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그로스테스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그로스테스트는 1175년경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중세 시대의 학자이자 링컨 주교였다.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로저 베이컨의 스승으로 과학적 방법론에 영향을 미쳤다. 주교로서 교회의 개혁을 추진했고, 교황과 왕 사이에서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대한 논쟁을 벌였다. 그는 빛을 예술의 근본 원리로 여기는 예술 이론을 제시했으며, 1253년 사망 이후에도 옥스퍼드와 파리에서 그의 사상이 수용되어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세기 천문학자 - 로저 베이컨
로저 베이컨은 13세기 영국의 철학자이자 과학자로 경험과 관찰을 중시하는 과학적 방법론을 강조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과 이슬람 과학의 영향을 받아 광학, 수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고 《대작》 등의 저서를 남겼으며, 후대 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13세기 천문학자 - 요하네스 페캄
요하네스 페캄은 13세기 영국의 프란체스코회 수도사이자 철학자, 신학자, 캔터베리 대주교로서, 파리 및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활동하며 교회 개혁을 추진하고 에드워드 1세의 외교 사절로도 활동했으며, 철학과 성경 주석 외에도 시각 연구와 시에 재능을 보였다.
로버트 그로스테스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로버트 그로스테스트 |
다른 이름 | 로베르투스 카피토 로베르투스 카피투스 로베르투스 메가케팔루스 로베르투스 그로세테스타 로베르투스 링콜니엔시스 루베르투스 링콜니엔시스 |
출생 | 1168년-1170년경 |
출생지 | 스토, 서퍽 주 |
사망 | 1253년 10월 8일 또는 9일 (약 85세) |
사망지 | 벅던, 헌팅던셔 |
국적 | 잉글랜드 |
직업 | |
주요 직업 | 링컨 주교 점성가 과학자 철학자 |
기타 직업 | 신학자 |
종교 | |
종교 | 성공회 |
학문적 배경 | |
분야 | 서양 철학 중세 철학 신학 자연 철학 |
학파 | 스콜라 철학 |
영향 | 안셀무스 폰 칸터베리 아베로에스 |
영향을 준 인물 | 로저 베이컨 토마스 브래드워딘 토마스 홉스 |
주요 아이디어 | 과학적 증명 이론 |
교회 경력 | |
링컨 주교 | 재임 시작: 1235년 재임 종료: 1253년 |
이전 | 휴 오브 웰스 |
이후 | 헨리 오브 렉싱턴 |
기념 | |
축일 | 10월 9일 |
숭배 대상 | 성공회 |
2. 생애
그로스테스트는 서퍽 근교에서 태어났다. 그가 받은 교육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증거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1190년대에는 헤레퍼드에서 리베랄 아츠(liberal arts) 훈련을 받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헤레퍼드의 주교(bishop)였던 윌리엄 드 베레의 도움이나 기랄두스 캄브렌시스의 권유 때문이었던 것 같다. 상당히 확실한 것은 1192년까지 그로스테스트가 "마스터(master)"가 되었다는 점이지만, 이것이 어떤 전문 과정을 완료했음을 의미하는지 여부는 불확실하다. 헤레포드 주교 드 베레 밑에서 일자리를 구했던 것 같지만, 주교가 사망하면서 그로스테스트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 일시적으로 사라진다. 그 후 13세기 초에 다시 기록이 나타나는데, 헤레포드의 소송 대리인으로서의 기록이지만, 구체적인 주소나 학문을 계속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1225년까지 링컨 교구의 아봇슬리에서 부제(deacon)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이 시기 그로스테스트의 학문 활동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신학을 가르치기 시작했다는 설이고, 다른 하나는 최근의 설로, 위에서 언급한 교회 일을 통해 번 돈으로 프랑스 파리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는 설이다. (당시 유럽 최고의 학문 기관은 파리 대학교였다.)
1224년 옥스퍼드에 설립된 프란체스코 수도회 수도원(monastery)의 회원들에게 신학을 가르치는 강사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어쨌든 1229-30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강의를 했던 것에 대한 확실한 증거가 있으며, 1235년까지 이 직책에 있었다.
1224년경 옥스퍼드 대학교 총장이 되었다는 설명도 있지만, 이는 13세기 말에 만들어진 일화이며, 실제로는 "magister scholarium"(학생 대표)가 된 것으로 보인다.
