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 민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민법은 일본의 사법 체계를 구성하는 근본적인 법률로, 8세기 초 율령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었으며, 19세기 쇄국 정책 붕괴 이후 불평등 조약 개정 요구에 따라 본격적인 민법 제정 논의가 시작되었다. 1890년 부아소나드 등이 기안한 구 민법은 프랑스 민법을 모체로 하였으나 민법전 논쟁으로 시행되지 못했다. 현행 민법은 독일 민법을 참조하여 재산법 부분을 구성하고, 가족법은 일본 고유의 법 관습을 고려하여 제정되었다.

메이지 시대의 민법 학자 오카마츠 산타로의 분석에 따르면, 일본 민법은 독일, 프랑스, 영국의 법률을 참조하여 제정되었으며, 이후 사회 변화에 따라 채권법 및 상속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2017년에는 채권법이 개정되어 2020년 시행되었고, 2018년에는 상속법 개정 및 성년 연령을 18세로 낮추는 민법 개정안이 공포되어 2022년부터 시행되었다. 일본 민법은 민사 관련 법률, 민사 실체법, 민법 시행법 등 다양한 관련 법체계를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6년 법 - 적기조례
    적기조례는 1865년 영국에서 제정된 기관차 법으로, 증기 기관차의 안전 운행을 위해 속도 제한과 붉은 깃발을 든 보행자 배치 등의 규제를 포함했으나, 과도한 규제로 자동차 산업 발전을 저해했다는 비판을 받으며 기술 발전과 안전 사이의 균형 및 규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1896년 법 - 러청 밀약
    러청 밀약은 1896년 러시아 제국과 청나라 간 체결된 비밀 조약으로, 청나라가 일본에 지불할 배상금 마련을 위한 러시아 차관 도입 과정에서 러시아가 만주 주둔 및 권익 확대, 동청 철도 부설권 등을 획득하며 만주 지배의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
  • 일본의 법 - 일본 형법
    일본 형법은 범죄와 형벌을 규정하는 실체법으로, 총칙과 각칙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범죄 유형과 그에 따른 형벌을 규정하며, 속지주의를 기본으로 속인주의, 보호주의, 세계주의를 보충하고, 규범적 기능, 보호적 기능, 보장적 기능을 수행한다.
  • 일본의 법 - 서대문형무소
    서대문형무소는 1908년 일제에 의해 경성감옥으로 설립되어 1987년까지 사용된 한국 최초의 근대식 감옥으로, 독립운동가들이 투옥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광복 후에는 서울구치소로 이름이 바뀌어 사용되다가 서대문독립공원으로 조성되어 서대문형무소역사관으로 개관하여 현재는 역사 교육의 장이자 과거사 반성의 공간이다.
일본 민법
법률 정보
법률명민법
영문명Civil Code
기본 정보
효력현행법
종류민법
소관법무부 민사국
내용사법의 일반법 (총칙, 물권, 채권, 친족, 상속)
관련 법률민법 시행법
부동산등기법
호적법
이자제한법
차지차가법
상법
Egov law 링크Egov law
위키문헌민법 (일본)

2. 연혁

1896년 법률 제89호로 제정된 민법 제1편, 제2편, 제3편 (총칙, 물권, 채권) 및 1898년 법률 제9호로 제정된 민법 제4편, 제5편 (친족, 상속)은 1898년 7월 16일부터 시행되었다.[6]

이 민법전은 메이지 유신 이후 사회 정세와 가치관이 크게 변화하는 가운데, 민법전 논쟁에서 호즈미 야츠카는 일본 고유의 미풍을 해치고 가족 제도를 무시한다고 비판했지만, 대심원을 비롯한 법조계에서는 호주권의 폐해가 인식되어 1925년 (다이쇼 14년)에는 호주권 제한, 여성 지위 향상, 남녀 평등을 목표로 하는 개정론이 지배적이었다. 일본국 헌법 제정을 계기로 가족 제도가 폐지되는 등 근본적인 개정이 이루어졌다.[10]

이 과정에서 오쿠노 겐이치, 와가쓰마 사카에, 나카가와 젠노스케 등이 중심적인 역할을 했으며,[11] 신의성실의 원칙과 권리 남용 금지의 원칙이 명문화되었다(현행 1조 2항 및 3항).

