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은 두 나라를 구분하는 경계선으로, 역사적으로 러시아 제국이 청나라로부터 연해주를 획득하면서 형성되었다.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두만강 하류 20리 구간이 국경으로 설정되었으며, 이후 1945년 일본 제국 패망 이후 소련과 북한의 국경이 되었다. 현재 육상 국경은 두만강과 삼각강의 골짜기선을 따라 이어지며, 해상 국경은 동해에서 양국의 영해를 구분한다. 두만강을 가로지르는 조선-러시아 우호의 다리가 유일한 육로 통로이며, 모스크바와 평양을 잇는 열차가 이 다리를 통과한다. 2016년과 2019년에는 국경 관리 문제로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경 - 조중 국경
    조중 국경은 압록강, 백두산, 두만강을 경계로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를 나누며, 15세기 중반 확정된 국경선은 1962년 중조변계조약으로 재확인되었고, 북한의 대외 교역로로 기능하며 최근에는 탈북민 문제와 코로나19로 국경 경비가 강화되고 있다.
  • 러시아의 국경 - 타르바가타이 조약
    타르바가타이 조약은 러시아 제국이 청나라의 국력 약화를 틈타 체결한 불평등 조약으로, 44만 제곱킬로미터에 달하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일부 영토를 러시아 제국에 할양했다.
  • 러시아의 국경 - 러시아-벨라루스 국경
    러시아-벨라루스 국경은 양국 관계 변화에 따라 통제와 개방을 반복하며, 경제 교류 활성화, 국경 통제 강화, 세관 통제 폐지, 출입국 심사 의무화, 국경 폐쇄 및 감시 강화 등의 변화를 겪어왔다.
  •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 - 두만강
    두만강은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의 국경을 이루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강이며, '두만'이라는 명칭은 만주어 '투먼'에서 유래되었고, 녹둔도는 역사적 영토 분쟁 지역이며, 탈북민들의 주요 경로이자 중국의 치어 방류로 생태계 위협 문제도 야기한다.
  •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 - 동해
    동해는 유라시아 대륙 동쪽의 반폐쇄성 해역으로, 깊은 수심과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러 국가가 접하고 있지만, "일본해" 명칭 분쟁, 환경 문제, 영토 분쟁 등의 현안이 존재한다.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위치북한과 러시아 사이의 국경
총 길이17.3 km
역사
개요국경은 두만강동해를 따라 설정됨.
국경 통과 지점
주요 지점조선-러시아 우정의 다리
관리
러시아 국경 수비대러시아 연방 국경 수비대

2. 역사

19세기 중반 러시아 제국이 연해주 지방을 차지하기 전까지 이 지역은 금나라, 청나라 등이 지배하고 있었다. 1858년 아이훈 조약으로 청나라는 아무르강 북쪽을,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우수리강 동쪽 연해주까지 러시아 제국에 양도하였다. 이로 인해 러시아는 동해두만강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청나라는 동해 접근권을 상실하였다. 조선은 멸망할 때까지 청나라와 러시아 제국 모두와 국경을 접하게 되었다. 일본 제국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한 뒤 이 국경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소비에트 연방(소련)의 국경이 되었다. 1991년 소련이 붕괴하면서 오늘날의 러시아와 북한의 국경으로 굳어졌다.

1938년, 소련은 연해주 지역의 천연자원을 개발하고 잠재적인 일본의 침략 위험으로부터 국경을 보호하기 위해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바로노프스키역에서 하산까지의 철도 노선 건설을 시작했다. 190km의 노선(후의 바로노프스키-하산 철도)은 1941년에 완공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 노선은 크라스키노에서 하산까지 연장되어 총 연장은 238km에 달했다. 하산역은 1951년 9월 28일에 영업을 시작했다. 그 직후 두만강에 임시 목교가 건설되어 1952년에 첫 열차가 러시아에서 북한으로 건너갔다.

