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마보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마보이는 어머니에게 과도하게 의존하는 남성을 일컫는 용어이다. 용어의 기원은 일본에서 콤플렉스 용어가 유행하면서 페티시즘적인 의미로 파생되었으며, 정신분석학적 관점과 애착 이론으로 심리적 설명을 시도한다. 마마보이의 원인은 개인의 심리적 요인, 가족 관계, 사회문화적 맥락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사회문화적 인식은 국가별, 문화별로 다르게 나타나며, 한국에서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미디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되며, 비판과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머니 - 시부모
    시부모는 배우자의 부모를 칭하는 의친의 일종으로, 민법상 친족이자 인척에 해당하며, 전통적인 고부 갈등은 현대 사회에서도 결혼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 어머니 - 산후우울증
    산후우울증은 출산 후 나타나는 우울 증상으로, 슬픔, 불안, 피로 등을 동반하며 심한 경우 자해 또는 자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심리 치료,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치료한다.
  • 남성을 가리키는 속어 - 기러기 아빠
    기러기 아빠는 자녀 교육을 위해 가족을 해외나 특정 지역에 보내고 혼자 남아 경제적 지원을 하는 아버지를 지칭하며, 가족 간 소통 부재, 외로움 등의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경제적 상황이나 거주 지역에 따라 다양한 신조어가 파생되기도 한다.
  • 남성을 가리키는 속어 - 비프케이크
    비프케이크는 남성 배우의 신체적 매력을 강조하는 사진이나 이미지를 의미하며, 보디빌더들의 근육질 몸매 과시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매체에서 활용되며 대중문화의 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 멸칭 - 유럽중심주의
    유럽중심주의는 유럽의 문화, 역사, 가치관을 세계의 표준으로 간주하고 다른 문화권을 유럽 중심으로 해석하는 사상으로, 서구 우위와 식민지 확장을 배경으로 강화되었으나 탈식민화 이후 비판받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대안적 관점이 등장하였고 현대에도 여러 영역에서 영향력과 비판적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멸칭 - 사이비 종교
    사이비 종교는 기존 종교를 모방하거나 속임수로 신도를 현혹하는 집단으로,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반사회적 행위를 하며, 교주 신격화, 종말론, 과도한 기부금 요구 등의 특징을 보이고 사회적 위험성을 내포한다.
마마보이

2. 용어의 기원과 변천

'마더 콤플렉스'라는 용어는 일본에서 콤플렉스 용어가 널리 퍼졌을 때 페티시즘적인 의미로 파생된 용어이며, 의미의 변용과 혼란을 반복하면서 현재에 이른 용어이다.[20]

'마더 콤플렉스'라는 용어의 최초 출현에 대해서는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쇼와 40년대(1965년~1974년)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현대 용어 사전인 『현대 용어의 기초 지식』의 1973년판에는 "어머니 착종"이라고만 언급되어 있고, 정의에 관해서는 애매한 것이었다. 1970년 하세가와 마치코의 4컷 만화에는 효도가 마더 콤플렉스로 취급된 것을 풍자한 내용도 있다.

1992년에 텔레비전 드라마 『너를 영원히 사랑해』(TBS 계열)가 크게 히트했다. 이 드라마의 주인공 남편인 후유히코는 극도로 전형적인 마더 콤플렉스 남성상으로 각색되었지만, 실제로는 마더 콤플렉스라기보다는 어머니 의존증이었다. 그러나 마더 콤플렉스에 대한 혐오감도 있어서 순식간에 왜곡된 인식이 퍼져나갔다고 한다.

은어로는 성인 비디오에서 모자 상간의 분류 용어로 사용되거나, 어머니와 아들의 근친상간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3. 심리학적 설명

마마보이는 심리학적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

정신분석 이론은 인간의 성(gender) 발달에 대한 주요 심리적 설명을 제공한다.[3] '성 발달'은 개인이 성과 관련된 개념과 역할을 이해하고 내면화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사회 내 성 역학에 대한 인지적 틀과 내부 도식이 점진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4]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카를 구스타프 융은 일본에서 마더 콤플렉스라고 불리는 것과 유사한 모자 관계에 대해 심층 심리학적 분석을 수행했다. 다만, 이러한 논의가 옳은지에 대해서는 검증되지 않았다.

