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별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별명은 "추가 이름"을 의미하며, 이름, 외모, 성격, 출신 등 다양한 요소를 기반으로 생성된다. 별명은 개인, 집단, 장소, 사물 등 다양한 대상에 붙여지며, 때로는 모욕적인 비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온라인에서는 닉네임 형태로 사용되며, 정보 기술 분야에서는 익명성 보장, 주소 문제 해결을 위해 활용된다. 별명 사용은 자기 결정권에 따라 거부할 수 있으며, 학교폭력, 명예 훼손 등 법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별명 - 철의 여인
    철의 여인은 강인한 리더십으로 국가를 이끌었던 여성 정치 지도자들에게 붙여지는 별칭이다.
  • 별명 - 엠파이어 스테이트
    엠파이어 스테이트는 뉴욕주의 별칭으로, 뉴욕주의 부와 경제적 번영을 상징하며 19세기 초부터 사용되었다.
  • 학생 문화 - 페이스북
    페이스북은 마크 저커버그가 2004년 공동 창업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로, 전 세계적인 확장과 다양한 기능 추가, 사업 영역 확장을 거쳤으나, 개인정보 문제 및 논란으로 비판받았고, 2021년 메타 플랫폼즈로 사명을 변경하며 메타버스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 학생 문화 - 갭이어
    갭이어는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 진학 전이나 대학 졸업 후 취업 전에 갖는 1년간의 휴식 기간으로, 자기계발, 봉사활동, 여행 등을 통해 자아 성찰과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하지만 재정적 부담 등의 단점도 존재하며, 국가별 인식과 활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
별명

2. 별명의 어원

"별명"은 말 그대로 "추가 이름"을 의미하며, 1303년에 처음 사용된 것으로 기록되었다.[2] 이 단어는 "또한"을 의미하는 고대 영어 단어 ''eac''에서 유래되었으며,[3] "증가하다"를 의미하는 ''eacian''과 관련이 있다.[4] 15세기에는 "an ekename"이라는 구절의 음절의 잘못된 분리로 인해 "a nekename"으로 바뀌었다.[5] 철자는 바뀌었지만, 이 단어의 의미는 그 이후로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닉"의 어원은 "…도 또한"을 의미하는 초기 영어 "eke"이며, 별명을 "eke-name"이라고 불렀던 것이 나중에 변형된 것으로 여겨진다.

3. 별명의 유형

별명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본명에서 유래: 고이즈미 교코의 "꾕꾕", 곤도 마사히코의 "맛치"처럼 본명이나 예명을 활용한다.
  • 신체적 특징: 키, 체격, 외모 등 신체적 특징을 바탕으로 한다.
  • 관련 사항: 출신, 직업, 취미 등 대상과 관련된 특징을 활용한다.
  • 관련 에피소드: 특별한 사건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 (생물일 경우) 성격·기질: 에 대한 "포치", 고양이에 대한 "타마"와 같이 동물의 성격이나 특징을 나타낸다.
  • 자기소개 오청: 드물지만, 자기소개를 잘못 알아듣고 엉뚱한 별명이 붙기도 한다.


자위대 장비품처럼 현장에서 자연스럽게 붙여진 애칭과 방위성이 공모한 애칭이 আলাদাভাবে 존재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다.

  • 코트 네임: 일본 여자 스포츠계에서 사용되는 닉네임으로, 주로 농구배구에서 볼 수 있다.
  • TAC 네임: 미국 공군이나 항공자위대 조종사에게 붙여지는 개인 애칭으로, 무선 교신 시 사용된다.
  • 콜 사인: 미국 해군 조종사에게 붙여지는 개인 애칭으로, TAC 네임과 유사하다.

3. 1. 사람에게 붙는 별명

이름이 다른 사물이나 사건을 떠올리게 하는 경우 성이나 이름이 그대로 또는 변형되어 별명으로 쓰인다. 예를 들어 야구 선수 마크 맥과이어는 이름에 '맥(Mac영어)'이 들어가 햄버거 명칭인 빅맥(Big Mac영어)이 별명이 되었다.

신체적 특징으로 별명을 짓는 경우도 많다.

신체 특징별명 예시
키가 큰 사람전봇대, 키다리, 롱다리, 타조 등
키가 작은 사람꼬맹이, 땅콩, 땅꼬마, 도토리, 숏다리 등
뚱뚱한 사람돼지, 뚱뚱이, 뚱땡이 등
마른 사람말라깽이, 해골, 종이, 나뭇가지, 나뭇잎 등
달리기가 빠른 사람터보, 치타, 날쌘○○(별명) 등
달리기가 느린 사람달팽이, 느림보, 거북이
안경을 쓴 사람안경빨, 안경잡이



버라이어티 쇼 프로그램 등에서 출연자에게 설정된 캐릭터에 따라 별명이 붙는 경우도 있다. 연예인 중에는 팬들에게 불리는 별명이 수십 가지가 되는 경우도 있다. 야구 선수에게는 안타 제조기, 축구 선수에게는 골잡이 등의 별명이 붙는다.

