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오네 (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오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제우스의'라는 뜻을 지닌다. 티탄 신족 중 한 명으로 가이아와 우라노스의 딸로 묘사되기도 하며, 아프로디테의 어머니로 여겨지기도 한다. 도도나 신탁소에서는 제우스와 함께 숭배받았으며, 그곳의 여성 사제들은 떡갈나무 잎의 움직임을 보고 신탁을 내렸다. 디오네에 대한 신화는 일관성을 보이지 않으며, 다양한 전승에서 여러 모습으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케아니스 - 인어
인어는 사람의 상반신과 물고기의 하반신을 가진 신화적 존재로, 전 세계 다양한 문화권에서 나타나며, 불길한 징조, 유혹하는 존재, 또는 도움을 주는 존재로 묘사되고, 예술 작품의 소재로 널리 활용된다. - 오케아니스 - 크리세이스
그리스 신화의 크리세이스는 아폴론 신의 사제 크리세스의 딸로, 《일리아스》에서 아가멤논에게 납치되었다가 풀려난 후 아킬레우스와의 갈등을 야기하며, 후대 문학에서는 전쟁 희생자나 저항하는 여성, 혹은 크레시다라는 이름으로 변모한 인물로 재해석된다. - 천공신 - 복희
복희는 고대 중국 신화 속 인물로, 여와와 함께 인류의 조상으로 숭배받으며, 팔괘를 창시하고 문자를 만들었으며 다양한 문화를 창조하고 전파한 인물로 여겨진다. - 천공신 - 하느님
하느님은 한국어로 신을 지칭하는 용어로, 하늘에 존칭 접미사 '-님'이 붙은 어원을 가지며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기독교의 신을 지칭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 - 제우스의 여인 - 헤라
헤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결혼, 여성, 출산의 여신으로, 제우스의 아내이자 자매이며, 질투심 많은 모습으로 묘사되고,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 편을 지원하며, 공작새 등을 상징한다. - 제우스의 여인 - 에우로페
에우로페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미노스 등을 낳았으며, 유럽 대륙의 이름의 기원이 되었고, 예술 작품과 유럽 연합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디오네 (신화) | |
---|---|
기본 정보 | |
![]() | |
역할 | 도도네 신탁의 여신 |
그리스 로마 신화 | 그리스 신화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제우스 |
부모 | 우라노스와 가이아 아이테르와 가이아 오케아노스와 테티스 |
자녀 | 아프로디테 |
형제자매 | 오케아니스와 포타모이 - 크리오스 크로노스 코이오스 휘페리온 이아페토스 므네모시네 오케아노스 포이베 레아 테이아 테미스 테티스 |
그리스어 | |
그리스어 표기 | Διώνη |
로마자 표기 | Diōnē |
2. 이름
디오네(Διώνη Diṓnē, 초기 형태 *Διϝωνᾱ Diwōnā에서 유래)는 기본적으로 고대 그리스어 Ζεύς Zeús의 속격 형태인 Διός Diós (초기 형태 Διϝός Diwós에서 유래)의 여성형으로, "제우스의"라는 뜻이다.[1] 다른 여신들도 이 이름으로 불렸다.
디오네에 관한 신화는 기존 자료에서 일관성을 보이지 않는다.
일부 전승에 따르면 디오네의 딸이었던 아프로디테는 때때로 "디오나이아"(Διωναίη Diōnaíē) 또는 "디오네"라고 불렸다.[2]
1950년대 마이클 벤트리스와 존 채드윅에 의해 선형 문자 B가 해독된 후, ''Di-u-ja''라는 이름의 여신이 점토판에서 발견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이를 제우스의 여성적 대응물로 보고 디오네와 동일시했다.[3]
3. 다양한 전승
티탄 여신신화학자 아폴로도로스(1세기 또는 2세기)는 디오네를 가이아와 우라노스의 자녀로 묘사하며, 티탄 중 하나로 포함시킨다.[15] 그는 디오네를 제우스의 아프로디테의 어머니로 만들지만, 디오네를 제우스의 간통 상대 중 하나로 분명히 묘사하며 그의 아내로 묘사하지는 않는다.[16]
'''디오네'''는 우라노스와 가이아의 딸이자 티탄 신족 중 한 명이다.[20] 한 설에 따르면 티탄 신족은 14명이며, 디오네는 포르키스와 함께 티탄 신족에 포함된다고 한다.[21]
신화에 따르면 디오네는 레아, 테미스, 암피트리테와 함께 레토의 아폴론 출산에 입회했다.[27] 또한 트로이 전쟁에서 딸 아프로디테가 디오메데스에게 상처를 입었을 때, 디오네는 아프로디테를 위로하며 아레스가 알로아다이에게 괴롭힘을 당한 이야기, 헤라와 하데스가 헤라클레스에게 상처를 입은 이야기를 했다.[24]
도도나의 여신에페이로스의 도도나 신탁소에서는 디오네가 제우스와 함께 제사를 지냈으며, 디오네의 여성 사제들과 제우스의 사제들이 신탁을 관장했다.[28] 이곳에는 제우스에게 바쳐진 떡갈나무 한 그루가 있었는데, 디오네의 여성 사제는 떡갈나무 잎이 흔들리는 것을 보고 신탁을 내렸다고 한다. 도도나의 신탁에 대한 기록은 이미 『오디세이아』에 나타난다.[28] 도도나 발굴을 통해 사람들이 디오네와 제우스에게 질문을 납 조각에 새겨 신탁을 받았다는 것도 밝혀졌다.
