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포 접착 분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포 접착 분자는 세포 간의 결합을 매개하는 단백질로, 발생 생물학 연구를 통해 분자 수준에서 이해되기 시작했다. 1970년대 특정 단백질이 세포 접착에 관여한다는 것이 밝혀졌고, 이후 여러 유사 단백질들이 발견되면서 이들을 세포 접착 분자로 통칭하게 되었다. 세포 접착 분자는 면역글로불린 슈퍼패밀리, 카드헤린, 인테그린, C형 렉틴 유사 도메인 단백질 슈퍼패밀리로 분류되며, 세포-세포 접착, 세포-기질 접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분자들은 림프구 유도, 암 전이, 염증, 혈전증 등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과 질환에 관여하며, 치료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일 통과 막단백질 - T세포 수용체
    T세포 수용체(TCR)는 T 세포 표면의 이량체 단백질 복합체로, MHC 분자에 결합된 펩타이드를 인식하며, CD3 분자와 복합체를 이루어 신호 전달을 매개하고, V(D)J 재조합을 통해 다양한 항원 특이성을 갖는 T 세포 생성에 기여하여, CAR-T 치료 등 면역 요법 발전에 기여했다.
  • 단일 통과 막단백질 -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는 면역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 집합체로, 항원 제시, 자가면역 반응 조절, 이식 거부 반응 등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관여하며, 클래스 I, II, III로 구분된다.
세포 접착 분자
개요
정의세포 표면에 발현되어 세포 간 또는 세포와 세포 외 기질 간의 상호 작용을 매개하는 당단백질
기능세포 부착
세포 이동
세포 분화
세포 생존
세포 성장
세포 사멸
면역 반응
염증 반응
분류
주요 종류셀렉틴
인테그린
카데린
면역글로불린 슈퍼패밀리 (IgSF CAMs)
뮤신 유사 당단백질
CD44
혈관 접착 분자 1 (VCAM-1)
혈관 세포 접착 분자 1 (VCAM-1)
혈소판-내피 세포 접착 분자-1 (PECAM-1 또는 CD31)
역할
조직 구조 및 형태 형성세포 부착을 통해 조직 구조를 유지하고, 세포 이동을 조절하여 형태 형성에 기여
면역 반응백혈구의 이동 및 활성화에 관여하여 염증 반응 및 면역 반응 조절
혈액 응고혈소판 응집 및 혈액 응고 과정에 관여
암세포의 전이 및 침윤에 관여, 암 치료 표적으로 연구 중
신경 시냅스 안정화신경 시냅스 형성 및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 (자세한 내용은 시냅스 안정화 참조)
관련 질병
자가면역 질환비정상적인 세포 접착 분자 발현이 자가면역 질환 발병에 기여 가능
암세포 전이 및 침윤에 세포 접착 분자가 관여
심혈관 질환혈관 내피 세포의 세포 접착 분자 발현 변화가 심혈관 질환 발생에 영향
염증성 질환백혈구의 이동 및 활성화에 세포 접착 분자가 관여하여 염증 반응 조절

2. 역사

발생 생물학에서 오랜 기간 관찰된 발생 과정은 최근 수십 년간 단백질유전자 규명, 현미경 발달에 힘입어 분자 수준에서 이해되기 시작했다.

1908년 윌슨(HV. Wilson)은 서로 다른 색깔의 해면 세포를 분리 후 혼합하면 같은 색깔의 세포끼리 덩어리를 형성하는 세포 선별 현상을 발견했다.[25] 1955년 홀트프레터(Holtfreter)는 검은 도롱뇽의 예정 표피와 흰 도롱뇽의 신경판 세포를 분리, 혼합하면 세포 덩어리 안에서 예정 표피 세포와 신경판 세포가 각각 모이는 세포 선별 현상을 통해 세포 접착을 확인했다.

1950년대에는 , 생쥐, 사람 등 동물 세포를 이용한 세포 배양법이 확립되었다. 모스코나(A.Moscona)는 트립신 등 단백질 분해 효소를 이용한 세포 해리법을 개발하여 세포 배양법 발전에 기여했다. 계대 배양(영: subculture)이 가능한 포유류 세포계(cell line), 세포주(cell strain), 세포 클론(cell clone)이 확립되었다.

