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림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림욕은 1982년 일본 임야청 장관 아키야마 토모히데가 제창한 일본식 한자어로, 숲에서 시간을 보내며 심신을 단련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과학적인 근거를 갖춘 삼림욕은 숲 테라피라고 불리며, 미야자키 요시후미에 의해 명명되었다. 삼림욕은 'forest bathing'과 'shinrin-yoku' 등의 용어로 해외에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숲의 공기, 향기, 소리 등을 통해 면역력 증진, 스트레스 감소, 정신 건강 개선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산림청에서 치유의 숲을 조성하여 삼림욕을 장려하고 있으며, 아키야마 토모히데, 미야자키 요시후미, 리 칭 등이 삼림욕 연구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림욕 | |
|---|---|
| 개요 | |
![]() | |
| 종류 | 자연 요법 |
| 어원 | 일본어 |
| 로마자 표기 | Shinrin-yoku |
| 한자 표기 | 森林浴 |
| 한국어 번역 | 삼림욕 |
| 설명 | 숲에서 휴식을 취하며 건강을 증진하는 활동 |
| 정의 | |
| 목표 | 스트레스 감소 면역 체계 강화 전반적인 웰빙 증진 |
| 방법 | 숲 속 걷기 명상 자연 관찰 숲 속에서 보내는 시간 |
| 효과 | 심리적 안정 생리적 이점 |
| 역사 | |
| 기원 | 일본 |
| 창시 | 1982년 일본 농림수산성 |
| 배경 | 도시화와 기술 발전으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 |
| 목적 | 국민 건강 증진 및 환경 보호 의식 고취 |
| 과학적 근거 | |
| 피톤치드 | 숲에서 방출되는 항균성 물질 면역력 강화 및 스트레스 감소 효과 |
| 연구 결과 | 혈압 감소 심박수 감소 스트레스 호르몬 감소 NK 세포 활성 증가 |
| 실천 방법 | |
| 장소 | 숲 공원 정원 자연 환경 |
| 방법 | 천천히 걷기 심호흡 오감 활용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자연과의 교감 |
| 주의사항 | 안전한 장소 선택 편안한 복장 착용 벌레 물림 주의 충분한 수분 섭취 |
| 효과 및 이점 | |
| 신체적 효과 | 혈압 감소 심박수 감소 면역력 강화 수면의 질 향상 |
| 정신적 효과 | 스트레스 감소 불안 감소 우울증 감소 집중력 향상 창의성 향상 정서적 안정 |
| 사회적 효과 | 공동체 의식 강화 사회적 연결 증진 환경 보호 의식 고취 |
| 관련 정보 | |
| 관련 용어 | 산림치유 자연치유 녹색치유 에코테라피 |
| 관련 기관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
| 참고 자료 | 관련 서적 관련 논문 관련 웹사이트 |
| 기타 | |
| 관련 링크 | 'Forest bathing' - foresttherapyhub.com 'Forest bathing' is latest fitness trend to hit U.S. — 'Where yoga was 30 years ago' |
2. 용어
1982년 임야청 장관 아키야마 토모히데가 "온천욕", "해수욕", "일광욕" 등을 본떠 "삼림욕"을 고안하고, 같은 해 7월 29일 아사히 신문에 "삼림욕 구상"이라는 형태로 제창한 일본식 한자어이다.[1] "삼림욕 구상"의 부제는 "숲의 향기를 쐬며 심신을 단련하자"였다.[19]
과학적 증거를 가진 삼림욕은 "'''숲 테라피''' ('''forest therapy''')"라고 하며, 미야자키 요시후미가 2003년에 "아로마테라피"를 힌트로 명명, 제창했다.[20] 2005년에는 숲 테라피 연구회가 "숲 테라피", "숲 테라피스트", "테라피 로드"를 상표 등록했다.
"'''산림 의학''' ('''forest medicine''')"이라는 명칭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중국어에서는 일본식 한자어를 그대로 도입한 "森林浴"(sēnlínyù〈sēnlínyù〉)가 통용된다. 한국어에서는 "삼림욕"을 한글화한 표현이 사용된다.
해외에서는 "Forest Therapy", "Forest Bathing", "Shinrin-yoku" 등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영어의 "Forest bathing", "Shinrin-yoku"라는 단어는, 일본 의과대학 이칭 연구팀이 2007년에 처음 사용 및 정의하였다. 이칭은 2018년에 영국에서 "Shinrin-Yoku"를, 미국에서는 "Forest Bathing"을 출판했다. "Shinrin-Yoku"는 번역본을 포함하여 36개국에서 출판되었다.
영어에서는 "ecotherapy"(에코테라피)가 유사한 단어이지만, 삼림욕보다는 더 넓은 의미를 가진다. 일본어에서 유래한 차용어 "shinrin-yoku"(shinrin-yoku, shinrin yoku)를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2010년 일본 위생 학회의 영문 학술지에 "Shinrin-yoku"가 처음 등장했고, 이후 구미 연구자들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정착되었다. 2017년 미국에서 "shinrin yoku"가 상표 등록되었고, 2018년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Shinrin-yoku 붐"이 일어났다.
영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에서는 삼림욕에 대응하는 단어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영어에서는 직역한 forest bathing영어(포레스트 베이싱)이 널리 퍼졌다. 독일어에서도 직역한 Waldbadende(발트바덴)이 사용된다. 스페인어 baño de bosquees (바뇨 데 보스케)는 어순을 바꿔 직역한 예이다.
