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몽골 제국의 정복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골 제국의 정복 전쟁은 13세기 칭기즈 칸과 그의 후예들이 시작한 광범위한 군사 원정을 의미한다. 몽골 제국은 중앙아시아에서 시작하여 동아시아, 서아시아, 동유럽, 남아시아, 동남아시아에 걸쳐 영토를 확장했다. 이 과정에서 호라즘 제국, 금나라, 남송 등 많은 국가가 멸망했고, 수많은 도시가 파괴되었으며, 막대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몽골의 정복은 킵차크 칸국, 원나라, 일 칸국 등의 새로운 정치 체제를 탄생시켰으며, 흑사병의 확산에도 영향을 미쳤다. 몽골 제국 정복 전쟁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2천만에서 5천7백만 명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 제국이 참전한 전쟁 - 몽금전쟁
    몽금전쟁은 1211년부터 1234년까지 몽골 제국이 선조의 복수를 명분으로 금나라를 침공하여 멸망시키고 중원 정복의 발판을 마련한 전쟁이다.
  • 몽골 제국이 참전한 전쟁 - 제9차 십자군
    1271년부터 1272년까지 에드워드 1세가 주도한 제9차 십자군은 맘루크 왕조의 술탄 바이바르스에게 위협받던 예루살렘 왕국의 잔존 세력을 지원하고 맘루크 왕조의 세력 확장을 저지하려 했으며, 십자군 국가 방어에 기여하고 십자군 운동 종말의 계기가 되었다.
  • 몽골 제국의 침략전쟁 - 원나라의 일본 원정
    원나라의 일본 원정은 13세기 후반 쿠빌라이 칸이 일본을 정복하려 두 차례 시도한 원정으로, 몽골, 고려, 중국 군대가 참여했으나 두 번 모두 태풍으로 인해 실패하고 일본 가마쿠라 막부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 몽골 제국의 침략전쟁 - 몽골의 키예프 루스 침공
    1237년부터 1240년까지 바투 칸이 이끄는 몽골 제국이 키예프 루스를 침략하여 주요 공국들을 파괴하고 멸망시켜 몽골 제국의 지배하에 두었으며, 이는 루스 사회, 경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쳐 모스크바 대공국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14세기 분쟁 - 에드워드 전쟁
    에드워드 전쟁은 14세기 에드워드 3세의 프랑스 왕위 계승권 주장으로 촉발되어 프랑스 왕위, 가스코뉴 영유권, 플랑드르 경제적 중요성이 얽힌 분쟁으로, 잉글랜드의 초반 승리에도 불구하고 흑사병과 재정난으로 프랑스 붕괴에 실패하고 브레티니 조약으로 종결되었으며, 양국 국가 정체성, 정치,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4세기 분쟁 - 브르타뉴 계승전쟁
    브르타뉴 계승전쟁은 1341년부터 1365년까지 브르타뉴 공작위를 두고 몽포르 가문의 장 드 몽포르와 팡티에브르 가문의 잔 드 팡티에브르가 벌인 분쟁으로, 잉글랜드와 프랑스가 개입하여 백년 전쟁의 일부가 되었으며, 게랑드 조약으로 몽포르 가문의 장 4세가 브르타뉴 공작으로 인정받으며 종결되었다.
몽골 제국의 정복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몽골 제국의 최대 확장 (1206–1294)
몽골 제국의 최대 확장 (1206–1294)
날짜1206년–1368년 (162년)
장소유라시아
교전 세력
공격 측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
트리폴리 백국
룸 술탄국
안티오키아 공국
아르메니아 왕국
잉글랜드 왕국
방어 측
타타르 연맹
메르키트 연맹
케레이트
나이만

