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쓰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쓰만은 서쪽으로 쓰가루 반도, 동쪽과 북쪽으로 시모키타 반도에 접해 있는 일본 혼슈 북부에 위치한 만이다. 만 입구 폭은 14km, 면적은 약 1667.89km²이며, 쓰가루 해협과 연결된다. 얕은 해역은 가리비 양식 등 어업 활동이 활발하며, 2002년에는 만 동쪽 해안의 일부 갯벌이 일본의 중요 습지로 지정되었다. 또한 참돌고래, 밍크고래, 북방털해표 등 다양한 해양 생물이 관찰되며, 일본원숭이도 서식한다. 연안에는 도로, 철도, 페리 등 교통망이 발달해 있으며, 특히 오미나토는 해상자위대의 중요한 군항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호쿠 지방의 만 - 센다이만
    센다이만은 미야기현과 후쿠시마현에 걸쳐 리아스식 및 사빈 해안으로 이루어진 만으로, 주요 하천의 유입으로 충적평야를 형성하고, 역사적으로 어로 활동과 교역의 중심지였으며, 동일본대지진 쓰나미 피해 이후 해양 레저와 어업이 활발한 지역이다.
  • 도호쿠 지방의 만 - 료리만
    료리만은 이와테현 오후나토시에 위치한 리아스식 해안 만으로, 지진 발생 시 일본 최대의 쓰나미를 기록할 정도로 해일이 증폭되어 발생하는 지역이다.
  • 쓰가루 해협 - 세이칸 터널
    세이칸 터널은 혼슈와 홋카이도를 연결하는 총 연장 53.85km의 해저터널로, 전략적 목표에서 시작되어 도야마루호 침몰 사고를 계기로 본격화, 1조 1,000억 엔의 건설비를 들여 1988년 개통되었으며, 현재 홋카이도 신칸센이 운행 중이고 통신 및 송전 통로 역할도 수행한다.
  • 쓰가루 해협 - 쓰가루 해협선
    1988년 세이칸 터널 개통과 함께 혼슈와 홋카이도를 연결하며 운영되던 쓰가루 해협선은 2016년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으로 여객 열차 운행이 중단되어 폐지되었으나, 일부 구간은 도난 이사리비 철도로 이관되어 운영 중이다.
  • 아오모리현의 지형 - 시모키타반도
    시모키타반도는 아오모리현 북동부에 위치하며, 태평양, 쓰가루 해협, 무쓰만에 접하고, 오소레 산 산지, 사루가모리 사구 등의 지형을 가지며, 시모키타 반도 준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관광지이자, 핵연료 주기 기지 등 에너지 산업 시설이 있는 곳이다.
  • 아오모리현의 지형 - 쓰가루 해협
    쓰가루 해협은 혼슈와 홋카이도를 분리하며 동해와 일본해를 연결하는 일본의 중요한 해상 교통로이자 군사적 요충지로, 세이칸 터널이 횡단하고 세계 7대 해협 횡단 수영 대회 무대로도 알려져 있다.
무쓰만
개요
무쓰만 및 주변 지역 지도
무쓰만 및 주변 지역 지도
지리
위치아오모리현, 일본
해양태평양
최대 수심40m
면적1668km²
길이40km
40km
연안 도시아오모리시
무쓰시
(정보 없음)
명칭
한국어무쓰만
일본어(무쓰완)
로마자 표기Mutsu-wan

2. 지리

무쓰만은 쓰가루 해협과 히라나이 해협으로 연결되며, 쓰가루 난류의 영향을 받는다. 만 안에는 아오모리 만, 노헤지 만, 오미나토 만 등의 작은 만과 도미섬, 오시마, 유노시마 등의 섬들이 있다.

2. 1. 지형

무쓰만은 서쪽으로는 쓰가루 반도, 동쪽과 북쪽으로는 시모키타 반도에 접해 있다. 동서 길이는 약 40km, 동쪽 끝의 남북 길이도 약 40km이며, 총 면적은 약 1667.89km2이다. 만의 출구는 너비가 14km인 쓰가루 해협으로 연결되는 히라나이 해협이며, 혼슈홋카이도 섬을 구분한다. 만의 평균 수심은 40m 에서 45m이며, 쓰가루 해협으로 나가는 출구 근처의 최대 수심은 70m이다.[2]

무쓰만에는 남서쪽의 아오모리 만, 남동쪽의 노헤지 만, 북동쪽의 오미나토 만이 포함된다. 아오모리현 시모키타군 사이무라의 야케야마자키와 히가시쓰가루군 소토가하마정[8]의 히라나이 등대를 잇는 선에서 남쪽 해역을 가리킨다.[9] 만 입구 폭 14km, 면적 1667.69km2, 만내 최대 수심 75m이다.[9]

히라나이 해협에서 쓰가루 해협과 연결되며, 쓰가루 난류가 쓰가루 해협에서 히라나이 해협을 거쳐 흘러들어와 만내를 순회하여 쓰가루 해협으로 나간다.