민법전은 형식상 메이지 29년 법률과 메이지 31년 법률 두 가지로 구성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법전으로 취급되며, 민법을 인용할 때는 메이지 31년 법률의 제4편 이하를 포함하는 의미로 '민법(메이지 29년 법률 제89호)'으로 표기한다.[13]

2. 1. 구민법 이전

8세기 초, 중국의 율령 체계의 영향을 받은 대보령이 성립되어 민법 규정도 그 요부를 차지했다. 그러나 12세기 말 무가 시대가 되면서 율령은 효력을 잃었고, 19세기 중반까지 일반 사회에 통용되는 민법전은 존재하지 않았다.[17]

19세기 중반 쇄국 정책이 붕괴된 후, 여러 외국으로부터 불평등 조약 개정 조건으로 민법전 제정을 요구받아 조속히 제정할 필요가 생겼다.[19] 메이지 정부 초대 사법경인 에토 신페이는 미쓰쿠리 린쇼에게 프랑스 민법을 "오역도 상관없으니, 다만 속히 번역하라"고 명령했는데, 이는 이러한 사정을 배경으로 한다.[20] ('''부사 민법'''[21]) 다만, 에토는 국내법 통일을 통한 부국강병에 더 중점을 두었던 것으로 보인다.[22] 특히 외국인에게 적용되지 않는 가족법은 불평등 조약 개정의 필수 조건이 아니었으므로, 외국법을 모방할 필요가 없다는 인식이 있었다.[23]

2. 2. 구민법 (1890년)

부아소나드 등이 기안한 민법전으로, 민법전 논쟁으로 인해 시행되지 못하고 폐지되었다. 프랑스 민법전을 주요 모체로 하였으나, 이탈리아 민법, 네덜란드 민법, 벨기에 민법 등도 참조하여 일본 고유의 관습을 반영하려 노력하였다.[25][26][32][33] ('''모방 민법'''[21][34])

이 구 민법에서도 인사편 및 재산 취득편의 상속, 증여, 유증, 부부 재산 계약에 관한 부분(이른바 신분법 또는 가족법)은, 특히 일본 고유의 민정 관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서, 사법성 민법 편찬 회의의 이소베 시로 및 구마노 도시조 등 일본인 위원만이 기안했다.[27] 구 민법 초안[28]이 구 민법 공포까지의 10년 동안 부아소나드 자신 또는 일본인 위원의 손에 의해 수정된 경우도 있어, 그대로 구 민법이라고 할 수는 없다.[29]

한편, 시행되지 않은 채 폐지된 당시의 법률에는 『'''법례'''』(메이지 23년 법률 제97호)가 있다.[35]

2. 3. 현행 민법

1896년 (메이지 29년) 법률 제89호로 제정된 민법 제1편, 제2편, 제3편 (총칙, 물권, 채권) 및 1898년 (메이지 31년) 법률 제9호로 제정된 민법 제4편, 제5편 (친족, 상속)은 1898년 7월 16일부터 시행되었다.[6]

이 민법전은 메이지 유신 이후 사회 정세와 가치관이 크게 변화하는 가운데 성립되었다.[8] 민법전 논쟁에서 호즈미 야츠카는 일본 고유의 미풍을 해치고 가족 제도를 무시한다고 비판했지만, 대심원을 비롯한 법조계에서는 호주권의 폐해가 인식되기도 하였다.[9] 1925년 (다이쇼 14년)에는 호주권 제한, 여성 지위 향상, 남녀 평등을 목표로 하는 개정론이 지배적이었으며, 일본국 헌법 제정을 계기로 가족 제도가 폐지되는 등 근본적인 개정이 이루어졌다.[10] 이 과정에서 오쿠노 겐이치, 와가쓰마 사카에, 나카가와 젠노스케 등이 중심적인 역할을 했으며,[11] 신의성실의 원칙과 권리 남용 금지의 원칙이 명문화되었다(현행 1조 2항 및 3항).

민법전은 형식상 메이지 29년 법률과 메이지 31년 법률 두 가지로 구성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법전으로 취급된다.[12] 민법을 인용할 때는 메이지 31년 법률의 제4편 이하를 포함하는 의미로 '민법(메이지 29년 법률 제89호)'으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3]

현행 민법의 초석은 1890년에 공포되었으나 민법전 논쟁으로 시행되지 못하고 폐지된 구 민법이다.[25] 구 민법은 프랑스 민법전을 모범으로 하면서도 이탈리아, 네덜란드, 벨기에 민법 등을 참조하여 일본 고유의 관습에 맞도록 수정하려는 노력이 있었다.[32]

일본 민법이 프랑스 민법 또는 독일 민법을 모방했다는 주장은 시행 직후부터 있었지만, 조문을 제대로 살펴보지 않은 주장이라는 비판도 있었다.[36]

