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굴 건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굴 건축은 무굴 제국 시대에 발전한 독특한 건축 양식으로, 오스만 제국, 사파비 왕조를 능가하는 부를 바탕으로 광범위한 건축 후원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양식은 인도 이슬람 건축, 이란 및 중앙아시아 건축, 그리고 토착 힌두 건축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모스크, 묘소, 궁전, 정원, 요새 등 다양한 건축물을 포함한다. 특히 붉은 사암과 흰색 대리석의 사용, 양파형 돔, 첨두 아치, 그리고 기하학적 무늬와 꽃 무늬를 사용한 장식이 특징적이다. 주요 건축물로는 타지마할, 파테푸르 시크리, 후마윤의 묘 등이 있으며, 바부르, 아크바르, 샤 자한, 아우랑제브 등 역대 황제들의 통치 기간 동안 발전했다. 무굴 건축은 이후 인도 건축과 다른 이슬람 국가의 건축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굴 건축 | |
|---|---|
| 지도 | |
| 개요 | |
| 유형 | 인도-이슬람 건축 |
| 특징 | 페르시아, 티무르 제국 및 인도 건축 양식의 조화 대칭성과 조화로운 균형미 강조 대규모 돔, 미나렛, 정교한 장식, 정원 사용 |
| 영향 | 인도 건축에 큰 영향 후대 건축 양식에 영감 제공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다수 |
| 주요 건축물 | 타지마할 후마윤 묘 붉은 요새 (델리) 파테푸르 시크리 바드샤히 모스크 자마 마스지드 (델리) |
| 역사 | |
| 시기 | 16세기 ~ 18세기 |
| 배경 | 무굴 제국의 번영과 안정 황제들의 적극적인 건축 후원 다양한 문화의 융합 |
| 주요 후원자 | 바부르 후마윤 악바르 자한기르 샤 자한 아우랑제브 |
| 건축 양식 | |
| 재료 | 붉은 사암 흰색 대리석 벽돌 모르타르 |
| 주요 요소 | 이완 (아치형 출입구) 차트리 (돔 모양의 정자) 자ali (격자 모양의 창문) 피에트라 두라 (상감 세공) 정원 (차르바그 양식) |
| 장식 | 기하학적 무늬 아라베스크 문양 식물 문양 코란 구절 서예 |
| 구조 | 대칭적 디자인 중앙 집중식 계획 높은 아치와 돔 미나렛 (첨탑) |
| 페르시아의 영향 | 티무르 제국 건축 양식 계승 대규모 정원과 물길 이완과 돔 |
| 인도 건축의 영향 | 차트리, 자ali 지역 재료와 기술 사용 힌두교 및 자이나교 건축 요소 흡수 |
| 주요 건축물 | |
| 종교 건축물 | 자마 마스지드 (델리) (인도 최대의 모스크) 바드샤히 모스크 (무굴 제국의 마지막 대형 모스크) 모티 마스지드 (아그라) (아그라 성 내의 모스크) |
| 무덤 건축물 | 타지마할 (황제 샤 자한의 아내 뭄타즈 마할의 무덤) 후마윤 묘 (무굴 제국 황제 후마윤의 무덤) 이티마드 우드 다울라 묘 (무굴 제국의 관리자 묘) |
| 궁궐 및 요새 | 붉은 요새 (델리) (무굴 제국의 황궁) 아그라 성 (무굴 제국의 요새) 라호르 성 (무굴 제국의 요새) 파테푸르 시크리 (악바르 황제의 계획 도시) |
| 정원 | 샬리마르 정원 (라호르) 핀조르 정원 니샤트 바그 |
| 기타 | 불란 다르와자 (파테푸르 시크리의 문) 차르 미나르 (하이데라바드의 기념물) 후사이니 알람 (하이데라바드의 궁전) |
| 영향 및 유산 | |
| 인도 건축 | 인도 전역에 걸쳐 건축 양식에 지대한 영향 |
| 후대 건축 | 라지푸트 건축 시크교 건축 영국령 인도 제국 건축 |
| 세계유산 | 타지마할 아그라 성 붉은 요새 (델리) 파테푸르 시크리 라호르 성 후마윤 묘 |
2. 배경
무굴 황제와 엘리트들은 건축을 통해 자신의 존재와 권력을 공개적으로 과시하는 수단으로 의식적으로 사용했다. 무굴 제국의 광범위한 건축 후원은 오스만 제국이나 사파비 왕조와 같은 당대 다른 무슬림 제국들을 능가하는 상당한 부유함 덕분에 가능했다.[3] 인도 아대륙에는 다른 어떤 시대보다 무굴 시대의 기념물이 더 많이 남아 있다.[3] 이 시대의 주요 기념물로는 모스크, 묘소, 궁전, 정원, 요새 등이 있다.
