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싹은 밀의 어린 싹으로, 1930년대 서구에서 소비가 시작되었다. 엽록소, 비타민,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며, 단백질 함량이 높고 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밀싹은 실내 또는 실외에서 재배 가능하며, 주스, 무침, 전 등으로 요리하여 섭취하거나 고양이의 먹이로 활용되기도 한다. 밀싹 지지자들은 다양한 건강 효능을 주장하지만, 미국 암 학회는 과학적 증거가 부족하다고 밝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 - 세몰리나
세몰리나는 이탈리아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주로 듀럼 밀을 거칠게 갈아 만든 곡물 가루를 의미하며, 굵기에 따라 파스타, 쿠스쿠스, 푸딩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 밀 - 스펠트밀
스펠트밀은 빵 밀, 엠머 밀과의 잡종으로 추정되는 밀의 한 종류로, 과거 유럽에서 널리 재배되었으나 빵 밀로 대체되었다가 유기농법 확산으로 다시 인기를 얻고 있으며, 글루텐 함량이 높고 영양가가 풍부한 곡물이다. - 잎채소 - 고추
고추는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가지과 고추속 식물과 그 열매를 아울러 이르는 말로, 한국에는 임진왜란 시기에 일본을 통해 전래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음식의 조미료, 특히 한국 요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잎채소 - 퀴노아
퀴노아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 원산의 곡물로, 고단백질, 낮은 나트륨과 글루텐 함량으로 건강식품으로 인정받아 FAO에 의해 '세계 퀴노아의 해'로 지정될 만큼 영양적 가치가 높지만, 수요 증가에 따른 가격 및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화본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화본식물 - 벼
벼는 벼과에 속하는 중요한 식량 작물로, 자포니카, 인디카, 자바니카의 세 가지 아종으로 분류되며, 볍씨 선별, 비료 사용, 수확 등의 과정을 거쳐 재배된다.
밀싹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밀 |
식물 부분 | 떡잎 |
색 | 녹색 |
맛 | 약간 달콤함 |
영양 정보 | |
주요 영양소 |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효소 엽록소 |
비타민 |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
미네랄 | 철 칼슘 |
기타 성분 | 항산화제 |
활용 | |
용도 | 주스 스무디 보충제 |
효능 (주장) | 항산화 효과 해독 작용 면역력 강화 |
섭취 방법 | 생으로 섭취하거나 주스 형태로 섭취 |
섭취 시 주의사항 | 과다 섭취 시 소화 불량 유발 가능성 |
기타 | |
관련 상품 | 밀싹 분말, 밀싹 주스 |
2. 역사
찰스 슈나벨의 실험과 연구를 통해 1930년대 서구에서 밀싹 소비가 시작되었다.[2] 1940년까지 슈나벨의 분말 밀싹 통조림은 미국과 캐나다 전역의 주요 약국에서 판매되었다.[7]
밀싹은 실내외에서 모두 재배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모판에 흙을 깔고 물에 불린 통밀을 콩나물처럼 키운다.[16] 발아 전에는 그늘에 두고, 발아 후에는 햇볕과 통풍이 잘 되는 곳으로 옮긴다.[15] 1주일 정도 지나 싹이 15cm 정도 자라면 뿌리를 두고 줄기를 잘라 수확하는데, 여러 번 수확할 수 있다.[16]
앤 위그모어는 생식의 일부로 밀싹을 섭취하는 것을 옹호했다. 히포크라테스 건강 연구소 설립자인 위그모어는 밀싹이 신체의 독소를 정화하고, 전체 식품으로서 적절한 영양 균형을 제공한다고 믿었다. 또한, 밀싹이 심각한 질병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고 가르쳤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많은 건강 연구소에서 사실에 근거가 없고 위험할 수 있다고 비판한다.[3]
3. 재배
실내 재배는 보통 배양토와 같은 성장 매체를 사용한 트레이를 이용한다. 잎은 다른 잎이 나오는 "분열"이 나타날 때 수확하며, 가위로 잘라낸 후 두 번째 싹이 자라게 할 수 있다. 세 번째 수확도 가능하지만 처음보다 질기고 당분이 적을 수 있다.[4]
찰스 슈나벨은 캔자스주에서 야외 재배된 밀싹을 연구했다. 겨울과 이른 봄 동안 200일 동안 천천히 자란 밀싹은 마디가 생기는 단계에서 수확했는데, 이 단계에서 영양 가치가 가장 높다고 주장했다. 마디가 생긴 후에는 엽록소, 단백질, 비타민 농도가 급격히 감소한다.[5]
3. 1. 성장 과정 (싹틔우기)
밀싹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성장한다.