2. 3. 1. 가족법

일본 민법의 가족법은 구 민법 이래 일본 고유법이 많아 외국법의 법리가 해석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40] 메이지 민법의 큰 특징이었던 호주권과 가독 상속제는 독일 민법에는 존재하지 않아 관련이 없다.[41]

하지만, 일본국 헌법 제정을 계기로 법률상 가(家) 제도가 폐지된 전후 개정 민법은 대륙법의 영향을 받았다.[42] 특히 상속법은 프랑스법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43] 형사소송법이나 헌법과 달리, GHQ의 적극적인 간섭 및 미국법의 영향은 부정된다.[44]

2. 3. 2. 재산법

일본 민법의 재산법 부분은 독일 민법 제1초안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49] 이 초안은 개인주의자유주의를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는다.[52] 그러나 물권법 분야는 일본 고유의 법 관습과 사회적 실태를 고려하여 독일 민법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낮다.[50]

독일 민법 제1초안은 로마법만민법을 추상화하여 만든 것으로, 세계 각국의 입법, 판례, 학설에 큰 영향을 미쳤다. 메이지 민법(특히 재산법)은 이러한 독일 민법 제1초안의 성질을 계승하여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54]

일본 민법은 독일법 외에도 작센, 프로이센, 스위스, 오스트리아, 몬테네그로,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벨기에, 네덜란드, 포르투갈, 인도, 영국, 미국, 러시아 등 다양한 국가의 법률을 참조했다.[58] 오카마츠 산타로는 메이지 민법에 미친 영향의 비율을 독 6, 불 3, 영 0.2, 일본 관습 0.8로 분석했다.[61]

영미법의 영향으로는 울트라 바이러스의 법리를 규정한 민법 34조(법인의 능력)와 손해배상의 범위를 규정한 민법 416조 등이 있다.[62]

일본 민법은 특정 모법에만 의거하기보다는 일본인 자신의 민법으로 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된다.[87]

3. 구성

일본 민법전은 판덱텐 방식을 채택하여, 제1조부터 제1050조로 구성된다. 크게 재산법(총칙, 물권, 채권)과 가족법(친족, 상속)으로 구분된다.[90]

1896년 (메이지 29년) 법률 제89호로 제정된 민법 제1편, 제2편, 제3편 (총칙, 물권, 채권) 및 1898년 (메이지 31년) 법률 제9호로 제정된 민법 제4편, 제5편 (친족, 상속)으로 구성되어, 7월 16일부터 시행되었다.[6] 민법 원안 초안자는 호즈미 노부시게, 토미이 마사아키, 우메 겐지로 3명이다.

민법전은 메이지 유신 이후 사회 정세와 가치관의 변화 속에서 타협적으로 성립되었기 때문에[8], 교육계에서는 일본 고유의 전통과 가족 제도를 해친다는 비판을 받았다.[9] 그러나 법조계에서는 호주권의 폐해를 인식하여[9], 1925년 (다이쇼 14년)에는 호주권 제한, 여성 지위 향상, 남녀 평등을 위한 개정론이 지배적이었다.[10] 이후 일본국 헌법 제정을 계기로 가족 제도의 폐지를 중심으로 하는 근본적인 개정이 이루어졌다.[10]

개정 작업에는 오쿠노 겐이치, 와가쓰마 사카에, 나카가와 젠노스케 등이 중심적인 역할을 했으며[11], 신의성실의 원칙과 권리 남용의 법리가 명문화되었다(현행 1조 2항 및 3항).

민법전은 형식상으로는 메이지 29년 법률과 메이지 31년 법률 두 가지로 구성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법전으로 취급된다.[12][15]

3. 1. 재산법의 구성

일본 민법의 재산법은 소유권, 계약법, 불법행위법으로 구성된다. 계약 관계와 침해 관계에 관한 규칙은 채권으로, 물건을 직접 지배하는 권리는 물권으로 추상화된다.[36][37]

채권은 계약법, 불법행위법 외에 사무관리, 부당이득과 같은 법률 관계에서도 발생한다. 물권에는 소유권 외에 용익물권, 담보물권 등이 있다. 민법 총칙은 물권과 채권에 공통되는 규칙을 규정한다.

3. 1. 1. 총칙

일본 민법 제1편 총칙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일본 민법이 프랑스 민법 또는 독일 민법을 모방했다는 주장은 시행 직후부터 있었지만, 조문을 보지 않은 사람들의 주장이라고 비판받았다.[36] 전후 지식인들 또한 서양의 표면적인 모방에 불과하다고 주장했지만, 전후 민주주의를 신봉하는 입장에서 전전의 전면 부정을 단행한 것이므로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비판[37]도 있다.

