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제한 잠수함 작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제한 잠수함 작전은 군함뿐 아니라 민간 상선과 중립국 선박까지 공격하는 작전으로, 제1차 세계 대전부터 시작되었다. 이 작전은 사전 경고 없이 이루어지며, 해상 봉쇄 수단으로 사용된다. 독일은 1915년과 1917년에 두 차례에 걸쳐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실시하여, 루시타니아호 침몰 사건과 미국의 참전을 야기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추축국과 연합국 모두 이 작전을 사용했으며, 특히 미국은 일본의 해상 수송로를 차단하는 데 기여했다. 무제한 잠수함 작전은 전시 국제법 위반으로 전쟁 범죄 논란이 있으며, 뉘른베르크 재판에서도 소송 사유로 거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세계 대전 - 연합국
    연합국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동맹국 및 추축국에 대항한 국가들을 지칭하며,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합 창설 및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 이사국 구성에 중심 역할을 했다.
  • 제1차 세계 대전 - 독일 11월 혁명
    독일 11월 혁명은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패전 직후 독일 제국에서 발생하여 군주제를 무너뜨리고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으로 이어진 혁명으로,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 러시아 혁명의 영향, 군부의 붕괴 등이 배경이 되었다.
무제한 잠수함 작전

2. 제1차 세계 대전

1915년 1월 30일, SM U-21에 의해 격침된 ''린다 블랑쉬''의 독일 예술 작품. 순양함 규칙에 따라 승객과 승무원이 구명보트로 탈출하고 있다.


독일은 해상 장악을 위해 1915년부터 잠수함을 이용해 선박을 공격했다. 공격 대상은 영국군 선박뿐만 아니라 군수물자를 조달하던 선박까지 포함되었다. 1915년 5월 7일, 독일군은 영국 정기 여객선 루시타니아호를 공격해 미국 승객 128명이 사망했다. 미국과 독일 관계는 악화되었고, 미국이 연합국에 가담할 가능성이 커졌다. 독일은 미국에 사과하고 미국 선박을 공격하지 않기로 약속했고, 미국은 참전 위험을 고려해 이를 수용했다.

그러나 전황이 악화되자 1917년 2월 1일, 독일은 연합군 군수물자 차단을 위해 중립국 포함 모든 국가 선박을 공격하는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발표했다. 이 작전은 초기에는 연합국에 큰 피해를 입혔으나, 미국 선박 피해가 커지면서 루시타니아호 사건과 맞물려 미국과 독일 관계는 극단으로 치달았다.

결국 무제한 잠수함 공격은 치머만 전보와 함께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는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미국의 참전으로 연합군은 더 많은 군수물자를 공급받고, 미국군 투입으로 전세가 기울어 독일은 패전했다.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은 잠수함의 본격적인 전장 활용과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치머만 전보와 함께 미국 참전의 계기가 되어 연합국 승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1. 배경

독일은 영국 해군의 해상 봉쇄에 대응하고, 연합군의 해상 보급로를 차단하기 위해 잠수함(U-boat)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초기에는 순양함 규칙에 따라 민간 선박 공격을 제한했다.[1] 해상에서의 전쟁에 대한 공식적인 제한은 1899년 헤이그 협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2] 그러나 독일 제국 해군은 제1차 세계 대전 초기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고위 관리들로부터 내부적으로 심한 비판을 받았다. 알프레트 폰 티르피츠 제독과 후고 폰 폴 제독은 잠수함을 "기적의 무기"로 묘사하며, 잠수함 작전이 영국을 빠르게 굴복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3] 테오발트 폰 베트만-홀베크 총리는 1915년 2월 1일에 이 전략을 수용했다.[4]

오스카 체자레의 미국 만화로, ''루시타니아''호의 침몰을 보여준다. 경고 없이 여객선이 침몰하자 중립국의 여론이 격분했다.


1915년 5월, 독일 잠수함이 ''루시타니아''호를 침몰시켜 100명 이상의 미국인 승객이 사망하면서, 독일은 미국의 분노에 직면했다.[5] 이후 독일은 여객선 공격을 중단하고 중립 선박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6]

독일 제국연합국 및 중립국의 연합국향 선박 (여객선 포함)에 대한 공격을 실시했다. 독일은 1914년 개전 초에는 중립국 선박에 대한 공격을 금지하고 공격 전 사전 경고를 잠수함에 의무화했다. 독일 해군이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처음 실시한 것은 1915년 2월으로, 영국 해군의 북해 기뢰 봉쇄에 대한 불만과 잠수함 운용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영국의 해상 봉쇄와 주변 해역에서의 무경고 공격을 선언했다. 그러나 ''루시타니아''호 사건 등의 발생으로 인해 불과 반년 만에 중단되었다.