시간 | 과정 |
---|---|
0 | 딱딱한 씨앗. |
20분~1시간 30분 | 부풀어 오름. |
1시간 30분~9시간 | 싹눈이 나옴. |
9시간~16시간 | 어린뿌리가 나옴. |
16시간~2일 | 뿌리 옆에 다른 뿌리가 생김. |
2일~3.5일 | 떡잎싸개 1장이 나옴. |
3.5일~6일 | 본잎 2장이 떡잎싸개를 뚫고 나옴. |
6일~8일 | 본잎이 펴짐. |
8일~16일 | 새순이 나옴. |
밀싹은 실내 또는 실외에서 재배할 수 있다. 실내에서 싹을 틔우는 일반적인 방법은 배양토와 같은 성장 매체에 트레이를 사용하는 것이다. 잎은 다른 잎이 나올 때 "분열"이 나타날 때 수확한다. 그런 다음 가위로 잘라내어 두 번째 작물의 싹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때로는 세 번째 수확이 가능하지만 처음보다 더 질기고 당분이 적을 수 있다.[4]
4. 영양
밀싹은 칼륨, 식이 섬유,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알파 토코페롤), 비타민 K,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B6, 판토텐산, 철, 아연, 구리, 망간, 셀레늄의 공급원이다.[9][10] 가루 형태로는 1온스당 최대 8g, 주스 "한 잔"당 약 1g의 단백질을 함유하여 단백질의 좋은 공급원이기도 하다.[9][10] 이 단백질 함량은 9가지 필수 아미노산 중 8가지를 포함하여 최소 17가지 형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11]
밀싹 주스의 영양 성분은 짙은 잎채소와 거의 동일하다.
영양소 | 밀싹 주스 | 브로콜리 | 시금치 |
---|---|---|---|
단백질 | 860mg | 800mg | 810mg |
베타카로틴 | 120 IU | 177 IU | 2658 IU |
비타민 E | 2900mcg | 220mcg | 580mcg |
비타민 C | 1mg | 25.3mg | 8mg |
비타민 B12 | 0 mcg | 0 mcg | |
인 | 21mg | 19mg | 14mg |
마그네슘 | 8mg | 6mg | 22mg |
칼슘 | 7.2mg | 13mg | 28mg |
철 | 0.66mg | 0.21mg | 0.77mg |
칼륨 | 42mg | 90mg | 158mg |
브로콜리와 시금치 데이터는 USDA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왔습니다.[6] 실내에서 재배한 밀싹에서 추출한 밀싹 주스 데이터입니다.[7] |
비타민 B12는 식물에서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에 밀싹이나 다른 채소에는 들어 있지 않으며, 오히려 식물이나 주변 토양에 사는 미생물의 부산물이다.[12] 밀싹 분석 결과에서 미미한 양의 B12가 발견되었다는 주장이 일부 있지만[13], 이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신뢰할 수 있는 출처는 없다. 미국 농무부(USDA) 국립 영양 데이터베이스의 밀싹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밀싹에는 비타민 B12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다.[6]
5. 활용
밀싹은 착즙기로 녹즙을 짜 주스로 마시거나, 한국 요리에서는 부추, 양파 등 다른 채소와 함께 양념에 버무려 무침으로 먹거나, 반죽물에 넣어 전으로 부쳐 먹기도 한다.[15][17]
또한 밀싹은 고양이가 먹을 수 있는 채소로, 고양이풀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한다.[18] 고양이에게 영양분과 식이 섬유를 공급하여 소화를 돕고, 정신적인 자극을 줄 수 있다.[14]
5. 1. 요리
밀싹은 흔히 착즙기로 녹즙을 짜 주스로 마신다.[17]한국 요리에서는 부추, 양파 등 다른 채소와 함께 양념에 버무려 무침으로 먹거나, 반죽물에 넣어 전으로 부쳐 먹는다.[15]
5. 2. 반려동물