무굴 건축은 공간과 표면을 세심하게 직선적으로 나누고, 절제된 색상을 사용하며, 고품질 재료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양파 모양의 돔과 첨두 아치는 가장 두드러지는 요소 중 하나이다.[3]
무굴 건축은 지역 인도 이슬람 건축, 이슬람 페르시아 및 중앙아시아 건축, 그리고 토착 힌두 건축의 세 가지 주요 건축 전통에서 유래했다.[3] 초기 인도 이슬람 건축이 이미 힌두교와 이슬람 건축 양식을 모두 차용했기 때문에, 무굴 건축의 특정 영향이 어느 한쪽 출처에만 기인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힌두 건축과 관련하여, 지역 라지푸트 궁전이 주요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3]
초기 무굴 건축은 무굴 제국의 창시자인 바부르의 티무르 혈통 때문에 부분적으로 티무르 건축(중앙아시아를 기반으로 함)의 모델을 따르면서 기존의 인도 이슬람 건축에서 발전했다.[4][5] 16세기 후반까지, 이 두 출처의 결합을 기반으로 더욱 독특한 무굴 전통이 등장했다.[5]
아크바르 (재위 1556년 ~ 1605년) 치세에는 파테푸르 시크리와 같은 중요 건설 프로젝트를 포함하여 힌두 건축 요소의 사용이 특히 많았다.[5] 특히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비무슬림들은 최고위 관리들 사이에 존재했으며 건축의 후원자가 될 수도 있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예는 힌두교 아미르인 라자 만 싱으로, 그는 힌두교 힌두 사원과 무슬림 모스크 및 사당을 모두 건설했다.[5]
아크바르의 후계자들 치세에는 더욱 전형적인 이슬람 건축 디자인으로 전환이 있었다.[5] 샤 자한 (재위 1628년 ~ 1658년) 치세 동안 "고전적인" 무굴 양식이 통합되었고 무굴 제국 말기까지 본질적으로 사용되었다.[5] 오스만 제국에 존재했던 황실 건축가들과 유사한 중앙 건축가 부서의 역할 덕분에 이 시기에 제국 전역에서 어느 정도의 스타일 일관성이 달성되었다.
