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미나토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미나토선은 노헤지역오미나토역을 잇는 58.4km의 동일본 여객철도 노선이다. 전 구간 단선 및 비전철 구간이며, 11개의 역이 있다. 1921년에 오미나토 경편선으로 개업하여 1922년 오미나토선으로 개칭되었으며, 쾌속 열차 '시모키타'와 각역정차 보통열차가 운행된다. 2021년 3월 다이어 개정으로 모든 열차가 원맨 운전으로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오모리현의 철도 - 오우 본선
    오우 본선은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역에서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역을 잇는 JR 동일본/화물 노선으로, 표준궤/협궤 혼용, 전철화 구간, 신칸센 환승 등의 특징을 가진 총 연장 486.3km의 철도 노선이다.
  • 아오모리현의 철도 - 고노선
    고노선은 JR 동일본이 운영하는 아키타현 히가시노시로역과 아오모리현 가와베역을 잇는 147.2km의 단선 비전철화 철도 노선으로, 1936년 개칭되었으며 해안을 따라 GV-E400계 기동차가 운행되고, 센보쿠이와 터널을 포함한다.
  • 192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충북선
    충북선은 조치원역에서 봉양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화물 수송과 무궁화호 운행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고속화 사업을 통해 KTX-이음 운행을 계획하고 있다.
  • 192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다자와코선
    다자와코선은 JR 동일본이 운영하는 아키타현 오오마가리역과 이와테현 모리오카역을 잇는 75.6km의 단선 철도 노선으로, 아키타 신칸센과 직결 운행하며 지역 주민과 관광객 수송에 기여한다.
  • 적자 83선 - 다다미선
    다다미선은 후쿠시마현 아이즈와카마쓰역과 니가타현 고이데역을 잇는 동일본여객철도의 총 연장 135.2km 단선 비전철화 철도 노선으로, 1928년 개통 후 2011년 호우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상하 분리 방식으로 2022년 전 구간 운행을 재개했으며, 현재 36개 역이 운영 중이고 적자 문제 해결과 지역 활성화 노력이 요구된다.
  • 적자 83선 - 무기선
    무기선은 시코쿠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도쿠시마현의 철도 노선으로, 단선 비전철화 구간이며 특급 및 보통 열차가 운행되고 일부 구간은 버스와 공동 경영하며, 일부 구간 이관 및 특급 열차 운행 종료 예정이다.
오미나토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오미나토 선 노선도
오미나토 선 노선도
기본 정보
노선 이름오미나토 선
로마자 표기Ōminato-sen
일본어 표기大湊線
통칭하마나스 베이 라인 오미나토 선
노선 색상회색
노선 종류중전철
위치아오모리현
기점노헤지 역
종점오미나토 역
역 수11
개업일1921년 3월 20일
운영 기관동일본 여객철도
노선 길이58.4 km
궤간1,067 mm
선로 수전 구간 단선
전철화 여부비전철화
최고 속도85 km/h
운영 정보
소유자동일본 여객철도
운영자동일본 여객철도
사용 차량기하 100계 디젤 동차
폐색 방식특수 자동 폐색식 (궤도 회로 검지식)
보안 장치ATS-S개량형
기타
전보 약호오미세

2. 노선 정보

오미나토선은 노헤지 역에서 오미나토 역까지 58.4km 구간을 운행하며,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가 관할하는 제1종 철도사업자 노선이다. 궤간은 1067mm이고, 역 수는 기종점역을 포함하여 11개이다. 노헤지 역은 2010년 12월 4일까지 도호쿠 본선 소속이었으나 아오이모리 철도로 이관되면서 오미나토선 소속으로 변경되었다.[7] 전 구간이 단선 및 비전철화 노선이며, 폐색 방식은 특수 자동 폐색식(궤도 회로 검지식)을 사용하고, 최고 속도는 85km/h이다.

