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버트 F. 와그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F. 와그너는 독일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민 온 후, 뉴욕에서 변호사,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그는 뉴욕 주 상원 의원, 대법원 판사를 거쳐 1926년부터 1949년까지 미국 상원 의원을 지냈다. 와그너는 뉴딜 정책의 핵심 지지자였으며, 노동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와그너 법을 제정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사회 보장법, 주택 공급 법안 등 다양한 입법을 통해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며, 1949년 건강 악화로 상원 의원직에서 사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욕주의 연방 상원의원 - 힐러리 클린턴
    힐러리 클린턴은 미국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 아칸소주 영부인, 미국의 영부인, 뉴욕주 연방 상원의원, 국무장관을 역임했으며,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출마했다.
  • 뉴욕주의 연방 상원의원 - 척 슈머
    척 슈머는 뉴욕주 출신 미국 상원의원으로, 하원의원을 거쳐 1999년부터 상원의원으로 활동하며 2017년부터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를 맡고 있고, 소비자 보호, 선거 개혁, 건강 관리, 망 중립성 등 진보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정치인이다.
  • 1877년 출생 - 의친왕
    고종의 다섯째 아들이자 순종의 이복 동생인 의친왕은 대한제국의 황족으로서 독립운동에 투신,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을 지원했으며 광복 후에는 남북통일 정부 수립을 주장한 독립운동가이다.
  • 1877년 출생 - 우에하라 에쓰지로
    일본의 정치인이자 학자인 우에하라 에쓰지로는 다이쇼 데모크라시 운동에 참여, 중의원 부의장과 국무대신, 내무대신을 역임하며 활발한 정치 활동을 펼쳤으나, 전후에는 일본 헌법 제9조와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등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며 독도 영유권을 주장했다.
  • 1953년 사망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1953년 사망 - 주공삼
    주공삼은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 시기를 거치며 월남을 시도하고 피난 생활을 하다가 1953년 뇌수막염으로 사망한 인물이며, 주요 자녀로 주요한, 주요섭, 주영섭 등이 있다.
로버트 F. 와그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로버트 페르디난트 바그너
해리스 & 유잉 사진, 미국 의회도서관
해리스 & 유잉 사진, 미국 의회도서관
출생일1877년 6월 8일
출생지독일 제국 헤센나사우 나스테텐
사망일1953년 5월 4일
사망지미국 뉴욕
정당미국 민주당
배우자마거릿 마리 맥태그 (1908년 결혼, 1919년 사별)
자녀로버트 페르디난트 바그너 2세
학력뉴욕 시립 대학교
뉴욕 로스쿨
직업변호사
공직
직책미국 상원 뉴욕 대표
임기 시작1927년 3월 4일
임기 종료1949년 6월 28일
이전제임스 월콧 워즈워스 주니어
이후존 포스터 덜레스
직책뉴욕 주 부지사 대행
임기 시작1913년 10월 17일
임기 종료1914년 12월 31일
주지사마틴 H. 글린
이전마틴 H. 글린
이후에드워드 쇠네크
주 상원뉴욕
선거구16번째 선거구
임기 시작1909년 1월 1일
임기 종료1918년 12월 31일
이전존 T. 맥콜
이후제임스 A. 폴리
직책뉴욕 주 하원 의원
선거구30번째 뉴욕 선거구
임기 시작1905년 1월 1일
임기 종료1905년 12월 31일
이전고트하르트 A. 리트하우어
이후모리스 F. 스미스
선거구22번째 뉴욕 선거구
임기 시작1907년 1월 1일
임기 종료1908년 12월 31일
이전토마스 록
이후조지 W. 바우만

2. 어린 시절과 교육

로버트 페르디난트 와그너는 1877년 6월 8일, 당시 프로이센 왕국 헤세-나사우의 나슈테텐( Nastättende ) (현재 독일 라인란트팔츠주 라인-라안군)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라인하르트, 어머니는 마그델레네였으며, 7남매 중 막내였다. 아버지는 독일에서 염색 및 인쇄업을 운영했으나, 가족은 더 나은 경제적 기회를 찾아 1885년 미국으로 이민을 결정했다. (일부 자료는 1886년을 이민 시기로 언급하기도 한다.)

