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도부현 민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도부현 민가는 일본의 도도부현(광역 지방 자치 단체)에서 공식적으로 제정하거나 지정한 노래를 의미한다. 주로 도도부현 주최 행사에서 사용되는 도도부현가 또는 도도부현 민요와, 캠페인 송이나 이미지 송으로 구분되나, 명확한 구분은 없다. 일부 도도부현은 여러 곡을 지정하거나, 스포츠 관련 노래를 별도로 제정하기도 한다. 2012년 기준으로 오사카부, 히로시마현, 오이타현은 도도부현 민가가 없으며, 과거에는 폐지된 민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도도부현 민가 - 오키나와 현민의 노래
    오키나와 현민의 노래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오키나와 현민의 긍지를 높이고 단결을 도모하기 위해 만들어져 1972년 오키나와 반환일에 현가로 지정되었으며, 오키나와의 역사적 고난과 평화 염원을 담고 있다.
  • 일본의 도도부현 민가 - 시나노노쿠니 (노래)
    시나노노쿠니는 나가노현의 자연, 역사, 현민의 자긍심을 담아 1900년에 작사된 이토 치카와 작곡가 다키 렌타로의 현가로, 현민가 공모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1968년 공식적으로 나가노현의 노래가 되었으며 문화 행사와 스포츠 응원가로 활용되고 우주에서도 언급될 정도로 나가노현을 대표한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도도부현 민가
개요
종류애국가
대상도도부현
성격지방자치단체 상징
상세 정보
제작 목적지역 애향심 고취, 향토 홍보
제작 시기주로 1960년대
관련 단체도도부현청, 교육위원회, 지역 방송국
창작 방식공모전 또는 위촉
가사 내용지역 명소, 역사, 문화, 산업 등
활용행사, 축제, 교육, 홍보 등
특징지역색 강함, 고유한 멜로디와 가사
현황존재 유무 및 활용도 도도부현별 차이
배경
시대적 배경고도 경제 성장기, 지방 문화 부흥 운동
사회적 배경애향심 고취, 지역 통합
문화적 배경가요 보급, 지역 문화 강조
영향
긍정적 영향지역 주민 소속감 및 자긍심 향상
부정적 영향획일적 문화 조성 우려
관련 정보
관련 용어시정촌가, 애향가
관련 인물작사가, 작곡가, 가수
관련 행사국민 문화제, 전국 향토 가요제

2. 역사

일본의 도도부현 중 상당수는 공식적인 민가를 가지고 있으며, 2022년 기준으로 44개 지역에서 이를 제정 또는 지정하고 있다.[1]

도도부현 민가의 역사는 다양하다. 메이지 시대 중기의 지리창가에서 유래한 오래된 노래도 있고[3], 1945년 종전 이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SCAP)의 권고에 따라 만들어진 경우(도쿄도 등)[2]도 있다. 또한 국민체육대회 개최를 계기로 도도부현기와 함께 제정되거나(도야마현, 아이치현 등)[3], 1980년대 이후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노래들도 존재한다.[3]

시간이 흐르면서 도도부현 민가의 위상이나 활용 방식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처음에는 도도부현이 주최하는 행사 등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나, 21세기에 들어서는 지역 스포츠팀 응원가로 활용되는 등 새로운 쓰임새가 나타나기도 했다.[2] 또한 제정된 지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저작권 문제가 발생하는 등[2][5] 시대 변화에 따른 과제도 안고 있다.

2. 1. 제정 배경

일본에서는 2022년 (레이와 4년) 기준으로 44개의 도도부현에 공식적인 도도부현 민가가 제정되어 있다.[1] 도도부현 민가의 제정 배경은 다양하다. 도쿄도의 경우처럼 1945년 (쇼와 20년) 종전 이후 연합군 최고사령부 (GHQ/SCAP)의 장려에 따라 만들어진 사례가 있다.[2] 하지만 메이지 시대 중기의 지리창가를 기원으로 하는 노래나 1980년대 이후에 만들어진 노래처럼 GHQ의 장려와는 관계없이 제정된 경우도 존재한다.[3] 가장 흔한 사례는 도야마현이나 아이치현과 같이 도도부현기 제정과 마찬가지로 국민체육대회 개최를 기념하여 제정된 경우이다.

