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리안 (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리안(Durian)은 말레이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가시를 가진 것"이라는 뜻이며, 학명은 Durio zibethinus이다.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상록수로, 20~30cm 크기에 1~6kg 무게의 열매를 맺는다. 열매는 가시 덮인 껍질 안에 황백색의 과육과 종자를 가지고 있으며, 1-프로판티올 등 황 화합물을 포함한 휘발성 성분으로 인해 강렬한 냄새를 풍긴다.
두리안은 다양한 품종이 있으며, Mon Thong, Chanee, Kan Yao 등이 대표적이다. 과육은 생으로 먹거나 파이, 잼 등 가공식품으로 이용되며, 독특한 맛과 강한 냄새로 인해 호불호가 갈린다. 두리안의 냄새 때문에 일부 공공장소에서는 반입이 금지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헬릭테레스아과 - 두리안
두리안은 동남아시아 원산의 열대 과일로, 가시 덮인 껍질과 강렬한 냄새, 크리미한 과육이 특징이며, 다양한 맛과 향으로 호불호가 갈리고 풍부한 영양 성분과 활용도에도 불구하고 냄새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 반입이 금지되기도 하며, 최근 수요 급증으로 환경 문제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 브루나이의 식물상 - 인도네시아계피나무
인도네시아계피나무는 동남아시아 원산의 상록수로, 껍질은 계피로, 잎은 향신료로, 목재는 가구 재료로 사용되며, 중국 한약재로도 쓰인다. - 브루나이의 식물상 - 살람 (식물)
살람은 독특한 풍미를 지닌 잎으로, 인도네시아와 수리남 요리에 널리 사용되며, 특유의 향으로 대체가 어려워 한국 요리 활용 연구가 진행 중인 식물이다. - 인도네시아의 나무 - 람부탄
람부탄은 동남아시아 원산의 열대 과일로, 붉은색 껍질과 털이 특징이며, 생으로 먹거나 가공하여 섭취하고, 따뜻한 기후에서 잘 자라 곤충에 의해 수분된다. - 인도네시아의 나무 - 사탕야자
사탕야자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자생하는 20m 높이의 야자수로, 수액은 설탕, 식초, 야자술 등으로, 미성숙 과일은 통조림으로, 열매 자루는 장작이나 가구 재료로, 섬유질 껍질은 밧줄, 솔, 빗자루 등으로 활용되는 중요한 식량 및 생활 자원이다.
두리안 (종)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Durio zibethinus |
명명자 | L. |
명명 년도 | 1774년 |
한국어 이름 | 두리안 |
영어 이름 | durian |
이명 | Durio acuminatissimus Merr. Durio stercoraceus Noronha nom. inval. |
![]() |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속씨식물군 |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목 | 아욱목 |
과 | 아욱과 |
아과 | Helicteroideae |
속 | 두리안속 |
종 | 두리안 |
영양 정보 (생 두리안, 100g 기준) | |
에너지 | 556 kJ |
수분 | 66.4 g |
단백질 | 2.3 g |
지방 | 3.3 g |
포화 지방 | 1.18 g |
단일 불포화 지방 | 1.18 g |
다중 불포화 지방 | 0.28 g |
탄수화물 | 27.1 g |
식이 섬유 | 2.1 g |
수용성 식이 섬유 | 0.7 g |
불용성 식이 섬유 | 1.4 g |
칼륨 | 510 mg |
칼슘 | 5 mg |
마그네슘 | 27 mg |
인 | 36 mg |
철 | 0.3 mg |
아연 | 0.3 mg |
구리 | 0.19 mg |
망간 | 0.31 mg |
셀레늄 | 1 µg |
베타카로틴 | 36 µg |
비타민 A | 3 µg |
비타민 E | 2.3 mg |
티아민 (비타민 B1) | 0.33 mg |
리보플라빈 (비타민 B2) | 0.20 mg |
니아신 (비타민 B3) | 1.4 mg |
비타민 B6 | 0.25 mg |
엽산 | 150 µg |
판토텐산 | 0.22 mg |
비오틴 (B₇) | 5.9 µg |
비타민 C | 31 mg |
비고 | 비타민 E는 α─토코페롤만 표시함. 시료: 과피를 제거한 냉동품. 폐기 부위: 씨앗 |
2. 명칭
영어로는 두리안(durian)이라고 불리지만, 그 어원은 말레이어 durianms(두리안)으로 "가시(durims: 두리)를 가진 것"이라는 뜻이다. 태국어로는 투리안(ทุเรียน)이다. 베이징어로는 '''榴蓮'''중국어(류롄), 광둥어로는 (라우림)이다.