1950년대 후반, 모스코나는 배양 세포를 부유 상태로 선회 배양하면 원래 조직과 유사한 세포 덩어리를 형성하는 현상을 발견했다.[26] 예를 들어, 간과 신장 유래 세포를 혼합 배양하면 균일한 덩어리를 형성하지만, 점차 간세포와 신장 세포가 각각 모여 덩어리를 이루는 세포 선별이 일어난다. 반면, 같은 종류지만 다른 종의 세포(예: 닭과 생쥐의 연골 형성 세포)는 균일한 덩어리를 유지하며 키메라를 형성한다.

초기에는 세포 간 접착이 비특이적인 분자 간 인력이나 세포 표면의 전기적 친화력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아미노산 리신의 중합체인 폴리리신을 배양 용기에 코팅하여 세포 접착성을 높이는 실험이 이를 뒷받침했다.[27] 그러나 이러한 비특이적 결합으로는 세포 선별의 특이성을 설명하기 어려웠다.

생화학에서 항원 항체 반응과 효소 반응의 특이성이 단백질로 설명된 것처럼, 세포 생물학자들은 세포 접착의 특이성도 단백질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고 추론했다. 1970년대에 특정 단백질이 세포 접착에 관여함이 증명되었고, 이후 유사한 단백질이 다수 발견되면서 이들을 세포 접착 분자라고 통칭하게 되었다.

2. 1. 초기 연구 (20세기 초 ~ 1970년대)

발생 생물학에서 오랜 기간 관찰된 발생 과정은 최근 수십 년간 단백질유전자 규명, 현미경 발달에 힘입어 분자 수준에서 이해되기 시작했다.

1908년 윌슨(HV. Wilson)은 서로 다른 색깔의 해면 세포를 분리 후 혼합하면 같은 색깔의 세포끼리 덩어리를 형성하는 세포 선별 현상을 발견했다.[25] 1955년 홀트프레터(Holtfreter)는 검은 도롱뇽의 예정 표피와 흰 도롱뇽의 신경판 세포를 분리, 혼합하면 세포 덩어리 안에서 예정 표피 세포와 신경판 세포가 각각 모이는 세포 선별 현상을 통해 세포 접착을 확인했다.

1950년대에는 , 생쥐, 사람 등 동물 세포를 이용한 세포 배양법이 확립되었다. 모스코나(A.Moscona)는 트립신 등 단백질 분해 효소를 이용한 세포 해리법을 개발하여 세포 배양법 발전에 기여했다. 계대 배양(영: subculture)이 가능한 포유류 세포계(cell line), 세포주(cell strain), 세포 클론(cell clone)이 확립되었다.

1950년대 후반, 모스코나는 배양 세포를 부유 상태로 선회 배양하면 원래 조직과 유사한 세포 덩어리를 형성하는 현상을 발견했다.[26] 예를 들어, 간과 신장 유래 세포를 혼합 배양하면 균일한 덩어리를 형성하지만, 점차 간세포와 신장 세포가 각각 모여 덩어리를 이루는 세포 선별이 일어난다. 반면, 같은 종류지만 다른 종의 세포(예: 닭과 생쥐의 연골 형성 세포)는 균일한 덩어리를 유지하며 키메라를 형성한다.

초기에는 세포 간 접착이 비특이적인 분자 간 인력이나 세포 표면의 전기적 친화력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아미노산 리신의 중합체인 폴리리신을 배양 용기에 코팅하여 세포 접착성을 높이는 실험이 이를 뒷받침했다.[27] 그러나 이러한 비특이적 결합으로는 세포 선별의 특이성을 설명하기 어려웠다.

생화학에서 항원 항체 반응과 효소 반응의 특이성이 단백질로 설명된 것처럼, 세포 생물학자들은 세포 접착의 특이성도 단백질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고 추론했다. 1970년대에 특정 단백질이 세포 접착에 관여함이 증명되었고, 이후 유사한 단백질이 다수 발견되면서 이들을 세포 접착 분자라고 통칭하게 되었다.

2. 2. 세포 접착 분자의 발견 (1970년대 ~ 현재)

1973년, 영국 왕립 암 연구 기금의 리처드 하인스(Richard O. Hynes)가 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인 피브로넥틴(세포외 기질에 있는 단백질 중 하나)을 발견했다[28]1976년, 미국 NIH의 국립 암 연구소의 케네스 야마다(K.M. Yamada)가 피브로넥틴을 뿌린 배양 접시에 세포가 부착된다는 사실, 즉 피브로넥틴의 세포 접착 활성을 발견했다[29]1985년에는 세포 접착 분자 피브로넥틴의 수용체인테그린이 발견되었다.