나가노현의 현민가인 "시나노노쿠니"처럼 해당 지역 주민이라면 누구나 알 정도로 널리 알려진 곡도 있지만[4], 반대로 가나가와현에서는 공식 현민가인 "빛이 새롭게"보다 모리 오가이(모리 린타로 명의)가 작사한 "요코하마 시가"가 훨씬 더 유명한 경우도 있다. 도도부현 민가는 주로 도도부현이 주최하는 공식 행사나 국민체육대회에서 연주되며, 그 외에도 도도부현청의 업무 시작 및 종료 시각을 알리는 청내 방송, 전화 통화 대기음, 착신 멜로디 등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주민들에게조차 잘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많았으나, 21세기에 들어서는 지역 스포츠팀의 응원가로 현민가를 활용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2]

시정촌가나 교가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도도부현 민가는 제정된 지 50년 이상 경과하여 저작권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고치현처럼 일반 공모를 통해 선정된 비전문 작사가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작사자의 소재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생겨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작곡가도 해당된다.) 요미우리 신문이 2021년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현민가를 제정한 21개 현에서 작사자 본인 또는 유족과 연락이 닿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2][5]

2. 2. 현황 및 문제점

2022년 기준으로 일본의 47개 도도부현 중 44곳에 공식적인 민가가 제정되어 있다.[1] 제정 배경은 다양한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SCAP)의 장려로 만들어진 경우(도쿄도 등)[2]도 있지만, 메이지 시대 중기의 지리창가를 기원으로 하거나[3] 국민체육대회 개최에 맞춰 만들어진 경우(도야마현, 아이치현 등)도 많다.

현민가의 인지도와 활용도는 지역별로 차이가 크다. 나가노현의 "시나노노쿠니"처럼 현민 대부분이 아는 노래도 있지만[4], 가나가와현의 공식 현민가 "빛이 새롭게"처럼 인지도가 낮고 오히려 다른 노래(모리 오가이 작사의 "요코하마 시가")가 더 유명한 경우도 있다. 주로 도도부현 주최 행사나 국민체육대회에서 연주되며, 도도부현청의 시업/종업 시간 알림 방송, 전화 보류음, 착신 멜로디 등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지역 스포츠팀 응원에 현민가를 사용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2]

하지만 문제점도 존재한다. 대부분의 현민가는 제정된 지 50년 이상 지나면서, 작사자나 작곡자의 소재가 불분명해지는 저작권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고치현 등이 대표적인 예이며, 요미우리 신문의 2021년 조사에 따르면 현민가를 제정한 21개 현에서 작사자 본인 또는 유족과 연락이 닿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2][5]

한편, 공식적으로 지정된 '도도부현가' 또는 '도도부현 민요' 외에도 캠페인 송이나 이미지 송을 '애창가'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양자를 명확히 구분하는 기준은 없지만, 공식 행사에서 연주되는 노래 외의 곡들이 '현민가'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사가현민의 노래에 준하는 이미지 송 "바람은 미래색"과 애창가 "영광의 나라에서", 구마모토현민의 노래에 대한 "불의 나라 여정"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공식적인 지정은 아니지만 지역 스포츠팀의 응원가(효고현·오사카부의 "한신 타이거스 노래", 후쿠오카현의 "가자 젊은 매 군단" 등)가 사실상 '현민가'처럼 여겨지며 '준현민가'로 불리기도 한다.