그로스테스트는 라틴어 성경 전문가로서, 대학 신학 커리큘럼(curriculum)에 따라 프란체스코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훈련을 실시했으며, 시편, 바울 서신, 창세기를 가르쳤다. 또한 이사야서, 다니엘서, 집회서도 가르쳤을 가능성이 있다.
프란체스코 수도회 회원 로저 베이컨은 그로스테스트의 제자(disciple) 중 가장 유명한 인물이며, 베이컨은 그로스테스트 덕분에 과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 후 그로스테스트는 체스터, 노섬프턴, 레스터 주교좌(bishopric)의 부제 직책에 올랐다.
1232년, 큰 병을 앓은 후 링컨 주교좌 성당 참사회(chapter)를 제외한 모든 성직록(benefice)을 사퇴하고 관상 생활에 들어가기로 결심했다. 그러나 교회가 그를 필요로 했기 때문에 1235년 링컨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주교로서 그가 착수한 것은 자신의 교구 내 성직자들의 풍기를 새롭게 하고 개혁하는 것이었다. 흔히 있는 일이지만, 이 개혁 운동은 여러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교구 순찰을 둘러싸고 자신의 주교좌 성당 참사회 회원들과 다투게 되었다. 1239년부터 1245년에 걸쳐 그로스테스트의 개혁 운동은 큰 논쟁이 되었고, 때로는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그로스테스트의 과도함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지만, 그로스테스트는 1245년 리옹에 있던 교황의 지지를 얻는 데 성공했다.
교회 정치 분야에서 그로스테스트는 개혁파였으며, 주교단의 자주성을 중시했다. 개혁의 열정은 곧 영국 궁정에서의 성직자의 위치 문제와 관련되게 되었고, 헨리 3세로부터 질책을 받게 되었다. 이 문제는 계승자 에드워드 1세 시대에 국가로부터 판정이 내려져 결착이 나게 된다. 그로스테스트가 계층 이론에 쏟은 열정은 왕과 참사회의 협조를 목표로 했던 것으로 증명된다. 그로스테스트는 왕에 대해서는 주교의 특권을 주장했고, 참사회에 대해서는 로마 교황의 의도를 무시할 수 없다는 점을 주장했다. 이 시대부터 지역 교회와 로마의 관계가 논쟁거리가 되어 간다.
1238년, 그로스테스트는 왕에게 사절을 살해하려 했다는 혐의로 투옥된 옥스퍼드의 성직자의 석방을 요구했다. 그로스테스트는 교황과 왕 사이에서 끈기 있게 활동을 계속했고, 대주교 에드먼드 리치 사후에는 왕정청(Curia Regis)에서 성직자 회의의 대표를 지냈다. 1244년에는 보조금 문제 협의를 위한 위원회에 임명되어, 보조금 문제를 거부하고 귀족과 성직자의 이간을 노린 왕의 정책을 실패로 이끌었다.
그러나 영국에서의 성직자단의 자주성에 대한 움직임은 곧 교황과 왕의 공동 행동으로 이어졌다. 1250년 이후, 그로스테스트는 인노첸시오 4세가 신성 로마 제국과의 분쟁에 필요한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내놓은 정책을 공개적으로 비판하고, 실제로 로마에 가서 교황과 추기경단에 직접 호소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이것도 효과를 보지 못했지만, 추기경들은 그로스테스트의 영향력의 크기를 두려워했다.
이 실패로 그로스테스트는 주교직 사퇴도 생각했지만, 기운을 차리고 운동을 계속하기로 결심했다. 곧 1251년에는 교황이 성직자들에게 십자군 파병을 위해 십일조를 왕에게 바치도록 명령한 것에 항의하고, 영국 성직자들의 서임권이 로마에 장악되어 있는 문제점을 사람들에게 호소했다. 자신의 교구가 교황의 조카에게 위임된다는 결정이 내려지자, 그로스테스트는 교황이 아니라 교황의 고문단에게 거부와 충고의 편지를 보냈다.
