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역은은 근대 중국과 동아시아에서 스페인 달러의 유통에서 시작되어, 각국이 자국의 무역 이익을 위해 발행한 은화를 의미한다. 스페인 제국이 필리핀을 식민지화한 후, 중국 상품과 은의 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스페인 달러가 동아시아 무역에서 널리 사용되었고, 이를 본떠 중국에서도 은화가 만들어졌다. 19세기 서구 열강의 금본위제 채택과 은 시세 하락으로 인해,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은 동아시아 무역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각자의 무역은을 발행했다. 각국의 무역은은 주로 은의 무게와 순도를 기준으로 했으며, 동아시아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금본위제 확산으로 인해 점차 쇠퇴했다.
무역은은 근대 중국 및 동아시아에서 스페인 달러 은화의 인기로 인해 만들어졌다. 스페인 제국이 스페인령 필리핀을 세운 뒤 인트라무로스는 중국의 상품과 누에바에스파냐의 은이 교환되는 화물 집산지가 되었다.
2. 역사적 배경
스페인 달러 통용에 주목한 중국은 스페인 달러를 본떠 위안 은화를 만들었다. 이 중국 용은(龍銀, Silver dragon)은 중국뿐만 아니라 이웃 나라에서 스페인 달러와 함께 무역용 화폐로 널리 쓰였다. 제1차 아편 전쟁에서 패배한 청나라는 항구를 개방해야 했고, 19세기 후반 청나라와 무역을 하던 서양 국가들은 스페인 달러 대신 자국 은화를 쓰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것을 알고 자체적으로 은화를 만들기 시작했다. 이 은화들은 중국에서 오랫동안 신뢰받던 스페인 달러와 비슷하게 무게가 7전 2푼(약 27.2g)이었으며 순도는 90%였다.


2. 1. 멕시코 은화 (스페인 달러)의 유통
스페인 제국이 스페인령 필리핀을 세운 뒤 인트라무로스는 중국의 상품과 누에바에스파냐의 은이 교환되는 화물 집산지가 되었다. 이 무역은 ''마닐라 갤리온 무역로(Manila Galleons trade route)''로 불렸으며, 16세기부터 동아시아에서 스페인 달러가 널리 쓰이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8]
15세기 후반부터 서양에서는 대형 은화가 대량으로 주조되기 시작하여, 중국 등 동양에서 후추, 비단 등을 수입하기 위한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16세기 초 보헤미아에서 은광상이 발견되었고, 16세기 중반에는 신대륙에서 1545년 포토시 은광, 1546년 멕시코의 사카테카스 은광 등 대규모 은광이 발견되면서 다량의 은이 유럽으로 유입되어 가격 혁명을 일으켰다. 1535년부터 주조가 시작된 멕시코 달러는 1903년까지 총 발행액이 약 35억달러에 달해, 유럽, 중국을 비롯한 세계 각지에서 유통되며 주도적인 지위를 획득했다.[8]
2. 2. 서구 열강의 금본위제 전환과 은 시세 하락
19세기에 들어 1816년 영국을 시작으로 유럽 각국에서 금본위제를 채택하고 은본위제에서 탈피하면서, 미국에서의 은 생산량 증가의 영향까지 더해져 은 가격의 하락이 가속화되었다. 그 때문에 잉여 은 수요를 중국 등 동양 제국에 개척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강해졌다. 미국, 영국 등은 중국에서 무역 주도권을 쟁탈하기 위해 자국에서 주조한 은화를 유통시키려 시도했지만, 여전히 위세를 떨치고 있는 멕시코 달러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다.[8]
2. 3. 동아시아 무역 주도권 경쟁
서구 열강들은 동아시아 무역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하였다. 주요 경쟁 국가는 영국, 미국, 프랑스, 일본이었다.
15세기 후반부터 서양에서는 대형 은화가 대량으로 주조되기 시작하여, 중국 등 동양에서 후추, 비단 등을 수입하기 위한 결제에 사용되었다. 16세기 중반에 신대륙에서 대규모 은광이 발견되어 다량의 은이 유럽으로 유입되어 가격 혁명을 일으켰다. 1535년에 주조가 시작된 멕시코 달러는 1903년까지 총 발행액이 약 35억 5000달러에 달해, 유럽, 중국을 비롯한 세계 각지에서 유통되며 주도적인 지위를 획득했다.