3. 특징

건축 자재로는 붉은 사암과 흰색 대리석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전 인도 이슬람 건축에서는 벽돌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무굴 건축에서는 붉은 사암과 흰색 대리석이 이를 대체했다.[3] 사암은 매우 단단하지만, 인도 석공들은 정교한 세부 조각 기술이 뛰어났다. 흰색 대리석은 처음에는 사암 건물의 외관을 보완하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타지마할처럼 건물 전체를 덮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3]
장식 모티브로는 기하학적 무늬와 꽃 무늬가 사용되었으며, 후기에는 아랍어와 페르시아어 비문도 포함되었다.[6] 장식은 주로 타일이나 돌로 만들어졌다.[3]
타일 작업은 건물 외관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쿠에르다 세카''와 모자이크 타일 작업의 두 가지 유형이 있었다. 석재 작업은 매우 정교했는데, 조각된 기둥, 꽃을 묘사한 양각, ''자리''라 불리는 구멍 뚫린 대리석 스크린 등이 사용되었다.[3] 인도에서는 ''파르친 카리''(피에트라 두라)[7]라는 상감 기법이 발달했는데, 이는 이탈리아 기법과는 별개로 독자적으로 발전한 것이다.[3]
3. 1. 영향
무굴 건축은 지역 인도 이슬람 건축, 이슬람 페르시아 및 중앙아시아 건축, 토착 힌두 건축의 세 가지 주요 건축 전통에서 유래했다.[3] 초기 인도 이슬람 건축은 이미 힌두교와 이슬람 건축 양식을 모두 차용했기 때문에, 무굴 건축의 특정 영향을 어느 한쪽 출처에만 기인한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힌두 건축과 관련하여, 지역 라지푸트 궁전이 주요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3]
초기 무굴 건축은 무굴 제국의 창시자인 바부르의 티무르 혈통 때문에 티무르 건축(중앙아시아 기반)의 모델을 따르면서 기존의 인도 이슬람 건축에서 발전했다.[4][5] 16세기 후반까지, 이 두 출처의 결합을 기반으로 더욱 독특한 무굴 전통이 등장했다.[5]
아크바르 치세에는 파테푸르 시크리와 같은 중요 건설 프로젝트를 포함하여 힌두 건축 요소의 사용이 특히 많았다.[5]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비무슬림들이 최고위 관리들 사이에 존재했으며 건축의 후원자가 될 수도 있었다. 주목할 만한 예는 힌두교 아미르인 라자 만 싱으로, 그는 힌두교 힌두 사원과 무슬림 모스크 및 사당을 모두 건설했다.[5]
아크바르의 후계자들 치세에는 더욱 전형적인 이슬람 건축 디자인으로 전환했다.[5] 샤 자한 치세 동안 "고전적인" 무굴 양식이 통합되었고 무굴 제국 말기까지 본질적으로 사용되었다.[5]
무굴 건축에서 계속 이어진 초기 인도-이슬람 건축의 요소로는 다엽(多葉) 아치가 있는데, 이는 이전에 델리와 구자라트의 건축에서 나타났다. 벵골 건축에서 유래하여 벵골 술탄국 건축에 채택된 ''도-찰라'' 지붕도 포함된다.[3]
페르시아 또는 중앙아시아(티무르)의 영향을 보여주는 특징으로는 아이완(한쪽이 열린 둥근 천장 공간), 돔 사용, 뾰족한 사분원 아치, 장식용 타일 작업, ''차하르 바흐''식 정원, 기타 다양한 모티브와 건물 배치가 있다.[3] 돔 건축에서는 페르시아식 스킨치가 일부 사용되었지만, 다른 경우에는 돔이 방 모서리 위의 평평한 들보로 지지되었다.[3]
힌두교의 영향을 보여주는 무굴 건축의 요소에는 기둥식 구조, 코벨 아치(보우소어가 있는 아치 대신), 화려하게 조각된 기둥 양식이 포함된다.[3] ''자로카''(돌출 발코니), ''차트리''](돔형 정자), ''
3. 2. 주요 건축 유형
무굴 제국 시대의 주요 건축 유형은 다음과 같다.
