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스타 신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스타 신녀는 고대 로마에서 베스타 여신을 섬기는 여성 사제였다. 그들은 기원전 717-673년경 누마 폼필리우스 왕에 의해 국가에서 지원하는 직책으로 시작되었으며, 신성한 불을 꺼뜨리지 않고 유지하는 것을 주요 임무로 했다. 베스타 신녀는 6세에서 10세 사이의 소녀 중에서 선발되어 30년 동안 복무했는데, 이 기간 동안 그들은 로마 사회에서 존경받는 존재였으며, 다양한 특권과 특수한 권한을 누렸다.

순결을 지키지 않거나 신성한 불을 소홀히 하는 등 의무를 위반할 경우 엄격한 처벌을 받았으며, 생매장되는 경우도 있었다. 베스타 신녀는 로마의 주요 인물들의 유언장을 보관하고, 중요한 유물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 382년 그라티아누스 황제가 그들의 수입을 몰수하면서 쇠퇴하기 시작했고, 394년 테오도시우스 1세가 로마를 방문했을 때 마지막 베스타 신녀가 모욕을 당했다는 기록을 마지막으로 역사 속에서 사라졌다. 베스타 신녀는 서양 예술에서 미덕과 순결을 상징하는 모델로 자주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스타 신녀 - 타르페아
    타르페아는 로마를 배신하려다 죽임을 당한 로마 건국 신화 속 인물로, 그녀가 던져진 절벽은 반역자 처형 장소로 사용되었다.
  • 성별에 따른 직업 - 오이란
    오이란은 에도 시대 유곽에서 높은 지위와 교양을 갖춘 고급 유녀를 지칭하며, 예술적 재능과 지성을 겸비하여 유곽 문화를 대표했으나 게이샤의 등장으로 쇠퇴, 현재는 축제나 공연 등으로 재현된다.
  • 성별에 따른 직업 - 지골로
    지골로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어 나이 많은 여성과의 교제를 통해 경제적 지원을 받거나 생활 유지가 불분명한 젊은 남성을 의미하며, 댄스 교사 등 특정 직업군을 지칭하기도 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로 활용된다.
  • 베스타 - 4 베스타
    1807년 하인리히 올베르스가 발견하고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가 명명한 4 베스타는 소행성대에서 네 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이자 분화된 내부 구조와 레아실비아 크레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지형적 특징을 가진 두 번째로 무거운 천체이며, 2011년 탐사선 돈의 관측을 통해 지질학적 역사와 구성 성분에 대한 정보가 밝혀졌다.
  • 베스타 - 베스타 신전
    로마 포룸에 위치한 베스타 신전은 화로의 여신 베스타에게 봉헌된 원형 신전으로, 누마 폼필리우스에 의해 처음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며, 베스타 여사제들이 신성한 불을 관리하고 로마의 중요한 문서들을 보관하는 장소였으나 여러 차례 파괴 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시기에 재건되었고 현재 유적은 무솔리니 정권 하에 재건된 것이다.
베스타 신녀
개요
베스타 신전의 베스타 신녀
베스타 신전의 베스타 신녀
유형고대 로마의 여사제
숭배 대상베스타
종교고대 로마 종교
상세 정보
임무신성한 불을 유지하고 국가의 안전을 기원
자격 조건완전한 신체, 자유로운 출생, 부모 모두 로마 시민이어야 함
선발 시기6세에서 10세 사이
복무 기간30년 (10년 수련, 10년 봉사, 10년 교육)
거주지베스타 신전 근처의 공공 건물
특권높은 존경과 영향력 행사
법적 독립
재산 소유 및 유언 작성 가능
증언 시 우선권
사형수 사면 권한
처벌순결 서약 위반 시 생매장
역사
기원로마 왕정 시대
폐지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에 의해 394년 공식적으로 폐지
기타
관련 용어베스타의 집
관련 인물베스타

2. 역사

베스타 신녀는 로마에서 강력하고 영향력 있는 세력이었다. 술라가 젊은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처벌하려 했을 때, 베스타 신녀들은 카이사르를 위해 중재하여 그를 용서받게 했다.[7][115] 아우구스투스는 모든 주요 봉헌식과 의식에 베스타 신녀를 포함시켜 그들의 권위를 높였다.

베스타 신녀는 특별한 마법의 힘을 지닌 것으로 여겨졌다.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박물지》에서 베스타 신녀의 능력에 대해 언급하며, 이를 암묵적으로 진실로 받아들였다.[8][138]

394년 테오도시우스 1세의 강제적인 명령으로 베스타 신녀단은 해산되었고, 신전의 성스러운 불꽃은 꺼지게 되었다.[117] 이에 앞서, 382년 황제 그라티아누스는 베스타 신녀들의 수입을 몰수하는 조치를 취했는데, 이는 사실상 신녀단의 해체를 예고하는 것이었다.[10]

