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기 (문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기(傳記)는 특정 인물의 일생을 다루는 문학 장르로, 대상 인물의 성격과 업적을 시간 순서에 따라 기술하며 탐구한다. 고대부터 중세,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 수에토니우스의 '열두 황제전' 등이 초기 형태를 보여준다. 중세 시대에는 종교적 인물들의 전기가 주를 이루었고, 르네상스 시대 이후에는 세속적인 인물에 대한 전기가 등장했다. 18세기에는 제임스 보스웰의 '새뮤얼 존슨의 생애'가 근대적 전기 문학의 모델로 평가받았으며, 20세기에는 심리학의 발전이 전기 작법에 영향을 미쳤다. 전기는 내용과 서술 방식, 대상에 따라 평전, 열전, 자서전 등으로 분류되며, 현대에는 멀티미디어 기술과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또한, 한국에서도 교육적 목적으로 전기가 활용되며, 비판적 관점에서 전기 작성을 바라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르 - 대중역사
    대중역사는 과거 재현을 넘어 윤리적 책임감을 고취하는 역사 분야로, 학문적 언어를 대중적인 언어로 번역하여 역사적 사건을 폭넓게 전달하며 다양한 배경의 역사학자들이 활동하고 있다.
  • 논픽션 문학 - 위그 드 생빅토르
    위그 드 생빅토르는 12세기 파리 생 빅토르 수도원의 신학자이자 철학자, 작가로서 스콜라 철학 형성에 기여했으며, 신학, 신비주의,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저술을 남기고 철학과 신학의 조화를 추구하며 후대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논픽션 문학 - 서사적 논픽션
    서사적 논픽션은 사실에 기반하여 문학적 기법을 활용, 독자의 몰입도를 높이는 글쓰기 장르이며, 현실 세계의 주제를 다루고 철저한 조사를 바탕으로 소설처럼 읽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전기 문학 - 월인석보
    월인석보는 총 25권으로 추정되지만 전질은 남아있지 않으며, 초간본과 중간본으로 나뉘어 일부 권이 여러 곳에 소장되어 있고 일부 목판은 갑사에 보물로 보관되어 있다.
  • 전기 문학 - 생몰년 미상
    생몰년 미상은 인물의 출생과 사망 시점을 정확히 알 수 없는 경우로, 사료 부족이나 기록 미비 등의 원인으로 근대 이전 인물 연구에서 주로 나타나며, 현대에는 실종자나 사회 활동이 뜸한 일반인에게서도 발생하고 저작권 문제와도 연관된다.
전기 (문학)
구글 지도
기본 정보
다른 이름바이오그래피
설명한 사람의 일생에 대한 기록
상세 정보
내용개인의 삶의 경험, 특히 중요한 사건과 선택을 설명
특정 시기의 삶을 재구성하여, 시간 순서대로 전개
개인의 성격, 동기, 심리, 역사적 맥락, 사회적 맥락 등을 탐구
유형자서전: 저자가 직접 자신의 삶을 기록
전기: 타인이 특정 인물의 삶을 기록
전기 소설: 가상 인물의 삶을 다루는 소설 형태
관련 분야역사
문학
심리학
사회학
인류학
전기 작가의 역할
자료 수집편지
일기
인터뷰
문서
연구객관성과 공정성을 유지
해당 인물의 배경과 시대적 맥락을 고려
글쓰기독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
비평가의 시각과 인물의 업적, 단점, 동기를 균형 있게 제시
전기의 중요성
역사적 이해과거 인물과 사건을 통해 사회 문화적 맥락을 이해
교육적 가치개인의 삶을 통해 교훈과 영감을 제공
문화적 가치역사와 문화의 다양한 측면을 보존하고 기록
자기 성찰다양한 삶의 방식을 통해 자기 성찰을 유도
전기의 형태
서면 전기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책이나 논문 등의 서면 매체로 제공
영화 및 다큐멘터리시각적 자료와 인터뷰를 활용하여 인물의 삶을 재현
연극 및 뮤지컬무대 공연을 통해 인물의 삶과 업적을 표현
가상 전기비디오 게임이나 온라인 환경에서 인물의 삶을 재구성

