샬리마르 정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샬리마르 정원은 1641년에 건설되어 18개월 만에 완공된 무굴 제국의 정원이다. 시크 제국 시대에는 대리석이 약탈당하고 마노 문이 판매되는 등 훼손되었으며, 1962년에는 국유화되었다. 1981년 라호르 성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지만, 도로 확장 공사로 인한 급수 시설 파괴 등으로 인해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정원은 3단 테라스 구조로 되어 있으며, 410개의 분수와 다양한 건축물, 식물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호르 - 니하리
니하리는 남아시아에서 즐겨 먹는 스튜 요리로, 쇠고기, 양고기, 염소고기 등을 향신료와 함께 오랜 시간 끓여 만들며, 파키스탄에서는 국민 음식으로 여겨질 만큼 인기가 많다. - 라호르 - 스리랑카 크리켓팀 습격 사건
2009년 파키스탄 라호르에서 발생한 스리랑카 크리켓팀 습격 사건은 무장 괴한의 공격으로 선수 부상 및 사망자를 발생시켜 국제적 비난과 파키스탄 크리켓 경기 개최에 어려움을 초래했으며, 보험료 인상 및 월드컵 개최권 박탈 등의 후폭풍을 일으킨 테러 공격이다. - 파키스탄의 세계유산 - 모헨조다로
모헨조다로는 기원전 26세기에 건설된 인더스 문명의 주요 도시 유적지로, 정교한 도시 계획과 토목 공학 기술을 보여주는 유물이 출토되었으나 현재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파키스탄의 세계유산 - 탁실라
탁실라는 기원전 1000년경 남아시아 간다라 지역에서 시작된 고대 도시이자 유적지로, 힌두교와 불교의 중심지이자 교육의 중심지로 번성하여 고대 세계의 대학 중 하나로 여겨졌으나, 5세기 에프탈족의 침입으로 파괴되어 쇠퇴한 후 고고학 유적지로 남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무굴 제국 - 티무르
티무르는 14세기에 활동한 군사 지도자로서, 칭기즈 칸의 후예는 아니었지만 차가타이 칸국의 혼란을 틈타 권력을 잡고 정복 전쟁을 통해 티무르 왕조를 세웠으며, 군사적 재능과 잔혹함으로 평가받는다. - 무굴 제국 - 자민다르
자민다르는 무굴 제국부터 현대 인도와 방글라데시까지 존재했던 토지 소유 및 관리 제도로, 시대에 따라 자치 영주나 토지 소유주를 의미했으며, 인도 독립 후 헌법 개정을 통해 대부분 폐지되었다.
샬리마르 정원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펀자브어) | śālamār bāġ |
명칭 (우르두어) | śālīmār bāġāt |
위치 | 라호르, 펀자브, 파키스탄 |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1981년 |
등재 기준 | (i), (ii), (iii) |
이미지 | |
![]() | |
![]() | |
유산 정보 | |
일부 | 라호르 요새와 라호르의 샬라 마르 정원 |
2. 역사
라호르의 샬리마르 정원은 무굴 제국의 샤 자한 황제 시대인 1641년 6월 12일에 건설을 시작하여 18개월 만에 완공되었다.[2] 주로 왕족이 손님을 접대하는 장소로 지어졌지만, 일반 대중에게도 개방되었다.[7] 정원 설계는 샤 자한의 아버지 자항기르 황제가 카슈미르에 지은 샬리마르 정원과 페르시아의 '차르바그' 양식에서 영향을 받았다.[7][2]
건설 부지는 원래 아라인 계층의 미안 가문 소유였으나, 당시 가문의 수장이었던 미안 무하마드 유수프가 샤 자한에게 부지를 헌납했다. 그 대가로 미안 가문은 350년 이상 정원을 관리하는 권한을 받았다. 안정적인 수원 확보를 위해 알리 마르단 칸이 카슈미르에서부터 약 160.93km에 달하는 운하를 건설하는 등 대규모 토목 공사가 이루어졌다.[8]
시크 제국 시대에는 정원의 대리석과 마노 문 등이 약탈당하는 수난을 겪기도 했으나,[9][10] 1806년 마하라자 란지트 싱이 정원 수리를 명령하기도 했다.[11]
오랜 기간 미안 가문이 관리해 온 샬리마르 정원은 1962년 파키스탄의 아야르 칸 정권에 의해 국유화되었다. 이는 당시 미안 가문의 주요 인사들이 아야르 칸의 계엄령 실시에 반대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정원에서 매년 열리던 멜라 치라간 축제는 1958년 아야르 칸에 의해 금지되었다.