그로스테스트는 프란체스코회 동료들을 통해 시몽 드 몽포르와 친분을 맺었다. 몽포르 백작은 그로스테스트의 정치 관련 책자를 읽었기 때문에 그로스테스트에 공감하고 교회 개혁에 협력을 제안했다. 1239년 이후 두 사람의 우정은 계속되었고, 왕과 백작의 화해에 중재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몽포르 백작의 정치 사상이 그로스테스트 생전에 확립되었다는 것과 그로스테스트 자신이 일반 정치에 관여하려고 했었다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 그로스테스트는 헨리 3세의 실정과 무분별한 교황과의 협조가 영국 성직자의 타락과 사치를 초래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로스테스트를 헌법 수호론자라고 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
그로스테스트는 1253년 10월 9일에 사망했다. 이미 70세에서 80세라는 고령이었다. 그는 주교가 되었을 때 이미 고령이었고 충분한 명성을 얻고 있었다. 그로스테스트는 교회 정치가로서도 학자로서도 열정에 찬 일류 인물이었지만, 후세의 역사가들은 그로스테스트의 정치가로서의 측면만을 강조하고 학문적 업적은 경시하는 경향이 있다. 그로스테스트는 확실히 영국에서 최초의 근대적인 사상가이자 과학자이며, 로저 베이컨의 선진성을 낳는 토대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옥스퍼드 대학교와 영국의 학계의 지위는 그로스테스트에 의해 높아졌고, 현대에까지 그 전통을 맥을 이어 받고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로버트 그로스테스트는 1175년경 잉글랜드 서퍽(Suffolk) 근교에서 가난하게 태어났다.[13] 1190년대 헤레퍼드(Hereford)에서 교양 교육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13] 1192년까지 "마스터(master)" 칭호를 얻었다.[13] 헤레퍼드 주교 윌리엄 드 베어(William de Vere) 밑에서 일했으나, 주교 사망 후 한동안 기록이 사라진다.[13] 13세기 초 헤레퍼드 소송 대리인으로 다시 등장한다.[13]1225년 링컨(Lincoln) 교구의 아봇슬리에서 부제(deacon)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이 시기에 대해서,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신학을 가르쳤다는 설과 파리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는 설이 있다. 1229/30년에는 옥스퍼드에서 강의를 했던 명확한 증거가 있으며, 1224년경 옥스퍼드에 수도원을 설립한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신학 강사로서 주변부에 있었다.[14] 그는 1235년 3월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다.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 총장으로 임명되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이에 대한 증거는 부족하다.[14]

그로스테스트는 시편, 바울 서신, 창세기(적어도 창조 기사), 그리고 아마도 이사야서, 다니엘서, 집회서에 대해 강의했다.[16] 그는 또한 진리의 신학적 본질과 모세 율법의 효능과 같은 주제에 대해 논쟁을 이끌었다. 그로스테스트는 대학교에서 설교를 했고, 교구 내에서도 설교하도록 요청받았던 것으로 보인다.[16]
2. 2. 학자로서의 경력
로버트 그로스테스트는 1225년까지 링컨 교구의 아봇슬리에서 부제(deacon)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했다.[14] 이 시기 그의 학문 활동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그가 1225년에 옥스퍼드에서 신학 강의를 시작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역사학자들은 그가 교회 직책의 수입을 이용하여 파리 대학교에서 신학 공부를 했다고 주장한다.[14] 그러나 1229/30년에는 그가 옥스퍼드에서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신학 강사로 활동했다는 명확한 증거가 있다.[14] 그는 1235년 3월까지 옥스퍼드에서 강의했다.13세기 후반의 일화에 따르면, 그로스테스트는 옥스퍼드 대학교 총장으로 임명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실제로는 학생들의 주임(magister scholarium)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휴 오브 웰스는 그를 라이스터 대리주교로 임명했고,[14] 링컨 대성당의 참사회원으로 만들었다.[14] 1232년 심한 병을 앓은 후, 그는 링컨 대성당 참사회원을 제외한 모든 성직록(benefice)을 사임했다.[14]
그의 가장 유명한 제자는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로저 베이컨이었으며, 베이컨은 그에게서 과학적 방법에 대한 관심을 얻었다.[15] 그로스테스트는 시편, 바울 서신, 창세기(적어도 창조 기사), 그리고 아마도 이사야서, 다니엘서, 집회서에 대해 강의했다. 그는 또한 진리의 신학적 본질과 모세 율법의 효능과 같은 주제에 대해 논쟁을 이끌었다.