2. 1. 러시아의 연해주 획득과 국경 형성

1858년 아이훈 조약과 1860년 베이징 조약을 통해 러시아 제국청나라로부터 연해주를 획득했다. 이로써 러시아는 동해두만강으로 진출하게 되었고, 조선은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게 되었다. 반면 청나라는 동해 진출권을 상실했다.[6]

1860년 11월 베이징 조약에 따라 청나라는 우수리강 동쪽 영토를 러시아에 할양했다. 원래 국경 설명에는 두만강 하류 20리 (약 10.75km에서 13km)가 최남단 구간으로 포함되었다.[6][7][8] 이후 삼각 지점을 표시하기 위해 나무 기둥이 세워졌고, 1886년경에는 더 영구적인 기둥으로 대체되었다.[6]

청사연구소에 따르면, 현재 러시아와 북한 간 국경이 형성되고 중국이 동해에 접근하지 못하게 된 영토 할양은 경계 획정 과정에서의 부실한 관리 때문에 발생했다. 1860년 중-러 베이징 조약 제1조에는 중-러 동부 국경의 남동부 구간이 "...백령강 입구에서 산을 따라 호부두강 입구까지, 그리고 호부두강 입구에서 훈춘강과 바다 사이의 능선을 따라 두만강 입구까지, 동쪽은 러시아에 속하고 서쪽은 중국에 속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1861년, 중국과 러시아 대표는 "중-러 동부 경계 협정" (中俄勘分東界約記|중아감분동계약기중국어)에 서명했는데, 이 협정에 따르면 두 나라의 국경은 두만강 하구와 동해의 동쪽 강둑에 있다. 그러나 1862년 러시아가 중국에 넘긴 "우수리강에서 바다까지의 경계 지도" (烏蘇里江至海交界記文|오소리강지해교계기문중국어) 문서에는 두 나라의 국경이 두만강 하구에서 북쪽으로 20km 떨어진 곳에 있다고 나와 있다.[9]

이러한 누락은 1861년 중-러 국경 조사 특별 중국 특사였던 호부 책임자 정기(程淇)의 책임으로 추정된다. 정기는 아편에 중독되어 약을 보충하기 위해 인근 길림시로 갔고, 경계표 설치를 전적으로 러시아 측 조사 대표에게 위임했다. 러시아 측은 이 기회를 틈타 일방적으로 경계 지도를 그려 두만강을 통해 러시아와 한반도를 연결하여 한국 침략의 발판을 마련하고, 두만강을 통한 중국의 동해 진출을 막았다. 정기는 이 사건 직후 모든 공직에서 해임되었다.[9]

19세기 말, 조선에서 중국의 영향력은 약화되고 일본 제국의 영향력이 커졌다.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중국 조공 체제가 종식되었고, 1905년 을사 조약으로 대한제국은 일본의 보호국이 되었다.[6]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으로 대한제국은 일본에 병합되었고, 두만강은 러시아 제국(이후 소련)과 일본 제국의 국경이 되었다.

2. 2. 소련-북한 국경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 제국이 연해주를 획득하면서 조선과 러시아 제국은 국경을 접하게 되었다. 일본 제국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망한 뒤, 이 국경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소비에트 연방(소련)의 국경이 되었다.

1985년, 소련과 북한은 두만강 중간을 따라 국경을 설정하는 협정에 서명했다.[10] 이 협정에서 녹둔도는 러시아 영토로 인정되었으나, 대한민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11]

1990년, 소련과 북한은 두만강 계곡선을 따라 국경을 획정하는 합의에 서명했다.

2. 3. 탈북과 국경 문제

20세기 후반, 경제난과 정치적 억압을 피해 수많은 북한 주민들이 두만강을 건너 탈북했다. 이들은 현재 러시아와 다른 독립국가연합(CIS) 국가에 고려인의 후손들과 함께 살고 있다.

