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물 이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물 이주는 생존과 번식을 위해 동물이 서식지를 옮기는 현상이다. 이주는 지속적인 이동, 계절적 왕복 운동, 개체군의 재분배를 포함하며, 의무적, 선택적, 완전, 부분, 차등 이주 등의 유형이 있다. 이주의 주요 원인은 먹이, 번식, 기후 변화이며, 조류, 어류, 포유류, 곤충 등 다양한 동물에서 나타난다. 이주 연구는 전통적인 표지 부착에서 무선 추적 칼라, GPS, 위성 추적 등의 현대적인 방법으로 발전해왔다. 과거에는 동물 이주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다양한 민간 설화가 생겨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물의 이주 - 회유
    회유는 동물이 번식, 먹이 획득 등을 위해 특정 장소로 이동하는 현상이며, 어류는 산란, 색이, 월동 등 다양한 목적에 따라 분류되고, 고래, 참치 등 해양 생물은 먹이와 번식을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하며,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인해 보호 및 관리가 필요하다.
  • 동물의 이주 - 철새
    철새는 먹이와 기후에 따라 번식지와 월동지를 계절적으로 이동하는 조류로, 이동 거리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대한민국에서는 여름철새, 겨울철새, 나그네새, 길잃은새로 분류된다.
  • 동물행동학 - 보호색
    보호색은 생물이 주변 환경과 유사한 색, 무늬, 형태 등으로 자신을 숨기는 위장 전략으로, 시각적 위장뿐 아니라 후각, 청각적 위장도 포함하며 포식자-피식자 간 공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동물행동학 - 여름잠
    여름잠은 동물이 덥고 건조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신진대사율을 감소시키고 에너지와 수분을 보존하는 휴면 상태로, 달팽이, 곤충, 양서류, 파충류, 포유류 등 다양한 동물에게서 나타난다.
동물 이주

2. 이주의 개념

세렝게티를 이동하는


이주는 종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그 원인도 다양하다.[1][2][3] 따라서 이주에 대한 간단하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정의는 없다.[4]

이주는 생물의 일생 중 여러 번 같은 이동 주기를 반복하는 경우부터, 태어난 장소로 돌아와 사멸하는 한 번뿐인 이동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주하는 생물은 조류, 어류, 포유류뿐만 아니라 플랑크톤 등의 무척추동물, 곤충, 양서류, 파충류에서도 관찰된다.

이주의 주된 이유는 세 가지이다. 첫째는 먹이가 풍부한 곳을 찾아 이동하는 것이고, 둘째는 번식을 위해서이다. 산란을 위해 회유하는 연어바다거북의 이동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고래도 번식을 위해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셋째는 기후적 요인이다. 먹이 생산은 기후에 큰 영향을 받으므로, 첫 번째 요인인 먹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혹독한 기후 조건을 피하기 위해 이동한다고 여겨진다.

목적지까지 한 번에 이동하지 않고, 도중에 중계지에서 일정 기간 휴식을 취하는 경우도 있다.

2. 1. 이주의 정의

J. S. 케네디는 이주를 "동물 자신의 운동 능력 또는 다른 수단을 이용한 지속적이고 직선적인 이동"이라고 정의했다.[5]

케네디가 제시한 이주의 정의는 다음 네 가지 개념을 포함한다.[4]

  • 지속적이고 똑바른 움직임
  • 일상적인 활동보다 더 큰 규모(공간과 시간 모두에서)의 개체의 이동
  • 두 지역 사이의 계절적인 왕복 운동
  • 개체군 내에서 개체의 재분배를 이끄는 움직임

2. 2. 이주의 유형

이주는 종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다양한 원인이 있어.[1][2][3] 따라서 이주에 대한 간단하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정의는 없어.[4] 동물학자 J. S. 케네디가 제안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의 중 하나는 다음과 같아.[5]

이주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관련 개념을 포함하고 있어.

  • 지속적이고 똑바른 움직임
  • 일상적인 활동보다 더 큰 규모(공간과 시간 모두에서)의 개체의 이동
  • 두 지역 사이의 계절적인 왕복 운동
  • 개체군 내에서 개체의 재분배를 이끄는 움직임.[4]


이주는 의무적 이주일 수도 있고, 개체가 이주해야 함을 의미하며, 선택적 이주일 수도 있어. 선택적 이주는 개체가 이주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음을 의미해. 이주 종 내에서 또는 단일 개체군 내에서도 모든 개체가 이주하는 것은 아니야.

