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지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지시는 1899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외국 교통의 요충지인 모지항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1889년 모지가세키촌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의 합병을 거쳐 시역을 확장했고, 1914년에는 모지항의 선박 톤수가 전국 1위를 기록하며 무역항으로 번영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공습으로 피해를 입었으며, 1963년 기타큐슈시로 통합되어 모지구로 변경되었다. 현재는 미국 노퍽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지구의 역사 - 아와시마 신사 (기타큐슈시)
기타큐슈시에 위치한 아와시마 신사는 여성의 수호신을 모시며 바늘 공양으로 유명하고, 헤이안 시대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며, 1963년 페트로그래프 발견, 톤도야키, 바늘 축제 등 다양한 연중 행사가 열린다. - 기타큐슈시의 역사 - 와카마쓰시
와카마쓰시는 1914년 시로 승격되어 지쿠호 탄전의 석탄을 와카마쓰항을 통해 반출하며 항만 도시로 발전했으나, 1963년 기타큐슈시에 편입되어 소멸되었다. - 기타큐슈시의 역사 - 고쿠라시
고쿠라시는 1900년부터 1963년까지 일본 후쿠오카현에 존재했던 시로, 고쿠라번의 성하마을로 발전하여 교통 요충지이자 기타큐슈 공업 지대의 중심지였으나, 주변 도시와 합병하여 기타큐슈시가 되면서 소멸되었다. - 후쿠오카현의 폐지된 시정촌 - 와카마쓰시
와카마쓰시는 1914년 시로 승격되어 지쿠호 탄전의 석탄을 와카마쓰항을 통해 반출하며 항만 도시로 발전했으나, 1963년 기타큐슈시에 편입되어 소멸되었다. - 후쿠오카현의 폐지된 시정촌 - 고쿠라시
고쿠라시는 1900년부터 1963년까지 일본 후쿠오카현에 존재했던 시로, 고쿠라번의 성하마을로 발전하여 교통 요충지이자 기타큐슈 공업 지대의 중심지였으나, 주변 도시와 합병하여 기타큐슈시가 되면서 소멸되었다.
모지시 - [옛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자치체 이름 | 모지시 |
한자 표기 | 門司市 |
가나 표기 | もじし |
폐지일 | 1963년 2월 10일 |
폐지 이유 | 신설 합병 |
폐지 상세 | 모지시, 야하타시, 도바타시, 고쿠라시, 와카마쓰시 등 5개 시가 합병, 기타큐슈시 신설 |
현재 자치체 | 기타큐슈시 |
도도부현 | 후쿠오카현 |
면적 | 65.93 |
인구 | 156,195 |
인구 조사 시점 | 1963년 10월 1일 |
위치 | 모지시 히로이시초 |
좌표 | 33° 55′ 53.68″ N, 130° 56′ 17.59″ E |
이미지 | |
![]() | |
시 상징 | |
![]() | |
제정일 | 1921년 4월 5일 |
추가 정보 | |
인접 자치체 | 고쿠라시,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
기타 | |
웹사이트 |
2. 역사
모지시는 1899년 4월 1일 시로 승격되었다. 외국 교통의 요충지인 모지항은 국가를 대표하는 지위에 있었기 때문에 시제 시행이 결정되었다. 1908년에는 히로이시에 모지 시청 청사가 건설되었고, 이후 수도 공사와 모지항 수축 공사 등 토목 공사에 주력했다.
1923년 2월 1일 다이리정이 모지시에 편입되었고, 같은 해 5월에는 모지시가 도시계획법 시행지로 지정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공장 진출과 택지 개발로 기성 시가지가 좁아지면서 인근 정촌이 발전하고 시가지화되었다.
1937년부터 전시 체제가 진행되면서 중심 시가지에 자재, 인력, 식료 등을 공급하기 위해 시정촌 합병이 추진되었다. 모지시는 장래 발전과 태평양 전쟁 직전 방공 등 군사적 관점에서 마쓰가에 촌과의 합병을 추진했다. 1942년 5월 15일 마쓰가에 촌이 모지시에 편입되었다.
