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연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연서는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를 한 한국 감리교 목사이다. 경기도 고양에서 태어나 개신교 신자가 되었으며,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을 졸업하고 목사 안수를 받았다. 3·1 운동에 참여하고 일본에서 선교 활동을 하기도 했으나, 일제강점기 말 국민정신총동원 기독교조선감리회연맹 선전주임과 혁신교단 경성교구장 등을 역임하며 신사참배를 강요하는 등 친일 행위를 했다. 광복 후 남산교회 담임목사로 활동하다 한국 전쟁 중 체포되어 옥사했다.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았으나 친일 행적이 드러나 취소되었고, 친일인명사전 및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태평양 전쟁 시기에는 전시체제에 협조하였다. 1940년 감리교단은 신사참배 강요에 동조하여 신사참배를 결의하고 국민정신총동원 기독교조선감리회연맹이라는 어용 단체를 결성했는데, 이 단체는 내선일체와 성전(聖戰) 승리를 목표로 하였다. 박연서는 이사진에 포함됨과 동시에 선전주임에 임명되었고, 이사장은 적극적인 친일파 정춘수가 맡았다.[1]
박연서는 1963년 철원애국단 활동으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으나, 1996년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에 의해 서훈이 취소되었다.[3][4] 이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과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기독교대한감리회의 친일 부역자 명단에도 포함되었다.[5]
2. 생애
1941년 혁신교단 선전주임과 경성교구장에 올랐으며, 1942년에는 정인과가 회장을 맡은 기독교신문협회 부회장이 되었다.[1] 1945년 7월, 교파 통합으로 성립된 일본기독교조선교단에서는 연성국장직에 임명되었다.[2]
2. 1. 초기 생애와 독립운동 (1878~1939)
경기도 고양군에서 출생하여 한성부의 보성소학교와 개성 보창학교를 졸업했다. 1912년 20세 때 세례를 받고 개신교 신자가 되었다.
1917년 피어선기념성경학원(현 평택대학교)을 졸업하고, 1923년 목사 안수를 받았다. 목사 안수를 받기 전 철원에서 시무하면서 1919년 3·1 운동에 가담했다. 1924년 일본 간사이 지방 파송 목사로 뽑혀 4년간 선교 활동을 했다. 강원도 인제군에서 전도사로 일하기도 했다.
1928년 협성신학교를 졸업하였고, 강원도 철원, 화천, 경기도 연천, 포천 등의 교회에서 일했다. 이후 《기독신보》 주필로 기독교 언론 사업에 잠시 몸을 담았으며, 1934년부터는 다시 서울 석교교회, 함경남도 원산부의 원산중앙교회 등에서 근무했다. 1932년 신흥우가 주창한 적극신앙단에 정춘수, 유억겸, 김인영 등과 함께 가담하기도 했다.
2. 2. 친일 행적 (1940~1945)
1940년 일제는 신사참배 강요를 강요하였고, 감리교단은 가장 먼저 신사참배를 결의하였다. 감리교단은 국민정신총동원 기독교조선감리회연맹이라는 어용 단체를 결성했는데, 이 단체는 내선일체와 성전(聖戰) 승리를 목표로 하였다. 이때 이사장은 적극적인 친일파 정춘수가 맡았고, 박연서는 이사진에 포함됨과 동시에 선전주임에 임명되었다.[1]
1940년 협성신학교의 후신인 감리교신학대학교에서 신사참배 거부 의지를 담은 전단이 뿌려져 교장 변홍규가 구속되고 학교는 무기한 휴교되는 사건이 있었다. 1941년 감리교단은 친일적인 내용의 혁신안을 통과시켜 감리교신학교로 새로 문을 열었는데, 이때 박연서는 혁신안을 주도하면서 해명글을 발표해 조선 기독교는 일본의 정신적 기초인 신토 사상과 보조를 맞춰야 한다고 주장하였다.[1]
1941년 혁신교단 선전주임과 경성교구장에 올랐다. 1942년 정인과가 주도하여 회장을 맡은 기독교신문협회 부회장이 되었으며[1], 1945년 7월에는 교파 통합으로 성립된 일본기독교조선교단에서 연성국장직에 임명되었다.[2]
2. 3. 광복 이후와 사망 (1945~1950)
1946년 서울 중구의 남산교회 담임목사로 1948년까지 시무하였다. 한국 전쟁 때 중풍을 앓고 있어 피신하지 못했다가 조선인민군이 서울을 점령했을 때 정치보위부에 체포되었다. 인민군 후퇴 직전 서울형무소에서 옥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3. 논란과 평가
3. 1. 독립유공자 서훈 취소
1963년 철원애국단 가담 사실 등을 인정받아 대한민국 독립유공자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으나, 1996년 대한민국 국가보훈처가 김희선, 서춘, 장응진, 정광조와 함께 서훈을 취소했다.[3][4]
3. 2. 친일반민족행위자 지정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종교 부문에 선정되었고,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기독교대한감리회가 2005년 광복 50주년 기념으로 펴낸 자료집 《하나님에게만 희망을 두고 살아라》에서 선정한 감리교 내 친일 부역자 12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5]
참조
[1]
뉴스
특집::이명직 박현명 바로 세우기 - 특집 2 박현명 목사 바로 세우기
https://web.archive.[...]
활천
2005-10-01
[2]
웹인용
교회 100년사 - 제4장 전시체제 강화로 교계가 고통받다 (1930~1945)
https://web.archive.[...]
전주서문교회
[3]
뉴스
"[발굴] 주요 친일명단 120명 중 34명 해방후 훈·포장·표창 서훈 - 김성수는 2등급, 유관순은 3등급"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8-04-10
[4]
뉴스
커버스토리 - 유공자, 훈ㆍ포장, 의전 집중탐구 - 영욕ㆍ반전… 논공행상도 시대 따라 다르다?
http://www.heraldbiz[...]
헤럴드경제
2008-02-16
[5]
뉴스
감리회, 교단 내 친일인사와 독립운동가 명단 발표 - 광복 60주년 기념 예배자료집 발간…친일인사 선정 근거 없고, 교단 차원 친일은 빠져
http://www.newsnjoy.[...]
뉴스앤조이
2008-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