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정성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정성시》는 1989년 개봉한 허우 샤오시엔 감독의 영화로, 50년간의 일본 식민 통치 이후 중국 국민당 정부가 대만을 통치하던 시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2.28 사건과 백색 테러로 대표되는 대만의 격동기를 다룬다. 1945년부터 1949년까지의 역사를 배경으로, 린 씨 가문의 네 형제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그들의 삶과 주변 인물들의 갈등과 고뇌를 통해 시대의 아픔을 섬세하게 그려낸다. 이 영화는 타이완어, 광둥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보여주었으며, 1989년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우샤오셴 감독 영화 - 그들 각자의 영화관
    《그들 각자의 영화관》은 칸 영화제 60주년 기념 옴니버스 영화로, 세계적인 거장 감독 36명이 '영화관'을 주제로 제작한 3분 분량의 단편 영화 34편을 통해 영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애정을 보여주며, 상영 및 출시 버전에 따라 작품 수와 구성에 차이가 있다.
  • 허우샤오셴 감독 영화 - 쓰리 타임즈
    허우 샤오시엔 감독의 《쓰리 타임즈》는 장첸과 서기가 각기 다른 시대와 장소에서 세 가지 사랑의 모습을 연기하는 옴니버스 영화로, 시대와 사랑의 다양한 형태를 탐구하여 칸 영화제 기술대상 및 금마장 주요 부문에서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대만의 영화 작품 - 20 30 40
    20 30 40은 2004년 개봉한 영화로, 샤오지에, 샹샹, 릴리 세 명의 여성을 통해 각 세대가 겪는 사랑, 꿈, 현실적인 문제들을 다루며, 행복과 아름다움은 나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 대만의 영화 작품 - 협녀
    《협녀》는 호금전 감독의 1971년 영화로, 명나라를 배경으로 여협객 양혜정과 학자 구성재가 부패한 환관에 맞서 복수를 계획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칸 영화제 기술 그랑프리를 수상하며 예술성을 인정받았다.
  • 대만의 드라마 영화 - 하나 그리고 둘
    2000년 개봉한 에드워드 양 감독의 대만 영화 《하나 그리고 둘》은 타이베이 중산층 가족과 주변인들의 삶을 통해 현대 사회의 단면을 조망하며, 가족 구성원 각자의 관계, 사랑, 상실, 삶의 의미에 대한 고민을 섬세하게 그린 작품으로, 우녠전, 진옌링, 켈리 리, 조나단 창 등이 출연했고 칸 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했다.
  • 대만의 드라마 영화 - 홍등
    홍등은 1920년대 중국을 배경으로, 홍등을 통해 권력을 얻으려는 부인들의 갈등과 인간의 욕망을 그린 영화이다.
비정성시 - [영화]에 관한 문서
영화 정보
슬픔의 도시 대만 영화 포스터
대만 영화 포스터
원제悲情城市 (Bēiqíng Chéngshì)
영어 제목A City of Sadness
감독허우샤오셴
제작자추푸성
각본가추톈원, 우녠전
출연량차오웨이, 천쑹융, 가오제, 리톈루, 신수펀
음악S.E.N.S.
촬영 감독천화이언
편집자랴오칭쑹
제작사3-H 필름
배급사Era Communications (국제 배급권), 프랑스 영화사(일본)
개봉일1989년 9월 4일 (베네치아 영화제), 1989년 10월 (대만), 1990년 4월 21일 (일본)
상영 시간157분
제작 국가대만, 홍콩
사용 언어타이완어, 표준 중국어, 일본어, 광둥어, 상하이어
영화 제작비19,000,000 달러
흥행 수입34,914,619 달러
스태프 정보
음악 감독다테카와 나오키, 장훙이
액션 지도미상

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제강점기(1895–1945)를 거치며 중국 본토와 교류가 제한되었던 타이완은 중화민국(ROC)의 통치 아래 놓이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중국 국민당(KMT) 정부가 주도하는 급격한 정치, 사회, 문화, 경제적 변화가 일어났고, 이는 기존 타이완 주민들과 새로 유입된 본토 출신자들 사이에 다양한 긴장과 갈등을 야기했다. 특히 타이완 엘리트 계층과 천이(陳儀) 성 주석이 이끄는 타이완 성 행정 장관 공서 사이의 정치적 불신도 깊어졌다.

1940년대 후반, 중국 본토에서는 국민당공산당 간의 국공 내전이 격화되면서 중국 경제 전체가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이러한 영향은 타이완에도 미쳐, 전후 경제난, 실업, 식량 부족, 빈곤 등이 심화되며 사회적 혼란이 가중되었다.

영화 《비정성시》는 바로 이러한 격동기, 즉 일본 통치 시대의 종식부터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베이로 이전하기까지(1945-1949)의 타이완 사회를 배경으로 한다. 영화가 개봉된 1989년은 타이완의 계엄령이 해제된 지 불과 2년 후였으며, 당시 사회적으로 금기시되었던 2·28 사건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영화의 주된 배경이 된 지우펀은 이 작품의 성공 이후 타이완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로 부상했다.

2. 1. 일본 식민 통치 (1895-1945)

일본의 식민 통치(1895–1945)는 타이완 사회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이 기간 동안 타이완은 중국 본토와의 정치적, 문화적 교류가 사실상 단절되었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중화민국(ROC)으로 통치권이 이양되었을 때, 타이완 주민들과 새로 들어온 중국 국민당(KMT) 정부 및 본토 출신자들 사이에 발생한 여러 갈등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오랜 기간 다른 역사적 경험을 쌓아온 두 집단 간의 문화적, 사회적 긴장은 불가피했으며, 이는 정치적 불신으로까지 이어졌다.

허우샤오시엔 감독의 영화 비정성시는 바로 이 일본 통치가 끝나고 중화민국 통치가 시작되는 격동의 시기를 배경으로 삼고 있다. 그의 대만 현대사 3부작 중 후속작인 희몽인생(1993년)은 비정성시의 이전 시대, 즉 일본식민 통치 시작부터 종말까지의 기간을 다루며 일본 통치 시대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2. 2. 2.28 사건 (1947)

일제강점기(1895–1945) 동안 타이완은 중국 본토와의 교류가 제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타이완의 통치권이 중화민국(ROC)으로 이양되고 중국 국민당(KMT) 정부가 들어서면서, 타이완 주민들은 급격한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변화에 직면했다. 이 과정에서 타이완 주민과 본토 출신 이주민 사이의 문화적, 사회적 긴장이 고조되었으며, 타이완의 지식인 및 사회 지도층과 천이(陳儀) 성 주석이 이끄는 타이완 성 행정 장관 공서 사이의 정치적 불신 역시 깊어졌다.

한편, 1940년대 후반 국민당 정부는 중국 본토에서 중국 공산당과의 국공 내전에 휘말려 있었고, 중국 경제는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타이완의 전후 경제 상황 역시 실업, 식량 부족, 빈곤, 주택 문제 등이 심화되면서 사회 불안이 고조되었다.

사건의 발단은 1947년 2월 27일, 타이베이의 한 찻집 앞에서 발생했다. 담배 전매 단속 요원들이 허가 없이 담배를 팔던 여성을 단속하는 과정에서 폭력을 행사하고 돈과 담배를 압수했다. 여성이 항의하자 요원이 권총 손잡이로 여성의 머리를 가격했고, 이에 분노한 시민들이 항의하며 몰려들자 단속 요원 중 한 명이 군중을 향해 발포하여 구경하던 시민 한 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5]

이 사건은 다음 날인 2월 28일 아침, 행정장관 공서 앞에서의 대규모 항의 시위를 촉발했다. 시위대에 대한 경찰의 발포로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시위는 타이완 전역의 봉기로 확산되었다. 봉기 과정에서 일부 타이완 주민들이 본토 출신 인사들을 공격하는 일도 발생했다. 천이 행정장관은 사태 수습을 명분으로 계엄령을 선포하고, 장제스에게 본토 병력 파견을 요청하여 무력 진압에 나섰다.

