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웨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웨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남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1880년대 금광 발견 이후 아프리카계 주민들이 일자리를 찾아 이주하면서 형성되었다.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는 흑인 거주 지역으로 지정되어 강제 이주와 차별 정책의 대상이 되었으며, 1976년 아프리칸스어 교육에 반대하는 소웨토 학생 운동이 발생하여 국제적으로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반대 여론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현재 소웨토는 약 127만 명의 인구를 가진 도시로, 다양한 인종과 언어가 공존하며, 콰이토와 카시 랩 등 남아프리카 공화국 특유의 음악 스타일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넬슨 만델라, 데스몬드 투투 등 유명 인물들이 소웨토 출신이며, FNB 스타디움, 만델라 하우스 등 다양한 랜드마크와 문화 시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소웨토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남서부 읍 |
설립 | 1904년 |
국가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주 | 하우텡 주 |
구 | 요하네스버그 시 |
지역구 | D구 |
면적 | 200.03 제곱킬로미터 |
해발고도 | 1632 미터 |
인구 | |
총인구 | 1,271,628 명 (2011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흑인 아프리카인 | 98.5% |
유색인 | 1.0% |
인도/아시아인 | 0.1% |
백인 | 0.1% |
기타 | 0.2% |
줄루어 | 37.1% |
소토어 | 15.5% |
츠와나어 | 12.9% |
코사어 | 8.9% |
기타 | 25.6% |
행정 | |
기타 정보 | |
시간대 | 남아프리카 표준시 |
UTC 오프셋 | +2 |
우편 번호 (거리) | 1808 |
지역 번호 | 011 |
웹사이트 | 요하네스버그 시 - 소웨토 |
2. 역사
소웨토라는 지명은 "남서 거주 지역(SOuth WEstern TOwnships)"이라는 영어 구절의 각 앞 글자를 따서 만들어졌다. 하지만 많은 주민과 국민들은 "그래서, 어디로(So Where To)"라는 의미로 해석하여 부르기도 한다. 이곳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아래 억압받았던 아프리카계 주민들의 저항과 삶을 상징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여겨진다.
19세기 말 요하네스버그 인근에서 금이 발견되면서[4] 도시는 급격히 성장했고, 다양한 인종과 국적의 사람들이 모여들었다.[6] 초기에는 여러 인종이 뒤섞여 살았으나[9], 20세기 초, 특히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백인 정부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의 일환으로 인종 분리를 본격화했다. 흑인 주민들은 요하네스버그 중심부에서 멀리 떨어진 외곽 지역으로 강제로 이주당했으며, 이들 거주 지역은 강이나 철도, 공업 지대 등을 경계로 백인 거주 지역과 철저히 분리되었다. 이러한 분리 정책은 1923년 도시 지역법 등을 통해 강행되었다.
흩어져 있던 여러 흑인 거주 구역(타운십)을 통합하여 부를 이름에 대한 공모가 1949년 제안되었고[10], 그 결과 1963년부터 '소웨토(Soweto)'라는 이름이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0] 소웨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장 큰 흑인 도시가 되었지만,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동안 이곳 주민들은 요하네스버그의 노동력으로만 간주되어 임시 거주자 신분에 머물렀으며, 끊임없는 시민 불안과 저항에 직면했다.
특히 1976년, 정부가 학교 교육에서 아프리칸스어 사용을 강제하자 이에 반발한 대규모 학생 시위, 즉 소웨토 항쟁이 발생했다. 정부는 이 시위를 격렬하게 진압하여 많은 사상자를 냈으며[10], 이 사건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부는 물론 국제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저항을 더욱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에도 개혁 조치는 미미했으며, 1985년 또다시 폭동이 발생하는 등 1994년 최초의 다인종 자유 총선이 치러질 때까지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었다.