1981년, 샬리마르 정원은 라호르 성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 1. 무굴 제국 시대의 건설

라호르의 샬리마르 정원은 무굴 제국 왕족이 주로 손님을 접대하기 위해 지어졌으나, 상당 부분은 일반 대중에게도 공개되었다.[7] 정원의 디자인은 샤 자한 황제의 아버지인 자항기르 황제가 카슈미르에 지은 샬리마르 정원에서 영향을 받았다.[7] 하지만 자연 경사를 활용한 카슈미르 정원과 달리, 라호르의 정원은 인공적인 폭포와 테라스를 만들기 위해 대규모 토목 공사가 필요했다.[8]
샬리마르 정원은 페르시아 양식의 '차르바그(Chahrbagh)' 개념을 따라 설계되었는데, 이는 지상에 구현된 이상향, 즉 낙원을 의미한다.[2] '바그(Bagh)'는 단순히 정원을 뜻하지만, 그 안에는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공존, 하늘과 땅의 시적인 연결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2] 정원을 이루는 해, 달, 공기 등 모든 자연 요소가 존중되었다.[2] 샤 자한 시대의 역사학자 무하마드 살레 캄보는 카슈미르 정원이 라호르 샬리마르 정원 디자인에 영감을 주었으며, 정원에는 다양한 종류의 나무와 꽃이 함께 자랐다고 기록했다.[2]
정원 부지는 안정적인 수원 확보가 용이하다는 이유로 선택되었다.[2] 건설 프로젝트는 샤 자한 궁정의 귀족인 칼릴룰라 칸(Khalilullah Khan)이 물라 알라울 마울크 투니(Mulla Alaul Maulk Tuni)와 협력하여 관리했다. 대부분의 건설은 알리 마르단 칸이 담당했으며, 그는 카슈미르 산기슭에서 라호르의 정원 부지까지 물을 끌어오기 위해 약 160.93km 길이의 운하를 건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8]
샬리마르 정원이 세워진 부지는 원래 아라인 계층에 속하는 미안 가족 바그반푸라(Mian family of Baghbanpura)의 소유였다. 당시 미안 가문의 수장이었던 미안 무하마드 유수프(Mian Muhammad Yusuf)는 정원 건설을 위해 '이샤크 푸라(Ishaq Pura)' 부지를 샤 자한 황제에게 양도했다. 그 대가로 샤 자한은 미안 가문에게 샬리마르 정원의 관리를 맡겼고, 이 가문은 350년 이상 정원을 관리했다.
2. 2. 시크 제국 시대의 훼손
시크 제국 시대 동안 정원의 많은 대리석이 약탈되어 인근 암리차르의 황금 사원과 람 바그 궁전을 장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9] 정원의 값비싼 마노 문은 레나 싱 마지티아(Lehna Singh Majithia)에 의해 철거되어 판매되었다.[10]
1806년, 마하라자 란지트 싱은 샬리마르 정원의 수리를 명령했다.[11]
2. 3. 파키스탄 독립 이후
샬리마르 정원은 미안 가문이 샤 자한 황제로부터 하사받은 이후 350년 이상 대대로 관리해왔다. 정원에서는 매년 멜라 치라간 축제가 열렸으나, 1958년 당시 파키스탄의 군부 지도자였던 아야르 칸 장군에 의해 금지되었다. 이후 1962년, 아야르 칸은 정원을 국유화했는데, 이는 당시 미안 가문의 주요 인사들이 그의 계엄령 실시에 반대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2. 3. 1.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및 위기
1981년, 샬리마르 정원은 라호르 성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는 1972년 유네스코의 세계 문화 및 자연 유산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른 것이다.이후 도로 확장 공사 등으로 인해 정원의 급수 시설이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 오르기도 했다. 다행히 상황이 개선되어 2012년에는 위험 유산 목록에서 제외되었다[15].