3. 지리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은 두만강과 그 하구, 그리고 동해를 따라 형성된다. 육상 국경은 두만강과 삼각강의 골짜기선(최심수로)을 따르며,[31][3][21] 해상 국경은 동해 상의 양국 영해를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다.[31][3] 1985년 4월 17일, 양국은 국경 조약을 체결하여 국경선을 확정했다.[32][4][22]

3. 1. 두만강 국경

행정 구역상 북한의 라선시 선봉구역과 러시아의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하산스키 군이 마주보고 있다. 러시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의 영토 경계는 두만강삼각강골짜기선을 따라 이어진다.[31] 국경의 러시아 측 행정 구역은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하산스키 군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은 라선특별시이다.

1985년 4월 17일 체결된 주요 국경 조약에 따라[32][4][22] 두만강의 최심수로를 기준으로 국경선이 확정되었다.[3]

3. 2. 해상 국경

러시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의 해상 국경은 동해에서 두 나라의 영해를 기준으로 나뉜다.[31] 국경은 두만강의 최심수로와 그 하구를 따라 형성된다.[3]

3. 3. 중-러-북 삼합점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국 삼합점은 별도의 3개국 간 조약으로 규정된다.[3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국경과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은 두만강 중앙을 따라 이어지며, 중화인민공화국-러시아 국경은 육로로 북쪽으로부터의 접속점에 다다른다. 이론적인 삼합점은 강 한가운데에 위치하나, 그곳에 바로 국경 기념비를 설치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므로, 세 나라가 두만강 강둑에 국경 기념비를 설치하기로 합의했다.[33]

4. 국경 통과

러시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사이의 국경 통과는 두만강을 가로지르는 조선-러시아 우호의 다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다리는 러시아 하산 기차역에서 남서쪽으로 800m 떨어져 있으며, 북한 측 국경 기차역은 두만강역에 있다.[3] 국경 통과는 기본적으로 철도를 통해서만 이루어지지만, 특별한 경우에는 도로 차량의 통행도 가능하다.

4. 1. 조선-러시아 우호의 다리

두만강을 가로지르는 조선-러시아 우호의 다리(ru)는 양국 국경을 연결하는 유일한 육로 통로이다.[3][21] 이 다리는 철교로, 화물 및 여객 열차가 이용하며,[3] 특별한 경우에는 철로 사이에 판자를 깔아 도로 차량이 통행할 수도 있다. 러시아 측 국경 기차역은 하산에 있으며, 북한 측 국경 기차역은 두만강역에 있다.[3]

우호의 다리를 통과하는 여객 열차에는 하산-두만강 셔틀 열차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소속의 모스크바평양 간 직행 열차가 있다. 이 직행 열차는 모스크바에서 우수리스크까지는 모스크바–블라디보스토크 열차를, 우수리스크–하산 열차를 이용해 하산까지 이동한 후, 하산-두만강 셔틀 열차를 이용해 국경을 넘고, 북한 국내 열차를 이용해 평양으로 이동한다. 총 10272km로, 세계에서 가장 긴 직행 (환승 없는) 여객 철도 서비스이다.[12]

일반적으로 이 국경 통과는 러시아와 북한 시민만 이용할 수 있으며, 다른 국가 국민에게는 개방되지 않는다. 그러나 2008년에는 두 명의 서방 관광객이 우호의 다리를 통해 열차를 타고 러시아에서 북한으로 들어가는 데 성공했고,[12] 2019년에는 북한 관광 전문 서방 여행사가 하산-두만강 국경 통과를 이용하는 모스크바-평양 기차 여행 상품을 발표하기도 했다.[13]

2015년 4월, 러시아와 북한의 교통부 차관인 니콜라이 아사울과 곽일룡은 양국 간의 도로 연결을 개발하기 위한 협정을 체결했다.[14]