JR 동일본 노선 중 유일하게 자사 노선과 연결되지 않는 고립 노선이다. 원래 노헤지 역에서 도호쿠 본선과 연결되었으나, 2010년 12월 4일 도호쿠 신칸센의 하치노헤 역-신아오모리 역 구간 개업으로 도호쿠 본선 하치노헤 역-아오모리 역 구간이 아오이모리 철도로 이관되었기 때문이다. JR 동일본은 2007년 11월 신칸센 연장 후에도 오미나토선을 계속 운영할 것이라고 발표했다.[8]

세이슌 18 킷푸 이용 시,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아오모리 역-하치노헤 역 구간을 통과 이용할 수 있는 특례가 있어, 추가 운임 없이 오미나토선을 포함한 JR 전 노선의 보통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단, 노헤지 역 외 아오이모리 철도선 역에서는 도중 하차 불가)

오미나토 역 이전 역인 시모키타 역은 본토 최북단 역이며, 과거 시모키타 교통 오하타 선(구 국철 오하타 선)이 분기했었다. 오하타 선은 제1차 특정 지방 교통선으로 지정되었을 때, 난부 종관 철도가 인수를 표명했으나, 시모키타 교통(당시 시모키타 버스)이 인수하면서 국철선으로 남아 국철 분할 민영화로 JR 동일본에 계승되었다.

오미나토선 각 역(노헤지 역 제외)과 아오이모리 철도선을 경유하는 다른 JR선 간에는 통과 연락 운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락 승차권은 전국 JR선 각 역에서 발매된다. 운임은 JR선 운임과 아오이모리 철도선 운임을 합산한 금액이다.

2. 1. 노선 데이터


  • 구간 (영업 거리): 노헤지 역 - 오미나토 역 (58.4km)
  • 관할: 동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궤간: 1,067mm
  • 역 수: 11역 (기종점역 포함)
  • 고립 노선이기 때문에, 기종점역을 포함한 모든 역이 오미나토 선 소속이다. 기점인 노헤지 역은 2010년 12월 4일까지는 도호쿠 본선 소속이었지만, 이날부터 이 노선이 아오이모리 철도로 이관되면서 JR 역으로는 오미나토 선 소속으로 변경되었다.[9]
  • 복선화 구간: 없음 (전 구간 단선)
  • 전철화 구간: 없음 (전 구간 비전철화)
  • 폐색 방식: 특수 자동 폐색식 (궤도 회로 검지식)
  • 최고 속도: 85km/h
  • 운전 지령소: 모리오카 종합 지령실 (CTC)


전 구간은 동일본 여객철도 모리오카 지사 관할이다.

3. 역사

1921년 3월 20일, 노헤지역무쓰요코하마역 간에 오미나토 경편선(大湊軽便線)이 운행을 시작했다. 같은 해 9월 25일에는 현재 종착역인 오미나토역까지 연장되었다. 1922년에는 국유화되어 일본관철청(후의 일본국유철도)의 오미나토선(Ōminato Line)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1968년부터 아오모리역에서 계절적으로 쾌속열차 '나쓰도마리' 운행이 시작되었다. 이후 쾌속열차는 준쾌속으로 격하되어 '우소리'로, 그리고 나중에는 시모키타로 이름이 바뀌었다. 1984년 2월 1일 모든 화물 운송은 중단되었다. 같은 해 4월 1일 JNR의 해산 및 민영화와 함께 이 노선은 동일본여객철도의 관할이 되었다.[2]

1999년 12월 4일 새로운 중앙집중통제시스템이 운영을 시작했다. 2002년에는 계절 관광열차 '키라키라 미치노쿠' 운행이 시작되었고, 일부 '시모키타' 열차는 노헤지역 대신 하치노헤역까지 운행 구간이 연장되었다. '시모키타'는 아오이모리 철도와 연계하여 아오모리까지 매일 왕복 1회, 하치노헤까지 왕복 3회 운행한다.[2]

2010년 12월 4일 도호쿠 본선(노헤지역 포함)은 하치노헤역에서 신아오모리역까지 도호쿠 신칸센이 연장된 후 JR 동일본에서 아오이모리 철도로 이관되었다.[3] 이로 인해 도호쿠 본선의 지선인 오미나토선은 아오모리발 '시모키타' 열차(오우 본선쓰가루선과 연결됨)를 제외하고 JR 동일본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과 단절되었다.[4] JR 동일본 노선 중 유일하게 자사의 다른 노선과 연결되지 않게 된 것이다. 원래는 노헤지역에서 도호쿠 본선에 연결되었으나, 2010년 12월 4일 도호쿠 신칸센하치노헤역 - 신아오모리역 구간 개업 시 도호쿠 본선 하치노헤 역 - 아오모리 역 구간의 경영이 이관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JR 그룹의 여객 철도 노선 중 JR 서일본의 나나오선, 에치미키타선과 함께 자사 노선과 전혀 연결되지 않는 완전한 격리 노선[7]이 되었다. 2007년 11월, JR 동일본은 신칸센 연장 후에도 자사 노선으로 오미나토 선을 경영해 나갈 방침임을 발표했다.[8]

