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래군 (중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래군은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청주에 속했던 중국의 군현이다. 기원전 153년, 한 무제가 교동왕이 되자 교동국에서 분할되어 설치되었으며, 예, 추, 평도 등 17개 현을 관할했다. 전한 시대에는 10만 호가 넘는 인구를 보유했으며, 신나라 시기에는 현의 이름이 변경되기도 했다. 후한 시대에는 13개 현을 관할했으며, 위진 시기에는 장광군으로 편입되면서 규모가 축소되었다. 이후 북위 시대를 거쳐 수나라 때 래주로 개명되었고, 당나라 시기에는 동래군으로 다시 개칭되었다가 래주로 변경되면서 동래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둥성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산둥성의 군 - 제북군
    제북군은 진나라가 제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군으로, 전한 시대에는 제북나라로 바뀌었으며, 유흥거의 반란으로 폐지되었다가 제북군과 제남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
  • 서진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서진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조위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조위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동래군 (중국)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국가중국
위치산둥반도
존속 기간기원전 221년 ~ 서기 598년
이전제나라
다음래주
역사
연도기원전 221년
사건진나라에 의해 설치
연도서기 598년
사건수나라에 의해 폐지
행정
군 치소황현(黃縣)
속현액현(掖縣)
모평현(牟平縣)
동모현(東牟縣)
문등현(文登縣)
불이현(不而縣)
도창현(都昌縣)
고현( गुड縣)
장광현(長廣縣)
창양현(昌陽縣)
노향현(盧鄕縣)
황현(黃縣)
극성현(棘城縣)
평도현(平度縣)
영현(營縣)
안구현(安丘縣)
제현(諸縣)
동래후국(東萊侯國)
경릉현(頃陵縣)
광현( 광縣)
시향현(始鄕縣)
인구 통계 (140년)
총 인구1,071,935명
가구 수193,568호

2. 역사적 배경

전한 초 동래군은 제(齊)에 속했다가 후에 교동국(膠東國)에 속했다. 기원전 153년(한 경제 4년), 유철이 교동왕이 되면서 교동국에서 분할되어 동래군(東萊郡)이 설치되었다. 동래군은 청주에 속했으며, 17개 현을 관할했다. 『한서』에 따르면 전한 말에 10만 3292호, 50만 2693명이 있었다.[5]

후한 시대 동래군은 13개 현을 관할했다. 283년(서진 태강 4년), 요동왕 사마유가 동래왕으로 개봉되면서 '''동래국'''이 설치되었고 6개 현을 관할했다.

남조 송 시대에는 7개 현을 관할했다. 469년(태시 5년), 북위 모용백요가 동양을 점령하면서 북위 통치하에 들어갔다. 북위 시대 동래군은 광주에 속했으며, 4개 현을 관할했다.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동래군은 폐지되고 광주에 편입되었다. 585년(개황 5년), 광주는 래주로 개명되었다. 607년(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래주는 동래군으로 개칭되었다. 동래군은 9개 현을 관할했다.

621년(무덕 4년), 당나라가 기순을 평정하자 동래군은 래주로 개칭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래주는 동래군으로 개칭되었다가 758년(건원 원년) 다시 래주로 개칭되어 동래군의 명칭은 사라졌다.

역대 동래군 인구 변화
왕조전한후한서진유송북위수나라당나라
연도2140280464534609742
가구103,292[5]104,297[6]6,500[7]10,131[8]19,195[9]90,351[3]26,998[4]
인구502,693484,39375,14962,044171,516


2. 1. 전한

고제 때 설치됐다 하나, 실제로는 경제 3년(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해 자결하고 교동나라가 폐지된 이후 교동군을 분할해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18]