19세기에 들어 금본위제의 채택, 은본위제의 탈피가 진행되었으며, 더 나아가 미국에서의 은 생산량 증가의 영향이 더해져 은 가격의 하락이 가속화되었다. 그 때문에 잉여 은 수요의 개척을 중국 등 동양 제국에 요구하는 움직임이 강해졌다. 미국, 영국 등은 중국에서 무역 주도권 쟁탈을 위해 자국에서 주조한 은화를 유통시키려 시도했다.[8]
각국의 무역은 발행 배경과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국가 | 발행 배경 | 목적 | 특징 |
|---|---|---|---|
| 영국 | 1819년 싱가포르, 1842년 홍콩 설립으로 동아시아 무역 증가. 대영 제국 식민지에서 외국 동전 사용 감소 필요.[22] | 청나라와의 무역에서 주도권 확보, 멕시코 달러 대체 | 앞면에 브리타니아가 삼지창과 방패를 들고 해안가에 서 있는 모습, 뒷면에 아라베스크 문양과 중국 전통 문양, 한자와 자위 문자로 액면 표기. 1895년~1935년 발행, 1937년 통용 금지.[22] |
| 미국 | 동양, 특히 중국과의 무역 발전. 네바다 광산 은 판매처 개척. | 멕시코 은화에 대한 프리미엄 해소, 중국 무역 주도권 확보 | 1873년부터 발행, 기존 1달러 은화보다 중량 증가. 중국 상인들의 각인(찹) 존재. 1878년 발행 중지 및 폐지.[8] |
| 일본 | 1871년 신화 조례 제정, 무역 1엔 은화 발행. 멕시코 은화와의 경쟁. | 미국 무역 은화에 대항, 국제 통화 지위 확보 | 1875년 무역 은화 발행, 중량 증가. 1878년 일본 국내 일반 유통 인정, 사실상 금은 복본위제. 같은 해 제조 중단.[11] |
| 프랑스 | 1887년 인도차이나 동부 영유. 프랑스 본국 화폐 유통 부진. | 멕시코 달러 대체, 은화 유출 방지 | 1885년 무역 은화 발행, 미국 무역 은화와 동일 중량. 1895년 중량 감량, 1928년까지 발행. |
3. 각국의 무역은




무역은은 19세기 후반, 동아시아 지역의 무역 활성화를 위해 여러 국가에서 발행한 은화이다. 각국은 자국의 무역 주도권을 강화하고, 당시 널리 통용되던 멕시코 페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자 무역은을 발행했다.3. 1. [[청나라]]
스페인 달러의 통용에 주목한 청나라는 스페인 달러를 본떠 위안 은화를 만들었다. 이 용은(龍銀, Silver dragon)은 중국뿐만 아니라 이웃 나라에서도 스페인 달러와 함께 무역용 화폐로 널리 쓰였다.[1] 제1차 아편 전쟁에서 패배한 청나라는 외국 무역에 항구를 개방해야 했고, 19세기 후반에 청나라와 무역을 하던 서방 국가들은 스페인 달러를 쓰는 것보다 자신들의 은화를 쓰는 것이 더 이득이라는 것을 알고 스스로 은화를 만들기 시작했다.[1] 이 은화들은 중국에서 오랫동안 신뢰했던 스페인 달러와 비슷하게 무게가 7전 2푼(약 27.2g)이었으며 순도는 90%였다.[1]
3. 2. 프랑스
1885년 프랑스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화폐 공급량을 조절할 목적으로 새 은화인 '교역용 피아스터(Piastre de commerce)'를 도입했다. 피아스터는 원래 멕시코 페소와 가치가 같았기 때문에 스페인 달러의 직계 후손이었다. 초기에는 1피아스터가 순은 24.4935g과 같은 은본위제를 취했으나 1895년부터는 24.3g으로 줄어들었다.[1]
1887년부터 프랑스는 안남, 캄보디아 및 라오스 왕국을 보호국으로 하여 인도차이나 동부를 영유했으며, 프랑스 본국의 화폐를 법정 통화로 삼았다. 그러나 프랑스의 5프랑 은화는 25.00그램으로 멕시코 달러에 비해 중량이 부족하여 널리 유통되지 못했다. 또한 당시 세계적인 은 시세 하락으로 금은비가 변화하여 은화에 상대적으로 높은 명목 가치가 생겨 프랑스 본국으로 은화가 환류될 우려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무역 전용 은화를 발행하게 되었다.[3]