2. 3. 링컨 주교 시절
로버트 그로스테스트는 1235년 2월 휴 웰스(Hugh of Wells)가 사망하자 링컨 교구(Diocese of Lincoln)의 주교로 선출되었다.[17][18] 링컨 대성당 참사회(canons)는 그의 후임자를 선출하는 과정에서 교착 상태에 빠졌고, 선거권을 빼앗길 것을 우려하여 타협 후보로 그로스테스트를 선택하였다. 그는 같은 해 6월 리딩에서 주교로 서품되었다.[17][18]
그로스테스트는 교구 내 성직자들의 풍기를 쇄신하고 개혁하기 위해 혁신적인 방문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그는 수도원 검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절차를 광대한 교구의 각 대리구(archdeaconry)의 모든 대목구에 적용하도록 확장했다. 이로 인해 그는 여러 특권 기관, 특히 자신의 장(chapter)과의 갈등을 겪었고, 장은 그들의 공동체에 대한 방문권을 행사하려는 그의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다. 이 분쟁은 1239년부터 1245년까지 격렬하게 계속되었으며,[19] 장은 교황청에 항소했다. 1245년, 리용 제1공의회에 참석하는 동안 교황청은 그로스테스트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렸다.[19] 1239년에 학장 윌리엄 드 토르나코를 포함한 성가대장과 부학장이 그로스테스트에 의해 정직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교회 정치에서 그로스테스트는 토마스 베켓 학파에 속했다. 그는 개혁에 대한 열정으로 인해 세속 권력이 받아들일 수 없는 기독교적 주장을 제기하게 되었고, 이 문제로 헨리 3세로부터 두 차례 꾸중을 들었다. 그러나 에드워드 1세가 국가에 유리하도록 원칙 문제를 해결했다. 그는 주교의 특권을 옹호하고 교황청의 명령을 무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며, 국가 교회의 자유가 로마의 주장과 충돌했을 때 동포 편에 섰다.[19]
1238년, 그는 국왕에게 특사 오토 칸디두스를 공격한 옥스퍼드 학자들을 석방할 것을 요구했다. 1244년에는 보조금 요구를 고려하기 위해 소집된 위원회에 참석하여 요구를 거부하고, 국왕이 성직자들을 귀족(baronage)으로부터 분리하려는 시도를 좌절시켰다.[19]
그로스테스트의 생애와 주교직의 마지막 몇 년은 캔터베리 대주교 사보이아의 보니파시오와의 갈등으로 얼룩졌다. 1250년, 그는 교황청으로 가서 인노첸시오 4세에게 자신의 불만을 직접 전달했다. 그는 보니파시오가 교회의 건강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교황도 그를 억제하지 않은 것에 대해 유죄라고 주장했다. 대부분의 관찰자들은 링컨 주교와 교황 사이의 개인적인 적대감을 지적했지만, 교황은 영국 교회의 기능 방식에 대한 그로스테스트의 요구 대부분에 동의했다.
1251년, 그는 영국 성직자들에게 십자군을 위해 수입의 10분의 1을 헨리 3세에게 지불하도록 명령하는 교황의 명령에 항의했고, 제공 시스템에 따라 매년 7만 마크의 금액이 로마의 외국인 지명자에 의해 영국에서 인출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1253년, 자신의 교구에서 교황의 조카를 임명하라는 명령을 받자, 그는 교황 자신이 아니라 명령을 받은 위원인 이노센트 마스터에게 항의와 거절의 편지를 썼다.[19]
그로스테스트는 프란체스코 수도회 교사인 아담 마시를 가장 친밀한 친구로 여겼고, 아담을 통해 사이먼 드 몽포르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편지에 따르면 백작은 군주제와 폭정의 차이에 관한 그로스테스트의 정치 논문을 연구했고, 주교의 교회 개혁 계획을 열정적으로 받아들였다고 한다.