2. 역사

전기는 역사상 가장 오래된 문학 장르 중 하나로, 고대 이집트의 무덤 비문에서 기원했다. 초기에는 특정 역사적 중요 인물에 초점을 맞춘 역사의 한 분야로만 여겨졌으나, 18세기에 독립적인 장르로 등장하기 시작하여 20세기 초에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후기 중세 시대가 되자, 유럽에서는 , 기사, 폭군의 전기가 등장하면서 교회 중심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그러한 전기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찰스 말로리 경이 쓴 ''아더왕의 죽음''으로, 아더 왕과 원탁의 기사들의 삶을 다룬 이야기였다. 말로리 이후, 르네상스 시기 인문주의의 영향으로 예술가와 시인 등 세속적인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구어체로 글쓰기를 장려했다.

조르조 바사리의 ''예술가들의 생애''(1550년)는 세속적인 삶에 초점을 맞춘 획기적인 전기였다. 바사리는 그의 작품을 통해 주제들을 유명인으로 만들었으며, 이는 초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15세기의 인쇄술 발전과 읽고 쓰는 능력의 증가는 주목할 만한 변화였다.

영어로 된 전기는 헨리 8세 통치 시대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존 폭스의 ''행위와 기념비''(1563년, ''폭스의 순교자들의 책''으로 더 잘 알려짐)는 유럽 최초의 전기 사전이었고, 토마스 풀러의 ''잉글랜드의 명사들의 역사''(1662년)는 공적인 삶에 대한 뚜렷한 초점을 가지고 있었다. 찰스 존슨의 ''해적의 일반 역사''(1724년)는 해적에 대한 대중적인 개념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유명한 해적들의 전기의 주요 원천이 되었다. 윌리엄 올디스가 편집한 ''영국 전기''(1747~1766년)는 영국의 저명한 남성과 여성에 대한 주목할 만한 초기 전기 모음집이다.

미국의 전기는 영국의 모델을 따랐는데, 토마스 칼라일은 전기가 역사의 일부라는 견해를 통합했다. 칼라일은 위대한 인간의 삶이 사회와 그 제도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역사적 충동은 초기 미국 전기에서 강력한 요소였지만, 미국 작가들은 독특한 접근 방식을 개척했다. 그 결과, 독자의 개인적 성격을 형성하면서 국가적 성격을 정의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성격을 형성하려는 다소 설교적인 형태의 전기가 등장했다.

2. 1. 고대 ~ 중세

미리엄 리히트하임에 따르면, 글쓰기는 사적인 무덤 장례 비문의 맥락에서 문학으로 향하는 첫걸음을 내디뎠다. 이것들은 고위 왕실 관리들의 경력을 기록한 기념적인 전기 텍스트였다.[1] 가장 초기의 전기 텍스트는 기원전 26세기 고대 이집트의 것이다. 기원전 21세기 메소포타미아에서는 길가메시에 관한 작품이 지어졌다. 또 다른 유명한 전기에 따르면, 아브라함이 세상을 떠났고, 그와 그의 3명의 후손은 고대 히브리 전기의 주제가 되었다.

가장 초기의 로마 전기 작가 중 한 명은 기원전 44년에 ''Excellentium Imperatorum Vitae''("뛰어난 장군들의 생애")를 출판한 코르넬리우스 네포스였다. 더 길고 광범위한 전기는 그리스의 플루타르코스가 그의 ''영웅전''에서 썼는데, 이는 서기 80년경에 출판되었다. 이 작품에서는 유명한 그리스인들이 유명한 로마인들과 짝을 이루는데, 예를 들어, 연설가 데모스테네스와 키케로, 또는 장군 알렉산드로스 대왕율리우스 카이사르 등이 있다. 고대 전기의 또 다른 잘 알려진 모음집은 서기 121년경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대에 쓰여진 수에토니우스의 ''De vita Caesarum''("황제들의 생애에 관하여")이다. 한편 동부 제국의 변방에서는 복음서예수의 삶을 묘사했다.