  • '''완전 이주'''는 모든 개체가 이주하는 경우
  • '''부분 이주'''는 일부 개체는 이주하고 다른 개체는 이주하지 않는 경우
  • '''차등 이주'''는 이주 및 비이주 개체 간의 차이가 연령이나 성별과 같은 식별 가능한 특성에 기반하는 경우야.[4]


기근, 지역의 과밀화, 또는 더 모호한 영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규칙적인(비주기적) 이주, 예를 들어 폭발적 이주가 있어.[6]
계절 이동은 다양한 종이 일 년 동안 한 서식지에서 다른 서식지로 이동하는 현상이야. 자원 가용성은 계절적 변동에 따라 변화하며, 이는 이동 패턴에 영향을 미치지. 태평양 연어와 같은 일부 종은 번식을 위해 이동하는데, 매년 상류로 헤엄쳐 올라가 짝짓기를 한 후 바다로 돌아가.[7] 기온은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이동의 주요 요인이야. 많은 종, 특히 조류는 겨울 동안 열악한 환경 조건을 피하기 위해 더 따뜻한 지역으로 이동해.[8]
일주기 이동은 새가 일주기 리듬 (CR)을 활용하여 가을과 봄 모두에서 이동을 조절하는 현상이야. 일주기 이동에서 일주기(매일) 및 연주기(연간) 패턴의 시계는 새가 한 목적지에서 다음 목적지로 이동할 때 시간과 공간 모두에서 새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돼. 이러한 유형의 이동은 겨울 동안 적도 근처에 머무는 새에게 유리하며, 또한 새의 뇌에서 최적의 이동 장소를 기억하기 위해 청각 및 공간 기억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해주지. 이러한 새들은 또한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제공하는 타이밍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어.[9]
조석 이동은 생물이 조수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한 서식지에서 다른 서식지로 이동하는 것을 말해. 이러한 유형의 이동은 종종 먹이나 짝을 찾기 위해 사용되지. 조수는 유기체를 수 나노미터에서 수천 킬로미터까지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10] 가장 흔한 형태의 조석 이동은 매일의 조석 주기에 따라 조간대로 이동하는 것이야.[10] 이 지역은 종종 다양한 종으로 채워져 있으며 영양소가 풍부해. 게, 선충, 작은 물고기와 같은 생물은 조수가 오르내릴 때마다 전형적으로 약 12시간마다 이 지역을 드나들어. 이러한 순환 운동은 해양 및 조류 종의 먹이 활동과 관련이 있어. 일반적으로 간조 시에는 더 얕은 물에서 생존할 수 있고 포식당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더 작거나 어린 종이 나타나 먹이를 찾아. 만조 시에는 조석의 움직임으로 인해 더 깊은 물과 영양 염류 용승이 발생하여 더 큰 종을 발견할 수 있지. 조석 이동은 종종 해류에 의해 촉진돼.[11][12][13]

대부분의 이동은 연간 주기로 이루어지지만, 일부 일일 이동도 이동으로 묘사돼. 많은 수생 동물은 일주기 수직 이동을 하며, 수백 미터 상하로 이동하고,[14] 일부 해파리는 매일 수백 미터의 수평 이동을 해.[15]

이주에는 생물의 일생 중 여러 번 같은 이동 사이클을 반복하는 이동부터 자신의 태어난 장소로 돌아와 거기서 사멸하는 한 번뿐인 이동도 있으며, 그 이동 패턴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 관찰되고 있어. 이주를 하는 생물은 조류, 어류, 포유류에 그치지 않고 플랑크톤 등의 무척추동물, 곤충, 양서류, 파충류에서도 이주가 관찰돼.

이주의 이유는 주로 세 가지가 있어.

# 먹이가 풍부한 곳으로 이동

# 번식

#: 산란을 위해 회유하는 연어 등의 어류나 바다거북의 이동이 그 전형적인 예이다. 고래류도 번식을 위해 이동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 기후적 요인

#: 먹이의 생산은 기후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첫 번째 요인인 먹이와 매우 관련이 깊다. 일반적으로는 혹독한 기후 조건을 피하기 위해 이동한다고 생각된다.

목적지까지 한 번에 이동하지 않고 도중에 중계지에서 일정 기간 휴식을 취하는 경우도 있어.