가족은 뉴욕 어퍼 이스트 사이드의 독일인 이민자 거주지인 요크빌에 정착했다. 당시 요크빌은 빈곤한 노동자 계급 이민자들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이었다. 미국에서는 장인 염색업 수요가 적어 아버지 라인하르트는 여러 건물의 관리인으로 일하며 주급 5USD를 벌었고, 가족은 지하 아파트에서 생활했다. 어머니 마그델레네는 세탁부로 일했으며, 어린 로버트를 포함한 자녀들도 학교 수업 후 신문 판매, 식품 배달 등 잡일을 하며 생계를 도왔다.

와그너는 뉴욕의 공립학교를 다녔다. 그의 부모는 자녀 중 한 명이라도 대학 교육을 받기를 원했고, 고등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한 로버트가 그 기회를 얻었다. 그는 학업 능력이 뛰어나 수업료가 없는 뉴욕 시티 칼리지 (현 뉴욕 시립 대학교)에 쉽게 입학했다. 대학 재학 중에는 뉴욕 애슬레틱 클럽에서 보이로 일하며 뉴욕의 부유층 인사들과 교류할 기회를 가졌다. 그는 다재다능하여 학업과 토론뿐만 아니라 미식축구 팀의 쿼터백 겸 주장, 야구 팀의 유격수로도 활동했다. 또한 파이 시그마 카파 형제단의 일원이었다.

1898년 뉴욕 시티 칼리지를 졸업하고 학위를 취득했다. 대학 졸업 후, 가까운 친구의 권유로 법학을 공부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뉴욕 로스쿨에 진학하여 1900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으며, 같은 해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한편, 그의 부모는 10년간의 미국 생활 끝에 1896년 독일로 돌아갔다.

3. 정치 경력

1900년 뉴욕 법학 학교를 졸업하고 변호사 자격을 취득한 와그너는 뉴욕에서 법률 사무소를 열고 민주당 활동에 참여했다. 초기에는 당시 뉴욕 정계를 장악했던 태머니 홀 민주당 조직에 합류하여 지역 대표로 활동하며 정치적 기반을 다졌다.

1904년 뉴욕주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어 정계에 입문했으며, 이후 뉴욕주 상원으로 자리를 옮겨 활동했다. 뉴욕주 의회 시절, 그는 진보적인 사회 개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노동자와 일반 시민들의 권익 향상을 위해 노력했다.

1918년에는 뉴욕주 대법원 판사로 선출되어 1926년까지 재직하며 노동자의 권리 보호와 관련된 중요한 판결들을 내렸다.

1926년 민주당의 요청으로 미국 상원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1927년부터 1949년까지 22년간 연방 상원 의원으로 활동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행정부의 뉴딜 정책 입안과 추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특히 노동 관련 입법에 큰 기여를 했다. 1949년 건강상의 이유로 상원 의원직을 사임했다.

3. 1. 뉴욕주 의회 활동

학교 졸업 후 와그너는 뉴욕에서 변호사 활동을 시작하며 민주당 활동에 참여했다. 초기에는 당시 뉴욕 정계를 장악했던 태머니 홀 소속 지역 대표로 활동하며 사업 및 정치적으로 유용한 인맥을 형성했다. 정치적 재능을 보인 그는 1904년 뉴욕주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908년에는 뉴욕주 상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같은 해 아일랜드계 미국인 마거릿 마리 맥태그와 결혼하여 외아들 로버트 F. 와그너 주니어를 두었다.

1900년대 초반 뉴욕주에서 진보주의 정치가 부상하면서 와그너는 노동자와 시민들의 필요에 부응하는 사회 개혁을 추구했다. 젊은 입법가로서 그는 장거리 통근 노동자들을 위해 대중교통 요금을 인하하는 법안을 성공적으로 통과시켜 큰 인기를 얻었다. 1910년, 33세의 나이로 뉴욕주 역사상 최연소로 주 상원 임시 의장이 되었다. 그는 총 56개의 개혁 법안을 통과시켰는데, 여기에는 가스, 전기, 교통 수단 요금을 감독하는 공공 서비스 위원회 설립, 산업 재해를 입은 노동자를 위한 근로자 재해 보상법 도입 등이 포함된다. 특히 근로자 재해 보상법은 당시 미국에서 가장 효과적인 관련 법안으로 평가받았다.