재산법이 대상으로 하는 법률 관계에 관한 규칙은 소유권에 관한 법, 계약법, 불법행위법으로 나뉜다. 이 중 계약법과 불법행위법을 통합하여, 특정인이 다른 특정인에게 일정한 급부를 청구할 수 있는 지위인 채권으로 추상화한다. 그리고 나머지에 대해 물건을 직접 지배하는 권리, 즉 특정인이 모든 사람에게 주장할 수 있는 지위인 물권이라는 개념으로 파악하는 구성이 채택되어 있다.

채권으로 추상화된 지위·권리에 관해서는, 채권의 발생 원인으로서 계약법에도 불법행위법에도 해당하지 않는 사무관리, 부당이득과 같은 법률 관계에 관한 개념이 별도로 세워진다. 물권에 관해서도, 소유권을 물권으로 추상화함에 따라, 소유권으로 파악되는 권능의 일부를 내용으로 하는 용익물권·담보물권에 관한 규정도 필요하게 된다. 또한, 물권과 채권에 공통되는 규칙도 존재한다(민법 총칙).

3. 1. 2. 물권 (물권법)

일본 민법에서 물권법은 물건을 직접 지배하는 권리, 즉 특정인이 모든 사람에게 주장할 수 있는 권리인 '물권'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일본 민법 제2편 물권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36][37]

3. 1. 3. 채권

일본 민법의 채권편은 총칙, 계약, 사무관리, 부당이득, 불법행위로 구성된다. 총칙에서는 채권의 목적, 효력, 다수 당사자의 채권 및 채무, 채권양도, 채무인수, 채권의 소멸을 규정한다. 계약(계약법)에서는 총칙, 증여, 매매, 교환, 소비대차, 사용대차, 임대차, 고용, 도급, 위임, 기탁, 조합, 종신정기금, 화해를 다룬다.[87]

3. 2. 가족법의 구성

일본 민법의 가족법은 친족 관계를 다루는 친족법과 상속에 관한 상속법으로 구성된다.[91] 친족법은 혼인, 친자 관계, 부양 의무, 친권, 성년후견제도 등을 포함한다. 상속법은 상속인, 상속 재산, 재산 분할, 유언, 유류분 등에 관한 내용을 규정한다.

일본 민법은 판덱텐 방식을 채택하여, 가족법(친족, 상속)을 재산법(총칙, 물권, 채권) 뒤에 배치하였다.[90] 이는 근대 개인주의적 관점에서 개인 간의 계약에 의한 권리 변동을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이다.

3. 2. 1. 친족 (친족법)

가족법친족 관계에 관한 규칙 ('''친족법''')은 부부 관계를 규율하는 규칙 ('''혼인법''')과 친자 관계를 규율하는 규칙 ('''친자법''')으로 구분된다. 그 밖의 친족 관계에 대해서도 부양 의무를 중심으로 한 규칙이 필요하다. 친권에 관한 규칙은 친자법에 포함되지만, 편성상 친자법에서 분리되어 성년후견제도와 일괄하여 제한능력자 감독에 관한 규칙으로 파악된다.

일본 민법 제4편 친족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3. 2. 2. 상속 (상속법)

상속법은 주로 상속인, 상속 재산, 상속 재산의 분할 및 청산에 관한 규칙으로 나뉜다. 그 외에 유언에 관해서는 유언 내용이 반드시 상속에 관한 것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이른바 '''유언법'''을 상속법과 구별하는 입법례도 있지만, 일본에서는 상속법에 포함시켜 입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속에 의한 생활 보장과 유언과의 조정의 관점에서 유류분에 관한 규칙을 두고 있다. 다만, 이러한 규정을 통해 총칙에 묶는 방식이 채택되는 경우도 있다.

일본 민법의 상속법(제5편) 구성은 다음과 같다.

구성
제1장 총칙
제2장 상속인
제3장 상속의 효력
제4장 상속의 승인 및 포기
제5장 재산 분리
제6장 상속인의 부존재
제7장 유언
제8장 배우자의 거주의 권리
제9장 유류분
제10장 특별한 기여


4. 민법 (채권법) 개정

1896년 제정된 일본 민법은 일본국 헌법 제정을 계기로 친족, 상속 부분을 중심으로 근본적으로 개정되었고, 신의성실의 원칙권리남용의 법리가 명문화되었다. 그러나 사회 변화에 대한 대응이 미흡하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개정 논의가 지속되었다.[95]