세이슌 18 킷푸로 승차하는 경우,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아오모리 역 - 하치노헤 역 구간을 통과 이용할 수 있는 특례가 마련되어 있어, 별도 운임을 지불하지 않고 오미나토 선을 포함한 JR 전 노선의 보통 열차에 승차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종점인 오미나토역에서 하나 전 역인 시모키타역은 본토 최북단의 역이며, 과거에는 시모키타 교통오하타선(구 국철 오하타 선)이 분기하고 있었다. 오하타 선이 제1차 특정 지방 교통선으로 지정되었을 때, 난부 준관 철도가 오하타 선과 함께 인수를 표명했지만, 시모키타 교통(당시 시모키타 버스)이 오하타 선의 인수를 표명했기 때문에, 본 노선은 국철선으로 남아 국철 분할 민영화에 의해 JR 동일본에 계승되었다.

3. 1. 연표


  • 1921년(다이쇼 10년)
  • * 3월 20일 : '''오미나토 경편선'''으로 노베지역(野辺地駅) - 무쓰요코하마역(陸奥横浜駅) 구간이 개업. 유토역(有戸駅), 무쓰요코하마역 개업.
  • * 9월 25일 : 무쓰요코하마(陸奥横浜) - 오미나토(大湊) 구간 연장 개업으로 전 구간 개통. 곤카와역(近川駅), 다나부역(田名部駅), 오미나토역 개업.
  • 1922년(다이쇼 11년) 9월 2일 : '''오미나토선'''으로 개칭[10].
  • 1931년(쇼와 6년) : 2등 폐지. 1935년 10월 10일 부활[11][12]
  • 1939년(쇼와 14년) 12월 6일 : 오하타선(大畑線) 분기역으로 시모키타역(下北駅)이 개업.
  • 1943년(쇼와 18년) 3월 20일 : 후키고시역(吹越駅) 개업.
  • 1946년(쇼와 21년) 6월 10일 : 아리하타역(有畑駅) 개업.
  • 1948년(쇼와 23년) 12월 1일 : 다나부역(田名部駅)을 아카가와역(赤川駅)으로 개칭(동시에 오하타선(大畑線)의 혼다나부역(本田名部駅)을 다나부역(田名部駅)으로 개칭).
  • 1953년(쇼와 28년) 6월 10일 : 카네야자와역(金谷沢駅) 개업.
  • 1958년(쇼와 33년) 12월 20일 : 키타노베지역(北野辺地駅) 개업.
  • 1960년(쇼와 35년) 2월 25일 : 기동차 투입[13].
  • 1968년(쇼와 43년) 10월 1일 : 아오모리역(青森駅) - 오미나토역(大湊駅) 구간에 급행 「나쓰도마리」(なつどまり) 운행 개시.
  • 1972년(쇼와 47년) 3월 15일 : 노베지역(野辺地駅) - 시모키타역(下北駅) 구간을 태블릿식 폐색(당시 명칭은 통표폐색)에서 표권폐색식으로 변경.
  • 1973년(쇼와 48년)
  • * 9월 23일 : 시모키타 지방의 집중호우로 노반 유실 및 제방 붕괴가 78곳에 달해 운행 중지[14].
  • * 12월 13일 : 80일 만에 운행 재개[14].
  • 1974년(쇼와 49년)
  • * 5월 11일 : 증기기관차(SL)의 정기 운행 종료. 아오모리현 내 철도 노선에서 SL이 사라짐[15].
  • * 10월 1일 : 시모키타역(下北駅) - 오미나토역(大湊駅) 구간의 화물 영업 폐지.
  • 1978년(쇼와 53년) 10월 2일 : 「나쓰도마리」(なつどまり)가 쾌속으로 강등.
  • * 오미나토선 내 정차역 : 노베지역(野辺地駅) - 무쓰요코하마역(陸奥横浜駅) - 시모키타역(下北駅) - 오미나토역(大湊駅)
  • 1984년(쇼와 59년) 2월 1일 : 노베지역(野辺地駅) - 시모키타역(下北駅) 구간의 화물 영업 폐지.