4. 주요 건축물
무굴 제국은 건축을 통해 자신들의 권력과 부를 과시했으며, 이는 오스만 제국이나 사파비 왕조와 같은 다른 이슬람 제국들을 능가하는 수준이었다. 무굴 시대의 주요 건축물로는 모스크, 묘소, 궁전, 정원, 요새 등이 있다.[3] 무굴 건축은 인도 이슬람 건축, 이란 건축, 힌두 건축의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아크바르 시대에는 파테푸르 시크리와 같이 힌두 건축 요소가 많이 사용되었다.[5]
아크바르의 후계자들 시대에는 이슬람 건축 디자인으로 회귀했고, 샤 자한 시대에는 "고전적인" 무굴 양식이 통합되어 제국 전역에서 일관성을 보였다. 무굴 제국의 궁전은 대칭적인 정원과 정자들로 배치되었고, 둥근 아치가 늘어선 개방형 정자가 특징적이었다. 정원은 무굴 황제들이 선호했으며, 계단식, 정확한 구획, 수경 시설을 갖춘 공식적인 방식으로 배치되었다.[3]
모스크는 대규모로 건설되었고, 직사각형 안마당과 예배당으로 구성되었다. 예배당은 넓은 둥근 천장의 홀과 기념비적인 아치의 아케이드, 중앙 아치는 더 큰 이완(iwan)으로 구성되었다.[3]
왕실 묘소는 가장 정교한 무굴 건축물이었으며, 중앙 돔과 이완(iwans)을 갖춘 팔각형 또는 직사각형 구조로, 계단식 플랫폼 위에 세워졌다.[3]
기타 공공 건물로는 도로, 이정표(코스 미나르), 카라반사라이(여관), 다리 등이 있으며, 일부 카라반사라이는 정교한 관문으로 장식되었다.[3]
4. 1. 바부르

초대 무굴 제국 황제 바부르는 주로 계단식 정원을 조성하는 건축을 후원했다. 이 정원들은 궁궐이나 성채 안에 조성되었으며, 페르시아식 ''차하르 바그(chahar bagh)''(네 개의 정원) 형식을 따라 정원을 기하학적으로 여러 구획, 보통 네 개의 같은 크기로 나누었다. 이는 티무르 왕조의 선례를 따른 것이지만, 선형 분할선으로 물길을 사용한 것은 무굴 제국의 혁신이었을 수 있다.[8][9] 바부르는 처음에는 아그라에 매장되었으나, 1644년 그의 묘는 카불에 있는 그가 가장 좋아했던 정원 중 하나인 현재의 바부르 정원(Gardens of Babur)으로 옮겨졌다. 바부르가 현재 인도에 건설한 건축물로는 아그라의 아람 바그(Aram Bagh), 돌푸르의 연꽃 정원 등이 있다.
바부르의 종교 건축물인 모스크는 높은 중앙 입구 포털(''피시탁(pishtaq)'')과 안마당, 작은 돔으로 덮인 측면 통로에 둘러싸인 큰 중앙 돔으로 덮인 예배당을 갖춘 이전 티무르 왕조 모스크의 디자인을 따랐다. 파니팟의 모스크가 그 예이다.[5]
4. 2. 아크바르
아크바르 대제는 1556년부터 1605년까지 무굴 제국을 통치하면서 다양한 건축물을 건설했다. 그의 건축물들은 라지푸트 양식을 많이 채택했으며,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아그라 요새, 후마윤의 묘, 파테푸르 시크리, 살림 치슈티의 묘 등이 있다.아그라 요새는 우타르프라데시주 아그라에 위치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1565년부터 1574년까지 아크바르에 의해 건설되었다. 요새 내에는 자항기리 궁전, 모티 마스지드, 메나 바자르 등의 건물이 있으며, 라지푸트 건축 양식이 반영되어 있다. 자항기리 궁전은 2층짜리 홀과 방으로 둘러싸인 안뜰을 가지고 있다.

후마윤의 묘는 인도 델리에 있는 무굴 제국 황제 후마윤의 무덤으로, 1569년에서 1570년 사이에 그의 부인 베가 베굼 황후가 의뢰하여 건설되었다. 페르시아 건축가 미락 미르자 기야스와 그의 아들 사익드 무함마드가 설계했으며, 인도 아대륙 최초의 정원 묘이자 무굴 건축의 첫 번째 완성된 사례로 여겨진다.
파테푸르 시크리는 아크바르가 건설한 수도로, 1569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1574년에 완공되었다. 이곳에는 자마 마스지드, 살림 치슈티의 묘, 불란드 다르와자 등 종교적, 세속적 건물들이 있다. 불란드 다르와자는 아크바르가 구자라트와 데칸에 대한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건설한 것으로, 높이 40미터, 지면으로부터 50미터이다.
조다 바이 궁전은 파테푸르 시크리 내실에서 가장 큰 궁전으로, 작은 하람사라 구역과 연결되어 있다. 정문은 2층으로 되어 있으며, 파사드에서 돌출되어 발코니가 있는 안쪽으로 들어가는 일종의 현관을 만들어낸다. 내부에는 방으로 둘러싸인 안뜰이 있다. 방의 기둥에는 다양한 힌두교 조각 모티프가 장식되어 있다.

