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영작용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영 작용소는 벡터 공간 V 위의 선형 변환 P가 P²=P를 만족하는 경우를 말한다. 힐베르트 공간에서는
벡터 공간 위의 선형 변환 가 를 만족하면, '''사영 작용소'''라고 한다.
벡터 공간의 선형 변환 가 를 만족하면, '''사영 작용소'''라고 한다. 유한 차원 벡터 공간에서 사영 작용소는 부분 벡터 공간과 그 여공간의 쌍과 일대일 대응한다. 사영 작용소 P에 대해, 벡터 공간은 P의 상과 핵의 직합으로 분해된다.
사영 작용소의 고윳값은 0 또는 1이다. 사영 작용소 의 행렬 지수 함수는 다음과 같다.
2. 정의
내적이 주어진 힐베르트 공간 에서, 모든 에 대해 를 만족하는 사영 작용소 는 '''직교 사영'''이라고 한다. 힐베르트 공간에서 직교 사영이 아닌 사영은 '''사각 사영'''이라고 한다.
3. 분류
:
내적 공간에서, 모든 에 대해 를 만족하면 '''직교 사영'''이라고 한다. 직교 사영이 아닌 경우 '''사영(oblique) 사영'''이라고 한다.
정사각 행렬 에 대해,4. 성질
:
사영의 상과 커널은 상호 보완적이다. 즉, 와 는 상호 보완적이며, 연산자 도 사영이다. 이때 의 상과 커널은 의 커널과 상이 되며, 그 반대도 성립한다.
사영의 곱은 일반적으로 사영이 아니지만, 두 사영이 교환하면 그 곱은 사영이 된다. 그러나 교환하지 않는 두 사영의 곱이 사영이 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직교 사영은 유계 작용소이다.
4. 1. 직교 사영
내적 공간 의 사영 작용소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벡터 공간 가 내적을 가지고 있으며 완비(즉, 힐베르트 공간)인 경우, 직교성 개념을 사용할 수 있다. '''직교 투영'''은 치역 와 핵 가 직교 부분 공간인 투영이다. 따라서 의 모든 와 에 대해, 이다. 이는 다음과 같다.
:
투영이 직교 투영이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은 자기 수반일 때이다. 의 자기 수반 및 멱등성을 사용하면 의 모든 와 에 대해 , 이며,
:
여기서 는 와 관련된 내적이다. 따라서 와 는 직교 투영이다.[4] 가 직교이면 자기 수반이라는 것은 에서
:
의 모든 와 에 대해; 따라서 가 성립한다.
닫힌 부분 공간으로의 직교 투영의 존재는 힐베르트 투영 정리에서 따른다. 직교 투영은 유계 작용소이다. 이는 벡터 공간의 모든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하기 때문이다. (코시-슈바르츠 부등식):
:
따라서 이다.
유한 차원 복소수 또는 실수 벡터 공간의 경우, 표준 내적을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차원 공간 '''R'''3 의 점 (''x'', ''y'', ''z'') 를 점 (''x'', ''y'', 0) 으로 사상하는 사상은 ''xy''-평면 위로의 사영이다. 이 사상은 행렬
:
에 의해 표현된다. 실제로, 이 행렬 ''P'' 의 임의의 벡터에 대한 작용은
:
이 되고, 이것이 사영을 정하는 것 (즉, ''P'' = ''P''2 를 만족하는 것) 은
:
라는 계산으로 확인할 수 있다.
직선 위로의 직교 투영의 경우가 가장 간단하다. 직선 위의 단위 벡터 ''u''를 취하면, 해당 투영은
:
로 주어진다. 이 작용소는 ''u''를 바꾸지 않고, 또한 ''u''에 직교하는 모든 벡터를 영으로 만든다.
''u''1, ..., ''u''''k''를 부분 공간 ''U''의 정규 직교 기저로 하고, 각 열 벡터가 ''u''1, ..., ''u''''k''가 되는 ''k''차 정방 행렬을 ''A''로 쓰면, 소기의 투영은
:
로 표현된다. 이것은 내적을 사용하면
:
라고 쓸 수도 있다.
(반드시 정규 직교가 아닌) 기저 ''u''1, …, ''u''''k''를 열 벡터로 갖는 행렬을 ''A''로 쓰면, 구하는 투영은
:
로 쓸 수 있다.
