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스페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스페이는 중국 강소성 출신의 학자이자 사상가로, 1902년 과거 시험에 실패한 후 장빙린과 교류하며 이름을 광한으로 바꾸었다. 그는 국수주의 운동을 펼치고 아나키즘 사상에 공감하여 중국 아나키즘 이론가로 활동했으며, 황제 즉위 연도를 기준으로 하는 황제기년론을 주창했다. 류스페이는 만년에 위안스카이의 참정원에 참여하고 베이징 대학 교수를 역임했으나, 36세의 젊은 나이에 결핵으로 사망했다. 그는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며, 돈황학 연구에도 관심을 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둔황학자 - 뤄전위
뤄전위는 청나라 말기부터 만주국 시대까지 활동하며 갑골문 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으나, 일본 제국주의에 협력한 행적으로 인해 현대 중국에서 평가가 엇갈리는 학자이자 관료이다. - 중국의 아나키스트 - 장자
장자는 중국 전국 시대의 철학자로, 《장자》를 저술하여 개인의 자유와 무위자연의 삶을 추구했으며 노장사상으로 도교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아나키스트 - 바진
중국의 소설가이자 수필가인 바진은 5·4운동의 영향으로 아나키즘 사상에 심취하여 사회 비판적인 작품을 발표했으며, 대표작인 '격류 3부작'과 '애정 3부작'을 통해 봉건적 가족 제도와 부조리를 비판했고, 문화대혁명 기간 탄압 이후 복권되어 수상록을 통해 문화대혁명을 반성하고 현대문학관 및 문혁 박물관 건립을 제창하는 등 사회 활동을 펼치며 중국 문학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 중국의 수필가 - 제갈량
제갈량은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이자 전략가로, 유비의 삼고초려로 촉한에 합류하여 승상이 되었고, 섭정으로서 남정을 통해 촉한의 기반을 다졌으며, 북벌을 통해 위나라를 공격했으나 실패했으며, 법치주의와 인재 등용을 중시하고 경제 정책을 통해 국력을 강화했다. - 중국의 수필가 - 심괄
심괄은 중국 송나라 시대의 과학자, 정치가, 외교관, 예술가, 문인으로, 천문학, 지리학, 약학, 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저서 《몽계필담》을 통해 과학적 사고를 보여준다.
류스페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류스페이 (刘师培) |
다른 이름 | 션슈 (申叔) |
국적 | 중국 |
출생일 | 1884년 6월 24일 |
출생지 | 장쑤성 양저우시 이정현 |
사망일 | 1919년 12월 20일 |
사망지 | 베이징 |
배우자 | 허전 (何震) |
직업 | 교육자 정치 활동가 |
교육 | 전통 중국 교육 |
학문 | |
주요 관심사 | 유학 |
직장 | 베이징 대학 |
2. 생애
강소성(江蘇省) 의징(儀徵) 출신이며, 1902년 과거(科擧) 시험을 치뤘으나 최종 합격에는 실패하였다. 이후 상해(上海)로 이동해 장빙린(章炳麟)과 만난 뒤 학문 등을 교류했으며, 이름을 '''광한'''(光漢)으로 변경하였다. 그 뒤 1904년 상해의 신문 『경종보(警鐘報)』에서 삼민주의(三民主義)를 선전하다 정부의 탄압을 받아 일본으로 망명했으며, 1905년 『국수학보(國粹學報)』가 창간하자 편집을 맡아 고문경학(古文經學)을 칭송하는 한편 '국수(國粹)'를 강조하며 국수주의 운동을 벌였다.