살림 치슈티의 묘는 1580년에서 1581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무굴 건축의 훌륭한 예 중 하나로 꼽힌다. 1571년에 모스크 경내 모퉁이에 건설된 이 묘는 베란다가 있는 정사각형 대리석 방이며, 정교한 격자 무늬 스크린이 특징이다. 이곳은 수피 성자 살림 치슈티의 매장지로, 아크바르는 그의 아들의 탄생을 예언했던 성자에 대한 존경의 표시로 이 묘소를 건설했다.[10][11][12]
4. 3. 자한기르

베굼 샤히 모스크는 파키스탄 라호르의 성벽 도시에 있는 17세기 초 모스크이다. 무굴 제국 황제 자한기르의 어머니 마리아무즈-자마니가 1611년에서 1614년 사이에 건설했으며, 라호르에서 가장 오래된 무굴 시대 모스크이다.[13][14][15] [16] 회반죽에 그려진 기하학적이고 꽃 모양의 문양과 신의 이름이 새겨진 정교한 프레스코화 장식으로 유명하다.[16][13] 몇십 년 후 더 큰 와지르 칸 모스크 건설에 영향을 미쳤다.[17]

이티마드우드다울라의 묘는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주 아그라 시에 있는 능이다. "보석 상자"로 묘사되며, 때로는 "'''바차 타지'''"라고도 불리는 이티마드우드다울라의 묘는 타지마할의 초안으로 여겨진다.
4. 4. 샤 자한
샤 자한은 이전의 무굴 황제들과 달리 권력을 과시하기 위한 거대한 기념물 대신 우아한 건축물들을 선호했다. 이전 건축 양식의 힘과 독창성은 샤 자한 시대에 섬세한 우아함과 정교함으로 변화했으며, 이는 아그라, 델리, 라호르에 건설된 궁전들에서 잘 나타난다. 대표적인 예로, 아그라에 있는 그의 아내 뭄타즈 마할을 기리는 묘인 타지마할이 있으며, 수석 건축가는 펀자브계 무슬림인 우스타드 아흐마드 라호리였다.[18][19][20] 샤 자한은 건축에서 흰색 대리석을 개인적으로 선호했으며, 그의 시대에 건설된 일부 건물은 델리의 붉은 성채처럼 붉은 사암으로 만들어졌지만, 그는 자신의 개인적인 공간에는 흰색 대리석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다.[21]아그라 성채의 모티 마스지드(진주 사원)와 델리의 자마 마스지드는 샤 자한 시대의 인상적인 건물이며, 후자는 그의 그랜드 비지어인 펀자브계 무슬림 사드울라 칸의 감독하에 건설되었다.[22] 이 건물들은 즐거운 효과와 광활한 우아함, 균형 잡힌 비율을 만들어내도록 위치와 건축이 신중하게 고려되었다. 샤 자한은 라호르 성채의 모티 마스지드, 셰시 마할, 나울라카 파빌리온과 같은 건물들을 개조하기도 했다. 그는 또한 타타에 자신의 이름을 딴 샤자한 모스크를 건설했는데, 이는 페르시아 건축의 영향을 받은 사파비와 티무르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다.
샤 자한은 자신의 새로운 수도인 샤자하나바드(현재 구 델리)에 붉은 성채를 건설했다. 붉은 사암으로 지어진 붉은 성채는 디완-이-암과 디완-이-카스와 같은 특별한 건물들로 유명하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라호르에는 황제의 궁정 의사였던 셰이크 일름-우드-딘 안사리가 건설한 와지르 칸 모스크가 건설되었는데, 이 사원은 거의 모든 내부 표면을 덮는 풍부한 장식으로 유명하다. 샤 자한의 아미르 고귀한 사람들에 의한 전반적인 공공 사업에는 알리 마르단 칸, 일무딘 와지르 칸, 칸-이 다우란 나시리 칸, 그리고 카르탈라브 칸 데카니가 포함된다.[23]
4. 5. 아우랑제브
아우랑제브 치세(1658~1707년)에는 사각형 돌과 대리석 대신 벽돌이나 돌무더기에 스투코 장식을 사용했다. 스리랑가파트나와 룩나우에는 후기 인도 무굴 건축의 사례가 있다. 아우랑제브는 라호르 요새에 증축을 하고 나중에 그의 이름(알람기르, Alamgir)을 따서 명명된 13개의 문 중 하나를 건설하기도 했다.