이 투영의 치역이 되는 벡터 공간이 (기저가 아닌) 틀 (frame)로 표현될 때 (즉, 생성원의 수가 차원의 값보다 클 때)에는, 상기 공식은
:
이라는 형태가 된다. 여기서 는 무어-펜로즈 유사 역행렬을 나타낸다.
4. 2. 사영 (Oblique Projection)
직교 사영이 아닌 사영을 의미한다. 때때로 '''사영작용소'''라는 용어는 비직교 사영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사영은 2차원 그림에서 공간 도형을 표현하는 데에도 사용되지만, 직교 사영만큼 자주 사용되지는 않는다.
사영은 커널과 해당 범위(커널의 여집합)를 특징짓는 데 사용되는 기저 벡터에 의해 정의된다. 이러한 기저 벡터가 커널에 직교하지 않으면 사영은 사영작용소가 된다.
가 를 만족하는 선형 연산자이고, 가 영 연산자가 아니라고 가정한다. 벡터 가 의 치역에 대한 기저를 형성하고, 이러한 벡터들을 행렬 로 구성한다. 치역과 커널은 상호 보완적인 공간이므로, 커널의 차원은 이다. 따라서 커널의 직교 여집합의 차원은 이다. 벡터 가 사영의 커널의 직교 여집합에 대한 기저를 형성하고, 이러한 벡터들을 행렬 로 구성한다. 그러면 사영 는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12][13]
:
가 직교 사영인 경우, 로 놓을 수 있으며, 가 된다. 일반적으로, 벡터 공간이 복소수체 위에 있는 경우, 에르미트 전치 행렬 를 사용하고 공식 를 갖는다. 가 전체 열 랭크를 가지므로, 행렬 의 무어-펜로즈 역행렬은 로 표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다.
또한 사영이다. 와 의 특이값은 의 정규 직교 기저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를 의 정규 직교 기저라고 하고, 를 의 직교 여공간이라고 하자. 행렬 의 특이값을 양수 값 로 나타낸다. 이를 통해 의 특이값은 다음과 같다:[14]
:
그리고 의 특이값은 다음과 같다.
:
5. 표준형
체 위의 차원 벡터 공간에서의 임의의 사영 작용소 는 대각화 가능 행렬이다. 그 최소 다항식이 를 나누며, 이는 서로 다른 선형 인수로 분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갖는 기저가 존재한다.
:
여기서 은 의 계수이다. 는 크기가 인 항등 행렬이고, 은 크기가 인 영 행렬이며, 는 직접합 연산자이다.
벡터 공간이 복소수이고 내적이 주어지면, ''P''의 행렬이 다음과 같은 ''정규 직교'' 기저가 존재한다.[15]
:
여기서 이다. 정수 과 실수 는 고유하게 결정된다. 이다. 요소는 가 ''직교'' 사영으로 작용하는 최대 불변 부분 공간에 해당한다 (따라서 자체가 일 때만 직교). 블록은 ''사선''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6. 노름 공간 위의 사영 작용소
바나흐 공간과 같이 무한 차원 노름 공간에서도 사영 작용소를 정의할 수 있다. 유한 차원 벡터 공간과 달리, 연속성, 닫힌 부분 공간 등 해석학적 개념이 추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바나흐 공간 가 와 같이 부분 공간 와 의 직접 합으로 표현될 때, 로 정의되는 연산자 는 를 치역으로, 를 핵으로 갖는 사영 작용소이다. 또한 를 만족한다. 역으로, 를 만족하는 사영 작용소 가 주어지면, 역시 성립하므로 도 사영 작용소가 된다. 이때, 는 로 분해된다.
하지만 유한 차원과 달리 사영 작용소가 항상 연속일 필요는 없다. 의 부분 공간 가 노름 위상에서 닫혀 있지 않으면, 로의 사영은 연속이 아니다. 연속 사영 의 치역은 닫힌 부분 공간이어야 하며, 연속 사영의 핵(일반적으로 연속 선형 연산자의 핵)은 닫혀 있다. 따라서 연속 사영 는 를 두 개의 닫힌 부분 공간의 직접 합으로 분해한다: .
가 의 닫힌 부분 공간이고, 인 닫힌 부분 공간 가 존재하면, 치역이 이고 핵이 인 사영 는 연속이다. 이는 폐그래프 정리를 통해 증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닫힌 부분 공간 에 대해 닫힌 보완 부분 공간 가 항상 존재하지는 않지만, 힐베르트 공간에서는 직교 여집합을 이용하여 항상 존재한다. 바나흐 공간의 경우, 한-바나흐 정리에 의해 일차원 부분 공간은 항상 닫힌 보완 부분 공간을 갖는다.