  • 1987년(쇼와 62년) 4월 1일 :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동일본 여객철도가 제1종 철도사업자로 승계.
  • 1988년(쇼와 63년) 3월 13일 : 원맨 운전 개시[16]. 쾌속 「나쓰도마리」(なつどまり)를 「우소리」(うそり)로 개칭.
  • 1993년(헤이세이 5년) 12월 1일 : 오미나토선 영업소 발족[17]. 키하 100계 도입. 쾌속 「우소리」(うそり)를 「시모키타」(しもきた)로 개칭.
  • 1998년(헤이세이 10년) 12월 8일 : 표권폐색 폐지하고 특수 자동폐색화(PRC화)[18].
  • 2002년(헤이세이 14년)
  • * 7월 : 조이풀트레인 「키라키라 미치노쿠」(きらきらみちのく) 운행 개시.
  • * 12월 1일 : 도호쿠 신칸센 하치노헤역(八戸駅) 개업에 맞춰 쾌속 「시모키타」(しもきた) 중 1편을 오미나토역(大湊駅) - 하치노헤역(八戸駅) 구간 운행으로 함.
  • 2010년(헤이세이 22년)
  • * 11월 28일 : 조이풀트레인 「키라키라 미치노쿠」(きらきらみちのく) 운행 종료.
  • * 12월 4일 : 도호쿠 신칸센 전선 개업에 맞춰 하이브리드 차량 HB-E300계에 의한 「리조트 아스나로 시모키타」(リゾートあすなろ下北) 운행 개시.
  • 2012년(헤이세이 24년) 10월 : 「리조트 아스나로 시모키타」(リゾートあすなろ下北) 1왕복으로 감편. 하치노헤(八戸) - 오미나토(大湊) 구간에 임시 쾌속 「마사카리」(まさかり)가 비냉방 차량으로 운행 개시.
  • 2018년(헤이세이 30년) 7월 : 하치노헤(八戸) - 오미나토(大湊) 구간에 임시 쾌속 「리조트 우미네코 시모키타」(リゾートうみねこ下北)가 「리조트 우미네코」(リゾートうみねこ)로 운행 개시[30](「리조트 아스나로 시모키타」(リゾートあすなろ下北)도 계속해서 1왕복 운행).
  • 2021년(레이와 3년) 3월 13일 : 다이야 개정에 따라 전 열차 원맨화(예외적으로 연말연시, 여름방학 기간 등의 성수기나 임시 열차에는 차장이 승무).

4. 운행 형태

JR 동일본의 오미나토선은 다른 JR 노선과 연결되지 않는 격리 노선이다. 원래 노베지역(野辺地駅)에서 도호쿠 본선(東北本線)과 연결되었으나, 2010년 도호쿠 신칸센하치노헤역(八戸駅) - 신아오모리역(新青森駅) 구간 개업으로 도호쿠 본선 해당 구간이 아오이모리 철도(青い森鉄道)로 이관되었기 때문이다.[7] 세이슌 18 킷푸 이용객은 아오이모리 철도선 통과 특례로 추가 운임 없이 오미나토선을 이용할 수 있다.

오미나토선은 무쓰만(陸奥湾)에 면하고 시모키타 반도(下北半島) 산지를 끼고 있어 겨울철을 중심으로 강풍, 강우, 강설, 쓰러진 나무 등으로 인한 운휴가 잦다. 운휴 시에는 시모키타 교통(下北交通)과 JR 버스 도호쿠(ジェイアールバス東北)에서 버스 대행(バス代行) 수송을 실시한다.[28]

4. 1. 정기 열차

임시 열차나 연말연시 등을 제외한 모든 정기 열차는 원맨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과거에는 "앞에 타서 앞에 내리기" 방식을 채택했지만, 현재는 "뒤에 타서 앞에 내리기"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정리권은 앞뒤 어느 문에서나 발권되므로, 승하차 구분에 대해서는 철저하지 않다.[19]

차량은 하치노헤 운수구(八戸運輸区)에 소속된 키하100형을 사용한다. 오미나토선은 JR 노선으로서 고립 노선이므로, 하치노헤 운수구로의 입출고는 아오이모리 철도선(青い森鉄道線)을 경유하여 이루어진다.