2009년 3월, [http://www.shojihomu.or.jp/saikenhou/ 민법 (채권법) 개정 검토 위원회]가 개정 시안을 발표했지만, 학계, 법조계, 재계에서 강한 이견이 제기되었다.[104][105] 2011년 12월 24일 각의 결정된 "일본 재생의 기본 전략"은 경제 세계화 등을 고려하여 2013년 초까지 민법 개정 중간 시안을 정리하도록 하였다.[107]

2013년 2월 26일, 법제 심의회는 "민법 (채권 관계) 개정에 관한 중간 시안"을 결정하고, 공개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쳤다.[110] 2014년 8월 26일에는 "민법 (채권 관계) 개정에 관한 요강 가안"이 결정되었으나,[111] 여전히 많은 비판이 제기되었다.[113]

2015년 2월 10일, "민법 (채권 관계) 개정에 관한 요강안"이 결정되고,[114] 법무대신에게 답변되었다.[115] 2017년 5월 26일, 제193회 국회에서 개정 민법이 성립되었고,[116] 2020년 4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주요 개정 내용은 판례 법 문화, 소멸 시효, 보증, 약관 계약 제도 개혁, 전세금 관계 규정 신설 등 민법의 부분적 수정이다.[112]

5. 민법 (상속법) 개정

고령화 사회 진전에 따라 유산 상속이 증가하면서, 배우자의 유산 분배를 확대하고 유산 상속으로 인해 자택에서 퇴거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8년 7월 13일에 민법(상속법) 개정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민법 및 가사 사건 절차법 일부를 개정하는 법률'(헤이세이 30년 법률 제72호)이 공포되었다.[117] 이 법률은 부칙 제1조에 따라 공포된 날부터 1년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령으로 정하는 날부터 시행되도록 규정되어, 2019년 7월 1일에 시행되었다.

주요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상속 개시 시 배우자가 피상속인 재산의 건물에 거주하고 있던 경우, 배우자의 거주 권리를 신설하였다. 배우자 거주권과 배우자 단기 거주권 두 종류가 있으며, 배우자 거주권은 유산 분할 또는 유증으로 발생하며 원칙적으로 종신이다. 배우자 단기 거주권은 그 외의 경우 6개월이다.
  • 유산 분할 전에도 유산에 속하는 예금의 3분의 1에 법정 상속 비율을 곱한 금액까지는 단독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유산 분할 전 예금 채권 행사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였다.
  • 자필 증서 유언에 첨부하는 목록에 대해서는 자필일 필요가 없도록 자필 증서 유언 방식을 완화하였다. (2019년 1월 13일 시행)
  • 유류분 감액 청구는 금전 지급을 요구하는 권리라는 것을 명시하여 유류분 감액 청구권의 금전 채권화를 이루었다.
  • 배우자 거주권과 배우자 단기 거주권 규정은 2020년 4월 1일에 시행되었다.[117]

6. 민법 (성년 연령) 개정

2018년 6월 13일, 민법의 성년 연령을 20세에서 18세로 낮추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민법 개정이 성립되어, 민법의 일부를 개정하는 법률(헤이세이 30년 법률 제59호)로서 공포되었다. 성년 연령 재검토는 메이지 9년의 태정관 포고 이후 약 140년 만이다. 18세, 19세의 젊은이가 스스로의 판단으로 인생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정비함과 동시에, 그 적극적인 사회 참여를 촉진하여 사회를 활력 있게 하는 의의를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118]

이 개정에서는 여성의 혼인 개시 연령을 16세에서 18세로 높여 남녀의 혼인 개시 연령이 통일되었다. 성년 연령 인하와 혼인 연령 인상에 따라 미성년자의 혼인이 없어지므로, 미성년자의 혼인에 대한 부모의 동의는 폐지되었다.

이 외에도 연령 요건을 정하는 다른 법령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18세로 낮추는 등의 개정이 이루어진다. 이 개정은 2022년 4월 1일부터 시행되며, 그 시점에 18세 및 19세인 사람은 그날에 성인이 된다(개정법 부칙 제2조 제2항). 또한 그날에 16세 및 17세인 여성은 혼인 연령 인상에 관계없이 혼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18세가 되어 성인이 될 때까지는 부모의 동의가 필요하다(개정법 부칙 제3조 제2항, 제3항).

7. 민법에 관한 법체계

일반 사법을 규율하는 법을 총칭하여 실질 민법(「실질적 의미의 민법」)이라 하고, 「민법」이라는 명칭을 가진 법률을 형식 민법(「민법전」 또는 「형식적 의미의 민법」)이라고 한다.[1] 민법전 안에 제84조의3・제1005조와 같은 벌칙 규정이 일부 존재하고, 민법전 이외에도 민법전 중의 규정과 동일하거나 매우 근접한 성격의 사항을 규율 대상으로 하는 법 규범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별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시민 생활에서의 시민 상호 관계(재산 관계, 가족 관계)를 규율하는 법」으로서 민법전의 여러 규정에 더하여, 부동산 등기법, 호적법 등의 여러 법도 「실질적 의미의 민법」에 포함된다.