트라이앵글 셔츠웨이스트 공장 화재로 약 150명의 노동자가 사망한 비극적인 사건 이후, 와그너는 주 공장 조사 위원회 위원장(1911-1915)을 맡아 조사를 이끌었다. 부위원장은 동료 태머니 홀 정치인인 알 스미스였다. 위원회는 주 전역에서 광범위한 조사를 실시하여 222명의 증언을 듣고 3,500페이지 분량의 증언록을 작성했다. 조사 결과는 작업장 안전 및 위생 강화, 아동 노동 제한, 여성 근무 시간 단축 등 노동 조건을 개선하는 38개 신규 법률 제정으로 이어졌다. 이 활동을 통해 와그너와 스미스는 노동 계급을 위한 진보 개혁가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태머니 홀의 평판을 단순한 부패 조직에서 노동자를 위한 진보적 기구로 변화시키는 데 기여했다.[5][6][7] 그는 노동조합의 활동을 법적으로 보호하는 입법도 추진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와그너는 1909년부터 1918년까지 뉴욕주 상원의원(제16선거구)을 지냈으며, 제132대 뉴욕 주 의회부터 제141대 뉴욕 주 의회까지 활동했다. 그는 1911년부터 1914년까지 뉴욕주 상원 임시 의장을 역임했으며, 윌리엄 설저 주지사 탄핵 후 마틴 H. 글린 부지사가 주지사직을 승계하자 뉴욕 부지사 대행을 맡기도 했다. 1914년에는 와그너가 임시 의장으로 재임하는 동안 존 F. 머터프가 별도로 주 상원 다수당 대표로 선출되는 이례적인 일이 있었다. 민주당이 상원 다수당 지위를 잃은 후에는 1915년 1월부터 주의회 활동을 마감한 1918년까지 상원 소수당 대표를 역임했다.

또한 와그너는 1915년과 1938년의 뉴욕 주 헌법 회의 대표였으며, 1918년 뉴욕주 상원의원 활동을 마친 후 뉴욕주 대법원 판사로 선출되어 1919년부터 1926년까지 재직했다.

3. 2. 연방 상원 의원 활동

1926년 민주당 소속으로 뉴욕주를 대표하는 미국 상원 의원으로 선출되어 1927년부터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1932년, 1938년, 1944년 선거에서도 연이어 승리하며 4선 의원으로 활동했다. 하지만 1947년부터 1949년까지는 심장 질환으로 인해 제80차 및 제81차 의회 회기에 참석하지 못하는 등 건강 문제를 겪었고,[8] 결국 1949년 6월 28일 건강 악화를 이유로 상원 의원직을 사임했다. 그의 후임으로는 토머스 E. 듀이 뉴욕 주지사에 의해 존 포스터 덜레스가 임명되었다.

상원 재임 기간 동안 와그너는 여러 중요한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특허 위원회 의장을 맡았으며, 제73차 의회에서는 공공 토지 및 조사 위원회 의장을, 제73차 및 제74차 의회에서는 은행 및 통화 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 또한 1944년에는 브레튼 우즈 통화 금융 회의에 미국 대표로 참여하기도 했다.

와그너는 뉴욕 주 의회 시절부터 알고 지낸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핵심 측근 그룹인 브레인 트러스트의 일원이었다. 그는 특히 노동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노동자들의 법적 권리 보호를 위해 노력했으며, 루스벨트 행정부의 뉴딜 정책을 입안하고 추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29년 대공황이 시작되자 와그너는 평범한 시민과 노동자들에게 경제적 구제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허버트 후버 대통령 재임 기간에는 정확한 노동 통계 수집 및 관리 강화, 실업자 구제를 위한 공공 사업 자금 지원 등을 주장했다. 그는 도로, 공공 건물, 공원 건설과 같은 공공 사업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노동자들의 구매력을 높여 산업 회복을 촉진할 것이라고 믿었다. 후버 대통령이 와그너의 공공 사업 법안 중 하나를 거부하기도 했지만, 결국 와그너는 1932년 후버 대통령이 마지못해 서명한 긴급 구호 건설 법령 통과를 이끌어냈다.

루스벨트 행정부가 들어선 1933년 이후 와그너는 뉴딜 정책의 주요 설계자이자 강력한 지지자로서 활동했다. 그는 실업자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한 1933년 연방 긴급 구조 법령과 민간 산림 보호대 창설을 후원했으며, 주요 산업 부흥 입법 과정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1943년 영국의 학자 아이자이아 벌린은 영국 외무부에 보낸 상원 외교 위원회 분석 보고서에서 와그너를 "뉴딜 정책의 옹호자이자 미국 노동법의 저술가인 베테랑 자유주의 정치인"으로 평가하며, "노리스 이후 미국 상원에서 자유주의의 가장 위대한 챔피언"이자 "행정부의 모든 (반나치) 조치를 지지하며 보통 그보다 훨씬 앞서 나가는" 인물이라고 묘사했다.[9]

와그너의 가장 중요한 입법 성과로는 다음의 법안들이 꼽힌다.

