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 10조에 박제된 ‘행복추구권’이 피어나는 나라로
헌법 10조의 행복추구권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과 부탄의 국민총행복(GNH) 패러다임을 소개하며,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을 위한 국가 비전과 행복 증진법 제정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르상티망은 덴마크 철학자 쇠렌 키르케고르가 제시한 개념으로, 프리드리히 니체에 의해 심화되어 사용되었으며, 막스 셸러, 막스 베버, 질 들뢰즈, 르네 지라르 등 여러 철학자와 사회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다. 르상티망은 약자가 강자에게 품는 원한, 열등감, 좌절감에서 비롯된 감정으로, 개인의 정체성, 도덕적 가치관, 사회적 갈등에 영향을 미친다. 한국 사회에서는 일제강점기, 사회경제적 불평등, 정치적 양극화, 세대 갈등 등 다양한 사회적 요인과 관련되어 나타나며,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 사회적 대화와 소통 강화, 역사 교육과 성찰, 시민 의식 함양을 통해 극복하고 사회 통합을 이루어야 한다.
르상티망 | |
---|---|
개요 | |
![]() | |
분야 | 철학, 사회학 |
영향 받은 사상가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파울 레 |
영향을 준 사상 | 실존주의 해체주의 포스트 구조주의 |
상세 내용 | |
정의 | 억압된 감정의 축적, 종종 무능감, 질투, 그리고 약함에서 비롯됨 |
특징 | 가치 재평가 도덕적 분개심 자기기만 |
관련 개념 | 니체의 힘에의 의지 노예 도덕 초인 막스 셸러의 《르상티망》 |
철학적 함의 | |
도덕 | 기존 가치에 대한 비판적 재평가 |
사회 | 사회적 불평등과 권력 역학 관계 분석 |
개인 | 자기 인식 및 자기 극복의 중요성 강조 |
관련 인물 | |
주요 이론가 | 프리드리히 니체 막스 셸러 |
기타 관련 인물 | 지그문트 프로이트 르네 지라르 |
관련 개념 | |
핵심 개념 | 가치 전도 권력 의지 영원 회귀 |
사회학적 개념 | 아노미 소외 |
참고 문헌 | |
주요 저서 | 도덕의 계보 (프리드리히 니체) 《르상티망》 (막스 셸러) |
관련 연구 | 다양한 철학적, 사회학적 연구 존재 |
'''르상티망'''(Ressentiment)은 쇠렌 키르케고르가 처음 제시한 개념으로, 프리드리히 니체의 저서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2][3][4] 월터 카우프만은 독일어에 이와 정확히 일치하는 단어가 없다는 점을 니체가 이 용어를 사용한 이유 중 하나로 보았다.[2] 니체는 ''도덕의 계보''에서 르상티망 개념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3][4]
이후 막스 셸러는 1912년에 출판한 책에서 르상티망을 연구했다.[9] 르상티망은 심리학과 실존주의에서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용어로, 정체성, 도덕적 틀, 가치 체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니체에 따르면, 르상티망은 약자가 강자에게 느끼는 원한, 증오, 질투, 열등감 등이 섞인 감정이다. 약자는 자신의 무력함을 정당화하고 강자를 탓하기 위해 도덕적 가치를 뒤집는다. 즉, 강자의 가치를 '악'으로, 자신의 약함을 '선'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르상티망은 반응성에서 비롯된다.[10] 약할수록 반응을 억제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니체에 따르면, 활동적이고 의지가 강한 사람은 외부 자극에 덜 얽매이며, 반응은 덜 강박적이다. 강한 의지를 가진 사람의 반응은 짧고 간결하며, 이성을 지배하지 않는다.[12]
스티븐 멀홀, 키스 앤셀-피어슨, 피오나 휴즈는 약자가 강자를 이긴 후에도 르상티망에는 승리의 보상이 기대보다 적다는 실망감이 따른다고 보았다.[13]
막스 베버는 《종교사회학》에서 르상티망을 "버림받은 민족"의 윤리적 구원 종교인 유대교와 연결했다.[15]
질 들뢰즈는 『니체와 철학』에서 르상티망을 행위 능력을 감소시키는 반응적 상태로 보았다.[16]
르네 지라르는 르상티망을 모방 욕망 및 희생양 메커니즘과 연결하여 설명했다. 그는 르상티망이 극복할 수 없는 이상적인 모델에 대한 질투에서 비롯되며, 경쟁과 폭력을 넘어설 때만 진정한 구원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17]
"르상티망"은 프랑스어 정관사 le로 오해되어 잘못 표기되는 경우가 있지만, 올바른 표기는 "Ressentiment"이다.
현대 사회에서 르상티망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주지주의의 증가는 포스트모더니즘과 독선적인 주장의 확산으로 이어져 여러 형태의 차별과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르상티망은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 전체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사회 통합을 위해서는 개인적 노력뿐만 아니라 사회적 차원의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1]
논문
From Ressentiment to Resentment as a Tertiary Emotion
2018
[2]
서적
"Editor's Introduction, Section 3" '[[On the Genealogy of Morals]]'' in ''Nietzsche: Basic Writings''
The Modern Library
1967
[3]
웹사이트
Essays
http://www.nietzsche[...]
Nietzsche Circle
2022-09-24
[4]
웹사이트
http://www.bu.edu/wc[...]
[5]
서적
Kierkegaard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1993
[6]
서적
Shades of loneliness
Rowman & Little Field o
2004
[7]
서적
Kierkegaard after MacIntyre
Open Court
2001
[8]
문서
Ressentiment was translated as [[envy]] in [[Howard V. Hong|Hong]]'s translation of Kierkegaard
[9]
서적
Das Ressentiment im Aufbau der Moralen
Marquette University press
1915
[10]
문서
The Will to Power
[11]
문서
On the Genealogy of Morality
[12]
문서
On the Genealogy of Morality
[13]
뉴스
"Nietzsche's Genealogy of Morality" on In Our Time
https://www.bbc.co.u[...]
BBC
2017
[14]
서적
Ressentiment
Marquette University press
1994
[15]
서적
The Sociology of Religion
Beacon Press
1993
[16]
서적
Nietzsche and Philosoph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3
[17]
서적
Violence and the Sacre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7
[18]
웹사이트
今日から使える! ビジネスに活用できる哲学用語10 {{!}} ルサンチマン、イデア、アウフヘーベン、脱構築…
https://premium.toyo[...]
2022-02-21
[19]
웹사이트
今日から使える! ビジネスに活用できる哲学用語10 {{!}} ルサンチマン、イデア、アウフヘーベン、脱構築…
https://premium.toyo[...]
2022-02-21
[20]
문서
木場深定訳『道徳の系譜』岩波文庫、46ページ(一部改変)。なお、木場訳ではルサンチマンは「反感」と訳されている。
[21]
서적
倫理学概説
ミネルヴァ書房
[22]
서적
Les idéologies du ressentiment
1996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헌법 10조의 행복추구권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과 부탄의 국민총행복(GNH) 패러다임을 소개하며,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을 위한 국가 비전과 행복 증진법 제정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