자들의 학자입니다. 영국 젊은 데오반드 학자들 중 많은 이들이 그의 후원 아래 공부했습니다."[136]
누르 호세인 카세미1945–2020헤파자트-에-이슬람 방글라데시의 전 사무총장[137]
에브라힘 데사이1963–2021남아프리카 공화국, 아스 키맘 파트와 포털의 무프티이자 창립자[117]
타하 카란1969–2021남아프리카 공화국 학자이자 법학자
마흐무둘 하산방글라데시, 알-하이아툴 울야 릴-자미아틸 카우미아 방글라데시 및 베파쿨 마다리실 아라비아 방글라데시의 회장, 자미아 이슬라미야 다르울 울룸 마다니야의 총장, 마즐리스-에-다와툴 하크 방글라데시의 아미르
세예드 레자울 카림알-하이아툴 울야 릴-자미아틸 카우미아 방글라데시 및 베파쿨 마다리실 아라비아 방글라데시의 부회장, 아미르 이슬라미 안돌란 방글라데시의 대통령, 방글라데시 무자히드 위원회 및 방글라데시 꾸란 교육 위원회의 회장
A F M 칼리드 호사인방글라데시 이슬람 학자
압둘 할림 부카리방글라데시, 알 자미아 알 이슬라미아 파티야의 총장
주나이드 바부나가리방글라데시 이슬람 학자, 알-자미아툴 아흘리아 다룰 울룸 모이눌 이슬람 하타자리의 부국장, 헤파자트-에-이슬람 방글라데시의 사무총장 역임
세예드 파이줄 카림이슬라미 안돌란 방글라데시의 수석 부회장, 방글라데시 무자히드 위원회와 방글라데시 꾸란 교육 위원회의 부회장, 베파쿨 마다리실 아라비아 방글라데시의 중앙 위원
마무눌 하크방글라데시 켈라파트 마즐리스의 사무총장 겸 방글라데시 켈라파트 마즐리스 방글라데시 켈라파트 청소년 마즐리스의 회장
무히부울라 바부나가리1935년 출생헤파자트-에-이슬람 방글라데시의 수석 고문
무하마드 라피 우스마니파키스탄, 다룰 울룸 카라치의 전 회장 및 수석 강사
마울라나 파즐루르 레만파키스탄, 자미아트 울레마-에-이슬람 (F)의 회장
누룰 이슬람 지하다1948년 출생헤파자트-에-이슬람 방글라데시의 사무총장
알라마 누룰 이슬람 올리푸리방글라데시 출신 무파시르
타리크 자밀파키스탄, 타블리히 자마아트의 저명한 학자이자 설교자
이스마일 이븐 무사 멘크짐바브웨 학자
압두르 라흐만 이븐 유수프 멩게라무프티이자 화이트레드 연구소 및 잠잠 아카데미의 설립자
무하마드 수피얀 카스미다룰 울룸 와크프, 데오반드의 현재 학장
라흐마툴라 미르 카스미다룰 울룸 라히미야의 설립자이자 학장
마흐푸줄 하크베파쿨 마다리실 아라비아 방글라데시의 사무총장
무하마드 이븐 아담 알-카우타리다룰 이프타 레스터의 설립자 겸 수석-무프티
압돌하미드 이스마엘자히"이란의 수니 무슬림 인구를 위한 영적 지도자"로 여겨지는 이란 수니 학자
야시르 나딤 알 와지디시카고에 거주하는 인도 학자이자 다룰 울룸 온라인의 설립자
줄피카르 아흐마드 나크쉬반디파키스탄 이슬람 학자이자 수피 셰이크
다니엘 하키카트주미국 무슬림 작가, 논객이자 웹사이트 무슬림 회의론자(Muslim Skeptic)의 설립자


6. 관련 자료


  • 영국령 인도에서의 이슬람 부흥
  • 아래로부터의 부흥
  • 데오반드 학파와 파키스탄 요구
  • ''무슬림 세계''지에 실린 "데오반드 마드라사에 관한 특별호"[150]

참조

[1] 웹사이트 Shah Ismail Dehlawi, a Grandson of Shah Waliullah Dehlawi, Represented a Fusion of Sufism with Salafism https://www.newageis[...] 2020-02-03
[2] 웹사이트 Maslak of Ulama-e-Deoband – Darul Uloom Deoband – India https://darululoom-d[...]