2. 1. 기원과 초기 역사

로마 제국 시대의 작가 리비, 플루타르크, 겔리우스는 베스타 신녀를 국가가 지원하는 여사제직으로 만든 것은 기원전 717-673년경 통치한 누마 폼필리우스 왕이라고 말한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저술한 누마는 베스타 신녀를 소개하고 그들에게 공공 재무부에서 봉급을 할당했다. 리비우스는 또한 베스타의 사제직이 알바 롱가에서 기원했다고 말한다.[135] 2세기 골동품 수집가 겔리우스는 그녀의 부모에게서 빼앗은 첫 번째 베스타 신녀는 누마에 의해 손에 이끌려 갔다고 기록한다. 또한 2세기에 쓴 플루타르크는 베스타 신전의 설립을 처음 2명의 여사제를 임명한 누마에게 돌렸다. 세르비우스 툴리우스는 숫자를 4명으로 늘렸다.[136] 암브로시우스는 고대 후기의 일곱 번째를 암시한다.[137] 누마는 또한 베스타 신녀를 감시하기 위해 ''폰티펙스 막시무스''를 임명했다.

기원전 1세기 작가 바로에 따르면 최초의 베스타 신녀는 게가니아(Gegania), 베네네아(Veneneia), 카눌레아(Canuleia), 및 타르페아(Tarpeia)로 명명되었다. 스푸리우스 타르페이우스의 딸 타르페아는 전설에서 배신자로 묘사되었다.(타르페아 절벽 참조)

플루타르크에 따르면 누마가 베스타 신녀관을 시작했을 때 베스타 신녀는 2명뿐이었다. 이 숫자는 나중에 4명으로 늘어났고, 그 다음에는 6명으로 늘어났다. 일부 권위자들은 7명으로 1명이 나중에 추가되었다고 제안했지만, 이것은 의심스럽다.

로마의 베스타 신녀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사제직은 고대 라틴 지역 사회에서 고도로 확립된 종교적 역할을 가지고 있었다.[1] 리비우스에 따르면, 베스타 신녀는 로마 이전의 알바 롱가에서 기원했으며, 그곳에서 왕의 딸이자 처녀였던 레아 실비아는 왕위를 찬탈한 삼촌에 의해 베스타 신녀가 되도록 강요받았지만, 기적적으로 쌍둥이 아들 로물루스와 레무스를 낳았다. 이 쌍둥이의 아버지는 마르스였고, 그들은 삼촌이 노출이나 익사를 통해 죽이려던 시도에서 살아남았으며, 로물루스는 로마를 건국하게 되었다.[2] 로마의 기원에 대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버전[3]에 따르면, 로마의 전설적인 두 번째 왕인 누마 폼필리우스는 최초의 베스타 신전을 건설하고, 최초의 베스타 신녀 쌍을 임명했으며, 그들을 사제직으로 지원했다. 그는 그 후에 두 번째 쌍을 추가했다. 로마의 여섯 번째 왕인 세르비우스 툴리우스는 불의 신인 불칸 또는 가문의 라르에 의해 감금된 베스타 신녀에게서 기적적으로 태어났다고 전해지는데, 베스타 신녀의 수를 여섯 명으로 늘렸다.[4] 플루타르크에 의해 증명된 것처럼, 제국 시대에는 대학에 항상 여섯 명의 베스타 신녀가 있었다. 암브로시우스를 비롯한 일부가 4세기 말에 일곱 명의 베스타 신녀로 구성되었다는 주장은 "매우 설득력 없는 증거"에 근거하고 있다.[5][6]

2. 2. 베스타 신녀의 역할과 영향력

베스타 신녀는 로마에서 강력하고 영향력 있는 세력이었다. 술라가 젊은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처벌하려 했을 때, 베스타 신녀들은 카이사르를 위해 중재하여 그를 용서받게 했다.[115] 아우구스투스는 모든 주요 봉헌식과 의식에 베스타 신녀를 포함시켜 그들의 권위를 높였다.

베스타 신녀는 특별한 마법의 힘을 지닌 것으로 여겨졌다.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박물지》에서 마법의 효능에 대해 논하면서, 베스타 신녀의 능력에 대해 반박하지 않고 암묵적으로 진실로 받아들였다.[138] 플리니우스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오늘날에도 우리의 베스타 신녀들은 특정한 기도를 함으로써 가출한 노예들의 도주를 체포하고, 그들이 도시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았다면, 그들을 제자리에 결박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믿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의견이 일단 진실로 받아들여지고, 신들이 특정 기도를 듣거나 정해진 형식의 말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인정된다면, 우리는 전체 질문에 대해 긍정적으로 결론을 내릴 수밖에 없다.la

4세기 로마의 시장 심마쿠스는 기독교가 부상하는 동안 전통적인 로마 종교를 유지하고자 노력하며 다음과 같이 썼다.