별명은 실제 이름의 약어 또는 변경된 형태일 수 있다.


  • 긴 이름의 축약: 마가렛 → 그레타
  • 이니셜: 다니엘 제임스 → "DJ"
  • 문자 삭제: 프란체스 → 패니, 월터 → 월트
  • 음성 표기: 레너드 → 렌
  • 문자 교환: 해리 → 할 (헨리에서 유래), 메리 → 몰리, 사라 → 세이디, 로버트 → 홉, 돕, 롭, 밥, 놉, 리처드 → 릭, 딕, 힉, 윌 → 빌 (윌리엄에서 유래), 마가렛 → 펙, 메그 (19세기 미국 개척 시대에는 메리와 몰리에게 종종 폴리라는 별명이 붙었다.)
  • 이름 앞부분에서 따옴: 앨 (앨런, 앨버트, 알폰스, 알프레드, 알든, 알렉산더), 아트 (아서), 크리스 (크리스토퍼, 크리스티나), 닷 (도로시), 에드 (에드워드, 에드먼드, 에드가, 에드윈), 이즈/이지(Iz, Izzy) (아이작, 이사야, 이시도어, 이사벨, 이사벨라), 조/조(Jo) (조셉, 조세핀, 조앤나)
  • 이름 뒷부분에서 따옴: 드루(Drew) (앤드류), 잰더(Xander) (알렉산더), 엔조(Enzo)/렌조(Renzo) (로렌조), 베스(Beth) (엘리자베스), 벨/벨라(Bell, Belle) (이사벨, 이사벨라)
  • 이름 중간 부분에서 따옴: 리즈 (엘리자베스), 토리 (빅토리아), 델/델라(Del, Della) (애들레이드)
  • 축약형 추가: 로버트 → 롭 → 로빈, 헨리 → 헨킨(Henkin) → 행크(Hank), 존 → 잰킨(Jankin) → 잭, 니콜라스 → 콜린
  • 마지막 한두 글자를 생략하고 축약형 접미사(ie/ee/y) 추가: 페니 (페넬로페), 에디 (에디스), 데이비 (데이비드), 찰리 (찰스), 마이키 (마이클), 지미 (제임스), 마티 (마틴)
  • 두문자어: A. E. 하우스먼 (알프레드 에드워드 하우스먼), 조지 W. 부시 - 더비야(Dubya, 'W'의 텍사스식 발음), 호나우두 - R9 (이니셜과 셔츠 번호)[10]
  • 성(예: 빌 톰슨 - "톰모", 데이비드 캠페세 - "캄포") 또는 이름과 성의 조합(예: 알렉스 로드리게스 - "A-Rod")
  • 세컨드 네임 사용
  • 세대별 접미사 사용 ("주니어", 트레이, 트립 등, ''III''에 사용)
  • 이름과 중간 이름 조합: 메리 엘리자베스 → "마즈", "미즈" (메리와 리즈 결합)
  • 이름 일부를 두 배로 늘림: 네이선/나타샤 → "낫낫", 제임스 → "잼잼"
  • 일본 문화에서 일본어 경칭은 애칭이 두 사람 사이의 정확한 관계를 전달하도록 설계되었다.

3. 2. 특정 집단/직업군에 붙는 별명

오늘날에는 버라이어티 쇼 프로그램 등에서 출연자에게 설정된 캐릭터에 따라 별명이 붙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팬들에게 불리는 별명만 수십 가지가 되는 연예인도 있다. 야구 선수들에게는 안타 제조기 등의 별명이, 축구 선수들에게는 골잡이 등의 별명이 붙는다.

별명이 붙는 대상은 다음과 같다.

  • 본명에서 따온 별명
  • 신체적 특징에서 따온 별명
  • 대상과 관련된 사항에서 따온 별명
  • 대상과 관련된 에피소드에서 따온 별명
  • (대상이 생물일 경우) 성격·기질에서 따온 별명
  • 자기 소개의 잘못된 청취에서 따온 별명


에 대한 "포치"나 고양이에 대한 "타마" 등, 본래의 유래와는 다르게, 보편적인 애칭으로 정착된 것도 있다.

또한, 자위대의 장비품과 같이 현장에서의 애칭과 방위성이 이벤트적인 의미로 공모한 애칭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육상자위대의 장비품 목록을 참조.