2. 3. 도도부현 민가와 애창가의 구분

주로 도도부현의 고시에 의해 제정되어, 도도부현 주최의 행사에서 도도부현기 게양과 함께 연주되는 것을 '''도도부현가''' 또는 '''도도부현 민요'''라고 부른다. 이와 구분하여 그 외의 캠페인 송이나 이미지 송을 '''애창가'''라고 칭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둘 사이에는 명확한 구분이 있는 것은 아니다. 행사에서 연주되는 공식적인 현민가 외의 캠페인 송이나 이미지 송이 "현민가" 또는 "현민의 노래"라고 불리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예를 들어, 사가현민의 노래에 대한 준현가(이미지 송)인 "바람은 미래색"과 애창가(사가·고향의 노래)인 "영광의 나라에서", 그리고 "구마모토현민의 노래"에 대한 "불의 나라 여정" 등이 이러한 사례에 해당한다.

이 외에도 공식적인 것은 아니지만, 지역 스포츠 팀의 응원가가 사실상 현민가처럼 여겨지며 "현민가적인 존재"나 "준현민가"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효고현오사카부의 "한신 타이거스 노래(롯코 오로시)"나 후쿠오카현의 "가자 젊은 매 군단"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3. 특징

2022년 기준으로 일본의 44개 도도부현에는 공식적인 도도부현 민가가 제정되어 있다.[1] 이 노래들은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만들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장려로 만들어진 경우(도쿄도 등)[2]도 있으며, 메이지 시대 중기의 지리창가를 기원으로 하는 노래[3]1980년대 이후에 만들어진 노래도 존재한다.[3] 국민체육대회 개최에 맞춰 제정된 경우도 많다.

현민가의 인지도는 지역별로 차이가 크다. 나가노현의 "시나노노쿠니"처럼 현민 대부분이 알고 부를 수 있는 노래가 있는 반면[4], 가나가와현의 현민가 "빛이 새롭게"처럼 지역 주민들에게조차 잘 알려지지 않은 경우도 많다. 가나가와현의 경우 모리 오가이가 작사한 "요코하마 시가"가 오히려 더 널리 알려져 있다. 도도부현 민가는 주로 해당 도도부현이 주최하는 공식 행사나 국민체육대회에서 연주되며, 도도부현청 청사 내 방송이나 전화 통화 연결음, 착신 멜로디 등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지역 스포츠팀 응원가로 활용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2]

대부분의 곡이 제정된 지 50년 이상 경과하여 저작권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일반 공모를 통해 선정된 비전문 작사자의 경우,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소재가 불분명해지는 경우가 많다(고치현 등). 요미우리 신문이 2021년에 실시한 조사에서는, 현민가를 제정하고 있는 21개 현에서 작사자 본인 또는 유족과 연락이 닿지 않는 상태임이 밝혀졌다.[2][5]

3. 1. 복수의 노래를 가진 도도부현

도야마현, 야마나시현, 시즈오카현, 야마구치현, 사가현 등 일부 도도부현은 여러 곡의 민가(民歌)를 제정하거나 지정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제정 또는 지정된 시기가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미야기현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만들어진 현민가를 공식적으로 폐지하지 않고 "애창가"로 남겨둔 채, 전쟁 이후 새로운 현민가를 제정했다. 야마나시현이나 오카야마현처럼 정식 현민가를 제정한 후에 새롭게 애창가나 이미지송을 만든 사례도 있다.

특이한 사례로는 세 곡을 동시에 "홋카이도민의 노래"로 제정한 홋카이도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아키타현민가"와 전쟁 이후의 "아키타현민의 노래" 두 곡을 현재까지도 정식 현민가로 함께 사용하는 아키타현이 있다. 아키타현의 경우 두 곡 모두 자주 연주되지만, 홋카이도는 주로 빛이 넘쳐만 연주되고 나머지 두 곡은 거의 연주되지 않는다.