네덜란드어 bostherapienl(보스테라피), 프랑스어 sylvothérapie프랑스어(실보테라피), 이탈리아어 silvoterapiait(실보테라피아)는 "숲 테라피"의 대응어이다.
2. 1. 삼림욕 (森林浴)
'''삼림욕(森林浴)'''은 1982년 임야청 장관 아키야마 토모히데가 "온천욕", "해수욕", "일광욕" 등을 본떠 고안하고 같은 해 7월 29일 아사히 신문 지상에서 "삼림욕 구상"이라는 형태로 제창한 일본식 한자어이다.[1] "삼림욕 구상"의 부제(캐치프레이즈)는 "숲의 향기를 쐬며 심신을 단련하자"였으며, 온천지 등이 갖는 요양 효과와 비슷한 효과를 삼림에서 구하는 것이었다.[2]과학적 증거를 가진 삼림욕은 "'''숲 테라피''' ('''forest therapy''')"라고 하며, 생리학자 미야자키 요시후미가 "아로마 테라피/아로마테라피"를 힌트로 2003년에 명명, 제창했다.[4] 2005년에는 숲 테라피 연구회가 "숲 테라피", "숲 테라피스트", "테라피 로드"를 상표 등록하고 있다.[5]
"'''산림 의학''' ('''forest medicine''')"이라는 명칭도 세계에 널리 퍼져 있다.[6]
중국어는 일본식 한자어를 그대로 도입한 "森林浴"(sēnlínyù〈sēnlínyù〉)가 통용되고 있다. 한국어는 "삼림욕"을 한글화한 "삼림욕"을 사용하고 있다.[7]
해외에서는 "Forest Therapy", "Forest Bathing", "Shinrin-yoku" 등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영어의 "Forest bathing", "Shinrin-yoku"라는 단어는, 일본 의과대학 이칭 연구팀이 2007년에 처음 명명하고 정의했다.[8] 또한 이칭은 2018년에 영국에서 "Shinrin-Yoku"를 출판했고, 미국에서는 "Forest Bathing"을 출판했다. "Shinrin-Yoku"는 번역본을 포함하여 36개국, 지역에서 출판되고 있다.[9]
영어에서는 "ecotherapy"가 유사한 단어이지만, 이것은 원예나 자연 보호 활동 등의 야외 활동을 통해 행하는 자연 요법을 가리키므로, 삼림욕보다 광의이다.[10] 영어 외의 여러 언어도 마찬가지로, "삼림욕"을 나타내기 위해 일본어에서 유래한 차용어 "shinrinyoku"를 사용하는 예가 늘고 있다.[11] 이 단어는 일본의 연구자들이 발신하여 널리 퍼진 용어 forest bathing영어을 대체하는, 보다 적절한 용어로서 어떤 해외 연구자가 "shirin-yoku (신린요쿠)"를 제안했고, 2010년 1월에 일본 위생 학회의 영문 학술지에 처음 등장했고, 그 후, 구미의 연구자들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정착했다.[12] 2017년 7월에는 미국에서 "shinrin yoku"가 상표 등록되었으며,[13] 2018년이 되면서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Shinrin-yoku 붐"이 일어났다.[14]
영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처럼 대응어를 만들어낸 언어도 있다. 영어에서는 [삼림 + 욕]이라는 어구 구성 그대로 직역한 forest bathing영어이 이에 해당하며,[15] 일본의 연구자가 영문 논문을 저술할 때 사용한 최초의 영문 번역어라는 점에서 널리 퍼졌다.[16] 독일어에서도 [삼림 + 욕]을 직역한 "Waldbaden(발트바덴)"이 사용된다.[17] 스페인어 baño de bosquees는 [욕 + 의 + 삼림]으로 어순을 바꿔 직역한 예이다.
"삼림욕"이 아닌 "숲 테라피"의 대응어가 되어 있는 것으로는, 네덜란드어 bostherapienl [bos (삼림) + therapie (치료, 요법)], 프랑스어 sylvothérapie프랑스어 [sylvo- (삼림…) + thérapie (치료, 요법)], 이탈리아어 silvoterapiait [silvo- (삼림…) + -terapia (…치료, …요법)]가 있다.