아이하르트 필사가


초기 중세 시대(서기 400년~1450년)에는 유럽에서 고전 문화에 대한 인식이 저하되었다. 이 기간 동안 유럽의 초기 역사에 대한 지식과 기록의 유일한 저장소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것이었다. 은둔자들, 수도사들, 그리고 사제들은 이 역사적 시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썼다. 그들의 주제는 대개 교부들, 순교자들, 교황들, 그리고 성인들로 제한되었다. 그들의 작품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개종을 위한 수단으로 의도되었다(성행전 참조). 이 시대의 중요한 세속적 전기의 한 예는 아이하르트가 쓴 카롤루스 대제의 생애이다.

중세 서인도에서는 유명한 사람들의 삶에 대한 준역사적인 전기적 서술을 쓴 산스크리트 자이나교 문학 장르인 프라반다가 있었다. 프라반다는 주로 13세기 이후부터 자이나교 학자들에 의해 쓰여졌고, 구어체 산스크리트어(대조적으로 고전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졌다.[2]

중세 이슬람 문명(~1258년)에는 무함마드와 초기 이슬람 역사의 다른 중요 인물들에 대한 유사한 전통적인 이슬람 전기가 쓰이기 시작하여 예언자 전기 전통이 시작되었다. 초기 전기 사전은 9세기 이후부터 유명한 이슬람 인물들의 백과사전으로 출판되었다. 초기 전기 사전은 처음에는 이슬람의 예언자들과 그들의 동료들의 삶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이러한 초기 예 중 하나는 이븐 사드 알 바그다디의 ''주요 계급들의 책''이다. 그리고 나서 중세 이슬람 세계에 살았던 다른 많은 역사적 인물들(통치자부터 학자들까지)의 삶에 대한 기록이 시작되었다.

중국의 『사기』에 “열전”이 마련되어 역대의 기전체 정사에 계승되었고, 중국과 고대 일본에서 한문으로 된 전기가 쓰였다. 일본의 경우는, 후세의 가나섞임문으로 된 전기와 구별하여 특히 한문전이라고 부른다.

2. 2. 근대

제임스 보스웰


최초의 근대적 전기이자 이 장르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작품은 1791년에 출판된 제임스 보스웰의 ''샘유얼 존슨의 생애''이다. 이 전기는 샘유얼 존슨의 일생을 다룬 것으로, 영어로 쓰인 가장 위대한 전기로 평가받는다.[3] 보스웰은 1763년에 존슨과 개인적으로 알게 되었지만, 기록 보관소 연구, 목격자 진술 및 인터뷰를 통해 존슨의 삶과 성격의 모든 측면을 정직하게 묘사했다.[3]

19세기에는 성인전과 같이 죽은 자를 칭송하는 방식으로 회귀하기도 했으나, 중산층 문화와 고급 문화의 구분이 생겨나면서 문학 전기와 대중 전기로 나뉘었다. 독자층 확대로 전기 출판이 급증했고, 저렴한 페이퍼백 판본의 인기 전기와 정기 간행물의 전기적 스케치 연재도 나타났다.

자서전은 교육과 저렴한 인쇄술의 발전, 그리고 현대적인 명성과 유명인의 개념이 발전하면서 더욱 인기를 얻었다. 찰스 디킨스, 앤서니 트롤로프 같은 작가, 존 스튜어트 밀 같은 철학자, 존 헨리 뉴먼 같은 교회 인물, P. T. 바넘 같은 연예인들이 자서전을 저술했다.

2. 3. 현대

20세기 초, 심리학사회학의 발전은 전기 작법에 큰 영향을 미쳤다.[3] 다윈주의 이론으로 인간 행동을 설명하고, "사회학적" 전기는 대상의 행동을 환경의 결과로 보아 개인의 특성을 축소했다. 정신분석학의 발전은 전기 대상에 대한 더 깊이 있는 이해를 가져왔고,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더 중점을 두게 했다. 이러한 심리학적 사상은 전기가 쓰이는 방식을 변화시켰고, 자서전 문화가 발전하면서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것이 치료의 한 형태로 여겨졌다.[3]