남송
서하
서요
대리국
고려
가마쿠라 막부
쩐 왕조
화레즘 제국
참파
바간 왕국
마자파힛 제국
델리 술탄국

불가리아 제2제국
실레시아
튜턴 기사단
키예프 루스
노브고로드 공화국
폴란드 왕국
알라니족
쿠만인
헝가리 왕국




볼가 불가르

아이유브 왕조
맘루크 왕조
아바스 왕조
결과
결과몽골군의 승리
몽골 제국의 성립
팍스 몽골리카의 발흥

2. 역사와 결과

몽골 제국은 13세기에 유라시아 전역에서 승리적인 원정을 통해 발전했으며, 태평양에서 중앙 유럽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차지했다. 이는 대영 제국을 제외하고 역사상 가장 큰 연속된 육상 제국이었다.[4] 몽골 제국은 육상 세력으로, 몽골 기병과 가축의 이동에 의존했으며, 이는 유럽 식민 세력과 같은 "해양 제국"과는 대조적이었다. 몽골의 정복과 약탈은 주로 가축에게 충분한 풀이 있는 따뜻한 계절에 이루어졌다.[4] 1211년부터 1225년까지 15년간의 따뜻하고 습한 기후는 말의 번식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여 몽골의 확장에 크게 기여했다.[5]

몽골 제국은 1260년부터 분열되기 시작했으며, 몽골과 동유럽 국가 간의 갈등은 수세기 동안 계속되었다. 몽골은 14세기까지 원나라 치하의 중국을, 15세기까지 티무르 제국 치하의 이란/페르시아를 지배했다. 인도에서는 후대의 무굴 제국이 19세기까지 존속했다.

몽골의 침략은 중앙아시아와 동유럽에서 유례없는 인구 이동을 초래했으며, 몽골 군대의 접근 소식은 공포와 공황을 확산시켰다.[25] 침략의 폭력적인 성격은 유럽 엘리트 간의 추가적인 갈등을 유발하고, 수리력 감소와 함께 대분기의 근본 원인으로 추정된다.[26]

2. 1. 중앙아시아

칭기즈 칸은 메르키트, 타타르, 케레이트, 튀르크, 나이만, 몽골족 등 여러 유목 부족을 통일하여 중앙 아시아에서 최초의 몽골 제국을 건설하였다. 불교 신자였던 위구르고창은 항복하여 제국에 합류했다. 이후 칭기즈 칸은 카라 키타이 정복[6]과 호라즘 제국 정복을 통해 제국을 확장했다.

이슬람 중앙 아시아와 페르시아 북동부의 넓은 지역은 몽골에 저항하는 모든 도시나 마을이 파괴되면서 심각한 인구 감소를 겪었다.[7] 각 몽골 병사에게는 상황에 따라 처형해야 할 적의 할당량이 주어졌다. 예를 들어, 우르겐치 정복 후, 약 명으로 구성된 몽골 군대에서 각 전사는 24명을 처형해야 했으며, 이는 군대당 거의 명에 해당한다.[8]

몽골은 알란족과 쿠만족(킵차크족)에 대항하여 분할 정복 전술을 사용했다. 먼저 쿠만족에게 알란족 지원을 중단하라고 경고한 후 알란족을 격파하고,[9] 그 후 쿠만족을 공격했다.[10] 알란족은 몽골군에 징집되어 아수드로 알려졌으며, "최근 항복한" 병사들과 결합된 "우익 알란 경비대"라는 부대가 있었다. 고창의 옛 영토와 베쉬발리크 지역에 주둔한 몽골군과 중국군은 중국 장군 킷 공즈가 이끄는 중국 군사 식민지를 건설했다.[11]

맘루크 술탄국이 지배하는 중동에 대한 몽골의 공격 동안 맘루크 군대의 대부분은 킵차크족으로 구성되었고, 킵차크 전사들의 황금 군단의 보급은 맘루크 군대를 보충하여 몽골을 격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9] 헝가리는 도망치는 쿠만족의 피난처가 되었다.[12]

탈중앙집권화된 무국가적 킵차크족은 몽골 정복 이후에야 이슬람으로 개종했으며, 이는 세계 종교로 일찍 개종한 야그마, 카를루크, 오구즈를 포함하는 중앙집권화된 카라한 왕조와는 다른 점이다.[13] 킵차크족에 대한 몽골 정복은 킵차크어를 사용하는 인구를 지배하는 몽골 지배 계급을 가진 통합된 사회로 이어졌고, 결국 크림에서 아르메니아인, 이탈리아인, 그리스인, 크림 고트족을 흡수하여 현재의 크림 타타르족의 기원이 되었다.[14]