다만, 어떤 특별법이 이 「민법」에 포함되는지 명확한 기준은 없으며, 학자에 따라 그 범위는 다르다. 이 개념 구분의 실익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관습법·판례법·조리를 그 범위에 더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지적되기도 한다.[119]

7. 1. 민사 관련법

민법전이 상정하는 등록 제도에 관해 정한 법률로는 부동산 등기법, 호적법, 후견 등기 등에 관한 법률 등이 있다. 그리고 특정 법률 관계에 관한 민법전의 특별법으로 차지차금법, 상법, 각종 노동법, 할부판매법 등이 있다.[1]

7. 2. 민사 실체법

민법전은 민사 실체법이다. 민법전과 그 특별법에 규정하는 권리를 실현하기 위한 민사 절차법으로 민사소송법, 인사소송법, 가사사건절차법, 민사집행법, 민사보전법, 각종 도산법 등이 있다.[1]

7. 3. 민법 시행법

민법 시행법은 1898년 7월 16일(민법 시행일)에 시행되었다.[6] 주로 민법 시행 이전의 법령, 시행 이전부터 존재하는 권리·의무, 시행 전에 행해진 절차 등의 취급에 대해 규정하고 있지만, 증서의 확정일자 규정과 같은 민법 시행 후에 행해진 행위에 관련된 규정도 포함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民法の基礎 1 総則 第5版 有斐閣
[2] 웹사이트 日本法令外国語訳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民法(第一編第二編第三編) http://www.japanesel[...] 法務省 2017-06-17
[3] 웹사이트 日本法令外国語訳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民法(第四編第五編(暫定版)) http://www.japanesel[...] 法務省 2017-06-17
[4] 서적 民法の基礎 1 総則 第5版 有斐閣
[5] 서적 民法の基礎 1 総則 第5版 有斐閣
[6] 문서 明治31年法律第11号民法施行法 内閣官報局
[7] 웹사이트 民法施行法被改正法令一覧 http://hourei.ndl.go[...]
[8] 서적 民法研究VII 親族・相続 有斐閣
[9] 서적 刑法に於ける重点の変遷 再版 有斐閣
[10] 서적 百萬人の法律学 思索社
[11] 서적
[12] 서적 日本法理叢書第二十五輯 民法起草と日本精神――梅先生の「条理」を中心として―― 日本法理研究会
[13] 서적
[14] 논문 日本における民法典編纂の意義と今後の課題 (特集 法典化の19世紀 : (ポスト)コロニアル・パースペクティヴ) https://hdl.handle.n[...] 19世紀学学会, 19世紀学研究所
[15] 서적 コード・シヴィルの200年 法制史と民法からのまなざし 創文社
[16] 문서 我妻ほか・ダットサン民法3,2版4頁、石井三記・コードシヴィルの200年110頁
[17] 서적
[18] 서적 織錦舎随筆,戸令応分条考 吉川弘文館
[19] 문서 仁井田ほか(1938)16頁、松波ほか(1896)1巻10頁、 穂積陳重・法窓夜話97話、穂積(1948)12頁
[20] 서적 歴史の中の民法――ローマ法との対話 日本評論社
[21] 웹사이트 穂積陳重・法窓夜話61話 http://web.kyoto-ine[...]
[22] 서적 民法典の編纂 創文社
[23] 서적 ボワソナアド 日本近代法の父 岩波書店
[24] 서적 日本法制史 青林書院
[25] 웹사이트 民法財産編財産取得編債権担保編証拠編 https://dl.ndl.go.jp[...] 内閣官報局
[26] 웹사이트 民法財産取得編人事編 https://dl.ndl.go.jp[...] 内閣官報局
[27] 문서 富井(1922)65〜67頁、磯部四郎『大日本新典民法釈義・財産編第一部物権(上)』1頁、平井一雄・村上一博編『磯部四郎研究 日本近代法学の巨擘』62頁(信山社、2007年)、四宮和夫『民法総則』第4版10頁(弘文堂、1986年)
[28] 문서 再閲民法草案 司法省
[29] 논문 『民法理由書』について https://hdl.handle.n[...] 雄松堂出版
[30] 서적 近世・近代ヨーロッパの法学者たち: グラーティアヌスからカール・シュミットまで ミネルヴァ書房
[31] 웹사이트 三成美保 【法制史】フランス革命(1789年)とコード・シヴィル(1804年) http://ch-gender.jp/[...]
[32] 서적 日本の法学者 日本評論社
[33] 논문 民法制定過程における家族制度-第一草案、旧民法、明治民法をめぐって https://doi.org/10.1[...]