2022년(레이와(令和) 원년) 3월 12일 개정 시점[19]에는 각 역에 정차하는 선내 운전 보통열차(普通列車) 외에, 쾌속열차(快速列車) 「시모키타」(しもきた)가 오미나토역(大湊駅) - 노베지역(野辺地駅) 구간에서는 상행 1편, 아오이모리 철도선에 진입하는 하치노헤역(八戸駅) - 오미나토역 구간에서는 3왕복 정기 운행되고 있다. 이 중 오미나토선 내에서 쾌속으로 운행되는 열차는 하행 2편, 상행 3편뿐이며, 그 외에는 오미나토선 내에서 각 역에 정차하는 보통열차로 운행된다. 2014년(헤이세이 26년) 3월 다이어 개정으로 쾌속 「시모키타」의 아오모리역(青森駅) - 오미나토역 간 직통 운전이 1일 2왕복에서 1왕복으로 감편되고, 하치노헤역 - 오미나토역 간 직통 운전은 1일 3왕복에서 4왕복으로 증편되었다.[20] 2021년 3월 13일 다이어 개정으로 아오모리역 진입은 폐지되었다.

오미나토선은 해안을 따라 펼쳐진 평탄한 노선으로 커브가 적고 역 수도 적다. 노선 양 끝을 제외한 기타노베지역(北野辺地駅) - 아카가와역(赤川駅) 구간에서는 아리토역(有戸駅) - 후키고에역(吹越駅) 간 13.4km를 제외하면 역 간 거리가 5km~7km 정도로 긴 편이다. 최고 속도는 85km/h로 제한되지만, 역 정차와 커브 전후 감속에 따른 시간 손실이 적고, 고성능 차량인 키하100형을 사용하므로 표정속도(表定速度)가 비교적 높다.

2010년(헤이세이 22년) 3월 13일 개정 시점에는 각역 정차 보통열차도 전 구간을 60~62분에 주파했으며, 쾌속 「시모키타」 중 선내 최고 속도 열차인 상행 3728D는 오미나토역 - 노베지역 구간을 시모키타역(下北駅)・무쓰요코하마역(陸奥横浜駅) 2개 역에만 정차하여 50분[21]만에 주파, 표정속도는 에 달했다.[22] 2015년 6월 시점에서는 전 구간 소요 시간이 각역 정차 보통열차는 61~62분, 쾌속 「시모키타」 최고 속도 열차(하행 3275D・상행 3728D, 무쓰요코하마역(陸奥横浜駅)・시모키타역(下北駅) 2개 역 정차)는 51분[28], 표정속도는 68.7km/h이다.

4. 2. 임시 열차

하치노헤역오미나토역 사이에는 JR 동일본 HB-E300계 기동차(HB-E300系)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기동차 "리조트 아스나로 시모키타(リゾートあすなろ下北)" 등이 운행되었다.[36][37]

2010년(헤이세이 22년) "리조트 아스나로 시모키타(リゾートあすなろ下北)"가 신아오모리역오미나토역 사이를 2왕복 운행하기 시작했다. 2012년(헤이세이 24년) 10월부터는 "리조트 아스나로 시모키타(リゾートあすなろ下北)" 1왕복 대신 하치노헤역오미나토역 사이를 키하40계 차량을 사용한 임시 쾌속 "마사카리(まさかり)"가 1왕복 운행되었다.