이후 일본 망명 기간 도중 아나키즘에 공명하였으며, 파리에서 활동하고 있던 우즈후이(吳稚暉)와 함께 중국의 대표적인 아나키스트 이론가로 명성을 쌓았다. 그 뒤 1909년 귀국해 단방(端方)을 따랐으며, 1911년 신해혁명 당시 단방이 사망하자 성도(成都)로 도주해 성도국학원의 교사로 재직하였다. 이후 1915년 옌시산(閻錫山)의 추천으로 위안스카이(袁世凱)의 참정원(參政院)에 참여하였으며, 『중국학보(中國學報)』를 창간하여 제제운동(帝制運動)을 홍보하였다. 그 뒤 위안스카이가 사망하자 천진(天津)으로 이주했으며, 1917년 차이위안페이(蔡元培)의 추천으로 베이징 대학의 교수가 되었다. 이후 1919년 결핵으로 인해 3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또한 생전 『황제기년론(黃帝紀年論)』을 집필하며 황제(黃帝)가 즉위한 연도를 기년(紀年)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으며, 돈황(敦煌)에서 발견된 당사본(唐寫本)의 요약본을 저술하는 등 돈황학(敦煌學) 분야에도 관심을 보였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강소성(江蘇省) 의징(儀徵) 출신인 류스페이는 저명한 청나라 학자이자 관료 집안 출신이었다. 그의 아버지, 삼촌, 할아버지, 증조부는 한학 학파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이들은 고전 연구를 통해 정치 개혁의 기반을 다졌다. 1884년, 장쑤성(江蘇省) 양저우 부(揚州府) 이정 시(儀徴市,이정 현)에서 좌전을 가학으로 하는 고증학(考証学)의 가문에서 태어났다. 1889년에 아버지 류구이쩡(劉貴曾)이 과거에 합격하고, 6세의 류스페이(劉師培)도 아버지로부터 가르침을 받기 시작했다. 12세 때 사서오경을 독파했다. 그러나 1898년에 아버지가 사망했다.어린 시절의 가정 교육은 그에게 고대 텍스트, 특히 제국 이전 중국의 풍부한 연대기인 ''좌전''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어학적 도구를 제공했다. 18세에 현의 학생원이 되었고, 1902년 과거(科擧) 시험을 치렀으나 최종 합격에는 실패하였다. 광서 28년(1902년)에 거인(舉人)(난징 성시)이 되었다. 이듬해 3월에 카이펑(開封)에서 회시를 치렀지만, 불합격하고, 상하이(上海)를 거쳐 돌아오는 길에 장빙린(章炳麟)과 알게 되었다. 이후 상해(上海)로 이동해 장빙린(章炳麟)과 만난 뒤 학문 등을 교류했으며, 이름을 '''광한'''(光漢)으로 변경하였다.
1904년 광복회에 참가하여, 장빙린과 차이위안페이(蔡元培) 등과 교류했다. 차이위안페이가 발행하던 『아서경문』(俄事警聞, 러시아 배척 운동을 주창)을 개정하여 류스페이가 주필이 되어 신문 『경종보』(警鐘報)를 창간했다. 1904년 상해의 신문 『경종보(警鐘報)』에서 삼민주의(三民主義)를 선전하다 정부의 탄압을 받아 일본으로 망명했으며, 1905년 『국수학보(國粹學報)』가 창간하자 편집을 맡아 고문경학(古文經學)을 칭송하는 한편 '국수(國粹)'를 강조하며 국수주의 운동을 벌였다. 같은 해 1905년 정월에는 상하이에서 류실 등이 『국수학보』(国粋学報)를 창간했고, 류스페이는 이 잡지를 위해 원고를 고르는 역할을 했다. 류실, 장빙린, 량치차오(梁啓超) 등과 함께 근대 중국의 국수주의 운동의 발기자이자 근간이 되는 인물로서 『주말학술사서』(周末学术史序), 『남북학술불동론』(南北学术不同论), 『논문잡기』(论文杂记) 등을 전후하여 간행했다. 류스페이는 고학을 칭송하며 국수학당을 세울 것과 국학 교과서 5종을 만들어 각 성에 도서관을 세울 것, 또한 각 성에 서적지·향토지를 편집할 것을 권했다.[2]