영국의 비평가 리턴 스트레이치(Lytton Strachey)는 1918년 ''영국의 명사들(Eminent Victorians)''을 통해 전기 작법에 혁명을 일으켰다.[4] 이 책은 빅토리아 시대의 주요 인물 4명 (매닝 추기경, 플로렌스 나이팅게일(Florence Nightingale), 토마스 아놀드(Thomas Arnold), 고든 장군)의 전기를 담고 있다. 스트레이치는 빅토리아 시대 인물들의 신화를 해체하고, 불경스럽고 재치 있는 스타일, 간결하고 사실적인 성격, 예술적인 산문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4]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가말리엘 브래드퍼드(Gamaliel Bradford), 앙드레 모루아(André Maurois), 에밀 루드비히(Emil Ludwig) 등이 스트레이치의 스타일을 모방했다. 로버트 그레이브스(Robert Graves)는 "신화 폭로 전기" 모델을 따랐다. 문학 전기와 "유명인 훔쳐보기" 형태의 대중 전기가 나타났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저렴한 양장본 재판본이 인기를 얻었다.

미국의 전문 역사학은 전기에 제한된 역할을 부여하고 사회적, 문화적 영향을 강조했다. 앨런 네빈스(Allan Nevins)는 1930년대 ''미국인 전기 사전(Dictionary of American Biography)''에 기여하고 장편 정치 전기를 후원했다. 1960년대 이후 젊은 역사가들은 더욱 비판적인 경향을 보였다.[5]

캐롤린 골드 하일브룬(Carolyn Gold Heilbrun)은 여성주의 운동 중에 여성 전기와 자서전의 성격이 바뀌었다고 했다. 1970년 낸시 밀포드(Nancy Milford)의 전기 ''젤다''를 "여성 전기의 새로운 시대의 시작"으로 언급하며, 메이 사튼(May Sarton)의 ''고독의 일기''(1973)를 여성 자서전의 전환점으로 지목했다.[3]

최근 멀티미디어 전기가 인기를 얻고, 전기 영화와 TV 채널이 확산되었다. CD-ROM과 온라인 전기도 등장했는데, 이들은 연대순 서술 대신 여러 미디어 요소의 아카이브를 제공한다. 미디어 학자 레브 마노비치는 이러한 아카이브가 데이터베이스 형식의 전형이라고 말한다.[3]

3. 종류

전기는 대상, 내용, 서술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나눌 수 있다.

전기의 종류
종류설명
자서전자신이 직접 자신의 일생을 쓴 글.
회고록자신의 생애 중에서 특히 중요한 부분만을 다룬 글.
평전저자가 사료를 선정하고 해석하여 정리한 비평적 전기. 주로 역사, 사상, 문학 분야의 평전이 많다.
열전(列傳)왕조(王朝)의 역사를 기록할 때 유명한 사람들의 일생, 업적, 일화 등을 간략하게 쓴 글.[1]
위인전주로 역사상의 위인의 전기이며, 아동 도서가 많다.
입지전미래의 목표를 세우고 여러 어려움과 격변을 극복하여 성공하고 공을 세운 사람의 일생 또는 반생을 그린 전기.
본전주된 전기. 외전이 존재하는 전기에 대해 사용한다.
외전본전에 비해 주요 부분이나 요점은 부족하지만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기록이나 주석. 본전에서 주요 부분이 아닌 특정 부분에 초점을 맞춘 기록이나 문서를 가리키기도 한다.


3. 1. 대상에 따른 분류


  • '''전기''': 다른 사람의 일생을 쓴 글이다.
  • '''자서전''': 자신이 직접 자신의 일생을 쓴 글이다.
  • '''회고록''': 자신의 생애 중에서 특히 중요한 부분만을 다룬 글이다.
  • '''평전''': 비평적 전기. 저자가 사료를 선정하고 해석하여 정리한 전기이다. 주로 역사, 사상, 문학 분야의 평전이 많다.
  • '''열전(列傳)''': 왕조(王朝)의 역사를 기록할 때 유명한 사람들의 일생, 업적, 일화 등을 간략하게 쓴 글이다.[1]

