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케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케카는 "생선 스튜"를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된 요리로, 앙골라와 브라질에서 다양한 종류로 발전했다. 브라질에서는 바이아, 이스피리투산투, 파라 지역의 모케카가 유명하며, 각 지역의 특색에 따라 팜유, 코코넛 밀크, 올리브 오일 등의 재료와 조리법에 차이가 있다. 앙골라에서도 유사한 스타일의 모케카가 존재하며, 생선, 새우, 닭고기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한다. 모케카는 냄비에 조리되며, 밥, 파로파, 피랑 등과 함께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앙골라 요리 - 페이조아다
페이조아다는 콩을 주재료로 고기와 채소를 넣어 끓인 스튜로, 로마에서 기원하여 포르투갈을 거쳐 브라질 등지로 확산되었으며, 특히 브라질에서는 검은콩과 돼지고기, 쇠고기를 넣어 만든 국민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 앙골라 요리 - 링구이사
링구이사는 포르투갈에서 유래되어 쇼리수와 비슷하지만 향신료가 적게 들어가며, 포르투갈 외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요리에 활용되는 소시지이다. - 국 - 보르시
보르시는 슬라브 조어에서 유래된 수프로, 동유럽에서 널리 즐겨 먹으며, 비트, 양파, 당근, 고기 등을 넣어 끓여 만들고 사워크림을 곁들여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 국 - 시니강
시니강은 필리핀의 전통적인 신맛 수프로, 다양한 재료와 신맛을 내는 재료를 사용하여 조리하며, 필리핀 요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생선 요리 - 루테피스크
루테피스크는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유래한 건조 생선을 가성소다 용액에 처리하여 젤리처럼 만든 전통 음식으로, 특별한 날에 즐겨 먹으며 독특한 풍미와 조리법으로 다양한 이야깃거리가 되고 북미 이민자 사회에서도 소비된다. - 생선 요리 - 어묵
어묵은 생선살을 주원료로 하여 쪄내거나 튀겨 만든 한국의 대표적인 수산가공품으로, 일제강점기 이후 부산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현재는 다양한 종류로 생산 및 소비되며, 부산 어묵은 한국을 대표하는 지역 특산물이다.
모케카 - [음식]에 관한 문서 | |
---|---|
요리 정보 | |
이름 | 모케카 |
다른 이름 | 무케카 |
종류 | 스튜 |
주요 재료 | 해산물, 토마토, 양파 |
원산지 | 브라질, 앙골라 |
국가별 요리 | 브라질 요리, 앙골라 요리 |
추가 정보 | |
관련 요리 | 모케카 카피샤바, 모케카 바이아나, 모케카 파라엔세 |
2. 어원
"모케카"라는 이름은 "생선 스튜"를 뜻하는 킴분두어 "무케카(mu'kekakmb)"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브라질에서는 "싸다, 감싸다"라는 뜻의 투피어 "오포케카(opokekatpn)"의 영향을 받아 "포케카(poquecapt)"라고도 불린다.[3]
모케카는 지역과 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크게 앙골라식 모케카와 브라질식 모케카로 나눌 수 있다. 브라질식 모케카는 다시 바이아식, 이스피리투산투식, 파라식으로 나뉜다.
3. 종류
3. 1. 앙골라
앙골라에서는 "모케카 앙골라나(moqueca angolanapt)"라고도 불리지만, 현지에서는 주로 "모케카"라고 부른다. 넣는 재료에 따라 "생선 모케카"라는 뜻의 "모케카 드 페이시(moqueca de peixept)", "마른 생선(염건어) 모케카"라는 뜻의 "모케카 드 페이시 세쿠(moqueca de peixe secopt)", "새우 모케카"라는 뜻의 "모케카 드 카마랑(moqueca de camarãopt)", "닭고기 모케카"라는 뜻의 "모케카 드 프랑구(moqueca de frangopt)" 등으로도 불린다.
붉은 팜유에 다진 마늘과 양파를 볶다가, 피망과 토마토를 넣어 함께 볶는다. 밑간한 생선이나 물에 담가 소금기를 빼둔 마른 생선(염건어)을 넣고, 물과 코코넛밀크를 부어 익혀 만든다. 고수, 바질, 파슬리 등 허브나 피리피리를 넣어 만들기도 한다.[4] 앙골라 모케카는 바이아 버전과 유사하며 일반적으로 팜유, 코코넛 밀크 및/또는 고추를 포함한다.[1]
3. 2. 브라질
바이아, 이스피리투산투, 파라 지역의 모케카가 유명하다. "파넬라 지 바후(panela de barropt)"라 불리는 아메리카 원주민 전통 질그릇에 조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역 | 특징 |
---|---|
바이아 | 덴데기름(붉은 팜유), 피망, 코코넛밀크를 사용 |
이스피리투산투 | 올리브유와 토마토, 양파, 고수와 안나토를 사용 |
파라 | 아마존강의 민물고기와 투쿠피, 카사바녹말과 파라크레스를 사용 |
3. 2. 1. 바이아
'''모케카 바이아나'''(moqueca baianapt)는 "바이아식 모케카"라는 뜻이다. 아프리카 요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덴데기름(붉은 팜유), 피망, 코코넛밀크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9] 말라게타고추를 사용하기도 하며, 도라도, 흉상어, 바리, 눈볼개, 양동미리 등의 생선이나 새우가 사용된다.