삼림욕 관련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연도 | 사건 |
|---|---|
| 1981년 | 농림관료·아키야마 토모히데가 산림청 장관에 취임. "삼림욕 구상"으로 이어지는 노력이 산림청에서 시작됨. |
| 1982년 | 산림청 장관 아키야마 토모히데가 "삼림욕"을 명명. 7월 29일 산림청이 "삼림욕 구상" 제창. 나가노현의 아카자와 자연 휴양림에서 첫 전국 대회 개최. |
| 1986년 | 산림청과 녹색 문명 학회, 지구 환경 재단이 공동으로 "삼림욕의 숲 100선" 제정. |
| 1990년 | 생리 인류학자 미야자키 요시후미가 야쿠시마 숲에서 삼림욕에 관한 과학 실험에 착수. |
| 2003년 | 미야자키 요시후미가 "삼림 테라피(forest therapy)"를 명명·제창. |
| 2004년 | 일본에서 삼림욕을 예방 의학 등에 활용하는 노력이 시작되어, 산림청·후생노동성·각 연구 기관 및 대학·기업 등이 삼림 테라피 연구회를 발족. |
| 2005년 | 산림청이 "삼림 테라피 기지" 구상 공표. 삼림 테라피 연구회가 "삼림 테라피", "삼림 테라피스트", "테라피 로드"를 상표 등록. 일본 의과대학 이 칭(李卿) 연구팀이 나가노현 이이야마에서 처음으로 삼림욕에 의한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 실시. |
| 2006년 | 산림청이 일본 각지의 10개 숲을 "삼림 테라피 기지"로 선정. 일본 의과대학 이 칭(李卿) 연구팀이 나가노현 아카자와 자연 휴양림에서 삼림욕 실험 실시. |
| 2007년 | 제77회 일본 위생 학회 총회가 개최되어 삼림 의학 연구회가 설립. 산림청이 일본 각지의 14개 숲을 "삼림 테라피 기지"의 선정 물건에 추가. 일본 의과대학 이 칭(李卿) 연구팀이 영어의 "Forest bathing"과 "Shinrin-yoku"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명명하고 정의. |
| 2024년 | 제1회 일본 삼림 의학회 총회 개최. |
| 2010년 | 용어 "Shinrin-yoku"와 "Forest bathing" / 일본 위생 학회의 영문 학술지에서 일본 의과대학 이 칭(李卿)과 응용 인류학자 츠네츠구 요코 등이 재사용. 뉴욕 타임스가 일본의 삼림욕 연구를 처음 소개. 국제 자연·삼림 의학회 설립. |
| 2012년 | 이 칭(李卿)이 편집한 "Forest Medicine" 미국에서 출판. |
| 2017년 | 미국에서 "shinrin yoku"가 상표 등록. |
| 2018년 | 삼림 테라피의 제일인자 이 칭이 영어권에서 "Shinrin-Yoku: The Art and Science of Forest Bathing" 출판.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Shinrin-yoku 붐"이 일어남. |
2. 2. 숲 테라피 (Forest Therapy)
과학적 증거를 가진 삼림욕은 "'''숲 테라피''' ('''forest therapy''')"라고 하며,[20] 생리학자 미야자키 요시후미가 아로마테라피를 참고하여 2003년에 명명하고 제창했다.[20] 미야자키는 국제회의에서 발표했을 때, 영어권 연구자로부터 "forest therapy"는 '황폐한 숲을 관리한다'는 의미라고 지적받아 곤란했다고 회상한다. 그럼에도 해외 유수의 연구 저널에 논문을 계속 사용한 끝에 "숲이 사람을 치유한다"는 의미가 인지되기 시작했고, 최종적으로 전문 용어로 인정받게 되었다고 한다. 2005년에는 숲 테라피 연구회가 "숲 테라피", "숲 테라피스트", "테라피 로드"를 상표 등록하고 있다."'''산림 의학''' ('''forest medicine''')"이라는 명칭도 세계에 널리 퍼져 있다.
해외에서는 "Forest Therapy", "Forest Bathing", "Shinrin-yoku" 등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영어의 "Forest bathing", "Shinrin-yoku"라는 단어는, 일본 의과대학 이칭 연구팀이 2007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명명하고 정의한 것이다. 또한 이칭은 2018년에 영국에서 "Shinrin-Yoku"를 출판했고, 미국에서는 "Forest Bathing"을 출판했다. "Shinrin-Yoku"는 번역본을 포함하여 36개국 및 지역에서 출판되며, 일본의 "삼림욕", "Shinrin-yoku" 및 "Forest bathing"을 전 세계에 빠르게 퍼뜨렸다.
2. 3. 산림 의학 (Forest Medicine)
"'''산림 의학'''(forest medicine)"이라는 명칭은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삼림욕은 일본에서 시작된 개념으로, 과학적 증거를 가진 삼림욕은 "'''숲 테라피'''(forest therapy)"라고 불린다.미야자키 요시후미는 아로마테라피에서 영감을 받아 2003년에 "숲 테라피"라는 용어를 만들고 제안했다.[20] 2005년에는 숲 테라피 연구회가 "숲 테라피", "숲 테라피스트", "테라피 로드"를 상표 등록했다.
해외에서는 "Forest Therapy", "Forest Bathing", "Shinrin-yoku" 등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영어 단어 "Forest bathing"과 "Shinrin-yoku"는 일본 의과대학의 리 칭 연구팀이 2007년 논문에서 처음 사용하고 정의했다.
- Forest bathing enhances human natural killer activity and expression of anti-cancer proteins. Li Q, Morimoto K, Nakadai A, Inagaki H, Katsumata M, Shimizu T, Hirata Y, Hirata K, Suzuki H, Miyazaki Y, Kagawa T, Koyama Y, Ohira T, Takayama N, Krensky AM, Kawada T. Int J Immunopathol Pharmacol. 2007 Apr-Jun;20(2 Suppl 2), 3-8.
리 칭은 2018년에 영국에서 "Shinrin-Yoku"를 출판했고(https://www.penguin.co.uk/books/308285/shinrin-yoku), 미국에서는 "Forest Bathing"을 출판했다(https://www.penguinrandomhouse.com/books/579709/forest-bathing-by-dr-qing-li/9780525559856/). "Shinrin-Yoku"는 번역본을 포함하여 36개국 및 지역에서 출판되었다. (영국, 미국,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영어, 프랑스어), 네덜란드,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포르투갈, 독일, 핀란드, 헝가리, 불가리아, 폴란드, 러시아, 체코, 슬로바키아, 대만 (번체자), 덴마크, 스웨덴, 에스토니아, 루마니아, 베트남, 인도 (영어), 스위스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중국어 (간체자), 한국, 슬로베니아, 리투아니아, 중남미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오스트리아 (독일어), 벨기에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터키, 그리스, 일본). 이를 통해 일본의 "삼림욕", "Shinrin-yoku", "Forest bathing"이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영어에서는 원예나 자연 보호 활동 등 야외 활동을 통한 자연 요법을 의미하는 "ecotherapy영어"(에코테라피)가 유사한 단어이지만, 삼림욕보다 더 넓은 의미를 가진다.[21] 삼림욕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 단어는 없다. 다른 언어권에서도 삼림 및 수목이 있는 자연환경에 한정된 "삼림욕"을 나타내는 기존 표현이 없는 경우가 많아, 일본어에서 유래한 "shinrinyoku영어"(shinrin-yoku, shinrin yoku)를 차용하여 사용하는 예가 늘고 있다.