2. 2. 서아시아

1258년 바그다드 공방전


몽골 제국은 전투 또는 자발적인 항복을 통해 현재의 이란, 이라크, 코카서스, 시리아와 터키 일부 지역을 정복했으며, 1260년과 1300년에는 몽골의 추가적인 약탈이 남쪽으로 뻗어 팔레스타인의 가자까지 이르렀다. 주요 전투로는 500년 동안 이슬람 세력의 중심지였던 도시를 몽골이 약탈한 바그다드 공방전과 1260년 갈릴리 남동부에서 이슬람 바흐리 맘루크가 몽골을 격파하고 그들의 진격을 처음으로 결정적으로 저지한 아인잘루트 전투가 있었다. 1,000명의 북중국 기술자 부대가 몽골 훌라구와 함께 중동 정복에 참여했다.[15]

2. 3. 동아시아

야율령 전투에서 금나라를 상대로 한 전투.


칭기즈 칸과 그의 후손들은 금나라를 상대로 야율령 전투를 시작으로 점진적인 중국 침략을 시작하였다. 1209년 서하를 정복한 뒤 1227년에 멸망시켰고, 1234년에는 금나라를 격파했으며, 1279년에는 남송을 격파했다. 1253년에는 대리국 왕 단흥지가 몽골에 투항하여 윈난의 나머지 지역을 정복하는 데 도움을 주면서 대리국을 속국으로 만들었다. 또한 아홉 차례의 침략을 통해 고려를 굴복시켰지만, '가미카제' 폭풍으로 함대가 흩어지면서 일본을 침략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

서요, 여진족의 금나라, 남송, 서하, 대리국을 포함한 중국 정권에 대한 몽골 제국의 정복.


쿠빌라이 칸이 1271년 중국에 원나라를 세운것은 몽골의 가장 큰 승리였다. 원나라는 투항한 금나라 군대로 "한군"(漢軍)을, 투항한 송나라 군대로 "신부군"(新附軍)이라는 군대를 창설했다.[16] 몽골이 남중국을 침략한 군대는 1256년 중동을 침략하기 위해 보낸 군대보다 훨씬 더 컸다.[17]

원나라는 티베트를 통치하기 위해 최고위 정부 기관인 선교원을 설치했는데, 몽골에 의해 정복되었고 원나라의 통치를 받았다. 몽골은 또한 1264년부터 1308년 사이에 사할린 섬을 침략했다. 마찬가지로 고려는 약 80년 동안 원나라의 반자치적 속국이 되었다.

2. 4. 북아시아

1206년까지 칭기즈 칸몽골과 남부 시베리아의 모든 몽골 및 튀르크 부족을 정복했다. 1207년 그의 장남 조치는 시베리아의 삼림 민족인 우리앙카이, 오이라트, 바르가, 하카스, 부랴트, 투바, 코리-투메드, 예니세이 키르기스를 복속시켰다.[18] 그는 시베리아인들을 3개의 투멘으로 조직했다. 칭기즈 칸은 텔렝기트와 톨로스를 이르티쉬강을 따라 그의 옛 동료인 코르치에게 주었다. 바르가, 투메드, 부랴트, 코리, 케슈미티, 바슈키르는 별도의 천호대로 조직되었고, 텔렝기트, 톨로스, 오이라트, 예니세이 키르기스는 정규 투멘에 편입되었다.[19] 칭기즈는 금나라 정복의 첫 번째 단계 이후 켐-켐치크에 중국 장인과 농부 정착지를 만들었다. 대칸들은 조공으로 송골매, 모피, 여자, 키르기스 말을 선호했다.

서시베리아는 킵차크 칸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20] 조치의 장남인 오르다 칸의 후손들이 이 지역을 직접 통치했다. 서시베리아의 늪지대에는 조공 징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 썰매 얌 역이 설치되었다.