우리 조상들의 법은 베스탈 신녀들과 신들의 신하들에게 적당한 유지와 정당한 특권을 제공했다. 이 선물은 성스러운 순결의 유지를 기본 짐꾼들의 지불을 위한 기금으로 전용한 타락한 환전소 시대까지 침해되지 않고 보존되었다. 이 행위로 인해 공공의 기근이 닥쳤고, 나쁜 수확은 모든 지방의 희망을 실망시켰다. ... 그 해를 불모지로 만든 것은 신성모독이었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이 그들이 종교에 대해 거부했던 것을 잃을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139]la

2. 3. 베스타 신녀단의 해체

394년 테오도시우스 1세의 강제적인 명령으로 베스타 신녀단은 해산되었고, 신전의 성스러운 불꽃은 꺼지게 되었다.[117]

이에 앞서, 382년 황제 그라티아누스는 베스타 신녀들의 수입을 몰수하는 조치를 취했는데, 이는 사실상 신녀단의 해체를 예고하는 것이었다.[10] 4세기 말, 기독교로마 제국의 국교로 자리 잡으면서 베스타 신앙은 점차 쇠퇴해 갔다.

마지막으로 기록된 베스타 신녀는 385년에 사망한 코엘리아 콘코르디아로, 그녀는 비르고 베스탈리스 막시마(Virgo Vestalis Maxima)였다.[11] 그녀는 교황 베티우스 아고리우스 프라에텍스타투스에게 조각상을 세웠다.

조시모스에 따르면, 394년 테오도시우스 1세가 로마를 방문했을 때, 그의 조카 세레나가 마지막 베스타 신녀를 모욕했다고 전해진다.[118] 그러나 이 이야기에 대해서는 조시모스가 베스타 숭배가 그 시점에서 여전히 기능하고 있었는지 아니면 쇠퇴했는지에 대해서는 불분명 하다고 썼으며, 캐머런은 테오도시우스가 394년에 로마를 방문하지 않았다고 언급하며 전체 이야기를 회의적으로 보고 있다.[12]

4세기 로마의 시장 심마쿠스는 기독교가 부상하는 동안 전통적인 로마 종교를 유지하고자 노력했던 인물로, 베스타 신녀와 신들의 신하들에게 적절한 유지와 정당한 특권을 제공했던 조상들의 법이 훼손되고, 성스러운 순결 유지를 위한 기금이 짐꾼들의 지불을 위한 기금으로 전용되면서 공공의 기근과 나쁜 수확을 초래했다고 주장했다.[139]

3. 베스탈리스 막시마

베스탈리스 막시마(Vestalis Maxima)는 베스타 신녀단의 최고위 여사제였다. 폰티펙스 막시무스(Pontifex Maximus)와 함께 로마 종교의 최고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베스탈리스 막시마는 베스타 신녀들의 업무와 도덕성을 감독했으며, 교황단의 일원이었다.[139] 타키투스에 따르면 베스타 신녀장 오키아(Occia)는 57년 동안 베스타 신녀단을 관장했다.[139]

플라멘 디알리스(Flaminica Dialis)와 레기나 사크로룸(regina sacrorum)은 각각 특정 종교 의식에 대해 고유한 책임을 지고 있었지만, 이들은 다른 임명된 사제의 배우자로 자신의 직무를 시작했다. 반면 베스타 신녀는 모두 독립적으로 직무를 수행했다.[139]

4. 베스타 신녀의 선발과 임기

베스타 신녀는 6~10세 사이, 즉 사춘기 이전에 사제직에 헌신하여 30년 동안 봉사해야 했다.[13] 이 기간은 10년씩 세 단계로 나뉘었으며, 각각 수련, 봉사, 교육의 역할을 수행했다.

기간역할설명
처음 10년수련베스타 신녀로서의 의무와 역할을 배운다.
다음 10년봉사실제로 베스타 신전에서 봉사하며, 신성한 불을 지키고 의식을 수행한다.
마지막 10년교육새로운 베스타 신녀들을 가르치고 훈련시킨다.



30년의 복무 기간이 끝나면 베스타 신녀는 은퇴하여 연금을 받고 결혼할 수 있었다.[14] 최고 제사장은 은퇴한 베스타 신녀를 대신하여 적합한 로마 귀족과의 결혼을 주선하기도 했다.[14] 전직 베스타 신녀와의 결혼은 큰 영예로 여겨졌으며, 행운과 안락한 연금을 가져다준다고 믿었다.[14] 그러나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일부 베스타 신녀들은 은퇴 후에도 서약을 갱신하고 정절을 지키는 것을 선호했다.[15][16] 오키아는 기원전 38년부터 서기 19년까지 57년 동안 베스타 신녀였다.[17]

thumb (팔라티노에서)]]


  • -|]]|thumb|아우레우스의 뒷면에는 황제 카라칼라와 베스타 신녀들이 베스타 신전 앞에 묘사되어 있다(3세기 초)]]

4. 1. 선발 조건

베스타 신녀는 6세에서 10세 사이의 소녀들 중에서 선발되었는데, 원래는 귀족 가문 출신이어야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평민 출신에게도 기회가 주어졌고, 심지어 해방 노예의 딸들도 선발될 수 있게 되었다.[140][141]

선발 의식은 '캡티오(captio)'라고 불렸으며, 후보자는 신체적, 정신적 결함이 없어야 했고, 부모가 모두 살아있는 로마 시민이어야 했다.[143] 베스타 신녀로 선발되면 폰티펙스 막시무스(최고 신관)는 소녀를 부모에게서 데려와 베스타 신전으로 인도했다. 이때 폰티펙스 막시무스는 "나는 너, 아마타(amata, 사랑하는 이)를 베스타 신녀로 삼아 로마 국민을 위해 베스타 신녀가 수행해야 할 신성한 의식을 수행하게 하겠소."라는 말을 했다.[19]