"세포-세포 접착"을 담당하는 분자는 1976년, 미국 록펠러 대학교의 제럴드 모리스 에델만(GM・에델만)이 닭의 신경 망막의 세포-세포 접착을 담당하는 단백질을 발견하고, CAM으로 명명한 것이 최초이다[30]。카데린(1983년 발견)도 수년 뒤에 발견되었다.

세포 접착은 단세포에서 다세포로의 진화에 수반되는 필수적인 과정으로, 다세포 생물의 기본 원리 중 하나이다. 생물은 다세포 체제를 구축함으로써 복잡한 분업이 가능해지고, 조직기관이 발달하고, 더욱 진화가 진행되어 많은 생물 기능이 획득된다.

세포 접착 연구는 세포 생물학, 발생 생물학, 뇌신경 과학의 중심 과제이며, 조직 형성・기관 발달 이상, 암, 혈액 응고, 상처 치유를 비롯한 많은 질환과 관련되어 기초부터 응용에 이르는 생명 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많은 세포 접착 분자・단백질은 패밀리를 형성하고 아이소폼을 가지며, 2013년 8월 현재, 패밀리나 아이소폼을 포함하면 수백 종류에 달하는 세포 접착 분자가 발견되었다.

세포 접착 분자는 세포의 접착뿐만 아니라 세포 외부에서 세포의 이동, 증식, 분화, 활동 등 모든 세포 생리를 조절하는 기능 분자(아웃사이드 인)이며, 세포 내부에서 세포 외부로의 조절 기능 (인사이드 아웃)도 존재하며, 다이내믹한 조절계를 구축하고 있다.

3. 세포 접착 분자의 분류

세포 접착 분자(CAM)는 면역글로불린 슈퍼패밀리 세포 접착 분자(IgSF CAM), 카드헤린, 인테그린, C형 렉틴 유사 도메인 단백질 슈퍼패밀리(CTLD)의 네 가지 주요 슈퍼패밀리로 분류된다.[42][7] 프로테오글리칸도 세포 접착 분자의 한 종류로 간주된다.[42][7]

칼슘 의존성에 따라 분류하면 칼슘 비의존적인 세포 접착 분자와 칼슘 의존적인 세포 접착 분자로 나눌 수 있다.[42][7] 면역글로불린 슈퍼패밀리 세포 접착 분자(IgSF CAM)는 칼슘(Ca2+)에 의존하지 않는 반면, 인테그린, 카드헤린, 셀렉틴은 칼슘(Ca2+)에 의존한다.[42][7] 또한, 인테그린은 세포-기질 상호작용에 참여하고, 다른 세포 접착 분자 패밀리는 세포-세포 상호작용에 참여한다.[43][8]

세포 결합의 틀을 벗어나는 세포 접착 분자로는 카데린, [http://bsd.neuroinf.jp/wiki/%E5%85%8D%E7%96%AB%E3%82%B0%E3%83%AD%E3%83%96%E3%83%AA%E3%83%B3%E3%82%B9%E3%83%BC%E3%83%91%E3%83%BC%E3%83%95%E3%82%A1%E3%83%9F%E3%83%AA%E3%83%BC 면역글로불린 슈퍼패밀리](immunoglobulin superfamily:IgSF), 인테그린 등이 대표적이다.

세포 부착 분자에 포함할지 여부가 미묘한 것들은 다음과 같다.


  •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 haemagglutinin, HA)
  • 렉틴
  • 피토헤마글루티닌/phytohaemagglutinin영어(phytohaemagglutinin, PHA)
  • 갈렉틴/galectin영어(galectin)
  • 단세포 생물에서 다세포 생물로 진화한 볼복스의 세포 부착 물질
  • 정자와 난자의 결합 단백질 (이론상 생물 종 특이성이 있음)
  • Zp3 (Zp-3, Zona pellucida sperm-binding protein 3, zona pellucida glycoprotein 3 (Zp-3), sperm receptor): 난자 표면의 정자 결합 단백질.
  • glutathione S-transferase M3 (GSTM)[32]: 정자 표면의 난자 결합 단백질
  • voltage-dependent anion channel 2 (VDAC2)[33]: 정자 표면의 난자 결합 단백질
  • 세포성 면역에서의 세포 인식 분자 (세포 독성 T 세포가 이물질 세포를 인식하고 죽이는 과정에서 세포 부착 분자가 관여)