"shirin-yoku (신린요쿠)"는 일본 연구자들이 제안하고 널리 퍼뜨린 "forest bathing영어"을 대체하는 더 적절한 용어로 여겨진다. 2010년 1월 일본 위생 학회의 영문 학술지 "''Environmental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에 츠네츠구 요코[22] 등이 삼림욕에 관한 총설을 저술하면서 논문 제목에 ""Shinrin-yoku" (taking in the forest atmosphere or forest bathing)"라고 처음 사용되었고, 이후 구미 연구자들도 사용하면서 정착되었다. 2017년 7월 미국에서 "shinrin yoku"가 상표 등록되었고, 2018년에는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Shinrin-yoku 붐"이 일어났다. 영어 네이티브에게 "shinrin-yoku"는 발음하기 어렵지만, 동양의 신비로움을 느끼게 하는 어감이 선호되어 미야자키 등은 출판사로부터 책 제목에 꼭 사용해 달라는 요청을 받기도 한다.
영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에서는 삼림욕에 대응하는 단어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영어에서는 [삼림 + 욕]을 직역한 "forest bathing영어" (포레스트 베이싱)이 사용되며, 일본 연구자들이 영문 논문을 작성할 때 처음 사용한 번역어로서 널리 퍼졌다. 독일어에서도 [삼림 + 욕]을 직역한 "Waldbadende"()이 사용된다. 스페인어에서는 어순을 바꿔 [욕 + de (...의...) + 삼림]으로 직역한 "baño de bosquees" (바뇨 데 보스케)가 사용된다.
"숲 테라피"에 대응하는 단어로는 네덜란드어 "bostherapienl" (보스테라피) [bos (삼림) + therapie (치료, 요법)], 프랑스어 "sylvothérapie프랑스어" (실보테라피) [sylvo- (삼림…) + thérapie (치료, 요법)], 이탈리아어 "silvoterapiait" (실보테라피아) [silvo- (삼림…) + -terapia (…치료, …요법)] 등이 있다.
주요 관련 인물
- 아키야마 토모히데(秋山 智英): 1926년 출생. 농림수산성 관료 출신으로, 1981년 산림청 장관에 취임했다. 1982년 당시 산림청 장관으로서 "삼림욕"을 명명하고, 같은 해 7월 29일 "삼림욕 구상"을 제창하고 추진했다.
- 미야자키 요시후미(宮崎 良文): 1954년 출생. 생리 인류학 및 응용 인류학 분야 연구자이자 삼림욕 연구 전문가이다. 지바 대학 소속으로, 2003년 "숲 테라피"를 명명하고 제창했다.
- 리 칭(李 卿, Li Qing): 1984년 중화인민공화국 산시 의과대학 졸업. 1992년 가고시마 대학 의학부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2001년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 의학부에서 항암 면역 연구를 진행했다. 2015년 일본 의사 면허 취득. 삼림 의학 연구회 대표 간사, 국제 자연·삼림 의학회 부회장·사무국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위생학, 환경 의학, 환경 면역학, 삼림 의학이다. 일본의과대학 소속으로, 삼림 의학·삼림 테라피 분야의 권위자이다. 2007년 삼림 의학 연구회 설립에 기여하고 대표 간사를 맡았다. 2007년에 영어의 "Forest bathing" 및 "Shinrin-yoku"라는 단어를 처음 명명하고 정의했다. 2010년 국제 자연·삼림 의학회를 설립하고 부회장 겸 사무국장을 맡았다. 2012년 "Forest Medicine"을 편집하여 미국에서 출판했다. 2018년 저서 "''Shinrin-Yoku: The Art and Science of Forest Bathing''"는 미국에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 세바스티안 크나이프: 1821년-1897년. 독일 바이에른의 사제이자 자연 요법 의학 운동의 선구자 중 한 명. 크나이프식 자연 치료법의 창시자로, 이 치료법은 숲 테라피의 중요한 모델이 되었다.
2. 4. 기타 용어
'''삼림욕'''(森林浴)은 1982년 임야청 장관 아키야마 토모히데가 "온천욕", "해수욕", "일광욕" 등을 본떠 고안하고, 같은 해 7월 29일 아사히 신문에 "삼림욕 구상"이라는 형태로 제창한 일본식 한자어이다.[19] "삼림욕 구상"의 부제는 "숲의 향기를 쐬며 심신을 단련하자"였다.[19]과학적 증거를 가진 삼림욕은 "'''숲 테라피''' ('''forest therapy''')"라고 하며, 미야자키 요시후미가 2003년에 "아로마테라피"를 힌트로 명명, 제창했다.[20] 2005년에는 숲 테라피 연구회가 "숲 테라피", "숲 테라피스트", "테라피 로드"를 상표 등록했다.
"'''산림 의학''' ('''forest medicine''')"이라는 명칭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중국어에서는 일본식 한자어를 그대로 도입한 "森林浴"(sēnlínyù〈sēnlínyù〉)가 통용된다. 한국어에서는 "삼림욕"을 한글화한 표현이 사용된다.