3. 1. 정신분석학적 관점

정신분석학에서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인간의 행동과 성격을 형성하는 데 있어 무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프로이트는 아동 발달이 다섯 가지 심리 성적 단계를 거치며, 각 단계는 아이들이 다음 단계로 성공적으로 나아가기 위해 "극복"해야 하는 다양한 갈등으로 특징지어진다고 보았다.[5]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3~6세의 "남근기"에 나타나며, 소년이 어머니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느끼는 근친상간적인 감정과 아버지에 대한 질투심과 적대감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갈등이 해결되지 않으면 고착이 발생하여 어린이가 성인이 되어서도 남근기적 성격 특성에 "갇히게" 될 수 있다.[8] 프로이트는 이러한 현상이 아버지가 부재한 경우, 소년이 어머니와 성 정체성을 찾게 되어 "마마보이"로 이어지는 경우에 특히 두드러진다고 주장했다.[9]

카를 융집단 무의식과 원형인 위대한 어머니에게서 마더 콤플렉스의 원인을 찾았다. 융에 따르면 모든 남성은 무의식 속에 여성의 인격을 간직하고 있으며, 이것이 자신의 정신이며 영원한 여성의 빛을 발하고 있다고 한다. 여성성은 처음 어머니에게 투영되며, 근친상간적인 모자 일체 세계관을 만들어낸다. 어머니와 대결함으로써 자신의 심적 세계에 이상적인 여성을 뜻하는 아니마를 만들어낸다. 긍정적인 마더 콤플렉스는 어머니에 대한 무한한 지혜, 대자연의 이미지, 절대적인 신뢰의 감정이라고 한다.

융의 연구에 따르면 순수한 긍정적인 마더 콤플렉스는 여성에게 더 많다고 한다. 남성의 경우에는 어머니가 이성이기 때문에 아니마의 원형이 혼합되어 있지만, 여성은 아니무스적인 것이 들어가지 않는 한 어머니와 딸을 반복하며, 어머니와 같은 눈으로 남편을 보기 때문에 자주 간섭하고 지배하려 한다. 반면, 부정적인 마더 콤플렉스는 남성에게 자기 거세를 동반하고 성적 불능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3. 2. 애착 이론

존 볼비와 메리 애인스워스는 유아와 어머니 사이에 형성되는 정서적 유대(상호 작용)에 대해 연구했다.[10] 애착 이론은 "마마보이"의 경우, 주 양육자(어머니)에 대한 강한 의존성이 독립성을 주장하는 데 대한 망설임, 어머니 부재 시 고조된 불안, 그리고 성인이 된 후 모자 관계를 넘어선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한다고 제안한다.[11]

애인스워스는 1970년 "낯선 상황" 실험을 통해 다양한 애착 유형이 성인의 기능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을 탐구했다. 그녀는 아동에게서 세 가지 주요 애착 유형을 확인했다:[12]

# 안정 애착

# 불안정-회피 애착

# 불안정-저항 애착

추가 연구에 따르면, 특히 어머니와 불안정 애착 유형을 형성한 아동은 성인이 되었을 때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13] 또한 심리학자 다이애나 바움린드는 과잉 보호와 경계 부족으로 특징지어지는 양육 방식이 불안정 애착 유형을 악화시키고 "마마보이"의 역학 관계를 강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14] 따라서 애착 연구는 개인의 대인 관계 행동과 전반적인 심리적 안녕을 형성하는 데 있어 초기 애착과 양육 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4. 원인

어머니 말만 듣는 특징을 가진 마마보이의 원인은 복합적이다. 개인의 심리적 요인, 가족 관계, 사회문화적 맥락 등 여러 요인이 작용한다.[26]

부모의 양육 태도는 자녀가 마마보이로 성장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26] 어머니가 자녀가 할 수 있는 일을 대신 해주거나, 일관성 없는 양육 태도를 보이면 마마보이가 될 확률이 높아진다. 아버지가 권위적이거나 무관심한 경우에도 자녀는 마마보이가 될 수 있다. 심리학자 스티브 비덜프는 아버지와 친밀한 관계가 없는 자녀일수록 마마보이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 자녀가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어머니의 말을 따르지 않게 될 때, 아버지의 역할은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도전 정신, 규율, 책임감 등의 모델이 되어 중심을 잡아주는 것이다.[27]

마마보이의 원인에 대한 여러 추측도 존재한다.