밀싹은 고양이가 먹을 수 있는 채소 가운데 하나다.[18]밀싹은 애완 고양이에게 먹이기 위해 재배되기도 한다. 고양이풀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며 귀리, 호밀, 보리 등 다른 흔한 곡물의 싹과 함께 판매된다. 많은 고양이가 풀을 먹는 것을 즐기며, 밀싹은 고양이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것으로 여겨진다. 밀싹은 영양분을 공급하고 식이 섬유를 추가하여 소화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밀싹을 먹는 것은 정신적인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소화 불량을 피하기 위해 섭취량을 제한하는 것이 권장된다.[14]
6. 비판적 시각
밀싹 지지자들은 밀싹이 일반적인 건강 증진부터 암 예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효능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미국 암 학회는 "현재까지의 과학적 증거는 밀싹이나 밀싹 식단이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는 생각을 뒷받침하지 않습니다"라고 밝혔다.[8]
참조
[1]
웹사이트
Wheatgrass
https://www.webmd.co[...]
WebMD
[2]
뉴스
Wheatgrass, healthy for the body and the bank account
http://www.abc.net.a[...]
2006-10-06
[3]
웹사이트
Wheatgrass Therapy
https://www.ncahf.or[...]
The National Council Against Health Fraud
2001-01-15
[4]
웹사이트
4 Ways to Grow Wheatgrass
http://www.wikihow.c[...]
wikiHow
2013-12-11
[5]
웹사이트
Site Dedication and Construction Preliminaries, 1921-1923
http://www.ahr-kc.co[...]
Ahr-kc.com
2013-04-19
[6]
웹사이트
USDA Nutrient Database
http://www.nal.usda.[...]
2007-11-06
[7]
서적
Wheatgrass Nature's Finest Medicine: The Complete Guide to Using Grass Foods & Juices to Revitalize Your Health
Book Publishing Company
1999-04
[8]
웹사이트
Wheatgrass
https://web.archive.[...]
American Cancer Society
2008-11
[9]
웹사이트
wheat grass Nutrition Facts & Calories
https://nutritiondat[...]
2021-01-31
[10]
웹사이트
How Much Protein Does Wheatgrass Have?
https://healthyeatin[...]
2021-01-31
[11]
웹사이트
A study on wheat grass and its Nutritional value
https://www.research[...]
Food Science and Quality Management
2021-01-31
[12]
문서
"The New Becoming Vegetarian"
Healthy Living Publications
2003
[13]
웹사이트
Nutrition Facts
http://nutritiondata[...]
Nutritiondata.self.com
2013-04-19
[14]
웹사이트
Is Wheatgrass Good for Cats?
https://cats.com/whe[...]
2023-10-11
[15]
뉴스
"[똑! 기자 꿀! 정보] 영양 만점 ‘밀싹’ 어떻게 먹을까"
http://news.kbs.co.k[...]
KBS 뉴스
2017-12-30
[16]
뉴스
잔디라 오해 말아요… 항암·해독되는 귀하신 몸 밀싹주스를 아시나요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7-12-30
[17]
뉴스
난 샐러드로 넌 디톡스주스로…웰빙바람 타고 쑥쑥 크는 새싹채소
http://biz.heraldcor[...]
헤럴드경제
2017-12-30
[18]
뉴스
"[애니팩트] 육식동물인 고양이도 풀을 뜯어 먹는다"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7-1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