1270년, 쿠빌라이 칸은 중국 관리를 새로운 정착민들과 함께 파견하여 키르기스와 투바 분지 지역(이난주 및 겸주)의 재판관으로 임명했다.[21] 오고타이의 손자인 카이두는 1275년부터 중앙 시베리아의 일부를 점령했다. 쿠빌라이의 킵차크 장군 투투그 휘하의 원나라 군대는 1293년에 키르기스 영토를 재점령했다. 이후 원나라는 중앙 및 동부 시베리아의 광대한 지역을 통제했다.[22]

2. 5. 동유럽 및 중앙유럽

레그니차 전투는 폴란드에 대한 몽골의 첫 번째 침략 중에 일어났다.


13세기 몽골의 유럽 침략으로 슬로바키아의 스피시 성과 같은 강력한 석조 성들이 건설되었다.


몽골군은 볼가 불가리아와 키예프 루스를 침략하여 파괴한 후, 폴란드, 헝가리, 불가리아 및 기타 영토를 침략했다. 3년(1237~1240) 동안 몽골군은 노브고로드와 프스코프를 제외한 러시아의 모든 주요 도시를 파괴했다.[23]

몽골 대칸에게 파견된 교황 사절인 조반니 다 피안 델 카르피네는 1246년 2월 키예프를 여행하며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그들[몽골군]은 러시아를 공격하여 도시와 요새를 파괴하고 사람들을 학살하는 등 큰 피해를 입혔고, 러시아의 수도인 키예프를 포위했다. 그들은 오랫동안 그 도시를 포위한 후 함락시켜 주민들을 죽였다. 우리가 그 땅을 여행할 때 땅에 널려 있는 수많은 해골과 시신을 발견했다. 키예프는 매우 크고 인구가 많은 도시였지만 현재는 거의 아무것도 남지 않았다. 현재 그곳에는 200채의 집이 거의 없고 주민들은 완전한 노예 상태에 놓여 있다."[24]

몽골 침략은 중앙아시아나 동유럽에서 전례가 없는 규모의 인구 이동을 초래했다. 몽골 군대의 접근에 대한 소문은 공포와 공황을 불러일으켰다.[25] 침략의 폭력적인 성격은 유럽 엘리트 간의 추가 폭력을 촉발하고 추가적인 갈등을 일으키는 촉매제 역할을 했다. 영향을 받은 동유럽 지역의 폭력 증가는 엘리트의 수리력 감소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대분기의 근본 원인으로 추정된다.[26]

2. 6. 남아시아

1221년부터 1327년까지 몽골 제국인도 아대륙으로 여러 차례 침략을 감행했다. 몽골군은 수십 년 동안 남아시아 북서부 지역을 점령했다. 그러나 델리 외곽을 넘어서는 데 실패했고, 인도의 내륙 지역에서 격퇴되었다. 수백 년 후, 몽골 혈통을 가진 바부르무굴 제국을 건국하여 인도에 자체 제국을 건설했다.[1]

2. 7. 동남아시아

쿠빌라이 칸의 원나라는 1277년과 1287년 사이에 버마를 침략하여 파간 왕국의 항복과 붕괴를 초래했다. 그러나 1301년의 침략은 버마의 미인사잉 왕국에 의해 격퇴되었다. 베트남에 대한 몽골 침략과 자바는 몽골의 패배로 이어졌지만, 동남아시아의 많은 지역이 더 이상의 유혈 사태를 피하기 위해 조공을 바치는 데 동의했다.[27][28][29][30][31][32]

몽골의 침략은 2천년대 초에 남중국에서 이주해 온 타이족에 의해 이 지역에 주요 타이 국가가 설립되는 데 간접적인 역할을 했다.[33] 란나, 수코타이, 란쌍과 같은 주요 타이 국가들이 이 시기에 등장했다.