2. 3. 이주의 주기

이주는 종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그 원인도 다양하다.[1][2][3] 이주는 지속적이고 똑바른 움직임, 대규모 이동, 계절적 왕복 운동, 개체군 재분배 등의 특징을 가진다.[4] 이주는 의무적일 수도, 선택적일 수도 있으며, 개체군 내에서 이주 여부는 연령이나 성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4] 불규칙적인 이주도 존재한다.[6]

이주의 주기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계절성 이주: 계절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이주이다. 자원 가용성은 계절에 따라 변동하며, 이는 이주 패턴에 영향을 미친다. 태평양 연어는 번식을 위해 매년 상류로 이동하며,[7] 많은 조류는 겨울의 추위를 피해 따뜻한 지역으로 이동한다.[8]
  • 일주기성 이주: 하루를 주기로 발생하는 이주이다. 새는 일주기 리듬을 활용하여 이동을 조절하며, 겨울 동안 적도 근처에 머무는 새에게 유리하다. 이 새들은 뇌에서 최적의 이동 장소를 기억하고,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제공하는 타이밍 메커니즘을 가진다.[9] 많은 수생 동물은 일주기 수직 이동을 하며, 수백 미터 상하로 이동한다.[14] 일부 해파리는 매일 수백 미터의 수평 이동을 한다.[15]
  • 조석 이주: 조수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서식지를 이동하는 것이다. 먹이나 짝을 찾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조수는 유기체를 수 나노미터에서 수천 킬로미터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10] 조간대로 이동하는 것이 가장 흔하며,[10] 게, 선충, 작은 물고기 등이 조수가 오르내릴 때마다 이동한다. 간조 시에는 작은 종들이, 만조 시에는 큰 종들이 발견된다. 조석 이동은 종종 해류에 의해 촉진된다.[11][12][13]


대부분의 이동은 연간 주기로 이루어지지만, 일부는 일일 주기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3. 이주의 원인

동물 이주는 종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한다.[1][2][3] 따라서 이주에 대한 간단하고 보편적인 정의는 없다.[4] 동물학자 J. S. 케네디는 이주를 "동물 스스로의 운동 능력이나 차량에 적극적으로 탑승하여 이루어지는 지속적이고 똑바른 움직임"이라고 정의했다.[5]

이주는 지속적이고 똑바른 움직임, 큰 규모의 이동, 계절적 왕복 운동, 개체군 재분배라는 네 가지 개념을 포함한다.[4] 이주는 의무적일 수도, 선택적일 수도 있으며, 모든 개체가 이주하는 경우(완전 이주), 일부만 이주하는 경우(부분 이주), 연령이나 성별 등에 따라 이주 여부가 달라지는 경우(차등 이주)도 있다.[4] 기근이나 과밀화 등으로 인해 불규칙적인 이주가 발생하기도 한다.[6]

이주는 생물의 일생 동안 여러 번 반복되기도 하고, 한 번뿐인 이동도 있으며, 그 이동 패턴은 매우 다양하다. 조류, 어류, 포유류뿐만 아니라 플랑크톤, 곤충, 양서류, 파충류 등 다양한 생물에게서 이주가 관찰된다.

이주의 주요 원인으로는 먹이, 번식, 기후가 있다. 목적지까지 한 번에 이동하지 않고 중간 기착지에서 휴식을 취하는 경우도 있다.

3. 1. 먹이

이주는 주로 먹이가 풍부한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먹이 생산은 기후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먹이와 기후적 요인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8] 일반적으로 생물들은 혹독한 기후 조건을 피하기 위해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2. 번식

이주의 이유 중 하나는 번식을 위해서이다. 산란을 위해 회유하는 연어 등의 어류나 바다거북의 이동이 그 전형적인 예이다. 고래류도 번식을 위해 이동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1]

3. 3. 기후

기온은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이동의 주요 요인이다. 많은 종, 특히 철새는 겨울 동안 열악한 환경 조건을 피하기 위해 더 따뜻한 지역으로 이동한다.[8] 일반적으로는 혹독한 기후 조건을 피하기 위해 이동한다고 생각된다. 먹이의 생산은 기후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기후는 이주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이다.