기타 전승일리아스 제5권에서 아프로디테는 트로이 전쟁 중 디오메데스로부터 아들 아이네이아스를 구하려다 부상을 입고 올림포스로 돌아간다. 디오네는 다른 신들의 사례를 들어 그녀를 위로하고, 디오메데스가 신들과 싸우면서 목숨을 걸고 있다고 언급한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는 오케아노스와 테튀스의 딸인 오케아니데스 명단에 디오네의 이름이 등장한다.[13]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의 『이야기집』 족보에는 디오네가 테라와 아이테르의 자녀 중 하나로 언급되어 있다.[17] 5세기 문법학자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오스는 그의 저서 ''모든 단어의 알파벳 모음집''에서 디오네를 바쿠스의 어머니로 묘사했다.[18] 이는 핀다로스의 주석가 중 한 명에 의해 별도로 뒷받침된다.[19]
디오네는 아틀라스의 딸로,[29] 탄탈로스와의 사이에 펠롭스[30][29], 니오베를 낳았다고도 한다.[31]
{| class="wikitable"
|-
! colspan="2" |탄탈로스와 디오네의 가계도
|-
|style="text-align:center;" |
|}
3. 1. 티탄 여신
신화학자 아폴로도로스(1세기 또는 2세기)는 디오네를 가이아와 우라노스의 자녀로 묘사하며, 티탄 중 하나로 포함시킨다.[15] 그는 디오네를 제우스의 아프로디테의 어머니로 만들지만, 디오네를 제우스의 간통 상대 중 하나로 분명히 묘사하며 그의 아내로 묘사하지는 않는다.[16]
'''디오네'''는 우라노스와 가이아의 딸이자 티탄 신족 중 한 명이다.[20] 한 설에 따르면 티탄 신족은 14명이며, 디오네는 포르키스와 함께 티탄 신족에 포함된다고 한다.[21]
신화에 따르면 디오네는 레아, 테미스, 암피트리테와 함께 레토의 아폴론 출산에 입회했다.[27] 또한 트로이 전쟁에서 딸 아프로디테가 디오메데스에게 상처를 입었을 때, 디오네는 아프로디테를 위로하며 아레스가 알로아다이에게 괴롭힘을 당한 이야기, 헤라와 하데스가 헤라클레스에게 상처를 입은 이야기를 했다.[24]
3. 2. 도도나의 여신
에페이로스의 도도나 신탁소에서는 디오네가 제우스와 함께 제사를 지냈으며, 디오네의 여성 사제들과 제우스의 사제들이 신탁을 관장했다.[28] 이곳에는 제우스에게 바쳐진 떡갈나무 한 그루가 있었는데, 디오네의 여성 사제는 떡갈나무 잎이 흔들리는 것을 보고 신탁을 내렸다고 한다. 도도나의 신탁에 대한 기록은 이미 『오디세이아』에 나타난다.[28] 도도나 발굴을 통해 사람들이 디오네와 제우스에게 질문을 납 조각에 새겨 신탁을 받았다는 것도 밝혀졌다.
3. 3. 기타 전승
일리아스 제5권에서 아프로디테는 트로이 전쟁 중 디오메데스로부터 아들 아이네이아스를 구하려다 부상을 입고 올림포스로 돌아간다. 디오네는 다른 신들의 사례를 들어 그녀를 위로하고, 디오메데스가 신들과 싸우면서 목숨을 걸고 있다고 언급한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는 오케아노스와 테튀스의 딸인 오케아니데스 명단에 디오네의 이름이 등장한다.[13]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의 『이야기집』 족보에는 디오네가 테라와 아이테르의 자녀 중 하나로 언급되어 있다.[17] 5세기 문법학자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오스는 그의 저서 ''모든 단어의 알파벳 모음집''에서 디오네를 바쿠스의 어머니로 묘사했다.[18] 이는 핀다로스의 주석가 중 한 명에 의해 별도로 뒷받침된다.[19]
디오네는 아틀라스의 딸로,[29] 탄탈로스와의 사이에 펠롭스[30][29], 니오베를 낳았다고도 한다.[31]
{| class="wikitable"
|-
! colspan="2" |탄탈로스와 디오네의 가계도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