1946년 지방제도 개혁으로 시장 선출 방식이 주민 직선제로 바뀌었고, 1947년 첫 공선 시장으로 나카노 신고가 선임되었다. 1951년에는 부제(部制)를 도입하는 대규모 기구 개혁이 단행되었다.
2. 1. 명칭의 유래
2. 2. 모지가세키촌의 성립 (1889년 이전)
1889년(메이지 22년) 정촌제 시행 이전, 현재 모지구 지역은 부젠국에 속했으며, 폐번치현 이후 히타현, 고쿠라현을 거쳐 1876년(메이지 9년)부터 후쿠오카현에 속했다.[2]1889년 정촌제 시행에 따라 구스바루향의 다노우라촌, 모지촌, 야나가향의 고모리에촌이 합병하여 모지가세키촌이 성립되었다.[2] 당시 모지가세키촌의 인구는 3060명이었다.[2] 합병 후 촌명은 당초 모지촌으로 하려 했지만, 다노우라촌의 반대로 모지가세키촌이 되었다.[4]
모지가세키촌 성립 당시에는 염전이 펼쳐진 한적한 어촌이었다.[12]
.
하지만, 1888년(메이지 21년)에 규슈철도가 설립되어, 1891년(메이지 24년)에 모지항역이 개업하고 규슈 철도의 본사가 하카타에서 모지로 이전하면서,[13] 1889년(메이지 22년)에는 모지 축항 회사에 의한 모지항의 매립과 선착장 건설이 시작되었다.[14] 또한 특별 수출항으로 지정되어 석탄, 유황, 쌀, 보리, 밀가루의 5품목 취급을 허가받았다.[14] 치쿠호에서 철도로 운반된 석탄을 수출하는 항구로 급속히 발전했다.[15]
2. 3. 모지정으로의 개칭 (1894년)
1889년 모지케세키촌의 인구는 3130명이었으나, 1893년에는 8182명, 1894년에는 1만 77명으로 급증했다.[16] 특히 항만 노동자가 증가했지만, 상하수도, 도로, 주택 등 도시 기반 시설 정비가 뒤처져 마을 행정이 혼란스러웠다. 이러한 상황에서 1894년(메이지 27년) 6월, 모지 1정목에 청사 신축 공사가 시작되었고, 7월 26일 후쿠오카현 지사 고시에 의해 모지케세키촌은 모지정(門司町)으로 개칭되었다.[17]모지정으로 개칭된 지 이틀 후 일청전쟁이 발발했고, 1895년 4월 시모노세키에서 강화 조약이 체결되면서 모지항과 시모노세키항은 요충 항구로서 더욱 발전했다. 모지신보(門司新報)는 1896년 1월 기사에서 "6년 전 어촌이었던 모지우라(門司浦)는 완전히 옛 모습을 바꾸어 사통팔달의 일시가(一市街)가 되고, 더 나아가 개항장이 되어 도시가 되려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18]
이 무렵, 야마구치현 아카마가세키시(현 시모노세키시)와 모지정의 합병론이 제기되었고, 1896년 2월 모지신보(門司新報)에서는 야마구치현에서 내무성에 모지 합병 신청이 있었다고 보도되었다. 그러나 아카마가세키시 행정의 혼란으로 인해 합병론은 흐지부지되었다.[19]
1897년, 모지정장 마에다 마스하루가 질병으로 사임하면서, 모지정회는 마에다 전 정장을 명예 조역으로 추천하고, 군수를 신임 정장으로 추천함과 동시에 정장의 연봉을 인상하려 했다. 그러나 정치 개혁을 주장하는 개혁파의 반대로 정청 업무가 정체되었다. 결국 양측의 타협으로 고토 아키오미 전 군수가 정장으로 선출되었다.[20]
2. 4. 시제 시행 (모지시의 성립, 1899년)