만 안쪽 중앙부의 나쓰도마리 반도를 경계로 만 남부는 동남쪽의 노헤지 만과 서남쪽의 아오모리 만으로 나뉘며, 북동쪽에도 오미나토 만(안도만)이라는 작은 만이 있다. 오미나토 만은 아시자키라고 불리는 사주에 의해 내부에 아시자키 만(오미나토항)을 형성하고 있으며, 아시자키에는 간석지나 해안 평야 그리고 사구도 존재한다.[10]

만 내의 해안 근처에는 무인도암초가 몇 개 있다. 유노시마(아오모리시)는 반대편의 아사무시 온천에서 괭이밥 축제 등의 시기에 배로 건너갈 수 있으며, 나쓰도마리 반도 끝자락의 오시마(히라나이정)는 다리로 왕래할 수 있다. 이 외에 히라나이정의 연안에는 모우라섬과 갈매기섬이, 무쓰시 와키노사와 앞바다에는 도미섬이 있다.

2. 2. 섬

만 내 해안 근처에는 무인도암초가 몇 개 있다. 아오모리시의 유노시마는 반대편의 아사무시 온천에서 괭이밥 축제 등의 시기에 배로 건너갈 수 있으며, 히라나이정 나쓰도마리 반도 끝자락의 오시마는 다리로 왕래할 수 있다. 이 외에 히라나이정 연안에는 모우라섬과 갈매기섬이, 무쓰시 와키노사와 앞바다에는 도미섬이 있다.[10]

3. 명칭

'''무쓰만'''은 영어에서 이 수역을 지칭하는 주요 용어이지만, 역사적으로는 '''무쓰만 해역'''이라고 불리기도 했다.[1] 이 수역의 일본어 명칭은 陸奥湾|무쓰-완일본어이다.

4. 해양 환경 및 자원

무쓰만은 경제적으로 중요한 어업 지역이며,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풍요로운 환경을 지니고 있다. 2002년, 환경성은 무쓰만 동쪽 해안의 일부 갯벌을 일본의 중요 습지 500선 중 하나로 지정했다.[5]

태평양흰줄박이돌고래는 매년 만으로 정기적으로 이동하며, 고래 관광과 페리를 이용한 조사가 실시되고 있다.[6][7]

4. 1. 주요 어종 및 양식

무쓰만은 얕은 해역으로 인해 중요한 어업 지역이며, 특히 가리비 양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3] 이 외에도 해삼, 넙치, 멍게 등이 상업적으로 어획된다.[4] 그러나 2010년 북반구 여름 폭염으로 인해 어업이 큰 피해를 입었는데,[4] 특히 가리비는 해수 온도 상승에 약해 2010년 폭염으로 양식 가리비에 피해가 발생했으며, 성체뿐만 아니라 더위에 강하다고 알려진 치패도 상당수 폐사했다.

무쓰만 내에서는 각지에서 가리비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해삼, 멍게, 털게, 넙치 등의 어장이기도 하다. 가리비는 껍데기째로 출하되기도 하지만, 관자만 떼어내고 껍데기는 버려지는 경우도 많아 무쓰만 연안에는 현대판 조개 무덤이라고 할 수 있는 높이 쌓인 가리비 껍데기 언덕이 존재한다.

4. 2. 해양 생태계

무쓰만은 얕은 해역이어서 어업이 활발하며, 특히 가리비 양식이 주를 이룬다.[3] 그 외에도 해삼, 넙치, 멍게 등이 상업적으로 어획된다.[4] 그러나 2010년 북반구 여름 폭염으로 인해 어업이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

만 내에서는 가리비 양식이 활발하며, 해삼, 멍게, 털게, 넙치 등도 많이 잡힌다.[3][4] 특히 가리비는 껍데기째 출하되거나 관자만 떼어내 껍데기를 버리는 경우가 많아, 무쓰만 연안에는 현대판 조개 무덤이라 불리는 가리비 껍데기 언덕이 존재할 정도이다. 하지만 가리비는 해수 온도 상승에 약해, 2010년 폭염으로 양식 가리비와 치패가 대량 폐사하는 피해를 입었다.

정어리멸치를 따라 참돌고래가 무쓰만으로 회유하며,[11] 쓰가루 해협 페리 등을 이용한 돌고래 관찰도 이루어지고 있다.[17] 쓰가루 해협은 다양한 고래류나 기각류가 지나가는 길목이지만,[12][24][13][14] 참돌고래 외에 다른 해양 포유류가 무쓰만에서 관찰되는 경우는 드물다. 최근 매년 확인되는 것은 밍크고래[17][15][16]와 북방털해표[17][18] 정도이다.[19][20][21]

아시자키에는 갯벌이 형성되어 큰고니, 조개류 등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22][23] 또한, 연안부에는 세계 최북단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일본원숭이도 자주 나타난다.[24]

참돌고래

5. 교통

무쓰만의 연안 지역은 국도 4호선 등으로 도로가 정비되어 있으며, 철도아오이모리 철도선과 JR 동일본의 오미나토선, 쓰가루선이 운행되고 있다. JR의 쾌속 열차 "리조트 아스나로"는 해안 근처 구간에서 무쓰만의 전망을 주요 상품으로 하고 있다.