2014년(헤이세이 26년) 5월~6월에는 쾌속 "마사카리(まさかり)"가 쾌속 "노노하나(なのはな)"로 운행되었고,[23] 7월 이후에는 쾌속 "하마나스 베이라인(はまなすベイライン)"으로 운행되었다.[24][25] 2015년 7월부터 2016년 2월에는 "하마나스 베이라인(はまなすベイライン)"이 하치노헤선으로 직통 운행했다.[26][27] "리조트 아스나로 시모키타(リゾートあすなろ下北)"는 하행이 2015년부터 하치노헤역 출발,[28] 상행은 2017년부터 하치노헤역행이 되었다.[29]

2018년(헤이세이 30년) 7월부터 임시 쾌속 "리조트 우미네코 시모키타(リゾートうみねこ下北)"가 "리조트 우미네코(リゾートうみねこ)"(국철 키하40계 기동차(2대)의 '키라키라 미치노쿠 → 리조트 우미네코(リゾートうみねこ)')로 하치노헤역오미나토역 사이를 운행했다.[30]

2021년(레이와 4년) 및 2022년(레이와 4년) 연말연시(12월·1월)에는 전석 자유석인 임시 쾌속 "후루사토 오미나토(ふるさと大湊)"가 하치노헤역오미나토역 사이를 운행했다.[31][32]

2022년(레이와 4년)에는 "리조트 아스나로 시모키타(リゾートあすなろ下北)" 1·4호 대신 5월에 임시 쾌속 "아스나로 나노하나 만개호(あすなろ菜の花満開号)"[33], 8월에는 전석 자유석인 임시 쾌속 "오미나토(おおみなと)"가 하치노헤역오미나토역 사이를 운행했다.[34] 11월에는 포켓몬 위드 유 트레인(POKÉMON with YOU トレイン)으로 임시 쾌속 "포켓몬 트레인 오미나토호(ポケモントレイン大湊号)"가 하치노헤역오미나토역 사이를 운행했다.[35]

2023년 "리조트 아스나로 시모키타(リゾートあすなろ下北)" 운행을 종료하고, 2024년(레이와 6년) 골든위크에는 임시 쾌속 "오미나토(おおみなと)", 같은 해 5월 11일부터 "리조트 아스나로(リゾートあすなろ)"를 개조한 관광열차 "히나비(히나타비)(ひなび(陽旅))"로 임시 쾌속 "히나비 시모키타(ひなび 下北)"가 하치노헤역오미나토역 사이[36]아오모리역오미나토역 사이[37]에서 운행되고 있다.

5. 사용 차량

오미나토선에는 현재 키하100형과 키하E130계가 운행되고 있다.[34][38] 과거에는 HB-E300계, 키하40계, 키하58계, 키하52형, C11형 증기 기관차 등이 운행되었다.

5. 1. 현재 사용 차량


  • 키하100형(쾌속 "시모키타"·보통) - 모리오카 차량센터 하치노헤 파출소 소속
  • 키하E130계(임시 쾌속 "후루사토 오미나토"[38]·임시 쾌속 "오미나토"[34]) - 모리오카 차량센터 하치노헤 파출소 소속

5. 2. 과거 사용 차량


  • HB-E300계
  • 키하40계 (JR 동일본 발족 후에는 빨강과 흰색의 투톤 컬러, 이른바 모리오카 색)
  • 키하58계 (위와 같음)
  • 키하52형
  • C11형 증기 기관차

6. 역 목록

오미나토선은 전 구간이 아오모리현에 있다.

JR 동일본 노선 중 유일하게 다른 JR 노선과 연결되지 않는다. 원래는 노헤지 역에서 도호쿠 본선과 연결되었으나, 2010년 12월 4일 도호쿠 신칸센하치노헤 역 - 신아오모리 역 구간 개업으로 도호쿠 본선 하치노헤 역 - 아오모리 역 구간의 경영이 아오이모리 철도 주식회사로 이관되었기 때문이다.[7] 이에 따라 JR 그룹의 여객 철도 노선 중에서는 JR 서일본나나오선, 에치미키타 선과 함께 자사 노선과 전혀 연결되지 않는 노선이 되었다.[7]

세이슌 18 킷푸로 승차할 경우,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아오모리 역 - 하치노헤 역 구간을 통과 이용할 수 있는 특례가 있어, 별도 운임을 지불하지 않고 오미나토 선을 포함한 JR 전 노선의 보통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오미나토 역의 바로 전 역인 시모키타 역은 혼슈 최북단의 역이다.