해외에서는 "Forest Therapy", "Forest Bathing", "Shinrin-yoku" 등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영어의 "Forest bathing", "Shinrin-yoku"라는 단어는, 일본 의과대학 이칭 연구팀이 2007년에 처음 사용 및 정의하였다. 이칭은 2018년에 영국에서 "Shinrin-Yoku"를, 미국에서는 "Forest Bathing"을 출판했다. "Shinrin-Yoku"는 번역본을 포함하여 36개국에서 출판되었다.
영어에서는 "ecotherapy"(에코테라피)가 유사한 단어이지만, 삼림욕보다는 더 넓은 의미를 가진다. 일본어에서 유래한 차용어 "shinrin-yoku"(shinrin-yoku, shinrin yoku)를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2010년 일본 위생 학회의 영문 학술지에 "Shinrin-yoku"가 처음 등장했고, 이후 구미 연구자들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정착되었다. 2017년 미국에서 "shinrin yoku"가 상표 등록되었고, 2018년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Shinrin-yoku 붐"이 일어났다.
영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에서는 삼림욕에 대응하는 단어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영어에서는 직역한 "'''forest bathing'''영어"(포레스트 베이싱)이 널리 퍼졌다. 독일어에서도 직역한 "Waldbaden(발트바덴)"이 사용된다. 스페인어 "baño de bosquees" (바뇨 데 보스케)는 어순을 바꿔 직역한 예이다.
네덜란드어 "bostherapie"(보스테라피), 프랑스어 "sylvothérapie"(실보테라피), 이탈리아어 "silvoterapiait"(실보테라피아)는 "숲 테라피"의 대응어이다.
3. 역사
대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고대 시대에 이미 "송진과 수지가 채취되는 숲의 냄새는 폐결핵 환자와 오랫동안 앓은 후 회복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익하다"고 알려졌다.[3] 중세 시대에는 숲, 특히 침엽수의 테르페노이드가 함유된 올레오레진이 여러 질병 치료에 사용되었다.[3]
핀란드 삼림 협회는 핀란드 삼림 치료 센터와 함께 삼림 치료를 장려하고 있으며, 다양한 단체, 기업, 커뮤니티가 웰빙과 정신 및 신체 회복을 위한 활동에 참여한다.[4]
미국 산림청은 자연 및 숲 치료 협회의 인증된 가이드와 함께 숲 치료를 시행하며, 푸에르토리코 엘 윤케 국립 열대 우림에서 세션을 진행한다.[11]
3. 1. 기원
삼림욕과 관련된 최초의 연구는 고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대 플리니우스는 "송진과 수지가 채취되는 숲(침엽수림)의 냄새는 폐결핵 환자와 오랫동안 앓은 후 회복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익하다"고 기록했다.[3]중세 시대에는 숲의 대기, 특히 침엽수에서 발견되는 테르페노이드(캠퍼와 테레빈유에 함유된 이차 대사 산물로, 초식 동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는 화학적 방어 물질) 형태의 올레오레진이 특정 질병(진통, 진정, 기관지 확장, 진해, 항염증, 항생제 및 완화 효과) 치료에 사용되었다.[3]
현대적 의미의 삼림욕은 일본 일본 임야청이 1982년 7월에 제창한 "산림욕 구상"에서 기원한다. 이는 자연미를 재평가하고 숲을 조성하려는 의욕을 높이기 위해 온천욕, 해수욕, 일광욕 등에 비유한 것이다. 당시 임야청은 "숲 속에는 살균력을 가진 독특한 방향이 존재하며, 숲 속에 있는 것이 건강한 신체를 만든다. 산림국인 일본은 조건이 좋으므로, 이를 크게 활용해야 한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나가노현 아카자와 자연 휴양림에서 첫 전국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1990년에는 미야자키 요시후미가 야쿠시마에서 삼림욕에 관한 과학 실험을 시작했다.
3. 2. 일본
일본은 국토의 3분의 2가 숲으로 덮여 있어 녹음이 우거지고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많다. 일본의 마지막 대자연인 홋카이도 지역과 산맥과 울창한 소나무 숲으로 가득한 일본 알프스가 있다. '신린-요쿠'(삼림욕)라는 용어는 1982년 일본 농림수산성의 국장이었던 아키야마 토모히데에 의해 만들어졌다.[5][6] 1980년대 일본에서 여러 연구가 수행된 후, 삼림욕은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여겨졌다.[7] 아키야마는 피톤치드와 특정 나무와 식물이 내뿜는 에센셜 오일과 같은 화합물의 건강에 좋은 영향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를 알고 있었다.[8] 따라서 그는 '신린-요쿠'를 공식적으로 인정된 관행으로 내세우고, 그 이점을 일본 대중에게 홍보하며, 그 실행을 위한 지침을 마련했다.'신린-요쿠'는 일본의 증가하는 도시화와 기술 발전에 대한 대응으로 개발되었으며, 일본 대중에게 일본 내 자연과의 재연결을 장려하고 숲을 보호하는 수단으로 제시되었다.[9] 사람들이 숲에서 시간을 보내고 그 안에서 치료적 위안을 찾을 수 있다면, 그들은 숲을 보호하고 싶어 할 것이라고 추론했다.
자연미를 재평가하고 숲을 만들려는 의욕을 높이려는 의도에서 온천욕, 해수욕, 일광욕 등과 비유하여, 일본의 일본 임야청이 주도하여 1982년 7월에 국내에서 제창한 "산림욕 구상"에 기원을 두고 있다. "숲 속에는 살균력을 가진 독특한 방향이 존재하며, 숲 속에 있는 것이 건강한 신체를 만든다. 산림국인 일본은 조건이 좋으므로, 이를 크게 활용해야 한다."는 구상이었다. 나가노현의 아카자와 자연 휴양림에서 첫 전국 대회가 개최되었다. 또한, 미야자키 요시후미는 야쿠시마에서의 산림욕에 관한 과학 실험을 1990년에 착수했다.
