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등선은 항해 안전을 위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빛을 비추는 선박이다. 1731년 영국에서 최초로 설치되었으며, 초기에는 개인의 사적 투자로 운영되었다. 이후 트리니티 하우스와 같은 공공 기관이 운영을 맡아 잉글랜드와 웨일스 해안에 등선을 설치했다. 20세기에는 무인화가 진행되었고, 태양광 발전 방식을 도입하여 운영 비용을 절감했다. 등선은 돛대와 등화를 설치하여 시야를 확보했으며, 초기에는 나무 선체를 사용했으나, 점차 철과 강철 선체로 대체되었다. 미국, 일본, 독일 등 다양한 국가에서 등선을 운용했으며, 한국의 등선에 대한 기록은 명확하지 않지만, 일제강점기에 주요 항만에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기술 발전으로 인해 등부표나 고정식 해상 구조물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등선은 등대를 건설하기에는 수심이 너무 깊은 곳에서 해상 교통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박이다. 부표보다 시인성이 뛰어나며, 해양 및 기상 관측, 항행 선박 감시 등의 기능도 수행한다. 일반적인 등선은 닻으로 고정된 비자항식 폰툰(부선)이지만, 추진기를 갖춘 자항식 등선도 있다.
등선 설계의 핵심은 빛을 발산하는 높은 돛대와 안정적인 정박, 그리고 승무원 공간 및 장비 적재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2. 역사
초기 등선 설계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불빛을 설치하기 위한 높은 돛대였다. 초기에는 돛대에 유등을 매달아 올렸지만, 나중에는 고정식 램프와 프레넬 렌즈를 사용했다. 일부 등선에는 예비 등대를 위한 두 번째 돛대도 있었다.
초기 등선의 선체는 나무로 제작되었으나, 영구 정박에는 부적합하여 롤링과 충격을 줄이는 형태로 발전했다. 철과 강철 선체가 보편화되면서 등선에도 사용되었고, 증기 및 디젤 동력의 발달로 자체 추진 및 전기 조명 설계가 등장했다. 초기 등선은 추진 시스템이 없어 예인되어야 했다.
등선 승무원의 주요 임무는 불빛을 유지하는 것이었으며, 그 외에 통과 선박 기록, 날씨 관찰, 구조 작업 등을 수행했다. 20세기 초에는 시야가 좋지 않을 때 위험을 경고하고 위치를 알리기 위해 경고용 벨이 설치되기도 했다. 트리니티 하우스의 실험에 따르면, 약 5.49m 깊이에 잠긴 벨 소리는 약 24.14km까지 들렸으며, 실제로는 약 1.61km 에서 약 4.83km의 실용 범위를 가졌다.[2][3]
2. 1. 초기 역사
1731년 영국 템스강 어귀 노어(Nore)에 최초의 등선이 설치되었다. 이는 데이비드 에이버리와 로버트 햄블린의 사적 투자로 이루어졌으며, 등선 운영을 통해 수익을 창출했다.[2] 초기 등선은 주로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돛대에 유등을 매달아 올리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2. 2. 발전 과정
19세기 초부터 등선은 모양에서 이름을 따온 버섯 닻을 사용했으며, 무게는 일반적으로 3~4톤이었다. 최초로 버섯 닻을 장착한 등선은 개조된 어선으로, 1807년 9월 15일 스코틀랜드 인치케이프 근처에서 1.5ton 무게의 닻을 장착한 "파로스"(등대라는 의미)였다.[4] 1820년대에 주철 닻 쇠사슬이 도입되면서 그 효과가 획기적으로 향상되었으며, 경험 법칙에 따르면 수심 1피트당 약 1.83m의 쇠사슬을 사용했다.
초기 등선은 플루크 닻을 사용했지만, 이 닻은 끌림이 발생하기 쉬워 거친 바다에서는 성능이 만족스럽지 못했다.
철과 강철 선체가 대중화되면서 등선에 사용되었고, 증기 및 디젤 동력의 출현으로 자체 추진식 및 전기 조명 설계가 등장했다. 초기 선박에는 추진 시스템이 없었고, 위치로 끌고 가야 했다.