2. 4. 유대인과 유대교에 대한 적대감
로버트 그로스테스트의 유대인과 유대교에 대한 태도는 학자들 사이에서 평가가 엇갈린다. 그는 고리대금업에 대해 분명히 적대적이었지만, 구약과 신약의 관계에 관심을 가졌다. 시몬 드 몽포르가 레스터의 유대인들을 추방했을 때 그로스테스트가 개입했지만, 추방 자체에 대한 그의 견해는 불분명하다.그는 후반기에 유대인에 대한 적대감이 더 커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그의 신학적 연구를 통해 추적할 수 있다. 젊은 시절 옥스퍼드에서 강의를 할 때 그는 시편과 바울의 갈라디아서를 분석했고, 크리소스톰의 연구를 따라 유대인들은 구원을 추구하기보다는 과거와 혈통에 매달려 있다고 결론지었다. 갈라디아서와 ''De cessatione legalium'' 분석에서 히에로니무스를 인용하여 구약의 지위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제시하고, 그리스도의 부활에 의해 구약은 "무효화"되었으며, 따라서 유대교는 이단적이고 신성모독적이라고 결론짓는다. 그는 3세기 교황 인노첸시오 3세와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e)의 견해를 따랐는데, 유대인들이 그리스도의 죽음에 대한 죄가 있으며, 아벨을 죽인 카인이 처벌로 살아남았던 것처럼 유대인들도 그들의 죄에 대한 처벌로 유배와 봉사의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유대인들은 고리대금업을 통해 그리스도인들을 "압제"하는 것을 허용하는 그리스도교 통치자는 다음 생애에서 유대인들과 같은 벌을 받을 것이라고 보았다. 주교로서 그는 유대인들에 대해 거의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1240년대 중반에 그가 부주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리스도인과 유대인이 교류하지 않도록 경고했다.
1242년에 그로스테스트는 그리스어 본문 ''열두 족장의 유언(Testaments of the Twelve Patriarchs)''을 라틴어로 번역했다. 이 책은 야곱의 아들들이 그리스도를 메시아로서의 도래를 예언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뱅상 드 보베, 본벤투라, 로저 베이컨 등에 의해 인용될 정도로 영향력이 컸다. 매슈 패리스는 그로스테스트가 유대인들의 속임수를 "큰 혼란"에 빠뜨렸다고 말했다.
그로스테스트는 그리스어뿐만 아니라 히브리어도 공부했고, 그리스도인과 유대인 사이의 갈등을 없애는 것이 목표였다. 유대인들의 무지와 처벌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적 견해에서 유대인들이 그리스도를 완고하고 고의적으로 거부하는 것처럼 보이는 견해로 그로스테스트의 견해가 진화한 것은 더 큰 의심과 불관용으로 이어지는 더 광범위한 변화의 일부였다.
2. 5. 사망과 매장
로버트 그로스테스트는 1253년 10월 9일에 사망했다.[17][27] 그의 나이는 약 80세에서 85세였다. 그는 링컨 대성당 안에 있는 그의 기념 예배당 내 무덤에 안장되었다.[17]3. 사상
3. 1. 예술 이론
그로스테스트는 자신의 예술 이론을 단 하나의 기본 사유에서 도출된 광범위한 형이상학 이론 속으로 통합시켰다. 신으로부터 발원하고 상월계(上月界)를 지나서 하월계(下月界)까지 뻗쳐있는 빛이 모든 사물의 근원과 제1 원칙을 이룬다는 것이 바로 기본 사유였다. 빛은 개별 사물의 형식과 외모뿐만이 아니라 우주의 삼라만상의 조화로운 배열을 결정한다. 그로스테스트는 신(新)플라톤적 유출(流出) 개념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천구 이론을 결합시킨 이런 형이상학적 기본논제로부터 모든 사물의 미는 제1 원칙인 빛에 근거를 두어야만 한다는 예술 이론 논제를 도출해 낸다. "아름다운"이라는 단어는 주관적 가치 평가에 근거해서 어떤 사물에게 주어진 술어가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객관적이고, 제1 원칙으로 귀결될 수 있는 조화에 근거해서 사물에 주어진 것이다.3. 1. 1. 빛의 형이상학
신(新)플라톤적 특징을 지닌 《빛에 관해서》 라는 저서에서 로버트 그로스테스트는 자신의 예술론의 토대를 형성하는 형이상학적 강령을 만들어낸다. 우주는 최초에는 아무런 차원도 지니고 있지 않은 형식과 질료로 이루어져 있다고 그는 주장한다. 형식은 오로지 순수한 빛이기 때문에, 그것은 사방으로 발산하고 증가된다. 이때 빛은 항상 한 점에서 시작되고 주변에 계(界)들을 형성한다. 외부의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런 과정을 통해서 형식과 조화를 이룬 질료도 역시 증가한다. 이렇게 먼저 천상계가, 그 다음에 하월계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하월계에서 4원소가 생겨난다. 빛이 점점 더 질료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최초의 완벽한 빛의 세계와 비교하면 다른 세계들은 덜 투명하게 된다. 그리고 빛이 처음 세계에 의해서 반사되는 순간부터, 그것은 눈에 보이는 빛으로만 현존한다. 그럼에도 빛은 모든 계에서 능동적 형식으로 남아있고 지상에서도 각각의 대상 속에 현존하고 있다.관념적인 우주 진화론에서 출발한 그로스테스트는 개별 대상의 크기, 형태 그리고 운동이 빛의 현존을 통해서 결정된다는 논제를 주장한다. 그리고 대상의 미는 다름 아니라 빛을 통해서 한 대상이 그 주변의 대상과 이루는 조화이다.