2004년 이후, 삼림욕을 예방 의학 등에 활용하는 노력이 시작되었으며, 임야청, 후생노동성, 각 연구 기관 및 대학, 기업 등이 "산림 테라피 연구회"를 조직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07년 3월 25일~28일에 오사카 국제교류센터에서 개최된 제77회 일본 위생 학회 총회에서 산림 의학 연구회가 설립되어[23], 연구의 저변이 확대되고 있다. 2023년(레이와 5년) 일반 사단 법인 일본 산림 의학회가 설립되었다.
삼림욕의 역사적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사건 |
|---|---|
| 1981년 | 농림 관료·아키야마 토모히데가 산림청 장관에 취임. 같은 시기, "삼림욕 구상"으로 이어지는 노력이 산림청에서 시작됨. |
| 1982년 | 산림청 장관 아키야마 토모히데가 "삼림욕"을 명명. |
| 7월 29일 - 산림청이 "삼림욕 구상"을 제창. | |
| 나가노현의 아카자와 자연 휴양림에서 첫 전국 대회가 개최됨. | |
| 1986년 | 산림청과 녹색 문명 학회, 지구 환경 재단이 공동으로 "삼림욕의 숲 100선"을 제정. |
| 1990년 | 생리 인류학자 미야자키 요시후미가 야쿠시마 숲에서 삼림욕에 관한 과학 실험에 착수. |
| 2003년 | 미야자키 요시후미가 "삼림 테라피(forest therapy)"를 명명·제창. |
| 2004년 | 일본에서 삼림욕을 예방 의학 등에 활용하는 노력이 시작되어, 산림청·후생노동성·각 연구 기관 및 대학·기업 등이 삼림 테라피 연구회를 발족. |
| 2005년 | 산림청이 "삼림 테라피 기지" 구상을 공표. |
| 삼림 테라피 연구회가 "삼림 테라피", "삼림 테라피스트", "테라피 로드"를 상표 등록. | |
| 일본 의과대학 이 칭(李卿) 연구팀이 나가노현 이이야마에서 처음으로 삼림욕에 의한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를 실시하여, 삼림욕에 의한 면역 기능 증진 효과를 밝혀냄. 10월 이후, 아사히 신문, NHK를 시작으로, 국내 각종 미디어가 이 연구 성과를 보도. | |
| 2006년 | 4월 - 산림청이 일본 각지의 10개 숲을 "삼림 테라피 기지"로 선정. |
| 일본 의과대학 이 칭(李卿) 연구팀이 나가노현 아카자와 자연 휴양림에서 삼림욕 실험을 실시하여, 삼림욕에 의한 면역 기능 증진 효과가 1개월 지속됨을 밝혀냈으며, 국내외의 주목을 받음. 요미우리 신문, NHK를 시작으로, 국내 각종 미디어가 이 연구 성과를 보도. | |
| 2007년 | 3월 25일 - 제77회 일본 위생 학회 총회가 개최되어 (28일까지), 삼림 의학 연구회가 설립됨. |
| 3월 - 산림청이 일본 각지의 14개 숲을 "삼림 테라피 기지"의 선정 물건에 추가. | |
| 4월 - 일본 의과대학 이 칭(李卿) 연구팀이 2007년에 다음 논문에서 영어의 "Forest bathing"과 "Shinrin-yoku"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명명하고 정의함. | |
| 2010년 | 용어 "Shinrin-yoku"와 "Forest bathing" / 일본 위생 학회의 영문 학술지에서 일본 의과대학 이 칭(李卿)과 응용 인류학자 츠네츠구 요코 등이 재사용. |
| 2017년 | 미국에서 "shinrin yoku"가 상표 등록됨. |
| 2018년 | 4월 5일 - 삼림 테라피의 제일인자 이 칭이 영어권에서 "Shinrin-Yoku: The Art and Science of Forest Bathing"을 출판. 그 후, 미국에서 베스트셀러가 됨. |
| 당해 연도 중 -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Shinrin-yoku 붐"이 일어남. |
2010년대 일본에서는 뇌파 측정, 반응 속도, 타액 중 스트레스 호르몬 농도, 심박수의 변동, 심리적 조사를 이용한 릴랙스 효과 등의 정량화가 시도되었고, 삼림욕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의 과학적 근거가 제시되기 시작했다.[24] 또한, 도시 지역의 이른바 "피로한 샐러리맨"을 피험자로 한 2005년의 실험에서는, 삼림욕 다음 날의 채혈, 채뇨로 생리적인 변화를 조사했다. 그 결과, 2박 3일의 체류로 NK 세포 활성이 52.6% 향상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동시에 항암 단백질의 농도도 상승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실험은 2006년에도 계속되어, 2박 3일의 숲 체류로 약 56%의 NK 세포 활성을 재현하는 동시에, 일상 생활, 도시 지역으로의 2박 3일의 여행으로 대조 실험을 실시했다. 일상에서의 복수의 검사나 도시 지역으로의 여행에서는 NK 세포 활성에 변화가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숲의 환경이 면역 기능의 향상에 특이성을 갖는다는 것이 실증되었다. 게다가, 30일 후에도 NK 세포 활성이 일정 수준으로 지속되고 있는 것이 판명되어, 삼림욕에서의 건강 증진이 지속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의료 행위에 이르기까지는 임상 사례가 압도적으로 부족하지만, 미래에는 암 예방, 건강 증진 등에의 활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삼림 테라피의 실시 장소의 선정 등에 이용되어, 2006년 4월에는 전국에서 10곳의 숲이, 2007년 3월에는 제2기로서 14곳의 숲이 "심신의 개선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 과학적으로 증명된 숲"으로 발표되었다. 현재, 비슷한 조사가 각지의 숲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장래에는 전국 수십 곳의 숲에서 건강 증진 메뉴가 전개될 전망이다. 삼림 의학의 현황은 여명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일본의 삼림 테라피는 "크나이프 요법"[25] 등을 모델로 하고 있다. 2010년에 강압제를 복용하지 않은 고혈압증의 중장년 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삼림욕이 도시 산책과 비교하여 혈압을 7mmHg~8mmHg 저하시켰음을 밝혀 삼림욕에 의한 고혈압증의 예방 효과가 시사되었다.