4. 2. 열차 운행

우호의 다리를 통과하는 여객 열차로는 하산-두만강 셔틀 열차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소속 모스크바–평양 직행 열차가 있다. 이 직행 열차는 모스크바에서 우수리스크까지는 모스크바–블라디보스토크 열차를, 우수리스크–하산 구간은 다른 열차를 이용해 하산까지 이동한 후, 하산-두만강 셔틀 열차로 국경을 넘고, 북한 내에서는 북한 열차를 이용해 평양으로 이동한다. 총 로, 세계에서 가장 긴 직행 (환승 없는) 여객 철도 서비스이다.[12]

일반적으로 이 국경 통과는 러시아와 북한 시민만 이용할 수 있으며, 다른 국가 국민에게는 개방되지 않는다. 그러나 2008년에는 서방 관광객 두 명이 우호의 다리를 통해 열차를 타고 러시아에서 북한으로 들어가는 데 성공했고,[12] 2019년에는 북한 관광 전문 서방 여행사가 하산-두만강 국경 통과를 이용하는 모스크바-평양 기차 여행 상품을 발표했다.[13]

4. 3. 도로 연결 협정

2015년, 러시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양국 간 도로 연결을 개발하기 위한 협정을 체결했다.[14] 이 협정은 양국 교통부 차관인 니콜라이 아사울과 곽일룡이 서명했다.[26]

5. 국경 관리 문제

러시아북한의 국경 지역에서는 불법 조업, 탈북, 국경 침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동해에서의 불법 조업 문제는 양국 간의 갈등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2016년과 2019년에는 러시아 해안 경비대가 불법 조업 중인 북한 어선을 단속하는 과정에서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사건들은 양국 관계에 긴장을 초래했으며, 러시아는 북한 측에 강한 우려를 표명하고 외교적 항의를 제기했다.

5. 1. 침식 문제

두만강의 러시아 측 강변은 저지대이고 북한 측은 산악 지형이기 때문에, 매년 홍수가 발생하면 침식으로 인해 강줄기가 점차 러시아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15][29] 이러한 현상은 중국-러시아 국경의 아무르강에서도 나타난다.[15] 러시아는 국가 영토 손실을 막고, 하산과 페스차나야 국경 경비 초소를 홍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2004년부터 2008년까지 강변에 돌을 채워넣는 보호 공사를 시행했다.[15][29]

5. 2. 사건 사고

2016년 10월 16일, 러시아 국경 수비대가 동해에서 북한 어선에 총격을 가해 북한 어부 1명이 사망하고 8명이 부상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연방보안국(FSB)은 해당 어선인 "대용 10호" 트롤선이 러시아 영해를 침범했으며, 선박 수색 과정에서 불법 어획물을 발견했다고 밝혔다.[16] 이후 어선이 도주를 시도하고 선원들이 러시아 경비원들로부터 무기를 빼앗으려 하자, 러시아 해안 경비선은 트롤선의 추진 시스템과 북한 선원들을 향해 사격했다.[17]

2019년 9월 17일, 러시아 해안 경비대는 러시아 영해에서 불법 조업 중인 북한 선박 2척과 모터보트 11척을 나포했다. 이 과정에서 북한 선원들이 발포하여 러시아 군인 4명이 부상당했다. 총 161명의 북한인이 억류되었으며, 부상자들은 의료 지원을 받았다. 북한 선박과 선원들은 나홋카 항구로 이송되어 조사를 받았다.[18]

2019년 9월 18일, 러시아는 이 사건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며 북한 주재 최고 외교관을 소환했다. 러시아 외무부는 주러시아 북한 대사관 임시 대리대사인 진종협에게 항의했다. 북한은 이전에도 러시아 선박을 나포하거나 어부들을 체포한 적이 있었다.[19]