4. 이주의 방향과 항법

일주기 이동은 새가 일주기 리듬을 활용하여 가을과 봄에 이동을 조절하는 현상이다. 일주기 이동에서 일주기(매일) 및 연주기(연간) 패턴의 시계는 새가 한 목적지에서 다음 목적지로 이동할 때 시간과 공간 모두에서 새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이동은 겨울 동안 적도 근처에 머무는 새에게 유리하며, 새의 뇌에서 최적의 이동 장소를 기억하기 위해 청각 및 공간 기억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해준다. 이 새들은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제공하는 타이밍 메커니즘도 가지고 있다.[9]

생물이 특정 방향으로 장거리를 이동하는 능력은 생물학의 수수께끼 중 하나이며, 흥미로운 연구 주제이다. 단세포 생물을 포함한 많은 생물이 에 반응하는 광수용 세포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이동 방향을 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1. 조류의 항법

조류는 여러 감각을 사용하여 항해한다. 많은 조류는 태양 나침반을 사용하며, 하루 중 태양의 위치 변화를 보상해야 한다.[20] 자기장 감지 능력도 항해에 포함된다.[21]

다양한 실험을 통해 조류는 태양이나 , 별자리천체를 이용하여 방향을 찾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이나 해안선과 같은 지형상의 특징적인 선도 이동에 이용하는 것이 관찰되고 있다.

4. 2. 어류의 항법

많은 종의 연어는 번식을 위해 강을 거슬러 올라간다.


어류에서는 연어가 모천으로 회귀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후각을 이용하여 태어난 강의 냄새를 기억하기 때문이라고 밝혀졌다.[23]

4. 3. 곤충의 항법

일부 날개 달린 곤충들, 예를 들어 메뚜기와 특정 나비잠자리는 장거리를 이동한다. 잠자리 중에서는 Libellula와 Sympetrum 종이 대량 이동으로 알려져 있으며, Pantala flavescens(왕잠자리)는 세계 일주 잠자리 또는 방랑하는 활강 잠자리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와 아프리카 사이에서 곤충 중 가장 긴 해양 횡단을 한다.[26] 예외적으로, 사막 메뚜기인 Schistocerca gregaria의 떼는 1988년 10월에 열대 수렴대의 기류를 이용하여 대서양을 가로질러 4500km 서쪽으로 날아갔다.[27]

나비 이동 중 일부, 예를 들어 제왕나비와 색시각시나비의 경우, 개별 개체가 전체 이동을 완료하지 않는다. 대신 나비는 이동 중에 짝짓기를 하고 번식하며, 다음 세대가 이동을 계속한다.[28]

단세포 생물을 포함한 많은 생물이 에 반응하는 광수용 세포를 가지고 있으며, 이 기능을 이용하여 이동 방향을 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다양한 동물의 이주

다양한 종류의 동물들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이주한다.

이주는 생물의 일생 중 여러 번 같은 이동 주기를 반복하는 것부터, 태어난 장소로 돌아와 사멸하는 한 번뿐인 이동까지 매우 다양한 패턴으로 나타난다. 이주를 하는 생물은 조류, 어류, 포유류뿐만 아니라 플랑크톤 등의 무척추동물, 곤충, 양서류, 파충류에서도 관찰된다.

이주의 이유는 주로 세 가지이다. 첫째는 먹이가 풍부한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고, 둘째는 번식을 위해서이다. 산란을 위해 회유하는 연어 등의 어류나 바다거북의 이동이 대표적인 예이다. 고래류도 번식을 위해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셋째는 기후적 요인이다. 먹이의 생산은 기후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첫 번째 요인인 먹이와 매우 관련이 깊다. 일반적으로는 혹독한 기후 조건을 피하기 위해 이동한다고 생각된다.

목적지까지 한 번에 이동하지 않고 도중에 중계지에서 일정 기간 휴식을 취하는 경우도 있다.

5. 1. 조류의 이주

전 세계적으로 약 1,800종의 조류 종이 매년 계절에 따라 장거리를 이동한다.[16] 이러한 이동의 대부분은 남북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종들은 여름에는 북쪽 고위도에서 먹이를 먹고 번식하며 겨울에는 수백 킬로미터 남쪽으로 이동한다.[17] 일부 종은 이러한 전략을 확장하여 매년 북반구와 남반구 사이를 이동한다. 북극 제비갈매기는 어떤 조류보다 가장 긴 이동 거리를 가지고 있는데, 매년 북극 번식지에서 남극까지 왕복하며 최소 19000km의 거리를 이동하여 매년 두 번의 여름을 보낸다.[18]