[3] 논문 The Past and Future of Deobandi Islam https://ctc.usma.edu[...] Combating Terrorism Center 2020-08-25
[4] 웹사이트 The Six Great Ones http://www.darululoo[...] Darul Uloom Deoband
[5] 서적 Faith-Based Violence and Deobandi Militancy in Pakistan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6] 서적 A History of Islamic Societies
[7] 서적 Urban Terrorism: Myths and Realities https://books.google[...] Shashi Jain for Pointer Publishers
[8] 웹사이트 Islamic identity in secular India http://www.milligaze[...] 2011-04-09
[9] 서적 A History of Pakistan and Its Origins
[10] 논문 The Tablighi Jama'at: Proselytizing Missionaries or Trojan Horse? Routledge 2013
[11] 웹사이트 Tablighi Jamaʿat—Oxford Islamic Studies Online https://www.oxfordbi[...]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2-22
[12] 서적 Sufis and Salafis in the Contemporary Age Bloomsbury Publishing
[13] 서적 Militant Islamist Ideology: Understanding the Global Threat Naval Institute Press
[14] 서적 Islamic Radicalism and Multicultural Politics: The British Experience Routledge
[15] 간행물 Have Pakistanis Forgotten Their Sufi Traditions? http://www.pvtr.org/[...] International Centre for Political Violence and Terrorism Research at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2006-04
[16] 서적 The Jihad Factory: Pakistan's Islamic Revolution in the Making https://books.google[...] Har Anand Publications
[17] 서적 Faith-Based Violence and Deobandi Militancy in Pakistan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18] 웹사이트 The Past and Future of Deobandi Islam https://ctc.usma.edu[...] 2020-08-25
[19] 간행물 Deobandīs in Africa https://referencewor[...] Brill 2023-02-13
[20] 논문 Influence of Deoband School of Thought In South Africa https://www.academia[...] 2023-02-13
[21] 논문 Advent of Deobandi Thinking in India and Its Impact on Iranian Baluchistan https://jsr.usb.ac.i[...] 2013
[22] 간행물 Islam In Iran Xiii. Islamic Political Movements In 20th Century Iran https://iranicaonlin[...] 2021-03-31
[23] 뉴스 The role of Deobandi school of thought in Iran discussed https://www.dawn.com[...] 2015-05-21
[24] 간행물 Who are Britain's Muslims? http://www.onreligio[...] 2018-08-09
[25] 간행물 The Annual Report of Her Majesty's Chief Inspector of Education, Children's Services and Skills 2014/15 https://assets.publi[...] House of Commons 2015-12-01
[26] 뉴스 Prisons chief praises extreme Islamic sect https://www.thetimes[...] 2016-04-19
[27] 뉴스 Hardline takeover of British Masjid http://www.thetimes.[...] 2007-09-07
[28] 뉴스 A toxic mix of fact and nonsense https://www.theguard[...] 2007-09-07
[29] 뉴스 Who runs our mosques? https://www.spectato[...] 2014-06-14
[30] 웹사이트 Profile of Sikh ruler Ranjit Singh on Encyclope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18-08-16
[31] 웹사이트 Profile of Dehlvi on books.google.com website https://books.google[...] 2018-08-16
[32] 웹사이트 What Makes a Movement Violent: Comparing the Ahle Hadith (Salafists) in India and Pakistan https://www.mei.edu/[...] 2020-02-04
[33] 웹사이트 The Long Shadow of Deobandism in South Asia https://newlinesmag.[...] 2021-11-23
[34] 문서 History of Darul Uloom Deoband
[35] 문서 Islamization in Modern South Asia: Deobandi Reform and the Gujjar Response
[36] 웹사이트 About http://www.deoband.o[...] Deoband.org 2009-02-19
[37] 서적 Producing Islamic Knowledge: Transmission and Dissemination in Western Europe
[38] 서적 Revival from Below: The Deoband Movement and Global Isla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8
[39] 간행물 Revival from Below: The Deoband Movement and Global Isla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0] 학술지 Sufis, Scholars and Scapegoats: Rashid Ahmad Gangohi(d. 1905) and the Deobandi Critique of Sufism https://www.academia[...] Blackwell Publishing
[41] 서적 Islamic revival in British India: Deoband, 1860–1900 Oxford Univ. Press
[42] 간행물 The Mission and the Kingdom: Wahhabi Power behind the Saudi throne https://books.google[...] I.B.Tauris