바이아나 모케카는 브라질 바이아 주에서 개발되었다. 덴데 팜유, 코코넛 밀크, 고추를 첨가하여 아프리카 및 포르투갈 요리의 영향을 더 받았다.[4] 전통적인 재료는 동일하게 유지되며, 잘게 썬 고수를 고명으로 얹어 밥과 파로파와 함께 제공된다.[5]
3. 2. 2. 이스피리투산투
이스피리투산투식 모케카"라는 뜻의 '''모케카 카피샤바'''(moqueca capixabapt)는 아메리카 원주민 요리와 포르투갈 요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덴데기름이나 피망, 코코넛밀크를 사용하지 않고, 올리브유와 토마토, 양파, 고수와 안나토를 넣어 만든다. 생선으로는 도라도나 바리 또는 붉은꼬리메기 등을 사용하며, 흔히 피랑을 곁들여 먹는다.[4]모케카 카피샤바는 팜유 대신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과 같은 가벼운 오일을 사용하고, 우루쿰 색소를 첨가하며, 항상 전통적인 점토 냄비에 조리한다. 생선, 새우, 게, 바다 게 또는 바닷가재로 만들 수 있다.[1] 전체 식사 세트에는 바나나 다 테라(플랜테인) 스튜와 함께 피라오와 흰 쌀밥이 각각 점토 냄비에 담겨 제공된다. 이 요리는 보통 양파, 토마토, 고수, 파로 간을 맞춘다. 보통 피라오[6]와 함께 제공되는데, 이는 카사바 뿌리 가루("파린하 데 만디오카")와 스튜 국물로 만든 페이스트이다.
카피샤바 냄비는 검은 점토로 만들어지며 맹그로브 나무 수액으로 유약을 바른다. 모양을 만들고 구운 후, 수액을 다시 바르면 점토가 검게 변하고 방수 기능이 생긴다. 냄비는 사용하기 전에 오일로 몇 번 간을 해야 한다.
이 냄비는 비토리아에 매우 중요하며, 이 도시에는 ''아스 파넬레이라스''(As Paneleiras)라고 알려진 냄비 제작자들의 풀뿌리 조직이 있다.[7]
3. 2. 3. 파라
"파라식 모케카"라는 뜻의 '''모케카 파라엔시'''()라고도 불린다. 아마존강의 민물고기와 투쿠피, 카사바녹말과 파라크레스를 넣어 만든다.4. 조리법 및 상차림
모케카는 주로 양파, 토마토, 고수, 파 등으로 양념하며, 카사바 뿌리 가루("파린하 데 만디오카")와 스튜 국물로 만든 페이스트인 피랑[6]을 곁들여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플랜테인 스튜와 흰 쌀밥을 함께 곁들이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검은 점토와 맹그로브 나무 수액으로 만든 카피샤바 냄비에 조리한다.
카피샤바 냄비는 검은 점토로 만들어지며 맹그로브 나무 수액으로 유약을 바른다. 모양을 만들고 구운 후, 수액을 다시 바른다. 이렇게 하면 점토가 검게 변하고 방수 기능이 생긴다. 냄비는 사용하기 전에 오일로 몇 번 간을 해야 한다. 이 냄비는 비토리아에 매우 중요하며, 이 도시에는 ''Associação das Paneleiras de Goiabeiras''라고 알려진 냄비 제작자들의 풀뿌리 조직이 있다.[7]
5. 기타
채식주의자를 위해 해산물 대신 플랜틴을 사용한 채식 모케카를 만들기도 한다.[4] 앙골라에서도 모케카가 알려져 있는데, 앙골라 모케카는 바이아 버전과 유사하며 팜유, 코코넛 밀크, 고추 등을 넣어 만든다.[1] 모케카는 넷플릭스 TV 시리즈 ''스트리트 푸드'' 라틴 아메리카 편에 소개되었다.[8] 또한 마스터셰프 오스트레일리아 8화에서도 모케카가 등장했다.
6. 한국에서의 모케카
2014년 FIFA 월드컵 브라질 대회가 열리는 해에 닛신 식품에서 "브라질리언 씨푸드 누들 브라질의 어개 향토 요리 무케카 맛"이라는 기간 한정 컵누들을 발매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Moqueca
https://independente[...]
2020-08-18
[2]
웹사이트
Moqueca é o prato preferido nas redes
https://www.gov.br/t[...]
Ministério do Turismo do Brazil
2024-07-05
[3]
웹사이트
Moqueca Is The Best Seafood Stew You've Never Heard Of
https://www.tastingt[...]
2024-04-27
[4]
뉴스
A Stew That Captures the Essence of the Sea
https://www.nytimes.[...]
2024-04-27
[5]
웹사이트
Moqueca Baiana {{!}} Traditional Stew From Bahia {{!}} TasteAtlas
https://www.tasteatl[...]
2020-05-15
[6]
문서
Comidas Típicas : A Cidade : Prefeitura de Vitória
http://www.vitoria.e[...]
[7]
웹사이트
Cookware from Goiabeiras, Vitória
https://www.capixaba[...]
2021-08-14
[8]
뉴스
'Street Food: Latin America' Review: A Platter of Vicarious Delights
https://www.wsj.com/[...]
Dow Jones & Company, Inc.
2020-07-16
[9]
뉴스
"[브라질&음식] 굶주린 노예들의 눈물 서린 '브라질의 부대찌개(페이조아다)'"
http://premium.chosu[...]
2023-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