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맞춤법은 'orthography'의 번역어로, 문자를 올바르게 쓰는 방법을 의미하며, 쓰기에 사용되는 기호와 그 사용을 규제하는 규칙을 설명하거나 정의한다. 맞춤법의 기본 단위는 그래피미이며, 문자 체계는 표기법의 기반이 된다. 표기법은 표어 문자, 음절 문자, 알파벳 등 여러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철자와 발음 사이의 대응 관계에 따라 '심층 철자법'과 '얕은 철자법'으로 구분된다. 일본어는 다양한 표기법이 혼재되어 있으며, 외래어 표기, 한자 사용 등에서 여러 이표기가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맞춤법 - 철자
철자는 언어의 글쓰기 체계에서 단어를 표기하는 규칙 또는 관습이며, 표준어 확립과 관련된 철자 표준화는 공용어로서의 지위와 제도적 지원을 받으며, 각 언어는 고유한 철자법을 가지고 철자법은 발음 변화를 반영하거나 의도적 변형, 실수, 역사적 오류로 인해 변화하기도 한다. - 맞춤법 - 띄어쓰기
띄어쓰기는 단어나 구절을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공백으로, 아일랜드 수사들에 의해 처음 도입되어 유럽으로 확산되었으며, 한국어에서는 필수적인 문법 요소이지만 중국어와 일본어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문장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 가독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맞춤법 | |
---|---|
개요 | |
정의 | 언어의 문자 체계와 사용 규칙을 규정하는 체계 |
목적 | 언어의 일관성과 명확성을 유지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지원 |
관련 분야 | 문자론 언어학 표준어 |
어원 | |
라틴어 | orthographia (오르토그라피아) |
고대 그리스어 | ὀρθογρᾰφῐ́ᾱ (orthographiā) |
의미 | 바른 글쓰기 |
어원 구성 요소 | ὀρθός (orthós): 바른, 올바른 γρᾰφή (graphḗ): 쓰기, 글 |
구성 요소 | |
문자 | 개별 문자의 모양과 사용 |
철자 | 단어를 구성하는 문자의 순서 |
띄어쓰기 | 단어 간의 간격 규칙 |
구두점 | 문장 부호의 사용 규칙 |
대소문자 | 대문자와 소문자의 사용 규칙 (해당 언어에 있는 경우) |
중요성 | |
의사소통 | 명확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 가능 |
교육 | 읽고 쓰는 능력의 기본 |
표준화 | 언어의 일관성 유지 |
문화적 정체성 | 공동체 의식 강화 |
예시 | |
영어 | "through"의 올바른 철자 문장 시작 시 대문자 사용 |
프랑스어 | 악상 기호 (é, à, ç) 사용 성수 일치 |
한국어 | 한글 맞춤법 준수 띄어쓰기 규칙 준수 |
각 언어별 정서법 | |
한국어 | 한글 맞춤법 |
영어 | 영어 정서법 |
프랑스어 | 프랑스어 정서법 |
독일어 | 독일어 정서법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문자 언어 문법 표준어 맞춤법 검사기 글쓰기 |
2. 용어
영어 'orthography'(맞춤법)는 15세기에 처음 등장했으며, 그리스어 ὀρθός|(옳은)el와 γράφειν|(쓰기)el에서 비롯되었다.[2] 맞춤법은 쓰여진 그래프와 말소리에서 발견되는 음소 간의 일치, 즉 철자법과 관련이 있다.[3][4] 하이픈, 대문자, 단어 경계, 강조, 구두점도 맞춤법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orthography'(맞춤법)는 쓰기에 사용되는 기호와 그 사용을 규제하는 규칙을 설명하거나 정의한다.
맞춤법의 단위, 예를 들어 알파벳의 글자는 그래피미(글자소)로 개념화된다. 이것은 구어의 음소와 유사한 유형의 추상화이다. 쓰여진 기호의 서로 다른 물리적 형태는 그들 사이의 차이가 의미에 중요하지 않은 경우 동일한 그래피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그래피미는 모두 기능적으로 동일한 글리프 모음의 추상화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또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다른 언어)로 쓰여진 글자에는 소문자 라틴 문자 ''a''의 두 가지 다른 물리적 표현(글리프)이 있다: a 및 ɑ. 둘 중 하나를 다른 것으로 대체해도 단어의 의미가 변경될 수 없으므로, 동일한 그래피미의 이형 문자로 간주되며 ⟨a⟩로 쓸 수 있다. 이탤릭체 및 굵은 글꼴 형태도 이형 문자이다.