3. 1. 칼슘 의존성 여부에 따른 분류

3. 2. 결합 방식에 따른 분류

3. 3. 주요 세포 접착 분자 패밀리

세포 접착 분자(CAM)에는 4개의 주요 슈퍼패밀리 또는 그룹이 있다. 면역글로불린 슈퍼패밀리 세포 접착 분자(IgSF CAM), 카드헤린, 인테그린, C형 렉틴 유사 도메인 단백질 슈퍼패밀리(CTLD)가 있으며, 프로테오글리칸도 세포 접착 분자의 한 종류로 간주된다.[42]

한 가지 분류 체계는 칼슘 의존성 세포 접착 분자와 칼슘 비의존성 세포 접착 분자를 구분한다.[42] 면역글로불린 슈퍼패밀리 세포 접착 분자(IgSF CAM)는 Ca2+에 의존하지 않는 반면 인테그린, 카드헤린, 셀렉틴은 Ca2+에 의존한다.[42][43] 또한 인테그린은 세포-기질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반면, 다른 세포 접착 분자 패밀리는 세포-세포 상호작용에 참여한다.[43]

면역글로불린 슈퍼패밀리 세포 접착 분자(IgSF CAM)는 가장 다양한 세포 접착 분자(CAM) 슈퍼패밀리로 간주된다. 이 패밀리는 면역글로불린 유사 도메인을 포함하는 세포 외 도메인을 특징으로 한다. 면역글로불린 도메인 뒤에는 피브로넥틴 III형 도메인 반복이 오고 IgSF는 글리코실포스파티딜이노시톨(GPI) 부분에 의해 막에 고정된다. 이 패밀리는 동종친화성 결합 또는 이종친화성 결합 모두에 관여하며 인테그린 또는 다른 IgSF CAM에 결합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인테그린은 세포 외 기질(ECM) 내 주요 수용체 중 하나로,[44] 콜라겐, 피브리노겐, 피브로넥틴 및 비트로넥틴과 세포-세포 외 기질 상호작용을 중재한다.[45] 인테그린은 세포 외 환경과 세포 내 신호전달 경로 사이에 필수적인 연결을 제공하며, 세포자멸사, 세포 분화, 생존 및 전사와 같은 세포 행동에서 역할을 할 수 있다.[46] 인테그린은 α 소단위체 및 β 소단위체로 구성되는 이종이량체이다.[47] α 소단위체 및 β 소단위체 각각에는 큰 세포 외 도메인, 막관통 도메인, 짧은 세포질 도메인이 있다.[48] 세포 외 도메인은 리간드가 2가 양이온을 사용하여 결합하는 곳이며, Ca2+ 또는 Mn2+ 이온이 결합할 수 있다.[49] 세포 외 Ca2+ 이온의 증가는 인테그린 이종이량체를 프라이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50]

카드헤린은 동종친화성 Ca2+ 의존성 당단백질이다.[53] 고전적인 카드헤린(E-카드헤린, N-카드헤린, P-카드헤린)은 접착 연접에 집중되어 있으며, 카테닌이라는 특정 연결 단백질을 통해 액틴 필라멘트 네트워크에 연결된다.[53] 카드헤린은 배아의 발생 과정에서 중요하며, 특히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 형성을 위한 낭배 형성과 신경계 발생에 기여한다.

셀렉틴은 푸코실화된 탄수화물(예: 결합을 위한 뮤신)에 의존하는 이종친화성 세포 접착 분자의 패밀리이다. 세 가지 패밀리 구성원은 E-셀렉틴(내피), L-셀렉틴(백혈구), P-셀렉틴(혈소판)이다. 셀렉틴은 면역계에서 특히 중요하며 백혈구 유도 및 이동을 돕는다.[55]

4. 세포 접착 분자의 구조

세포 접착 분자(CAM)는 일반적으로 단일 통과 막관통 수용체이며[40] 세포골격과 상호작용하는 세포 내 도메인, 막관통 도메인, 세포 외 도메인의 세 가지 보존된 도메인으로 구성된다.[41][5] 이들 단백질은 여러 가지 다른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데,[41][6] 동일한 세포 접착 분자와 결합하는 동종친화성 결합(homophilic binding)과, 다른 세포의 다른 세포 접착 분자와 결합하는 이종친화성 결합(heterophilic binding)이 가능하다.