1898년(메이지 31년) 모지정(門司町)의 인구는 2만 5280명까지 증가했다. 10월 3일, 시제 시행 건의안 논의를 위한 임시 정회가 열려 만장일치로 내무대신에게 시제 시행 신청을 제출하기로 결의했다. 신청서에는 그 이유로 급격한 도시화에 대응할 필요가 있고, 군비 부담이 무겁기 때문에 이를 도시 형성에 돌려야 한다는 점을 들었다. 그 결과 같은 해 12월 28일, 내무성 고시 제135호에 따라 이듬해 1899년(메이지 32년) 4월 1일부터 기구군 모지정을 시로 승격 하기로 결정하였다.[21] 소가베 미치오(曽我部道夫) 후쿠오카현 지사는 메이지 32년 2월, 모지시를 시제 지역의 자격이 있다고 인정하여 상신한 이유에 대해 "외국 교통의 요지에 해당하는 모지항은 국가를 대표해야 할 위치에 있으므로 이렇게 급히 시제를 시행하게 되었다"라고 설명했고, 내무대신도 이 점에 주목하여 고시를 발표했다고 설명했다.[22]4월 1일, 시제가 시행되자 모지 촌장 고토 아키오미가 후쿠오카현 지사로부터 모지시 사무 취급을 명령받았고, 당분간 모지 동사무소 터를 시청으로 사용하기로 했다.[23] 4월 22일에는 모지 시제 실시 축하회가 열렸다.[24]
시제 시행 초기에는 시장 선거를 둘러싼 정치적 갈등과 혼란이 있었다.[26]
2. 5. 도시 기반 정비
모지시는 토목공사로서 상수도 공사와 모지항 개축 공사에 힘썼다.[28] 인구 증가로 식수가 부족해지자, 1909년 가구메요시에 저수지를, 고모리에 산중턱에 정수장을 설치하는 공사를 착수하여 1912년 준공하였다.[28] 이후에도 확장 공사가 거듭되었다.[29]모지항 개축 공사는 1916년부터 대장성 예산으로 동해안 매립, 둑 건설, 방파제 건설 등이 이루어졌고, 1917년부터는 모지시 예산으로 구 모지 연안 매립, 둑 및 방파제 건설 공사가 이루어졌다.[30] 1919년부터는 내무성 직할 공사로서 개축 공사가 이루어져 1931년 3월에 대략 준공했다.[30]
시제 시행 이전부터 계속된 제2기 시구 설계로서, 1903년부터 1910년대 초까지 쇼지초, 하타다초, 기요타키, 고모리에 등에서 하천, 교량, 도로 신설 공사가 이루어졌다.[31] 1923년 5월에는 모지시가 도시계획법 시행 지구로 지정되었다.[32]
2. 6. 다이쇼 시대의 모지시
1914년(다이쇼 3년)에는 모지항에 입항하는 기선의 톤수가 고베항, 요코하마항을 제치고 전국 1위가 되는 등[33], 모지시는 무역항으로서 번영하였다. 모지항 지역의 산바시도리 주변에는 많은 은행과 상사가 모여들었고, 도로에는 가스등이 켜져 “일정 런던”이라고 불리기도 했다.[34]산바시도리와 니시혼마치 부근은 모지 축항 1기 공사(메이지 24년 준공)로 매립된 지역이고, 히가시혼마치는 2기 공사(메이지 30년 준공)로 염전을 매립한 지역이며, 매립지 내에는 은행·상사가 모인 금융가 외에도 카페, 서양 요리점, 유곽 등이 모인 환락가가 형성되었다.[35] 시내를 규슈전기궤도의 노면전차(기타큐슈선)가 달려 시민들의 발이 되었다.[35] 히가시혼마치 매립지 주변에는 제1선창과 제2선창을 잇는 폭 12미터 정도의 수로(호리카와)가 설치되어 있었다. 호리카와에는 항만노동자(항만 노동자)를 沖의 본선에 보내는 수많은 작은 배가 드나들었지만, 점차 더러워지기 시작하여 1933년(쇼와 8년)에 매립되어 도로가 되었다.[36]