헤닝 폰 홀첸도르프 제독은 1917년 초, 독일 제국 해군 참모총장으로, 무제한 공격 재개를 주장하여 영국을 항복시키고자 했다. 독일 최고 사령부는 미국의 참전을 예상했지만, 미국의 동원이 서부 전선에서 독일의 승리를 막기에는 너무 느릴 것이라고 계산했다.[7][8] 그러나 독일의 결정은 미국이 영국을 지지하며 전쟁에 참여하게 만드는 "방아쇠" 역할을 했다.[9]

1916년 3월과 8월 28일, 포르투갈이탈리아가 독일에 선전포고했다. 전쟁의 장기화를 본 독일은 다시 무제한 잠수함전을 결의했다. 1917년 2월, 독일은 영국과 프랑스 주변 및 지중해 전역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선박에 대한 무경고 공격을 선언했다. 빌헬름 2세와 테오발트 폰 베트만 홀베크는 미국의 참전으로 독일이 불리해질 것을 우려하여 이 작전에 소극적이었지만, 에리히 루덴도르프 등 군부 수뇌진은 미국을 과소평가하여 이러한 의견을 묵살하고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실행에 옮겼다. 이 작전으로 인해, 같은 해 전반에는 독일 잠수함 부대의 전과가 최고조에 달했으나, 후반에는 연합국 측의 대책이 강화되면서 급속히 감소했다. 또한, 미국이 연합국 측으로 참전하는 원인이 되었다.

2. 2. 경과



제1차 세계 대전 초기, 독일 제국 해군은 소극적인 태도로 내부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유보트(U-boat) 작전 성공에 힘입어 알프레트 폰 티르피츠 제독과 후고 폰 폴 제독은 유보트로 영국을 단기간에 굴복시킬 수 있다는 계획을 제안했고, 테오발트 폰 베트만-홀베크 총리는 1915년 2월 1일 이를 수용했다.[4]

1915년 2월, 독일은 영국 주변 해역에서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처음 시행했다. 초기에는 동맹국 선박을 대상으로 하고 중립국 선박은 공식적으로 제외했지만, "우발적인" 중립국 선박 침몰의 억제 효과를 위해 유보트는 경고 없이 공격하고 목표 식별 노력을 최소화했다.[5]

1915년 5월 7일, 독일군은 루시타니아호를 공격하여 미국 승객 128명을 포함한 1,198명이 사망했다. 이 사건으로 미국과 독일 관계는 악화되었고, 미국이 연합국에 가담할 가능성이 커졌다. 독일은 미국에 사과하고 미국 선박을 공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으며, 미국은 참전 위험을 고려해 이를 수용했다.

그러나 전황이 악화되자 1917년 2월 1일, 독일은 연합군 군수물자 차단을 위해 중립국 포함 모든 선박을 공격하는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재개했다. 빌헬름 2세 황제와 테오발트 폰 베트만 홀베크 총리는 미국의 참전을 우려해 소극적이었으나, 군부의 강경한 주장에 밀려 시행되었다.

헤닝 폰 홀첸도르프 제독은 1917년 초 무제한 공격 재개를 주장했고, 독일 최고 사령부는 이것이 미국과의 전쟁을 의미함을 알았지만, 미국의 동원이 서부 전선에서 독일의 승리를 막기에는 너무 느릴 것이라고 계산했다.[7][8] 독일의 결정은 미국이 영국을 지지하며 참전하는 결정적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9]

무제한 잠수함 작전 초기에는 연합국에 큰 피해를 입혔지만, 미국 선박 피해와 루시타니아호 사건으로 미국과 독일 관계는 극단으로 치달았다.

2. 3. 결과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은 초기에는 연합군에게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 그러나 연합국에 군수물자를 공급하던 미국 선박이 독일 잠수함으로부터 많은 피해를 보았고, 이는 1915년 5월 7일 루시타니아호 사건과 맞물려 독일과 미국의 관계를 극단으로 치닫게 만들었다.[5]

중립국이었던 미국은 무제한 잠수함 공격으로 피해를 보자 참전 여론이 거세졌다. 결국 무제한 잠수함 공격은 치머만 전보와 더불어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는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7][8] 미국의 참전으로 연합군은 더 많은 군수물자를 공급받고, 미국군이 유럽 전장에 투입되면서 전세가 급격히 기울어 결국 독일은 패전했다.