5. 세포 접착의 방식

세포 접착에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다.


  • 세포-세포 접착 (cell-cell adhesion): 두 세포(A 세포와 B 세포)가 직접 접착하는 방식이다.
  • 세포-기질 접착 (cell-substratum adhesion): 세포(A 세포)가 세포외 기질에 접착하는 방식이다.


세포-세포 접착은 다시 세 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 동친화성 결합 (homophilic adhesion): A 세포 표면의 X 세포 접착 분자가 B 세포 표면의 동일한 X 세포 접착 분자와 결합한다.
  • 이친화성 결합 (heterophilic adhesion): A 세포 표면의 X 세포 접착 분자가 B 세포 표면의 다른 종류인 Y 세포 접착 분자와 결합한다.
  • 리간드 가교형 결합 (ligand-bridged adhesion): A 세포와 B 세포 표면에 있는 서로 다른 세포 접착 분자 (C, D)가 세포막에 내장되지 않은 제3의 분자(Z, 리간드)를 통해 결합한다. 호르몬과 세포막상의 수용체의 결합과 유사한 시스템으로, 세포 외부에서 세포 기능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세포-기질 접착은 리간드 가교형 결합에서 리간드가 여러 개가 되어 3차원적 공간을 차지하거나 2차원적 시트를 구성할 정도로 발전하면 리간드 자체가 세포외 기질 분자로 간주되어 형성된다.

생물은 세포 접착 방식과 세포 접착 분자, 세포외 기질 분자를 늘리면서 진화하여 세포 기능과 조직 기능의 다양성과 효율성을 확보해 왔다.

고정 결합은 세포를 다른 세포나 세포외 기질에 고정시키는 결합 장치로, 세포 골격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며, "세포-세포 부착"과 "세포-기질 부착"으로 세분화된다. 고정 결합은 영구적인 결합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결합을 풀고 움직일 수 있는 "닻을 내리는" 고정이다.

연락 결합은 인접한 세포 간의 직접적인 연락을 담당하며, 갭 결합 (gap junction), 시냅스 (chemical synapse) 결합, 원형질 연락 (plasmodesma) 등이 있다. 시냅스 및 신경 세포의 접착 분자는 "시냅스 접착 분자"나 "신경 세포 접착 분자"로 따로 분류하기도 한다.[31]

폐쇄 결합은 물도 새지 않는 꽉 조이는 결합으로, 밀착 연접 (tight junction)과 격벽 결합 (septate junction)이 있으며, 장벽 기능과 펜스 기능을 담당한다.

백혈구의 부착은 부착 시간이 짧아 "접촉 결합"이라고도 하며, 셀렉틴(selectin), 어드레신(addressin) 등이 관여한다.

6. 세포 결합

세포 결합은 세포를 다른 세포 또는 세포외 기질에 고정시키거나 인접한 세포 간의 직접적인 연락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장치이다. 세포 접착 분자는 세포 결합에 관여하는 분자를 총칭하며, 세포를 배양 접시에 부착시키는 활성이나 항체를 이용한 세포-세포 접착 저해 활성 등을 통해 발견되었다.

고정 결합은 세포를 다른 세포나 세포외 기질에 고정시키는 결합 장치로, 결합 장치를 세포 내부에서 지지하는 세포 골격의 종류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된다.


  • 부착 결합: 세포-세포 결합에는 카드헤린(cadherin), [http://bsd.neuroinf.jp/wiki/%E5%85%8D%E7%96%AB%E3%82%B0%E3%83%AD%E3%83%96%E3%83%AA%E3%83%B3%E3%82%B9%E3%83%BC%E3%83%91%E3%83%BC%E3%83%95%E3%82%A1%E3%83%9F%E3%83%AA%E3%83%BC 면역글로불린 슈퍼패밀리](immunoglobulin superfamily:IgSF), 넥틴(nectin) 등이 관여한다. 세포-기질 결합에는 인테그린(integrin), 사르코글리칸(sarcoglycan), β-디스트로글리칸(β-dystroglycan) 등의 막관통 단백질과 피브로넥틴(fibronectin), 라미닌(laminin) 등의 세포외 기질 단백질이 관여한다.
  • 부착 반점(데스모솜, desmosome): 세포-세포 결합에는 데스모글레인(desmoglein), 데스모콜린(desmocollin) (이상 카드헤린SF), 코르네오데스모신(corneodesmosin) 등이 관여한다.
  • 반부착 반점(헤미데스모솜, hemidesmosome): 세포-기질 결합에는 세포외 기질 단백질인 라미닌(laminin) 332, 막관통 단백질인 인테그린(integrin) α6β4, BP180(XVII형 콜라겐), CD151(테트라스파닌, tetraspanin) 등이 관여한다.