오미나토선 각 역(노헤지 역 제외)과 아오이모리 철도선을 경유하는 다른 JR선 간에는 통과연락운송을 실시하고 있으며, 연락승차권은 전국의 JR선 각 역에서 발매된다. 운임은 JR선의 총합 운임과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운임을 합산한 금액이다.

쾌속 시모키타의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일본어 역명역간 거리 (km)총 거리 (km)쾌속
시모키타
환승위치
노헤지野辺地|노헤지일본어-0.0아오이모리 철도선노헤지아오모리현
기타노헤지北野辺地|기타노헤지일본어2.82.8 
아리토有戸|아리토일본어6.39.6 
훗코시吹越|훗코시일본어13.423.0 요코하마
무쓰요코하마陸奥横浜|무쓰요코하마일본어7.130.1 
아리하타有畑|아리하타일본어5.936.0 
지카가와近川|지카가와일본어6.742.7 무쓰
가나야사와金谷沢|가나야사와일본어5.047.7 
아카가와赤川|아카가와일본어5.553.2 
시모키타下北|시모키타일본어2.355.4 
오미나토大湊|오미나토일본어2.958.4 



:●: 모든 쾌속열차 정차, ▲: 일부 쾌속열차 정차

6. 1. 역 목록 (표)

노헤지정기타노헤지北野辺地|기타노헤지일본어2.82.8아리토有戸|아리토일본어6.89.6훗코시吹越|훗코시일본어13.423.0요코하마정무쓰요코하마陸奥横浜|무쓰요코하마일본어7.130.1아리하타有畑|아리하타일본어5.936.0지카가와近川|지카가와일본어6.742.7무쓰시가나야사와金谷沢|가나야사와일본어5.047.7아카가와赤川|아카가와일본어5.553.2시모키타下北|시모키타일본어2.355.5오미나토大湊|오미나토일본어2.958.4


6. 2. 과거 접속 노선

7. 이용 현황

오미나토선은 이용객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적자를 기록하는 등 경영난을 겪고 있다.[40][41][42][43][44][45][46]

7. 1. 평균 통과 인원

각 연도별 평균 이용객 수(인/일)는 다음과 같다.

연도평균 이용객 수 (인/일)출처
1987년도(쇼와 62년도)965[40]
2011년도(헤이세이 23년도)569[40]
2012년도(헤이세이 24년도)588[40]
2013년도(헤이세이 25년도)612[40]
2014년도(헤이세이 26년도)598[40]
2015년도(헤이세이 27년도)598[40]
2016년도(헤이세이 28년도)590[41]
2017년도(헤이세이 29년도)572[41]
2018년도(헤이세이 30년도)578[41]
2019년도(레이와 원년도)533[42]
2020년도(레이와 2년도)288[42]
2021년도(레이와 3년도)297[42]
2022년도(레이와 4년도)392[42]
2023년도(레이와 5년도)455[43]


7. 2. 수지·영업 계수

오미나토선 연도별 수지 및 영업 계수
연도수지 (1000000JPY)영업 계수 (엔)수지율
운수 수입영업 비용
2019년도(레이와 원년)155JPY1422JPY▲1266JPY91211.0%[44]
2020년도(레이와 2년)75JPY1504JPY▲1428JPY1,9835.0%[44]
2021년도(레이와 3년)81JPY1160JPY▲1079JPY1,4307.0%[45]
2022년도(레이와 4년)112JPY1192JPY▲1080JPY1,0649.4%[46]