아파르트헤이트가 종식된 이후 소웨토는 변화의 시기를 맞이했으며, 2010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최된 FIFA 월드컵의 결승전이 이곳에서 열리면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2. 1. 소웨토의 형성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1886년 2월, 조지 해리슨과 조지 워커가 요하네스버그 인근 랑글라아테 농장에서 금맥을 발견했다.[4] 이 발견은 골드러시를 촉발하여, 10년 안에 다양한 인종과 국적의 약 10만 명의 사람들이 부를 찾아 당시 남아프리카 공화국(ZAR)의 일부였던 이 지역으로 몰려들었다.[6]늘어나는 인구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1887년 10월 남아프리카 공화국(ZAR) 정부는 요하네스버그 인근 브람폰테인 농장 일부를 매입하여 벽돌 제조 허가를 내주었다.[7] 이곳의 점토를 이용해 벽돌을 만들려는 네덜란드계 부르거(burgher)들이 정착하면서 오두막을 짓기 시작했고, 이 지역은 브릭필즈(Brickfields)로 불리게 되었다.[8] 이후 컬러드, 인도인, 아프리카 흑인 등 다른 가난한 노동자들이 모여들면서 브릭필즈는 다인종 거주 지역이 되었다.[9]

1904년 4월, 브릭필즈에서 페스트가 발생했다는 보고 이후, 당시 영국의 통치하에 있던 요하네스버그 시 당국은 이를 빌미로 지역을 폐쇄하고 불태웠다. 이 과정에서 브릭필즈에 살던 아프리카계 주민과 인도계 주민 대다수는 요하네스버그 시 외곽 남서쪽에 위치한 클립스프루이트(Klipspruit) 농장 지역(훗날 핌빌(Pimville)로 불림)으로 강제로 이주당했다.[11] 시 당국은 일부 임시 거처만 제공했을 뿐, 대부분의 이주민은 스스로 판잣집을 지어야 했다. 핌빌은 클립타운(Kliptown) 옆에 위치했으며, 이 클립스프루이트 지역으로의 강제 이주는 이후 소웨토가 형성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2. 2.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1948년 ~ 1994년)
1948년 총선에서 아프리카너 민족주의를 내세운 국민당이 승리하면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종 차별 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가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새 정부는 국가의 다양한 인종 집단을 철저히 분리시키려는 정책을 추진했다. 당시 요하네스버그 시의회는 국민당을 지지하지 않았기에, 중앙 정부와 시의회는 소웨토를 포함한 흑인 거주 지역(타운십)의 통제권을 두고 갈등을 겪었다.아파르트헤이트 정부는 흑인들을 도시 외곽의 특정 지역에 집중시켜 통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기존에 도시 주변에 흩어져 살던 흑인들을 소웨토와 같은 계획된 타운십으로 강제 이주시키는 정책을 폈다.[25] 1955년에는 도심에서 쫓겨난 계절 노동자를 수용하기 위한 최초의 호스텔이 두베(Dube)에 건설되었다. 초기 몇 년간 주택 건설은 더디게 진행되었으나, 1952년을 기점으로 변화가 생겼다. 과학산업연구위원회가 저렴한 표준 주택 설계를 제시했고, 1951년 건설 노동자법 통과로 흑인들이 건설 기술을 배울 수 있게 되었으며, 1952년 반투 서비스 부과법(Bantu Services Levy Act) 제정으로 흑인 고용주에게 세금을 부과하여 타운십의 기본 시설 자금을 마련하게 되었다.[23] 이에 따라 1954년에는 자바부(Jabavu)와 모폴로(Mofolo) 등에 새 주택이 건설되었다.[24] 시의회는 경제적으로 자립한 흑인들을 대상으로 한 두베 마을(Dube Village) 계획을 추진하기도 했다.[24]
1955년 6월, 클립타운(Kliptown)에서는 ANC를 비롯한 여러 단체가 모여 인민회의를 개최하고, 모든 인종의 평등과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자유헌장 (Freedom Charter)을 채택했다. 이는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저항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정부의 강제 이주 정책은 더욱 강화되어, 1954년 원주민 재정착법이 통과되면서 소피아타운(Sophiatown)과 같이 기존에 흑인들이 토지 소유권을 가지고 있던 지역에서도 강제 철거가 이루어졌다. 