1885년부터 프랑스는 미국 무역 은화와 동일한 420그레인(27.215그램)의 무역 은화를 발행했다. 이 무역 은화는 피아스트르(PIASTRE) 액면 및 품위 0.900, 중량 27.215GR로 표기되었다. 그러나 멕시코 달러가 널리 사용되었고, 이 무역 피아스트르는 미국 및 일본의 무역 은화와 마찬가지로 널리 유통되지 못했기 때문에, 1895년부터 중량을 27.00그램으로 감량하여 1928년까지 발행되었다. 이후 차츰 널리 유통되게 되었다.[3]
3. 3. 일본
일본은 1875년부터 1877년까지 순도 90%의 은 27.22g의 무역은을 발행했다. 당시 일본의 주화는 은 26.96g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무역은과 비슷한 모양이었다.[20]
총 2,736,000개의 동전이 발행됐으며 대부분은 1876년과 1877년 사이에 만들어졌다.[21] 1897년 금본위제 도입으로 무역은을 포함한 엔 은화는 통용이 금지됐다. 일본은 대부분의 무역은에 ''은(銀)''이라고 타각한 뒤 일본령 대만 및 조선, 뤼순커우 등에서 사용했다.[3]
1871년(메이지 4년) 신화 조례에 의해 무역 1원 은화 100원은 금화 101원에 해당되어 금화와 마찬가지로 자유 주조를 인정했었다. 하지만 멕시코 은화는 평균 417그레인(27.02그램)으로 일본의 무역 1원 은화 416그레인(26.96그램)보다 약간 우세했고, 일본 정부는 이 점이 1원 은화의 유통을 저해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1873년부터 발행된 중량 420그레인의 미국의 무역 은화가 점차 동양 시장에 세력을 뻗치는 상황을 고려하여 1875년 2월 28일의 포고에 의해 표시를 "무역 은화"로 고치고, 중량을 420그레인으로 증량한 무역 은화를 발행하게 되었다.[11]
1876년 3월 4일에는 무역 1원 은화와 금화가 등가로 변경되었다. 1878년 5월 27일에는 무역 1원 은화의 일본 국내 일반 유통을 인정하여 사실상 금은 복본위제가 되었다. 무역 1원 은화 및 무역 은화를 무제한 통용의 본위 화폐로 끌어올린 점은 미국과 다른 정책이었다.[12]
중량을 증량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 통화로서의 지위를 구축하지 못했기 때문에, 같은 해 11월 26일에는 미국을 따라 무역 은화의 제조를 중단하고, 1874년부터 발행되었던 무역 1원 은화로 복귀하게 되었다.[13]
3. 4. 영국
1819년 싱가포르, 1842년 홍콩을 확보한 영국은 동아시아와의 무역량이 증가했다. 이에 대영 제국 식민지 내에서 유통되던 외국 동전의 사용을 줄이고자 무역은(트레이드 달러)을 발행할 필요성을 느꼈다.[22]
제1차 아편 전쟁과 제2차 아편 전쟁 결과, 청나라는 영국에 항구를 개방하고 홍콩을 양도해야 했다. 이후 청나라 개항지와 영국령 홍콩에는 많은 상인들이 몰려들어 무역이 활발해졌고, 외국 은행들이 설립되어 차, 명주, 도자기 등을 구매하기 위한 자금으로 세계 각지의 은화들이 사용되었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사용하기 위해 발행된 영국의 무역은, 즉 ''트레이드 달러(Trade dollar)''는 앞면에 삼지창과 방패를 든 브리타니아가 해안가에 서 있는 모습과 무역선이 함께 그려져 있었고, 뒷면에는 아라베스크 문양과 중국 전통 문양, 그리고 한자와 자위 문자로 액면가가 표기되어 있었다.
영국 트레이드 달러는 1895년부터 영국령 홍콩과 해협 식민지에서 발행되기 시작했으며, 순도 90%의 은 24.255g을 포함하고 있었다.[22] 1903년 해협 식민지에서 해협 달러를 도입한 이후에는 영국령 홍콩에서 주로 발행되었으며, 1935년까지 발행되었다. 봄베이, 캘커타, 런던에서도 영국 트레이드 달러가 발행되었다.