[43] 서적 Revival from Below: The Deoband Movement and Global Isla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4] 서적 Sufism and the 'Modern' in Islam
[45] 서적 The Archetypal Sunni Scholar: Law, Theology, and Mysticism in the Synthesis of Al-Bajuri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4
[46] 웹사이트 Metcalf, Barabara. ''"Traditionalist" Islamic Activism: Deoband, Tablighis, and Talibs''' http://essays.ssrc.o[...] 2009-09-01
[47] 학술지 Muslim Religious Education in Indo-Pakistan Islamic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Islamic University, Islamabad
[48] 서적 Islamic revival in British India : Deoband, 1860–1900 Oxford Univ. Press
[49] 논문 Traditionalist Approaches to Shari'ah Reform: Mawlana Ashraf 'Ali Thanawi's Fatwa on Women's Right to Divorce University of Michigan
[50] 서적 The Ulama in Contemporary Islam: Custodians of Chan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51] 서적 The Ulama in Contemporary Islam: Custodians of Chan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52] 학술지 Traditionalist' Islamic Activism:Deoband, Tablighis, and Talibs https://hdl.handle.n[...] 2002
[53]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modern Islamic world Volume 1 Oxford University Press
[54] 웹사이트 A call to Deobandi-Barelwi unity? Fatwas from two leading Deobandi institutes https://www.deoband.[...] 2010-07-18
[55] 서적 Faith-Based Violence and Deobandi Militancy in Pakistan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56] 간행물 Muslim Endowments and Society in British India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85-11-21
[57] 학술지 Sufis, Scholars and Scapegoats: Rashid Ahmad Gangohi(d. 1905) and the Deobandi Critique of Sufism https://www.academia[...] Blackwell Publishing
[58] 간행물 Sufis and Anti-Sufis: The Defence, Rethinking and Rejection of Sufism in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Curzon
[59] 웹사이트 Various Forms of Tawassul and Istighatha and their Rulings https://daruliftaa.c[...] 2015-01-08
[60] 웹사이트 TAWASSUL OR WASEELAH – The Majlis https://themajlis.co[...] 2015-02-16
[61] 웹사이트 The Silsilahs of Tasawwuf and the Reality of Bay'ah {{!}} IlmGate https://www.ilmgate.[...] 2010-09-20
[62] 웹사이트 Ashraf 'Ali Thanawi's Conception of Islamic Mysticism {{!}} IlmGate https://www.ilmgate.[...] 2018-01-01
[63] 학술지 Sufis, Scholars and Scapegoats: Rashid Ahmad Gangohi(d. 1905) and the Deobandi Critique of Sufism https://www.academia[...] Blackwell Publishing
[64] 학술지 Sufis, Scholars and Scapegoats: Rashid Ahmad Gangohi(d. 1905) and the Deobandi Critique of Sufism https://www.academia[...] Blackwell Publishing
[65] 간행물 Revival from Below: The Deoband Movement and Global Isla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6] 간행물 Revival from Below: The Deoband Movement and Global Isla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7] 학술지 Deobandi Sūfi Doctrine: Toward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asawwuf within the Context of Tawhīd and Sunnah Deoband Institute of Islamic Thought 2015-12
[68] 논문 Trends in the interpretation of Islamic law as reflected in the Fatāwá literature of Deoband School: a study of the attitudes of the 'Ulamā' of Deoband to certain social problems and inventions https://escholarship[...] McGill University
[69] 논문 Contribution of Darul 'Ulum Deoband to the Development of Tafsir https://core.ac.uk/d[...] Shah-i-Hamadan Institute of Islamic Studies, University of Kashmir 2012
[70] 논문 The Contribution of Deoband School to Hanafi Fiqh A Study of Its Response to Modern Issues and Challenges Centre for Federal Studies, Jamia Hamdard
[71] 뉴스 Explainer: The Taliban and Islamic law in Afghanistan https://www.aljazeer[...] Al Jazeera English 2021-08-23
[72] 웹사이트 Questioning guidelines at Askimam https://askimam.org/[...] 2023-02-21
[73] 뉴스 Anti-Terror Fatwa Endorsed by 100,000 Bangladeshi Islamic Scholars https://www.voanews.[...] Voice of America 2016-06-21