  • 부모의 불행한 가정사나 조부모에게 받은 억압
  • 대대로 이어지는 가정불화
  • 남편에게 받은 정신적 충격이나 피해를 아들에게 전가하는 경우[28]
  • 아들이 아버지의 부정적인 성향을 이어받을까 봐 강제적인 훈육을 하는 경우
  • 아들이 배우자와 너무 닮아 보여서 혈통을 문제 삼는 경우
  • 어머니를 절대적인 존재로 여기라는 강제적인 정신 훈육을 받은 경우


일부 마마보이들은 자립심이 있지만, 어머니가 남편과의 불화나 정신적 고통으로 인한 트라우마 때문에 아들을 통제하려는 심리에서 비롯된 경우도 있다. 어머니는 아들이 아버지처럼 자신을 공격할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에 아들의 기를 죽이고 자신의 꼭두각시처럼 만들려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

실제로 마마보이라 불리는 사람들 중에는 어머니가 남편으로부터 받은 정신적 고통과 트라우마로 인해 아들이 아버지와 닮지 못하게 어려서부터 학대와 강제적인 훈육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어머니가 아들을 남성과 동일시하고, 아들이 아버지의 부정적인 면을 물려받을 것을 우려하여 자신의 말만 듣도록 강요하는 것이다. 이들은 아들이 저항하면 "제 아버지를 닮았다"는 말을 하는 경우가 많다.

어머니가 아들을 통해 집안을 장악하려는 야심 때문에 마마보이로 만드는 경우도 있다. 특히 남편에게 소외된 경험이 있는 어머니는 아들이 남편의 전철을 밟지 못하도록 자신의 말만 듣게 강요하기도 한다. 또한 아들이 집안을 망칠 우려가 있거나 독립을 막기 위해 마마보이로 만들기도 한다.

헬리콥터 부모의 극성스러운 성격으로 인해 억압받아 마마보이가 되는 경우도 있다.[29]

5. 사회문화적 인식

"마마보이"라는 용어는 사회에서 남성의 남성다움과 성 역할에 대한 다양한 문화적 태도 때문에 문화와 미디어 묘사에 따라 다르게 인식된다.

서구 문화에서 "마마보이"는 부정적인 의미를 지니지만, 인도, 파키스탄, 중국 등 아시아 문화권에서는 가족 가치와 효(부모와 어른에 대한 존경)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아들은 전통적으로 가정주부인 어머니에게 존경과 순종을 보여주도록 기대받았다.[19]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카를 구스타프 융은 어린이에 대한 어머니의 감정에 대한 이론을 제시했지만, '마더 콤플렉스'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는 않았다.

마더 콤플렉스라는 용어는 일본에서 콤플렉스 용어가 널리 퍼졌을 때 페티시즘적인 의미로 파생되었으며, 의미의 변용과 혼란을 반복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혼동되기도 하지만, 마더 콤플렉스는 모성이 강조되는 반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아들의 남성성이 강조된다는 차이가 있다.

1992년 텔레비전 드라마 『너를 영원히 사랑해』의 주인공 남편은 극도로 스테레오 타입화된 마더 콤플렉스 남성상으로 각색되어, 마더 콤플렉스에 대한 왜곡된 인식이 퍼져나갔다고 한다. 또한 은어로는 성인 비디오에서 모자 상간 분류 용어나, 어머니와 아들의 근친상간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마더 콤플렉스라는 말은 매우 통속적이어서 일정한 의미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명확한 정의가 없다.

5. 1. 한국

유교의 영향으로 장남을 존중하는 기풍이 강하여, 한국인 남성에게도 마더 콤플렉스가 많다고 한다.[21] 커서도 어머니에게 맹종하는 아들을 가리키는 "마마보이"라는 말도 있으며, 이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마마보이는 대부분 남자들이 하지 않는 것을 어머니와 같이 하거나, 어머니 말만 듣는 특징을 보인다.[26] 부모의 양육 태도는 자식이 마마보이로 자라는 데 많은 영향을 준다.[26]

소셜데이팅업체 이음의 싱글생활연구소가 싱글 남녀 365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마마보이를 싫어하는 여성은 응답자의 60%에 달했다.[26]