이 사건을 계기로 타이완은 이후 38년간 이어지는 계엄령 시대, 즉 '백색 테러' 시기로 접어들게 되었다. 진압 과정과 이후 이어진 백색 테러 기간 동안 타이완의 지식인, 사회 운동가 등 수많은 엘리트들이 체포되거나 살해당했다. 2.28 사건으로 인한 사망자는 적게는 1만 명에서 많게는 2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며, 이후 백색 테러 기간 동안 더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4]

2.28 사건은 타이완 사회에 깊은 상처와 트라우마를 남겼으며, 타이완 주민과 본토 출신 간의 관계를 수십 년 동안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4] 오랫동안 타이완 내에서 이 사건을 공공연하게 언급하는 것은 금기시되었으나, 계엄령 해제 이후 과거사를 기억하고 재구성하려는 노력이 이어지면서[20] 타이완 현대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사건으로 재조명받고 있다.

2. 3. 백색 테러 (1949-1987)

일제강점기(1895–1945) 동안 타이완은 중국 본토와의 교류가 제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타이완의 통치권이 중화민국(ROC)으로 넘어가면서, 중국 국민당(KMT) 정부가 들어서자 타이완 주민들은 급격한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변화를 겪어야 했다. 이 과정에서 타이완 원주민과 중국 대륙에서 건너온 이른바 외성인(外省人) 사이의 문화적, 사회적 긴장이 커졌고, 타이완의 지식인 및 사회 지도층과 천이(陳儀) 성 주석이 이끄는 타이완 성 행정 장관 공서 사이의 정치적 불신도 깊어졌다.[1][2]

동시에 1940년대 후반, 중국 국민당 정부는 중국 대륙에서 중국 공산당과의 국공 내전에 휘말려 있었다. 중국 경제는 급격히 나빠졌고, 전후 타이완의 경제 상황 역시 악화일로를 걸었다. 실업, 식량 부족, 빈곤, 주택 문제 등이 심각해지면서 타이완 해협 양쪽 모두에서 사회 불안이 고조되었다.[1][2] 이러한 혼란은 1947년 2·28 사건과 같은 비극적인 사건으로 이어졌고, 이후 국민당 정부가 타이완으로 이전한 뒤 선포된 계엄령 아래에서 수십 년간 지속된 정치적 억압, 즉 백색 테러(白色恐怖) 시대(1949-1987)의 배경이 되었다.

영화 《비정성시》는 바로 이 시기, 즉 일본 통치 시대의 종말부터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베이로 이전하기까지의 대만 사회를 그리고 있다. 영화가 개봉된 1989년은 대만의 계엄령이 해제된 지 불과 2년 후였기 때문에, 영화에서 2·28 사건을 다룬 것은 매우 이례적이고 용기 있는 시도로 평가받았다.[3] 당시 대만 사회에서는 2·28 사건을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것 자체가 금기시되었기에, 이 영화는 대만 현대사의 상처를 정면으로 마주하고 공론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영화의 배경이 된 지우펀은 이 작품의 성공으로 대만의 주요 관광 명소로 떠올랐다.[4]

3. 등장인물

영화 《비정성시》는 대만 현대사의 격동기를 배경으로 지룽의 한 가족, 린씨 일가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각 인물은 시대의 아픔과 개인적인 비극을 동시에 겪으며 영화의 서사를 이끌어간다.

영화의 주요 인물들은 린씨 가문의 네 아들과 그 주변 인물들이다. 가문의 가장인 린아루(리톈루)는 선박 중개업을 운영했던 인물이다. 장남 린원슝(진송용)은 가업을 이어받아 사업을 운영하지만, 시대적 혼란 속에서 좌절하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다. 삼남 린원량(가오제)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정신적 트라우마를 겪고, 이후 범죄에 연루되어 고문 후유증으로 고통받는다.

이야기의 중심에는 넷째 아들 린원칭(양조위)이 있다. 어린 시절 사고로 청각 장애를 갖게 된 그는 사진사로 일하며, 주로 필담으로 세상과 소통한다. 그는 진보적인 친구 우관룽(히로에, 오의방)과 교류하며 2·28 사건 등 혼란스러운 시대를 목격하고, 정치적 사건에 휘말려 수감되기도 한다. 관룽의 여동생이자 간호사인 우관메이(히로미, 신수펀)와 사랑에 빠져 결혼하지만, 결국 시대의 폭력 속에서 헤어지게 된다.

이 외에도 진보적인 지식인이자 반정부 활동가인 우관룽(히로에), 일제강점기의 기억을 상징하는 시즈코(나카무라 이쿠요), 린씨 형제들을 이용하려는 상하이 출신 갱단 두목(레이밍) 등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당시 대만 사회의 복잡한 단면과 시대적 비극을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각 인물의 삶은 대만본성인외성인 간의 갈등, 중국 국민당 정부의 통치와 탄압이라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서로 얽히며 전개된다.

3. 1. 린씨 일가

린씨 일가 구성원
인물배우설명
린아루리톈루린씨 가문의 가장. 선박 중개업을 운영했으나 현재는 장남에게 물려주었다. 암흑가에도 연줄이 있다.
린원슝진송용린씨 가문의 장남. 아버지의 가업을 이어받아 선박 중개업과 "소상하이 주가" 식당을 운영한다. 2·28 사건 이후 사업이 어려워지고 술과 도박에 빠지며, 결국 상하이 갱단과의 갈등 속에서 총에 맞아 사망한다.
린원룽(배우 정보 없음)린씨 가문의 차남. 일본군 군의관으로 루손 섬에 파견되었으나 소식이 끊겼고, 이후 전사 통보를 받는다.
린원량가오제린씨 가문의 삼남.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 통역으로 참전했으며, 전쟁 트라우마로 정신 질환을 앓는다. 퇴원 후 상하이 갱단과 엮여 마약 밀수에 가담하다가 한간으로 몰려 중국 국민당 정부에 체포되고, 고문 후유증으로 폐인이 된다.
린원칭량차오웨이린씨 가문의 사남. 어린 시절 사고로 청각 장애를 얻어 필담으로 소통하는 사진사이다. 진보적인 친구들과 교류하며 2·28 사건의 혼란을 겪고, 반체제 인사로 몰려 투옥되기도 한다. 친구의 여동생 관메이와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지만, 결국 다시 체포되어 행방불명된다.



린씨 가문은 지룽을 기반으로 하는 본성인 가족이다. 가장인 린아루(리톈루)는 선박 중개업을 운영하며 암흑가에도 연줄이 있었으나, 이제는 장남에게 가업을 물려주고 은퇴한 상태이다.

장남 린원슝(진송용)은 아버지의 뒤를 이어 선박 중개업을 경영하며, 본가에 "소상하이 주가"라는 식당을 열어 운영한다. 그는 1945년 8월 15일, 천황옥음방송으로 전쟁이 끝난 날 밤에 첩과의 사이에서 아들을 얻는다. 그러나 2·28 사건 이후 식당 운영이 어려워지자 술과 도박에 빠지고, 동생 린원량과 얽힌 상하이 갱단과의 갈등 속에서 즉흥적인 복수 시도 중 총에 맞아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다.

차남 린원룽일본군 군의관으로 필리핀의 루손 섬에 파병된 후 소식이 끊겼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돌아오지 못했고, 결국 가족들은 그의 사망 통지와 유품을 받게 된다.

삼남 린원량(가오제)은 일본군 통역으로 상하이에 파견되었다가 돌아왔지만, 전쟁에서 겪은 트라우마로 인해 정신 질환을 앓는다. 퇴원 후에는 상하이 출신 갱단과 어울리며 마약 밀수 등 불법적인 일에 가담한다. 이로 인해 형 원슝과 갈등을 빚고, 결국 갱단의 음모로 한간(부역자)이라는 누명을 쓰고 중국 국민당 정부에 체포된다. 모진 고문을 받고 풀려났지만, 심각한 후유증으로 폐인이 된다.