바드샤히 모스크는 파키스탄 라호르에 있는 모스크로, 무굴 제국의 6대 황제 아우랑제브가 건립을 의뢰하였다. 1673년에서 1674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가장 큰 무굴 모스크이자 마지막으로 건설된 제국 모스크이다.[2] 이 모스크는 라호르 요새와 인접해 있으며, 붉은 사암으로 지어진 일련의 회중 모스크 중 마지막이다. 벽의 붉은 사암은 돔의 흰색 대리석과 미묘한 상감 장식과 대조된다. 아우랑제브의 모스크 건축 계획은 그의 아버지인 샤 자한의 델리 자마 마스지드와 유사하지만 훨씬 더 크다. 또한 ''이드가''로서도 기능한다. 276,000 평방피트에 달하는 광장에는 10만 명의 예배자가 수용될 수 있으며, 모스크 내부에는 1만 명을 수용할 수 있다. 첨탑의 높이는 약 59.74m이다. 이 모스크는 가장 유명한 무굴 건축물 중 하나이지만, 마하라자 란짓 싱 통치 기간 동안 큰 피해를 입었다. 1993년 파키스탄 정부는 바드샤히 모스크를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포함시켰다.[35]
이 시기의 추가적인 건축물들은 아우랑제브 황제 가족의 여성들과 관련이 있다. 다리가 언지에 있는 우아한 지나트 알 마스지드는 아우랑제브의 두 번째 딸인 지나트 알 니사가 감독했다. 1671년에 사망한 아우랑제브의 누이 로샨 아라의 묘와 그 주변 정원은 오랫동안 방치되어 현재 심각하게 훼손된 상태이다.

비비 카 마크바라는 17세기 후반 아우랑제브 황제가 그의 첫 번째 부인인 딜라스 바누 베굼을 위해 아우랑가바드에 건설한 능이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이후 아우랑제브의 아들인 아잠 샤가 관리하였다고 한다. 타지마할의 복제 건축물이며, 타지마할의 주 설계자인 아흐마드 라호리의 아들인 아타-울라가 설계하였다.
4. 6. 후기 무굴

랄바그 요새(Lalbagh Fort)는 무굴 제국 시대 아우랑제브의 아들 아잠 샤(Muhammad Azam Shah)가 1678년 착공한 미완성 요새이자 궁궐이다. "아우랑가바드 요새"(Fort Aurangabad)로도 알려져 있으며, 방글라데시 다카 남서부 부리가응가 강변에 있다.
수네흐리 사원(Sunehri Mosque)은 파키스탄 라호르 고성벽 도시에 있는 후기 무굴 제국 시대 사원이다. 무함마드 샤 통치 시대인 1753년, 무굴 제국이 쇠퇴하던 시기에 건설되었다.
1754년에 완공된 사프다르 융의 묘는 무굴 건축의 마지막 사례 중 하나이다.