3. 구조 및 특징
샬리마르 정원은 파키스탄 라호르에 위치한 무굴 제국 시대의 대표적인 정원으로, 독특한 구조와 아름다운 수경 시설로 유명하다. 전체적으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내려가는 계단식 테라스 구조를 가지며, 이는 페르시아 양식의 '차르바그'(낙원 정원) 개념을 바탕으로 설계되었다.[2] 정원의 설계는 샤 자한 황제의 아버지인 자항기르 황제가 카슈미르에 지은 샬리마르 정원에서도 영향을 받았다.[7]
정원은 총 3개의 테라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테라스는 우르두어로 '파라 박쉬'(Farah Baksh|파라 박쉬ur, 기쁨을 주는 자), '파이즈 박쉬'(Faiz Baksh|파이즈 박쉬ur, 미덕/선함을 주는 자), '하야트 박쉬'(Hayat Baksh|하야트 박쉬ur, 생명을 주는 자)라는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각 테라스의 높이는 이전 단보다 약 4m에서 5m씩 낮아지는 형태이다.
샬리마르 정원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총 410개에 달하는 정교한 분수 시스템이다. 이 분수들은 정원 전체에 시원함을 제공하며, 특히 무더운 라호르의 여름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당시 무굴 제국의 뛰어난 수리 공학 기술을 보여주는 사례로, 분수의 정확한 작동 원리는 현대에도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정원은 높은 벽돌 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벽에는 복잡하고 아름다운 프렛워크(투각 조각) 장식이 새겨져 있다.[2][13] 정원 건설은 안정적인 수원 확보가 중요한 요소였으며,[2] 샤 자한의 명을 받은 귀족 칼릴룰라 칸과 알리 마르단 칸 등이 주도하여 약 161km 길이의 운하('샤 네헬')를 건설해 물을 공급했다.[8] 원래 정원 부지는 아라인 미안 가족 소유였으나, 샤 자한에게 양도된 후 정원이 조성되었다.
3. 1. 3단 테라스 구조
샬리마르 정원은 높은 벽돌 벽으로 둘러싸인 직사각형 형태로, 벽에는 복잡한 프렛워크(투각 조각) 장식이 새겨져 있다.[2][13] 정원의 크기는 남북으로 658m, 동서로 258m이며, 전체 면적은 16ha에 달한다.정원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내려가면서 각 단의 높이가 4m에서 5m씩 낮아지는 계단식 테라스 3개로 구성되어 있다. 각 테라스는 우르두어로 다음과 같은 이름을 가지고 있다.
테라스 위치 | 우르두어 명칭 | 의미 |
---|---|---|
가장 높은 테라스 (최상층) | Farah Baksh|파라 박쉬ur | 기쁨을 주는 자 [2] |
중간 테라스 (2단) | Faiz Baksh|파이즈 박쉬ur | 미덕(선함)을 주는 자 [2] |
가장 낮은 테라스 (최하층) | Hayat Baksh|하야트 박쉬ur | 생명을 주는 자 [2] |
최상층과 최하층 테라스는 정사각형 모양인 반면, 중간 테라스는 좁은 직사각형 형태이다. 각 테라스는 용도가 달랐는데, 가장 높은 테라스(Farah Baksh|파라 박쉬ur)는 황제의 하렘을 위해 마련되었고,[2] 중간 테라스(Faiz Baksh|파이즈 박쉬ur)는 황제의 정원으로 가장 정교한 수리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2] 가장 낮은 테라스(Hayat Baksh|하야트 박쉬ur)는 귀족들이나 때때로 일반 대중에게 개방되는 주요 입구가 위치한 곳이었다.[2]
정원의 설계는 페르시아 양식의 '차르바그'(Chahrbagh) 개념에 기반하며, 이는 지상의 낙원을 축소하여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2] 또한 샤 자한의 아버지 자항기르 황제가 스리나가르에 지은 카슈미르 샬리마르 정원의 영향을 받았으나,[7][2] 자연 경사를 이용한 카슈미르 정원과 달리 라호르에서는 인공적인 폭포와 테라스를 만들기 위해 대규모 토목 공학 기술이 동원되었다.[8] 중앙아시아와 이란의 티무르 제국 시대(14~16세기) 정원 양식 또한 설계에 영향을 미쳤다.[2][13]
정원에는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해 '샤 네헬'(Shah Nahar, 왕의 운하)이라는 이름의 운하가 건설되었다. 이 운하는 알리 마르단 칸의 감독 하에 약 161km 떨어진 인도의 마드호푸르에서 물을 끌어와 정원을 가로질러 중간 테라스의 대리석 연못으로 흘러 들어갔다.[8]
정원 전체에는 총 410개의 분수(상단 105개, 중간 152개, 하단 153개)가 설치되어 연못과 운하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이 분수들은 주변 공기를 시원하게 만들어 무더운 라호르의 여름철에 쾌적함을 제공한다. 분수들이 어떻게 독자적으로 작동하는지는 현대 기술로도 완전히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정교하게 설계되었다.