이주민들은 메도우랜드(Meadowlands)와 디에프클루프(Diepkloof) 등에 새로 건설된 주택으로 옮겨졌으며, 1960년까지 강제 이주는 대부분 완료되었다.[28] 1956년부터는 트라디(Tladi), 존디(Zondi), 치아웰로(Chiawelo) 등 새로운 저소득층 타운십이 조성되었고, 광산업계의 자금 지원으로 추가 주택 건설도 이루어졌다.[26] 정부는 소웨토를 언어 집단별로 나누어 관리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날레디(Naledi), 마페틀라(Mapetla), 트라디(Tladi), 몰레츠사네(Moletsane), 피리(Phiri)는 소토어와 트스와나어 사용자를 위한 곳이었고, 치아웰로(Chiawelo)는 츠와나어와 벤다어 사용자를 위한 곳이었다. 드라미니(Dhlamini), 세노아네(Senoane), 졸라(Zola), 존디(Zondi), 자불라니(Jabulani), 엠데니(Emdeni), 화이트 시티(White City)는 줄루어와 코사어 사용자를 위한 구역으로 지정되었다.[27]
1963년, 요하네스버그 남서쪽에 흩어져 있던 여러 타운십을 아우르는 공식 명칭으로 '소웨토(Soweto)'가 채택되었다.[25][10] 1971년, 중앙 정부는 흑인 사무 행정법(Black Affairs Administration Act)을 통해 소웨토에 대한 요하네스버그 시의회의 권한을 박탈하고, 새로 설립된 서웨스트랜드 행정위원회(West Rand Administration Board)에 관리 감독 권한을 넘겼다.[30] 위원회 의장으로 임명된 마니 멀더(Manie Mulder)는 흑인 문제에 대한 경험이 부족했으며, 1976년 5월 "소웨토 주민들은 완벽하게 만족하고 행복하다"는 현실과 동떨어진 발언을 하기도 했다.[31]

1976년 6월, 아프리칸스어 교육 강제 정책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인 소웨토 학생운동이 발생하여 격렬한 유혈 진압으로 이어졌다. (자세한 내용은 소웨토 항쟁 (1976년) 참조) 이 사건 이후 정부는 소웨토 일부 가정에 전기를 공급하는 등 회유책을 폈지만, 주택 건설 지원은 중단했다.[33] 1983년에는 흑인 지역 자치법(Black Local Authorities Act)에 따라 소웨토는 형식적으로 독립적인 시가 되었고 흑인 의원들이 선출되었으나, 이들에게는 실질적인 권한이나 재정이 주어지지 않았다. 주민들은 이들 흑인 의원들을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의 꼭두각시로 여기며 반발했다.[33] 또한 백인, 인도인, 유색인종만 참여하는 삼원제 의회에서 흑인이 배제되면서 저항은 더욱 거세졌다.
1980년대 소웨토에서는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저항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교육 및 경제 보이콧, 학생 단체 조직, 거리 위원회 결성 등이 이루어졌고, 10인 위원회(Committee of Ten)와 같은 시민 단체들이 정부 기구의 대안으로 활동했다. ANC가 1985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통치 불가능하게 만들자(make South Africa ungovernable)"고 촉구하면서 저항 운동은 더욱 활발해졌다. 정부가 집회를 금지하자 레지나 문디(Regina Mundi) 성당과 같은 교회 건물이 정치 집회 장소로 활용되기도 했다. 이러한 저항과 불안은 1994년 4월 최초의 다인종 총선이 치러질 때까지 계속되었다. 한편, 급격한 인구 증가와 사회적 혼란 속에서 흑인 주민들 사이의 폭력 사건도 증가하여 1976년경에는 연간 900명 이상이 살해당하는 등 치안 문제도 심각했다.[74]
2. 2. 1. 소웨토 항쟁 (1976년)
1976년 6월 16일, 소웨토에서는 아파르트헤이트 정부가 모국어 대신 아프리칸스어로 교육을 강제하려는 정책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 즉 소웨토 학생운동이 일어나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날 약 1만 명[32]의 학생들이 날레디 고등학교에서 오를란도 스타디움을 향해 평화적으로 행진했으나, 경찰은 오를란도 웨스트에서 이들에게 총격을 가했다.이 무력 진압으로 인해 시위 첫날에만 소웨토에서 23명이 사망했다. 사망자 대부분은 흑인 학생이었으며, 당시 13세였던 헥터 피에터슨도 희생자 중 한 명이었다. 또한, 평생 인도주의 활동가였던 백인 멜빌 에델스타인을 포함한 백인 2명도 사망했다. 경찰의 발포 이후 폭동은 계속되었다.