남쪽으로 이동하기 전 모이는 새떼


조류 이동은 주로 낮의 길이에 의해 조절되며, 이는 조류의 신체 내 호르몬 변화로 신호를 보낸다.[19] 이동 시 조류는 여러 감각을 사용하여 항해한다. 많은 조류는 태양 나침반을 사용하며, 이 때문에 하루 중 태양의 변화하는 위치를 보상해야 한다.[20] 항해에는 자기장 감지 능력이 포함된다.[21]

5. 2. 어류의 이주



대부분의 물고기 종은 이동이 비교적 제한적이며, 단일 지리적 영역에 머물면서 월동하거나, 산란하거나, 먹이를 섭취하기 위해 짧은 거리를 이동한다. 그러나 수백 종의 물고기는 장거리를 이동하며, 어떤 경우에는 수천 킬로미터에 달하기도 한다. 여러 종의 연어를 포함하여 약 120종의 물고기는 바닷물과 민물을 오가는데, 이들을 '양서류'라고 부른다.[22][23]

사료 물고기인 청어열빙어는 북대서양의 상당 부분을 이동한다. 예를 들어 열빙어는 아이슬란드의 남부 및 서부 해안 주변에서 산란하며, 그 유충은 아이슬란드 주변을 시계 방향으로 표류한다. 한편, 열빙어는 먹이를 먹기 위해 얀마옌 섬 북쪽으로 헤엄쳐 가서 그린란드 동부 해안과 평행하게 아이슬란드로 돌아온다.[24]

'정어리 런'에서 수십억 마리의 남아프리카 정어리 ''Sardinops sagax''는 아굴라스 뱅크의 차가운 물에서 산란하며 5월과 7월 사이에 남아프리카 공화국 동부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한다.[25]

5. 3. 포유류의 이주

세렝게티에서 일어나는 대이동과 같이, 일부 포유류들은 대규모 이동을 한다.[30] 이 이동은 매년 순환하는 패턴을 보이며, 약 170만 마리의 가젤, 얼룩말을 포함한 수십만 마리의 다른 대형 야생 동물들이 참여한다.[31][32] 과거에는 20종 이상의 포유류들이 대규모 이동을 했거나, 현재도 진행 중이다.[33] 하지만 스프링복, 검은 누, 블레스복, 사브르뿔오릭스, 쿨란의 이동은 중단되었다.[34]

멕시코 자유 꼬리 박쥐와 같은 일부 박쥐 종은 오리건과 멕시코 남부 사이를 대규모로 이동한다.[35] 고래와 같은 고래류에게도 이동은 중요한데, 일부 종은 먹이를 찾거나 번식하기 위해 서식지를 이동한다.[36]

순록은 지구상에서 가장 긴 육상 이동을 하는 포유류 중 하나로, 북미에서 연간 4868km를 이동한다. 그러나 1년 동안 가장 많이 이동하는 포유류는 회색 늑대로, 한 회색 늑대는 연간 총 7247km를 이동했다.[29]

사람은 일반적으로 한 곳에 정착하여 생활하지만, 이동 방목과 같이 목동과 가축이 계절에 따라 산과 계곡 사이를 이동하거나, 유목민처럼 계절별로 이동하는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37][38]

5. 4. 곤충의 이주

강력한 비행 능력을 가진 일부 날개 달린 곤충들, 예를 들어 메뚜기, 특정 나비, 잠자리는 장거리를 이동한다. 잠자리 중에서는 Libellula와 Sympetrum 종이 대량 이동으로 알려져 있으며, Pantala flavescens는 세계 일주 잠자리 또는 방랑하는 활강 잠자리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와 아프리카 사이에서 곤충 중 가장 긴 해양 횡단을 한다.[26] 예외적으로, 사막 메뚜기인 Schistocerca gregaria의 떼는 1988년 10월에 열대 수렴대의 기류를 이용하여 대서양을 4500km 서쪽으로 날아갔다.[27]

나비 이동 중 일부, 예를 들어 제왕나비와 색시각시나비의 경우, 개별 개체가 전체 이동을 완료하지 않는다. 대신 나비는 이동 중에 짝짓기를 하고 번식하며, 다음 세대가 이동을 계속한다.[28]

인도 Coorg에서 이동하는 Pantala flavescens(왕잠자리) 무리

5. 5. 기타 동물의 이주

바다거북은 번식을 위해 장거리를 이동한다. 부화한 바다거북은 땅속 둥지에서 나와 물로 기어가서 먼바다로 헤엄쳐 나간다.[39] 어린 푸른바다거북은 지구 자기장을 이용하여 항해한다.[40]