정사각형 모양의 테라스들은 벽돌로 만든 산책로인 '카야반(khayaban)'에 의해 4개의 작은 사각형으로 나뉘며, 산책로 양옆에는 분수가 늘어서 있어 정원의 경관을 더욱 풍성하게 한다.[8] 중간 테라스에는 '수건' 또는 '커튼'으로 불리는 대리석 경사로 위로 물이 폭포처럼 흘러내리도록 만들어졌고, 이 물은 '하우즈(haūz)'라 불리는 큰 연못에 모였다. 연못 위에는 정자 형태의 건물이 세워져 있었다.[2]
3. 2. 410개의 분수와 수경 시설
샬리마르 정원은 무굴 제국 정원 중 가장 많은 수경 시설을 갖추고 있다.[2] 정원에는 총 410개의 분수가 있으며, 각 분수는 '하우즈'(حوض|하우즈ur)라고 불리는 넓은 대리석 연못으로 물을 뿜어낸다. 이 분수에서 뿜어내는 물과 정원의 울창한 수목 덕분에[14], 혹독한 라호르의 여름철(때때로 약 48.9°C를 넘어서는 기온)에도 정원 주변은 바깥보다 훨씬 시원하게 유지된다. 이 분수들이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는 오늘날의 과학자들조차 정확히 알지 못할 정도로 당시 무굴 제국의 과학 기술은 뛰어났다고 평가받는다.정원은 세 개의 테라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테라스의 분수 개수는 다음과 같다.
테라스 | 분수 개수 |
---|---|
상단 테라스 (바그-에-파라 박쉬) | 105개 |
중간 테라스 (바그-에-파이즈 박쉬) | 152개 |
하단 테라스 (하야트 바크쉬) | 153개 |
합계 | 410개 |
정원 내에는 '대(大) 대리석 폭포'와 '사완 바둔'을 포함한 5개의 폭포가 있다. 물은 운하를 통해 공급되는데, '샤 네헬'(شاہ نہر|샤 네헬ur, '왕의 운하'라는 뜻)이라 불리는 이 운하는 한때 라호르에서 161km 이상 떨어진 인도의 마드호푸르에서 물을 끌어왔다. 이 운하는 정원을 가로질러 중간 테라스에 있는 대리석 연못('하우즈')으로 흘러 들어가며, 이곳에서 410개의 분수가 풀장으로 물을 공급한다. 폭포는 중간 계단으로 '수건' 또는 "커튼"으로 알려진 대리석 길 위로 흘러내리도록 만들어졌으며, 물은 '하우즈'에 모여 그 위에 좌석 파빌리온이 만들어졌다.[2]
3. 3. 건축물
샬리마르 정원은 14세기에서 16세기 사이 중앙아시아와 이란에 건설된 티무르 제국 정원에 기반을 두고 있다.[2][13] 정원은 복잡한 프렛워크로 장식된 높은 벽돌 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는 지상 낙원을 축소하여 구현한 차르바그 양식의 낙원 정원을 조성하기 위함이었다.[2]
정원은 남북 축을 따라 정렬된 직사각형 형태로, 크기는 658m × 258m이며 면적은 16ha에 달한다. 정원은 세 개의 계단식 단으로 구성되며, 각 단은 이전 단보다 4m에서 5m 더 높다.
