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비우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비우주는 우크라이나 서부에 위치한 주로, 1939년 소련에 의해 신설되었다.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폴란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으며,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의 일부가 되었다. 르비우는 2014년 유로마이단 시위 이후 중앙 정부로부터 독립을 선포했으며, 탈공산화 과정에서 소비에트 시대 기념물을 제거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였다. 르비우주의 지형은 산악 지대와 평야가 혼재되어 있으며, 온화하고 습윤한 기후를 보인다. 주요 종교는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이며, 다양한 역사적, 문화적 유적지를 보유하고 있다. 행정 구역은 7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제적으로는 농업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르비우주 - 스트리
스트리는 우크라이나 리비우주 스트리이 라욘에 위치한 도시로, 스트리 강에서 유래된 이름이며, 1385년 처음 언급되었고 폴란드, 오스트리아를 거쳐 소련의 일부가 되었다가, 1990년 우크라이나 국기가 처음 게양된 도시이자 현재 스트리이 라욘의 행정 중심지이다. - 르비우주 - 야보리우
야보리우는 1436년에 처음 언급된 우크라이나의 도시로, 폴란드 왕실 도시이자 얀 3세 소비에스키의 거주지였으며, 여러 역사적 사건과 전쟁의 무대가 되었고,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일부이다. - 우크라이나의 주 - 폴타바주
폴타바주는 우크라이나 중부 드니프로 강 서쪽에 위치하며, 코사크 헤트만 국가의 영토였고, 농업과 석유·천연가스 산업이 중요하며, 역사·문화 유적을 보유한 1937년 설립된 주이다. - 우크라이나의 주 - 리우네주
리우네주는 우크라이나 북서부에 위치한 주로, 폴레시아 저지대와 볼리니아 고지대의 다양한 지형, 풍부한 광물 자원과 산림, 그리고 독특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2020년 행정 구역 개편 후 4개의 군으로 재편, 다수의 역사 유적과 높은 출산율, 110만 명이 넘는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 우크라이나의 행정 구역 - 폴타바주
폴타바주는 우크라이나 중부 드니프로 강 서쪽에 위치하며, 코사크 헤트만 국가의 영토였고, 농업과 석유·천연가스 산업이 중요하며, 역사·문화 유적을 보유한 1937년 설립된 주이다. - 우크라이나의 행정 구역 - 리우네주
리우네주는 우크라이나 북서부에 위치한 주로, 폴레시아 저지대와 볼리니아 고지대의 다양한 지형, 풍부한 광물 자원과 산림, 그리고 독특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2020년 행정 구역 개편 후 4개의 군으로 재편, 다수의 역사 유적과 높은 출산율, 110만 명이 넘는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르비우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리비우 주 |
별칭 | (리비우시치나) |
로마자 표기 | Lvivska oblast |
행정 구역 유형 | 주 |
주요 도시 | 최대 도시 |
행정 중심지 | 리비우 |
주지사 | 막심 코지츠키 |
주 의회 | 84석 |
의장 | 유리 콜로드 (대행) |
지리 정보 | |
면적 | 21,833km² |
면적 순위 | 17위 |
고도 | 296m |
인구 정보 | |
총 인구 | 2,478,133명 |
인구 통계 시점 | 2022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언어 및 소득 | |
경제 정보 | |
총 GDP | 2960억 흐리우냐 (77억 유로) |
1인당 GDP | 119,049 흐리우냐 (3,100 유로) |
기타 정보 | |
인간 개발 지수 (2022) | 0.722 (높음) |
라욘 (군) 수 | 7 |
흐로마다 수 | 73 |
시간대 | EET |
UTC 오프셋 | +2 |
서머타임 | EEST |
서머타임 UTC 오프셋 | +3 |
우편 번호 | 79-82 |
지역 번호 | +380-32 |
ISO 코드 | UA-46 |
FIPS 10-4 | UP15 |
웹사이트 | www.loda.gov.ua |
공식 명칭 | Lvivska oblast |
리비우 주 (우크라이나어) | |
르비우 주 (한국어) | |
정식 표기 | Львівська область |
웹사이트 | www.loda.gov.ua |
2. 역사
르비우주는 중부 유럽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카르파티아 산맥으로 향하는 관문이라는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역사적으로 여러 세력의 지배를 받아왔다. 대 모라비아, 키예프 루스, 폴란드 왕국 등이 초기 지배 세력이었으며, 1200년경부터 1340년까지는 할리치-볼리니아 공국으로 독립을 유지했다. 이후 1772년까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를 받았다.