3. 사망자 수

당대의 기록 부족으로 인해 몽골 제국의 정복 전쟁과 관련된 사망자 추정치는 상당히 다양하다.[34] 흑사병으로 인한 유럽, 서아시아, 또는 중국의 사망자를 제외하고,[35] 1206년부터 1405년 사이에 칭기즈 칸, 쿠빌라이 칸, 티무르의 다양한 정복 전쟁으로 2천만에서 5천7백만 명의 사람들이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36][37][38] 이러한 파괴에는 전투, 공성전,[39] 초기 생물학적 전쟁,[40] 및 학살이 포함되었다.[41][42]

4. 주요 자료

모리스 로사비의 《몽골과 세계사: 노턴 문서 리더(The Mongols and Global History: A Norton Documents Reader)》(2011)가 몽골 제국의 정복 전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Was the Deadliest War in History? https://www.worldatl[...] 2018-09-10
[2] 서적 Atrocities: The 100 deadliest episodes in human history WW Norton & Company 2011
[3]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Mongol Empire https://courses.lume[...]
[4] 간행물 Invaders https://www.newyorke[...] 2005-04-18
[5] 논문 Pluvials, droughts, the Mongol Empire, and modern Mongolia 2014-03-25
[6] 논문 Western Information on the Kitans and Some Related Questions 1995-04
[7] 웹사이트 World Timelines – Western Asia – AD 1250–1500 Later Islamic http://www.worldtime[...] 2010-12-02
[8] 웹사이트 Central Asian world cities https://faculty.wash[...] 2012-01-18
[9] 논문 The Kipchak Connection: The Ilkhans, the Mamluks and Ayn Jalut 2000
[10] 논문 The Mongols in the West 1999
[11] 서적 China Among Equals: The Middle Kingdom and Its Neighbors, 10th–14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 논문 On the Westerly Drifting of Nomades, from the Fifth to the Nineteenth Century. Part III. The Comans and Petchenegs 1870
[13] 논문 Religion among the Qípčaqs of Medieval Eurasia 1998
[14] 논문 The Ethnogenesis of the Crimean Tatars. An Historical Reinterpretation 2001
[15] 서적 Medieval Islamic Civilization: An Encyclopedia, Vol. II, L–Z, index https://books.google[...] Routledge
[16] 웹사이트 Hucker 1985 https://books.google[...] 2015-09-10
[17] 논문 Nomads on Ponies vs. Slaves on Horses 1998
[18] 문서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19] 문서 C.P.Atwood-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20] 문서 Nagendra Kr Singh, Nagendra Kumar –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Islamic Dynasties
[21] 문서 History of Yuan
[22] 문서 C.P.Atwood-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23] 뉴스 BBC Russia Timeline http://news.bbc.co.u[...] 2012-03-06
[24] 웹사이트 The Destruction of Kiev https://tspace.libra[...] 2011-04-27
[25] 서적 Chinese Migrations: The Movement of People, Goods, and Ideas over Four Millenn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6] 논문 Elite violence and elite numeracy in Europe from 500 to 1900 CE: roots of the divergence 2021-05-01
[27] 웹사이트 Taylor 2013 https://books.google[...] 2023-04-13
[28] 웹사이트 ed. Hall 2008 https://books.google[...] 2016-10-22
[29] 서적 Sources of Vietnamese Traditi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2-08-21
[30] 웹사이트 Gunn 2011 https://books.google[...] 2023-04-06
[31]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Scribner 1988-01-01
[32] 웹사이트 Woodside 1971 https://books.google[...] 2023-04-05
[33] 서적 Strange Parallels: Volume 1, Integration on the Mainland: Southeast Asia in Global Context, c.800–1830 (Studies in Comparative World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34] 웹사이트 Twentieth Century Atlas – Historical Body Count https://necrometrics[...]
[35] 서적 Chinese Economic Performance in the Long Run
[36] 서적 Histoire et institutions, 1
[37] 서적 Atlas of World Population History Puffin
[38] 서적 Demography: Analysis and Synthesis, Four Volume Set: A Treatise in Population Academic Press
[39] 웹사이트 Mongol Siege of Kaifeng https://www.britanni[...] 2019-02-04
[40] 논문 Biological Warfare at the 1346 Siege of Caffa 2002-09
[41] 논문 The Mongol Armies in Persia 1979
[42] 서적 Russia and the Golden Horde: the Mongol impact on medieval Russian history Indiana University Press
[43] 서적 Worlds Together, Worlds Apart A History of the World: From the Beginnings of Humankind to the Present
[44] 간행물 History of biological warfare and bioterrorism
[45] 간행물 From asps to allegations: biological warfare in history
[46] 논문 Biological Weapons: covert threats to Global Health Security. http://www.ajms.co.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