1916년 3월과 8월 28일, 포르투갈이탈리아 왕국이 독일에 선전포고했다. 전쟁이 길어지자 독일은 다시 무제한 잠수함전을 결의했다. 1917년 2월, 독일은 영국과 프랑스 주변 및 지중해 전역을 대상으로 모든 선박을 표적으로 삼아 무경고 공격을 하는 완전한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실시한다고 선언했다. 당시 황제 빌헬름 2세와 재상 테오발트 폰 베트만 홀베크는 미국의 참전으로 독일이 불리해질 것을 우려해 이 작전에 소극적이었지만, 에리히 루덴도르프 소장 등 군부 수뇌진은 미국을 과소평가하여 이러한 신중한 의견을 묵살하고 작전을 실행에 옮겼다. 이 작전으로 인해 같은 해 전반에는 독일 잠수함 부대의 전과가 최고조에 달했지만, 후반에는 연합국의 대책 강화로 전과가 급감했다.

일본도 자국 선박이 독일에 공격받는 것을 우려했다(전시 선박 관리령).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추축국은 모두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실시했다. (국제 조약에 의해 보호받아야 할 선박도 포함)[14] 주요 전장은 대서양 해전과 태평양 전쟁이었다. 대서양에서는 독일 해군 및 이탈리아 해군이 연합국의 대서양 항로를 공격했고, 태평양에서는 미국 해군일본의 남방 항로를 공격했다. 미국 해군은 진주만 공격 직후부터 무제한 잠수함 작전 실행을 명령했다. 발트해에서도 독일, 소련 양 해군에 의해 무제한 잠수함 작전이 이루어졌다.[14]

일본 제국은 1941년 순잠을형 잠수함 9척을 미국 서해안에 파견해 통상 파괴 작전을 실시했다. 12월 중순부터 이듬해 상순까지 유조선과 화물선 5척을 격침시키고 5척을 대파했으며, 총 톤수는 6만 4669톤에 달했다 (미국 본토 공격). 이 잠수함들에 탑재된 수상기에 의한 미국 본토 공습과 미국 해군 기지 및 캐나다군 시설에 대한 포격도 실시했다. 1943년 후반까지 남태평양과 인도양에서 미국과 영국 연방의 선박에 대한 통상 파괴전이 이루어졌고, 전쟁 말기에는 여러 대의 항공기를 탑재할 수 있는 대형 잠수함 "이 400형 잠수함"으로 파나마 운하를 폭격하는 작전이 계획되기도 했다. 그러나 대함 거포주의와 해상 결전 사상을 중시했던 일본은 전함 등의 주력함을 주역으로, 잠수함항공기 등과 마찬가지로 함대 결전을 보조하기 위한 존재로 인식하여 초기에 이루어진 통상 파괴 작전은 중시하지 않았다.[15]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미국 해군과 영국 해군은 일본 본토 및 일부 점령 지역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등 다른 연합국의 지원을 받아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실시했다. 이 작전은 큰 효과를 거두었으며, B-29에 의한 기뢰 부설과 병행되어 일본의 해상 수송 능력을 크게 약화시켰다.[17] 이는 일본 항복의 한 원인이 되었다.

3. 1. 독일과 이탈리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추축국나치 독일과 파시스트 이탈리아는 대서양 해전에서 연합군의 해상 수송로를 차단하기 위해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펼쳤다.[14] 독일 해군이탈리아 해군은 연합국의 대서양 항로를 공격했다. (대서양 전투 참조).[14]

3. 2. 연합군 (미국)

태평양 전쟁에서 미국 해군일본 제국의 해상 수송로를 차단하기 위해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수행했다.[14] 이 작전은 진주만 공격 직후부터 시작되었다.[15] 미국의 잠수함 작전은 일본 상선단을 크게 격감시켜 일본의 전쟁 수행 능력을 약화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17]

3. 3. 일본

일본 해군은 개전 초 미국 서해안에서 통상 파괴 작전을 실시하여 유조선과 화물선 5척을 격침시키고 5척을 대파하는 등의 성과를 올렸다.[15] 그러나 일본 해군은 잠수함을 함대 결전을 위한 보조 전력으로 인식하여 통상 파괴 작전을 중시하지 않았다.[15]

대함 거포주의와 해상 결전 사상을 중시했던 일본에서는 전함 등의 주력함이 주역이었고, 잠수함항공기 등과 마찬가지로 함대 결전을 보조하기 위한 존재로 인식되었다.[15] 이러한 인식은 적의 통상 파괴 작전에 대한 대잠 전술 및 기술 개발을 경시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또한, 일본 잠수함은 수상 속력을 중시하여 수중 항행 시 정숙성을 결여하였고, 이는 영미 대잠 부대의 먹잇감이 되는 원인이 되었다. 민간 선박은 물론 대잠 전술의 주역인 구축함조차도 전쟁 말기에는 연합군 잠수함의 공격 앞에서 사실상 무력해졌다.