1772년 폴란드 분할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영토가 되었고, 이 지배는 1918년까지 이어졌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패배하자 이 지역에는 서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이 잠시 건국되었으나, 폴란드-우크라이나 전쟁(1918년-1919년)에서 패배하여 1920년부터 폴란드 제2공화국의 영토가 되었다. 폴란드의 지배는 약 20년간 지속되었지만, 우크라이나계 주민들은 이에 불만을 가졌다.
1939년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 이후 독소 불가침 조약에 따라 소련에 편입되었고, 같은 해 12월 4일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로 르비우주가 공식 신설되었다. 독소전쟁 중인 1941년부터 1944년까지는 나치 독일의 점령 하에 있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소련이 승리하면서 다시 소련 영토가 되었다.
전후에는 우크라이나 반란군을 중심으로 격렬한 독립 운동이 벌어졌으나, 폴란드군과 소련군의 군사 작전 및 탄압으로 실패로 끝났다. 이후 무력 항쟁은 잦아들고 1960년대 이후 소련의 안정적인 통치가 이어졌다.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와 함께 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서 르비우주는 독립 우크라이나의 일부가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르비우주는 강한 반러시아 감정을 가지고 있다. 2014년부터 시작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 속에서, 르비우 주 의회는 2018년 9월 18일 공공장소에서 러시아어 관련 콘텐츠를 금지하는 조례를 통과시키기도 했다.[26]
2. 1. 명칭
르비우주의 이름은 이 지역의 중심 도시인 리비우(Lviv)에서 유래했다. 리비우는 13세기 갈리치아-볼리니아 왕국의 왕이었던 다닐로 갈리츠키가 건설한 도시로, 그는 자신의 아들인 레오의 이름을 따서 도시 이름을 지었다. 당시 리비우는 갈리치아-볼리니아 왕국의 수도였으며, 이 왕국은 당시 동유럽에서 가장 강력하고 안정적인 국가 중 하나로 알려져 있었다.2. 2. 초기 역사

르비우주는 중부 유럽의 중심부이자 카르파티아 산맥으로 향하는 관문에 위치하여, 역사적으로 여러 세력의 지배를 받았다. 중세 초기에는 오래된 폴란드 부족 중 하나인 렌디안족이 이 지역에 거주했다. 이후 대 모라비아, 폴란드 공국,[5] 키예프 루스의 통치를 받았다.
약 1200년부터 1340년까지는 갈리치아-볼히니아 왕국으로 독립적인 지위를 유지했으나, 1246년부터는 몽골 제국 금장 칸국의 종주권 아래에 있었다. 1340년부터 1772년까지는 폴란드 왕국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지배를 받았다. 이 시기 리비우와 브로디에는 폴란드인과 루테니아인 외에도 상당한 규모의 스코틀랜드인과 아르메니아인 공동체가 존재했다.[6][7]
2. 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를 받던 이 지역은 1772년 폴란드 제1차 분할을 계기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는 1918년까지 지속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패배하면서 제국의 통치는 끝나고, 이 지역에는 서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이 건국되었다. 하지만 새롭게 세워진 공화국은 폴란드-우크라이나 전쟁(1918년-1919년)에서 패배하여 오래가지 못하고 멸망하였다.2. 4. 서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과 폴란드 제2공화국 시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패배한 후, 이 지역에는 서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이 건국되었다. 