연락 결합은 인접한 세포 간의 직접적인 연락을 담당하는 결합 장치로, 동물에서는 갭 결합(gap junction)과 시냅스(chemical synapse) 결합, 식물에서는 원형질 연락(plasmodesma)이 있다.

  • 갭 결합: 코넥신(connexin), 파넥신(pannexin) (코넥신 F), 이넥신(innexin) (무척추 동물) 등이 관여한다.
  • 시냅스 결합: 인테그린, 뉴로리긴(neuroligin), 뉴렉신(neurexin) 등이 관여하며, 신경 세포의 접착 분자는 별도로 "시냅스 접착 분자"나 "신경 세포 접착 분자"로 분류하기도 한다.
  • 원형질 연락: 카데린등이 관여한다.


폐쇄 결합은 물도 새지 않는 꽉 조이는 결합으로, 척추 동물의 밀착 연접(tight junction)과 무척추 동물의 격벽 결합(septate junction)이 있다.

  • 밀착 연접: 클라우딘(claudin), 오클루딘(occludin), 조눌린(zonulin), (junctional adhesion molecule: JAM)(IgSF) 등이 관여한다.
  • 격벽 결합: 인테그린, 클라우딘 유사 분자 등이 관여한다.


백혈구의 "부착"은 "접촉 결합"이라고도 불리는데, 여기에는 셀렉틴(selectin), P-셀렉틴 당단백질 리간드-1(P-selectin glycoprotein ligand-1, PSGL-1), 어드레신(addressin) 등이 관여한다.

7. 세포 접착 분자의 생물학적 기능

세포 접착 분자(CAM)의 다양성은 생물학적 환경에서 이 단백질의 다양한 기능으로 이어진다. 림프구 유도에 특히 중요한 세포 접착 분자 중 하나는 어드레신이다.[56][21] 림프구 유도는 강력한 면역계에서 일어나는 핵심 과정으로, 순환 림프구가 신체의 특정 부위와 기관에 부착되는 과정을 제어한다.[57][22] 이 과정은 세포 접착 분자, 특히 MADCAM1이라고도 알려진 어드레신에 의해 고도로 조절된다. 이 항원은 림프구가 내피 세정맥에 조직 특이적 접착을 하는 역할로 알려져 있다.[58][23]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순환 림프구를 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암 전이, 염증혈전증에서의 CAM 기능은 현재 고려되고 있는 실행 가능한 치료 표적이 된다. 예를 들어 전이성 암세포가 혈관 밖으로 유출되어 2차 부위로 이동하는 능력을 차단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는 폐에서 발생하는 전이성 흑색종에서 성공적으로 입증되었는데, 쥐에서 폐 내피의 세포 접착 분자에 대한 항체를 치료제로 사용했을 때 전이 부위 수가 크게 감소했다.[59][24]

8. 세포 접착 분자와 질환

세포 접착 분자의 다양성은 생물학적 환경에서 이러한 단백질의 다양한 기능으로 이어진다. 림프구 유도에 특히 중요한 세포 접착 분자 중 하나는 어드레신이다.[56] 림프구 유도는 강력한 면역계에서 일어나는 핵심 과정으로, 신체의 특정 부위와 기관에 부착된 순환 림프구의 과정을 제어한다.[57] 이 과정은 세포 접착 분자, 특히 MADCAM1이라고도 알려진 어드레신에 의해 고도로 조절된다. 이 항원은 림프구가 내피 세정맥에 조직 특이적 접착을 하는 역할로 알려져 있다.[58]

암 전이, 염증혈전증에서의 세포 접착 분자(CAM) 기능은 현재 고려되고 있는 실행 가능한 치료 표적이 된다. 예를 들어 전이성 암세포가 혈관 밖으로 유출되어 2차 부위로 이동하는 능력을 차단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는 폐에서 발생하는 전이성 흑색종에서 성공적으로 입증되었는데, 쥐에서 폐 내피의 세포 접착 분자에 대한 항체를 치료제로 사용했을 때 전이 부위 수가 크게 감소했다.[59]