영국 트레이드 달러는 1937년 8월 1일부로 통용이 금지되었다.[4][22]
3. 5. 미국
미국의 무역은 ''트레이드 달러(Trade dollar)''는 1873년부터 1885년까지 미국 조폐국이 필라델피아, 카슨시티, 샌프란시스코 조폐국에서 발행했으며 무게는 27.2g, 순도는 90%였다. 트레이드 달러가 쓰이기 전에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은화로 주로 멕시코 페소를 썼는데, 미국 의회는 동아시아, 특히 중국과의 무역을 개선하기 위해 미국 조폐국에게 트레이드 달러를 발행할 권한을 주었다.[5] 중국의 상인들은 은화의 정확한 무게와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 은화에 각인을 했기 때문에 많은 트레이드 달러들은 각인이 찍혔다.[6]
미국 무역 달러는 미국 조폐국에서 발행하고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 카슨시티, 샌프란시스코에서 1873년부터 1885년까지 주조된 은(순도 90%) 달러 동전이다. 일반 주조 무역 달러는 1878년에 마지막으로 생산되었고, 프루프 주화 생산은 1885년까지 계속되었다.[5] 이 동전의 무게는 27.2g으로, 당시 국내 은화 (세이티드 리버티 달러와 모건 달러)보다 약 0.52g 더 무겁다. 멕시코 페소보다 4곡 더 무겁지만, 페소는 순도 90.3% 은이다.[6]
이 동전은 조폐국 수석 조각가인 윌리엄 바버가 디자인했다. 샌프란시스코에서 주조된 무역 달러는 카슨시티와 필라델피아를 합친 것보다 더 많았다. 샌프란시스코는 은의 원천과 동전의 최종 목적지인 중국에 가장 가까웠다. 많은 무역 달러에는 "찹마크"라고 불리는 자국이 있다. 중국 상인들은 동전의 정확한 무게와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 동전에 도장을 찍었다.[6]
미국 의회는 동양, 특히 중국과의 무역을 개선하기 위해 미국 조폐국이 무역 달러를 만들도록 승인했다. 그 이전에는 멕시코 페소가 중국과의 무역에 사용되는 주요 은화였다. 실제로 무역 달러 뒷면의 독수리는 페소의 독수리와 매우 유사하다.
19세기에 들어 1816년의 영국을 시작으로 유럽 각국에서 금본위제 채택, 은본위제 탈피가 진행되었으며, 미국에서의 은 생산량 증가로 은 가격 하락이 가속화되었다. 잉여 은 수요 개척을 위해 미국, 영국 등은 중국에서 무역 주도권 쟁탈을 위해 자국에서 주조한 은화를 유통시키려 시도했지만, 멕시코 달러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다.[8]

미국에서는 동양, 특히 중국과의 무역을 발전시키기 위해 1873년부터 기존의 1달러 은화의 중량 26.73g에서 27.22g으로 증량한 '''무역 은화'''가 발행되었다. 필라델피아, 카슨시티, 샌프란시스코의 조폐국에서 제조되었다.
미국은 새로 발견된 네바다 광산의 은 판매처를 개척하고, 무역상들이 중량, 은 품위(903) 모두 약간 높고 당시 세계 무역 시장에서 지배적이었던 멕시코 은화에 부가된 프리미엄을 해소할 목적도 있었다.
현존하는 많은 무역 은화에는 찹(chop)이라고 불리는 각인이 보이는데, 이는 중국 상인이 은 품위를 감정하고 그 각인의 신용을 바탕으로 통용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무역 은화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미국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었다. 당시 네바다 은광 개발로 인한 세계적인 은 생산량 증가로 은 시세가 하락하고 있었다. 무역 은화의 은값도 1달러 금화의 은값을 밑돌면서, 은지금을 소유한 사람들은 앞다투어 은지금을 조폐국에 가져가 무역 은화로 주조를 신청했다.[8]
이 때문에 미국 정부는 1878년 브랜드-앨리슨 법에 의해, 무역 은화의 발행을 중지·폐지함과 동시에 중량을 26.73g으로 되돌린 1달러 은화(Morgan dollar)가 법화로 제정되었다. 1873년의 화폐법(Coinage Act of 1873)에서는 1792년 이래의 금은 복본위제가 완전히 폐기되어 금본위제로 이행되었고, 1/2달러 은화 이하의 은화가 보조 은화로 발행되었으며, 부활한 1달러 은화도 보조 화폐로 지정되었다.[9] 1878년의 무역 은화 폐지 이후에는 1885년까지 프루프 화폐만 소량으로 제조되었다.[10]
4. 무역은과 한국
무역은은 한국 경제와 사회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조선 시대에는 은화 유통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4. 1. 조선의 은화 유통과 무역은
1875년부터 1877년까지 일본은 순도 90%의 은 27.22g의 무역은을 발행했다. 당시 일본의 주화는 은 26.96g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무역은과 비슷한 모양이었다.[20]
총 2,736,000개의 동전이 발행되었으며 대부분은 1876년과 1877년 사이에 만들어졌다.[21] 1897년 일본이 금본위제를 도입했을 때 무역은을 포함한 엔 은화들은 통용이 금지되었다. 일본은 대부분의 무역은에 '은(銀)'이라고 타각한 뒤 일본령 대만 및 조선, 뤼순커우 등에서 썼다.