책 《신성한 명칭에 대해서》를 해설한 주석서에서 그로스테스트는 자신의 빛에 관한 형이상학을 신학적 숙고와 결부시킨다. 그는 모든 계에 뻗쳐있는 최초의 빛을 신과 동일시하고 빛을 미의 순수한 형식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질서가 잘 잡힌 대상 속에서 발견되는 미는 다름 아니라 명백하게 나타난 신적인 미이다. 그래서 그로스테스트의 말을 따르면 모든 피조물은 신의 모상(模像)으로 불릴 수 있다는 것이다. 모상이 글자 그대로 이해된 신과의 유사적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이 발산하는 최초의 빛의 산물이고 그것을 통해서 창조주의 미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신의 모상이 되는 것이다.
3. 1. 2. 비례 이론과 숫자 상징
자연 철학적 저서 속에서 그로스테스트는 미가 대상들의 조화라는 보편적 논제를 수학적 비례 이론 속에서 표현하려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그 목표를 위해서 그는 신(新)플라톤적 기원에서 생겨난 숫자 상징을 다시 이용한다. 그는 숫자 1을 빛, 즉 확장하는 형식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정의한다. 그는 질료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숫자 2를 선택하고, 형식과 질료의 결합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숫자 3을 , 이런 결합의 산물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숫자 4를 선택한다. 네 가지 숫자의 합, 즉 10은 그로스테스트에게는 절대미와 조화를 표현하는 완벽한 숫자이다. 대상의 모든 "조화"는 4개의 기본 숫자의 특정한 비율을 통해서 수학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고 한다.그로스테스트는 자신의 비율 이론을 다양한 예술분야에 적용한다. 그래서 음악에서의 미는 다름 아니라 수학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음정의 비율이다. 마찬가지로 표현 예술에서의 미는 기하학적 크기의 비율이며, 춤에서의 미는 걸음의 비율이다. 예술가의 목표는 매번 적절한 비율을 찾는 것이고 그것을 통해서 인공물 속에서 창조의 미를 모방하는 것에 있어야만 한다.
3. 1. 3. 초월 이론과 박탈 이론
미는 객관적으로 주어지고 수학적으로 표현될 수 있기 때문에, 그로스테스트에게 미란 대상을 우연적으로 정의하는 것이 될 수 없다. 오히려 미는 모든 대상들이 천성적으로 지닌 규정이다. 그러므로 "아름답다"는 단어는 초월적 개념이다("초월적"이라는 전문 용어는 그로스테스트에 의해서 사용되지 않고, 아마도 그의 후계자들에 의해서 13세기에 사용되었을 것이다). 이 개념은 모든 범주적 구별을 넘어서고 본질적으로 현존하는 모든 것에 속하는 어떤 것을 표시한다. 사물 그 자체가 아니라 오직 개념적으로만 "아름다운"과 "현존하는" 단어 사이의 구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름다운"이라는 단어는 사물의 내적 질서와 사물이 다른 대상과 맺고 있는 조화의 관점에서 한 대상을 표시하고, "현존하는"이라는 단어는 존재의 측면에서 같은 사물을 표시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박탈 이론과 결부시켜서 그로스테스트는 추를 대상의 특이한 특징 혹은 규정이 아니라, 반대로 질서와 조화의 단순한 결핍으로 이해한다. 그럼으로써 추는 악이 아니라, 그저 축소된 형식 속에서 창조주의 완벽한 미를 표현하고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악은 일정한 미적 가치를 지닌 "축소된 선"일 뿐이다.4. 저서
로버트 그로스테스트는 서기관으로 재직하는 동안 라틴어와 프랑스어로 여러 초기 작품을 저술했는데, 그중에는 세계 창조와 기독교 구원에 관한 우화시인 ''샤토 다무르(Chateau d'amour)''와 가정 관리 및 궁정 예절에 관한 다른 여러 시와 텍스트가 포함된다.[26] 그는 또한 1230년대에 영향력 있는 ''육일기(Hexaëmeron)''을 포함한 여러 신학 작품을 저술했다.[26] 1242년에는 베이싱스토크의 존(John of Basingstoke)을 통해 그리스어 작품을 접하게 된 후, 그리스에서 ''열두 족장의 유언(Testament of the Twelve Patriarchs)''을 가져와 번역했다.[26]
그는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에 대한 여러 주석을 저술했는데, 서구 최초의 ''후분석학(Posterior Analytics)'' 주석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에 대한 주석이 포함된다.[26] 아레오파고스의 가짜 디오니시우스(Pseudo-Dionysius the Areopagite)의 천상 계층에 대한 작업도 수행했는데,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로 텍스트와 주석 모두를 번역하고 주석을 저술했다.[26]
1220년부터 1235년까지 다음과 같은 다수의 과학 논문들을 저술했다.[26]
- ''De sphera'': 천문학 입문서.