7. 응용
내적 공간 및 부분 벡터 공간 이 주어졌을 때, 벡터 의 에 대한 '''최적 근사'''는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이다. 최적 근사는 존재한다면 유일하지만,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만약 를 상으로 하는 자기 수반 사영 작용소 가 존재한다면, 각 의 를 통한 최적 근사는 이다. 특히, 가 유한 차원 벡터 공간이라면 이러한 자기 수반 사영 작용소는 항상 존재한다. 연립 일차 방정식의 최소 제곱법은 이에 대한 특수한 경우이다.
벡터 공간 가 직교 벡터 에 의해 span되어 있고, 를 벡터라고 할 때, 의 로의 투영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반복되는 인덱스는 합산된다(아인슈타인 합 표기법). 벡터 는 직교 합으로 쓸 수 있으며, 는 때때로 로 표시된다. 선형대수학에는 이 가 에서 까지의 가장 작은 거리(''직교 거리'')이며, 기계 학습과 같은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는 정리가 있다.
투영은 다음과 같은 선형 대수 문제에 대한 계산 알고리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
사영은 멱등 작용소의 특별한 것이며, 해석학적으로는 직교 사영은 특성 함수의 비가환적인 일반화가 된다.[1] 양자론에서는, 어떤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의 전체는 상태 공간의 부분 공간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양자 역학적인 명제와 부분 공간, 즉 투영 연산자를 대응시킬 수 있다(양자 논리).[2]
통계 역학에서는 운동의 조립화를 투영 연산자를 사용하여 정식화하는 방법(투영 연산자 방법)이 있다.[2]
분자 대칭성, 분자 진동, 격자 진동, 결정의 파동 함수에서는 임의의 함수에서 어떤 대칭성에 따르는 함수만을 만들고 싶을 때 투영 연산자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투영 연산자를 사용하면, 기약 표현의 표현 행렬로부터 그 기저 함수(기준 진동, 기준 모드 등)를 구할 수 있다.[2]
8. 일반화
일반적으로, 노름 벡터 공간 사이의 사상 가 주어졌을 때, 커널의 직교 여공간에서 이 사상이 등거리 사상인지 질문할 수 있다. 즉, 가 등거리 사상인지 묻는 것이다 ( 부분 등거리 사상 참조). 특히 이는 전사여야 한다. 직교 투영의 경우, ''W''가 ''V''의 부분 공간일 때 해당한다. 리만 기하학에서, 이는 리만 피복 사상의 정의에 사용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노름 공간 사이의 사상 ''T'': ''V'' → ''W''가 주어졌을 때, 핵의 직교 여공간 상의 등거리 사상이 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이때 는 등거리 사상이며, 특히 전사여야 한다. 직교 투영의 경우는 ''W''가 ''V''의 부분 공간일 때이다. 리만 기하학에서 이 개념은 리만 침몰의 정의에 사용된다.
참조
[1]
문서
Meyer, pp 386+387
[2]
서적
Matrix Analysis, seco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3]
서적
Matrix Analysis, seco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4]
문서
Meyer, p. 433
[5]
문서
Meyer, p. 431
[6]
문서
Meyer, equation (5.13.4)
[7]
간행물
Linear Algebra and Matrix Analysis for Statistics
https://books.google[...]
Chapman and Hall/CRC
2014
[8]
문서
Meyer, equation (5.13.3)
[9]
문서
"See also [[Linear least squares (mathematics)#Properties of the least-squares estimators|Linear least squares (mathematics) § Properties of the least-squares estimators]]."
[10]
간행물
Linear Algebra and Matrix Analysis for Statistics
https://books.google[...]
Chapman and Hall/CRC
2014
[11]
간행물
Revisiting Spherical Trigonometry with Orthogonal Projectors
2004
[12]
간행물
Linear Algebra and Matrix Analysis for Statistics
https://books.google[...]
Chapman and Hall/CRC
2014
[13]
문서
Meyer, equation (7.10.39)
[14]
간행물
Computationally Efficient Decompositions of Oblique Projection Matrices
2020
[15]
논문
Unitary similarity of projectors
1991-08
[16]
논문
Unitary similarity of projectors
http://www.springerl[...]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