프레넬 렌즈가 사용 가능해지면서 많은 선박이 등대 랜턴의 소형 버전에 이 렌즈를 장착했다.
2. 3. 20세기 이후
20세기 초, 일부 등선에는 안개 속에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종이나 안개 경적이 설치되었다. 1930년대 영국에서는 무인 등선 운용이 제안되었다. 1995년 영국에서 태양광 발전 등선으로의 전환이 시작되었으며, 대부분의 등선이 무인화 및 자동화되었다. 현대에는 기술 발전으로 인해 등선은 점차 등부표나 고정식 해상 구조물로 대체되고 있다.[1]
3. 설계 및 구조
초기에는 돛대에 유등을 올려 정비할 수 있도록 내릴 수 있었지만, 나중에는 고정식 램프를 설치했다. 프레넬 렌즈가 사용 가능해지면서 많은 등선이 등대 랜턴의 소형 버전에 이 렌즈를 장착했다. 일부 등선에는 주 불빛 고장 시를 대비하여 예비 등대를 수용하는 두 번째 돛대가 있었다.
선박의 많은 부분은 램프 오일 및 기타 보급품 보관소와 승무원 숙소로 채워졌다. 승무원의 주요 임무는 불빛을 유지하는 것이었고, 그 외의 업무에는 통과하는 선박의 기록 유지, 날씨 관찰, 때때로 구조 작업 수행 등이 포함되었다.
등선은 등대를 건설하기에는 수심이 너무 깊은 곳에서 사용되며, 해안선을 표시하는 대신 해상 교통로를 표시한다. 부표보다 시인성이 높으므로 해상 교통 지원 수단으로 우수하다. 또한 해양학 연구를 위한 기록 장비를 갖춘 해양 관측, 기상 관측소, 항행하는 선박 감시 등의 기능도 수행한다. 일반적인 등선은 닻으로 고정되며, 비자항식 폰툰(부선)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추진기를 갖추고 자항이 가능한 등선도 있으며, 원래 등대나 등선의 고장 및 수리 점검 시 대행을 하거나, "Finngrundet"처럼 북극해에서 얼음이 없는 여름에만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3. 1. 선체
초기 등선은 선체를 나무로 만들었으나, 점차 철과 강철 선체로 대체되었다. 등선 선체는 롤링과 충격을 줄이도록 설계되었다. 대부분의 등선은 밝은 빨간색으로 도색되었으며, 측면에 정박지 이름이나 "RELIEF" (예비 등선) 등의 문구가 흰색 대문자로 표시되었다.[12]
몇몇 등선은 특수한 목적을 위해 다른 색상으로 도색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휴론 등선은 휴런호 입구의 검은색 부표 옆에 배치되었기 때문에 검은색으로 칠해졌다. 1854년부터 1860년까지 매사추세츠주 미노츠 레지에서 운항했던 등선은 푸른 녹색 바다와 그 뒤의 언덕들 사이에서 눈에 잘 띄도록 밝은 노란색 선체를 가지고 있었다. 도쿄 등선도 빨간색 선체에 상부 구조는 흰색으로 도색되어 있었다.[43]
3. 2. 돛대 및 등화
등선 설계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불빛을 설치하기 위한 높은 돛대이다. 초기에는 돛대에 유등을 설치하여 올리고 내릴 수 있게 하였으나, 이후에는 고정식 램프를 설치하여 제자리에서 정비하도록 하였다. 프레넬 렌즈가 사용 가능해지면서 많은 등선이 등대 랜턴의 소형 버전에 이 렌즈를 장착했다. 일부 등선에는 주 등화가 고장날 경우를 대비하여 예비 등대를 수용하는 두 번째 돛대가 있었다.