5. 2. 미국

영어권에서는 격식 없는 대화에서 "'''마마보이'''" 또는 "'''마미스 보이'''" 등의 표현이 쓰인다.[1] 에이브러햄 링컨이나 존 F. 케네디 같은 인물도 효자로 여겨질 뿐, 마마보이로 인식되지는 않는다.[1]

5. 3. 이탈리아

이탈리아에서는 전통적으로 가족 간의 유대를 중시하는 가치관이 강하며, 성인이 되어서도 마더 콤플렉스를 숨기지 않는 사람(맘모네라고 불림)은 "어머니를 생각하는", "가족을 소중히 여기는" 긍정적인 시각으로 보일 경향이 있다. 3~40대 고소득 화이트칼라가 부모님 댁에서 계속 거주하는 경우를 가리키는 맘모니라는 단어가 있지만, 본인이나 주변 모두 특히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5. 4. 중국

중국에서는 가족 간의 유대가 강하며, 어머니에게 의존하는 것을 큰 문제로 인식하지 않는다. 마더 콤플렉스와 비슷한 중국어 표현으로 "恋母情結|연모정결중국어"이 있지만, 이는 어머니와 비슷한 연인을 선택하는 경향을 의미하며, 프로이트의 개념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26]

5. 5. 일본

일본에서는 "어머니에게서 독립하지 못했다", "자기 결단력이 부족하다"는 식의 인식으로 인해 마마보이가 부정적인 이미지로 사용되며, 멸시어 중 하나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20] 사회적 평가가 훼손되기 쉬운 낙인 중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인식에는 오래전부터 친어머니를 우선시하는 남편이 고부 갈등에서 가정생활을 위협할 수 있다고 여성(아내) 측에서 우려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어머니가 아들로부터 독립하지 못하여 마마보이 아들을 낳는 요인 중 하나가 된다는 의견도 있다. 아버지가 일만 하고 육아에 관여하지 않는 것이 이유가 아니냐는 이야기도 있지만, 아버지의 부재가 아이의 자립에 부정적이라는 것은 아니며[22], 이는 속설에 불과하다.

단순히 어머니와 둘이서 행동하거나, 친가와 연락이 잦다는 이유만으로 남편이나 연인을 마마보이라고 단정하고, 고독과 불안에 시달리는 여성의 상담 사례도 보인다. 패션 잡지 등에서 마마보이 남성을 간파하는 "기술"을 언급하며 이러한 현상을 부추기기도 한다. 그 때문에 마더 콤플렉스 남성은 제대로 된 연애가 불가능하며, 극단적인 경우에는 남성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편견이 만연해 있다. 그러나 『마더 앤 러버』와 같이 마더 콤플렉스 남성을 호의적으로 다룬 드라마도 방송되어, 예전보다는 편견이 완화되는 경향도 있다. 한편으로는 "마마보이는 오타쿠다", "이과 남성은 마마보이다"와 같은 새로운 편견도 여성 잡지 등에서 생겨나고 있으며, 편견이 완화된 것이 아니라 다양화되었을 뿐이라고 볼 수도 있다.

현대에 마더 콤플렉스는 호의적인 이미지를 거의 가지지 못하지만, 일본에서도 옛날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다. 사회학적·인류학적으로 고찰했을 때, 옛날의 마더 콤플렉스 남성은 고향의 어머니 등에게 자신들의 입신출세와 성장을 보여주려고 노력하는 경향이 있으며,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 중 많은 이들이 (심리적으로) 마더 콤플렉스였다고 여겨진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처럼 출세했다고 알려진 남성은, 마더 콤플렉스 경향이 알려져 있더라도 효자로서 주변으로부터 존경받는 경우도 있었다.

가와이 하야오는 일본의 마더 콤플렉스는 서구적인 그것과는 상당히 다른 것이라고 말한다. 서양의 "옛날이야기"에서는 젊은이가 을 죽여 공주를 구출하고 결혼하지만, 일본의 『우라시마 타로』는 용궁으로 가면서 용과 대치하지 않고 딸과 행복하게 살고 만다. 즉, 일본에서는 어머니와의 대립을 거치지 않고, 연결을 유지한 채 성장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일본 남성은 어머니와의 연결을 유지한 채 결혼 생활에 들어가고, 아내는 남편의 어머니와 적대 관계를 맺게 된다. 남성은 항상 어머니의 관리하에 놓여 있으며, 그것을 벗어나기 어렵다. 그것이 자신의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대상을 추구하는 심정으로 향하면 로리콘이나, 어린 얼굴에 거유와 같은 아이돌로 향한다고 가와이는 설명한다.