그러나 1918년부터 1919년까지 이어진 폴란드-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공화국은 멸망했다. 이후 우크라이나 세력은 적군과 합류하여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을 치렀으나 다시 패배하였다. 그 결과, 1920년부터 이 지역은 폴란드 제2공화국의 영토(루츠크 주의 일부)가 되었다. 폴란드의 지배는 약 20년간 지속되었으나, 우크라이나계 주민들은 폴란드 통치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1939년 9월, 독소불가침조약의 비밀 의정서에 따라 나치 독일과 소련이 폴란드를 분할 점령하면서 폴란드의 통치는 막을 내렸다.2. 5. 소련 시대
1939년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과 독소 불가침 조약에 따라 폴란드 제2공화국 영토였던 이 지역은 소련에 편입되었다. 소련의 동부 폴란드 점령과 동갈리치아 및 볼히니아 합병 이후, 1939년 12월 4일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로 르비우주가 공식적으로 신설되었다. 소련 통치 초기인 1941년에는 NKVD에 의한 수용자 학살이 리비우, 삼비르, 도브로밀 등 여러 곳에서 발생했다.1941년 나치 독일이 바르바로사 작전을 개시하며 소련을 침공하자 르비우주는 독일군에게 점령되었다. 1944년까지 이어진 독일 점령 기간 동안 지역의 유대인 주민 대부분이 학살당했다. 또한 독일군은 이 지역에 여러 포로 수용소와 강제 노동을 위한 부수용소를 설치했다. 이곳에는 소련군, 프랑스군, 벨기에군 포로들이 수감되어 구타, 기아, 전염병 및 처형을 당했고, 그 결과 사망률이 높았다.[8]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연합국 정상들의 테헤란 회담과 얄타 회담 합의에 따라 르비우주는 소련 영토로 남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지역 폴란드인들은 대부분 추방되었고, 폴란드에서 추방된 우크라이나인들이 이곳으로 왔다.
1951년 폴란드-소련 영토 교환의 결과로 벨즈 지역은 폴란드 인민 공화국에서 르비우 주로 이관되었고, 우스트리키 돌네 지역은 당시 드로호비치 주에서 폴란드로 이관되었다. 이후 1959년에는 드로호비치 주 전체가 르비우 주에 통합되었다.
전후 10년 동안 우크라이나 반란군을 중심으로 한 치열한 독립 운동이 전개되어 한때 대부분의 지역을 우크라이나 독립파가 장악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폴란드군과 소련군의 군사 작전과 우크라이나인 거주 지역의 무력적·정치적 탄압으로 이 독립 운동은 비참한 결과로 끝났다. 이후 무력 항쟁은 수그러들었고, 1960년대 이후 소련은 안정적으로 통치했다.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와 함께 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서 르비우주는 독립 우크라이나의 일부가 되었다.
2. 6. 현대
1939년 12월 4일, 소련의 동부 폴란드 침공과 동갈리치아 및 볼히니아 합병 이후, 이 지역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로 편입되어 리비우주가 신설되었다. 1941년에는 NKVD에 의한 수용자 학살이 여러 차례 발생했는데, 리비우, 삼비르, 도브로밀 등지에서 자행되었다.나치 독일은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 이후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이 지역을 점령했다. 이 기간 동안 독일군은 대부분의 지역 유대인 주민을 학살했으며, 여러 포로 수용소를 설치했다. 이곳에는 강제 노동을 위한 여러 부수용소가 있었고, 소련, 프랑스, 벨기에군 포로들이 수감되어 구타, 기아, 전염병, 처형 등으로 높은 사망률을 기록했다.[8]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테헤란 회담과 얄타 회담에서의 합의에 따라 리비우주는 다시 소련의 통치 하에 놓였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지역 폴란드인들은 추방되었고, 폴란드에서 추방된 우크라이나인들이 이곳으로 이주해 왔다.