무쓰만은 쓰가루 해협을 포함한 일본 북방 해역을 감시하는 큰 내해이므로, 만 북동쪽의 오미나토는 일본 해군 시절부터 현재의 해상자위대까지 중요한 군항으로 사용되고 있다.[14]

5. 1. 해상 교통

연안부의 대부분은 국도 4호선 등 도로가 정비되어 있으며, 철도로는 아오이모리 철도선과 JR 동일본의 오미나토선, 쓰가루선이 운행된다. JR의 쾌속 열차 "리조트 아스나로"는 해안 근처 구간에서는 무쓰만의 전망을 주요 상품 중 하나로 삼고 있다.

아오모리현의 북쪽 절반은 무쓰만을 사이에 두고 육지가 "ω"자 모양으로 마주하고 있다. 무쓰만을 지나는 여객선과 페리는 도로·철도 정비와 과소화로 줄어들었지만, 현재도 여러 척이 운항되고 있다. 히라나이 해협은 동계 기간을 제외하고, 무쓰만 페리로 건널 수 있다. 아오모리항에서는 홋카이도의 하코다테항세이칸 연락선이 설정되어 있으며, 씨라인이 시모키타반도 북서쪽의 사이항 등과 연결하고 있다. 이 항로는 경승지로 알려진 후타가우라를 해상에서 조망할 수 있으며, 4~10월에는 후타가우라에 들르는 관광선으로 갈아탈 수 있다.

6. 군사적 중요성

무쓰만은 쓰가루 해협(국제 해협)을 포함한 일본 북방 해역을 주시하는 큰 내해이므로, 만 북동쪽의 오미나토가 일본 해군 시대부터 현재의 해상자위대까지 중요한 군항으로 사용되고 있다.

참조

[1] 지도 1927 Railway Map of Japan and Korea http://maps.library.[...] Tokyo Tsukiji Type Foundry Ltd. 2019-11-26
[2] 웹사이트 https://www.env.go.j[...] Ministry of the Environment of Japan 2004-04-01
[3] 웹사이트 http://sankei.jp.msn[...] Sankei Shimbun 2008-04-10
[4] 서적 Fisheries Management in Japan: Its institutional features and case studi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1
[5] 웹사이트 500 Important Wetlands in Japan http://www.sizenken.[...]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Japan
[6] 웹사이트 Mutsuwan Ferry http://www.dolphin.a[...] 青森・陸奥湾 イルカ情報 2017-03-25
[7] 논문 Study on the Migratory Behavior of Pacific White-Sided Dolphin Lagenorhynchus obliquidens in The Mutsu Bay, Aomori Prefecture http://www.aomori-u.[...] Aomori University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stitute 2017-03-25
[8] 문서 旧平舘村 (青森県)에 해당한다
[9] 웹사이트 陸奥湾 https://www.emecs.or[...] 公益財団法人国際エメックスセンター 2021-09-10
[10] 웹사이트 青森県:芦崎の砂嘴 https://www.web-gis.[...] 日本の地形千景+α
[11] 간행물 北海道東部太平洋の2海域における鯨類ならびにキタオットセイの分布 https://museum-uraho[...] 浦幌町立博物館紀要 2018-03
[12] 문서 絶滅種に指定されているニホンアシカも分布していたと思われる。
[13] 웹사이트 津軽海峡エリアの鯨類紹介 https://www.tsugaruk[...] 津軽海峡フェリー
[14] 간행물 マリンスノー https://asamushi-aqu[...] 浅虫水族館 2021-03
[15] 웹사이트 シーズンイン前にミンククジラ♪ https://mfia.blog.jp[...] むつ湾フェリーでいるかに会いたい(隊) 2022-03-12
[16] Youtube 陸奥湾に珍しいザトウクジラ まったりと https://www.youtube.[...] 東奥日報社 2020-06-08
[17] 논문 陸奥湾を回遊するイルカの行動に関する研究 https://www.aomori-u[...] 青森大学付属総合研究所紀要 2016
[18] 뉴스 脇野沢川河口にキタオットセイ/むつ https://www.toonippo[...] 東奥日報 2023-05-01
[19] 문서 トドやシャチなども湾口部の内外などで時節確認されているが、毎年出現しているのかは不明瞭となっている。
[20] 간행물 青森県海区だより https://www.pref.aom[...] 青森県海区漁業調整委員会事務局 2008-01-31
[21] 웹사이트 2022年3月12日 https://www.facebook[...] 青森・陸奥湾 イルカ情報
[22] 웹사이트 芦崎湾 https://shimokita-ta[...] しもきたTABIあしすと
[23] 웹사이트 青森県:芦崎の砂嘴 https://www.web-gis.[...] 日本の地形千景+α
[24] 간행물 2 青森県レッドリストに掲載されている希少野生生物の生息・生育状況 https://www.pref.aom[...] 青森県自然保護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