애칭이 붙여지는 대상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별명, 닉네임 - 본명 이외의 호칭, 본래의 예명 이외의 호칭. 고이즈미 교코의 "꾕꾕", 곤도 마사히코의 "맛치", 오카다 유키코의 "윳코"처럼 자연적으로 생기는 경우가 많지만, AKB48 및 그 자매 그룹의 멤버처럼 불러줬으면 하는 애칭을 먼저 정해 공표하는 예도 있다. 다인원 그룹의 경우 동음이의어의 이름의 멤버가 여러 명 있는 경우도 있어, 중복되지 않도록 고안하는 데 애를 먹기도 한다.
  • 코트 네임 - 일본에서의 여자 스포츠 세계에서의 닉네임. 주로 농구배구에서만 사용되며, 다른 집단 경기나 남자 스포츠, 일본 국외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 TAC 네임 - 미국 공군이나 항공자위대의 조종사 (주로 전투기 조종사)에게 붙여지는 개인의 애칭. 계급의 상하에 관계없이, 무선으로 부르기 쉽도록 사용되고 있다.
  • 콜 사인 - 미국 해군의 조종사에게 붙여지는 개인의 애칭. 계급의 상하에 관계없이, 무선으로 부르기 쉽도록 사용되고 있다. 참고: Aviator call sign
  • 스포츠 경기의 팀 (동양의 마녀, 히노마루 비행대, 나데시코 재팬, 후지야마의 물고기 등)
  • 스코틀랜드 야드 - 런던 경시청의 애칭
  • 벚꽃다리 - 도쿄 경시청의 별칭
  • 오르페브르 강변 36번지 (더 줄여서 프랑스어로 "36") - 파리 경시청의 별칭
  • 랭글리 - CIA의 별칭 (발족 당시의 소재지에서 유래). "뷰로" FBI와 대비되어 "컴퍼니"라고 불리기도 한다.
  • 패니 메이 - 연방 주택 저당 공사의 애칭

3. 3. 장소/사물에 붙는 별명


  • '''지명:''' 많은 지리적 장소는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 칭호나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파리는 "빛의 도시", 로마는 "영원한 도시", 베네치아는 "라 세레니시마"라고 불린다.[11] 특히 미국에서는 많은 장소나 지역 사회가 시민 정체성을 확립하고, 외부인이 지역 사회를 인식하도록 돕고, 사람들을 지역 사회로 끌어들이고, 시민적 자부심을 높이고, 지역 사회의 단결을 구축하기 위해 칭호를 채택한다.[11]
  • '''건물/시설:''' 야구장 등의 시설에는 별명이 붙기도 하는데, 최근에는 네이밍 라이츠에 의한 경우가 많다.
  • '''교통 수단:'''
  • 오토바이, 자동차: 소유자가 붙이는 경우와 판매 시에 붙여지는 펫 네임(예: 혼다 N-BOX, 야마하 조그 등)이 있다.
  • 열차 애칭: "하야테", "노조미" 등.
  • 철도 차량: D51형 증기 기관차 = 데고이치, 783계 전동차 = 하이퍼 살롱 등.
  • 철도 노선: 도호쿠 본선 = 우쓰노미야선, 도카이도 본선 = JR 교토선, 다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등.
  • 비행기: 보잉 747 = 점보 제트, 보잉 777 = 트리플 세븐 등.
  • '''온라인 서비스/플랫폼:''' DNS - 인터넷 상의 서버(노드)는 숫자의 나열인 IP 주소로 구분되지만, 기억하기 쉽도록 "도메인명"이라는 이름에서 IP 주소를 검색하는 시스템이 있다.
  • '''자연:''' 반도 타로, 지쿠시 지로, 시코쿠 사부로 등.

4. 역사 속 인물들의 별명

바이킹 사회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이름 외에 또는 이름 대신에 사용되는 별칭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heiti'', ''viðrnefni'', ''kenningarnöfn'' (별칭의 고대 노르드어 용어) 등으로 불렸다.[6] 어떤 경우에는 별칭을 부여하는 것이 특별한 지위를 가지기도 했으며, 별칭 생성은 종종 공식적인 의식과 선물 교환을 수반했다. 이를 고대 노르드어로는 ''nafnfestr'' ('이름 고정')라고 불렀다.

벵골 사회에서는 가족과 친구들이 사용하는 ''daknam'' (애칭)과 공식적인 이름인 ''bhalonam''과 같이, 종종 두 개의 이름을 가진다.[7][8]

영국에서는 일부 별명이 전통적으로 개인의 성과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Clark' 성을 가진 남자는 'Nobby', 'Miller' 성은 'Dusty'라는 별명을 갖게 된다. 'Adams' 성은 'Nabby'라는 별명을 갖는다. 이 외에도 'Chalky White', 'Bunny Warren', 'Tug Wilson', 'Spud Baker' 등 다양한 별명이 존재한다. 스코틀랜드인은 'Jock', 아일랜드인은 'Paddy' 또는 'Mick', 웨일스인은 'Taffy'와 같이 출신을 암시하는 별명을 가지기도 한다. 또한, 'Lofty' (키가 작은 사람), 'Curly' (대머리 남성), 'Bluey' (붉은 머리)와 같이 신체적 특징을 반어적으로 언급하는 별명도 있다.