소련 통치 하에서 행정 구역 변경도 있었다. 1951년 폴란드-소련 영토 교환으로 벨즈 지역이 폴란드에서 리비우주로 편입되었고, 우스트리키 돌네 지역은 당시 드로호비치 주에서 폴란드로 이관되었다. 1959년에는 드로호비치 주 전체가 리비우 주에 통합되었다. 전후 10년 동안 우크라이나 반란군을 중심으로 치열한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으나, 폴란드군과 소련군의 군사 작전 및 탄압으로 인해 실패로 끝났다. 이후 무력 항쟁은 수그러들었고, 1960년대부터 소련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 지역을 통치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리비우주는 우크라이나 내에서 상대적으로 러시아화나 소비에트화의 영향을 덜 받은 지역으로 남았으며, 폴란드와 합스부르크 제국 시절의 유산이 상당 부분 보존되어 있다.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와 함께 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서 리비우주는 신생 독립국의 일부가 되었다. 독립 이후에도 리비우주는 우크라이나 내에서 독자적인 정체성을 강하게 유지하고 있다. 2014년 유로마이단 시위 당시, 시위대에 대한 빅토르 야누코비치 정부의 강경 진압에 반발하여 중앙 정부로부터의 독립을 선포하기도 했다.[9]
2014년 이후 우크라이나 전역에서 가속화된 탈공산화 과정에서 리비우주는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2024년 1월까지 모든 소비에트 시대 기념물을 철거하여,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먼저 탈공산화를 완료한 지역이 되었다.[10] 또한, 역사적으로 형성된 강한 반러시아 감정을 바탕으로, 2014년부터 시작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 속에서 2018년 9월 18일, 리비우 주 의회는 공공장소에서 러시아어 노래 재생이나 서적 출판을 금지하는 조례를 통과시키기도 했다.[26]
3. 지리
리비우주의 지형은 매우 다양하다. 남부는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평행하게 뻗어 있는 저지대 베스키드(Beskids) 산맥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동부 카르파티아 산맥의 일부로 2차 침엽수림으로 덮여 있다. 가장 높은 지점은 피쿠이 산(1408m)이다. 그 북쪽으로는 넓은 상류 드니스터 강 유역과 훨씬 작은 상류 산 강 유역이 펼쳐진다. 이 강들의 유역은 충적토로 덮인 평평한 바닥을 가지고 있어 홍수에 취약하다. 유역과 베스키드 산맥 사이에는 낙엽수림으로 덮인 전카르파티아 고지대가 위치하며, 이곳에는 유명한 온천 휴양지(트루스카베츠, 모르신 등)가 있다. 또한 이 지역은 초기에 석유 채굴과 가스 채굴이 이루어졌던 곳이지만, 현재 이 매장량은 거의 고갈되었다.
주의 중앙부에는 로즈토치아, 오필리아(Opillia) 및 포돌리아(Podolia) 고지대의 일부가 있다. 소련 시대에는 이곳에서 풍부한 황 광상이 채굴되었다. 로즈토치아 지역은 숲이 우거져 있지만, 오필리아와 포돌리아 지역은 비옥한 토양을 만드는 황토(loess)로 덮여 있어 인구 밀도가 높고 대부분 경작지로 이용된다. 중앙 북부에는 소폴레시아 저지대가 있는데, 이는 나머지 폴레시아 지역과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지만 모래 빙하성 퇴적물과 소나무 숲이 있는 평평한 평야라는 유사한 지형과 경관을 가진다. 주의 극북부는 볼리니아(Volhynia) 고지대에 속하며, 이곳 역시 황토로 덮여 있고 석탄 채굴이 이루어진다.
3. 1. 기후
리비우 주의 기후는 온화하고 습윤하다. 1월 평균 기온은 카르파티아 산맥에서는 -7°C, 드네스트르 강과 산 강 유역에서는 -3°C이며, 7월 평균 기온은 카르파티아 산맥에서는 14°C~15°C, 로즈토치아에서는 16°C~17°C, 드네스트르 강 하류 지역에서는 19°C이다.[11]평균 연 강수량은 저지대에서는 600mm~650mm, 고지대에서는 650mm~750mm, 카르파티아 산맥에서는 최대 1000mm이며, 강수량의 대부분은 여름에 집중된다. 장기간의 가뭄은 드물지만, 강한 비는 강 유역에 홍수를 일으킬 수 있다. 폭풍 시 강풍은 특히 고지대에서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이 기후는 사탕무, 밀, 아마, 호밀, 양배추, 사과 재배와 낙농업에 유리하다. 그러나 리비우 주에서는 옥수수, 해바라기, 포도, 멜론, 수박, 복숭아를 성공적으로 재배하기에는 아직 너무 춥다. 카르파티아 산맥에서는 연간 3~4개월 동안 알파인 스키를 즐길 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4. 정치
리비우주는 우크라이나 내에서도 특히 친서방, 반러시아 성향이 강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정치적 경향은 2014년 유로마이단 혁명 이후 더욱 뚜렷해졌다.