사남 린원칭(량차오웨이)은 어린 시절 사고로 청각 장애를 얻어 말을 하지 못하며, 주로 글을 써서 소통한다. 그는 진과스에서 사진관을 운영하며 가족들과는 다소 거리를 두고 지낸다. 사진관에는 진보적인 성향의 친구 우관룽(오의방)이 함께 지내고 있으며, 그의 여동생 우관메이(신수펀)와 필담을 통해 사랑을 키워나간다. 2·28 사건 발발 당시 타이베이에서 혼란을 목격하고, 이후 반정부 활동을 하던 친구들과 가깝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투옥되기도 한다. 석방 후에는 처형된 동료들의 유언을 가족들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산속에서 숨어 지내던 우관룽과 재회하고, 그의 부탁으로 관메이와 결혼하여 아들을 낳는다. 사진관을 다시 열어 잠시 평화로운 시간을 보내지만, 결국 정부의 탄압을 피하지 못하고 다시 체포되어 행방불명된다.

3. 2. 린씨 일가 주변 인물


  • '''신서분''' : '''히로미''' (吳寬美, 우관메이) 역.

진과스 광산 병원의 간호사이자 히로에의 여동생이다. 오빠를 통해 린원칭을 알게 되고, 청각 장애가 있는 원칭과 주로 필담으로 소통하며 가까워진다. 병원 일을 그만둔 후, 2·28 사건 이후 석방된 원칭과 결혼하여 아들을 낳는다. 오빠 히로에가 산에서 반정부 활동을 할 때 편지를 통해 안부를 확인하며, 남편과 아이를 돌보는 일상에서 행복을 느낀다. 그러나 히로에의 사망 소식과 원칭의 갑작스러운 체포로 인해 홀로 남겨진다.

  • '''오의방''' : '''히로에''' (吳寬榮, 우관룽) 역.

린원칭의 친구이자 히로미의 오빠이며, 학교 선생님이다. 진보적인 지식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대만의 정치 상황에 대해 비판적인 생각을 가지고 다른 지식인들과 교류한다. 2·28 사건 처리 위원회에 참여했다가 부상을 입고, 이후 중국 국민당 정부의 탄압을 피해 산으로 들어가 반정부 게릴라 조직을 이끈다. 원칭에게 여동생 히로미와의 결혼을 부탁하고 타이베이로 보낸다. 결국 정부군에 의해 조직이 와해되고 총살당한다.

  • '''나카무라 이쿠요''' : '''시즈코''' (靜子) 역.

일제강점기 시절 진과스에서 일본어 교육을 담당했던 오가와 교장의 딸이다. 히로에가 짝사랑했지만, 전쟁이 끝나고 오빠의 유품을 히로에에게, 자신의 옷을 히로미에게 남기고 일본으로 돌아간다.

  • '''잔굉지''' : '''린 선생''' 역.

중국 대륙에서 온 지식인으로, 히로에(관룽) 등과 교류하며 정치에 대해 토론한다.

  • '''오념진''' : '''우 선생''' 역.

히로에(관룽)의 동료 교사로, 진보적인 성향을 공유한다.

  • '''하세가와 타로''' : '''오가와 교장''' 역.

일제강점기 시절 학교 교장으로, 시즈코의 아버지이다.

  • '''장자녠''' : '''아자''' 역.

린원슝의 첩의 오빠. 상하이 마피아와 린원량을 연결해주고 밀수 등 불법적인 일에 연루된다. 원슝이 체포될 위기에 처했을 때 도피를 돕기도 하지만, 결국 원슝이 죽게 되는 싸움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 '''레이밍''' : '''상하이 보스''' 역.

상하이 출신 마피아 두목. 린원량을 이용하여 쌀, 설탕, 마약 밀수를 계획하고 실행한다. 린원량이 한간 혐의로 체포되자 원슝의 부탁으로 석방을 돕지만, 이후 도박장에서 벌어진 싸움에서 원슝을 총으로 쏴 살해한다.

3. 3. 기타


  • 리톈루 - 린알루
  • 천쑹융 - 장남 원슝
  • 가오제 - 삼남 원량(알량)
  • 량차오웨이 - 사남 원칭
  • 신수펀 - 우관메이
  • 우이팡 - 그의 형 관룽
  • 천수팡 - 장남 원슝의 본처, 미다이
  • 황첸루 - 그의 딸, 아쉐
  • 커수윈 - 차남의 아내
  • 린리칭 - 삼남 원량의 아내
  • 허아이윈 - 장남 원슝의 첩
  • 장자녠 (케니 청, 홍콩 영화에서는 [타이포]라는 예명으로 알려짐) - 그의 형, 아자
  • 린양 - 원슝의 친구, 쉬 씨
  • 잔훙즈 - 대륙에서 온 린 선생
  • 우녠전 - 관룽의 동료 우 선생
  • 셰차이쥔 - 셰 선생
  • 장다춘 - 대륙에서 온 허 기자
  • 나카무라 이쿠요 - 오가와 시즈코
  • 하세가와 타로 - 오가와 교장
  • 라이더난 - 진과스 병원의 첸 원장
  • 레이밍 - 상하이 보스
  • 원솨이 - 그의 파트너 아산
  • 빌리 - 검은 안경의 빌리
  • 아이쭈투 - 지우펀의 "적원"
  • 천위룽 - 아춘
  • 린자오슝 - 아청 두목
  • 린쥐 - 부하 진취안
  • 아피포 - 중재하는 아지엔제
  • 루칭 - 우 남매의 아버지
  • 메이팡 - 우 남매의 어머니
  • 장훙이
  • 천화이언
  • 차이전난
  • 진스제

4. 줄거리

영화는 일본 제국의 50년간의 식민 통치가 끝난 1945년 8월 15일부터 국공 내전에서 패배한 장제스의 중국 국민당 정부가 대만으로 이전하는 1949년까지, 대만 지룽 인근 해안 마을에 사는 린(林) 가문의 이야기를 따라간다.

1945년 8월 15일, 히로히토 천황의 항복 선언으로 대만은 해방을 맞이한다. 린 가문의 장남 린원슝(진숭용)은 '소상하이(小上海)'라는 술집을 운영하며 새 시대를 맞이하고, 그날 밤 아들을 얻는다. 둘째 아들 원룽은 제2차 세계 대전필리핀에서 실종된 상태다. 셋째 아들 린원량(가오제)은 일본군 통역으로 상하이에 갔다가 해방 후 귀환하지만, 한간 혐의로 체포되었던 충격으로 정신 이상 증세를 보인다. 넷째 아들 린원칭(양조위)은 어린 시절 사고로 청력을 잃은 사진사이다. 그는 친구 우관룽(우이팡)과 그의 여동생 우관메이(신슈펀)와 교류하며, 관메이와 점차 가까워진다.

셋째 원량은 정신병원 퇴원 후 불법적인 일에 연루되고, 결국 모함으로 투옥되어 고문 후유증을 앓게 된다.

1947년, 타이베이에서 담배 단속 사건을 계기로 본성인(대만 토착민)과 외성인(본토 이주민)의 갈등이 폭발하며 2.28 사건이 발생한다. 국민당 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군대를 동원해 시위를 무자비하게 진압하며 수많은 희생자를 낳는다. 이 혼란 속에서 원칭 역시 잠시 체포되었다가 풀려나고, 그의 친구 관룽은 사건 처리 위원회 활동 후 부상을 입고 정부의 탄압을 피해 좌익 게릴라 활동을 위해 산으로 들어간다.