등선은 안개 속이나 일몰 1시간 전부터 일출 1시간 후까지 등화를 점등했다. 초기 등선은 마스트 선단에 적색 또는 드물게 백색의 주간 표지를 갖추고 있었다. 이 표지는 접근하는 배에서 처음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으며, 다양한 디자인이 있었지만 가장 일반적인 것은 두 개의 역원추 사이에 환이나 구체를 연결한 형태였다. 도쿄 등선은 마스트 꼭대기에 정박을 나타내는 흑구를 게양했다.[43]
3. 3. 주간 표지
초기 등선은 일몰 1시간 전부터 일출 1시간 후까지, 그리고 안개 속에서 등화를 점등하는 것 외에도 돛대 꼭대기에 주간 표지를 설치하여 가시성을 높였다. 접근하는 배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주간 표지는 주로 빨간색이었으며, 드물게 흰색도 사용되었다. 다양한 디자인이 사용되었는데, 채워진 원이나 구, 그리고 한 쌍의 역원뿔이 가장 흔한 형태였다. 도쿄 등선의 경우 돛대 꼭대기에 정박을 나타내는 흑구를 설치하기도 했다.[43]
3. 4. 정박
초기 등선은 플루크 닻을 사용했지만, 이 닻은 거친 바다에서 끌림이 발생하기 쉬워 만족스럽지 못했다. 19세기 초부터 등선은 버섯 닻을 사용했는데, 무게는 보통 3~4톤이었다. 로버트 스티븐슨이 발명한 버섯 닻은 그 모양에서 이름을 따왔다. 1807년 9월 15일, 스코틀랜드 인치케이프 근처에서 1.5톤 무게의 버섯 닻을 장착한 최초의 등선 "파로스"(Pharos, 등대라는 의미)가 운항을 시작했다.[4] 1820년대에 주철 닻 쇠사슬이 도입되면서 닻의 효과가 획기적으로 향상되었으며, 경험 법칙에 따르면 수심 1ft당 6ft의 쇠사슬을 사용했다.
3. 5. 기타 장비
20세기 초, 일부 등선에는 안개 속에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종이나 안개 경적이 설치되었다. 트리니티 하우스가 수행한 테스트에서 약 5.49m 깊이에 잠긴 벨 소리는 약 24.14km 떨어진 거리에서도 들을 수 있었으며, 실제 작동 조건에서는 약 1.61km에서 약 4.83km의 실용적인 범위를 가졌다.[2][3]
일부 등선에는 해양 관측 및 기상 관측 장비가 탑재되어 해양학 연구를 위한 기록 장비를 갖춘 해양 관측소, 항행하는 선박 감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4. 각국의 등선
등선은 등대를 건설하기에는 수심이 너무 깊은 곳에서 사용되며, 해안선을 표시하는 대신 해상 교통로를 표시한다. 부표보다 시인성이 높으므로 해상 교통 지원 수단으로 우수하다. 또한 해양학 연구를 위한 기록 장비를 갖춘 해양 관측, 기상 관측소, 항행하는 선박 감시 등의 기능도 수행한다.
일반적인 등선은 닻으로 고정되며, 비자항식 폰툰(부선)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추진기를 갖추고 자항이 가능한 등선도 있으며, 원래 등대나 등선의 고장 및 수리 점검 시 대행을 하거나, "Finngrundet"처럼 북극해에서 얼음이 없는 여름에만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4. 1. 영국
1731년 데이비드 에이버리와 로버트 햄블린이 템스강 어귀 근처 노어에 최초의 영국 등선을 설치했다. 이것은 정부의 지원 없이 수익을 낼 수 있도록 운영된 사적인 사업이었다.[5]1736년에는 노퍽 해안, 1788년에는 서식스의 오워스 뱅크, 1793년에는 굿윈 샌즈에 등선이 추가로 설치되었다.[6]
시간이 지나면서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등대를 설치하고 유지하는 공공 기관인 트리니티 하우스가 개인 등선을 대체하게 되었다. 트리니티 하우스는 현재 잉글랜드와 웨일스에 남아있는 모든 등선을 관리하고 있으며, 현재 8척의 무인 등선과 2척의 소형 등부표를 운영하고 있다.[7]
1995년에 최초로 등선을 태양광 발전으로 전환했으며, '20급'을 제외한 모든 선박이 현재 전환되었다. '20급'은 디젤 전기 발전기로 작동하는 약간 더 큰 유형의 선박이다. 트리니티 하우스 태양광 등선의 주 램프는 최대 19해리(35 km)의 범위를 갖는데, 20해리(37 km) 이상의 가시 범위가 필요한 경우 '20급' 선박이 사용된다.