청주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0만 3292호, 50만 2693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를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 지간(기원전 8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이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액현掖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추현[19]옌타이 시 남서지비산사(之罘山祠)가 있다. 거상산(居上山)이 있고, 성상수(聲洋水)가 나와서 동북으로 바다에 들어간다.
평도후국平度侯國칭다오시 핑두 시 북서
황현黃縣옌타이 시 룽커우 시 동내산(萊山)과 송림내군사(松林萊君祠)가 있다.
임구현臨朐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북해수사(海水祠)가 있다.
곡성현曲成縣옌타이 시 자오위안 시 서삼산만리사사(參山萬里沙祠)가 있다. 양구산(陽丘山)이 있고 치수(治水)가 나와 남으로 기(沂)에서 바다에 들어간다. 염관(鹽官)이 있다.
모평후국牟平侯國옌타이 시 서
동모현東牟縣옌타이 시 무핑 구철관(鐵官)과 염관(鹽官)이 있다.
현현㡉縣옌타이 시 룽커우 시 남동백지내왕사(百支萊王祠), 염관이 있다.
육리현育犂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서
창양후국昌陽侯國웨이하이 시 원덩 구 남염관이 있다.
불야현不夜縣웨이하이 시 룽청 시 북성산일사(成山日祠)가 있다.
당리현當利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서염관이 있다.
노향현盧鄕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
양악후국陽樂侯國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서
양석현陽石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
서향후국徐鄕侯國?

[20]

2. 2. 신나라

신나라에서는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액(掖)액통(掖通)
평도(平度)이로(利盧)
황(黃)의모(意母)
임구(臨朐)감구(監朐)
모평(牟平)망리(望利)
동모(東牟)홍덕(弘德)
창양(昌陽)숙경정(夙敬亭)
불야(不夜)숙야(夙夜)
당리(當利)동래정(東萊亭)
양악(陽樂)연악(延樂)
양석(陽石)식명(識命)


2. 3. 후한

후한190년 요동군의 군벌이었던 공손도가 본군을 점령하고 잠시 군에 영주(營州)를 신설한 적이 있었다.[21][22]

후한 시대 동래군 속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황현黃縣옌타이 시 룽커우 시 동
모평현牟平縣옌타이 시 서
견후국惤候國옌타이 시 룽커우 시 남서
곡성후국曲城候國옌타이 시 자오위안 시 서
액후국掖候國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과향(過鄕)이 현경내에 있었다.
당리후국当利候國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서
동모후국東牟候國옌타이 시 무핑구
창양현昌陽縣웨이하이 시 원덩 구 남
노향현盧鄕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
장광현長廣縣옌타이시 라이양시 동낭야국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검추현黔陬縣칭다오시 자오저우시 남서낭야국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개정(介亭)이 현경내에 있었다.
갈노현葛盧縣우섭정(尤涉亭)이 있었다.
불기후국不其候國칭다오시 지모시 남서낭야국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역대 동래군 인구 변화
왕조전한후한
연도2140
가구103,292[5]104,297[6]
인구502,693484,393


2. 4. 위진

277년(서진 무제 함녕 3년) 불기현, 장광현과 복구된 창양현이 신설된 장광군으로 내속되면서 6현 6,500호를 거느리는 작은 군이 되었다.[23] 영가의 난이 일어났을 때 본군 출신이었던 청주자사 조억(曹嶷)이 후조에 저항하였으나 석호에게 무너지면서 후조의 땅이 되었다.[23]

283년 (서진태강 4년), 요동왕 사마유가 동래왕으로 개봉되면서 '''동래국'''이 설치되었다. 동래국은 예, 당리, 노향, 곡성, 황, 점의 6개 현을 관할했다.