하지만, 가와이의 사례 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다케토리 이야기』에서는 카구야 공주에게 구혼한 대납언 오토모노 미유키는 "용의 머리의 구슬"을 구해오라는 요구를 받고, 배를 타고 바다를 돌다 폭풍에 휘말려 구혼을 거절당한다. 또한 『야마타노오로치』의 스사노오노 미코토는 쿠시나다히메와 맺어지기 위해 야마타노오로치와 싸워 죽이고 결혼한다. 이처럼 민담으로 보아도, 일본에서의 어머니 - 아들의 관계는 항상 조화로운 것만은 아니며, 가와이의 설과 모순되는 예도 있다.

6. 대처 및 반론

=== 대처 ===

부모의 양육 태도는 자녀가 마마보이로 성장하는 데 큰 영향을 준다.[26] 어머니가 자녀가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을 대신 해주거나, 일관성 없이 행동하면 마마보이가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권위적이거나 무관심한 아버지 또한 자녀를 마마보이로 만들 수 있다. 심리학자 스티브 비덜프는 '아버지와 친밀한 관계가 없는 자녀일수록 마마보이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아버지는 사춘기 자녀가 어머니의 말을 따르지 않을 때, 도전 정신, 규율, 책임감 등의 모델이 되어 중심을 잡아줄 수 있다.[27]

자녀가 항상 부모의 의견에 따르지 않고 합리적인 이유를 들어 반박하며, 스스로 문제 해결 방법을 터득해야 마마보이가 되지 않는다. 부모는 자녀가 직접 선택하고 시행착오를 겪게 하고, 실패했을 때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으로 충분하다.[27]

이미 마마보이인 남성과 이성 친구 이상의 관계라면, 상대방의 우유부단함 정도에 따라 관계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우유부단함이 심하지 않다면 여성이 이끌어가는 대로 증상이 완화되기도 한다. 하지만 우유부단함이 심각한 경우에는 결혼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26] 마마보이는 경우에 따라 장점이 될 수도 있는데, 어머니가 자녀를 잘 양육했다면 남성은 활용 가능한 자원이 많고 잠재력을 갖추고 있을 수 있다.

=== 반론 ===

마마보이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마마보이의 원인으로 제시되는 몇 가지 가설은 다음과 같다.


  • 부모가 불행한 가정사를 가졌거나, 조부모에게 억압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 가정에 불화가 대대로 이어지는 경우
  • 어머니가 남편에게 정신적인 피해를 입어 아들에게 화풀이하는 경우[28]
  • 아들이 아버지의 부정적인 성향을 물려받을까 봐 강압적으로 훈육하는 경우
  • 아들이 배우자와 너무 닮아 보여 혈통을 문제 삼는 경우
  • 어머니를 절대적인 존재로 여기도록 강요받는 경우


일부 마마보이들은 자립심이 있지만, 어머니가 남편과의 불화나 트라우마로 인해 아들을 통제하려는 심리 때문에 마마보이가 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어머니는 아들이 남편처럼 자신을 공격할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에 아들의 기를 죽이고 자신의 꼭두각시처럼 만들려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어머니가 남편에게 정신적 고통을 받은 경우, 아들이 아버지를 닮아 자신에게 저항할 것을 우려하여 어릴 때부터 강압적으로 훈육하여 마마보이로 만든다는 것이다. 이들은 아들이 저항하면 "그 애비에 그 자식"이라는 말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또한, 아들이 집안을 장악할 것을 우려하거나, 아들의 독립을 막기 위해 마마보이로 만들기도 한다.