  • 국가 산업 부흥법 (NIRA, 1933): 뉴딜 초기 산업 회복을 위한 핵심 법안이었으나, 이후 미국 연방 대법원에 의해 위헌 판결을 받았다.
  • 전국 노동 관계법 (NLRA, 1935): 일명 와그너 법(Wagner Act)으로 불리며, 그의 가장 큰 입법적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NIRA의 위헌 판결 이후, 와그너는 노동자들의 단결권과 단체 교섭권을 보장하는 이 법안의 통과를 주도했다.[10] 이 법은 전국 노동 관계 위원회 (NLRB)를 설립하여 노사 분쟁을 중재하고, 다수의 '불공정 노동 관행'을 금지했으며, 모든 노동자에게 노조 결성 및 가입 권리를 보장함으로써 미국 노동 운동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 사회 보장법 (1935): 미국 사회 보장 제도의 기초를 마련한 이 법안의 작성 과정에 깊이 관여했으며, 상원에 법안을 처음으로 제출했다.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이 1935년 8월 14일에 사회 보장법에 서명하는 모습. 와그너는 왼쪽에서 두 번째 인물이다.

  • 와그너-스티걸 주택법 (1937):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 주택 건설을 지원하는 법안이다.

연방 주택 관리자 스튜어트 맥도날드(오른쪽)와 와그너 주택법에 대해 논의하는 로버트 F. 와그너 상원의원(왼쪽).

  • 철도 연금법: 철도 노동자들을 위한 연금 제도를 마련한 법안으로, 이후 자비츠-와그너-오데이 법의 모태가 되었다.


이 외에도 와그너는 여러 중요한 입법 활동에 참여했다. 1934년에는 1934년 통신법에 대한 와그너-해트필드 수정안을 발의하여 라디오 채널의 25%를 비영리 단체 라디오 방송사에 할당하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1939년에는 하원의 에디스 누르스 로저스 의원(공화당-매사추세츠)과 함께 나치 독일의 박해를 피해 온 14세 미만 유대인 난민 2만 명을 미국으로 받아들이자는 내용의 와그너-로저스 법안을 공동 발의했지만, 이 역시 의회를 통과하지 못했다.[11]

또한 와그너는 에드워드 P. 코스티건 상원의원과 함께 1934년 연방 차원에서 린칭을 금지하는 법안을 후원했다. 그들은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법안 지지를 요청했으나, 루스벨트는 남부 민주당 의원들의 반발과 뉴딜 정책에 대한 지지 상실을 우려하여 이를 거절했다. 비록 법안 통과에는 실패했지만, 연방 차원의 입법 노력은 린칭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높였고, 실제로 1935년 남부에서 18건 발생했던 흑인 린칭 사건은 1936년 8건, 1939년 2건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1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와그너는 다시 한번 다양한 사회 문제 해결에 힘썼다. 그는 노동 문제, 사회 보장 제도 강화, 완전 고용(취업 기회가 풍부하고 실업률이 낮은 경제 상태) 달성, 주택 공급 확대, 국제 경제 원조 등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또한 팔레스타인 지역에 유대인 국가를 건설하는 문제와 미국 북동부세인트로렌스 수로 개발을 통한 경제 활성화 방안 마련에도 참여했다.

와그너는 공공 주택 공급 확대와 도시 재개발을 위한 입법을 추진하여 성과를 거두었으며, 그가 지지했던 유대인 국가 이스라엘1948년에 건국되었다. 해리 트루먼 대통령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국내 건강보험 도입과 민권 신장을 위한 입법 활동도 추진했다. 하지만 당시 보수적인 의회의 반대로 인해 와그너가 제안한 법안들이 통과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태프트-하틀리 법령이 트루먼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도 불구하고 의회에서 통과된 것은 와그너에게 큰 정치적 패배였다. 이 법령은 기존의 노동 관계법을 수정하여, 와그너가 지난 10여 년간 노동자들의 권익 향상을 위해 노력하여 얻어낸 성과들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건강 악화로 인해 와그너는 1949년 6월 28일 상원의원직을 사임했다. 그는 퇴임하면서 인권 신장을 위한 노력 과정에서 좌절도 있었지만, 입법을 통해 더 많은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고 자평했다. 와그너의 활동은 당시 미국 사회의 진보적인 정치 흐름과 이민자들의 정치적 영향력 증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5. 사망

1953년 5월 4일, 로버트 F. 와그너는 75세의 나이로 뉴욕에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퀸스에 위치한 캘버리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그는 본래 루터교 신자였으나 대학 시절 감리교로 개종했고, 이후 1946년에 로마 가톨릭교회로 다시 개종했다.[13] 그의 아들 로버트 F. 와그너 주니어는 훗날 뉴욕 시장을 지냈다.