칸 모하마드 메리다 모스크(Khan Mohammad Mridha Mosque)는 방글라데시 다카의 라알바그 요새(Lalbagh Fort) 근처에 있는 역사적인 모스크이다.[36][37] 1706년 카디 이바둘라(Qadi Ibadullah)의 지시에 따라 칸 모하마드 메리다(Khan Mohammad Mridha)가 아티시 칸 마할라(Atish Khan Mahalla)에 건설했다. 지하실(tahkhana)이 지상에 있어 주변 환경보다 높이 솟아 있으며, 지하실 지붕은 모스크가 위치한 플랫폼을 형성한다. 본당 앞의 넓은 예배 공간은 사방이 열려 있어 공기가 흐르고 내부를 시원하게 유지한다.[38] 400년 된 다카의 귀중한 유산 유적지 보존은 수년 동안 무시되었다. 유산 유적지와 역사적 기념물의 파괴는 파키스탄 시대에 중간 규모로 시작되었지만 독립 후 그 기세가 커졌다. 유산 자산은 파키스탄 군사 정권 통치 기간 동안 파괴를 당했다.[39]
5. 정원
무굴 정원은 무굴 제국이 이슬람 양식으로 건설한 정원이다. 이 양식은 페르시아 정원의 영향을 받았다. 무굴 정원은 '''차르 바그''' (char bagh) 구조로 지어졌는데, 이는 꾸란에 언급된 낙원의 네 정원을 기반으로 한 사각형 정원 배치이다. 이 양식은 인간이 자연의 모든 요소와 완벽한 조화를 이루는 지상 낙원을 표현하고자 한다.[40]
사각형 정원은 산책로나 흐르는 물로 네 개의 작은 부분으로 나뉜다. 벽으로 둘러싸인 구역 내에서는 직선형 배치가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정원 안에 있는 연못, 분수, 운하 등이 있다.
무굴 정원의 유명한 예는 다음과 같다.
- 바그-에-바부르 (Bagh-e-Babur) (카불)
- 타지마할의 메타브 바그 정원 (Mehtab Bagh gardens)
- 후마윤 묘의 정원
- 샬리마르 정원 (Shalimar Gardens) (라호르)
- 와 정원 (Wah Gardens) (와)
- 쿠스로 바그 (Khusro Bagh) (알라하바드/프라야그라지)
- 핀조르 정원 (Pinjore Gardens) (하리아나 주)
자무와카슈미르의 6개 무굴 정원(파리 마할 (Pari Mahal), 니샤트 바그 (Nishat Bagh), 스리나가르 샬리마르 바그 (Shalimar Bagh, Srinagar), 차슈메 샤히 (Chashme Shahi), 베리나그 정원 (Verinag Garden), 아차발 정원 (Achabal Gardens)) 단지는 인도의 잠정 목록에 있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6. 영향
무굴 건축은 인도-사라세닉 양식의 영국 라지 시대 건축, 라자푸트 양식, 시크교 건축을 포함한 후대 인도 건축 양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한 학자는 17세기 초 에티오피아 제국 내 건축 프로젝트, 특히 수세뇨스 1세가 후원하고 그가 후원한 예수회 선교사들의 도움으로 진행된 프로젝트와 무굴 건축 양식 사이의 유사성을 지적했다. 이러한 영향은 당시 에티오피아와 무굴 인도의 예수회 선교부 간의 강력한 연계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무굴 건축 경험이 있는 인도 장인들이 이 프로젝트에서 일했다는 보고도 있다.[41]
말레이시아의 여러 모스크, 예를 들어 카피탄 켈링 모스크, 자멕 모스크, 자히르 모스크는 설계에 무굴 건축의 영향을 받았다.[41] 브루나이의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모스크 또한 무굴 건축의 영향을 통합하고 있다.[42]
7.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Taj Mahal World Heritage
https://whc.unesco.o[...]
2018-12-31
[2]
서적
Medieval Islamic Civilization: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3]
서적
Dictionary of Islamic architecture
Routledge
[4]
서적
Islam: Art and Architecture
h.f.ullmann
[5]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Three
Brill
[6]
서적
Indian Islamic Architecture: Forms and Typologies, Sites and Monuments
https://books.google[...]
Brill
[7]
서적
A Companion to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Wiley Blackwell
[8]
서적
Research & Teaching Aptitude Paper-I
https://books.google[...]
[9]
뉴스
Mughal ruins in Dholpur: Where Babur sowed the seed
https://www.indiatod[...]
2015-01-14
[10]
뉴스
Fatehpur Sikri was once a Jain pilgrimage centre: Book
2013-02-27
[11]
뉴스
Excavation at Akbars fort at Fatehpur Sikri reveals flourishing Jain and Hindu habitation
http://indiatoday.in[...]
