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콜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콜라는 이탈리아 요리에 자주 사용되는 향미 채소로, 볶은 참깨와 같은 풍미와 은은한 매운맛이 특징이다.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이 원산지이며, 샐러드, 피자 토핑, 파스타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영양학적으로 칼슘, 철분, 비타민 C, 비타민 E가 풍부하며, 항산화 및 항균 작용을 한다. 루콜라는 키바나스즈시로속 식물로, 한해살이풀이며 재배가 용이하여 가정에서도 재배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02년 기재된 식물 - 콩속
콩속은 28종으로 구성된 식물 속이며, 아속 글리신과 아속 소야로 나뉘고 콩과 돌콩이 포함되며, 분류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 1802년 기재된 식물 - 쿠마루
쿠마루는 열대 기후에서 자라는 큰 나무로, 통카빈이라 불리는 씨앗에서 나오는 쿠마린 덕분에 향료, 식품, 약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재배 및 활용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점도 존재한다. - 배추족 - 겨자
겨자는 인류와 함께 재배되어 온 작물로 씨앗, 잎, 오일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며, 여러 종류가 존재하고, 한국에서는 김치 재료로 사용되거나 바이오디젤 생산 연구에 활용되기도 한다. - 배추족 - 무속 (식물)
무속은 배추과에 속하는 식물 속으로, 서양무아재비, 무 등을 포함하며, 다육질의 뿌리줄기와 유채꽃과 비슷한 흰색, 연노란색, 보라색 꽃을 피운다. - 차드의 식물상 - 타마린드
타마린드는 아프리카 열대 지역이 원산인 콩과 상록교목으로, 신맛이 나는 과육이 있는 꼬투리 열매는 요리, 음료, 의학, 산업 분야에 널리 사용되며,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주요 작물로 재배된다. - 차드의 식물상 - 키와노
키와노는 아프리카 원산의 뿔 모양 돌기가 있는 타원형 열매로, 젤리 형태의 과육은 독특한 맛을 가지며, 식용, 관상용, 접목 대목으로 사용된다.
루콜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Eruca vesicaria |
이명 | Eruca sativa |
한국어 이름 | 키바나스즈시로 (황화蘿蔔) |
다른 이름 | 루콜라 |
이탈리아어 | Rucola 루콜라 |
영어 | Arugula 아루굴라, Rocket 로켓, Garden rocket 가든 로켓, Colewort 콜워트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피자식물문 |
강 | 쌍자엽식물강 |
목 | 풍접초목 |
과 | 배추과 |
속 | 키바나스즈시로속 |
종 | 키바나스즈시로 |
아종 | 키바나스즈시로 키바나스즈시로 아종 |
2. 명칭
일본에서는 이탈리아 요리의 보급과 함께 일반적으로 알려지게 되었기 때문에, 원예 분야에서 널리 퍼진 로켓(rocket영어)보다 이탈리아어 이름인 루콜라가 인지도가 높다. rucolait(루콜라)가 표준형이며, rughetta, ruchettait(루게타, 루케타)라고도 부른다. rocket영어은 roquette프랑스어(로켓)에서 유래되었으며, 는 이탈리아어 방언형에서 유래되었다고 하지만, 후자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중반 이후이다.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이 원산지이다.[9] 동아시아(중국), 중앙아시아(몽골,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키스탄), 서아시아(레바논, 시리아, 아프가니스탄, 이란, 이스라엘, 키프로스, 터키), 캅카스(다게스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동유럽(러시아, 우크라이나), 동남유럽(그리스, 루마니아, 불가리아, 세르비아), 남유럽(스페인, 이탈리아, 포르투갈, 프랑스), 북아프리카(리비아, 모로코, 알제리, 이집트, 튀니지), 중앙아프리카(차드)에 분포한다.[9]
이탈리아 요리에 자주 사용되는 향미 채소로, 제철은 5~7월 또는 11~12월이다. 잎 끝까지 싱싱하고 줄기가 튼튼한 것이 상품 가치가 높다. 볶은 참깨와 같은 풍미와 은은한 매운맛이 특징이며, 성장하면서 쓴맛이 강해진다.[1]
계통적으로는 키바나스즈시로속(Eruca)에는 종분화가 인정되지 않고, 1종 키바나스즈시로 Eruca vesicariala만이 속한다.[4][5]
주로 샐러드로 만들어 먹는다. 익히지 않았을 경우 약간의 매운맛과 쓴 맛이 나지만 가열하면 사라진다. 이탈리아에서 피자에 올리는 재료로 흔하게 사용되며, 고기 요리나 파스타에 곁들이기도 한다.