- ''De luce'': 빛의 형이상학에 관한 논문 (라틴 서방 세계에서 가장 독창적인 우주론 작품).
- ''De accessu et recessu maris'' : 조수와 조석 운동에 관한 논문.
- ''De lineis, angulis et figuris'': 자연 과학에서의 수학적 추론.
- ''De iride'': 무지개에 관한 논문.
- ''De colore'': 색깔에 관한 논문.
'''기타 저서'''
- '''천상 계층 구조에 관한 의견(Pseudo-Dionysius Areopagita)과 그리스어에서 가져온 주석 및 린컨의 로버트 그로스테스트의 주석과 주해'''*, D. A. Lawell 편집 ('''Corpus Christianorum. Continuatio Mediaevalis''' 268), Turnhout: Brepols Publishers, 2015 (ISBN 978-2-503-55593-5)
- '''작품집''' I. '''갈라디아서에 관한 사도 바울의 서한에 대한 해설. 사도 바울의 서한에 대한 어휘 해석의 단편. 표''' J. McEvoy, L. Rizzerio, R.C. Dales, P.W. Rosemann 편집 ('''Corpus Christianorum. Continuatio Mediaevalis''' 130), Turnhout: Brepols Publishers, 1995 (ISBN 978-2-503-04301-2)
- '''로버트 그로스테스트의 라틴어 번역으로 된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쿠스 윤리학에 관한 그리스어 주석''' H Mercken 편집 ('''Corpus Latinum Commentariorum in Aristotelem Graecorum''' VI), Leiden: Brill, 1973–1991
- '''빛에 관하여''' C Riedl 편집, (Milwaukee, WI, 1942)
- 《신비 신학: 토마스 갈루스의 주석과 로버트 그로스테스트(Robert Grosseteste)의 《신비 신학(De mystica theologia)》 주석》, J. McEvoy 편, (파리: 피터스, 2003)
- 《창세기 엿새에 관하여(On the Six Days of Creation)》, C.F.J. 마틴 번역, (옥스퍼드, 1996)
5. 수용과 유산
그로스테스트의 예술 철학은 옥스퍼드와 파리에서 활발하게 수용되었다.[19] 그 철학은 로저 베이컨의 경우처럼 형이상학적이고 부분적으로는 자연과학적인 빛 이론을 정교하게 구성하도록 만들었으며, 13세기 중반에 토마스 아퀴나스와 울리히 폰 슈트라스부르크에 의해 다듬어질 초월 이론의 발전을 촉진시켰다.[19]
그는 주교가 되었을 때 이미 명성이 확고했고, 교회 정치가로서 학문적 경력에서 보여주었던 것과 같은 열정과 다재다능함을 보였다. 현대 저술가들은 그의 정치적, 교회적 공헌을 과장하고 과학자, 점성술사, 학자로서의 업적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당시의 여론은 그가 정치가로서 훌륭한 의도를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그의 성격과 판단력의 결함을 강조했다. 그는 누구에게나 비판적이었고, 지위에 관계없이 자신의 의견을 자주 표명했으며, 국왕, 웨스트민스터 수도원장, 인노켄티우스 교황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 그는 교회의 부패와 싸우기 위해 노력했지만, 당대 사람들은 그를 문학 및 과학 운동의 선구자이자, 그의 시대의 최초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 보았다.[19] 그는 이러한 사고 영역에서 로저 베이컨이 나중에 더 널리 알린 몇 가지 놀라운 아이디어를 예상했다.[19]
링컨에 있는 로버트 그로세테스트 대학교(Bishop Grosseteste University)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초등 교사 양성 및 학위를 제공한다.[19] 2003년에는 그의 사후 750주년을 기념하여 그로세테스트에 관한 국제 학술회의를 개최했다.[19]
그는 과학에 대한 지식과 공헌으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인정받았다. 존 에블린의 ''Numismata: A discourse of Medals''의 "학자와 신학자" 섹션에 "Grosthed"라는 이름으로 등재되었으며, 2014년, 로버트 그로세테스트 협회는 그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동상을 세울 것을 촉구했다.[32]
참조
[1]
서적
Brev. Hist. Ang. Scot.