1907년부터 이듬해까지 정부의 탄압을 피해, 아내 허전(何震)과 함께 일본으로 망명했다. 도쿄에서 류스페이와 그의 아내 허전은 아나키즘 교리에 설득된 혁명가 그룹에 합류했다. 역사학자 피터 자로우는 류스페이와 파리에서 아나키스트 그룹을 이끌었던 우즈후이(吳稚暉)를 "가장 중요한 중국 아나키즘 이론가"라고 부른다. 『』를 창간하고, 고토쿠 슈스이(幸徳秋水) 등과 교류했다.[3]
2. 2. 청년기와 혁명 활동
류스페이는 장쑤성 의징(儀徵) 출신으로, 1902년 과거 시험에 응시했으나 최종 합격에는 실패했다. 이후 상하이로 이동해 장빙린과 교류하며 이름을 '''광한'''(光漢)으로 바꾸었다. 1904년 상하이에서 신문 『경종보(警鐘報)』를 통해 삼민주의를 선전하다가 정부의 탄압을 받고 일본으로 망명했다. 1905년에는 『국수학보(國粹學報)』의 편집을 맡아 고문경학(古文經學)을 칭송하고 '국수(國粹)'를 강조하며 국수주의 운동을 전개했다.일본 망명 중 아나키즘에 공명하여 우즈후이와 함께 중국의 대표적인 아나키스트 이론가로 활동했다. 류스페이는 천의보를 포함한 출판물과 조직화 활동으로 국내에서 더 큰 영향력을 가졌다. 1909년 귀국하여 돤팡을 따랐으며, 1911년 신해혁명 당시 돤팡이 사망하자 성도로 피신하여 성도국학원 교사로 재직했다.
1884년, 장쑤성 양저우 부 이정 시(儀徴市)에서 좌전을 가학으로 하는 고증학 가문에서 태어났다. 1898년 아버지가 사망하기 전까지 아버지로부터 가르침을 받았으며, 12세에 사서오경을 독파했다. 18세에 현의 학생원이 되었고, 1902년 거인(향시)이 되었다. 다음 해 회시에 응시했으나 불합격하고 상하이에서 장빙린과 알게 되었다.
1904년 광복회에 참여하여 장빙린, 차이위안페이 등과 교류했다. 차이위안페이가 발행하던 『아서경문』(俄事警聞)을 개정, 류스페이가 주필이 되어 『경종보』(警鐘報)를 창간했다. 1905년 청나라 정부의 조사로 발행이 중단되자 핑후 시로 피신했다. 같은 해 『국수학보』(国粋学報)를 창간하여 원고를 고르는 역할을 했다. 류스페이는 국수학당 설립, 국학 교과서 5종 제작, 각 성에 도서관 건립, 서적지·향토지 편집 등을 권했다.[2] 이후 완장 중학·산장 사범학교·청두 국학원 등에서 교직 생활을 했다.
1907년부터 이듬해까지 정부의 탄압을 피해 아내 허전과 함께 일본으로 망명하여 『label=/天義報중국어』를 창간하고 고토쿠 슈스이 등과 교류했다.[3] 망명 중 혁명 운동에서 이탈하여 청조 정부 편에 섰다.[4]
2. 3. 국수주의 운동과 아나키즘
류스페이는 강소성 의징(儀徵) 출신으로, 1902년 과거 시험에 응시했으나 최종 합격하지 못했다. 이후 상하이로 이동하여 장빙린과 교류하며 이름을 '광한(光漢)'으로 바꾸었다. 1904년 상하이의 신문 『경종보(警鐘報)』에서 삼민주의를 선전하다 정부의 탄압을 받아 일본으로 망명했다. 1905년 『국수학보(國粹學報)』가 창간되자 편집을 맡아 고문경학(古文經學)을 칭송하고 '국수(國粹)'를 강조하며 국수주의 운동을 전개했다.일본 망명 기간 중 아나키즘에 공명하여 파리의 우즈후이와 함께 중국의 대표적인 아나키스트 이론가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천의보를 포함한 공개 토론, 조직화 활동으로 국내에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파리 그룹이 아나키즘을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진보로 본 반면, 류스페이와 도쿄 그룹은 기술과 진보에 덜 관심을 가졌고, 사회에 대한 정부 개입을 반대하는 도교의 자유방임 사상가를 존경했다.
1909년 귀국하여 단방을 따랐고, 1911년 신해혁명 당시 단방이 사망하자 성도로 도주하여 성도국학원 교사로 재직했다. 1915년 옌시산의 추천으로 위안스카이의 참정원(參政院)에 참여, 『중국학보(中國學報)』를 창간하여 제제운동(帝制運動)을 홍보했다. 위안스카이 사후 톈진으로 이주했고, 1917년 차이위안페이의 추천으로 베이징 대학 교수가 되었다.