4. 1. 역대 주지사
=== 집행위원회 위원장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이름 | 출생년도 | 사망년도 |
---|---|---|---|---|
1991년 3월 | 1992년 4월 6일 | 비야체슬라프 초르노빌 | 1937년생 | 1999년 사망 |
1994년 6월 | 1995년 7월 | 미콜라 호린 | 1945년생 |
=== 대통령 대표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이름 | 출생년도 |
---|---|---|---|
1992년 3월 20일 | 1994년 6월 | 스테판 다비무카 | 1947년생 |
5. 행정 구역
2020년 7월 18일 우크라이나의 대규모 행정 구역 개편 이전까지, 리비우주는 20개의 군(raion)과 주 정부에 직접 속하는 9개의 주 직할시(місто обласного значення)로 구성되어 있었다. 9개 주 직할시는 보리스라우, 체르보노흐라드, 드로호비치, 모르신, 노비 로즈딜, 삼비르, 스트리, 트루스카베츠, 그리고 주의 행정 중심지인 리비우였다.
2020년 7월 18일,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의 결정에 따라 군의 수는 7개로 축소되었다.[19][20] 새로 개편된 7개 군은 다음과 같다.
- '''드로호비치 군''' (Дрогобицький район) - 중심지: 드로호비치
- '''리비우 군''' (Львівський район) - 중심지: 리비우
- '''삼비르 군''' (Самбірський район) - 중심지: 삼비르
- '''셰프티츠키 군''' (Шептицький район) - 중심지: 셰프티츠키
- '''스트리 군''' (Стрийський район) - 중심지: 스트리
- '''야보리우 군''' (Яворівський район) - 중심지: 야보리우
- '''졸로치우 군''' (Золочівський район) - 중심지: 졸로치우
리비우 시는 이 개편 이후에도 독자적인 행정 구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군 이름 | 우크라이나어 표기 (로마자 전사) | 행정 중심지 |
---|---|---|
브로디 군 | Бродівський район Brodivskyi raion | 브로디 (시) |
부스크 군 | Буський район Buskyi raion | 부스크 (시) |
드로호비치 군 | Дрогобицький район Drohobytskyi raion | 드로호비치 (시) |
호로도크 군 | Городоцький район Horodotskyi raion | 호로도크 (시) |
카미안카-부즈카 군 | Камнка-Бузький район Kamianka-Buzkyi raion'' | 카미안카-부즈카 (시) |
모스티스카 군 | Мостиський район Mostyskyi raion | 모스티스카 (시) |
미콜라이우 군 | Миколаївський район Mykolaivskyi raion | 미콜라이우 (시) |
페레미실리아니 군 | Перемишлянський район Peremyshlianskyi raion | 페레미실리아니 (시) |
푸스토미티 군 | Пустомитівський район Pustomytivskyi raion | 푸스토미티 (시) |
라데히우 군 | Радехівський район Radekhivskyi raion | 라데히우 (시) |
삼비르 군 | Самбірський район Sambirskyi raion | 삼비르 (시) |
스콜레 군 | Сколівський район Skolivskyi raion | 스콜레 (시) |
소칼 군 | Сокальський район Sokalskyi raion | 소칼 (시) |
스타리 삼비르 군 | Старосамбірський район Starosambirskyi raion | 스타리 삼비르 (시) |
스트리 군 | Стрийський район Stryiskyi raion | 스트리 (시) |
투르카 군 | Турківський район Turkivskyi raion | 투르카 (시) |
야보리우 군 | Яворівський район Yavorivskyi raion | 야보리우 (시) |
조우크바 군 | Жовківський район Zhovkivskyi raion | 조우크바 (시) |
지다치우 군 | Жидачівський район Zhydachivskyi raion | 지다치우 (시) |
졸로치우 군 | Золочівський район Zolochivskyi raion | 졸로치우 (시) |
6. 인구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에 따르면, 르비우주의 총인구는 2,626,500명이다.[27] 이 중 도시 인구는 1,558,700명으로 전체의 59%를 차지하며, 농촌 인구는 1,067,800명으로 41%를 차지한다.[28] 성별 인구 구성은 남성이 1,245,100명(47%), 여성이 1,381,400명(53%)이다.[29]
2001년 기준으로, 인구의 94.8%는 우크라이나인이며, 3.6%(92,600명)는 러시아인, 0.7%는 폴란드인이다. 이 외에도 소수의 독일계, 유대인, 로마인 등이 거주하고 있다.[21] 1989년 마지막 소련 인구 조사와 비교했을 때, 12년 동안 르비우주에 거주하는 폴란드인 수는 29.7% 감소했다. 이에 대해 폴란드 공동체 협회("Wspólnota Polska")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집중적인 우크라이나화 정책의 영향일 가능성을 제기했다.[22]
2013년 공식 통계에 따른 연령별 인구 구조 및 중위 연령은 다음과 같다.