사망한 베스타 신녀를 대신할 경우에는, 가장 유덕한 자를 선발하기 위해 후보자를 베스타 신녀장에게 추천했다. 이 후보자들은 사춘기 이전이거나 처녀일 필요는 없었으며, 젊은 과부나 이혼녀도 가능했지만, 이는 불행한 일로 여겨졌다.[20] 타키투스는 19년에 가이우스 폰테이우스 아그리파와 도미티우스 폴리오가 자신의 딸들을 베스타 신녀 후보로 제안했으며, 폴리오의 딸이 선택된 이유는 아그리파가 최근에 이혼했기 때문이라고 기록했다. 티베리우스는 탈락한 후보에게 100만의 지참금으로 위로했다.[21]

4. 2. 선발 과정

Captiola(선발)라고 알려진 선발 의식은 폰티펙스 막시무스(최고 신관)가 주관했다. 수도회에 들어가려면 소녀는 신체적, 정신적 결함이 없고 두 명의 살아 있는 부모가 있어야 하며, 로마에서 자유로이 태어난 거주자의 딸이어야 했다.[140][141] 최소한 공화정 시대 중반부터 폰티펙스 막시무스는 6세에서 10세 사이의 베스타 신녀를 가족과 다른 로마 시민이 모인 자리에서 20명의 귀족 출신 후보 중에서 추첨으로 선택했다. 원래 소녀는 귀족 출신이어야 했지만, 딸을 30년 동안 베스타 신녀로 바치려는 귀족을 찾기 어려워지면서 평민에게도 자격이 개방되었다.[140][141]

베스타 신녀로 선택된 소녀는 폰티펙스 막시무스에 의해 부모에게서 떨어져 아트리움에 들어가 여신의 보살핌과 보호를 받았다.[143]

사망한 베스타 신녀를 대신하기 위한 후보는 일반 입회자와 달리 사춘기 이전이거나 처녀일 필요는 없었다. 젊은 과부나 이혼한 사람도 가능했지만, 이는 불행한 일로 여겨졌다.[144] 타키투스는 가이우스 폰테이우스 아그리파와 도미티우스 폴리오가 19년에 그들의 딸들을 베스타 신녀 후보자로 제안했는데, 아그리파가 최근에 이혼했기 때문에 폴리오의 딸이 선택되었다고 설명한다. 폰티펙스 막시무스 (티베리우스)는 실패한 후보자에게 의 지참금을 주어 위로했다.[144]

4. 3. 복무 기간

베스타 신녀는 6세에서 10세 사이, 즉 사춘기 이전에 사제직에 헌신하여 30년 동안 봉사해야 했다.[13] 이 기간은 10년씩 세 단계로 나뉘었다.[14]

기간역할설명
처음 10년수련베스타 신녀로서의 의무와 역할을 배운다.
다음 10년봉사실제로 베스타 신전에서 봉사하며, 신성한 불을 지키고 의식을 수행한다.
마지막 10년교육새로운 베스타 신녀들을 가르치고 훈련시킨다.



30년의 복무 기간이 끝나면 베스타 신녀는 은퇴하여 연금을 받고 결혼할 수 있었다.[14] 최고 제사장은 은퇴한 베스타 신녀를 대신하여 적합한 로마 귀족과의 결혼을 주선하기도 했다.[14] 전직 베스타 신녀와의 결혼은 큰 영예로 여겨졌으며, 행운과 안락한 연금을 가져다준다고 믿었다.[14] 그러나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일부 베스타 신녀들은 은퇴 후에도 서약을 갱신하고 정절을 지키는 것을 선호했다.[15][16]

5. 베스타 신녀의 의무와 특권

베스타 신녀는 로마 사회에서 존경받는 존재였으며, 여러 특권을 누렸다.

특권
경기나 공연 때 귀빈석이 마련되었다.[42]
일반적인 선서 없이 증언할 수 있었으며, 그들의 말은 의심받지 않고 신뢰를 받았다.[38]
죄수나 노예를 사면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다.[41] 사형수가 처형 전에 베스타 신녀를 만나면 자동적으로 사면되었다.
인격은 불가침이었다. 베스타 신녀의 신체에 상처를 입히는 것은 사형에 해당했으며, 항상 호위하는 사람이 붙었다.[39]
재산권을 가지고 의사 표현이나 투표를 할 수 있었는데, 이는 당시 로마 여성으로서는 이례적인 권리였다.[37]
신앙심이 깊었던 시대에 여러 의례에 참여하도록 요청받았다. 릿토르가 선도하는 2륜 수레에 탑승했다.[40]


5. 1. 의무

베스타 신녀의 주요 임무는 화로와 가정의 여신인 베스타에게 바쳐진 신성한 불을 꺼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었다.[145] 이 불은 누구나 가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었기에, 베스타 신녀는 종교적인 의미에서 로마 전체의 "대리 가정부" 역할을 했다. 제국 시대에는 이 신성한 불이 황제의 가정용 불로 여겨졌다.