[74] 간행물 Sufis, Scholars, and Scapegoats: Rashid Ahmad Gangohi (d. 1905) and the Deobandi Critique of Sufism https://www.academia[...] Wiley-Blackwell 2009-06
[75]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Brill Publishers
[76] 서적 দেওবন্দ আন্দোলন: ইতিহাস ঐতিহ্য অবদান https://archive.org/[...] Al-Amin Research Academy Bangladesh
[77] 서적 The Deoband Madrassah Movement: Countercultural Trends and Tendencies https://books.google[...] Anthem Press 2015-03
[78]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Attraction of Salafi and Wahhabi Movements {{!}} IPCS https://www.ipcs.org[...] 2024-02-05
[79] 서적 India as a Secular Stat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80] 뉴스 Profile: Maulana Fazlur Rahman http://news.bbc.co.u[...] BBC News 2002-11-06
[81] 문서 Origins of Muslim consciousness in India: a world-system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82] 서적 Indigenous People of Barak Valley Notion Press
[83] 서적 Sources of Indian Traditions: Modern India, Pakistan, and Bangladesh Columbia University Press
[84] 서적 A history of Pakistan and its origins https://books.google[...] Anthem Press
[85] 서적 Democracy in Pakistan: crises and conflicts Har Anand Publications
[86] 서적 Political Islam: a Critical Reader Routledge
[87] 간행물 Structures of Organisation and Loci of Authority in a Glocal Islamic Movement: The Tablighi Jama'at in Britain 2019-10-14
[88] 간행물 Religious Education of Pakistan's Deobandi Madaris and Radicalisation https://www.jstor.or[...] International Centre for Political Violence and Terrorism Research 2015-06
[89] 간행물 Lashkar-e-Jhangvi: Sectarian Violence in Pakistan and Ties to International Terrorism http://www.jamestown[...] Jamestown Foundation 2005-06-02
[90] 뉴스 Pakistani group joins US terror list http://news.bbc.co.u[...] BBC News South Asia 2003-01-30
[91] 웹사이트 Using Twitter, YouTube, Facebook and Other Internet Tools, Pakistani Terrorist Group Lashkar-e-Jhangvi Incites Violence against Shi'ite Muslims and Engenders Antisemitism http://www.memri.org[...] The Middle East Media Research Insititue, memri.org 2012-03-21
[92] 뉴스 Pakistani Shi'ites call off protests after Quetta bombing arrests https://www.reuters.[...] Reuters 2013-02-19
[93] 뉴스 Pakistan Shias killed in Gilgit sectarian attack https://www.bbc.co.u[...] BBC News 2012-08-16
[94] 뉴스 Iran condemns terrorist attacks in Pakistan http://www.tehrantim[...] 2013-02-17
[95] 뉴스 Analysis: Who are the Taleban? http://news.bbc.co.u[...] BBC News 2000-12-20
[96] 서적 Hamid Karzai https://archive.org/[...] Infobase Publishing
[97] 서적 The women of Afghanistan under the Taliban McFarland
[98] 서적 Fundamentalism Reborn? Afghanistan and the Taliban C Hurst & Co
[99] 서적 The limits of culture: Islam and foreign policy https://archive.org/[...] MIT Press
[100] 뉴스 Laura Bush Addresses State of Afghan Women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01-11-18
[101] 웹사이트 Women's Rights in the Taliban and Post-Taliban Eras https://www.pbs.org/[...] PBS 2007-09-11
[102] 웹사이트 Pakistan's New Generation of Terrorists http://www.cfr.org/p[...]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08-02-06
[103] 간행물 A Profile of Tehrik-I-Taliban Pakistan http://belfercenter.[...] Combating Terrorism Center 2008-01
[104] 뉴스 Pakistani and Afghan Taliban Unify in Face of U.S. Influx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3-26
[105] 뉴스 Insurgents Share a Name, but Pursue Different Goal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10-22
[106] 간행물 "Musharraf's Ban: An Analysis" http://isianalysis.b[...] South Asia Analysis Group 2002-01-18
[107] 간행물 "Pakistan: The Sipah-e-Sahaba (SSP), including its activities and status" http://www.unhcr.org[...] Immigration and Refugee Board of Canada 2005-07-26
[108] 웹사이트 Sipah-e-Sahaba Pakistan, Terrorist Group of Pakistan https://www.satp.org[...]