한편, 항만노동자들의 삶은 고달팠고, 골목길에는 목침숙과 허름한 창고들이 늘어서 있었다.[37] 항만노동자들의 불만도 있었기에 1918년(다이쇼 7년) 모지에서 발생한 쌀소동은 대규모화되어, 고쿠라 제12사단이 출동하여 진압하는 사태가 되었다.[37]
2. 7. 시역 확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각지에서 공장 진출과 주택 개발로 기존 시가지가 협소해지고, 인근 읍면이 발전하여 시가지화된 것, 그리고 군제 폐지(1923년)에 따라 읍면이 담당하는 업무가 커짐에 따라 읍면의 시 편입이 잇따랐다.[38]그 시초가 된 것은 '''대리정'''의 모지시 편입이었다. 스즈키상점 계열 공장이 속속 설립된 대리정과 모지시의 경제적·인적 교류가 진행됨에 따라 합병 분위기가 고조되어, 1923년(다이쇼 12년) 2월 1일, 대리정이 모지시에 편입되었다.[39]
이어서, 1914년에 초대 벚꽃 터널이 개통되어 모지시와 '''동향촌'''의 왕래가 용이해진 것을 배경으로, 1927년 동향촌과의 합병 협의가 시작되어, 1929년 11월 1일, 동향촌이 모지시에 편입되었다.[40][41] 이 편입에는 당시 많은 읍면이 직면하고 있던 재정적 궁핍 상태의 완화라는 의미가 컸다.[42]
1931년까지 시정촌 합병은 일단락되었지만, 1937년부터 전시 체제가 진행되는 가운데, 팽창하는 중심 시가지에 대한 자재·노력·식량 등의 공급을 위해 제2의 시정촌 합병이 이루어졌다.[44] '''마쓰가에촌'''과의 합병은 태평양 전쟁 직전, 방공 등 군사적 관점에서 이루어 졌으며, 1942년 5월 15일, 마쓰가에촌이 모지시에 편입되었다.[46][47]
메이지 22년 이전 | 메이지 22년 4월 1일 정촌제 시행 | 폐치분합 | 신시 | ||||
---|---|---|---|---|---|---|---|
고모리에정·모지촌·다노우라촌 | 문자게세키촌 | 메이지 27년 8월 1일 모지정 | 메이지 32년 4월 1일 모지시 | 모지시 다이쇼 12년 2월 1일 대리정 편입 | 모지시 쇼와 4년 11월 1일 동향촌 편입 | 모지시 쇼와 17년 5월 15일 마쓰가에촌 편입 | 쇼와 38년 2월 10일기타큐슈시(모지구) |
야나가우라촌 | 야나가우라촌 | 메이지 41년 12월 1일 대리정 | |||||
오오츠미촌·시라노에촌·쿠로카와촌·키다쿠촌·에샤쿠다촌 | 동향촌 | colspan="3" | | |||||
사루쿠이촌·하타촌·이마즈촌·기시촌·츠네미촌·이카와촌 | 마쓰가에촌 | colspan="4" | |
2. 8. 전시 체제와 태평양 전쟁
모지시는 북규슈 공업지대의 일부이자 중요한 항구인 모지항을 가지고 있어 군사 공격의 표적이 되었다.[48] 1944년 6월 16일 첫 공습 이후 1945년 7월 21일까지 9차례의 공습을 받아, 34만 9000평의 면적이 피해를 입고 1만 8902명의 피해 인구와 4436가구의 피해 가구, 110명의 사망자와 217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48] 많은 건물이 소실되었고, 기뢰로 인해 간몬해협이 봉쇄되었다[48]。1923년 2월 1일 다이리정이 모지시에 편입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공장 진출과 택지 개발로 기성 시가지가 좁아지고 인근 정촌이 발전, 시가지화되면서 군제 폐지가 1923년에 시행되어 담당 업무가 확대되었다.