베스타 신녀는 신성한 샘에서 물을 긷고, 의식에 사용되는 음식을 준비하며, 베스타 신전의 성물을 관리하는 역할도 맡았다.[145] 율리우스 카이사르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같은 주요 인물들의 유언장을 보관하는 일도 베스타 신녀의 몫이었다. 또한, 팔라디움을 포함한 일부 성물을 보호하고, 신에게 바치는 공물에 뿌려지는 몰라 살사(mola salsa)라는 특별한 종류의 밀가루를 만들었다.[145]

5. 2. 특권

베스타 신녀는 로마 사회에서 존경받는 존재였으며, 여러 특권을 누렸다.

특권
경기나 공연 때 귀빈석이 마련되었다.[42]
일반적인 선서 없이 증언할 수 있었으며, 그들의 말은 의심받지 않고 신뢰를 받았다.[38]
죄수나 노예를 사면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다.[41] 사형수가 처형 전에 베스타 신녀를 만나면 자동적으로 사면되었다.
인격은 불가침이었다. 베스타 신녀의 신체에 상처를 입히는 것은 사형에 해당했으며, 항상 호위하는 사람이 붙었다.[39]
재산권을 가지고 의사 표현이나 투표를 할 수 있었는데, 이는 당시 로마 여성으로서는 이례적인 권리였다.[37]
신앙심이 깊었던 시대에 여러 의례에 참여하도록 요청받았다. 릿토르가 선도하는 2륜 수레에 탑승했다.[40]


6. 베스타 신녀와 관련된 형벌

베스타 신녀가 신성한 불을 꺼뜨리거나 순결 서약을 어기는 경우 엄격한 처벌을 받았다. 신성한 불이 꺼지는 것은 로마가 더 이상 보호받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했으며, 특별한 이유 없이 불이 꺼지면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다.[43] 베스타 신녀의 부주의로 불이 꺼진 경우, 채찍질이나 구타로 속죄했으며, 올바른 의식과 재료로 불을 다시 점화했다.[44]

순결 서약을 어기는 것은 맹세를 어기는 것이었으며, 이는 영구적이고 되돌릴 수 없는 죄로 여겨졌다.[43] incestumla을 저지른 베스타 신녀는 신들과의 계약을 위반한 것으로 간주되어, 피를 흘릴 수 없는 전통에 따라 콜린 문 근처의 Campus Sceleratusla("악의 들판")에 생매장되었다.[46][47] 이는 로마법에 따른 것은 아니었지만, 종교적 관습에 따라 집행되었다.[130] 유죄를 선고받은 베스타 신녀의 간통 상대는 pontifex maximusla에 의해 포룸 보아리움 또는 코미티움에서 공개적으로 구타당해 죽었다.[50]

베스타 신녀의 incestumla에 대한 재판은 드물었지만, 대부분 군사적 또는 종교적 위기 동안 일어났다.[51] 일부 베스타 신녀는 희생양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시민 불안, 전쟁, 기근, 전염병 등 신의 불쾌함의 징후에 대한 이유로 간주되었다.[47][45] 예를 들어, 기원전 483년 Oppia는 여러 징조와 의무 소홀 혐의로,[52] 기원전 337년 미누키아는 과도한 옷차림과 노예의 증언을 토대로 처형되었다.[53]

플리니우스는 젊은 베스타 신녀 코르넬리아가 황제 도미티아누스의 명령으로 산 채로 매장되었는데, 무죄의 피해자였을 수 있다고 믿었다.[63]

코르넬리아가 산 채로 매장됨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는 로마 건국 이전 알바 롱가의 베스타 신녀들이 정조 서약을 어겨 채찍질을 당하고 "죽임을 당했다"고 주장했다.[64]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는 베스타 신녀의 정조를 어긴 벌로 생매장을 제정하고 베스타 신녀 피나리아에게 이를 가했다.[66]

7. 베스타 신녀의 집

로마에는 베스타 신녀들이 거주하는 주택(Casa delle Vestali)이 있었다. 베스타 신전 뒤에 위치한 아 트리움 베스티에la팔라티노 언덕 기슭에 있는 3층 건물이었다.[70]

8. 베스타 신녀의 복식

베스타 신녀의 집 안뜰에 있는 플라비아 푸블리키아 조각상


베스타 신녀의 복장은 상류층 로마 신부 의상과 상류층 로마 여성 시민 (결혼한 여성 시민)의 정식 복장과 공통된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 베스타 신녀와 여성 시민은 흰색 양모 Palla (garment)|팔라la 위에 긴 린넨 Stola|스톨라la를 착용했는데, 이는 남성 시민의 반원형 토가에 해당하는 여성 시민의 사각형 랩이었다.[71] 베스타 신녀의 머리카락은 빨간색과 흰색 리본으로 된 흰색 사제 infula|인풀라la(머리 덮개 또는 필레)로 묶여 있었으며, 일반적으로 머리 뒤쪽에서 묶여 어깨 위로 느슨하게 늘어뜨렸다.[72][73]