또한, 야마가타현의 "스포츠 현민가"처럼 스포츠 행사용 노래(체육가)를 별도로 제정하거나, 오이타현처럼 현민가는 없지만 스포츠 행사용 노래("오이타현민 체육의 노래")만 지정된 경우도 있다. 그 외에 사이타마현, 지바현, 나라현, 후쿠오카현, 나가사키현 등에서는 현민 온도(音頭)가 제정되어 있다.

3. 2. 스포츠 관련 노래

도도부현 민가 중에는 국민체육대회 개최를 계기로 만들어진 경우가 많다. 도야마현이나 아이치현 등이 대표적인 예시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스포츠팀 응원에 현민가를 활용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2]

또한, 일반적인 현민가와 별도로 스포츠 분야에 한정된 노래를 따로 만드는 경우도 있다. 야마가타현의 "스포츠 현민가"는 이러한 체육가의 대표적인 예이다. 반면, 오이타현처럼 현민가는 제정하지 않고 "오이타현민 체육의 노래"와 같이 스포츠 관련 노래만 지정한 경우도 존재한다.

3. 3. 도도부현 민가를 제정하지 않은 부현(府県)

2012년(헤이세이 24년) 기준으로, 오사카부, 히로시마현, 오이타현은 도도부현 민가를 제정하지 않았다.[6] 다만, 오이타현에는 2004년(헤이세이 16년)까지 현민가에 준하는 취급을 받으며 현민 수첩에 소개되었던 비공식 곡인 "오이타현 행진곡"이 존재했다.[7][8]

오사카부히로시마현은 각각 1996년(헤이세이 18년)의 히로시마 국민체육대회와 1997년(헤이세이 19년)의 나미하야 국민체육대회 개최에 맞춰 체육가나 부기 게양 시 연주할 곡을 만들었지만, 두 곡 모두 인지도가 매우 낮거나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한편, 효고현은 오랫동안 민가를 제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6], 실제로는 1947년(쇼와 22년)에 "효고현 민가"가 제정되었음이 고베 신문사의 취재를 통해 밝혀졌다.[9] 효고현 측은 2014년(헤이세이 26년)까지 이 현민가의 존재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지만[10], 해당 민가가 폐지되었다는 사실 또한 확인되지 않았다.[9]

3. 4. 구 외지(外地)의 주가(州歌)

구 외지 중 대만에서는 타이베이 주, 타이중 주, 타이난 주 등 일부 주가 일본 본토의 현민가에 상당하는 주가를 제정했다. 조선의 13도 및 관동주에서는 도가·주가의 제정은 확인되지 않았다.

1943년일본 본토로 편입된 가라후토(사할린 남부)에서는 가라후토청이 「가라후토 섬 노래」를 제정했다.[2]