6. 유산

그의 아들 로버트 F. 와그너 주니어는 1954년부터 1965년까지 뉴욕 시장을 역임했다. 그의 손자인 로버트 (바비) 페르디난드 와그너 3세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걸쳐 부시장, 도시 계획 위원회 국장, 뉴욕시 교육 위원회 회장 등 다양한 공직을 맡았다.

2004년 9월 14일, 와그너의 초상화가 아서 H. 밴덴버그 상원의원의 초상화와 함께 미국 상원 리셉션 룸에 걸렸다. 이 초상화는 이전에 "유명한 5인"으로 알려진 헨리 클레이, 다니엘 웹스터, 존 C. 칼훈, 로버트 M. 라 폴레트, 로버트 A. 태프트 등 저명한 전직 상원의원들의 초상화와 함께 전시되었다. 이 "유명한 5인"의 초상화는 1959년 3월 12일에 공개된 바 있다.

또한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뉴욕시 이스트 76번가 220번지에 위치한 공립 중학교와 뉴욕 시립 대학교 캠퍼스 내 와그너 홀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7.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904년 선거하원의원 (뉴욕 제30선거구)128대민주당57.44%6,365표1위당선
1905년 선거하원의원 (뉴욕 제30선거구)129대민주당38.69%3,924표2위낙선
1906년 선거하원의원 (뉴욕 제22선거구)130대민주당67.52%6,150표1위당선
1907년 선거하원의원 (뉴욕 제22선거구)131대민주당54.06%4,255표1위당선
1908년 선거상원의원 (뉴욕 제16부)132대민주당55.31%14,026표1위당선
1910년 선거상원의원 (뉴욕 제16부)134대민주당65.12%13,907표1위당선
1912년 선거상원의원 (뉴욕 제16부)136대민주당57.63%12,733표1위당선
1914년 선거상원의원 (뉴욕 제16부)138대민주당58.34%11,143표1위당선
1916년 선거상원의원 (뉴욕 제16부)140대민주당62.55%13,005표1위당선
1926년 선거상원의원 (뉴욕 제3부)70대민주당46.48%1,321,463표1위당선
1932년 선거상원의원 (뉴욕 제3부)73대민주당55.77%2,532,905표1위당선
1938년 선거상원의원 (뉴욕 제3부)76대민주당54.48%2,497,029표1위당선
1944년 선거상원의원 (뉴욕 제3부)79대민주당53.06%3,294,576표1위당선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American Biography Charles Scribner's Sons 2012-02-26
[2] 서적 Empire statesman: The rise and redemption of Al Smith
[3] 간행물 Senator Robert F. Wagner and the rise of urban liberalism https://www.jstor.or[...]
[4] 웹사이트 Robert F. Wagner Sr. http://www.nndb.com/[...] 2012-02-26
[5] 뉴스 Triangle Shirtwaist Factory Fire (1911) http://topics.nytime[...] 2011-03-11
[6] 서적 Dictionary of American Biography
[7] 서적 Empire Statesman: The Rise and Redemption of Al Smith
[8] 뉴스 Stricken Senate Democrat Undergoes Surgery https://www.nytimes.[...] 2012-02-26
[9] 간행물 American Profiles on Capitol Hill: A Confidential Study for the British Foreign Office in 1943 http://berlin.wolf.o[...] 1974-01-01
[10] 웹사이트 U.S. Department of Labor - Labor Hall of Fame - Robert F. Wagner http://www.dol.gov/o[...] 2012-02-26
[11] 웹사이트 Wagner-Rogers Bill https://encyclopedia[...] 2022-03-20
[12] 서적 Senator Robert Wagner
[13] 서적 Senator Robert F. Wagner and the rise of urban liberalism
[14] 뉴스 12 Aug 1908, Page 5 - The New York Times at https://www.newspape[...] Newspapers.com 1908-08-12
[15] 서적 Printed chronic of Nastaetten "893 Nastede - Nastaetten 1993"
[16] 서적 Reporting from Washington: The History of the Washington Press Corp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5-01-01
[17] 웹사이트 The Lost World of CCNY: Architectural Gems of Our Past: Wagner Hall http://origin.admin.[...] 2010-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