베스타 infula|인풀라la의 빨간 리본은 베스타의 불을 나타내는 것으로, 흰색은 처녀성 또는 성적 순결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졌다. 스톨라는 신부가 아닌 로마 여성 시민과 베스타 신녀와 관련이 있었다. 옷과 베일을 통해 몸을 가리는 것은 "베스타 신녀의 성을 지배하는 금지"를 나타낸다.[74] stola|스톨라la는 "손대지 마시오"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그들의 처녀성을 주장한다.[75] 베스타 신녀의 규정된 일상적인 헤어스타일은 결혼식 날에만 신부에게도 적용되었으며, 6~7가닥의 땋은 머리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가장 고대 시대부터 유래된 것으로 여겨졌다.[76][77][78][79] 2013년에 자넷 스티븐스는 현대인에게 베스타 신녀의 헤어스타일을 재현했다.[79][80]

상류층 신부는 유피테르의 여사제이자 그의 대사제의 아내인 Jupiter (mythology)#Flamen and Flaminica Dialis|플라메니카 디알리스la와 같은 사프란-노란색 flammeum|플라메움la으로 가려졌다. 베스타 신녀는 야외 여행, 공공 의식 수행 또는 희생 제물을 바칠 때 흰색, 자주색 테두리의 suffibulum|수피불룸la(베일)을 착용했다. 존경받는 여성 시민 또한 공공 장소에서 베일을 착용해야 했다. 베일 없이 대중 앞에 나타난 사람은 결혼을 거부하고 "유효"하게 된 것으로 여겨질 수 있었다.[81]

9. 유명한 베스타 신녀

레아 실비아는 로마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군신 마르스와의 사이에서 로물루스와 레무스를 낳았다.[112] 타르페아는 로마 초기 역사에서 배신자로 묘사되는 인물이다.[82] 아퀼리아 세베라는 로마 황제 엘라가발루스와 강제로 결혼한 베스타 신녀였다.[97] 코엘리아 콘코르디아는 마지막 베스타 신녀였다.[137]

10. 베스타 신녀와 서양 예술

베스타 신녀는 서양에서 여성의 미덕을 상징하는 모델로 자주 사용되었다.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세는 자신의 순결을 강조하기 위해 체를 들고 있는 베스타 신녀 투치아의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했다.[105] 야코포 델 셀라이오(1493년 사망)와 요안네스 스트라다누스와 같은 예술가들도 베스타 신녀를 소재로 작품을 만들었으며, 예술 후원 여성들은 스스로를 베스타 신녀로 그리게 했다.[106]

18세기 프랑스의 방탕한 환경에서 베스타 신녀로 묘사된 여성들의 초상화는 아이러니한 에로티시즘이 깃든 미덕에 대한 환상으로 여겨졌다.[107] 이후 베스타 신녀는 자크루이 다비드의 ''베스타 신녀''에서처럼 공화주의적 미덕을 상징하게 되었다.

로마폼페이 유적 발굴과 라틴어 자료 번역의 영향으로 18세기와 19세기에는 베스타 신녀를 소재로 한 예술 작품이 많이 제작되었다. 17년 동안 이탈리아에서 거주하며 작업한 프랑스 화가 엑토르 르루는 베스타 신녀의 일상생활과 숭배를 꼼꼼하게 연구하여 1863년부터 1899년 사이에 약 30점의 베스타 신녀 그림을 그려 유명해졌다.[108]

프로콜 하럼의 유명한 히트곡 "A Whiter Shade of Pale"(1967)에는 "열여섯 명의 베스타 신녀 중 한 명/ 해안으로 떠나는"이라는 가사가 있다.[109]

로마 콜로세움의 앞자리에 앉은 베스타 신녀를 묘사한 두 명의 프랑스 아카데미 화가의 극명하게 다른 두 관점: 장레옹 제롬의 1874년 작 ''Pollice Verso (Thumbs Down)'' (부분; 피닉스 미술관), 그리고 1890년경 엑토르 르루의 그림 속 베스타 신녀 (개인 소장).