https://www.bl.uk/ca[...]
Harleian MS 3860
[2]
문서
The Life of Robert Grosstête
[3]
서적
William of Auvergne and Robert Grosseteste: New Ideas of Truth in Early Thirteenth Centu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Introduction of Arabic Philosophy Into Europe
BRILL
[5]
서적
Roger Bacon: His Life, Career, and Works
https://books.google[...]
Brill
[6]
서적
Thomas Bradwardine: A View of Time and a Vision of Eternity in Fourteenth Century Thought
BRILL
[7]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Hobb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BBC Pronouncing Dictionary of British Names
Oxford UP
[9]
웹사이트
Grosseteste, Robert (1168–1253)
http://thesaurus.cer[...]
[10]
웹사이트
Grosseteste, Robert 1175?–1253
http://www.worldcat.[...]
[11]
문서
[12]
서적
Knowing and Speaking: Robert Grosseteste's "De artibus liberalibus" ("On the Liberal Arts") and "De Generatione Sonorum" ("On the Generation of Sounds)"
Ox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Dicta CXLVII
http://www.bl.uk/cat[...]
Royal 6 E p.
[14]
웹사이트
British History Online Archdeacons of Leicester
http://british-histo[...]
2007-10-28
[15]
서적
Aladdin's Lamp: How Greek Science Came to Europe Through the Islamic World
Alfred A. Knopf
[16]
잡지
Life Is Short. Indexes Are Necessary.
https://www.nybooks.[...]
2023-07-22
[17]
서적
Handbook of British Chronology
[18]
웹사이트
British History Online Bishops of Lincoln
http://british-histo[...]
2007-10-28
[19]
백과사전
Grosseteste, Robert
[20]
웹사이트
Robert Grosseteste
http://plato.stanfor[...]
2018-04-05
[21]
서적
Robert Grosseteste and the Pursuit of Learning in the Thirteenth Centur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2-12-01
[22]
서적
Theories of Vision from al-Kindi to Kepl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3]
웹사이트
The Electronic Grossteste
http://www.grossetes[...]
[24]
서적
Robert Grosseteste and the pursuit of Religious and Scientific Learning in the Middle Ages
Mark Hocknull
[25]
서적
Robert Grosseteste and the Pursuit of Learning in the Thirteenth Centur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2-10-28
[26]
서적
Versio Caelestis Hierarchiae Pseudo-Dionysii Areopagitae cum scholiis ex Graeco sumptis necnon commentariis notulisque eiusdem Lincolniensis
Brepols Publishers
[27]
서적
Robert Grossetest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8]
서적
Robert Grosseteste and his intellectual milieu: new editions and studies
https://www.worldcat[...]
Pontifical Institute of Mediaeval Studies
[29]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4-08
[30]
서적
Lesser Feasts and Fasts 2018
https://books.google[...]
Church Publishing, Inc.
2019-12-17
[31]
서적
Numismata: A discourse of Medals: Together with some Account of Heads and Effigies of Illustrious, and Famous Persons, in Sculps, and Taille-Douce, of Whom we have no Medals extant, and of the Use to be derived from them : to which is added A Digression concerning Physiognomy
https://play.google.[...]
Tooke
[32]
웹사이트
Grosseteste Statue
https://grossetestes[...]
2022-12-02
[33]
문서
당시 영국은 카톨릭 국가였으므로 "주교"이다.
[34]
문서
베이컨에 따르면, 그로세테스트는 그리스어와 히브리어를 거의 몰랐고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별 관심이 없었지만, 자연철학(자연과학?) 지식 측면에서 당대 학자들보다 뛰어났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