소웨토 항쟁의 소식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역과 전 세계로 빠르게 퍼져나갔다. 국제 사회는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에 대한 경제적, 문화적 제재를 가하기 시작했다. 많은 정치 활동가들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떠나 해외에서 게릴라 저항 운동을 준비했으며, 소웨토를 비롯한 여러 흑인 거주 지역(타운십)은 더욱 폭력적인 국가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
이 사건은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국내외적 저항을 크게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지배층인 아프리카너 내부에서도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는 데 영향을 미쳤다. 결국 1993년 아파르트헤이트는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소웨토 항쟁을 기억하고 희생된 학생들을 기리기 위해, 1991년부터 매년 6월 16일은 아프리카 어린이 국제의 날로 기념되고 있다.
2. 2. 2. 아파르트헤이트 이후

아파르트헤이트가 종식된 후, 소웨토는 새로운 변화를 맞이했다. 1995년 소웨토는 남부 대도시 과도 지방 의회의 일부가 되었고[34], 2002년에는 요하네스버그 시에 편입되었다.[35]
그러나 아파르트헤이트의 상처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2002년에는 극우 극단주의 단체인 보어마그가 소웨토에서 연쇄 폭탄 테러를 일으켜 건물과 철도에 피해를 입히고 1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6] [37] 2022년에는 술집에서 대량 총격 사건이 발생하여 15명이 사망했다.[38]
한편, 새 정부는 BEE 정책을 시행하며 소웨토의 경제 발전을 지원했다. 이 정책은 회사 직원의 40%, 주주의 26%를 흑인으로 하고, 흑인이 경영하는 회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러한 정부 지원에 힘입어, 넬슨 만델라와 함께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에 참여했던 사업가 리처드 마포냐는 소웨토 최초의 복합상업시설인 ‘마포냐몰’을 건설했다.
또한 2010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최된 2010년 FIFA 월드컵의 결승전이 소웨토에 위치한 소커 시티 경기장에서 열리면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3. 인구 통계
2011년 센서스 기준 소웨토의 면적은 200.03km2이며, 총 인구는 1,271,628명으로 인구 밀도는 6357.29명/km²이다. 총 가구 수는 355,331가구이며, 가구 밀도는 1776.42가구/km²이다.
소웨토의 인구는 주로 흑인이며, 가장 흔한 모어는 줄루어이다.[39]
성별 | 인구 | 비율 (%) |
---|---|---|
여성 | 640,588 | 50.38 |
남성 | 631,040 | 49.62 |
인종 | 인구 | 비율 (%) |
---|---|---|
흑인 | 1,253,037 | 98.54 |
백인 | 1,421 | 0.11 |
컬러드 | 13,079 | 1.03 |
아시아계 | 1,418 | 0.11 |
기타 | 2,674 | 0.21 |
모어 | 인구 | 비율 (%) |
---|---|---|
이줄루어 | 350,940 | 40.87 |
이코사어 | 88,474 | 10.30 |
아프리칸스어 | 5,639 | 0.66 |
세소토사 레보아어 | 41,179 | 4.80 |
세츠와나어 | 106,419 | 12.39 |
영어 | 3,047 | 0.35 |
세소토어 | 157,263 | 18.32 |
키츠총가어 | 62,157 | 7.24 |
이시스와티어 | 8,696 | 1.01 |
츠시벤다어 | 29,498 | 3.44 |
이신데벨레어 | 2,801 | 0.33 |
기타 | 2,531 | 0.29 |
4. 지리 및 기후
소웨토는 요하네스버그 남서쪽에 위치한다. 1930년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백인 정부가 인종 분리 정책의 일환으로 흑인들을 위한 "타운십"으로 조성한 지역이다.[10] 당시 악명 높은 1923년 도시 지역법(Urban Areas Act) 등을 근거로 요하네스버그 중심부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흑인들을 강제 이주시켜 형성되었다. 소웨토는 강, 철도 선로, 공업 지역 또는 고속도로 등으로 이루어진 소위 "위생 통로"(cordon sanitaire)를 통해 백인 거주 지역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었다.[10]
쾨펜-가이거 기후 분류 시스템에 따르면 소웨토의 기후는 아열대 고지 기후(Cwb)로 분류된다.[41]
5. 도시 경관
소웨토 지역은 주로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정부가 흑인 노동자들을 위해 저렴하게 건설한 "성냥갑" 주택(matchbox houses) 또는 4개의 방으로 구성된 주택들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소수의 부유한 소웨토 주민들은 더 부유한 교외 지역의 주택들과 비슷한 규모의 주택을 건설하기도 했다. 여전히 성냥갑 주택에 거주하는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집을 개조하고 확장했으며, 요하네스버그 시의회는 지역 내에 더 많은 나무를 심고 공원과 녹지를 개선하는 데 지원을 제공했다.