5. 무역은의 종말과 의의
미국은 동양, 특히 중국과의 무역을 발전시키기 위해 1873년부터 기존의 1달러 은화보다 무거운 '''무역 은화'''를 발행했다. 이 은화는 필라델피아, 카슨시티, 샌프란시스코의 조폐국에서 제조되었으며, 네바다주 광산의 은 판매처를 개척하고, 멕시코 은화에 부가된 프리미엄을 해소할 목적도 있었다. 현존하는 많은 무역 은화에는 중국 상인이 은 품위를 감정하고 신용을 보증하는 각인이 남아있다.
그러나 무역 은화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미국 내에서 유통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당시 은 생산량 증가로 은 시세가 하락하면서, 무역 은화의 은값도 1달러 금화의 가치보다 낮아졌다.[8] 이 때문에 미국 정부는 1878년 무역 은화의 발행을 중지하고, 모건 달러를 법화로 제정했다. 1873년 화폐법으로 금은 복본위제가 폐지되고 금본위제로 이행되었으며, 1달러 은화도 보조 화폐로 지정되었다.[9] 1885년까지는 프루프 화폐만 소량 제조되었다.[10]
일본은 1871년 신화 조례를 통해 무역 1엔 은화를 금화와 동일한 가치로 인정하고 자유 주조를 허용했다. 그러나 멕시코 은화가 일본의 무역 1엔 은화보다 약간 더 무거웠기 때문에, 일본 정부는 1875년 미국의 무역 은화를 따라 중량을 늘린 무역 은화를 발행했다.[11] 1878년에는 무역 1엔 은화의 일본 내 유통을 인정하여 사실상 금은 복본위제가 되었다.[12] 그러나 국제 통화로서의 지위를 구축하지 못하고, 같은 해 미국을 따라 무역 은화 제조를 중단하고 1874년부터 발행되었던 무역 1엔 은화로 복귀했다.[13]
프랑스는 1887년부터 안남, 캄보디아, 라오스 왕국을 보호국으로 삼아 인도차이나 동부를 영유했다. 프랑스 본국 화폐를 법정 통화로 삼았으나, 5프랑 은화는 멕시코 달러보다 가벼워 널리 유통되지 못했다. 또한 은 시세 하락으로 은화가 프랑스 본국으로 환류될 우려가 있어, 1885년부터 무역 전용 은화를 발행했다. 이 무역 은화는 피아스트르 액면으로 표기되었으나, 멕시코 달러에 밀려 널리 유통되지 못하고 1895년부터 중량을 줄여 1928년까지 발행되었다.
1819년 싱가포르, 1842년 홍콩 설립으로 영국 상사들의 동양 무역 관심이 높아졌고, 다양한 외국 은화 유통으로 영국 식민지 신뢰가 흔들려 무역 전용 은화 제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중국은 아편 전쟁 패배로 홍콩을 영국에 할양하고 많은 항구를 개항했다. 영국 무역상들이 이 지역에 집중하면서 무역항으로 번성했고, 중국의 비단, 차, 자기 대금 지불에 무역 은화가 사용되면서 1866년부터 홍콩 조폐국에서 壹圓(일원) 은화가 제조되었다. 그러나 멕시코 달러에 밀려 단기간에 제조가 중단되고 조폐국도 폐쇄되었다.
교역 발전에 따라 통화 부족이 발생하여 1895년부터 다시 홍콩을 중심으로 무역 은화를 발행했다. 이 은화는 중국에서도 유통되었다. 뒷면에는 한자로 '壹圓', 말레이 문자가 표기되어 동양에서의 무역 거래를 전제로 했다. 416 그레인으로 일본의 무역 1엔 은화와 같은 중량으로 1895년부터 1935년까지 제조되었다. 제조지는 주로 인도의 봄베이, 캘커타였으며, 1925년 및 1930년에만 런던에서 제조되었다.[10] 1937년 8월 1일에 영국의 무역 은화는 폐지되었다.