현재 사용 중인 등선의 선체 번호는 다음과 같다.
유형 | 선체 번호 |
---|---|
20급 | 19, 22, 23, 25 |
태양광 등선 | 2, 5, 6, 7, 9, 10, 17 |
태양광 부표 | LF2, LF3 |
4. 2. 미국

미국 최초의 등선은 1820년 체서피크 만에 설치되었으며, 1909년에는 해안 전체에 걸쳐 56곳까지 등선이 증가했다. 1820년부터 1983년까지 179척의 등선이 미국 정부를 위해 건조되었으며, 이들은 오대호를 포함한 4개의 해안의 116개 등대 기지에 배치되었다.[9]
thumb에 위치한 등선 #51]]
미국 최초의 등선은 추진 동력이 없는 작은 목조 선박이었다. 미국 최초의 철제 선체 등선은 1847년 루이지애나주 메릴 쉘 뱅크에 배치되었다. 1897년에 복합 목재와 강철 선체로 건조된 몇몇 등선은 목재나 강철보다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 운용된 최초의 현대식 강철 등선은 1882년에 건조된 등선 44호였다. 증기 엔진 추진 방식의 미국 최초의 등선은 1891년에 건조되었다.[10]
미국 해안경비대는 1985년 3월 29일에 마지막 등선인 ''낸터킷 I''을 퇴역시키면서 미국의 공식적인 등선 운영을 종료했다. 많은 등선은 텍사스 타워 또는 대형 항해 부표로 대체되었으며, 두 시설 모두 등선보다 운용 비용이 저렴했다. 실제로 등대가 등선을 대체하는 경우도 많았다.[11]
현재 남아있는 미국의 등선은 15척으로 추정된다. 그중에는 앰브로스, 프라잉 팬, 체서피크 등이 있다.
4. 3. 일본
메이지 시대 초기, 요코하마항과 하코다테항에 등선이 설치되었다.[42] 1883년(메이지 16년) 5월 19일자 자유신문에는 "전호에도 게재한 바와 같이 요코하마 항구의 등대선이 침몰했다"는 기사가 있다.1947년(쇼와 22년) 도쿄도 항만국에 의해 도쿄항 입구에 '''도쿄 등선'''이 설치되었다.[41][42][43] 1950년 8월 해상보안청으로 이관되었으나, 1952년(쇼와 27년) 3월 22일 악천후로 침몰했다.[43]
초대 도쿄 등선 침몰 후, 2대 등선이 배치되었지만, 선박 대형화로 인해 육안 확인이 어려워졌다. 1968년(쇼와 43년) 도쿄 등표로 대체되면서[41][42] 일본에서 등선은 자취를 감추었다.[42]
4. 4. 독일
현재 FS1, FS3, FS4라는 이름의 무인 독일 등선 3척이 운용 중이다. Feuerschiff|포이어쉬프de는 독일어로 '등선'을 의미하며, 'FS'는 이 단어의 두문자어이다. 이 중 두 척은 일반적으로 다음 위치에 있다.두 위치 모두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세 척의 선박 모두 빌헬름스하펜 수운 및 해운 사무소에서 운영하며, 유지 보수 기간 동안 빌헬름스하펜 항구에서 볼 수 있다.

4. 5. 러시아
러시아에서는 19세기 중반부터 등선이 문서로 기록되었다. 등선 서비스는 러시아 수로국에 종속되었으며, 대부분 발트해에 배치되었다. 1900년대 초, 발트해의 러시아 구역에는 약 10척의 등선이 있었다.
- ''옐라긴스키''는 옐라긴 해협에 위치해 있었다. 이후 페트로프스키 해협으로 이동하여 ''네프스키''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상트페테르부르크로 가는 주요 해협 중간에 있었다.