9. 세포 접착 분자 연구의 응용

어드레신은 림프구 유도에 중요한 세포 접착 분자 중 하나이다.[56] 림프구 유도는 강력한 면역계의 핵심 과정으로, 신체 특정 부위와 기관에 부착된 순환 림프구의 과정을 제어한다.[57] 어드레신(MADCAM1)은 림프구가 내피 세정맥에 조직 특이적 접착을 하는 역할을 한다.[58]

암 전이, 염증, 혈전증에서의 CAM 기능은 현재 치료 표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이성 암세포가 혈관 밖으로 유출되어 2차 부위로 이동하는 능력을 차단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쥐에서 폐 내피의 세포 접착 분자에 대한 항체를 치료제로 사용했을 때 전이 부위 수가 크게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59]

세포 접착 분자의 모방 물질인 유기 합성 화합물과 재조합 DNA 산물은 인공적인 세포 접착 분자로 간주되기도 한다. 세포 접착 분자의 접착 활성에 독물, 증식 인자, 양전자 방출 핵종, 형광 물질 등을 결합한 기능성 고분자가 제작되고 있으며, 의약품, 연구 기재, 화장품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폴리리신(polylysine, ε-poly-L-lysine, EPL) : 아미노산인 리신의 중합체로, 배양 플라스틱 용기 표면에 코팅하여 배양 세포의 부착성을 향상시킨다.[34]
  • 슈퍼본드: 치과 의료용 4 - META/MMA - TBB 레진


의약품 및 연구 기기에 대한 응용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세포 부착 분자 모방품의 유기 합성 화합물 및 재조합 DNA 산물을 이용한 인공 세포 부착 분자 개발도 활발하다.

10. 한국의 세포 접착 분자 연구 현황

1976년, 미국 록펠러 대학교의 G.M. 에델만은 닭의 신경망막에서 "세포 간 접착"을 담당하는 단백질을 발견하고, 세포 접착 분자를 뜻하는 영어 "'''C'''ell '''A'''dhesion '''M'''olecule"에서 따온 CAM으로 명명했다[35]。 한국어에서 "세포 접착 분자"는 집합 명사이므로 영어권에서와 같은 혼란은 없다.

ICAM은 영어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s의 약자이며, 한국어로는 "세포 간 부착 분자"를 의미한다. 넥틴(nectins)은 "세포 부착 단백질"을 의미하며, 1999년 재일 한국인이 명명했다. "넥틴"은 한국어에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세포 접착 분자는 부착 연결에서 유래된 용어이지만, 세포 "부착" 분자라는 용어는 "부착"뿐만 아니라 큰 틀의 개념인 "세포 연결"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세포의 모든 "부착"·"연결"에 대해 세포 접착 분자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이는 한국뿐만 아니라 영어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참조