5. 1. 무역은의 역사적 의의
무역은의 역사는 탈러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5세기 후반부터 서양에서 대형 은화가 대량으로 주조되기 시작하여, 중국 등 동양에서 후추, 비단 등을 수입하기 위한 결제에 사용되었다. 16세기 초에 보헤미아에서 은광이 발견되었고, 16세기 중반에 신대륙에서 1545년 포토시 은광, 1546년 멕시코의 사카테카스 은광 등 대규모 은광이 발견되어 다량의 은이 유럽으로 유입되어 가격 혁명을 일으켰다. 1535년에 주조가 시작된 멕시코 달러는 1903년까지 총 발행액이 약 35억달러에 달해, 유럽, 중국을 비롯한 세계 각지에서 유통되며 주도적인 지위를 획득했다.[8]
은 시세는 불안정해졌고, 19세기에 들어 1816년 영국을 시작으로 유럽 각국에서 금본위제 채택, 은본위제 탈피가 진행되었으며, 미국에서의 은 생산량 증가의 영향이 더해져 은 가격 하락이 가속화되었다. 그 때문에 잉여 은 수요의 개척을 중국 등 동양 제국에 요구하는 움직임이 강해졌다. 미국, 영국 등은 중국에서 무역 주도권 쟁탈을 위해 자국에서 주조한 은화를 유통시키려 시도했지만, 여전히 위세를 떨치고 있는 멕시코 달러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다.[8]
6. 각국의 무역은 발행량
다음은 미국, 일본,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영국의 무역 은화 발행량을 나타낸 표이다.[10][14][15]
| 미국 | ||||
|---|---|---|---|---|
| style="text-align:center; white-space:nowrap;" | | 필라델피아 | 카슨시티 | 샌프란시스코 | |
| 연도 | style="text-align:center; white-space:nowrap;" | | 프루프 주화 | CC | S |
| 1873년 | 396,635 | 865 | 124,500 | 703,000 |
| 1874년 | 987,100 | 700 | 1,373,200 | 2,549,000 |
| 1875년 | 218,200 | 700 | 1,573,700 | 4,487,000 |
| 1876년 | 455,000 | 1,150 | 509,000 | 5,227,000 |
| 1877년 | 3,039,200 | 510 | 534,000 | 9,519,000 |
| 1878년 | 900 | 97,000 | 4,162,000 | |
| 1879년 | 1,541 | |||
| 1880년 | 1,987 | |||
| 1881년 | 960 | |||
| 1882년 | 1,097 | |||
| 1883년 | 979 | |||
| 1884년 | 10 | |||
| 1885년 | 5 | |||
| 합계 | 5,096,135 | 11,404 | 4,211,400 | 26,647,000 |
| 일본 | |
|---|---|
| 연도[16] | 발행량 |
| 1875년 (메이지 8년) | 97,575 |
| 1876년 (메이지 9년) | 1,514,629 |
| 1877년 (메이지 10년) | 1,152,273 |
| 1878년 (메이지 11년) | [17] 292,161 |
| 합계 | 3,056,638 |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 |||
|---|---|---|---|
| style="text-align:center; white-space:nowrap;" | | 파리 | 샌프란시스코 | 버밍엄 |
| 연도 | A | style="text-align:center; white-space:nowrap;" | | H |
| 27.215GR | |||
| 1885년 | 800,000 | ||
| 1886년 | 3,216,000 | ||
| 1887년 | 3,076,000 | ||
| 1888년 | 948,000 | ||
| 1889년 | 1,240,100 | ||
| 1890년 | 6,108,000 | ||
| 1891년 | |||
| 1892년 | |||
| 1893년 | 795,000 | ||
| 1894년 | 1,308,000 | ||
| 1895년 | 1,782,000 | ||
| 27GR | |||
| 1895년 | 3,798,000 | ||
| 1896년 | 11,858,000 | ||
| 1897년 | 2,511,000 | ||
| 1898년 | 4,304,000 | ||
| 1899년 | 4,681,000 | ||
| 1900년 | 13,319,100 | ||
| 1901년 | 3,150,000 | ||
| 1902년 | 3,327,000 | ||
| 1903년 | 10,077,000 | ||
| 1904년 | 5,751,000 | ||
| 1905년 | 3,561,000 | ||
| 1906년 | 10,194,000 | ||
| 1907년 | 14,062,000 | ||
| 1908년 | 13,986,000 | ||
| 1909년 | 9,201,000 | ||
| 1910년 | 761,000 | ||
| 1911년 | |||