4. 도도부현 민가 목록

가사]3곡 동시 제정[11]
통상 "빛이 넘쳐흐르며"를 사용옛날 옛적 (홈송)-홋카이바야시 (도민 음두)-

아오모리현아오모리현 찬가1971년 9월 23일「아오모리현 찬가」의 제정-현재는 사실상 폐지 상태[12]푸른 숲의 메시지2001년 1월 1일푸른 숲의 메시지가사]
이와테현이와테현민의 노래1965년 3월 30일이와테현민의 노래가사]
미야기현미야기현민가1938년 11월 29일미야기의 현민가-초대, 현재는 애창가로 존속빛나는 향토1946년 3월 10일가사]2대
아키타현아키타현민가1930년「아키타현민가」에 대해가사]현민의 노래1959년 12월 7일「현민의 노래」에 대해-
야마가타현최상강1982년 3월 31일야마가타현민의 노래-쇼와 천황 작사(어제), 발표는 1930년
후쿠시마현후쿠시마현 현민의 노래1967년 2월 11일후쿠시마현 현민의 노래-
이바라키현이바라키현민의 노래1963년 3월 16일이바라키현민의 노래가사]
토치기현현민의 노래1962년 12월 25일현민의 노래-
군마현군마현의 노래1968년 10월 25일군마현의 노래가사]3대
사이타마현사이타마현가1965년 9월 21일사이타마현가-2대
지바현지바현민가1963년 3월 16일현민가가사]
도쿄도도쿄도 노래1947년 4월 19일도쿄도 노래・시가-
가나가와현빛이 새롭게1950년 4월 10일현민가 「빛이 새롭게」가사(4번은 미게재)]2대, 1968년에 4번을 폐지
니가타현니가타현민가1948년 3월 28일현민가가사]
도야마현도야마현민의 노래1958년 4월 1일도야마현민의 노래-
이시카와현이시카와현민의 노래1959년 11월 3일이시카와현민의 노래-2대
후쿠이현새로운 후쿠이현민가2014년 12월 20일새로운 후쿠이현민가가사(구 2·5번 포함)]2014년에 곡을 개정(구판은 1954년 5월 1일 제정)
야마나시현야마나시현의 노래1950년 8월 12일현 노래 「야마나시현의 노래」-
나가노현시나노의 나라1968년 5월 20일현 노래 「시나노의 나라」가사]1900년 발표
기후현기후현민의 노래1955년 4월 1일기후현민의 노래가사]
시즈오카현시즈오카현 노래(새로운 아침)1968년 8월 14일현의 노래-
아이치현우리들의 아이치1950년 8월 15일현장・현민가-
미에현미에현민가1964년 4월 20일미에현민가가사]
시가현시가현민의 노래1954년 6월 15일시가현민의 노래가사]
교토부교토부의 노래1984년 3월 22일교토부의 노래가사]
오사카부(미제정)--스포츠 관련으로는 체육가 「나미하야의 노래」를 연주
효고현효고현민가1947년 5월 3일가사(전반만)-현재는 공식적으로 불리지 않음[9]
나라현나라현민의 노래1968년 3월 1일현민의 노래・현민 음두가사]
와카야마현와카야마현민가1948년 8월와카야마현민가-
돗토리현솟아오르는 힘1968년 10월 23일돗토리현민가 솟아오르는 힘가사]
시마네현엷은 보라색 산맥1951년 12월현민의 노래 「엷은 보라색 산맥」가사]
오카야마현오카야마현의 노래1957년 3월 9일[13]가사・악보-
히로시마현(미제정)[14][15]--스포츠 관련으로는 체육가 「무지개의 빛」을 연주
야마구치현야마구치현민의 노래1962년 9월 3일야마구치현민의 노래가사]3대
도쿠시마현도쿠시마현민의 노래1971년 7월 18일도쿠시마현민의 노래가사]2대
가가와현가가와현민가1954년 1월 30일가가와현민가-
에히메현에히메의 노래1973년 2월 20일에히메현의 노래가사]3대
고치현고치현민의 노래1959년 11월 3일고치현민의 노래-
후쿠오카현희망의 빛1970년 10월 17일후쿠오카의 노래가사]
사가현사가현민의 노래1974년 12월 11일사가현민의 노래-2대
나가사키현남쪽 바람1961년 6월 1일나가사키현민가 「남쪽 바람」-
구마모토현구마모토현민의 노래1960년 2월 13일가사(『광보 구마모토』1959년 12월호)2대(구마모토 국체 실행 위원회 제정)
오이타현(미제정)--스포츠 관련으로는 「오이타현민 체육의 노래」를 연주[16]
미야자키현미야자키현민가1954년 6월 30일미야자키현의 소개가사]2대
가고시마현가고시마현민의 노래1948년 12월 16일가고시마현의 노래・이미지송 등-
오키나와현오키나와현민의 노래1972년 5월 15일현의 심볼-


5. 도도부현 민가를 방송하는 방송국

민간 방송국 중에는 방송 시작이나 종료 시 등에 해당 도도부현의 민가(民歌, 현민의 노래 등)를 방송하는 곳이 있다. 이러한 방송국은 대부분 해당 도도부현이 주요 주주로 참여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후쿠시마현이 주식의 절반을 소유한 후쿠시마 TV에서는 도도부현 민가를 방송하지 않는다.