3. 3. 한국
산림청은 2009년에 최초의 치유의 숲인 사능 국립자연휴양림을 개장했다. 이후 더 많은 곳을 개장하여 2020년까지 대한민국에는 32개의 치유의 숲이 있었다.[10]3. 4. 기타 국가
핀란드 삼림 협회는 핀란드 삼림 치료 센터와 함께 삼림 치료를 장려하고 삼림 방문객들이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조직적인 활동을 제공한다. 이러한 활동은 웰빙과 정신 및 신체 회복에 중점을 둔다. 방문객으로는 다양한 단체, 기업 및 커뮤니티가 있다.[4]미국 산림청은 자연 및 숲 치료 협회의 인증된 가이드가 있는 숲 치료를 시행했다. 이 인증된 가이드들은 푸에르토리코의 엘 윤케 열대 우림에서 두 시간 동안 세션을 진행하며, 참가자들이 숲 치료의 강력한 효과를 경험하도록 돕는다.[11]
4. 실천 방법
숲에서 "삼림욕"을 실천한다는 것은 나무와 풀 사이에서 자연 속에서 시간을 보내며, 숲의 분위기나 다른 자연 환경에서 주의 깊게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를 소지하지 않고 숲길을 천천히 부드러운 속도로 걸으며 주변 자연을 음미하는 시간을 갖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12]
이는 오감을 모두 사용하여 자연이 이러한 감각을 통해 스며들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를 실천하는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12]
- 숲의 소리, 즉 새와 곤충 소리를 듣는다.
- 땅, 나무, 잎을 만져본다.
- 꽃과 식물, 나무의 에센셜 오일 냄새를 맡는다.
- 주변 환경과 풍경을 관찰한다.
- 숨을 쉬며 맑은 공기의 상쾌함을 맛본다.
5. 건강 효과
삼림욕은 면역 체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연 살해 세포의 수치를 증가시킨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숲 환경에서 공기를 마시면 음이온 흡수를 최대화하며, VR을 통해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입증되었다.[13][6][14][15]
또한, 숲길을 걸으면 심박수, 혈압,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농도가 감소하고, 숲 속 식물의 에센셜 오일은 코르티솔 농도를 낮춰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6][16][14]
5. 1. 면역력 증진
삼림욕은 면역 체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많은 실험을 통해 제기되었다.[13] 삼림욕은 감염과 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연 살해 세포의 수치를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5. 2. 정신 건강 및 기분 개선
삼림욕은 긍정적인 에너지를 재충전하고, 에너지 수준을 높이며, 부정적인 생각을 정화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숲 환경에서 공기를 마시면 건강, 기분, 정신적 명료성, 인지 기능, 에너지 수준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음이온(공기 중의 보이지 않는 분자)의 흡수를 최대화한다.[14] 숲 환경의 긍정적인 효과는 VR을 통해서도 입증되었다.[15]5. 3. 혈압 및 스트레스 감소
산림욕에 참여한 연구 참가자들은 단 몇 시간 동안 숲길을 걷는 동안 심박수, 혈압,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농도가 감소하는 것을 경험했다.[6][16] 숲 속 식물에서 발산되는 에센셜 오일의 효능은 코르티솔 농도 감소를 통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14]5. 4. 효과에 대한 비판적 시각
1985년, 프랑스의 수자원 및 임업 기술자 조르주 플레상스는 ''숲과 건강''이라는 책을 출판했다.[17] 그러나 이 책은 과학적인 출판물이 아니라, 청소년 출판사에서 출판된 개인적인 성찰이다.RTS가 2023년에 주최한 팟캐스트에 따르면, "과학적인 관점에서, 이러한 효과를 유발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초보적인 단계에 있다."[18]
르 피가로 기사에 따르면, 걷기로 유발되는 신체 활동과 이완이 환경 자체보다는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를 설명한다. 일부에서는 이 주제가 일본에서 강한 문화적 차원을 가지며, 다른 곳에서는 반드시 재현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19]
6. 한국의 삼림욕 관련 시설
산림청은 2009년에 최초의 치유의 숲인 사능 국립자연휴양림을 개장했다.[10] 이후 더 많은 곳을 개장하여 2020년까지 대한민국에는 32개의 치유의 숲이 있었다.[10]
7. 주요 관계자
- 아키야마 토모히데(秋山 智英)
- 1926년 1월 1일 나가노현 출생. 농림수산성 관료. 1981년 산림청 장관에 취임[26]。 1982년 "삼림욕"을 명명하고, 같은 해 7월 29일 "삼림욕 구상"을 제창·추진했다[26].