- ''런던스키''는 크론시타트로 접근하는 코틀린 섬 앞 런던스키 얕은 여울에 있었다.[30]
- ''베르콤마탈라''는 프리모르스크(Koivisto) 항구 근처에 있었다.
- ''리세로르츠키''는 핀란드만 입구에 있었다.
- ''Nekmangrund''는 에스토니아어로 Hiiu Madal로 알려진 히우마 섬 북서쪽 해안의 위험한 얕은 여울 위에 있었다.[31]
소련 시대의 ''이르벤스키''는 러시아의 마지막 등선 바로 전이었다. 1980년대에 발트해에 위치해 있었고,[32] 라트비아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의 벤츠필스 항구 근처에서 운행하는 동안 잠시 ''벤츠필스스키''로 이름이 바뀌었다.
마지막 러시아 등선은 이르벤스키와 같은 종류의 ''아스트라한스키-프리욤니''였다. 1997년까지 카스피해에서 운행하면서 아스트라한 항구로 가는 깊은 수로를 표시했다.[33]
4. 6. 기타 국가

5. 한국의 등선
한국의 등선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분명하게 나와 있지 않지만, 일본의 사례를 보아 비슷한 시기에 도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도쿄 등선과 같이 한국의 주요 항만(부산항, 인천항 등)에도 일제강점기에 등선이 설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현대에는 대부분 무인 등부표나 항로 표지 시설로 대체되었다.
6. 대중문화 속 등선
등선은 소설, 영화, 그림책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 등장하며, 고립, 위험, 희망 등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1884년, 영국의 역사가 제임스 앤서니 프로드는 산업 및 문화 혁명의 불확실성을 묘사하기 위해 닻에서 잘려 표류하는 등대선의 비유를 사용했다.[40]
릴리 등대선은 어린이 텔레비전 시리즈 ''TUGS''에 등장하는 가상의 등대선이다.
6. 1. 문학
- 아치 빈스의 1934년 소설 ''등대선''(Lightship)[40]
- 지크프리트 렌츠의 1960년 단편 소설 ''Das Feuerschiff''의 번역본인 ''등대선''(The Lightship)[40]
- 브라이언 플로카의 2007년 어린이 그림책 ''등대선''(Lightship)[40]
6. 2. 영화
- Men of the Lightship영어 (1940) -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작된 영국 선전 영화 ''Men of the Lightship''.
- Das Feuerschiffde (1963) - 지크프리트 렌츠 소설 원작, 제임스 로버트슨 저스티스가 출연한 서독 영화 ''등대선''.
- The Lightship영어 (1985) - 지크프리트 렌츠의 소설을 각색, 로버트 듀발과 클라우스 마리아 브란다우어가 출연한 미국 영화 ''등대선''.[40]
6. 3. 기타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U.S. Lightships
http://www.uscg.mil/[...]
United States Coast Guard
2008-07-18
[2]
서적
The Engineer's Year-Book for 1946
Morgan Brothers
[3]
뉴스
THE SUBMARINE BELL RIVALS JULES VERNE; Deep Under Water, It Sends Warnings in Fog and Storm. A TEST OF THE INVENTION Through the Signal's Receiver the Throb of an Unseen Steamship's Screw Could Be Heard.
https://www.nytimes.[...]
2019-02-21
[4]
서적
Seven Wonders of the Industrial World
https://archive.org/[...]
Fourth Estate
[5]
논문
The lightship in economics
2018-09
[6]
서적
Heart of Oak: A Survey of British Sea Power in the Georgian Era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Aids to Navigation
http://www.trinityho[...]
Trinity House
2008-08-28
[8]
간행물
Crewless Lightship Is New Flying Dutchman
https://books.google[...]
Popular Mechanics
1932-12
[9]
웹사이트
Maritime Heritage Program -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2019-02-21
[10]
간행물
Destination Nowhere - Twilight of the Lightship
1976-03
[11]
웹사이트
Clarke Home - Central Michigan University
https://www.cmich.ed[...]
2019-02-21
[12]
웹사이트
Early U.S. Lightships
http://www.uscg.mil/[...]
United States Coast Guard
2008-07-16
[13]
웹사이트
Lightship New Bedford LV 114/WAL 536
http://www.lighthous[...]