크리스마스 섬 붉은 게의 연간 이동


일부 갑각류도 이동하는데, 대개 육상에서 생활하는 크리스마스 섬 붉은 게는 매년 수백만 마리씩 떼를 지어 이동한다. 다른 게들과 마찬가지로 아가미를 사용하여 호흡하며, 아가미는 항상 축축해야 하므로 햇빛을 피하여 햇볕을 가릴 수 있는 굴을 파고 생활한다. 굴 근처 육지에서 짝짓기를 한다. 암컷은 복부의 육아낭에서 두 주 동안 알을 품는다. 그런 다음 바다로 돌아가 달의 마지막 사분기에 만조 때 알을 방출한다. 유생은 몇 주 동안 바다에서 시간을 보내고 육지로 돌아온다.[41][42]

6. 이주 연구 방법

식별을 위해 꼬리표가 부착된 이동성 나비인 제왕나비


동물 이주 경로와 패턴을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사용된다. 과거에는 새 다리표와 같은 식별 표지를 이용해 동물을 추적했지만, 실제 이동 경로를 알기 어렵고 회수율이 낮았다.

최근에는 무선 추적 칼라나 GPS 동물 추적 같은 전자 장치를 사용한다. GPS 장치는 정확한 위치를 제공하지만 무겁고 비싸다. 아르고스 도플러 태그(PTT)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위치를 추정하며, 지리 위치 측정기는 작은 새에게 적합하다. 무선 추적 태그는 잠자리꿀벌 같은 곤충에도 사용된다.[45]

6. 1. 전통적인 방법

과학자들은 동물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관찰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사용한다. 전통적으로는 동물에게 새 다리표와 같은 식별 표지를 부착하여 나중에 회수하는 방식을 사용했다.[43] 그러나 이 방법은 방생과 회수 사이의 실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고, 표지를 부착한 개체 중 일부만 회수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6. 2. 현대적인 방법

과학자들은 동물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과거에는 새 다리표와 같은 식별 표지를 부착하여 동물을 추적했지만, 이 방법으로는 동물이 실제로 이동한 경로를 알 수 없었고, 표지를 부착한 동물 중 일부만 회수할 수 있었다. 최근에는 전파 발신기를 부착하여 동물의 위치를 추적하는 무선 추적 칼라와 같은 전자 장치를 사용한다.

GPS 동물 추적은 동물의 정확한 위치를 정기적으로 알려주지만, GPS가 없는 장치보다 무겁고 비싸다. 이보다 무게와 비용 부담이 적은 대안으로 '플랫폼 송신기 터미널'(PTT)이라고도 하는 아르고스 도플러 태그가 있는데, 극궤도 아르고스 위성에 정기적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도플러 효과를 통해 동물의 위치를 추정한다.[43] 지리 위치 측정기는 더 무거운 장치를 휴대할 수 없는 작은 새에게 적합한 기술로, 새가 비행할 때 광도를 기록하여 재포획 시 분석한다.[44] 무선 추적 태그는 잠자리꿀벌을 포함한 곤충에도 부착할 수 있다.[46]

7. 이주와 관련된 문화

과거에는 동물 이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특정 지역에서 새가 사라지거나 갑자기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다양한 민간 설화와 잘못된 설명이 만들어졌다. 고대 그리스아리스토텔레스는 유럽울새가 여름이 되면 붉은꼬리울새로 변한다고 주장했다.[47] 흰뺨기러기는 유럽 중세의 동물 우화집과 필사본에서 나무에 열매처럼 열리거나, 뗏목 조각에 붙은 거북손에서 자라난다고 설명되었다.[48] 제비는 한때 길버트 화이트와 같은 박물학자들조차도 물속, 진흙 투성이 강둑, 또는 나무 속이 비어있는 곳에서 동면한다고 생각했다.[49]