그는 생전 『황제기년론(黃帝紀年論)』을 집필하여 황제 즉위 연도를 기년(紀年)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돈황에서 발견된 당사본(唐寫本) 요약본을 저술하는 등 돈황학 분야에도 관심을 보였다.
2. 4. 보수 세력과의 협력과 베이징 대학 교수
류스페이는 장쑤성(江蘇省) 의징(儀徵) 출신으로, 1902년 과거(科擧) 시험에 응시했으나 최종 합격에는 실패했다. 이후 상하이(上海)로 건너가 장빙린(章炳麟)과 교류하며 이름을 '''광한'''(光漢)으로 바꾸었다. 1904년 상하이의 신문 『경종보(警鐘報)』에서 삼민주의(三民主義)를 선전하다 정부의 탄압을 받아 일본으로 망명했다. 1905년 『국수학보(國粹學報)』가 창간되자 편집을 맡아 고문경학(古文經學)을 칭송하고 '국수(國粹)'를 강조하며 국수주의 운동을 벌였다.일본 망명 중 아나키즘에 공명하여 우즈후이(吳稚暉)와 함께 중국의 대표적인 아나키스트 이론가로 명성을 쌓았다. 1909년 귀국하여 돤팡(端方)을 따랐으며, 1911년 신해혁명 당시 돤팡이 사망하자 성도(成都)로 피신하여 성도국학원 교사로 재직했다. 1915년 옌시산(閻錫山)의 추천으로 위안스카이(袁世凱)의 참정원(參政院)에 참여하여 제제운동(帝制運動)을 홍보했다. 위안스카이 사후 톈진(天津)으로 이주했으며, 1917년 차이위안페이(蔡元培)의 추천으로 베이징 대학 교수가 되었다. 1919년 결핵으로 3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류스페이는 황제(黃帝) 즉위 연도를 기년(紀年)으로 삼아야 한다는 『황제기년론(黃帝紀年論)』을 집필하고, 돈황(敦煌)에서 발견된 당사본(唐寫本) 요약본을 저술하는 등 돈황학(敦煌學) 분야에도 관심을 보였다.
2. 5. 사망
류스페이는 1919년 12월 결핵으로 35세의 나이에 사망했다. 그는 베이징 대학에서 "육조 문학", "문선학" 등의 과정을 창설했으며, 『중국 중고 문학사』(中国中古文学史)는 그의 유명한 강의였다. 그는 죽기 전 황칸에게 "자신은 학문에만 종사하고, 정치에 관여하지 말았어야 했다"고 후회했다.3. 사상과 학문적 업적
류스는 1903년에 황제 연대기를 창안했는데, 이는 그의 지속적인 공헌 중 하나이다. 류스 이전에는 이 달력이 사용되었다는 증거가 없다. 전통적으로 중국 연도는 황제의 통치 연도를 기준으로 했는데, 이는 제국주의 체제를 전복하려는 사람들에게는 반감을 샀다. 서력은 예수의 탄생을 기준으로 했는데, 이는 서구 제국주의에 반감을 가진 사람들에게 매력적이지 않았다. 류스는 한족의 끊임없는 연속성과 한 문화의 유구함을 확신하고 자신의 학문과 어학 훈련을 이용하여 황제의 통치가 시작된 해를 기원전 2711년으로 결정했다. 예를 들어, 류스는 1900년에 의화단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파견된 국제 원정대가 황제 4611년에 베이징에 들어갔다고 계산했다. 이 해는 60년 주기의 경자(庚子)년이자 광서 연간 26년이었다. 류스의 방식은 공식 달력으로서 서력과 함께 사용되지만 서력을 대체하지는 않으며, 중국 출판물에서 가장 자주 사용된다.