| 1912년 | |||
| 1913년 | 3,244,000 | ||
| 1914년 | |||
| 1915년 | |||
| 1916년 | |||
| 1917년 | |||
| 1918년 | |||
| 1919년 | |||
| 1920년 | |||
| 1921년 | 4,850,000 | 8,430,000 | |
| 1922년 | 1,150,000 | 8,570,000 | |
| 1923년 | |||
| 1924년 | 2,831,000 | ||
| 1925년 | 2,882,000 | ||
| 1926년 | 6,383,000 | ||
| 1927년 | 8,184,000 | ||
| 1928년 | 5,290,000 | ||
| 영국 | ||||
|---|---|---|---|---|
| style="text-align:center; white-space:nowrap;" | | 런던 | 봄베이 | 캘커타 | |
| 연도 | style="text-align:center; white-space:nowrap;" | | B | C | |
| 1895년 | 3,316,000 | |||
| 1896년 | 6,136,000 | |||
| 1897년 | 21,286,000 | |||
| 1898년 | 21,546,000 | |||
| 1899년 | 30,743,000 | |||
| 1900년 | 9,107,000 | 363,000 | ||
| 1901년 | 25,680,000 | 1,514,000 | ||
| 1902년 | 30,404,000 | 1,267,000 | ||
| 1903년 | 3,956,000 | |||
| 1904년 | 649,000 | |||
| 1905년 | ||||
| 1906년 | ||||
| 1907년 | 1,946,000 | |||
| 1908년 | 6,871,000 | |||
| 1909년 | 5,954,000 | |||
| 1910년 | 5,553,000 | |||
| 1911년 | 37,471,000 | |||
| 1912년 | 5,672,000 | |||
| 1913년 | 1,567,000 | |||
| 1914년 | ||||
| 1915년 | ||||
| 1916년 | ||||
| 1917년 | ||||
| 1918년 | ||||
| 1919년 | ||||
| 1920년 | ||||
| 1921년 | [18] | |||
| 1922년 | ||||
| 1923년 | ||||
| 1924년 | ||||
| 1925년 | 6,870,000 | |||
| 1926년 | ||||
| 1927년 | ||||
| 1928년 | ||||
| 1929년 | 5,100,000 | |||
| 1930년 | 6,660,000 | 10,400,000 | ||
| 1931년 | ||||
| 1932년 | ||||
| 1933년 | ||||
| 1934년 | 17,335,000 | |||
| 1935년 | [19] | |||
참조
[1]
간행물
Japanese Silver Trade Dollar
http://www.charm.ru/[...]
[2]
서적
1996 Standard Catalog of World Coins
Krause Publications
[3]
서적
1996 Standard Catalog of World Coins
Krause Publications
[4]
간행물
Trade Coinage
http://en.numista.co[...]
[5]
간행물
Silver as Money: A History of US Silver Coins
http://www.silvercoi[...]
2014-08-22
[6]
간행물
The Rise and Fall of the Trade Dollar
https://web.archive.[...]
Collector USA
2005-01-02
[7]
서적
江戸の貨幣物語
東洋経済新報社
[8]
서적
日本の貨幣 −収集の手引き−
日本貨幣商協同組合
[9]
논문
"1853: The End of Bimetallism in the United States"
2017-08-07
[10]
서적
Standard catalog of WORLD COINS
Krause publications
[11]
서적
明治大正財政史(第13巻)通貨・預金部資金
大蔵省
[12]
서적
新訂 貨幣手帳・日本コインの歴史と収集ガイド
ボナンザ
[13]
서적
造幣局百年史(資料編)
造幣局
[14]
웹사이트
Trade Dollar Mintages at coinfacts.com
http://coinfacts.com[...]
[15]
서적
造幣局長第五十二年報書(大正十四年度)
大蔵省造幣局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웹인용
Japanese Silver Trade Dollar
https://web.archive.[...]
2018-02-25
[21]
서적
1996 Standard Catalog of World Coins
Krause Publications
[22]
웹사이트
1 Dollar British Trade Dollar
https://en.numist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