헬리콥터 부모의 극성스러운 성격 때문에 억압받아 마마보이가 되는 경우도 있다는 주장도 있다.[29]

6. 1. 대처

부모의 양육 태도는 자녀가 마마보이로 성장하는 데 큰 영향을 준다.[26] 자녀가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을 어머니가 대신 해주거나, 일관성 없이 행동하는 경우 마마보이가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권위적이거나 무관심한 아버지 또한 자녀를 마마보이로 만들 수 있다. 심리학자 스티브 비덜프는 '아버지와 친밀한 관계가 없는 자녀일수록 마마보이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춘기 자녀가 어머니의 말을 따르지 않을 때, 아버지는 세상에 필요한 도전 정신, 규율, 책임감 등의 모델이 되어 중심을 잡아줄 수 있다.[27]

자녀가 부모의 의견에 항상 따르지 않고 합리적인 이유를 들어 반박하며, 문제 해결 방법을 스스로 터득해야 마마보이가 되지 않는다. 부모는 자녀가 직접 선택하고 시행착오를 겪게 하고, 실패했을 때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격려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27]

이미 마마보이인 남성과 이성 친구 이상의 관계를 맺고 있다면, 상대방의 우유부단함 정도에 따라 관계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우유부단함이 심하지 않다면 여성이 이끌어가는 대로 마마보이 증상이 완화되기도 한다. 하지만 우유부단함이 심각한 경우에는 상대방과의 결혼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26] 마마보이는 경우에 따라 장점이 될 수도 있는데, 어머니가 자녀를 잘 양육했다면 남성은 활용 가능한 자원이 많고 잠재력을 갖추고 있을 수 있다.

6. 2. 반론

마마보이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마마보이의 원인으로 제시되는 몇 가지 가설은 다음과 같다.

  • 부모가 불행한 가정사를 가졌거나, 조부모에게 억압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 가정에 불화가 대대로 이어지는 경우
  • 어머니가 남편에게 정신적인 피해를 입어 아들에게 화풀이하는 경우[28]
  • 아들이 아버지의 부정적인 성향을 물려받을까 봐 강압적으로 훈육하는 경우
  • 아들이 배우자와 너무 닮아 보여 혈통을 문제 삼는 경우
  • 어머니를 절대적인 존재로 여기도록 강요받는 경우


일부 마마보이들은 자립심이 있지만, 어머니가 남편과의 불화나 트라우마로 인해 아들을 통제하려는 심리 때문에 마마보이가 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어머니는 아들이 남편처럼 자신을 공격할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에 아들의 기를 죽이고 자신의 꼭두각시처럼 만들려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어머니가 남편에게 정신적 고통을 받은 경우, 아들이 아버지를 닮아 자신에게 저항할 것을 우려하여 어릴 때부터 강압적으로 훈육하여 마마보이로 만든다는 것이다. 이들은 아들이 저항하면 "그 애비에 그 자식"이라는 말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또한, 아들이 집안을 장악할 것을 우려하거나, 아들의 독립을 막기 위해 마마보이로 만들기도 한다.

헬리콥터 부모의 극성스러운 성격 때문에 억압받아 마마보이가 되는 경우도 있다는 주장도 있다.[29]

7. 미디어에서의 묘사

넷플릭스 TV 시트콤 ''네버 해브 아이 에버''(2020년)에서는 주인공 데비 비시와쿠마르가 애인 데스에게 거절당하는 장면이 나온다. 데스의 어머니는 "데비, 너는 멋지지만 너랑 사귀는 건 우리 엄마를 화나게 할 가치가 없어. 내 말은, 아직 엄마가 내 폰 요금을 내주시잖아."라며 그들의 관계를 반대한다.[26]

시트콤 ''빅뱅 이론''에서는 하워드 월로위츠(사이먼 헬버그 분)가 20대 후반임에도 어머니와 함께 살며, 어머니의 승인을 끊임없이 필요로 하고 어머니로부터 완전히 독립하는 것을 꺼리는 모습이 코믹하게 묘사된다. 하워드와 그의 억압적인 어머니의 관계는 극 중 반복적인 유머의 원천이다.

''싸이코''(1960년)와 ''베이츠 모텔''에서는 노먼 베이츠와 어머니의 강렬하고 건강하지 못한 관계가 마마보이의 어두운 면을 보여준다. 노먼의 어머니에 대한 깊은 정서적 애착과 극심한 영향력은 그의 광기와 악명 높은 살인자로의 변신에 영향을 준다.[23]

계속 당신을 좋아했어에서는 어머니에게서 독립하지 못하는 주인공이 등장한다.[24]

도라에몽의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인 비실이는 극도의 마마보이 기질을 보이며, 위기에 처할 때마다 "엄마!"라고 크게 소리친다.[25]

8. 비판과 논란

"마마보이"라는 용어는 어머니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남성을 낙인찍을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과 논란을 낳는다. 이는 남성은 강해야 하고 어머니에게 정서적으로 의존해서는 안 된다는 기존의 성 고정관념을 강화하여 어머니와의 정서적 유대감을 무효화할 수 있다.