동래군(위진)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액후상掖候相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군의 치소가 있었다.
당리후국當利候國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서
노향현盧鄕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
곡성현曲城縣옌타이 시 자오위안 시 서
황현黃縣옌타이 시 룽커우 시 동래산(萊山), 송림래군사(松林萊君祠)가 현경내에 있었다.
견현惤縣옌타이 시 룽커우 시 남서



동래군 인구 변화
왕조전한후한서진
연도2년140년280년
가구103,292호[5]104,297호[6]6,500호[7]
인구502,693명484,393명


2. 5. 남북조 시대

470년(북위 헌문제 황흥 4년) 청주에서 신설된 광주에 내속되었다. 동래군은 4현 19,195호 62,044명을 거느렸다. 서진대 동래군에 속했던 황현과 견현은 오호십육국시대에 신설된 동모군으로 이관되었으며 당리현은 장광군으로 이관되었다.[24]

동래군 (470년 기준)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액현掖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군의 치소. 액산사(掖山祠), 수양산(秀陽山), 부산(斧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서곡성현西曲城縣옌타이 시 자오위안 시 잠장진(蚕庄鎭) 서북황흥 연간에 곡성현을 분리하면서 신설. 창석산(倉石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동곡성현東曲城縣옌타이 시 자오위안 시 잠장진(蚕庄鎭) 동남헌문제 시기 황흥 연간에 곡성현에서 분리 신설. 창구(昌丘), 일산(日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노향현盧鄕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고군산(高君山), 방산(方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시대별 동래군 가구/인구 변화
왕조전한후한서진유송북위
연도2년140년280년464년534년
가구103,292[5]104,297[6]6,500[7]10,131[8]19,195[9]
인구502,693484,39375,14962,044


2. 6. 수당

583년(수 문제 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동래군은 폐지되고 광주(光州)에 편입되었다. 585년(개황 5년), 광주는 래주로 개명되었다. 607년(수 양제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래주는 동래군으로 개칭되었다. 동래군은 9개 현, 90,351호를 거느렸다.[25]

동래군(수)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액현掖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북제 때 곡성현, 당리현이 통폐합되었다. 부산(缶山), 액수(掖水), 광수(光水)가 현 경내에 있었다.
교수현膠水縣칭다오 시 핑두 시601년 장광현(長廣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명당산(明堂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노향현盧鄕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북제 때 정성현(挺城縣)과 노향현이 모두 폐지되었는데,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노향현만 복구되었으며 정성현 지역은 현의 일부가 되었다.
즉묵현即墨縣칭다오 시 지모 시북제 때 불기현과 함께 폐지되었는데 596년 복구되었고 불기현 지역이 현의 일부가 되었다. 대로산(大勞山), 마산(馬山)이 현 경내에 있었고 바다 건너에 전횡도가 있었다.
관양현觀陽縣옌타이 시 하이양 시 북 서가점진(徐家店鎭) 일대북주 때 폐지되었으나 596년 복구되었다. 이때 모주(牟州)가 신설되면서 모주의 속현이 되었지만 대업 초 모주가 폐지되면서 본군의 속현이 되었다.
창양현昌陽縣라이양 시 옌타이 시 조왕장(照旺庄) 창양로 일대거신산(巨神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황현黃縣옌타이 시 룽커우 시동모군, 장광군의 2개 군에 속했는데 북제 때 동모군이 장광군에 통폐합되었다. 개황 초 동모군이 폐지되면서 본군의 속현이 되었다.
모평현牟平縣옌타이 시 펑라이시 남모산(牟山), 용산(龍山), 금산(金山), 구목산(九目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문등현文登縣웨이하이 시 원덩구북제 때 신설되었다. 석교(石橋), 문등산(文登山), 척산(斥山), 지부산(之罘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3. 행정 구역

다음은 동래군(중국) 문서의 행정 구역 변천을 시대별로 정리한 내용이다.

'''전한'''