원칭은 관룽을 따라나서려 하지만, 관룽은 원칭에게 동생 관메이와의 결혼을 부탁하며 만류한다. 얼마 후, 원슝은 도박장에서 원량을 모함했던 상하이 패거리와의 싸움에 휘말려 총에 맞아 사망한다. 원슝의 장례식 후 원칭과 관메이는 조촐한 결혼식을 올리고 아들을 낳아 잠시 평화로운 시간을 보낸다. 부부는 산속의 관룽을 몰래 지원하지만, 곧 정부군의 토벌로 관룽을 포함한 게릴라 부대원들이 모두 사살되었다는 비극적인 소식을 접한다.

관룽의 동료는 원칭에게도 위험을 알리며 피신을 권하지만, 갈 곳이 없었던 원칭과 관메이, 아들은 사진관으로 돌아와 가족사진을 남긴다. 사흘 뒤, 원칭은 게릴라 연루 혐의로 국민당 정부에 체포되어 끌려가고, 이후 그의 소식은 알 수 없게 된다. 집에는 관메이와 어린 아들만이 남겨진다.

1949년 12월, 국공 내전에서 패배한 국민 정부가 대만으로 건너와 타이베이를 임시 수도로 선포하면서 영화는 막을 내린다. 이 작품은 일본 통치 시대의 종말부터 중화민국 정부의 타이완 이전까지 격동의 시대를 살아간 한 가족의 비극을 통해 대만 현대사의 아픔을 담담하게 그려낸다. 영화가 공개된 시점은 대만의 계엄령이 해제된 지 불과 2년 후로, 2.28 사건과 같은 민감한 역사적 사건을 본격적으로 다루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영화의 주요 촬영지였던 지우펀은 이 작품의 성공으로 유명 관광 명소가 되었다. 홍콩 출신 배우 양조위대만어를 구사하지 못해 청각 장애인인 원칭 역할을 맡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영화는 허우샤오시엔 감독의 대만 현대사 3부작 중 첫 번째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후속작인 《희몽인생》(1993)은 이 영화 직전 시대인 일본 통치 시기를 다룬다.

4. 1. 1945년: 해방과 새로운 시작

1945년 8월 15일, 히로히토 천황의 옥음방송을 통해 일본의 항복이 선언되면서 50년간 지속된 일본의 식민 통치는 막을 내렸다. 대만 사람들은 해방의 기쁨을 누렸고, 새로운 시대를 맞이할 준비를 했다.[1] 같은 날 밤, 지룽에 사는 린 가문의 장남 린원슝(진숭용)과 그의 첩 사이에서 아들이 태어났다. 린 가문의 가장인 린아루(리톈루)는 과거 선박 중개업을 운영하며 암흑가에도 발이 넓었지만, 이제는 장남 원슝에게 가업을 맡기고 은퇴한 상태였다.[2]

원슝은 가업인 선박 중개업을 운영하는 동시에 본가 건물에 '소상하이(小上海) 주가'라는 이름의 술집을 열었다. 개업 축하연에는 가족, 친척, 친구들이 모여 새로운 시작을 축하하며 성황을 이루었다.[2]

해방 직후 린 가문의 네 아들은 각기 다른 상황에 놓여 있었다.

린 가문 형제
순서이름배우비고
장남린원슝진숭용가업(선박 중개업) 계승, "소상하이 주가" 운영
차남린원룽-일본군 군의관으로 필리핀 루손 섬 파병 후 실종 상태[1]
삼남린원량가오제일본군 통역으로 상하이 파견 경력. 해방 후 한간 혐의로 국민당 정부에 체포되었다 풀려난 뒤 정신적 충격으로 입원[1][2]
사남린원칭양조위어린 시절 사고로 인한 청각 장애인. 진과스에서 사진관 운영. 좌익 성향[1][2]



사남 원칭은 진과스에서 사진관을 운영하며 지냈고, 그의 사진관에는 친구인 우관룽(우이팡)이 함께 머물고 있었다.[2] 원칭은 어린 시절 사고로 청력을 잃었지만, 지식인들과 교류하며 시대의 변화에 관심을 가졌다.[1]

해방된 대만에는 중국 본토에서 국민당 군대, 관리, 사업가뿐만 아니라 기회를 찾아 몰려든 다양한 사람들이 유입되었다. 이는 기존 대만 사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도 했지만, 동시에 본성인(대만 토착민)과 외성인(본토 이주민) 사이의 문화적, 사회적 갈등의 씨앗이 되기도 했다.[1][3]

그해 가을, 우관룽의 여동생인 우관메이(신슈펀)가 진과스 병원의 간호사로 일하기 위해 오빠가 있는 곳으로 왔다. 관룽은 본토에서 돌아온 지식인들과 정치 문제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고, 말을 할 수 없는 원칭은 관메이와 필담(筆談)으로 소통하며 점차 가까워졌다.[2] 한편, 일제 시대에 지역 학교 교장의 딸이었던 일본인 세이코(나카무라 이쿠요)는 전사한 오빠의 유품을 관룽에게, 자신의 옷을 관메이에게 남긴 채 일본으로 돌아갔다. 이는 식민 시대의 종언과 새로운 시대의 도래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었다.[2]

얼마 후, 정신병원에 입원했던 삼남 원량이 퇴원했다.[2]

4. 2. 1945-1947년: 혼란과 갈등

1945년 8월 15일, 히로히토 천황의 항복 선언과 함께 타이완에서의 50년간의 일본 식민 통치가 막을 내렸다. 타이완 사람들은 주권을 되찾았다는 사실에 기뻐했지만, 이는 동시에 새로운 혼란의 시작이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중화민국으로 통치권이 이양되면서, 장제스가 이끄는 중국 국민당(KMT) 정부 군대와 함께 중국 본토에서 많은 사람들이 타이완으로 건너왔다. 이 과정에서 기존 타이완 주민들(본성인)과 새로 유입된 본토 출신자들(외성인) 사이에 문화적, 사회적 긴장이 고조되었다. 또한 천이 성 주석이 이끄는 타이완 성 행정 장관 공서와 타이완 엘리트들 사이의 정치적 불신도 깊어졌다. 경제 상황도 악화되어 실업, 식량 부족, 빈곤 문제가 심각해졌고 사회적 혼란이 가중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영화는 지룽시 근처 해안 마을에 사는 린(林) 가문의 이야기를 다룬다. 린 가문의 셋째 아들인 린원량은 일본군 통역으로 상하이에 징집되었다가 일본 패망 후 귀환했다. 그러나 그는 한간(친일 부역자) 혐의로 국민당 정부에 체포되었고, 이 충격으로 정신 이상 증세를 보여 병원에 입원하게 된다. 회복 후 퇴원한 원량은 옛 상하이 시절 인맥과 다시 연결되어, 일본 화폐 절도나 마약 밀수 등 불법적인 일에 손을 대기 시작했다. 장남 린원슝이 이를 막으려 했지만, 결국 원량은 상하이 조직의 모함으로 다시 투옥된다. 감옥에서 그는 혹독한 고문을 당해 뇌손상을 입고 폐인이 된다.

1947년 2월 28일, 타이베이에서 발생한 암거래 담배 단속 사건을 계기로 본성인들의 불만이 폭발하며 2·28 사건이 발발했다. 이 사건은 외성인 통치에 대한 본성인들의 저항이었으며, 국민당 군대는 이를 무자비하게 진압했다. 천이 행정장관은 계엄령을 선포했고, 수많은 타이완인들이 학살되거나 투옥되었다. 이 혼란 속에서 린 가문의 막내아들이자 청각 장애인인 린원칭 역시 잠시 체포되었다가 풀려난다. 원칭의 친구 우관룽의 여동생이자 간호사인 관메이가 일하는 병원에는 부상자들이 넘쳐났고, 외성인들의 피난처가 되기도 했다. 우관룽은 타이베이에서 사건 처리 위원회에 참여했다가 부상을 입고 돌아온 후, 정부의 탄압을 피해 반체제 활동을 위해 은신하게 된다.