연령대 | 비율 | 남성 | 여성 |
---|---|---|---|
0-14세 | 15.7% | 202,923명 | 193,000명 |
15-64세 | 70.0% | 867,699명 | 897,788명 |
65세 이상 | 14.3% | 122,906명 | 238,016명 |
구분 | 중위 연령 (2013년) |
---|---|
전체 | 38.0세 |
남성 | 35.2세 |
여성 | 40.9세 |
7. 종교
리비우주에서 활동하는 종교 단체의 59%는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에 속한다. 우크라이나 자치 정교회는 두 번째로 큰 종교 단체이다. 라틴 교회와 우크라이나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신자들은 각각 주로 폴란드계, 러시아계 또는 갈리치아가 아닌 우크라이나 소수 민족 출신이다.
8. 역사적, 문화적 유적지
리비우 시는 잘 보존된 중앙 광장(리노크 광장)과 수많은 역사적인 교회들을 포함하고 있다. 다른 주요 명소로는 역사적인 리차키우 묘지, 지역 민속 박물관, 그리고 도시 이름과 밀접하게 관련된 리비우 고성(비스코이 자목) 유적이 있다. 군사 유물을 전시하는 리비우 병기고 박물관도 위치해 있다.
리비우 주 전역에서는 잘 보존된 지역 목조 교회, 성, 수도원들을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올레스코 성: 1327년에 처음 기록된 오래된 성이다.
- 스비르즈 성: 스비르즈 마을에 위치하며, 15세기 말에 지어졌다.
- 피드히르치 성: 3층짜리 궁전, 코스텔(작은 교회), 작은 공원으로 구성된 건축 단지이다.
- 크레히브스키 수도원: 로즈토치아 지역 포비이나 산기슭의 너도밤나무-소나무 숲에 자리 잡고 있다. 성 니콜라스 교회, 종탑, 여러 부속 건물, 탑이 있는 방어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 투스탄 도시 요새: 바위 위에 세워진 요새 유적지로, 우크라이나의 역사적 및 자연 유적으로 지정되었다.
이 외에도 스트리이 군의 카미안카 강 계곡에는 자연 단지가 있으며, 조로치우 군의 피드카민 마을 근처에는 '카민-벨레텐'(바위 거인)이라는 자연 유적이 있다. 이 지역 도시의 이름은 "바위 아래"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지역 우크라이나 미술 박물관과 고등 교육 기관인 이반 프랑코 주립대학교도 리비우 주에 있다.


9. 경제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중요한 곡물 전염병 연구가 이곳에서 수행된다.[23] 우크라이나 국가 농업 과학 아카데미의 오브로시노 농업 연구소는 보리 흰가루병을 포함한 곡물 병원균 연구의 중심지이다.[23] 2000년대 초 이곳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를 수행한 연구자는 농업 연구소의 올가 브론스카와 G. 코실로비치였다.[23] 이 지역의 겨울밀에서는 ''Puccinia recondita'', ''Erysiphe graminis''(동의어 ''Blumeria graminis'') 및 다양한 ''Pseudocercosporella'' 종이 발견되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24]
또한, 두 종의 도입된 띠무늬 달팽이인 숲달팽이(''Cepaea nemoralis'')와 흰입술달팽이(''C. hortensis'')가 이곳에서 발견된다.[25] 숲달팽이(''C. nemoralis'')는 1800년대 후반에 의도적으로 도입되었으나, Gural-Sverlova 외 (2021)의 유전자 분석에 따르면 그 이후로도 지속적인 도입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25] (두 종의 지리적 분포는 다른 나라들에서 알려진 것처럼 원예 무역을 통해 유입되었음을 시사한다.)[25] 이 분석은 여러 차례의 별개의 유입을 통해 현재 리비우와 그 주변에 존재하는 여러 개체군이 형성되었음을 보여준다.[25]
참조
[1]
뉴스
Zelensky introduces new head of Lviv Regional State Administration
https://www.ukrinfor[...]