[34] 간행물 法典二関スル話 国家学会
[35] 웹사이트 法例 https://dl.ndl.go.jp[...]
[36] 논문 我新民法ト外國ノ民法(続) https://dl.ndl.go.jp[...] 法典質疑會 1896
[37] 서적 高校生のための法学入門 法学とはどんな学問なのか 信山社 2022
[38] 논문 民法編纂の由来に関する記憶談
[39] 서적 民法研究VII 親族・相続 有斐閣 1969
[40] 문서 富井 1922
[41] 서적 獨逸民法IV 親族法 有斐閣 1942
[42] 문서 我妻 1956
[43] 서적 相続法 有斐閣 2002
[44] 문서 我妻 1956
[45] 기타 Nobushige Hozumi, The new Japanese civil code : as material for the study of comparative jurisprudence https://archive.org/[...]
[46] 웹사이트 穂積陳重・法窓夜話61話 http://web.kyoto-ine[...]
[47] 문서 デルンブルヒ 1911
[48] 서적 獨逸民法草案 1888年第一草案 信山社 1999
[49] 기타 仁保亀松述『民法総則』 https://dl.ndl.go.jp[...] 京都法政学校 1904
[50] 서적 立法沿革研究の新段階 信山社 2016
[51] 서적 日本近代法制史 第2版 新世社 2015
[52] 문서 我妻 1965
[53] 간행물 社会政策か民法典か https://doi.org/10.1[...] 岡山大学教育学部 2005
[54] 간행물 穂積八束の「公法学」(1) https://doi.org/10.1[...] 一橋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 2013-03
[55] 서적 世界法史概説 有信堂 1950
[56] 문서 我妻・有泉 1983
[57] 간행물 明治民法と梅謙次郎:帰国100年を機にその業績を振り返る〔含 年譜〕 https://doi.org/10.1[...] 法学志林協会 1991
[58] 서적 立法沿革研究の新段階 信山社 2016
[59] 간행물 明治民法起草過程における外国法の影響 https://doi.org/10.3[...] 東洋大学国際哲学研究センター 2014
[60] 서적 史料債権総則 成文堂 2010
[61] 논문 岡松参太郎――法比較と学理との未完の綜合――
[62] 문서 内田 2008
[63] 문서 仁井田ほか 1938
[64] 서적 民法講義1 民法総論 法律文化社 2015
[65] 논문 学説継受(一) 1966
[66] 문서 我妻 1971
[67] 판결문 大正6年11月14日大審院第3民事部判決 1917-11-14
[68] 서적 債権法における信義誠実の原則 有斐閣 1955
[69] 문서 星野 1970
[70] 문서 我妻 1965
[71] 서적 内田 2008
[72] 서적 星野 1970
[72] 서적 加藤 2005
[72] 서적 加藤 1993
[73] 서적 星野 1970
[73] 서적 星野 1986
[74] 서적 内田 2009
[75] 서적 仁井田ほか 1938
[75] 서적 星野 1970
[75] 서적 星野 1986
[76] 간행물 我新民法ト外国ノ民法 法典質疑録
[76] 서적 現代民法学の展開 有斐閣 1993-09
[77] 논문 梅・富井の民法解釈方法論と法思想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法学部 1991
[78] 간행물 法律の解釈 博文館 1903-02
[78] 서적 民法総則(自第一章至第三章) 法政大学 1907
[79] 서적 民法総則 京都法政学校 1904
[79] 서적 国民教育法制通論 金港堂書籍 1904
[79] 서적 富井(1922) 1922
[79] 서적 獨逸民法論序 1932
[79] 서적 獨逸法学の日本に及ぼせる影響 1934
[79] 서적 獨逸新民法論上巻 早稲田大学出版部 1911
[80] 서적 加藤 2005
[80] 서적 加藤 1993
[81] 논문 再論・法解釈学(実定法学)方法論と債権譲渡(467条・468条)に関する幾つかの問題(2完) 池田真朗教授の近著と3つの書評および私法学会ワークショップの討議に因んで https://hdl.handle.n[...] 法学志林協会 1995
[82] 서적 立法沿革研究の新段階 : 明治民法情報基盤の構築 信山社 2016
[83] 서적 立法沿革研究の新段階 : 明治民法情報基盤の構築 信山社 2016
[84] 논문 民法起草時における参照外国法令の分析 https://doi.org/10.1[...] 名古屋大学 2014
[85] 서적 立法沿革研究の新段階 : 明治民法情報基盤の構築 信山社 2016