3. 1. 국수주의와 황제기년론
류스의 지속적인 공헌 중 하나는 1903년에 창안한 황제 연대기였다. 이 달력이 류스 이전에 사용되었다는 증거는 없다. 중국 연도는 전통적으로 황제의 통치 연도를 기준으로 했는데, 이는 제국주의 체제를 전복하려는 사람들에게는 반감을 샀다. 그레고리력 (또는 서력) 달력은 예수의 탄생을 사용했는데, 이는 서구 제국주의에 반감을 가진 사람들에게 매력적이지 않았다. 류스는 한족의 끊임없는 연속성과 한 문화의 유구함을 확신하고 자신의 학문과 어학 훈련을 이용하여 황제의 통치가 시작된 해를 기원전 2711년으로 결정했다. 예를 들어, 류스는 1900년에 의화단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파견된 국제 원정대가 황제 4611년에 베이징에 들어갔다고 계산했다. 이 해는 60년 주기의 경자(庚子, Gēngzǐ)년이자 광서 연간 26년이었다. 류스의 방식은 공식 달력으로서 서력과 함께 사용되지만 서력을 대체하지는 않으며, 중국 출판물에서 가장 자주 사용된다.3. 2. 아나키즘
3. 3. 돈황학 연구
4. 저서
류스페이는 상서원류고(1권), 예경구설(17권, 보유 1권), 서한주관사설고(2권)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다. 주례고주집소(잔 13권), 춘추고경전(잔 3권), 독좌찰기(1권)를 저술하였다. 춘추좌씨전시월일고례고(1권), 춘추좌씨전답문(1권), 춘추좌씨전고례전미(1권), 춘추좌씨전전례해략(1권), 춘추좌씨전전주례략(1권), 춘추좌씨전례략(1권)을 저술하였다. 군경대의상통론(1권), 모시사례거요(상본, 략본 각각 1권), 순자사례거요(1권), 고서의의거례보(1권), 소학발미보(1권), 이아충명금석(1권), 이학자의통석(1권), 국학발미(1권), 주말학술사서(1권), 양한학술발미론(1권), 한송학술이동론(1권), 남북학파부동론(1권)을 저술하였다.
중국민약정의(3권), 중국민족지(1권), 양서(1권), 고정원론(1권), 고정원시론(1권), 고력관규(2권), 문설(1권), 논문잡기(1권), 주서보정(6권), 주서략설(1권)을 저술하였다. 관자교보(1권), 안자춘추교보정본(1권), 안자춘추교보(2권, 실문집보 1권, 황지채본교기 1권), 안자춘추보석(1권)을 저술하였다. 노자교보(1권), 장자교보(1권), 묵자습보(2권), 순자교보(4권, 실문집보 1권), 순자보석(1권)을 저술하였다. 가자신서교보(2권, 실문집보 1권, 군서치요인가지신서교문 1권), 춘추번로교보(3권, 실문집보 1권), 양자법언교보(1권, 실문 1권), 법언보석(1권), 모시찰기(1권)을 저술하였다.
백호통의교보(2권, 부 궐문보정 1권, 실문고 1권), 백호통의정본(잔 3권), 백호통의원류고(1권), 백호통덕론보석(1권), 초사고이(1권), 왕회편보석(1권)을 저술하였다. 목천자전보석(1권), 한비자교보(1권), 금초보석(1권), 좌암집(8권), 좌암외집(20권), 좌암시록(4권), 좌암사록(1권)을 저술하였다. 독서수필(1권), 독서속필(1권), 좌암제발, 독도장기(1권), 둔황신출당사본제요(1권)를 저술하였다. 윤리교과서, 경학교과서, 중국문학교과서, 중국역사교과서, 중국지리교과서, 중국중고문학사강의, 춘추고경전(잔 3권), 안자춘추교보정본(1권)을 저술하였다.
5. 가족
류스페이의 증조부는 유학자 류원치/劉文淇중국어이며, 할아버지 유육숭과 아버지 유귀증, 백부 유수증도 유학자였다. 아내 허전은 아나키스트이자 페미니스트였다.
6. 평가
참조
[1]
서적
中国近代の革命思想
研文出版
[2]
서적
縮刷版 東洋歴史大辞典・下巻
臨川書店
[3]
문서
REDIRECT
[4]
서적
中国近代の革命思想
研文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