두리안(''Durio zibethinus'')은 동남아시아의 말레이 반도와 인도네시아가 원산지인 상록수이다.[4] 주로 저지대 밀림에 자생하며, 나무 높이는 최대 45m까지 자랄 수 있으나, 과수원에서는 보통 10m 정도로 관리한다. 피라미드 모양의 수관을 형성하며, 줄기는 곧게 뻗고 가지는 거의 수평으로 강인하게 뻗어 나간다. 나무의 목재는 붉은 갈색을 띤다.[4]
학명인 속명 라틴어 ''Durio''도 여기에서 유래되었다. 종소명인 ''zibethinus''는 "사향의 향기를 가진"이라는 의미의 형용사이다. 따라서 학명 ''Durio zibethinus''는 '사향 향기가 나는 가시 달린 것'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3. 식물학적 특징 및 생태
영어 이름 'durian'은 말레이어 durian|두리안ms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가시(duri)를 가진 것"이라는 뜻이다. 태국어로는 투리안(ทุเรียน), 중국어로는 榴蓮|류롄중국어, 광둥어로는 榴槤|라우린yue이라고 한다. 학명 ''Durio zibethinus''에서 속명 ''Durio'' 역시 이 말레이어에서 왔으며, 종소명 ''zibethinus''는 라틴어로 "사향의 향기를 가진"이라는 의미이다. 즉, 학명은 '가시를 가지고 사향 향기가 나는 것'을 뜻한다. ''D. zibethinus''는 가장 대표적인 두리안 재배종이며, 이 외에도 30여 종이 더 알려져 있다.
잎은 어긋나기를 하며, 길이는 10cm-18cm, 폭은 약 5cm인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잎 표면은 엷은 녹색으로 광택이 있고, 뒷면은 둔한 구리색을 띤다.
꽃은 크고 흰색이며 5개의 꽃잎을 가진다. 줄기나 큰 가지에서 나온 꽃자루에 여러 개가 뭉쳐서 매달리며, 버터나 상하기 시작한 우유와 비슷한 냄새를 풍긴다. 꽃은 오후에 피어나 저녁에 꽃가루를 퍼뜨리고, 다음 날 아침에는 꽃받침, 꽃잎, 수술이 떨어져 암술만 남게 된다.[4] 이 꽃은 밤에 활동하는 박쥐를 유인하여 수분하는데, 박쥐는 꿀을 얻는 대가로 꽃가루를 멀리까지 운반한다.[4]
열매는 굵은 과경 끝에 여러 개씩 달리며, 수분 후 약 14주가 지나면 성숙한다. 크기는 20cm-30cm, 무게는 1kg-6kg 정도이다. 열매의 겉껍질은 연두색을 띠며 나무질처럼 단단하고, 표면 전체가 단단한 사각뿔 모양의 가시로 덮여 있다. 내부는 4-5개의 방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 방에는 황백색의 크림 같은 과육(가종피)과 그 안에 2-3개의 큰 종자가 들어 있다.
두리안 열매는 특유의 강렬한 냄새로 유명한데, 이 냄새는 멧돼지, 원숭이, 코끼리와 같은 대형 포유류를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 동물들이 열매를 먹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서 씨앗을 퍼뜨리게 되는데, 일부 씨앗은 통째로 삼켜져 동물의 분뇨와 함께 배출되어 새로운 곳에서 싹을 틔운다.