[1] MeshName Cell+Adhesion+Molecules
[2] 논문 The molecular structure of cell adhesion molecules https://pubmed.ncbi.[...] 1997
[3] 논문 Cell adhesion: the molecular basis of tissue architecture and morphogenesis 1996-02-09
[4] 논문 Role of neutrophil-endothelial cell adhesion in inflammatory disorders 1994-03
[5] 웹사이트 Single-pass transmembrane adhesion and structural proteins https://membranome.o[...] College of Pharmacy, University of Michigan 2018-10-20
[6] 논문 The molecular structure of cell adhesion molecules 1997
[7] 논문 Distinct calcium-independent and calcium-dependent adhesion systems of chicken embryo cells 1981-01
[8] 논문 Cell–Cell Adhesion and Communication https://www.ncbi.nlm[...] 2000-01-01
[9] Citation The Role of Integrins during Vertebrae Development
[10] 논문 Integrin ligands at a glance 2006-10
[11] 서적 Integrin, Adhesion/cell-matrix Elsevier
[12] 논문 Get a grip: integrins in cell-biomaterial interactions 2005-12
[13] 논문 Integrins and reproduction 1995-03
[14] 논문 Crystal Structure of the Extracellular Segment of Integrin alpha Vbeta 3 in Complex with an Arg-Gly-Asp Ligand https://www.science.[...] 2002-04-05
[15] 논문 The Structure of a Full-length Membrane-embedded Integrin Bound to a Physiological Ligand 2015-11
[16] 논문 The Calcium-Sensing Receptor and Integrins in Cellular Differentiation and Migration 2016
[17] 논문 The regulation of integrin function by divalent cations 2012-01
[18] 논문 Structure and interactions of desmosomal and other cadherins 1992-06
[19] 논문 The Function of E-Cadherin in Stem Cell Pluripotency and Self-Renewal
[20] 논문 Cell adhesion and signalling by cadherins and Ig-CAMs in cancer 2004-02
[21] 논문 Homing Receptors and Vascular Addressins: Cell Adhesion Molecules that Direct Lymphocyte Traffic 1989-04-01
[22] 논문 Control of lymphocyte homing 1994-06-01
[23] 논문 Role of beta7 integrins in intestinal lymphocyte homing and retention 2009-09
[24] 서적 Molecular Biology of Membrane Transport Disord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25] 문서 HV. Wilson http://labs.bio.unc.[...]
[26] 논문 THE DEVELOPMENT IN VITRO OF CHIMERIC AGGREGATES OF DISSOCIATED EMBRYONIC CHICK AND MOUSE CELLS null
[27] 논문 Attachment and culture of dissociated cells from rat embryo cerebral hemispheres on polylysine-coated surface http://jcb.rupress.o[...]
[28] 논문 Alteration of cell-surface proteins by viral transformation and by proteolysis null
[29] 논문 Cell surface protein partially restores morphology, adhesiveness, and contact inhibition of movement to transformed fibroblasts null
[30] 논문 Mechanisms of adhesion among cells from neural tissues of the chick embryo null
[31] 문서 Lee SH, Reichardt LF 「Synaptic Adhesion Molecules」 http://physio.ucsf.e[...]
[32] 논문 Identification of sperm head proteins involved in zona pellucida binding null
[33] 논문 Identification of sperm head proteins involved in zona pellucida binding null
[34] 논문 Attachment and culture of dissociated cells from rat embryo cerebral hemispheres on polylysine-coated surface http://jcb.rupress.o[...]
[35] 논문 Mechanisms of adhesion among cells from neural tissues of the chick embryo null
[36] 논문 The molecular structure of cell adhesion molecules https://pubmed.ncbi.[...] 1997
[37] 문서 Cell Adhesion Molecules
[38] 논문 Cell adhesion: the molecular basis of tissue architecture and morphogenesis 1996-02-09
[39] 논문 Role of neutrophil-endothelial cell adhesion in inflammatory disorders 1994-03
[40] 웹인용 Single-pass transmembrane adhesion and structural proteins https://membranome.o[...] College of Pharmacy, University of Michigan 2018-10-20
[41] 논문 The molecular structure of cell adhesion molecules http://pdfs.semantic[...] 1997
[42] 논문 Distinct calcium-independent and calcium-dependent adhesion systems of chicken embryo cells 1981-01
[43] 논문 Cell–Cell Adhesion and Communication https://www.ncbi.nlm[...] 2000-01-01
[44] 간행물 The Role of Integrins during Vertebrae Development
[45] 논문 Integrin ligands at a glance 2006-10
[46] 서적 Integrin, Adhesion/cell-matrix Elsevier
[47] 논문 Get a grip: integrins in cell-biomaterial interactions 2005-12
[48] 논문 Integrins and reproduction 1995-03
[49] 논문 Crystal Structure of the Extracellular Segment of Integrin alpha Vbeta 3 in Complex with an Arg-Gly-Asp Ligand https://www.science.[...] 2002-04-05
[50] 논문 The Structure of a Full-length Membrane-embedded Integrin Bound to a Physiological Ligand 2015-11
[51] 논문 The Calcium-Sensing Receptor and Integrins in Cellular Differentiation and Migration 2016
[52] 논문 The regulation of integrin function by divalent cations 2012-01
[53] 논문 Structure and interactions of desmosomal and other cadherins 1992-06
[54] 논문 The Function of E-Cadherin in Stem Cell Pluripotency and Self-Renewal
[55] 논문 Cell adhesion and signalling by cadherins and Ig-CAMs in cancer 2004-02
[56] 논문 Homing Receptors and Vascular Addressins: Cell Adhesion Molecules that Direct Lymphocyte Traffic 1989-04-01
[57] 논문 Control of lymphocyte homing 1994-06-01
[58] 논문 Role of beta7 integrins in intestinal lymphocyte homing and retention 2009-09
[59] 서적 Molecular Biology of Membrane Transport Disord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