[86] 서적 英佛獨法律思想の基礎 1936
[86] 서적 加藤 1993
[86] 서적 我妻 1971
[86] 서적 星野 1970
[87] 서적 穂積 1948
[87] 서적 石坂 1919
[87] 웹사이트 末弘嚴太郎『物権法上巻』 http://homepage1.nif[...] 有斐閣 1921
[88] 웹사이트 『プラヤー・マーン・ナワ・ラーチャ・セーウィー卿談話録』より− 西暦1920年前後におけるタイ民商法典編纂方針の転換をめぐって − http://www.openlegal[...]
[89] 간행물 1925年タイ民商法典における日本民法継受の態様 (2010年度秋季研究総会シンポジウム報告・要旨) http://openlegaltext[...] アジア法学会 2011
[90] 서적 松波ほか 1896
[91] 웹사이트 穂積・法典論第三編第四章 http://homepage1.nif[...]
[92] 서적 親族法相続法講義案 司法協会 2007
[93] 서적 仁井田ほか 1938
[94] 서적 富井男爵追悼集 有斐閣 1936
[95] 서적 富井 1922
[96] 서적 穂積・法典論
[97] 간행물 梅・国家学会雑誌
[97] 서적 修正法典質疑要録 1896
[97] 서적 穂積 1932
[97] 서적 富井 1922
[98] 서적 内田 2009
[99] 서적 穂積(陳)・法典論
[100] 서적 富井・債権総論上
[101] 서적 富井 1922
[102] 간행물 梅・太陽
[102] 서적 富井 1922
[102] 서적 穂積 1932
[102] 서적 デルンブルヒ 1911
[103] 서적 内田 2009
[104] 서적 内田 2009
[104] 서적 民法(債権法)改正――民法典はどこにいくのか 日本評論社 2011
[104] 서적 民法改正の真実 自壊する日本の法と社会 講談社 2013
[104] 웹사이트 経団連「民法(債権関係)の改正に関する中間試案」に対する提言 http://www.keidanren[...]
[105] 서적 詳解・債権法改正の基本方針 信山社 2009
[105] 서적 債権法改正の基本方針 商事法務 2009
[105] 서적 債権法の新時代「債権法改正の基本方針」の概要 商事法務 2009
[105] 서적 民法(債権法)改正――民法典はどこにいくのか 日本評論社 2011
[105] 서적 民法改正の真実 自壊する日本の法と社会 講談社 2013
[105] 서적 実務家からみた民法改正―「債権法改正の基本方針」に対する意見書 商事法務 2010
[105] 서적 法律時報増刊「民法改正 国民・法曹・学界有志案」仮案の提示 日本評論社
[106] 서적 民法(債権法)改正――民法典はどこにいくのか 日本評論社 2011
[107] 웹사이트 「日本再生の基本戦略」について(平成23年12月24日閣議決定) http://www.npu.go.jp[...] 2011-12-24
[108] 서적 民法改正――契約のルールが百年ぶりに変わる ちくま新書
[109] 웹사이트 栗田哲郎「ビジネスロイヤーから見たアジア法と法整備支援」 https://www.moj.go.j[...]
[110] 웹사이트 「民法(債権関係)の改正に関する中間試案」(平成25年2月26日決定) https://www.moj.go.j[...] 法務省 2016-04-01
[111] 웹사이트 「民法(債権関係)の改正に関する要綱仮案」(平成26年8月26日決定) https://www.moj.go.j[...] 法務省 2016-04-01
[112] 서적 迫りつつある債権法改正 https://www.sangiin.[...] 信山社 2015
[113] 서적 迫りつつある債権法改正 【完全版】 信山社 2015
[114] 웹사이트 「民法(債権関係)の改正に関する要綱案」(平成27年2月10日決定) https://www.moj.go.j[...] 法務省 2016-04-01
[115] 웹사이트 法制審議会第174回会議(平成27年2月24日開催) https://www.moj.go.j[...] 法務省 2016-04-01
[116] 뉴스 「改正民法が成立」 https://news.biglobe[...] 時事通信 2017-05-26
[117] 법령 民法及び家事事件手続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の施行期日を定める政令
[118] 웹사이트 民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成年年齢関係)について https://www.moj.go.j[...] 法務省HP
[119] 서적 我妻ほか 2008
[120] 법령 民法施行法 抄 https://laws.e-gov.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