참조

[1] 웹사이트 Korea, North https://www.cia.gov/[...] CIA World Factbook 2020-09-16
[2] 웹사이트 Сопредельные страны http://www.rosgranit[...]
[3] 웹사이트 Северная Корея http://www.rosgranit[...]
[4] 웹사이트 Информация о международных соглашениях http://www.rosgranit[...]
[5] 웹사이트 Соглашение между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Китайской Народной Республики и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Корейской Народно-Демокра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об определении линии разграничения пограничных водных пространств трех государств на реке Туманная http://www.rosgranit[...]
[6] 웹사이트 International Boundary Study No. 59 – Korea – U.S.S.R. Boundary https://fall.law.fsu[...] US Department of State 2020-09-16
[7] 문서 See Article 1 of the 1860 agreement between the Russian Empire and the Qing Empire (大清國)
[8] 웹사이트 From Fluid Borderland to Divided Spaces: Transformation of the Russian-Korean Borderland, 1860-1937 https://www.irex.org[...] Alyssa Park
[9] 웹사이트 吴大澂恢复中国图们江出海权再探讨 http://iqh.ruc.edu.c[...] Institute of Qing History 2024-12-11
[10] 웹사이트 Информация о международных соглашениях http://www.rosgranit[...]
[11] 웹사이트 The problem of the Noktundo island in the media in South Korea http://ru.apircenter[...] ru.apircenter.org 2015-06-30
[12] 웹사이트 Entering North Korea at Tumangan http://vienna-pyongy[...]
[13] 웹사이트 Moscow to Pyongyang by Train Tour https://www.youngpio[...] 2019-03-27
[14] 웹사이트 North Korea, Russia sign road connection deal http://www.nknews.or[...] 2015-04-16
[15] 웹사이트 Работы по укреплению берегов реки Туманной на границе России и КНДР завершатся в этом году http://www.ptr-vlad.[...] 2008-02-21
[16] 웹사이트 Russian border guards open fire on North Korean fishing vessel https://www.independ[...] 2021-03-30
[17] 웹사이트 Russian guards fire on North Korean ship, kill 1 fisherman https://apnews.com/a[...] 2021-03-30
[18] 웹사이트 Russia summons North Korean diplomat over border clash https://www.aa.com.t[...] 2021-03-30
[19] 뉴스 North Korean held in Russia 'for poaching' dies https://www.bbc.com/[...] 2021-03-30
[20] 웹사이트 Сопредельные страны http://www.rosgranit[...]
[21] 웹사이트 Северная Корея http://www.rosgranit[...]
[22] 웹사이트 Информация о международных соглашениях http://www.rosgranit[...]
[23] 웹사이트 Соглашение между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Китайской Народной Республики и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Корейской Народно-Демокра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об определении линии разграничения пограничных водных пространств трех государств на реке Туманная http://www.rosgranit[...]
[24] 웹사이트 Entering North Korea at Tumangan http://vienna-pyongy[...]
[25] 웹사이트 北朝鮮がロシアへの国際列車ツアーを解禁した 平壌からモスクワへ https://www.newsweek[...]
[26] 웹사이트 North Korea, Russia sign road connection deal http://www.nknews.or[...] 2015-04-16
[27] 문서 See Article 1 of the 1860 agreement between the Russian Empire and the Qing Empire (大清國)
[28] 웹사이트 From Fluid Borderland to Divided Spaces: Transformation of the Russian-Korean Borderland, 1860-1937 https://www.irex.org[...] Alyssa Park
[29] 웹사이트 Работы по укреплению берегов реки Туманной на границе России и КНДР завершатся в этом году http://www.ptr-vlad.[...] 2008-02-21
[30] 웹사이트 Сопредельные страны http://www.rosgranit[...]
[31] 웹사이트 Северная Корея http://www.rosgranit[...]
[32] 웹사이트 Информация о международных соглашениях http://www.rosgranit[...]
[33] 웹사이트 Соглашение между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Китайской Народной Республики и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Корейской Народно-Демокра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об определении линии разграничения пограничных водных пространств трех государств на реке Туманная http://www.rosgrani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