4. 3. 1947년: 2.28 사건과 비극

1940년대 후반, 중국 국민당(KMT) 정부는 본토에서 공산당과의 내전에 휩싸였고, 중국 경제는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타이완의 전후 경제 상황도 실업, 식량 부족, 빈곤 등으로 인해 날마다 악화되어 사회적 혼란이 커지고 있었다. 당시 시행된 여러 제한 조치 중 하나는 담배 거래 금지였다.

1947년 2월 27일, 타이베이의 한 찻집 앞에서 사건이 발생했다. 담배 전매국 요원들이 대만 여성 담배 판매상의 불법 담배와 돈을 압수하고, 체포 과정에서 권총으로 머리를 가격했다. 이에 분노한 군중이 요원들에게 몰려들었고, 한 공무원이 군중을 향해 발포하여 구경꾼 한 명이 사망했다. 이 소식은 다음 날인 2월 28일 아침 대규모 시위를 촉발시켰다. 경찰이 시위대를 향해 발포하면서 더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고, 시위는 곧 대규모 폭동으로 번졌다.[5] 이 사건이 바로 2·28 사건이다.

본성인(대만 현지인)과 외성인(본토 출신) 사이의 갈등이 고조된 가운데, 천이 행정장관은 계엄령을 선포하고 중화민국 군대를 본토에서 파견하여 사건을 무력으로 진압하도록 요청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대만인들이 학살당했으며, 이후 38년 동안 대만은 "백색 테러"로 알려진 계엄령 통치하에 놓이게 되었다. 이 사건으로 대만 현지 엘리트 세대가 대거 체포되거나 살해되었다. 2·28 사건으로 약 1만 명에서 2만 명 사이의 사람들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백색 테러 기간 동안 더 많은 사람들이 사망하거나 실종되었다. 이 사건은 대만 정치와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고, 수십 년간 본성인과 외성인 간의 관계를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4]

이 혼란 속에서 영화의 등장인물인 우관룽과 린원칭은 임시 계엄령이 내려진 타이베이로 향한다. 린원칭은 열차 안에서 외성인으로 오해받아 본성인들에게 위험한 상황에 처하지만 우관룽의 도움으로 위기를 넘긴다. 혼란이 계속되자 린원칭은 홀로 진과스로 돌아온다. 진과스에서도 많은 외성인들이 본성인들에게 습격당하고, 병원은 피난처가 된다. 며칠 후, 타이베이에서 "2·28 사건 처리 위원회"에 참가했던 우관룽이 다리에 큰 부상을 입고 돌아온다. 타이베이에서는 천이 장군이 탄압을 명령하여 다수의 본성인이 처형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우관룽은 결국 집을 떠나 몸을 숨기게 되고, 린원칭 역시 반체제파의 일원으로 간주되어 체포된다. 그는 유치장에서 동료들이 차례차례 처형되는 것을 목격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석방된다.

4. 4. 1947-1949년: 상처와 저항

1947년 2.28 사건이 발생하여 수천 명의 대만인들이 국민당 군대에 의해 학살당하는 비극이 벌어진다. 린 가족은 라디오를 통해 대만성 행정장관 천이가 반대 세력을 진압하기 위해 계엄령을 선포했다는 소식을 듣는다. 부상자들이 인근 진료소로 밀려들었다. 혼란 속에서 린원칭은 본성인들에게 외성인으로 오해받아 살해당할 뻔하기도 했으며, 반체제 인사로 간주되어 국민당에 의해 체포되었다가 풀려난다. 그는 유치장에서 동료들이 처형되는 것을 목격해야 했다.

한편, 원칭의 친구이자 관메이의 오빠인 우관룽은 타이베이에서 열린 '2·28 사건 처리 위원회'에 참여했다가 다리에 큰 부상을 입고 돌아온다. 천이본성인에 대한 탄압을 명령하면서 많은 이들이 처형당하자, 관룽은 좌익 게릴라에 합류하기 위해 산으로 들어간다. 린원칭도 합류하려 했으나, 관룽은 이를 거절하며 원칭에게 여동생 관메이와 결혼하여 가정을 꾸릴 것을 부탁하고 타이베이로 보낸다.

얼마 후, 린원슝은 도박장에서 과거 동생 원량을 모함했던 상하이 패거리와 시비가 붙고, 결국 상하이 마피아 조직원의 총에 맞아 사망한다. 원슝의 장례식이 끝나고 며칠 뒤, 린원칭과 관메이는 집에서 조촐하게 결혼식을 올리고, 이후 아들을 낳는다. 부부는 산속의 관룽에게 활동 자금을 보내며 조용히 지원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정부군이 게릴라 부대를 토벌하여 관룽을 포함한 대원들이 모두 사살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

관룽의 동료는 원칭에게도 위험하니 피신하라고 알렸지만, 그들에게는 갈 곳이 없었다. 세 사람은 사진관으로 돌아와 가족사진을 찍는다. 사흘 뒤, 린원칭은 결국 게릴라 연루 혐의로 국민당 정부에 체포되어 연행된다. 관메이는 타이베이까지 가서 남편의 행방을 수소문하지만, 그의 소식을 들을 수 없었다.

1949년 12월, 국공 내전에서 패배한 장제스의 국민 정부는 대만으로 건너와 타이베이를 임시 수도로 선포한다.

4. 5. 1949년: 국민당 정부의 대만 이전

1949년 12월, 대륙에서 패배한 국민 정부가 대만으로 건너와, 타이베이를 임시 수도로 정한다.

5. 제작 과정

1980년대 타이완 뉴 시네마 운동의 흐름 속에서 허우샤오시엔 감독은 타이완을 넘어 국제적인 관객을 위한 영화를 만들고자 했다.[3] 그는 장징궈 총통 사망과 계엄령 해제를 계기로, 오랫동안 금기시되었던 2·28 사건백색 테러 시기를 배경으로 한 가족 이야기를 구상했다.[8] 이는 역사를 정면으로 마주하려는 시도였다. 각본은 주톈원 작가와 함께 작업했으며, 초기 구상과는 다른 방향으로 발전하여 1940년대 후반의 이야기에 집중하게 되었다.

제작 과정에서는 국제적인 요소를 적극적으로 도입했다. 주로 일본의 투자를 받아 제작되었으며, 후반 작업에도 일본의 기술과 시설을 활용하여 영화의 완성도를 높였다.[3] 또한, 당시 홍콩의 인기 배우였던 양조위를 청각 장애인 사진작가 린원칭 역으로 캐스팅하여 홍콩 및 해외 화교 시장을 공략하고자 했다.[3] 영화의 주요 촬영은 일제강점기의 흔적이 남아있는 지우펀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는 영화의 시대적 배경을 효과적으로 담아내는 데 기여했다.[7]

특히 《비정성시》는 타이완어, 광둥어, 일본어, 상하이 방언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여 등장인물들의 배경과 타이완 사회의 다층적인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이는 과거 정부의 국어 보급 정책으로 인해 만다린 중국어 사용이 강제되었던 영화계의 관행에서 벗어나 타이완의 실제 모습을 반영하려는 중요한 시도였다.[3] 이러한 제작 방식은 영화가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타이완의 역사와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5. 1. 기획 및 각본

1980년대 타이완 뉴 시네마 운동은 타이완 내부를 넘어 국제적인 관객을 위한 영화 제작으로 나아가고 있었다. 허우샤오시엔과 에드워드 양 같은 감독들은 홍콩 영화처럼 스타 파워와 높은 제작 품질을 통해 인기를 얻고자 했다.[3] 《비정성시》 제작 과정에서 허우샤오시엔은 주로 일본의 투자를 받았으며, 일본의 기술과 시설을 후반 작업에 활용했다. 평론가이자 제작자인 잔훙즈는 이를 국제 관객을 끌어들일 수 있는 "고품질" 요소로 보았다.[3] 또한 당시 떠오르던 홍콩 스타 양조위를 주요 인물인 웬칭 역에 캐스팅하여 스타 파워를 확보하고, 홍콩 및 해외 화교 관객을 공략하고자 했다.[3] 영화는 타이완어, 광둥어, 일본어, 상하이 방언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보여주고 타이완을 세계에 알리려 했다. 이는 과거 정부의 국어 보급 정책으로 인해 대부분의 영화가 만다린 중국어만 사용했던 것과 대조된다.[3]