참조

[1] 서적 The Trials of Life Collins/BBCBooks
[2] 간행물 Downstream migration and hematophagous feeding of newly metamorphosed sea lampreys (Petromyzon marinus Linnaeus, 1758)
[3] 웹사이트 National Geographic. Why Animals Migrate https://education.na[...] 2011-07-28
[4] 간행물 What is migration?
[5] 서적 Migration: Mechanisms and Adaptive Significance: Contributions in Marine Science Marine Science Institute
[6] 문서
[7] 웹사이트 About Pacific Salmon http://www.psc.org/a[...] Pacific Salmon Commission 2020-04-30
[8] 웹사이트 The Basics of Bird Migration: How, Why, and Where. https://www.allabout[...] 2020-04-30
[9] 간행물 Circadian and circannual programmes in avian migration
[10] 간행물 Go with the flow: tidal migration in marine animals
[11] 간행물 The missing link: tidal-influenced activity a likely candidate to close the migration triangle in brown shrimp Crangon crangon (Crustacea, Decapoda) 2014
[12] 간행물 Tidal migration and patterns in feeding of the four-eyed fish Anableps anableps L. in a north Brazilian mangrove https://epic.awi.de/[...]
[13] 간행물 Go with the Flow: Tidal Migration in Marine Animals
[14] 간행물 Demographic strategy of vertical migration by a marine copepod
[15] 간행물 Long-distance horizontal migrations of zooplankton (Scyphomedusae: Mastigias)
[16] 간행물 Conservation ecology: area trumps mobility in fragment bird extinctions
[17] 서적 Bird Migration: A General Survey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19] 간행물 Stopover decision during migration: physiological conditions predict nocturnal restlessness in wild passerines
[20] 서적 Animal Navigation Pan Books
[21] 간행물 A Visual Pathway Links Brain Structures Active during Magnetic Compass Orientation in Migratory Birds
[22] 문서 Fish Migration: strategy and tactics
[23] 간행물 Usage of Anadromous, Catadromous and allied terms for migratory fishes
[24] 간행물 Modelling and simulations of the migration of pelagic fish http://escholarship.[...] 2009
[25] 간행물 A review and tests of hypotheses about causes of the KwaZulu-Natal sardine run http://www.nisc.co.z[...]
[26] 간행물 Insect Migration
[27] 웹사이트 Chapter 11: The Longest Migration http://www.entnemdep[...] Department of Entomology & Nematology University of Florida 1995-05-08
[28] 간행물 Multi-generational long-distance migration of insects: studying the painted lady butterfly in the Western Palaearctic http://nora.nerc.ac.[...]
[29] 간행물 Longest terrestrial migrations and movements around the world 2019-12
[30] 뉴스 The Great Migration, an epic journey of animals across East Africa https://sportsafari.[...] Nile Sport Safari 2024-09-30
[31] 웹사이트 How to Get There, Ngorongoro Crater http://www.ngorongor[...] Ngorongoro Crater Tanzania 2014-06-19
[32] 웹사이트 Ngorongoro Conservation Area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 World Heritage Centre 2014-06-19
[33] 간행물 Global decline in aggregated migrations of large terrestrial mammals https://www.int-res.[...] 2009-04
[34] 간행물 Wildebeest no more: The death of Africa's great migrations https://www.newscien[...] 2017-12-09
[35] 웹사이트 Bats & Migration http://www.batconser[...] Organization for Bat Conservation 2014-06-19
[36] 서적 The Migration of Whales
[37] 웹사이트 Migration vs. Immigration: Understanding the Nuances https://thewordpoint[...] 2020-08-27
[38] 간행물 Implications of changes to the transhumance system for conservation of the mountain catchments in eastern Lesotho
[39] 서적 Migration of Organisms Springer
[40] 간행물 Geomagnetic map used in sea-turtle navigation 2004
[41] 웹사이트 Red Crabs http://www.parksaust[...] Parks Australia 2013
[42] 간행물 Ecology and behaviour of Gecarcoidea natalis, the Christmas Island red crab, during the annual breeding migration https://www.biodiver[...] 2001-06
[43] 웹사이트 What is animal tracking? https://www.movebank[...] Movebank: For Animal Tracking Data
[44] 간행물 Tracking Long-Distance Songbird Migration by Using Geolocators 2009-02-13
[45] 간행물 Going wild: what a global small-animal tracking system could do for experimental biologists The Company of Biologists 2007-01-15
[46] 웹사이트 Tracking Migration of Dragonflies, Sparrows, and Bees http://www.nationalg[...] National Geographic
[47] 웹사이트 The Earthlife Web – What is Bird Migration http://www.earthlife[...]
[48] 웹사이트 Medieval Bestiary – Barnacle Goose http://bestiary.ca/b[...]
[49] 서적 Birds Britannica Chatto & Windus
[50] 뉴스 秋本番! 独自の冬支度をする動物たち 5選 https://natgeo.nikke[...] 日経BP 2019-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