정원의 가장 높은 단은 '즐거움을 주는 자'라는 뜻의 Bagh-e-Farah Baksh|바그에파라 박쉬fas라고 불린다. 두 번째와 세 번째 단은 함께 '선함을 주는 자'라는 의미의 Bagh-e-Faiz Baksh|바그에파이즈 박쉬fas로 알려져 있다. 첫 번째와 세 번째 단은 정사각형 모양이고, 두 번째 단은 좁은 직사각형 형태이다.
정원의 주 출입구는 가장 낮은 단에 위치했으며, 귀족들과 때때로 일반 대중에게 개방되었다.[2] 중간 단은 황제의 정원으로 사용되었고, 무굴 정원 중 가장 정교한 수경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2] 가장 높은 단은 황제의 하렘을 위해 마련된 공간이었다.[2]
정사각형 모양의 단들은 벽돌로 포장된 khayaban|카야반fas(산책로)에 의해 각각 4개의 동일한 작은 사각형으로 나뉘었다. 이 산책로 양쪽으로는 분수가 길게 늘어서 있어 정원의 경관을 더욱 돋보이게 했다.[8] 폭포는 중간 단으로 흘러내리도록 설계되었는데, 물은 '수건' 또는 '커튼'으로 알려진 대리석 길 위로 흘러내렸다. 물은 haūz|하우즈fas라고 불리는 큰 연못에 모였고, 그 위에는 좌석용 정자가 세워졌다.[2]

정원의 주요 건물들은 다음과 같다.
건축물 | 설명 |
---|---|
Sawan Bhadun|사완 바둔fas 정자 | |
Naqar Khana|나카르 카나fas와 부속 건물 | |
Khwabgah|흐와브가fas | 침실 |
Hammam|하맘fas | 왕실 목욕탕 |
Aiwan|아이완fas | 대강당 |
Aramgah|아람가fas | 휴식 공간 |
Khawabgah of Begum Sahib|베굼 사힙의 크와브가fas | 황후의 침실 (꿈의 공간) |
Baradari|바라다리fas | 여름 정자 (정원의 분수가 만드는 시원함을 즐기는 곳) |
Diwan-e-Khas-o-Aam|디완에카스오암fas | 황제 접견 및 대중 집회 홀 (특별 및 일반) |
정문과 미나렛 | 정원 모퉁이에 있는 두 개의 정문과 첨탑 |
3. 4. 정원의 식물
샤 자한의 역사학자인 무하마드 살레 캄보는 카슈미르의 정원이 라호르의 샬리마르 정원 디자인에 영감을 주었으며,[2] 정원에는 다양한 종류의 나무와 꽃이 함께 자랐다고 보고했다.[2]샬리마르 정원에는 다음과 같은 식물이 재배되고 있다.