전한 시대 동래군의 속현은 아래 표와 같다.[18]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옌타이 시 액현掖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옌타이 시 남서쪽 추현[19]옌타이 시 남서쪽지비산사(之罘山祠)가 있다. 거상산(居上山)이 있고, 성상수(聲洋水)가 나와 동북쪽으로 바다에 들어간다.
칭다오시 핑두 시 북서쪽 평도후국平度侯國칭다오시 핑두 시 북서쪽
옌타이 시 룽커우 시 동쪽 황현黃縣옌타이 시 룽커우 시 동쪽내산(萊山)과 송림내군사(松林萊君祠)가 있다.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북쪽 임구현臨朐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북쪽해수사(海水祠)가 있다.
옌타이 시 자오위안 시 서쪽 곡성현曲成縣옌타이 시 자오위안 시 서쪽삼산만리사사(參山萬里沙祠)가 있다. 양구산(陽丘山)이 있고 치수(治水)가 나와 남쪽으로 기(沂)에서 바다에 들어간다. 염관(鹽官)이 있다.
옌타이 시 서쪽 모평후국牟平侯國옌타이 시 서쪽
옌타이 시 무핑 구 동모현東牟縣옌타이 시 무핑 구철관(鐵官)과 염관(鹽官)이 있다.
옌타이 시 룽커우 시 남동쪽 현현㡉縣옌타이 시 룽커우 시 남동쪽백지내왕사(百支萊王祠), 염관이 있다.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서쪽 육리현育犂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서쪽
웨이하이 시 원덩 구 남쪽 창양후국昌陽侯國웨이하이 시 원덩 구 남쪽염관이 있다.
웨이하이 시 룽청 시 북쪽 불야현不夜縣웨이하이 시 룽청 시 북쪽성산일사(成山日祠)가 있다.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서쪽 당리현當利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서쪽염관이 있다.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쪽 노향현盧鄕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쪽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서쪽 양악후국陽樂侯國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서쪽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쪽 양석현陽石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쪽
? 서향후국徐鄕侯國?

[20]

'''후한'''

후한 시대에는 황, 모평, 점, 곡성, 예, 당리, 동모, 창양, 노향, 장광, 짐추, 갈로, 불기의 13개 현을 관할했다.

'''서진'''

283년 (서진 태강 4년), 요동왕 사마유가 동래왕으로 개봉되면서 '''동래국'''이 설치되었다. 동래국은 예, 당리, 노향, 곡성, 황, 점의 6개 현을 관할했다.

'''남조 송'''

남조 송 시대 동래군은 예, 곡성, 점, 노향, 모평, 당리, 황의 7개 현을 관할했다. 469년 (태시 5년), 북위의 모용백요가 동양을 점령하면서 북위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북위'''

북위 시대 동래군은 광주에 속했으며, 예, 서곡성, 동곡성, 노향의 4개 현을 관할했다.

''''''

583년 (개황 3년), 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동래군은 폐지되어 광주에 편입되었다. 585년 (개황 5년), 광주는 래주로 개명되었다. 607년 (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래주는 동래군으로 개칭되었다. 당시 동래군은 예, 교수, 노향, 즉묵, 관양, 창양, 황, 모평, 문등의 9개 현을 관할했다.

''''''

621년 (무덕 4년), 당나라가 기순을 평정하면서 동래군은 래주로 개칭되었다. 742년 (천보 원년), 래주는 동래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 (건원 원년), 동래군은 다시 래주로 개칭되면서 동래군의 명칭은 사라졌다.

3. 1. 전한

고제 때 설치됐다는 주석이 한서 지리지에 있지만, 실제로는 경제 3년(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하여 자결한 교동왕 유웅거 사후 교동나라가 폐지되면서 교동군을 분할해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18]