- 미야자키 요시후미(宮崎 良文)
- 1954년 출생. 지바 대학 소속으로, 주요 연구 분야는 생리 인류학 및 응용 인류학이며, 삼림욕 연구의 전문가이다. 2003년 "숲 테라피"를 명명·제창했다.
- 리 칭(李 卿, Li Qing)
- 1984년 중화인민공화국 산시 의과대학 졸업. 1992년 가고시마 대학 의학부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 2001년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 의학부에서 항암 면역 연구, 항암 단백질 그란뉴라이신의 측정법을 습득했다. 2015년 일본 의사 면허 취득. 일본의과대학 소속으로, 삼림 의학 연구회 대표 간사, 국제 자연·삼림 의학회 부회장·사무국장, NPO 법인 삼림 테라피 소사이어티 이사, 세계 중의약 연합회 삼림 건강 전문 위원회 상무 부회장을 맡고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위생학, 환경 의학, 환경 면역학, 삼림 의학이며, 삼림 의학·삼림 테라피의 제일인자이다. 2007년 삼림 의학 연구회 설립에 크게 관여, 대표 간사로 취임했다. 2007년 논문에서 "Forest bathing"과 "Shinrin-yoku"라는 단어를 처음 명명하고 정의했다. (Forest bathing enhances human natural killer activity and expression of anti-cancer proteins. Li Q, Morimoto K, Nakadai A, Inagaki H, Katsumata M, Shimizu T, Hirata Y, Hirata K, Suzuki H, Miyazaki Y, Kagawa T, Koyama Y, Ohira T, Takayama N, Krensky AM, Kawada T. Int J Immunopathol Pharmacol. 2007 Apr-Jun;20(2 Suppl 2), 3-8.) 2010년 등산가·의사인 이마이 미치코와 공동으로 국제 자연·삼림 의학회를 설립, 부회장과 사무국장에 취임했다. 2012년 "Forest Medicine"을 편집하여 미국에서 출판했다. 2018년 저서 "''Shinrin-Yoku: The Art and Science of Forest Bathing''"는 미국에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 세바스티안 크나이프
- 1821년 5월 17일 - 1897년 6월 17일. 독일 바이에른의 사제. 자연 요법 의학 운동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크나이프식 자연 치료법의 창시자. 크나이프식 자연 치료법은 삼림 테라피의 중요한 모델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Forest bathing'
https://foresttherap[...]
2024-08-19
[2]
뉴스
'Forest bathing' is latest fitness trend to hit U.S. — 'Where yoga was 30 years ago'
https://www.washingt[...]
2023-06-12
[3]
서적
L'homme et la forêt tropicale
Éd. de Bergier
1999
[4]
웹사이트
Home - Metsäterapiakeskus
https://www.metsater[...]
2023-06-21
[5]
서적
Shinrin-Yoku: The Art and Science of Forest Bathing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8-04-05
[6]
서적
Shinrin Yoku: The Japanese Art of Forest Bathing
https://books.google[...]
Timber Press
2018-06-12
[7]
서적
Forest Bathing: The Rejuvenating Practice of Shinrin Yoku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20
[8]
서적
The Healing Magic of Forest Bathing: Finding Calm, Creativity, and Connection in the Natural World
Ten Speed Press
[9]
웹사이트
Forest bathing: what it is and where to do it
https://www.national[...]
2023-06-21
[10]
간행물
Evidence-Based Status of Forest Healing Program in South Korea
2021-01
[11]
웹사이트
Volunteers experience the power of service and healing in the rainforest
https://www.fs.usda.[...]
2023-06-21
[12]
웹사이트
Aromatherapy and shinrin-yoku
https://salvatorebat[...]
2023-06-21
[13]
간행물
Effects of forest bathing (shinrin-yoku) on individual well-being: an umbrella review
https://www.tandfonl[...]
2022-08-03
[14]
서적
Forest Bathing: How Trees Can Help You Find Health and Happiness
https://books.google[...]
Penguin
2018-04-17
[15]
간행물
Forest therapy using virtual reality in the older population: a systematic review
2024
[16]
간행물
Blood pressure-lowering effect of Shinrin-yoku (Forest bath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08-16
[17]
서적
Forêt et santé: guide pratique de sylvothérapie: découvrez les effets bienfaisants de la forêt sur le corps et l'esprit
Éd. Dangles
1985
[18]
웹사이트
Podcast - Peut-on se soigner avec un arbre?
https://www.rts.ch/i[...]
2024-01-21
[19]
웹사이트
Faire des câlins aux arbres, une nouvelle escroquerie «médicale»
https://sante.lefiga[...]
2024-01-21
[20]
간행물
「森林セラピーR」推進への行政の関わり
https://doi.org/10.1[...]
林野庁
2020-02-05
[21]
웹사이트
ecotherapy
https://ejje.weblio.[...]
weblio
2020-02-04
[22]
웹사이트
恒次 祐子
https://nrid.nii.ac.[...]
"[[文部科学省]]、[[日本学術振興会]]"
2020-02-06
[23]
문서
代表世話役は[[衛生学者]]・[[#李卿|李卿]]。
[24]
문서
http://forest-therapy.jp/modules/xfsection/article.php?articleid=40 {{링크切れ|date=2020年2月4日}}
[25]
문서
"[[독일]]는[[바이에른 주]]에 있는 온천마을{{가링크|바트・베리스호펜|en|Bad Wörishofen}}가 발상지라고 한다."
[26]
문서
"{{Harvnb|秋山智英|2003}} [[Amazon.co.jp]]「著者について」"
[27]
웹사이트
삼림욕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