2017-12-15
[12]
뉴스
Fatehpur Sikri was once a Jain pilgrimage centre: Book
http://www.hindustan[...]
2013-02-27
[13]
서적
Pakistan archaeology no.7
http://archive.org/d[...]
1970
[14]
서적
Mughal architecture
http://archive.org/d[...]
1990
[15]
서적
The empire of the great Mughals : history, art and culture
http://archive.org/d[...]
London : Reaktion Books
2004
[16]
서적
Five thousand years of Pakistan
http://archive.org/d[...]
1950
[17]
뉴스
The mosque that Jodha Bai built
http://www.dailytime[...]
2013-06-05
[18]
서적
The Pursuit of Learning in the Islamic World, 610-2003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21-11-17
[19]
서적
Indian Journal of History of Science, Volume 44, Issues 1-3
https://books.google[...]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s of India
2009
[20]
서적
The Sikh Courier:Volumes 9-12
https://books.google[...]
Sikh Cultural Society of Great Britain
1977
[21]
서적
南アジア史 2
https://ndlsearch.nd[...]
山川出版社
[22]
서적
History and Civis
https://books.google[...]
S. Chand Publishing
[23]
서적
Art and Culture: Felicitation Volume in Honour of Professor S. Nurul Hasan
https://books.google[...]
Publication Scheme
1993
[24]
뉴스
Conservation of the Wazir Khan Mosque Lahore: Preliminary Report on Condition and Risk Assessment
https://web.archive.[...]
2012
[25]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Development in contrast : from the sixteenth to the mid-nineteenth century
UNESCO
2003
[26]
뉴스
Walled city of Lahore conservation
http://www.akdn.org/[...]
[27]
웹사이트
Fort and Shalimar Gardens in Lahore
https://whc.unesco.o[...]
UNESCO
[28]
학술지
Changing Concepts of Garden Design in Lahore from Mughal to Contemporary Times
2009
[29]
웹사이트
Shalamar Gardens
http://mughalgardens[...]
2012-06-20
[30]
서적
Sky Blue Stone: The Turquoise Trade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14
[31]
웹사이트
Shah Jahan Mosque, Thatta
https://whc.unesco.o[...]
[32]
서적
Studies in Islamic History and Institutions
https://books.google[...]
BRILL
[33]
웹사이트
Masjid Vazir K̲h̲ān
http://archnet.org/s[...]
[34]
웹사이트
History and Background in Conservation of the Wazir Khan Mosque Lahore: Preliminary Report on Condition and Risk Assessment
http://archnet.org/p[...]
Aga Khan Cultural Services - Pakistan
2012
[35]
웹사이트
Badshahi Mosque, Lahore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
Whc.unesco.org
[36]
논문
Bengal's contribution to Islamic studies during the 18th century
Aligarh Muslim University
[37]
뉴스
ঢাকায় মুঘল সাম্রাজ্যের জৌলুশ সম্পর্কে কী জানা যায়?
https://www.bbc.com/[...]
BBC
2024-07-17
[38]
서적
Muslim Monuments of Bangladesh
Anjuman Printing Press
1980
[39]
서적
City of an architect
Delvistaa Publication
2011
[40]
학술지
Changing Concepts of Garden Design in Lahore from Mughal to Contemporary Times
2009
[41]
학술지
The influence of Mughal architecture on Masjid Zahir: case study on five rural mosques in Kedah, Malaysia
https://www.tuengr.c[...]
2024-03-17
[42]
학술지
The Expression of Cultural Identity in Mosque Architecture in Brunei Darussalam
https://www.resear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03-17
[43]
웹사이트
Taj Mahal World Heritage
https://whc.unesco.o[...]
2018-12-31
[44]
서적
Medieval Islamic Civilization: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45]
서적
Dictionary of Islamic architecture
Routledge
[46]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47]
서적
Islam: Art and Architecture
h.f.ullmann
[48]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Three
Bri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