4. 샬리마르 정원의 이름과 유래
샬리마르 정원의 이름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이야기가 전해진다. 궁정 신하들은 마하라자 란지트 싱에게 "샬라(Shala)는 즐거움을 뜻하는 튀르크어족 단어이고, 마르(mar)는 거주하는 장소를 의미한다"고 설명했다.[4] 하지만 란지트 싱은 이 설명을 받아들이지 않고, 정원에 자신의 이름을 붙여 '''샤흘라 바그'''(شهلا باغ)라고 불렀다. '샤흘라'(Shahla)는 페르시아어로 붉은 기가 도는 짙은 회색 눈을 가진 '연인'을, '바그'(Bagh)는 '정원'을 의미한다.[5] 당시 참석한 신하들은 마하라자가 라호르의 유명한 정원에 매력적인 이름을 선택한 것을 칭찬했으며, 이후 정원을 그 이름으로 부르고 모든 공문서에 그렇게 기록하도록 명령했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정원은 오늘날까지 "샬리마르 정원"으로 알려져 있다. 무하마드 이쉬티아크 칸은 "샬라마르"라는 단어가 원래의 "샬리마르"가 변형된 것이라는 해석이 가장 타당하다고 보았다.[6]
라호르의 샬리마르 정원은 무굴 제국 왕족이 주로 손님을 접대하기 위해 지어졌으나,[7] 상당 부분은 일반 대중에게도 개방되었다. 정원 디자인은 샤 자한의 아버지인 자항기르 황제가 카슈미르의 샬리마르 정원의 영향을 받았다.[7] 하지만 자연 경사를 활용한 카슈미르 정원과 달리, 라호르 정원은 인공 폭포와 테라스를 만들기 위해 대규모 토목 공사가 필요했다.[8]
샬리마르 정원은 페르시아 양식의 ''차르바그''(낙원 정원) 개념으로 설계되었는데, 이는 지상에 구현된 이상향을 의미한다.[2] '바그(Bagh)'는 단순히 '정원'으로 번역되지만,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공존, 하늘과 땅의 시적인 연결을 상징한다.[2] 정원 설계에는 해, 달, 공기 등 모든 자연 요소가 존중되었다.[2] 샤 자한 시대의 역사학자 무하마드 살레 캄보는 카슈미르 정원이 라호르 샬리마르 정원 디자인에 영감을 주었으며, 다양한 종류의 나무와 꽃이 함께 자랐다고 기록했다.[2]
정원 부지는 안정적인 수원 확보가 가능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2] 건설 프로젝트는 샤 자한 궁정의 귀족 칼릴룰라 칸이 물라 알라울 마울크 투니와 협력하여 관리했다. 알리 마르단 칸이 대부분의 건설을 책임졌으며, 특히 카슈미르 산기슭에서 부지까지 물을 끌어오기 위해 약 약 160.93km 길이의 운하를 건설했다.[8]
샬리마르 정원이 세워진 땅은 원래 아라인 미안 가족 바그반푸라 소유였다. 당시 미안 가족의 수장이었던 미안 무하마드 유수프는 정원 건설을 위해 '이샤크 푸라' 부지를 샤 자한 황제에게 양도했다. 그 대가로 샤 자한은 아라인 미안 가족에게 샬리마르 정원의 관리권을 부여했고, 이들은 350년 이상 정원을 관리해왔다.
참조
[1]
웹사이트
Fort and Shalimar Gardens in Lahore
https://whc.unesco.o[...]
UNESCO
2017-01-04
[2]
논문
Changing Concepts of Garden Design in Lahore from Mughal to Contemporary Times
2009
[3]
웹사이트
Shalamar Gardens
http://mughalgardens[...]
2012-06-20
[4]
서적
Lahore: Glimpses of a Glorious Heritage
https://books.google[...]
[5]
서적
History of the Panjáb from the Remotest Antiquity to the Present Time
https://books.google[...]
[6]
서적
World heritage: sites in Pakistan
https://books.google[...]
[7]
서적
The Art of the Islamic Garden
https://books.google[...]
Crowood
2017-12-30
[8]
서적
The Empire of the Great Mughals: History, Art and Culture
https://archive.org/[...]
Reaktion Books
2017-12-30
[9]
서적
Garden History: Philosophy and Design 2000 BC – 2000 AD
Routledge
2005
[10]
서적
Lahore: Its History, Architectural Remains and Antiquities
https://archive.org/[...]
New Imperial Press
1892
[11]
서적
History of the Sikhs
https://books.google[...]
[12]
서적
Upon A Trailing Edge: Risk, the Heart and the Air Pilot
Troubador Publishing Ltd
[13]
웹사이트
Shalimar Gardens
http://mughalgardens[...]
Smithsonian Productions
2016-08-28
[14]
서적
Symbol, Pattern and Symmetry: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Structure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7-12-30
[15]
웹사이트
Better conservation in Pakistan and the Philippines allow Committee to remove two sites from World Heritage List in Danger
http://whc.unesco.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