허우샤오시엔 감독은 여러 이유로 2·28 사건백색 테러 시기를 배경으로 한 가족 이야기를 만들고자 했다. 그는 1988년 장징궈 총통의 사망과 그 전해의 계엄령 해제가, 정부에 의해 오랫동안 은폐되어 왔다고 생각한 2.28 사건을 다루기에 적절한 시점이라고 보았다. 그는 이 주제에 대한 책이 부족했고, 한 가족의 시선을 통해 역사를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밝혔다.[8]

허우샤오시엔은 자신의 의도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모두가 2.28 사건에 대해 알고 있었다. 공개적으로는 아무도 말하지 않았지만, 문을 닫고 나면 모두가 이야기했다. 특히 당외 운동에서는 더욱 그랬다[...] 2.28 사건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었기에, 나는 정권 교체기에 한 가족이 겪는 변화와 과도기적 시기를 담아내는 데 더 관심이 있었다. 이것이 내가 포착하고 싶었던 핵심이다…

너무 많은 정치적 개입이 있었다. 우리는 포괄적인 성찰을 위해 역사 그 자체로 돌아가야 하지만, 정치인들은 이 비극을 마치 현금인출기처럼 필요할 때마다 이용하려 든다. 끔찍한 일이다. 그래서 내가 영화에서 어떤 관점을 취하든 비판은 피할 수 없을 것이다. 나는 여전히 금기시되는 사건들을 다루고 있었고, 나름의 관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어쨌든 사람들과 가족의 관점에서 영화를 만들었다… 물론 이는 영화 제작자의 시각과 태도에 의해 제한될 수밖에 없다. 나는 그 시대 분위기의 일부만을 보여줄 수 있을 뿐이다.[8]


각본가 주톈원의 책에 따르면, 영화의 초기 기획은 1970년대를 배경으로 전직 조직폭력배(허우샤오시엔은 이 역할에 주윤발을 염두에 두었다)와 그의 옛 연인(대만의 유명 배우 양리화가 맡을 예정이었다)의 재회 이야기였다. 허우 감독과 주 작가는 이 이야기를 확장하여, 1940년대 후반 여주인공 가족에게 닥친 비극을 중요한 회상 장면으로 넣으려 했다(여주인공은 천숭융이 연기한 인물의 십 대 딸 설정이었다). 그러나 이후 초기 기획을 폐기하고 1940년대 이야기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5. 2. 캐스팅


  • 량차오웨이: 린원칭(林文清) 역. 린 가문의 막내아들이자 의사 겸 사진작가이다. 어린 시절 사고로 청각 장애를 얻어 주로 필담으로 소통한다. 2·28 사건 이후 체포되었다가 석방된 후, 처형된 동료 수감자들의 마지막 메시지를 유족에게 전달하고 히로미와 결혼한다. 사진관을 열어 히로에의 활동을 지원하기도 하지만, 게릴라 부대가 패배한 후 다시 체포되어 돌아오지 못한다.
  • 천숭용: 린원훙(林文雄) 역. 린 가문의 장남으로 무역 회사와 식당을 운영한다. 2·28 사건 이후 사업이 어려워지자 술과 도박에 빠지며, 동생 린원량과 관련된 복수 과정에서 총에 맞아 사망한다.
  • 가오제: 린원량(林文良) 역. 린 가문의 셋째 아들로 전쟁에서 겪은 정신적 충격(트라우마)을 안고 있다. 퇴원 후 상하이 폭력조직과 사업을 벌이다 문제를 일으키고, 조직의 모함으로 투옥되어 고문 후유증으로 뇌 손상을 입는다.
  • 이천록: 린아루(林阿祿) 역. 린 가문의 가장이자 아버지이다.
  • 신슈펀: 우콴메이(吳寬美, 히로미) 역. 히로에의 여동생이자 병원 간호사이다. 오빠를 통해 알게 된 린원칭과 필담으로 소통하며 가까워진다. 병원을 그만둔 후 린원칭이 석방되자 그와 결혼하여 아이를 낳는다.
  • 오의방: 우콴룽(吳寬榮, 히로에) 역. 린원칭의 친구이자 히로미의 오빠이며 진보적인 성향의 학교 교사이다. 당시 대만 정부가 진보 인사들을 탄압하고 무고한 이들까지 무차별적으로 살해하자, 이에 저항하여 산에서 반정부 조직 활동을 벌인다. 그러나 결국 조직은 패배하고 그 역시 체포된다.
  • 나카무라 이쿠요: 시즈코 역.
  • 잔굉지: 린 선생 역. 히로미의 진보적인 친구이다.
  • 오념진: 우 선생 역.
  • 장대춘: 호 기자 역.
  • 채진남: 가수 역 (카메오 출연).

5. 3. 촬영 및 후반 작업

''비정성시''는 일제강점기 금광 개발로 번성했다가 1960년대까지 쇠퇴기를 겪은 지우펀에서 주로 촬영되었다. 지우펀은 타이완 북동부에 위치하며, 타이베이현과 이란현의 다른 지역과 다소 떨어져 있다. 외부와의 연결은 도로와 지역 철도 노선뿐이었고, 이 때문에 도시 재건이나 토지 개발에서 우선순위가 낮았다. 지우펀의 언덕 마을들은 현대적인 도시 계획 이전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영화의 배경이 되는 역사적 시기의 작은 타이완 마을 분위기를 잘 담아낼 수 있었다.[7]

허우 샤오시엔 감독은 젊은 시절 관광객으로 지우펀을 방문했던 좋은 기억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지우펀으로 가는 기차 여행은 학창 시절 친구들과의 수학여행 경험과 맞물려 향수와 즐거움을 떠올리게 했다. 허우 감독은 타이완에서 기차가 중요한 교통수단이었고 자신도 기차를 많이 이용했기에, 기차와의 인연을 잊기 어려워 영화 속에 기찻길 장면을 여러 번 포함시켰다고 언급했다.[7]

1980년대 타이완 뉴 시네마 운동은 타이완 내부 관객을 넘어 국제적인 관객을 위한 영화 제작을 지향하고 있었다. 허우샤오시엔과 에드워드 양 같은 감독들은 홍콩 영화처럼 강력한 스타 배우와 높은 제작 완성도를 통해 인기를 얻고자 했다.[3] ''비정성시'' 제작에는 주로 일본 자본이 투입되었다. 후반 작업 과정에서 일본의 기술, 기법, 시설이 활용되었는데, 평론가이자 제작자인 잔훙즈는 이를 국제 관객을 사로잡을 수 있는 "고품질" 요소로 평가했다.[3] 이러한 국제화 전략의 일환으로 스타 배우 캐스팅에도 신경을 썼다. 당시 홍콩의 떠오르는 스타였던 양조위를 주요 인물인 웬칭 역으로 캐스팅한 것은 홍콩 및 해외 화교 관객을 염두에 둔 결정이었다.[3] 또한 영화는 타이완어, 광둥어, 일본어, 상하이 방언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여 출연진의 문화적 배경을 드러내고, 전 세계 관객에게 타이완의 다채로운 모습을 알리고자 했다. 이는 이전까지 정부의 국어 보급 정책 영향으로 대부분의 영화가 만다린 중국어만을 사용했던 것과 대조되는 점이다.[3]

6. 영화 기법

허우 샤오시엔 감독은 《비정성시》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영화 스타일과 기법을 통해 대만의 비극적인 현대사를 섬세하게 그려낸다. 영화는 리얼리즘에 기반한 연출을 바탕으로, 당시 대만의 복잡한 사회상과 시대적 아픔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 영화적 장치를 활용한다.