엑토르 르루, 1900년까지의 작품, ''베스타 신녀의 취임'', 개인 소장

참조

[1] 서적 Religions of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2] 서적 "[[Ab Urbe Condita Libri (Livy)|Ab urbe condita]]"
[3] 서적 The beginnings of Rome: Italy and Rome from the Bronze Age to the Punic Wars (c. 1000 – 264 BC) Routledge 1995
[4] 웹사이트 Life of Numa Pompilius http://www.stoa.org/[...] 2012-12-03
[5] 웹사이트 Letter #18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2012-11-19
[6] 간행물 Vestales https://penelope.uch[...] John Murray, London 1875
[7] 웹사이트 Julius Caesar https://www.perseus.[...]
[8]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Pliny https://books.google[...] 1855
[9] 웹사이트 The Memorial of Symmachus http://www.tertullia[...] Tertullian.org 2012-11-19
[10] 서적 Borderline Virginities: Sacred and Secular Virgins in Late Antiquity Routledge 2017
[11] 논문 Tra Integrazione ed Emarginazione: Le Ultime Vestali
[12] 서적 Last Pagans of Rome Oxford UP
[13] 뉴스 Ancient Rome's maidens – who were the Vestal Virgins? http://www.bbc.co.uk[...] BBC 2012-09-07
[14] 웹사이트 Life of Numa Pompilius http://www.stoa.org/[...] Stoa.org 2012-11-19
[15] 서적 Portraits of the Vestal Virgins, Priestesses of Ancient Rom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Ann Arbour 2015
[16] 웹사이트 Life of Numa http://penelope.uchi[...]
[17] 문서
[18] 논문 Law, religion, and constitution of the Vestal virgins http://www.uni-r.de/[...] 2011-10-20
[19] 서적 Attic Nights http://www.stoa.org/[...]
[20] 간행물 Some observations on the crimen incesti École Française de Rome 1981
[21] 서적 "[[Annales (Tacitus)|Annales]]"
[22] 서적 A Place at the Altar. Priestesses in Republican Rom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
[23] 서적 Women's Religious Activity in the Roman Republic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6
[24] 서적 Religions of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25] 논문 Why Were the Vestals Virgins? Or the Chastity of Women and the Safety of the Roman State 2004
[26] 서적 Rome's Vestal Virgins: A Study of Rome's Vestal Priestesses in the Late Republic and Early Empire Routledge 2006
[27] 서적 Religions of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28] 문서 Why Were the Vestals Virgins? 2004
[29] 서적 The Neighborhoods of Augustan Rom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30] 서적 Religions of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31] 서적 The Roman Triumph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
[32] 서적 Religions of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33] 서적 Rome's Vestal Virgins: A Study of Rome's Vestal Priestesses in the Late Republic and Early Empire Routledge 2006
[34] 서적 Religions of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35] 서적 Roman Antiquities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36]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https://penelope.uch[...] John Murray
[37] 논문 "Vestal Virgins and Their Families" 2022-12-13
[38] 서적 Religions of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서적 Religions of Rome
[40] 서적 The Roman Triumph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41] 문서 Life of Numa http://penelope.uchi[...] University of Chicago
[42] 논문 "Law, Religion, and Constitution of the Vestal Virgins"
[43] 간행물 "Some observations on the crimen incesti" https://www.persee.f[...] École Française de Rome
[44]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Roman Republ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간행물 "Some observations on the crimen incesti" https://www.persee.f[...] École Française de Rome
[46] 문서 Roman Religion in Valerius Maximus L'Erma di Bretschneider
[47] 학술지 Polybius, the Gallic Crisis, and the Ebro Treaty https://www.jstor.or[...] 2012
[48] 문서 From Good Goddess to Vestal Virgins: Sex and Category in Roman Religion Routledge
[49] 문서 Vestales John Murray
[50] 서적 Oxford Companion to Classical Literatu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1] 문서
[52] 서적 Ab urbe condita
[53] 웹사이트 History of Rome http://mcadams.posc.[...] Marquette University 2012-11-19
[54] 문서
[55] 서적 Religions of Rome: Volume 1, A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07-09
[56] 문서 "War, Vestal Virgins, and Live Burials in the Roman Republic" Pen & Sword
[57] 웹사이트 Roman Women: The Women who influenced the History of Rome https://books.google[...] Fonthill Media 2017-05-17
[58] 서적 Rome's vestal virgins: a study of Rome's vestal priestesses in the late Republic and early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Taylor & Francis
[59] 서적 A to Z of Ancient Greek and Roman Women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8-12-17
[60] 문서
[61] 문서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Roman Republi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 문서
[63] 문서 Letters. XLIII. To Cornelius Minicianus https://www.bartleby[...] The Harvard Classics
[64] 문서 The Roman Antiquities of Dionysius of Halicarnassus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65] 서적 History of Rome https://books.google[...] Harper & Brothers
[66] 문서 The Roman Antiquities of Dionysius of Halicarnassus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67] 문서 The Roman Antiquities of Dionysius of Halicarnassus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68] 웹사이트 History of Rome http://mcadams.posc.[...] Marquette University 2012-11-19