도도부현 민가를 방송하는 주요 민간 방송국
사명도도부현출자 비율방송 타이밍
야마가타 방송야마가타현14.4% (2021년)텔레비전・오프닝 후
LuckyFM 이바라키 방송이바라키현6.14%오프닝 후
도치기 방송도치기현【간접: 18.3%】[24]오프닝 후
도치기 TV20.7%오프닝 후, 클로징 전
군마 TV군마현15.1%오프닝 후, 클로징 전
신에쓰 방송나가노현2.54%라디오[25]・오프닝, 클로징
기후 방송기후현17%라디오・오프닝
TV 와카야마와카야마현14.4%오프닝, 클로징
시즈오카 방송시즈오카현텔레비전 오프닝
구마모토 방송구마모토현텔레비전 오프닝, 텔레비전 클로징


6. 폐지된 도도부현 민가

노래 제목해당 지역제정 연도
아침 구름의 노래야마가타현1947년
군마현의 노래(초대)군마현1936년
군마현의 노래(2대째)[17]군마현1951년
사이타마현 민요 (구)사이타마현1942년
가나가와현 현가[18]가나가와현1931년
이시카와현민의 노래(초대)이시카와현1948년
나가노현 민요나가노현1947년
야마구치현 민요 (초대)야마구치현1940년
야마구치현민의 노래(아침이다 대기를)[19]야마구치현1951년
야마구치현민의 노래(파도 아련히)[19]야마구치현1951년
도쿠시마현 민요 (구)[20]도쿠시마현1939년
에히메현 민요 (초대)[21]에히메현1938년
에히메현의 노래 (2대째)[22]에히메현1952년
사가현 민요 (구)사가현1936년
기쿠치 킨추의 노래구마모토현1943년
미야자키현 민요(구)[23]미야자키현1934년



'''도도부현 이외의 내지 지역 노래'''

참조

[1] 문서
[2] 뉴스 お堅い「役所の歌」、今やプロスポーツの応援歌 https://www.yomiuri.[...] 読売新聞東京本社 2021-08-16
[3] 논문
[4] 논문
[5] 문서
[6] 논문
[7] 웹사이트 ゆるキャラだけが県じゃない。県民手帳は何を考えているのか〈沖縄県〜山口県編〉 https://www.excite.c[...] 杉江松恋 2013-01-24
[8] 논문
[9] 뉴스 神戸新聞NEXT/2015年1月1日付「布く新憲法 ゆくては明かるし…幻の兵庫県民歌」 http://www.kobe-np.c[...] 2021-08-16
[10] 뉴스 失われた『兵庫県民歌』を求めて--1947年制定の県民歌はなぜ「存在しない」ことにされているのか? https://getnews.jp/a[...] 東京産業新聞社 2014-09-04
[11] 논문
[12] 문서
[13] 논문
[14] 웹사이트 富士山をめぐる仁義なき戦い。県民手帳死闘編〈広島県〜福井県編〉 http://www.excite.co[...] 杉江松恋 2013-01-25
[15] 간행물 【あなたの声 聞かせてください】 http://www.nhk.or.jp[...] 2013-02-01
[16] 간행물 歌詞(2ページ) http://kyouiku.oita-[...] 2016-03-04
[17] 서적
[18] 웹사이트 資料よもやま話1 昭和初期の二つの楽譜 「我が県の歌」神奈川県編 http://www.kaikou.ci[...]
[19] 문서
[20] 논문
[21] 서적 愛媛県史 資料編 近代4 p296 1984
[22] 서적
[23] 웹사이트 初代 宮崎県民歌 https://www.pref.miy[...]
[24] 문서
[2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