특히 영화는 민난어, 광둥어, 상하이 방언,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여 일제 강점기 이후 혼란스러웠던 대만의 다언어적 현실과 문화적 정체성을 사실적으로 반영한다. 이는 단순한 현실 재현을 넘어, 인물 간의 소통 혹은 단절을 보여주며 영화의 주제 의식을 심화시키는 역할을 한다.[4][10]

또한, 주인공 린원칭(양조위 분)의 청각 장애와 언어 장애 설정은 영화의 핵심적인 기법 중 하나이다. 이는 배우의 언어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에서 시작되었지만, 결과적으로는 2·28 사건백색 테러로 이어지는 국민당 정부의 폭압적인 통치 아래 침묵을 강요당하고 소통이 부재했던 당시 대만 사회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효과적인 장치로 기능한다.[9] 원칭은 말을 대신하여 필담이나 사진 촬영과 같은 방식으로 세상과 소통하며, 주로 관찰자의 시점에서 시대를 증언한다.

이러한 언어 사용과 인물 설정 등의 기법은 허우 샤오시엔 감독 특유의 롱테이크와 절제된 카메라 워크와 결합되어, 관객으로 하여금 격동의 시대를 살아가는 개인들의 삶을 깊이 있게 성찰하도록 유도한다. 영화는 직접적인 비판이나 설명을 최소화하면서도, 시대의 비극과 그 속에서 살아남으려는 인물들의 모습을 담담하게 포착하여 깊은 울림을 준다.

6. 1. 다양한 언어 사용

이 영화는 민난어, 광둥어, 상하이 방언 등 다양한 중국 방언을 사용하여 여러 배경의 관객들이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영화 평론가 로우밍예는 이러한 언어 사용과 역사적 사실 묘사가 1940년대 후반 대만의 정치 현실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면서도 객관성과 진정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4] 다양한 언어와 역사적 사실의 활용은 관객들이 등장인물과 감정적으로 연결되도록 돕고, 동시에 권력이 없는 이들의 목소리를 통해 저항의 의미를 담아내기도 한다.

주인공 원칭(양조위 분)의 청각 장애와 언어 장애 설정은 배우 양조위가 당시 타이완어나 일본어(51년간의 일본 통치 시기 교육 언어)를 능숙하게 구사하지 못했던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는 결과적으로 천이가 이끌던 중화민국 정부의 폭력성과 무관심을 상징하는 효과적인 영화적 장치가 되었다.[9] 원칭은 말을 할 수 없는 대신 사진이나 필담 등 다른 방식으로 소통하며 주로 관찰자의 입장에 서게 되는데, 이는 당시 억압적인 통치 아래 침묵을 강요당하던 대만의 상황을 은유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영화의 사운드 또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오프닝 장면은 어둠 속에서 라디오를 통해 흘러나오는 히로히토 일왕의 항복 방송으로 시작하며 시대적 배경을 암시한다. 영화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일본어는 51년간의 일본 통치를 겪은 대만인들의 복잡한 경험과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한다. 하지만 모든 등장인물이 일본 통치 시기를 직접 겪은 것은 아니기에 일본어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도 나타나며, 일부 원주민 캐릭터는 타이완어에 일본어 단어를 섞어 사용하는 방식으로 당시의 언어 혼용 상황을 보여준다.[10]

특히 《비정성시》는 타이완어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고 이를 세계 관객에게 알린 중요한 영화로 평가받는다. 영화 제작 당시 대만은 만다린어를 유일한 국어로 지정하고, 영화에서 다른 방언이나 소수 언어 사용을 전체 분량의 3분의 1 이내로 제한하는 강력한 언어 정책을 시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비정성시》는 이러한 규정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대사를 타이완어로 구성하여 제작되었다.

허우 샤오시엔 감독은 행정원 신문국(당시 검열 및 미디어 관리 기구)의 허가를 받아 편집본을 일본으로 보내 후반 작업을 진행했고, 대만 검열 당국의 최종 인증을 거치지 않고 바로 베니스 영화제에 출품하는 과감한 선택을 했다.[22] 이 영화는 중국어 영화 최초로 황금사자상을 수상하고 금마장 영화제 작품상을 받는 등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지만, 당시 대만의 국어 사용 규정을 위반했다는 점에서 큰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정성시》의 성공은 타이완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새롭게 환기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타이유 언어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나아가 객가어나 타이완 원주민 언어 등 다양한 소수 언어를 활용한 대만 영화 제작이 활발해지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6. 2. 침묵과 소통의 방식

주인공 린원칭(양조위 분)은 어린 시절 사고로 인해 청각 장애를 갖게 되었다. 이로 인해 그는 주로 글을 써서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며, 특히 연인이 되는 히로미(신서분 분)와는 필담으로 교감한다. 사진 촬영 역시 그가 세상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중요한 소통 방식 중 하나이다.

원칭의 청각 장애와 언어 장애 설정은 처음에는 배우 양조위가 대만어일본어(51년간의 일제 시대 동안 대만 학교 교육 언어)에 능숙하지 못했던 현실적인 이유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이는 결과적으로 천이(陳儀)가 이끌던 중화민국 정부의 폭압적인 통치 하에서 대만 사회가 겪었던 억압과 소통의 부재를 상징하는 효과적인 장치가 되었다.[9] 말을 할 수 없는 원칭은 종종 주변 상황을 조용히 관찰하는 역할을 맡게 되는데, 이는 당시 압제자들에 의해 침묵을 강요당했던 대만의 상황을 은유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가 다른 인물들과 관계를 맺고 세상과 소통하는 주요 수단은 글쓰기(필담)와 사진이다.

영화는 민난어, 광둥어, 상하이 방언 등 다양한 중국 방언을 사용하여 당시 대만의 다언어적 현실을 반영한다. 이는 특정 집단뿐 아니라 다양한 배경의 인물들이 서로 소통하거나 혹은 소통하지 못하는 방식을 보여주며, 영화의 객관성과 진정성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한다.[4] 또한 영화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일본어는 51년간의 일본 통치를 겪은 대만인들의 문화적 정체성과 경험을 드러내는 장치이다.[10]

7. 평가 및 영향

영화 《비정성시》는 일본 통치 시대의 종말부터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베이로 이전하던 시기까지의 혼란스러운 대만 사회를 배경으로 한다. 영화가 공개된 1989년대만의 계엄령이 해제된 지 불과 2년 후였기 때문에, 작품에서 다루는 2·28 사건은 당시 대만 사회에서 공개적으로 이야기하기 어려운 민감한 주제였다.

이 영화의 성공은 작품 외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는데, 주요 촬영지였던 지우펀은 영화 개봉 이후 대만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로 부상했다.

《비정성시》는 국제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으며 여러 상을 수상했다.