루콜라는 한해살이풀로 발아율이 높고 병에도 거의 걸리지 않아 비교적 재배하기 쉽지만, 진딧물, 배추흰나비 등 해충이 생기기 쉽다. 진딧물 등을 방지하기 위해 터널을 설치하면 효과적이다.[1] 2개월 정도면 수확할 수 있어 화분에서도 재배할 수 있으며, 가정 채소밭에 적합하다.[2] 햇볕이 잘 드는 곳을 좋아하며, 물 빠짐이 좋고 습기가 있으며, 유기질을 많이 포함한 영양분 많은 토양이 적합하다.
[1]
YList
2023-01-15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영어 이름 로켓은 꽃다이콘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정확하게는, 키바나스즈시로는 garden rocket영어이나 rocket-salad영어, 꽃다이콘은 dame rocket영어 등으로 불린다. 스즈시로는 무를 의미한다.
ruchetta selvaticait(「야생 루케타」)라고 불리는 별속의 야생종인 로보우가라시와 키바나스즈시로는 둘 다 루콜라나 루콜라라고 부르지만, 키바나스즈시로만을 루콜라, 로보우가라시를 루케타로 구별하기도 한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에스레킨킨이라고 불렸다.[3]
3. 분포
4. 특징
영양학적으로, 식용부 100g당 열량은 19kcal이며, 칼슘, 철분, 비타민 C, 비타민 E가 풍부하다. 특히 비타민 C는 시금치의 약 2배가 함유되어 있다.[1] 매운맛 성분인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항산화 작용과 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다.[2] 또한,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항균 작용이 있어 암 억제 등의 효과도 기대된다.[1]
"키바나"라는 일본어 이름과 달리, 꽃은 흰색 또는 옅은 크림색이다.
5. 품종
그러나 세분화된 종 분류도 널리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경우 루콜라에는 Eruca sativala의 학명이 주어지며, 이 종이 키바나스즈시로로 여겨진다. 그 외의 종으로는 야생종 Eruca vesicariala, 북아프리카에서 재배되는 Eruca pinnatifidala가 있으며,[6] 더 많은 종을 인정하는 설도 있다. 다만, 어느 것이든 약간 풍미가 다르지만, 루콜라와 마찬가지로 이용된다.
절충적인 설로서, 루콜라를 아종 ''Eruca vesicaria'' ssp. ''sativa''la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7]
6. 이용 방법
가열하면 독특한 매운맛과 쓴맛이 사라지므로 풍미를 살리기 위해 생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로 샐러드, 카르파초로 잎을 생식하는 외에, 간단한 파스타나 구운 피자의 마무리로 뿌려 색과 향을 더하는 방법으로도 사용된다. 시금치나 물냉이 등과 함께 샐러드에 섞어 사용한다. 또한, 데침, 볶음 요리에 사용된다.
씨앗에는 강장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허브티로 사용된다.
7. 재배
이른 봄에 씨를 뿌리는 "봄 수확", 늦봄부터 초여름에 씨를 뿌리는 "여름 수확", 늦여름부터 초가을에 씨를 뿌리는 "가을 수확" 작형이 있다.[1] 잎 수확이 목적일 경우, 한여름을 제외하고 언제든지 씨를 뿌릴 수 있으므로, 씨를 뿌리는 시기를 조절하여 재배하면 일년 내내 루콜라를 즐길 수 있다. 그러나, 꽃대가 올라오면 잎이 억세져서 식용에 적합하지 않게 된다. 꽃은 봄에 피며, 크림색을 띤다. 배추과에 특유의 4개 꽃잎을 가진 십자형이며, 꽃잎에는 자줏빛 맥이 있고, 중앙부는 노란빛을 띤다.
직파로 줄뿌림을 하고, 생장을 보면서 솎아내며 키운다. 포기 간 간격은 3cm - 4cm 정도로 한다.[1] 키가 7cm - 8cm 정도가 되면 덧거름 등을 뿌려 웃거름을 준다.[1] 키가 15cm로 자라면 수확기로, 포기째 뽑거나 바깥쪽 잎부터 따서 수확한다.[1]
8. 사진
참조
[2]
YList
2023-01-15
[3]
서적
ハーブの歴史
原書房
2015-01-21
[4]
간행물
Eruca
http://www.efloras.o[...]
Flora of China
[5]
간행물
Eruca
http://rbg-web2.rbge[...]
Flora Europaea
[6]
간행물
Eruca
http://www.ncbi.nlm.[...]
NCBI Taxonomy Browser
[7]
간행물
Eruca vesicaria
http://www.itis.gov/[...]
ITIS
[8]
웹인용
Eruca vesicaria (L.) Cav.
http://www.theplantl[...]
큐 왕립식물원
2018-04-28
[9]
웹인용
Eruca vesicaria (L.) Cav. subsp. sativa (Mill.) Thell.
https://npgsweb.ars-[...]
미국 농무부
2018-04-28
관련 사건 타임라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