청주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10만 3292호, 50만 2693명이 있었다. 아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를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의 현황으로 추정되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이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옌타이 시 액현掖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옌타이 시 남서쪽 추현[19]옌타이 시 남서쪽지비산사(之罘山祠)가 있다. 거상산(居上山)이 있고, 성상수(聲洋水)가 나와 동북쪽으로 바다에 들어간다.
칭다오시 핑두 시 북서쪽 평도후국平度侯國칭다오시 핑두 시 북서쪽
옌타이 시 룽커우 시 동쪽 황현黃縣옌타이 시 룽커우 시 동쪽내산(萊山)과 송림내군사(松林萊君祠)가 있다.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북쪽 임구현臨朐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북쪽해수사(海水祠)가 있다.
옌타이 시 자오위안 시 서쪽 곡성현曲成縣옌타이 시 자오위안 시 서쪽삼산만리사사(參山萬里沙祠)가 있다. 양구산(陽丘山)이 있고 치수(治水)가 나와 남쪽으로 기(沂)에서 바다에 들어간다. 염관(鹽官)이 있다.
옌타이 시 서쪽 모평후국牟平侯國옌타이 시 서쪽
옌타이 시 무핑 구 동모현東牟縣옌타이 시 무핑 구철관(鐵官)과 염관(鹽官)이 있다.
옌타이 시 룽커우 시 남동쪽 현현㡉縣옌타이 시 룽커우 시 남동쪽백지내왕사(百支萊王祠), 염관이 있다.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서쪽 육리현育犂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서쪽
웨이하이 시 원덩 구 남쪽 창양후국昌陽侯國웨이하이 시 원덩 구 남쪽염관이 있다.
웨이하이 시 룽청 시 북쪽 불야현不夜縣웨이하이 시 룽청 시 북쪽성산일사(成山日祠)가 있다.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서쪽 당리현當利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서쪽염관이 있다.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쪽 노향현盧鄕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쪽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서쪽 양악후국陽樂侯國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서쪽
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쪽 양석현陽石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쪽
? 서향후국徐鄕侯國?

[20]

3. 2. 후한

후한말 190년 요동군의 군벌이었던 공손도가 본군을 점령하고 잠시 군에 영주(營州)를 신설한 적이 있었다.[21][22]

후한시대 동래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황현黃縣옌타이 시 룽커우 시 동
모평현牟平縣옌타이 시 서
견후국惤候國옌타이 시 룽커우 시 남서
곡성후국曲城候國옌타이 시 자오위안 시 서
액후국掖候國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과향(過鄕)이 현경내에 있었다.
당리후국当利候國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서
동모후국東牟候國옌타이 시 무핑구
창양현昌陽縣웨이하이 시 원덩 구 남
노향현盧鄕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
장광현長廣縣옌타이시 라이양시 동낭야국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검추현黔陬縣칭다오 시 자오저우 시 남서낭야국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개정(介亭)이 현경내에 있었다.
갈노현葛盧縣우섭정(尤涉亭)이 있었다.
불기후국不其候國칭다오시 지모시 남서낭야국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3. 3. 위진

277년(서진 무제 함녕 3년) 불기현, 장광현과 복구된 창양현이 신설된 장광군으로 내속되면서 6현 6,500호를 거느리는 작은 군이 되었다. 영가의 난이 일어났을 때 본군 출신이었던 청주자사 조억(曹嶷)이 후조에 저항하였으나 석호에게 무너지면서 후조의 땅이 되었다.[23]

283년 (서진태강 4년), 요동왕 사마유가 동래왕으로 개봉되면서 '''동래국'''이 설치되었다. 동래국은 예, 당리, 노향, 곡성, 황, 점의 6개 현을 관할했다.

동래국(위진)의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액후상掖候相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군의 치소가 있었다.
당리후국當利候國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서
노향현盧鄕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
곡성현曲城縣옌타이 시 자오위안 시 서
황현黃縣옌타이 시 룽커우 시 동래산(萊山), 송림래군사(松林萊君祠)가 현경내에 있었다.
견현惤縣옌타이 시 룽커우 시 남서


3. 4. 북위

470년(북위 헌문제 황흥 4년) 청주에서 신설된 광주에 내속되었다. 동래군은 4현 19,195호 62,044명을 거느렸다. 서진대 동래군에 속했던 황현과 견현은 오호십육국시대에 신설된 동모군으로 이관되었으며 당리현은 장광군으로 이관되었다.[24]

동래군(북위)의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액현掖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군의 치소로 액산사(掖山祠), 수양산(秀陽山), 부산(斧山)이 현경내에 있었다.
서곡성현西曲城縣옌타이 시 자오위안 시 잠장진(蚕庄鎭) 서북황흥연간 곡성현을 분리하면서 신설되었다. 창석산(倉石山)이 현경내에 있었다.
동곡성현東曲城縣옌타이 시 자오위안 시 잠장진(蚕庄鎭) 동남헌문제 시기 황흥연간에 곡성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창구(昌丘), 일산(日山)이 현경내에 있었다.
노향현盧鄕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고군산(高君山), 방산(方山)이 현경내에 있었다.