참조

[1] 웹사이트 Ominato Timetable http://www.jreast-ti[...]
[2] 웹사이트 Rapid (Ominato - Noheji - Aomori) http://www.jreast-ti[...]
[3] 웹사이트 JR東日本 東北本線八戸―青森間の廃止を届出 http://rail.hobidas.[...] 2018-02-07
[4] 뉴스 乗務40年近く・沖津さん 大湊線の存続願う/野辺地~陸奥横浜間・20日で開業100周年 https://news.yahoo.c[...] Yahoo! News Japan 2021-03-19
[5] 서적 鉄道電報略号 1959-09-17
[6] 웹사이트 サステナビリティレポート2019 https://www.jreast.c[...] JR東日本 2019-09-00
[7] 문서 JR西日本の七尾線は2015年(平成27年)3月14日の北陸新幹線長野駅 - 金沢駅間の開業により、越美北線は2024年(令和6年)3月16日の北陸新幹線金沢駅 - 敦賀駅間の開業により、いずれも並行する在来線が経営分離され、完全な飛び地路線となった。
[8] 간행물 鉄道図書刊行会 2008-02
[9] 서적 停車場変遷大事典 国鉄・JR編 JTB 1998-00-00
[10] 웹사이트 鉄道省告示第109号 https://dl.ndl.go.jp[...] 官報 1922-09-02
[11] 웹사이트 鉄道省年報, 昭和10年度 https://dl.ndl.go.jp[...]
[12] 웹사이트 東奥年鑑.昭和11年 https://dl.ndl.go.jp[...]
[13] 뉴스 大湊・大畑線にディーゼル 交通協力会 1960-03-01
[14] 서적 東奥年鑑1975年版 (정보 없음) 1975-00-00
[15] 서적 東奥年鑑1975年版 (정보 없음) 1975-00-00
[16]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2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2-07-01
[17]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4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4-07-01
[18] 뉴스 JR東日本 最後の票券閉そく線区 大湊線をPRC化 交通新聞社 1998-12-14
[19] 서적 JTB時刻表 JTBパブリッシング 2022-03-00
[20] 웹사이트 2014年3月ダイヤ改正 http://www.jr-moriok[...] JR東日本盛岡支社 2013-12-20
[21] 서적 JTB時刻表 JTBパブリッシング 2010-03-00
[22] 문서 これより表定速度の低い特急列車も日本に多数存在する。
[23] 웹사이트 春の増発列車のお知らせ http://www.jr-moriok[...] JR東日本盛岡支社 2014-01-24
[24] 웹사이트 夏の増発列車のお知らせ http://www.jr-moriok[...] JR東日本盛岡支社 2014-05-23
[25] 웹사이트 春の増発列車のお知らせ http://www.jr-moriok[...] JR東日本盛岡支社 2015-01-23
[26] 웹사이트 青い森鉄道、今夏のJR直通臨時快速列車 - 「リゾートあすなろ八戸」新登場 https://news.mynavi.[...] マイナビニュース 2015-05-25
[27] 웹사이트 冬の増発列車のお知らせ https://www.jreast.c[...] JR東日本 2015-10-23
[28] 서적 JTB時刻表 JTBパブリッシング 2015-07-00
[29] 서적 JTB時刻表 JTBパブリッシング 2017-03-00
[30] 웹사이트 夏の増発列車のお知らせ https://www.jreast.c[...] JR東日本 2018-05-18
[31] 웹사이트 冬の増発列車のお知らせ https://www.jreast.c[...] JR東日本盛岡支社 2021-10-15
[32] 웹사이트 冬の増発列車のお知らせ https://www.jreast.c[...] JR東日本盛岡支社 2022-10-21
[33] 웹사이트 春の増発列車のお知らせ https://www.jreast.c[...] JR東日本盛岡支社 2022-01-21
[34] 웹사이트 夏の増発列車のお知らせ https://www.jreast.c[...] JR東日本盛岡支社 2022-05-20
[35] 웹사이트 秋の増発列車のお知らせ https://www.jreast.c[...] JR東日本盛岡支社 2022-08-19
[36] 간행물 春の増発列車のお知らせ https://www.jreast.c[...] JR東日本盛岡支社 2024-01-19
[37] 간행물 秋の増発列車のお知らせ https://www.jreast.c[...] JR東日本盛岡支社 2024-08-22
[38] 간행물 冬の増発列車のお知らせ https://www.jreast.c[...] JR東日本盛岡支社 2021-10-15
[39]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3-10-09
[40]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1~2015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09
[41]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4~2018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09
[42]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8~2022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09
[43]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9~2023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29
[44] 보도자료 ご利用の少ない線区の経営情報を開示します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2-07-28
[45] 보도자료 ご利用の少ない線区の経営情報(2021年度分)を開示します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2-11-24
[46] 보도자료 ご利用の少ない線区の経営情報(2022年度分)を開示します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3-11-21
[47] 문서 現在の只見線の一部を含む。
[48] 문서 旅客営業のみ廃止し、路線自体は日豊本線の貨物支線として存続したのち1989年廃止。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