일본 해군은 적 함선의 예상 진로에 잠수함을 배치하는 산개선 운용을 주로 사용했지만, 이는 전선의 실정에 맞지 않아 잠수함 손실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미국 태평양 함대 사령관 체스터 니미츠 제독은 일본 해군의 잠수함 운용 방법에 대해 "주요 병기가 그 진정한 잠재 위력을 파악, 이해되지 않고 사용된 희유의 예"라고 비판했다.[16]

3. 4. 소련

소련 해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발트해에서 나치 독일 해군을 상대로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수행했다.[14]

4. 국제법 및 전쟁 범죄 논란

관습 국제법(소위 순양함 규칙)에 따르면, 적 전함은 자유롭게 공격할 수 있지만, 민간 선박과 중립국 선박은 (사전에 발표된 금지 품목을 운반하는 경우에만) 간섭할 수 있으며, 승무원의 생명을 보호해야 했다.[1] 해상 전쟁에 대한 공식적인 제한은 1899년 헤이그 협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2]

전시 국제법상으로는 군사 목표주의 원칙에 따라 연안 소항해에 사용되는 선박이나 어업 선박 등에 대한 공격도 허용되지 않았다. 또한, 중립국 선박에 대한 공격도 원칙적으로 금지되었으며, 전시 금지 물품을 운반하는 등 중립 위반 행위가 확인된 경우에만 나포 등이 허용되었다. 따라서 무제한 잠수함 작전은 전시 국제법 위반, 즉 전쟁 범죄라는 견해가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의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무제한 잠수함 작전 지령이 소송 사유 중 하나로 거론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상선을 상대로 한 잠수함 공격을 금지하는 국제 규정을 제정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했다.[2] 1922년 미국, 영국, 일본 제국, 프랑스, 이탈리아 왕국은 잠수함 사용을 제한하여 통상 파괴를 위한 도구로 무용지물로 만들기 위해 독가스 및 잠수함에 관한 워싱턴 조약에 서명했으나,[10] 프랑스가 비준하지 않아 조약은 발효되지 않았다.

1936년, 여러 국가들이 잠수함 전쟁에 관한 런던 의정서에 서명했다. 이 의정서가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해군 공격이 포획 규칙을 따라야 했으며, 전함이 상선을 수색하고,[11] 침몰 전에 승무원을 "안전한 장소"에 두도록 요구했다.[12]

그러나 전쟁 기간 동안 무제한 잠수함 작전에 대한 금지는 지나치게 불분명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이로 인해 규칙과 합의 사항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견이 발생했다.[2] 예를 들어, 영국이 상선을 무장할 권리를 유지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상선과 군함의 차이점이 불분명했다.[2] 또한, 좁은 공간으로 인해 소형 잠수함이 비전투 선박의 승무원을 수용하는 것은 비실용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2] 승무원을 비상 보트에 배치할 수는 있었지만, 그 안전성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했다.[2]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48개국이 무제한 잠수함 작전에 대한 금지를 수락했으며, 여기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주요 교전국들이 포함되었다.[2] 그러나 이들 국가는 이러한 제한을 빠르게 포기했다.

5. 한국과의 관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조선은 직접적인 전장은 아니었지만, 독일 제국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으로 인한 국제 정세 변화와 미국의 참전은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제강점기였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제국의 해상 수송로가 미국 해군 잠수함에 의해 차단되면서 조선은 극심한 물자 부족과 경제난을 겪었다. 이는 1945년 광복 직전까지 조선 사회에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17]

참조

[1] 논문 Naval targeting: lawful objects of attack
[2] 논문 Which Norms Matter? Revisiting the 'Failure' of Internationalism 1997
[3] 서적 The Sword and the Scepter vol III: The tragedy of statesmanship University of Miami Press 1972
[4] 서적
[5] 뉴스 Files show confusion over Lusitania https://www.bbc.co.u[...] 2014-05-01
[6] 서적
[7] 논문 The Holtzendorff Memorandum of 22 December 1916 and Germany's Declaration of Unrestricted U-boat Warfare 2004
[8] 웹사이트 The Holtzendorff Memo (English translation) with notes http://www.gwpda.org[...]
[9] 논문 The U-Boat, A German Fate? https://www.proquest[...] 2007
[10] 웹사이트 Washington Conference Treaties & Facts https://www.britanni[...] 2020-04-11
[11] 논문 "Execute Against Japan" Ohio State University
[12] 서적
[13] 웹사이트 The Trial of Admiral Doenitz https://www.history.[...]
[14] 웹사이트 World War II: Japan's Disinterest in Merchant Ship Convoying https://archive.nava[...] 2021-11-16
[15] 논문 中国潜水艦の脅威と米海軍 - 米海軍は中国潜水艦の脅威をいかに評価し、対抗しているのか - https://www.mod.go.j[...] 2013-12
[16] 서적 日本海軍潜水艦物語
[17] 서적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恒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