3. 2. 내용과 서술 방식에 따른 분류


  • '''평전''': 비평적 전기이다. 저자가 사료를 선정하고 해석하여 정리한 전기이다. 주로 역사적, 사상적, 문학적 평전이 많다.
  • '''열전''': 왕조역사를 기록할 때 유명한 사람들의 일생이나 업적, 또는 일화 등을 간단히 실은 글이다.
  • '''위인전''': 주로 역사상의 위인의 전기이며, 아동 도서가 많다.
  • '''입지전''': 미래의 목표를 세우고 여러 어려움과 격변을 극복하여 성공하고 공을 세운 사람의 일생 또는 반생을 그린 전기이다.
  • '''본전''': 주된 전기를 의미한다. 외전이 존재하는 전기에 대해 사용한다.
  • '''외전''': 본전에 비해 주요 부분이나 요점은 부족하지만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기록이나 주석을 의미한다. 본전에서 주요 부분이 아닌 특정 부분에 초점을 맞춘 기록이나 문서를 가리키기도 한다.

4. 한국의 전기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전기가 쓰이기 시작했으며, 고려시대에는 김부식삼국사기에 열전이 포함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유교적 가치관을 반영한 열전이 많이 쓰였으며, 실학자들의 전기도 등장했다.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가들의 전기가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해방 이후에는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의 전기가 출판되었으며,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희생된 인물들의 삶을 조명하는 전기도 많이 나왔다. 최근에는 유명인의 삶뿐만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다룬 전기, 구술 생애사 등 다양한 형태의 전기가 출판되고 있다.

4. 1. 교육적 의의

한국에서도 국어, 영어, 한국사 등의 교과목에서 전기를 부분적으로 다루고 있다.

학교 교육에서 전기를 가르치는 이유는, 우선 아동과 학생들이 전기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친구가 되어 주기를", 더 나아가 수업을 통해 "교육적인 관점에서 접하고 배우기를" 바라는 데 있다. 예를 들어, 가톨릭 교회 및 학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와 여러 성인들의 업적과 발자취를 가르친다.

일본의 초등 교육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패전까지) 수신이라는 교과목을 통해 많은 위인전을 배우는 기회가 있었다. 특히 무거운 짐을 짊어진 니노미야 긴지로(二宮金次郎)의 동상은 학교 교정 구석에 설치되어 있었다. 학교에서는 긴지로 동상을 보는 아동들에게 그의 인품을 본받아 근면하고 향상심 있는 인물이 되어 주기를 바라는 의도가 있었다고 여겨진다.[1]

학교 교육 외 일반 도서로도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아동 전기 시리즈, 전기 시리즈, 어린이 전기 전집 등이 판매되었다.[1]

5. 비판적 관점

전기 연구는 개인과 사회의 관계, 사생활과 공적 영역의 관계 등 다양한 쟁점을 안고 있다. 전기는 저자의 관점과 시대적 배경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며, 객관적인 진실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특히, 정치인이나 유명인의 전기는 미화되거나 왜곡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비판적인 시각으로 읽어야 한다.[1]

폴 제임스(Paul James)는 전형적인 전기가 갖는 문제점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지적했다. 전기는 보통 공적 영역을 사생활의 반영으로 다루며, 사생활 영역이 기본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나 공인의 경우, 일상생활에서 자신을 제시하는 지배적인 부분은 이미 '자기 전기화(self-biofication)' 과정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1]

6. 수상

상 이름국가
Drainie-Taylor Biography Prize캐나다
National Biography Award오스트레일리아
Pulitzer Prize for Biography or Autobiography미국
Whitbread Prize for Best Biography영국
J. R. Ackerley Prize for Autobiography영국
Prix Goncourt de la Biographie프랑스



여러 국가에서 전기 작가를 위한 상을 수여하고 있다.[1] 위의 표는 각 국가별 주요 전기 문학상 목록이다.

참조

[1]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
[2] 서적 Laghuprabandhasaṅgrahah https://books.google[...] Oriental Institute 1970
[3] 뉴스 James Boswell: The Man who Re-Invented Biography https://www.bbc.com/[...] 2013-05-16
[4] 뉴스 A String Quartet in Four Movements https://www.theguard[...] 2002-07-20
[5] 서적 Encyclopedia of American political history Scribner's 1984
[6] Kotobank 2024-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