[69] 간행물 "Some observations on the crimen incesti" https://www.persee.f[...] École Française de Rome
[70] 문서 "Ves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 서적 Factorum ac dictorum memorabilium
[72] 서적 Rome's Vestal Virgins: A Study of Rome's Vestal Priestesses in the Late Republic and Early Empire Routledge 2006
[73] 서적 Roman Clothing and Fashion Amberley Publishing 2010
[74] 간행물 The Vestal Habit 2014-07-01
[75] 간행물 The Sexual Status of Vestal Virgins 1980-01-01
[76] 서적 Rome's Vestal Virgins: A Study of Rome's Vestal Priestesses in the Late Republic and Early Empire Routledge 2006
[77] 서적 The Costume of the Roman Brid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1
[78] Youtube Recreating the Vestal Virgin Hairstyle https://www.youtube.[...]
[79] 뉴스 On Pins and Needles: Stylist Turns Ancient Hairdo Debate on Its Head https://www.wsj.com/[...] 2018-05-07
[80] 웹사이트 Ancient Rome's hairdo for vestal virgins re-created http://www.nbcnews.c[...] 2018-05-07
[81] 서적 The World of Roman Costume: Wisconsin Studies in Classics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94
[82] 간행물 Tarpeia the Vestal 2019
[83] 문서 ix. 40 https://penelope.uch[...]
[84] 문서 iv. 44 https://en.m.wikisou[...]
[85] 문서 viii. 15 https://en.m.wikisou[...]
[86] 문서 Periochae, 14 https://www.livius.o[...]
[87] 문서 iv. 5 § 9 http://attalus.org/t[...]
[88] 문서 xxii. 57 https://en.m.wikisou[...]
[89] 문서 Pro Caelio, (14).34 http://attalus.org/c[...]
[90] 문서 Pro Fonteio (21).46–49 http://attalus.org/c[...]
[91] 문서 1.12.2 https://penelope.uch[...]
[92] 서적 The Magistrates of the Roman Republic American Philological Association 1952
[93] 서적 Rome's vestal virgins: a study of Rome's vestal priestesses in the late Republic and early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Taylor & Francis 2007
[94] 간행물 Catalina and the Vestal
[95] 웹사이트 Life of Crassus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2012-11-19
[96] 서적 The Magistrates of the Roman Republic
[97] 문서 Annales, iii. 69 https://penelope.uch[...]
[98] 문서 CIL 14 2140
[99] 문서 CIL 14 2413
[100] 문서 CIL 6 2172
[101] 문서 Virgo maior regia Laurentium Lavinatium
[102] 문서 CIL 14 3677
[103] 문서 Inscription It. IV n. 213
[104] 서적 The Religious World of Quintus Aurelius Symmachus Trivent Publishing 2021
[105] 서적 Monuments and Maidens: The Allegory of the Female For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5
[106] 서적 Monuments and Maidens
[107] 논문 "The Ideology of Feminine 'Virtue': The Vestal Virgin in French Eighteenth-Century Allegorical Portraiture," in ''Portraiture: Facing the Subject''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08] 간행물 "Hector Leroux (1829-1900). Un peintre du XIXe voué à l'Antique" https://hal.univ-reu[...] Université de La Réunion 2008-04
[109] 뉴스 Behind the Song: Procol Harum, "A Whiter Shade Of Pale" https://americansong[...]
[110] 서적 From Good Goddess to Vestal Virgins: Sex and Category in Roman Religion Routledge
[111] 문서
[112] 서적 로마건국사
[113] 웹사이트 "Life of Numa Pompilius" http://www.stoa.org/[...]
[114] 웹사이트 "Letter to Emperor Valentianus" http://www.newadvent[...]
[115] 문서 "Julius Caesar"
[116] 웹사이트 "The Letters of Ambrose" http://www.tertullia[...]
[117] 웹사이트 "The New History" http://www.vitaphone[...]
[118] 문서 "The Curse of the Last Vestal"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Archaeology Odyssey 2001-01/02
[119] 웹사이트 "Life of Numa Pompilius" http://www.stoa.org/[...] 2nd century A.D
[120] 웹사이트 "Vestal Virgins" http://www.stoa.org/[...] STOA.org
[121] 백과사전 "Vestal Virgins" 2003
[122] 백과사전 "Vestal Virgins" 2003
[123] 웹사이트 Roman Antiquities https://penelope.uch[...] Penelope.uchicago.edu
[124]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https://penelope.uch[...] John Murray, London
[125] 웹사이트 "Vesta" http://www.1911encyc[...]
[126] 문서 "Vestal Virgins - Chaste Keepers of the Flame" Biblical Archaeological Society, Archaeology Odyssey 2001-01/02
[127] 웹사이트 "Vesta" http://www.1911encyc[...]
[128] 문서 Vestal Virgin Tuccia in Valerius Maximus
[129] 문서 도시의 안정은なんらかの形でウェスタの処女たちの心身の純性とかかわりをもっていると考えられていたため、時代によっては疑惑がしばしば騒動の種となった。潜在的なスケープゴートであったということは、毎年5月15日になるとウェスタの処女たちがテヴェレの川にアルジェイ(人柱のかわりに用いられた人形)を投げ込んでいたことからも推測される。以下を参照のこと CTS
[130] 웹사이트 "History of Rome" http://mcadams.posc.[...]
[131] 웹사이트 "History of Rome" http://mcadams.posc.[...]
[132] 서적 Oxford Companion to Classical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33] 웹사이트 Patria Potestas http://www.suppresse[...] www.suppressedhistories.net 2010-01-27
[134] 서적 From Good Goddess to Vestal Virgins: Sex and Category in Roman Religion https://archive.org/[...] Routledge
[135] 서적 Ab urbe condita
[136] 웹사이트 Life of Numa Pompilius http://www.stoa.org/[...]
[137] 웹인용 Letter #18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2012-11-19
[138]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Pliny https://books.google[...]
[139] 웹인용 The Memorial of Symmachus http://www.tertullia[...] Tertullian.org 2012-11-19
[140] 서적 Ultimate Reference DVD
[141] 저널 Law, Religion and Constitution of the Vestal Virgins
[142]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uni-r.de/[...] 2011-10-20
[143] 서적 Attic Nights http://www.stoa.org/[...] STOA.org
[144] 서적 Annales
[145] 서적 Ultimate Reference Sui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