1937년부터 전시 체제가 진행되면서 중심 시가지로의 자재, 인력, 식료품 공급을 위해 시정촌 합병이 추진되었다. 모지시는 장래 발전을 위해 시역 확장이 필요했고, 태평양 전쟁 직전 방공 등 군사적 관점에서 동부에 긴 해안선을 가진 마쓰가에 촌과의 합병이 바람직했다. 1942년 5월 15일, 모지시는 마쓰가에 촌을 편입 합병했다.
2. 9. 전후
모지시는 1945년 11월 지정 전재 도시가 되어 전재 복구 사업에 착수했다.[49] 1946년 9월 전후 첫 번째 지방 제도 개혁으로 시장은 내무대신 임명에서 주민 직선제로 바뀌었다. 기존 시장은 사임하고 요시다 타이치(吉田多一)가 임시 시장 대리 및 시장 직무 대리에 취임했다. 1947년 4월 5일 통일 지방 선거에서 나카노 신고(中野真吾)가 최초의 공선 시장으로 선출되었다.[50]종전 직후 모지시의 조직은 15과 39계였으나, 1951년 11월 부제 채택으로 5부 19과 1소 53계로 대폭적인 조직 개편이 이루어졌다.[51]
2. 10. 5시 합병 (1963년)
1963년 2월 10일, 모지시는 야하타시, 도바타시, 고쿠라시, 와카마쓰시와 합병하여 기타큐슈시가 되었다. 같은 해 4월 1일 기타큐슈시가 정령지정도시로 승격되면서 구 모지시 지역은 모지구가 되었다.3. 인구
모지시의 인구는 시 승격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1960년에는 15만 명을 넘어섰다. 1920년 72,111명, 1925년 95,087명, 1930년 108,130명, 1935년 121,611명, 1940년 138,997명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1945년에는 94,229명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보인다. 종전 후 인구가 다시 증가하여 1947년 109,567명, 1950년 124,399명, 1955년 145,027명, 1960년 152,081명을 기록하였다.
4. 행정
4. 1. 국가 기관
모지시에는 다양한 중앙 정부 기관이 있었다.[53]법무성 관련 기관으로는 후쿠오카 법무국 고쿠라 지국 모지 출장소, 시모노세키 입국 관리 사무소 모지항 출장소, 모지 구 검찰청이 있었다.[53]
대장성 산하에는 모지 세관 및 모지 세무서가 있었다.[53] 후생성 관련 기관으로는 모지 검역소가 있었다.[53]
농림성 관련 기관으로는 모지 식물 방역소, 동물 검역소 모지소, 후쿠오카 식량 사무소 모지 출장소가 있었다.[53]
통상산업성 산하에는 후쿠오카 통상 산업국 관문 통상 사무소, 모지 수출품 검사소, 알코올 문사 주재소가 있었다.[53]
운수성 관련 기관으로는 규슈 해운국, 제4항만건설국 모지공사사무소, 제7관구해상보안본부, 모지 해상 보안부, 모지 지방 해난 심판청, 모지 지방 해난 심판이사소가 있었다.[53]
우정성 관련 기관은 모지 우체국, 모지 항구 우체국, 구마모토 철도 우체국 모지 통신부, 히로시마 철도 우체국 모지 승무원 사무실이었다.[53]
노동성 관련 기관으로는 모지 노동 기준 감독서가 있었다.[53] 사법부 기관으로는 모지 간이 재판소가 있었다.[53]
4. 2. 현 기관
모지시에는 1971년경 다음과 같은 후쿠오카현의 주요 행정 기관이 있었다.[54]- 모지 재무 사무소
- 모지 보건소
- 모지 공공 직업 안정소
- 모지항 노동 공공 직업 안정소
- 모지 사방 사무소
- 모지 경찰서
- 모지 수상 경찰서
4. 3. 역대 시장
모지시의 시장은 1899년(메이지 32년) 4월 1일 고토 아키오미(後藤章臣)가 임시 시장 대리로 임명된 이후[52] 관선으로 임명되다가, 1947년(쇼와 22년) 나카노 신고(中野真吾)가 최초로 주민 직선제로 선출되었다.[52]
5. 교통
과거 일본국유철도와 서일본 철도(기타큐슈선, 현재는 폐지) 등이 모지시를 통과했다. 일본국유철도는 모지항역에서 모지역을 연결했다. 서일본 철도 기타큐슈선(현재는 폐지)은 모지, 히가시혼마치, 긴세이바시, 산바시도오리, 히로이시, 시라키자키, 쿠즈하, 니타마쓰마치, 카타가미, 코모리에, 모지시민병원마에, 오오사토, 모지에키마에, 하라마치, 우마요세, 신마치를 경유했다.