중국 문화에서 별명은 친척, 친구 및 이웃 간의 공동체 내에서 자주 사용된다. 전형적인 남부 중국 별명은 "阿"로 시작하고 그 뒤에 다른 글자가 오는데, 일반적으로 개인의 이름의 마지막 글자이다.[9] 예를 들어, 대만 정치인 천수이볜은 "阿扁"(A-Bian)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동남아시아의 많은 중국 공동체에서는 별명이 직업이나 지위를 암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지주는 세입자 또는 작업자에게 ''Towkay'' (頭家|사장중국어)라고 불릴 수 있으며, 빵 판매자는 "Mianbao Shu" (面包叔|빵 아저씨중국어)라고 불릴 수 있다.

나쓰메 소세키의 『도련님』에는 "붉은 셔츠", "들나팔", "마돈나", "산짐승", "우라나리" 등 별명이 많다.

『겐지 이야기』의 등장인물 이름도 "히카루 겐지", "후지쓰보", "무라사키노우에" 등 본명, 실명이 아닌 모두 별명이다. 당시 여성의 지위는 특히 낮아, 실존 인물도 부모의 관직명으로 불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겐지나"라는 호칭은 여기서 유래했다.

수호전에는 호보의, 혼강룡, 쌍편, 청면수, 탁탑천왕 등 별명을 가진 등장인물이 많다.

5. 축구 대표팀의 별명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시아의 호랑이', 태극전사, 붉은악마로 불린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천리마 축구단으로 불린다.[2]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용의 팀', 만리장성으로 불린다.[3]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사커루군단', '아시아의 유럽'으로 불린다.[4]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은 'Samurai Blue'(사무라이 블루)로 불린다.[5]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루다'로 불린다.[6]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Yanks'(양키스), 'The Stars & Stripes'(더 스타스 앤드 스트라이프스), 'The Red, White and Blue'(더 레드, 화이트 앤드 블루)로 불린다.[7]

6. 라디오 채널의 별명

7. 온라인 상에서의 별명 (닉네임)

온라인 상에서는 실제 사회와 달리 닉네임으로 자신을 표현하기도 하지만, 회원 통제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1] 엄마들의 모임에서 아이나 자신의 생년을, 친목 모임에서 회원의 생년과 실명을 닉네임에 반드시 넣도록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1] 초창기 온라인 모임과는 달리 현재는 별명이라는 뜻이 희석되었다.[1]

정보기술 분야에서 '별명'은 사용자의 '화면 이름' 또는 '핸들'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2] 컴퓨터 네트워크에서는 익명성을 보장하거나, 너무 길거나 입력하기 어려운 자연스러운 이름이나 기술적인 주소를 대신하여 별명을 사용한다.[2]

8. 별명 사용 시 유의점

기본적으로 자기 결정권에 따라 자신에게 붙여진 별명을 거부할 수 있다. 이는 동의 범위에 따라 정할 수 있으며, 호의적인 사용이라면 허용할 수 있고, 부정적이거나 조롱할 목적으로 사용한다면 거부할 수도 있다.[13]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이나 명예 훼손, 초상권 침해 등 법적인 대응도 이루어진다.[13]

참조

[1] 백과사전 Nickname https://www.britanni[...] 2022-09-06
[2] 간행물 eke-name, n. http://www.oed.com/v[...]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6
[3] 웹사이트 nickname https://www.merriam-[...] 2020-06-05
[4] 웹사이트 nickname http://www.etymonlin[...] 2007-08-31
[5] 웹사이트 nickname http://dictionary.re[...] 2020-06-10
[6] 서적 Icelandic Nicknam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7] 잡지 "Gogol" https://www.newyorke[...] 2003-06-09
[8] 학술지 "Names Can Wait": the Misnaming of the South Asian Diaspora in Theory and Practice https://www.tandfonl[...] 2007
[9] 서적 A Cultural Dictionary of The Chinese Language: 500 Proverbs, Idioms and Maxim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11-12
[10] 뉴스 Ronaldo Nazario – "O Fenômeno" https://ronaldo.com/[...] 2021-07-02
[11] 웹사이트 Wisconsin Community Slogans: Their Use and Local Impacts http://www.uwex.edu/[...] University of Wisconsin – Extension 1993-12
[12] Webarchive "Branding the Generic City" https://web.archive.[...] 2007-09-10
[13] 웹사이트 イヤな「あだ名」はお断り!法的視点から見たその理由 https://diamond.jp/a[...] 2022-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