이 강렬한 냄새의 주된 원인은 황 화합물인 1-프로판티올(C3H8S)이며, 이 외에도 에스테르, 알코올, 알데히드 계열의 다양한 휘발성 성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독특한 향을 만들어낸다. 2017년 독일 연구진은 과일 향을 내는 에틸 (2''S'')-2-메틸부타노에이트와 볶은 양파 냄새를 내는 1-(에틸설파닐)에테인-1-티올을 특정 비율로 혼합하여 두리안 특유의 향을 재현할 수 있음을 밝혔다.[20] 같은 해 싱가포르 연구팀은 두리안의 게놈 초안을 해독했다.[21]
3. 1. 품종
수 세기 동안 동남아시아에서는 많은 두리안 품종이 무성 복제를 통해 개발되었다. 과거에는 품질 좋은 열매를 맺는 나무의 씨앗을 이용해 재배했지만, 현재는 주로 접목, 취목 또는 임의로 선택된 대목 묘목에 발아, 접목, 쐐기 또는 U자형 접목을 하여 번식시킨다. 품종마다 가시 모양 등 과일의 형태가 조금씩 달라 구별할 수 있다.[4] 두리안 소비자들은 특정 품종을 선호하며, 이러한 품종은 시장에서 더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6]
대부분의 품종은 "D"로 시작하는 고유한 이름과 코드 번호를 가지고 있다. 각 품종은 독특한 맛과 향을 지닌다. 태국에는 ''D. zibethinus''의 200개 이상의 품종이 존재한다. 주요 품종은 다음과 같다.
태국에서 현재 대규모 상업 재배가 이루어지는 품종은 Chanee, Mon Thong, Kan Yao, Ruang, Kradum이다.[7] 말레이시아에서는 1920년대 이후 100개 이상의 품종이 등록되었으며,[8] 1992년까지 총 193개 품종이 등록되었다.[9] 매년 열리는 말레이시아 농업, 원예, 농업 관광 쇼(MAHA)의 경연을 통해 많은 우수한 품종이 발굴되었다. 베트남에서는 남부 과일 연구소(SOFRI)를 통해 품종 경쟁이 이루어진다.
2007년까지 태국 정부 과학자 송폴 솜스리(Songpol Somsri)는 90개 이상의 두리안 품종을 교배하여 특유의 냄새가 없는 'Chantaburi No. 1'을 개발했다.[11] 또 다른 교배종인 'Chantaburi No. 3'은 수확 후 약 3일이 지나야 냄새가 나기 시작하여, 냄새 없이 운송이 가능하면서도 두리안 특유의 톡 쏘는 향을 선호하는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11] 2012년 5월 22일, 이러한 품종이 개발된 우따라딧 주의 지사 요틴 사뭇키리(Yothin Samutkhiri)는 냄새가 거의 없는 태국산 두 품종, Long Laplae와 Lin Laplae를 공개하고 라프래 구의 연례 두리안 축제 날짜와 함께 두 품종의 이름을 발표했다.[12]
4. 재배
두리안의 원산지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이다. 과실의 인기가 높아 태국, 인도 남부, 오스트레일리아 북서부 등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4. 1. 한국에서의 재배
오키나와현에는 두리안 나무가 심어져 있다. 꽃이 피는 경우는 있지만, 결실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교토부의 교토부립 식물원에도 두리안 나무가 심어져 있다.
5. 영양 성분
생 두리안은 65%의 물, 27%의 탄수화물, 5%의 지방, 1%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100g의 기준량에서 생 두리안은 147 칼로리의 음식 에너지를 제공하며, 비타민 C (1일 영양소 기준치(DV)의 22%), 티아민 (DV 31%), 그리고 구리 (DV 23%)의 풍부한 공급원(DV 20% 이상)이다.[26] 또한 비타민 B군, 리보플라빈, 비타민 B6, 그리고 망가니즈, 칼륨의 중간 공급원(DV 10-19%)이기도 하다.[26]
6. 이용
인간도 두리안 과실을 즐겨 먹으며, 주로 먹는 부분은 종자 주변의 크림 같은 가종피(과육)이다. 과일 내부는 4~5개의 방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 방에는 황백색의 크림 같은 과육(가종피)이 들어 있고, 그 안에 2~3개의 큰 종자가 있다.
종자는 굽거나 삶아서 먹을 수 있다.[13] 하지만 두리안 산지에서도 종자를 먹는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 버려진다.
신선한 과일로 먹는 것 외에 파이 등 다양한 가공식품으로도 활용된다.