[109] 뉴스 2009: Southern Punjab extremism battle between haves and have-nots http://www.dawn.com/[...] 2011-05-22
[110] 서적 The Dars-e-Nizami and the Transnational Traditionalist Madaris in Britain http://hamidmahmood.[...]
[111] 서적 Muslim Schools and Education in Europe and South Africa Waxmann Verlag
[112] 학술지 Structures of Organisation and Loci of Authority in a Glocal Islamic Movement: The Tablighi Jama'at in Britain MDPI 2019-10-14
[113] 학술지 Islamic Education in South Africa https://openaccess.l[...]
[114] 서적 Muslim schools and education in Europe and South Africa http://www.zmo.de/di[...] Waxmann 2013-11-27
[115] 서적 Muslim schools and education in Europe and South Africa http://www.zmo.de/di[...] Waxmann 2013-11-27
[116] 서적 Muslim schools and education in Europe and South Africa http://www.zmo.de/di[...] Waxmann 2013-11-27
[117] 서적 The 500 Most Influential Muslims http://www.themuslim[...] Prince Alwaleed Bin Talal Center for Muslim-Christian Understanding
[118] 간행물 The Independent Madrasas of India: Dar al-'Ulum, Deoband and Nadvat al-'Ulama, Lucknow http://www.ocms.ac.u[...] Oxford Centre for Mission Studies 2020-09-04
[119] 서적 Muslim Scholars of the 20th Century Al-Kawthar Publications
[120] 서적 Dar al-Basha'ir al-Islamiyyah
[121] 서적 Perfecting women : Maulana Ashraf ọAlī Thanawi's Bihishti zewar : a partial translation with commenta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2] 서적 Muslim Scholars of the 20th Century Al-Kawthar Publications
[123] 서적 Muslim Scholars of the 20th Century Al-Kawthar Publications
[124] 학술지 Keeping Busy on the Path of Allah: The Self-Organisation (Intizam) of the Tablighi Jama'at
[125] 서적 Muslim Scholars of the 20th Century Al-Kawthar Publications
[126] 웹사이트 Shaykh Mufti Muhammad Shafi': The Grand Mufti of Pakistan http://www.deoband.o[...] 2011-12
[127] 서적 Shari'at and Tariqat: A Study of the Deobandi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Tasawwuf http://ilmresources.[...] Dar al-Sa'adah Publications 2013-11-05
[128] 서적 সননাতে নববীর মরত পরতীক: মাওলানা আবদল মতিন চৌধরী শাযখে ফলবাডী রাহ https://archive.org/[...]
[129] 웹사이트 পীর সাহেব চরমোনাই http://www.pirsahebc[...] 2024-10-30
[130] 뉴스 Shah Ahmed Shafi, chief of Bangladesh Islamist group Hifazat-e Islam, dies https://bdnews24.com[...]
[131] 뉴스 Noted Islamic scholar Mufti Abdur Rahman passes away http://www.bdchronic[...]
[132] 서적 The Muslim 500: The World's 500 Most Influential Muslims The Royal Islamic Strategic Studies Centre
[133] 웹사이트 http://jamiagohorpur[...] 2019-08-17
[134] 웹사이트 Islamic Academy of Manchester http://www.islamicac[...]