7. 1. 비평적 평가

《비정성시》는 대만에서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개봉 당시 비평가들의 평가는 대체로 엇갈렸다. 영화는 2.28 사건을 다룬 작품으로 홍보되었으나, 사건 자체를 명확하게 보여주기보다는 암시적으로 그려내 정치적으로 모호하고 내용을 따라가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았다.[11][12]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비정성시》는 걸작으로 널리 인정받게 되었으며, "대만 뉴 시네마에서 나온 가장 중요한 영화일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11]

  • 리처드 브로디는 《뉴요커》에서 허우샤오셴 감독의 특징인 롱 테이크 기법이 "드러냄과 불투명성을 혼합"하며, 특히 출입구를 통해 장면을 촬영하는 방식은 "마치 건널 수 없는 시간의 간극을 넘어 액션을 포착하려는 듯하다"고 분석했다.[14]
  • 《Time Out》의 토니 레인스는 영화가 "세부 사항으로 가득하고, 관객이 스스로 연결하도록 생략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며, "허우 감독은 작은 제스처와 거대한 공명을 통해 걸작을 만들어낸다. 일단 그 매력에 빠지면 모호함은 사라진다"고 평했다.[15]
  • 조나단 로젠바움은 허우 감독을 "롱 테이크와 복잡한 구도의 대가이며, 열정적이면서도 생략적이고 거리를 둔 스토리텔링에 뛰어난 재능을 가진 인물"이라고 칭찬했다.[16]
  • 시카고 트리뷴》의 데이브 케어는 "《비정성시》는 위대한 영화이며, 영화를 예술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 한 계속해서 보게 될 것"이라고 극찬했다.[17]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13개의 평론가 리뷰를 바탕으로 100%의 신선도 지수를 기록했으며, 평균 평점은 10점 만점에 9.30점을 받았다.[18] 또한 영국 영화 협회가 2012년에 실시한 《사이트 앤 사운드》 여론 조사에서, 14명의 비평가와 2명의 감독이 《비정성시》를 역대 최고의 영화 10편 중 하나로 선정하여 비평가 투표에서 공동 117위, 감독 투표에서 공동 322위에 올랐다.[19]

7. 2. 대만 사회에 미친 영향

비정성시는 대만 사회에서 오랫동안 금기시되었던 2·28 사건과 이후 이어진 백색 테러 시기를 정면으로 다루면서, 과거사에 대한 기억과 화해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촉발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20] 당시 대만은 계엄령이 해제된 지 불과 2년밖에 지나지 않아 2·28 사건을 공공연하게 이야기하기 어려운 분위기였다. 비평가 린 샤오잉은 이 영화를 계기로 "과거에 대한 문학적, 학술적, 역사적, 개인적, 영화적 설명이 급증했으며, 대만 사람들은 그들의 역사의 그 부분을 기억하고, 재구성하고, 다시 써야 할 절실한 필요성을 느낀다"고 평가했다.[20] 엽월유는 이 영화와 허우샤오시엔 감독의 다른 작품들이 계엄령 해제 이후 가능해진 역사 복원의 "자전적 충동"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21] 또한 마 자오징은 영화가 트라우마를 표현하는 방식이 현실적이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진실과 화해 위원회아르헨티나실종자 문제처럼 기억이 부정되거나 거부된 역사의 무게를 다루는 다른 국제적 사례들과도 공명할 수 있다고 보았다.[21]

또한 이 영화는 타이완어의 위상을 높이고 대만 영화의 다양성을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당시 대만 정부는 만다린어를 국어로 장려하며 다른 방언이나 언어 사용을 영화 대사의 3분의 1 이하로 제한하는 정책을 폈다.[22] 그러나 비정성시는 이러한 규정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타이완어로 제작되었다. 허우샤오시엔 감독은 행정원 신문국의 허가를 받아 편집본을 일본으로 보내 후반 작업을 진행했고, 대만 검열관의 인증 없이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 직접 출품할 수 있었다.[22] 이 영화가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최고상인 황금사자상을 수상하고 금마장에서도 주요 상을 받으며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지만, 언어 규정 위반 문제로 대만 내에서는 논란이 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의 성공은 타이완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켰고, 원주민 언어나 객가어 등 소수 언어를 사용하는 대만 영화들이 제작되는 흐름을 만들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7. 3. 현대적 참조

"비정성시"라는 용어는 학자들에 의해 2014년 우산 혁명 이후 홍콩의 상황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학자 티나 L. 로셸은 홍콩의 상황이 2·28 사건과 백색 테러 기간 동안 대만이 겪었던 역사적 궤적과 유사하다고 분석했다.[23] 2·28 사건과 마찬가지로, 우산 혁명은 1997년 홍콩이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된 이후 홍콩 시민들이 겪어온 처우에 대한 불만이 누적되어 촉발되었다. 이러한 시민들의 분노는 자유와 권리의 후퇴, 경찰력의 강화, 그리고 외부 세력에 의한 주권 강요 등에서 비롯되었다. 로셸은 이러한 특징들이 과거 대만과 현재 홍콩에서 유사하게 나타나며, 이것이 홍콩을 "현대적인 비정성시"로 볼 수 있게 하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23]

8. 수상 내역

wikitext

영화 ''비정성시''의 주요 수상 및 후보 내역
연도시상식부문결과수상자/후보자
1989제46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황금사자상수상 [24]
유네스코상수상
금마장감독상수상허우 샤오시엔
남우주연상수상첸 숭용
작품상후보
각본상후보주톈원, 우녠전
편집상후보랴오징쑹
키네마 준보 어워드외국어 영화상수상허우 샤오시엔
1991마이니치 영화 콩쿠르외국어 영화상수상허우 샤오시엔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외국 영화상후보허우 샤오시엔
정치 영화 협회특별상수상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Chinese Fil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
[2] 문서 Margaret Herrick Library,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3] 서적 Trauma and Cinema: Cross-Cultural Explorations http://www.jstor.org[...]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8
[4] 간행물 Cinema, Historiography, and Identities in Taiwan: Hou Hsiao-Hsien's A City of Sadness https://www.academia[...]
[5] 웹사이트 Taiwan's White Terror: Remembering the 228 Incident https://www.fpri.org[...] 2017-02-27
[6] 웹사이트 A City of Sadness by S.E.N.S. https://www.xiami.co[...]
[7] 서적 The Authorship of Place: A Cultural Geography of the New Chinese Cinemas Ox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Reality in Long Shots: A CITY OF SADNESS {{!}} Austin Asian American Film Festival {{!}} Online Shorts Festival June 11–17, 2020 https://www.aaafilmf[...] 2020-06-15
[9] 서적 Speaking in Images: Interviews with Contemporary Chinese Filmmakers http://cup.columbia.[...]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10
[10] 간행물 Rawnsley, M.T. (2012). Cinema, Identity, and Resistance: Comparative Perspectives on A City of Sadness and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11] 웹사이트 A City of Sadness http://sites.fas.har[...] 2017-02-06
[12] 뉴스 'A City Of Sadness': Hou Hsiao-Hsien's Historical Tragedy Remains A Masterpiece 30 Years Later https://supchina.com[...] 2020-06-15
[13] 뉴스 Taiwanese director Hou Hsiao-hsien captures life's big, small moments http://www.latimes.c[...] 2017-02-06
[14] 간행물 A City of Sadness http://www.newyorker[...] 2017-02-06
[15] 간행물 A City of Sadness http://www.timeout.c[...] 2017-02-06
[16] 뉴스 A City of Sadness http://www.chicagore[...] 2017-02-06
[17] 뉴스 Taiwanese 'Sadness' Filmmaking At Its Best https://www.chicagot[...] 2017-02-06
[18] 웹사이트 Bei qing cheng shi (A City of Sadness) (1989)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3-07-20
[19] 웹사이트 "City of Sadness, A" (1989) http://explore.bfi.o[...] British Film Institute 2015-06-03
[20] 서적 Representing Atrocity in Taiwan: The 2/28 Incident and White Terror in Fiction and Film http://www.jstor.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21] 서적 Melancholy Drift: Marking Time in Chinese Cinema http://www.jstor.org[...]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0
[22] 간행물 Articulating Sadness, Gendering Space: The Politics and Poetics of Taiyu Films from 1960s Taiwan http://www.jstor.org[...] 2013
[23] 간행물 Diversity and Trust in Hong Kong: An Examination of Tin Shui Wai, Hong Kong's 'City of Sadness' http://www.jstor.org[...] 2015
[24] 웹사이트 The awards of the Venice Film Festival http://www.labiennal[...] 2011-03-06
[25] 웹사이트 1989年台湾票房 http://cinema.nccu.e[...] 200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