Ukrinform
2020-02-06
[2]
웹사이트
Валовии регіональнии продукт
https://ukrstat.gov.[...]
[3]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globaldatala[...]
[4]
서적
Toponymic Guidelines for Map and Other Editors for International Use
https://unstats.un.o[...]
DerzhHeoKadastr and Kartographia
2011
[5]
서적
The Archeology of Early Medieval Poland
2008
[6]
서적
Pod wspólnym niebem. Narody dawnej Rzeczypospolitej
Muzeum Historii Polski, Bellona
2010
[7]
서적
Pod wspólnym niebem. Narody dawnej Rzeczypospolitej
Muzeum Historii Polski, Bellona
2010
[8]
서적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Encyclopedia of Camps and Ghettos 1933–1945. Volume IV
Indiana University Press,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22
[9]
뉴스
Ukraine Facing Civil War: Lviv Declares Independence from Yanukovich Rule
http://www.ibtimes.c[...]
[10]
뉴스
Ukraine's Lviv becomes first region to remove all Soviet-era monuments
https://www.reuters.[...]
Reuters
2024-01-30
[11]
웹사이트
WorldClimate.com (Data for L'viv)
http://www.worldclim[...]
[12]
웹사이트
Lviv
http://www.worldstat[...]
[13]
뉴스
Yanukovych appoints ex-Ukrzaliznytsia head Kostiuk governor of Lviv region
http://www.kyivpost.[...]
Kyiv Post
2011-11-02
[14]
뉴스
Horbal appointed Lviv regional governor
http://www.kyivpost.[...]
Kyiv Post
2010-04-20
[15]
뉴스
Gryshchenko introduces new Lviv regional governor to local officials
http://www.kyivpost.[...]
Kyiv Post
2013-03-04
[16]
뉴스
Yanukovych appoints Salo as governor of Lviv region
http://www.ukrinform[...]
UKRINFORM
2014-01-23
[17]
뉴스
Lviv governor Salo resigns – mass media
http://www.unian.inf[...]
Unian
2013-01-23
[18]
뉴스
Poroshenko dismisses Sekh as Lviv region governor, appoints Turiansky as acting governor
https://www.kyivpost[...]
2014-08-15
[19]
뉴스
Про утворення та ліквідацію районів. Постанова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країни № 807-ІХ.
http://www.golos.com[...]
2020-07-18
[20]
웹사이트
Нові райони: карти + склад
https://www.minregio[...]
Міністерство розвитку громад та територій України
[21]
웹사이트
Національний склад населення / Львівська область
http://ukrcensus.gov[...]
Internet Archive
2004
[22]
웹사이트
Zmiany w liczebności ludności polskiej na Ukrainie w okresie 1989-2001
https://web.archive.[...]
Stowarzyszenie "Wspólnota Polska"
2013
[23]
citebundle
The European barley powdery mildew virulence survey and disease nursery 1993-1999
https://hal.archives[...]
EDP Sciences
2015-08-04
[24]
citebundle
Pathogenicity of ''Puccinia recondita'', ''Erysiphe graminis'' and ''Pseudocercosporella'' spp. in the Ukraine and sources of group resistance of the winter wheat to these pathogens
https://www.cabi.org[...]
Taylor & Francis
2019-11-24
[25]
citebundle
Shell Banding and Color Polymorphism of the Introduced Snail ''Cepaea nemoralis'' (Gastropoda, Helicidae) in Lviv, Western Ukra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Ukraine
2021-09-27
[26]
뉴스
旧ソ連圏、強まる反露感情 ロシア語離れ加速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8-09-30
[27]
웹사이트
2001年ウクライナ国勢調査。ウクライナの総人口
http://2001.ukrcensu[...]
2001-12-05
[28]
웹사이트
2001年ウクライナ国勢調査。ウクライナの都市人口・農村人口
http://2001.ukrcensu[...]
2001-12-05
[29]
웹사이트
2001年ウクライナ国勢調査。ウクライナの性別人口
http://2001.ukrcensu[...]
2001-12-05
[30]
웹사이트
The number of the actual population as of January 1, 2009
http://www.ukrcensus[...]
2010-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