모지시는 국도 제2호선(간몬 터널 포함), 국도 제3호선 등이 연결한다.
모지와 시모노세키를 잇는 관문연락선·관문기선·관문해협기선이 운행되었다.
5. 1. 철도
과거 일본국유철도와 서일본 철도(기타큐슈선, 현재는 폐지) 등이 모지시를 통과했다. 일본국유철도는 모지항역에서 모지역을 연결했다. 서일본 철도 기타큐슈선(현재는 폐지)은 모지, 히가시혼마치, 긴세이바시, 산바시도오리, 히로이시, 시라키자키, 쿠즈하, 니타마쓰마치, 카타가미, 코모리에, 모지시민병원마에, 오오사토, 모지에키마에, 하라마치, 우마요세, 신마치를 경유했다.5. 2. 도로
모지시는 국도 제2호선(간몬 터널 포함), 국도 제3호선 등이 연결한다.5. 3. 항로
모지와 시모노세키를 잇는 관문연락선·관문기선·관문해협기선이 운행되었다.6. 자매 도시
모지시는 1959년 7월 14일, 미국 버지니아주 노퍽과 자매 도시 협약을 체결했다.[57][58] 1958년 오사카 상선의 호노루루마루 처녀 항해에 모지 시장이 모지의 풍사인형을 선물했는데, 노퍽 항에 입항했을 때 현지 신문에 보도되었고, 이를 본 노퍽 시장이 노퍽 시의 상징인 로열 메이스(왕杖頭)의 복제품과 메시지를 당시 모지시에 보낸 것이 계기가 되었다.[57][58]
7. 평가
참조
[1]
서적
北九州市史・近現代
1987
[2]
서적
門司市史
1933
[3]
서적
北九州市史・近現代
1987
[4]
서적
門司市史
1933
[5]
서적
門司市史
1933
[6]
서적
(제목 없음)
2004
[7]
서적
(제목 없음)
2004
[8]
서적
(제목 없음)
2004
[9]
서적
(제목 없음)
2004
[10]
서적
(제목 없음)
2017
[11]
서적
門司市史
1933
[12]
서적
(제목 없음)
2019
[13]
서적
(제목 없음)
2016, 2013
[14]
서적
(제목 없음)
2016, 2017
[15]
서적
(제목 없음)
2013
[16]
서적
北九州市史・近現代
1987
[17]
서적
北九州市史・近現代
1987
[18]
서적
北九州市史・近現代
1987
[19]
서적
北九州市史・近現代
1987
[20]
서적
北九州市史・近現代
1987
[21]
서적
北九州市史・近現代
1987
[22]
서적
北九州市史・近現代
1987
[23]
서적
北九州市史・近現代
1987
[24]
서적
北九州市史・近現代
1987
[25]
서적
北九州市史・近現代
1987
[26]
서적
北九州市史・近現代
1987
[27]
서적
門司市史
1933
[28]
서적
門司市史, 北九州市史・近現代
1933, 1987
[29]
서적
門司市史
1933
[30]
서적
北九州市史・近現代
1987
[31]
서적
北九州市史・近現代
1987
[32]
서적
北九州市史・近現代
1987
[33]
서적
(제목 없음)
2016
[34]
서적
(제목 없음)
2017
[35]
서적
(제목 없음)
2016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웹사이트
米国・ノーフォーク市との交流について
https://www.city.kit[...]
北九州市企画調整局国際部国際政策課
2020-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