[135] 뉴스 SC Shariat Bench to hear appeal on presidential remissions today http://www.dailytime[...] 2003-12-03
[136] 서적 The Muslim 500: The World's 500 Most Influential Muslims The Royal Islamic Strategic Studies Centre
[137] 뉴스 Nur Hossain Kasemi passes away at 75 https://www.thedaily[...] 2020-12-14
[138] 뉴스 Mahmudul Hasan new chairman of Qawmi Madrasa Education Board https://www.thedaily[...] 2020-10-03
[139] 뉴스 Babunagari denounces government's claim of no death in Hefazat's 2013 protest https://www.dhakatri[...] 2018-11-05
[140] 뉴스 https://www.dailynay[...]
[141] 서적 Introducing Darul-'Uloom Karachi http://www.darululoo[...] Public Information Department: Darul Uloom Karachi
[142] 웹사이트 Mufti Taqi Usmani http://www.albalagh.[...] 2013-11-06
[143] 서적 The Muslim 500: The World's 500 Most Influential Muslims The Royal Islamic Strategic Studies Centre
[144] 뉴스 Sylhet: Renowned Islamic scholar Allama Nurul Islam Olipuri speaking at the first day of the three daylong Tafsirul Quran Mahfil as Chief Guest in Sylhet organised by Khademul Quran Parishad, Sylhet recently. http://thedailynewna[...]
[145] 서적 The Muslim 500: The World's 500 Most Influential Muslims The Royal Islamic Strategic Studies Centre
[146] 웹사이트 Kyankwanzi: President Museveni, Mufti Menk Discuss 'Unity in Diversity' https://chimpreports[...] 2021-04-28
[147] 뉴스 Iranian Sunni cleric says executions may inflame regional tensions https://www.reuters.[...] 2016-08-06
[148] 웹사이트 Pir Zulfiqar Naqshbandi Visits Darul Uloom Deoband http://www.deoband.n[...] 2011-04-09
[149] 웹사이트 Daniel Haqiqatjou: Why Islam Is the Solution to 'Liberalism' https://www.meforum.[...] 2022-05-27
[150] 웹사이트 Special Issue:A Special Issue on The Deoband Madrasa https://onlinelibrar[...]
[151] 뉴스 タリバン「穏健」強調 アフガン首都占拠 過激政策復活懸念も 読売新聞 2021-08-17
[152] 서적 The Wahhabi Mission and Saudi Arabia https://books.google[...] 2020-09-08
[153] 서적 Revival from Below: The Deoband Movement and Global Islam https://books.google[...] 2020-09-08
[154] 간행물 The Past and Future of Deobandi Islam https://ctc.usma.edu[...] 2020-09-15
[155] 서적 Faith-Based Violence and Deobandi Militancy in Pakistan https://books.google[...] 2020-09-08
[156] 서적 Urban Terrorism: Myths and Realities https://books.google[...] 2020-09-08
[157] 간행물 Sufis, Scholars, and Scapegoats: Rashid Ahmad Gangohi (d. 1905) and the Deobandi Critique of Sufism https://www.academia[...] 2020-09-08
[158]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159] 서적 Indigenous People of Barak Valley
[160] 서적 Sources of Indian Traditions: Modern India, Pakistan, and Bangladesh 2020-11-03
[161] 웹인용 Islamic identity in secular India http://www.milligaze[...]
[162] 간행물 Structures of Organisation and Loci of Authority in a Glocal Islamic Movement: The Tablighi Jama'at in Britain https://www.mdpi.com[...] 2020-09-08
[163] 서적 Muslim Schools and Education in Europe and South Africa 2020-09-08
[164] 웹인용 Barelvi Islam http://www.globalsec[...] 2020-09-25
[165] 서적 The Jihad Factory: Pakistan's Islamic Revolution in the Making https://books.google[...]
[166] 뉴스 The Deobandis https://www.bbc.co.u[...] BBC
[166] 뉴스 The Deobandis: India https://www.bbc.co.u[...] BBC
[166] 뉴스 The Deobandis: Pakistan https://www.bbc.co.u[...] BBC
[166] 뉴스 The Deobandis: Britain https://www.bbc.co.u[...] BBC
[167] 서적 Faith-Based Violence and Deobandi Militancy in Pakistan https://books.google[...] 2020-09-08
[168] 서적 Fundamentalism Reborn? Afghanistan and the Taliban
[169] 서적 Islamic Radicalism and Multicultural Politics: The British Experience 2020-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