문자 체계는 표기법의 기반이 되며, 각 기호가 어떤 유형의 단위를 나타내는지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주요 유형은 단어나 형태소를 나타내는 ''표어 문자'', 음절을 나타내는 ''음절 문자'', 음소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알파벳''이다. 많은 문자 체계는 이러한 유형 중 둘 이상의 특징을 결합하며, 여러 가지 세부 분류가 제안되었다. 일본어는 표어 문자인 한자, 음절 문자인 히라가나, 가타카나를 조합하여 작성할 수 있는 문자 체계의 예이다. 많은 비알파벳 언어와 마찬가지로 알파벳 로마자도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5]
알파벳과 음절 문자를 사용하는 철자법은 문자로 표현된 표기가 구어의 음성 단위(음소 또는 음절)에 대응한다는 원칙에 기반한다. 언어에 따라 철자와 발음 사이의 대응 관계는 다양한 정도를 보인다. 철자와 발음 사이의 대응 관계가 복잡하거나 일관성이 없는 철자법을 '심층 철자법'이라고 하며, 비교적 단순하고 일관된 대응 관계를 가진 철자법을 '얕은 철자법'이라고 한다.
3. 표기 단위
그래피미 또는 일련의 그래피미는 ⟨b⟩ 또는 ⟨back⟩와 같이 때때로 꺾쇠 괄호 안에 넣는다. 이렇게 하면 슬래시 사이에 배치되는 음소 표기(/b/, /bæk/) 및 대괄호 사이에 배치되는 음성 표기([b], [bæk])와 구별된다.
4. 유형
5. 발음과의 대응 관계
철자와 발음이 달라지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구어에서 발생하는 음운 변화가 항상 철자법에 반영되지 않기 때문이다. 일본어의 음절 문자(히라가나와 가타카나)는 거의 완벽하게 얕은 철자법의 예이다. 한글과 티베트 문자 또한 원래는 얕은 철자법이었지만, 현대 언어에서는 형태음소적 특징을 자주 반영한다.
같은 발음을 동일한 철자로 표기하도록 규칙을 정리하고 철자를 개량하여 단어 의존성을 줄이려는 노력이 역사적으로 각국에서 이루어져 왔다. 음소 문자를 사용하더라도 하나의 발음이 한 종류의 철자로 표시된다고 할 수 없는 것은 이러한 배경 때문이다.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핀란드어, 근대에 들어 라틴 문자화 또는 키릴 문자화된 아시아·아프리카의 여러 언어(터키어, 베트남어 등)는 철자와 발음의 차이가 적은 정자법("얕은[투명한/음소적인] 정자법")을 가지고 있다. 에스페란토와 같은 인공어는 가능한 한 차이가 없도록 디자인되는 경우가 많다.
반면, 발음과 철자의 차이가 큰 정자법은 "깊은 정자법"이라고 불린다. 영어[9], 프랑스어, 아랍어, 한자 등이 이에 해당한다[10]。
일반적으로 문어는 구어에 비해 보수적이고 변화가 적은 반면, 구어는 변화가 빨라 격차가 발생한다. 발음과 문자의 대응이 1대1이거나, 적어도 1대다라면 혼란이 일어나지 않는데, 일본어처럼 다대다인 것이 정자법을 둘러싼 논쟁을 낳게 된다.
예를 들어, 일본어(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는 조사 "は(와)"나 "へ(에)" 등이 옛 표기법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おう(오우)"라는 가나 표기는 "오우"이거나 "오오"로 발음되는 애매함이 있다.
5. 1. 결함 표기법
결함 표기법은 언어의 모든 음소적 구분을 나타낼 문자가 부족한 경우를 말한다. 영어에서는 강세를 나타내는 표시가 없다. 아랍어 및 히브리어 알파벳과 같은 압자드에서는 단모음이 일반적으로 쓰여지지 않는다.