7. 문화
두리안의 맛과 강렬한 냄새는 사람들의 반응을 극명하게 나누는 특징이 있다. 어떤 이들은 그 독특한 풍미를 즐기지만, 다른 이들은 강한 거부감을 느낀다.
영국의 작가 앤서니 버지스는 두리안의 맛을 "화장실에서 먹는 달콤한 라즈베리 블랑망제"와 같다고 표현했으며, 미국의 유명 요리사이자 방송인인 앤서니 보데인은 "입안이 죽은 할머니와 딥키스를 하는 냄새가 난다"는 강렬한 비유를 남겼다. 이러한 표현들은 두리안에 대한 상반된 인식을 잘 보여준다.
두리안 특유의 강한 냄새는 밀폐된 공간에서 견디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호텔이나 항공사에서는 객실이나 항공기 내로 두리안을 반입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며, 이를 알리는 안내문을 흔히 볼 수 있다.
두리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도 독특한 문화가 나타난다. 동양인 구매자들은 종종 두리안에 귀를 대고 손톱으로 겉껍질을 긁어보는 행동을 하는데, 이는 과육이 속껍질에서 잘 떨어져 있는지 확인하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여겨진다.
한편, 두리안을 직접 경험해보지 못한 서양인 중 일부는 그 평판만 듣고 부정적인 선입견을 갖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19세기 영국의 박물학자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보르네오에서 맛본 두리안의 풍미를 극찬하며 긍정적인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Plant List: A Working List of All Plant Species
http://www.theplantl[...]
2014-07-03
[2]
웹사이트
Durio zibethinus
http://www.worldagro[...]
[3]
웹사이트
A traveler´s guide to Durian Season
http://www.yearofthe[...]
[4]
서적
Durio – A Bibliographic Review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Plant Genetic Resources Institute (IPGRI)
2014-06-03
[5]
논문
The draft genome of tropical fruit durian (Durio zibethinus)
2017-10-09
[6]
웹사이트
ST Foodies Club – Durian King
http://www.stomp.com[...]
The Straits Times
2007-07-25
[7]
웹사이트
Durian Exporting Strategy, National Durian Database (กลยุทธการส่งออกทุเรียน)
http://it.doa.go.th/[...]
Department of Agriculture, Thailand
2010-07-26
[8]
웹사이트
Comprehensive List of Durian Clones Registered by the Agriculture Department (of Malaysia)
http://www.ecst.csuc[...]
Durian OnLine
2006-03-05
[9]
웹사이트
Boosting Durian Productivity
https://rirdc.infose[...]
2014-07-03
[10]
뉴스
Durian lovers head north on day tours
http://travel.asiaon[...]
2009-06-23
[11]
뉴스
Fans Sour on Sweeter Version of Asia's Smelliest Fruit
https://www.nytimes.[...]
2008-11-20
[12]
웹사이트
Odourless durians to hit the market – The Nation
http://www.nationmul[...]
2014-07-03
[13]
서적
Tropical Trees of the Pacific
https://archive.org/[...]
Hargreaves
[14]
YList
2024-08-26
[15]
웹사이트
The Plant List: A Working List of All Plant Species
http://www.theplantl[...]
2014-07-03
[16]
웹사이트
Durio zibethinus
http://www.worldagro[...]
[17]
웹사이트
A traveler´s guide to Durian Season
http://www.yearofthe[...]
[18]
문서
日本食品標準成分表2015年版(七訂)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19]
문서
日本人の食事摂取基準(2015年版)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
논문
Insights into the Key Compounds of Durian (Durio zibethinus L. ‘Monthong’) Pulp Odor by Odorant Quantitation and Aroma Simulation Experiments
[21]
논문
The draft genome of tropical fruit durian (Durio zibethinus)
[22]
웹인용
Durio zibethinus L.
http://www.theplantl[...]
2019-06-11
[23]
웹인용
Durio zibethinus L.
http://www.plantsoft[...]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06-11
[24]
문서
Systema Vegetabilium
1774
[25]
웹인용
Durio zibethinus L.
https://npgsweb.ars-[...]
2019-06-11
[26]
웹인용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http://ndb.nal.usd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3-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