"마마보이"라는 용어가 파생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은 현대 심리학에서 상당한 비판을 받는다. 비평가들은 이 이론의 추측적인 성격과 임상적 관찰에 대한 의존성이 실증적 증거와 과학적 엄격성이 부족하다고 주장한다. 그의 방법론이 무의식적 마음에 대한 사례 연구에 크게 기반했기 때문에 그의 연구 결과 또한 반증 가능성이 부족하다.[15] 더욱이 프로이트의 연구는 19세기 말 비엔나의 문화적, 역사적 맥락만을 반영하여 문화 상대주의와 자민족 중심주의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1970년 메리 에인스워스의 애착 이론에서도 유사한 한계점이 발견될 수 있다. 그녀의 "낯선 상황" 연구는 자민족 중심적 편견과 보편성의 부족으로 비판을 받아왔다.[16] 에인스워스의 연구 이후의 메타 분석(Van IJ & K의 연구 등)[17]은 서구 개인주의 문화(독일, 영국, 미국)에 비해 집단주의적 아시아 문화(일본, 중국, 인도)에서 불안정 애착이 더 널리 퍼져 있다는 애착 유형의 문화적 차이점을 강조했다.[18]

참조

[1] 웹사이트 EtymOnline https://www.etymonli[...] 2020-01-29
[2] 서적 A Critical Dictionary of Psychoanalysis London 1995
[3] 웹사이트 Theories of Gender Development https://courses.lume[...] 2024-03-21
[4] 웹사이트 Gender Development Overview, Theories & Examples https://study.com/ac[...] 2023-10-29
[5] 간행물 An Introduction and Brief Overview of Psychoanalysis https://doi.org/10.7[...] 2023
[6] 웹사이트 Cognition and gender development https://www.open.edu[...] 2024-03-21
[7] jstor https://www.jstor.or[...]
[8] 문서 Oedipus Complex https://www.research[...] 2017
[9] 간행물 Psychoanalytic Concepts of Fatherhood: Patriarchal Paradoxes and the Presence of an Absent Authority https://doi.org/10.1[...] 2008
[10] 학술지 Attachment, Exploration, and Separation: Illustrated by the Behavior of One-Year-Olds in a Strange Situation https://www.jstor.or[...] 1970
[11] 학술지 Attachment, Exploration, and Separation: Illustrated by the Behavior of One-Year-Olds in a Strange Situation https://www.jstor.or[...] 1970
[12] 간행물 Infant-parent attachment: Definition, types, antecedents, measurement and outcome https://doi.org/10.1[...] 2004
[13] 간행물 The shaping of masculinity: Revisioning boys turning away from their mothers to construct male gender identity https://www.tandfonl[...] 2004
[14] 간행물 Parenting Styles: A Closer Look at a Well-Known Concept https://doi.org/10.1[...] 2019
[15] 학술지 The Limitations of Freud https://www.jstor.or[...] 1939
[16] 간행물 The Bowlby-Ainsworth attachment theory https://www.cambridg[...] 1978
[17] jstor Cross-Cultural Patterns of Attachment: A Meta-Analysis of the Strange Situation 1988 https://www.jstor.or[...]
[18] 학술지 Cross-Cultural Patterns of Attachment: A Meta-Analysis of the Strange Situation https://www.jstor.or[...] 1988
[19] 웹사이트 Filial Piety https://dictionary.c[...] 2024-03-20
[20] 서적 NHKカタカナ英語うそ・ほんと 日本放送出版協会 1988-05-20
[21] 웹사이트 韓国人男性│軍隊│ママボーイ http://www.k-plaza.c[...] 2020-02-15
[22] 문서 深層心理がわかる辞典 日本実業出版社 1997
[23] 웹사이트 Network Irelandの記事 https://networkmagaz[...]
[24] 웹사이트 TBS公式の設定 https://www.tbs.co.j[...]
[25] 웹사이트 オリコンの声優のインタビュー記事 https://www.oricon.c[...]
[26] 서적 내일도 사랑을 할 딸에게 https://books.google[...] 예담 2015
[27] 뉴스 혹시 마마보이? http://news.chosun.c[...] 2007-11-13
[28] 문서
[29]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