Lighthousefriends.com
2010-05-23
[14]
웹사이트
1904 Lightship: No. 83, Swiftsure
http://nwseaport.org[...]
2016-05-07
[15]
웹사이트
Lightship Ambrose
https://southstreets[...]
2016-05-07
[16]
웹사이트
Lightship Portsmouth
http://www.portsmout[...]
City of Portsmouth, Virginia
2016-05-07
[17]
서적
Martin Reef: Lightship to Lighthouse
Les Cheneaux Historical Association
[18]
웹사이트
Chronology of Michigan lightship and lighthouses Beacons Shining in the Night
http://clarke.cmich.[...]
Clarke Historical Library, Central, Michigan University
[19]
웹사이트
Michigan Government on Huron Lightship.
http://www.michigan.[...]
2019-02-21
[20]
웹사이트
Nantucket Lightship/LV-112
http://www.nantucket[...]
United States Lightship Museum, Inc.
2016-05-07
[21]
웹사이트
Lightship Frying Pan
http://fryingpan.com
2016-05-07
[22]
웹사이트
LV116 Chesapeake
http://www.historics[...]
2016-05-07
[23]
웹사이트
Lightship Overfalls (LV-118)
http://www.overfalls[...]
Overfalls Foundation
2016-05-07
[24]
웹사이트
Lightship Columbia
http://www.crmm.org/[...]
2016-05-07
[25]
웹사이트
Nantucket Lightship
http://www.nantucket[...]
2016-05-07
[26]
웹사이트
Feuerschiff German Bight
http://www.baken-net[...]
2019-02-21
[27]
웹사이트
OpenSeaMap - The free nautical chart
https://map.openseam[...]
2019-02-21
[28]
웹사이트
UFS TW/EMS
http://www.baken-net[...]
2019-02-21
[29]
웹사이트
OpenSeaMap - The free nautical chart
https://map.openseam[...]
2019-02-21
[30]
웹사이트
Lightships in Russia
http://www.plavmayak[...]
2019-02-21
[31]
웹사이트
Плавучий маяк "Nekmangrund"
http://diving.ee/art[...]
2019-02-21
[32]
웹사이트
Irbensky Lightship
http://www.plavmayak[...]
2019-02-21
[33]
웹사이트
Astrakhanskiy lightship
http://www.plavmayak[...]
2019-02-21
[34]
웹사이트
Carpentaria, An Unmanned Lightship - ANMM Website
http://www.anmm.gov.[...]
2017-01-10
[35]
웹사이트
U.S. Coast Guard Historical Bibliography on Lightships.
http://www.uscg.mil/[...]
2019-02-21
[36]
웹사이트
40.672184, -74.016706
https://www.google.c[...]
2019-02-21
[37]
웹사이트
"Maritime Buffalo"
http://www.buffalohi[...]
Buffalo History
[38]
간행물
MI
U.S. Coast Guard Historical Bibliography
[39]
웹사이트
LV-6 history, U.S. Coast Guard.
http://www.uscg.mil/[...]
2019-02-21
[40]
웹사이트
A Critical Sudy of the Literary Works of J. A. Froud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Novels, the Essays, and the Biography of Carlyle
https://ora.ox.ac.uk[...]
2024-02-04
[41]
웹사이트
平成16年度船の科学館事業年報
http://www.zaidan.in[...]
日本財団図書館(電子図書館)
2022-08-17
[42]
웹사이트
海の上に浮かぶ灯台
https://toudai.umino[...]
日本財団 海と灯台プロジェクト
2022-09-02
[43]
간행물
《発掘写真》初代「東京燈船」はこんなフネだった
海人社
2014-12
[44]
지도
https://www.google.c[...]
[45]
웹사이트
"Maritime Buffalo"
http://www.buffalohi[...]
[46]
웹사이트
U.S. Coast Guard on lighthouses and lightships in Michigan.
http://www.uscg.mil/[...]
[47]
서적
A History of U.S. Lightships
http://www.uscg.mil/[...]
United States Coast Guard
2008-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