3. 5. 수

수나라 초기, 장광군이 통폐합되면서 군역이 확장되었다.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군이 폐지되고 '''광주(光州)'''가 설치되었다. 585년(수 문제 개황 5년) '''래주(萊州)'''로 개명되었다. 9현 90,351호를 거느렸다.[25]

수나라 시기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액현掖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북제 때 곡성현, 당리현이 통폐합되었다. 부산(缶山), 액수(掖水), 광수(光水)가 현 경내에 있었다.
교수현膠水縣칭다오 시 핑두 시601년 장광현(長廣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명당산(明堂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노향현盧鄕縣옌타이 시 라이저우 시 남북제 때 정성현(挺城縣)과 노향현이 모두 폐지되었는데,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노향현만 복구되었으며 정성현 지역은 현의 일부가 되었다.
즉묵현即墨縣칭다오 시 지모 시북제 때 불기현과 함께 폐지되었는데 596년 복구되었고 불기현 지역이 현의 일부가 되었다. 대로산(大勞山), 마산(馬山)이 현 경내에 있었고 바다 건너에 전횡도(田橫島)가 있었다.
관양현觀陽縣옌타이 시 하이양 시 북 서가점진(徐家店鎭) 일대북주 때 폐지되었으나 596년 복구되었다. 이때 모주(牟州)가 신설되면서 모주의 속현이 되었지만 대업 초 모주가 폐지되면서 본군의 속현이 되었다.
창양현昌陽縣라이양 시 옌타이 시 조왕장(照旺庄) 창양로 일대거신산(巨神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황현黃縣옌타이 시 룽커우 시동모군, 장광군의 2개 군에 속했는데 북제 때 동모군이 장광군에 통폐합되었다. 개황 초 동모군이 폐지되면서 본군의 속현이 되었다.
모평현牟平縣옌타이 시 펑라이시 남모산(牟山), 용산(龍山), 금산(金山), 구목산(九目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문등현文登縣웨이하이 시 원덩구북제 때 신설되었다. 석교(石橋), 문등산(文登山), 척산(斥山), 지부산(之罘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4. 인구

왕조연도가구인구
전한2103,292[5]502,693
후한140104,297[6]484,393
서진2806,500[7]
유송46410,131[8]75,149
북위53419,195[9]62,044
수나라60990,351[3]
당나라74226,998[4]171,516


5. 역대 군수·태수

=== 전한 ===



=== 후한 ===

  • 교숙(橋肅): 교현의 아버지이다.
  • 고신(高愼): 고유의 아버지이다.

5. 1. 전한

범륭(? ~ 기원전 12년)

5. 2. 후한


  • 교숙(橋肅): 교현의 아버지이다.
  • 고신(高愼): 고유의 아버지이다.

참조

[1] 서적 Xihan Zhengqu Dili People's Press 1987
[2] 서적 Donghan Zhengqu Dili Shandong Education Press 1999
[3] 서적 Book of Sui
[4] 서적 New Book of Tang
[5] 서적 Book of Han
[6] 서적 Book of Later Han
[7] 서적 Book of Jin
[8] 서적 Book of Song
[9] 서적 Book of Wei
[10]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11] 서적 後漢書
[12] 서적 晋書
[13] 서적 宋書
[14] 서적 魏書
[15] 서적 魏書
[16] 서적 隋書
[17] 서적 旧唐書
[18]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19] 문서
[20] 서적 한서
[21] 서적 속한서 https://zh.wikisourc[...]
[22] 서적 삼국지 https://zh.wikisourc[...]
[23]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24]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25]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