알파벳이 원래 언어에서 차용되어 새로운 언어에 사용될 때—많은 언어에서 라틴 문자가, 또는 일본어 이외의 단어에 가타카나가 사용된 것처럼—새로운 언어의 음소를 표현하는 데 부족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는 이중자(예: 영어에서 두 개의 문자가 하나의 소리를 나타내는 sh영어와 ch영어), 분음 부호 (예: 체코어에서 동일한 소리를 나타내는 문자 šcs와 čcs에 있는 캐론), 또는 완전히 새로운 기호의 추가(일부 언어에서 라틴 알파벳에 문자 w영어를 도입한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되기도 한다.[6]
6. 일본어와 정서법
일본어에서는 메이지 시대 이후 언문 일치가 진행되었다. 일반적으로 일본어에는 여러 규범이 있지만, '유일한 정서법'과 같은 것은 없다. 오류로 간주되지 않는 여러 표기가 허용된다.
일본어 데이터를 컴퓨터로 검색하거나 사용 빈도 등을 분석하는 경우에는 다른 언어에 비해 매우 복잡한 처리가 필요하다. 출판사나 방송국 등에서는 각자 독자적인 표기 규칙을 정하는 경우가 많아, 작가나 저자는 거래처에 따라 다른 규칙을 따라야 하는 경우도 있다. 교육 현장에서도 어떤 표기를 가르쳐야 하는지를 두고 의견 차이와 혼란이 발생하기도 한다.
6. 1. 가나 표기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 조사 "は(와)"나 "へ(에)" 등은 옛 표기법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おう(오우)"라는 가나 표기는 "오우"이거나 "오오"로 발음되는 애매함이 존재한다.6. 2. 한자
일본어에서는 어떤 단어를 한자로 표기할지 가나로 표기할지가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문체나 문맥, 글자 수 제한, 개인의 기호 등에 따라 선택된다. 또한 오쿠리가나의 사용법에도 표기 변이가 많고, 오쿠리가나를 사용할지 여부도 정해져 있지 않은 단어가 많기 때문에, 음성적으로 동일한 단어에 대해 여러 표기가 존재하기도 한다. 나아가 동일한 단어에 대해 사용하는 한자도 여러 개가 있는 경우가 많다.단어 | 한자 표기 |
---|---|
이레즈미 | 刺青, 入れ墨, 入墨, 文身 |
해파리 | 水母, 海月 |
목이 | 木耳, 木蛾, 木水母, 木海月 |
아시모토 | 足下, 足元, 足許 |
게스 | 下衆, 下種, 下司 |
요우다이[요우타이] | 容体, 容態, 様態, 様体 |
자금 | 指矩, 指金, 差金, 矩金 |
팔자주름 | 法令線, 豊麗線, 豊齢線, 頬齢線 |
시금치 | 菠薐草, 法蓮草, 鳳蓮草 |
두견새 | 不如帰, 時鳥, 杜鵑 |
이러한 요소들이 조합되어 많은 이표기를 낳는다.
6. 3. 외래어의 가타카나 표기
가타카나로 표기되는 외래어는 표기가 여러 개인 경우가 매우 많다.원어 | 표기 |
---|---|
uniform | 유니폼, 유니홈 |
violin | 바이올린, 바욜린 |
tissue | 티슈, 티슈, 티슈 |
eyebrow | 아이브라우, 아이브로우, 아이브로우 |
maintenance | 유지보수, 메인터넌스, 메인트넌스 |
May Day | 메이데이, 메이 데이, 메-데이 |
spaghetti | 스파게티, 스파게티 |
déjà vu | 데자뷰, 데쟈뷰, 데자뷔, 데쟈뷔 |
Los Angeles | 로스앤젤레스, 로스앤젤레스, 로스엔젤레스, 로스엔젤리스 |
Mary | 메어리, 메리, 마리 |
6. 4. 로마자
일본어 로마자 표기는 주로 헵번식, 수정 헵번식, 훈령식으로 나뉘며, 장음 표기 등에서 개인차가 크다.참조
[1]
논문
Sociolinguistics
Walter de Gruyter
[2]
웹사이트
Orthography
http://www.etymonlin[...]
[3]
논문
Orthography, Phonology, Morphology, and Meaning
https://www.scienced[...]
North-Holland
[4]
논문
Language Description, History and Development: Linguistic indulgence in memory of Terry Crowley
John Benjamins
[5]
서적
Learning to Read Across Languages
Routledge
[6]
간행물
Spelling Reform: A Lesson from the Greeks
[7]
문서
正書法의 어원
[8]
문서
영어의 철자
[9]
문서
ghoti
[10]
웹사이트
Orthographic depth of different languages
https://vividmaps.co[...]
[11]
논문
Sociolinguistics
Walter de Gruyter
2004
[12]
논문
The Cambridge Handbook of Language Poli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