호스텔(Hostel) 역시 소웨토의 또 다른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이다.[47] 원래는 남성 이주 노동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건설되었지만, 많은 호스텔들이 부부와 가족을 위한 주거 공간으로 개선되었다.
5. 1. 주요 랜드마크
- 크리스 하니 바라그와나스 학술 병원(Chris Hani Baragwanath Academic Hospital): 디프클루프(Diepkloof)에 위치한 소웨토 유일의 병원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군과 영연방군 병사들을 위해 1941년 바라그와나스 제국 군 병원(The Imperial Military Hospital, Baragwanath)으로 건설되었다.[22] 전쟁 후 트란스발 지방 행정부가 인수하여 1948년 4월 1일 바라그와나스 병원으로 흑인 구역 병원으로 개원했다.[22] 세계 최대 규모의 병원 중 하나로 알려졌다. 1997년, 백인 극우 단체에 의해 암살된 남아프리카 공산당의 전 총서기이자 아프리카 민족회의 지도자인 크리스 하니를 기리기 위해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22]
- 자유의 탑(Freedom Towers)
- 만델라 하우스: 오를란도 웨스트(Orlando West)의 빌라카지 거리(Vilakazi Street)에 위치한 넬슨 만델라가 살았던 집이다. 현재는 넬슨 만델라 국립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 올란도 타워(Orlando Towers): 과거 오란도 발전소의 냉각탑이었으나 현재는 소웨토의 유명한 랜드마크이자 번지 점프 등 익스트림 스포츠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 레지나 문디(Regina Mundi): 록빌(Rockville)에 위치한 가톨릭 교회이다. 아파르트헤이트 시절 공개 집회가 금지되었을 때, 민주화 운동가들의 주요 집회 장소로 사용되는 등 저항 운동의 중요한 거점 역할을 했다.
- 헥터 피터슨 박물관(Hector Pieterson Museum): 오를란도 웨스트에 위치하며, 1976년 소웨토 학생운동 당시 경찰의 발포로 희생된 학생 헥터 피터슨을 기리고 당시 사건을 기억하기 위해 설립된 박물관이다.
- 월터 시술루 광장(Walter Sisulu Square): 클립타운(Kliptown)에 위치한 광장이다.
- 남아프리카 공군(South African Air Force) 퇴역 애브로 섀클턴(Avro Shackleton) 항공기: SAAF 1723 기종으로, 골든 하이웨이(Golden Highway)의 빅스 바이킹 가라지(Vic's Viking Garage) 주유소 지붕에 전시되어 있다.
- 소웨토 명예의 벽(Soweto Wall of Fame)
- 투투 하우스(Tutu House): 데즈먼드 투투 대주교가 살았던 집이다.
- 빌라카지 거리(Vilakazi Street): 넬슨 만델라와 데즈먼드 투투 두 명의 노벨 평화상 수상자가 살았던 유일한 거리로 유명하다.
- 트시에트시 마시니니 기념 아크 박물관(Tsietsi Mashinini Memorial Arc Museum): 중앙 서부 자바부(Central Western Jabavu)에 위치한다.
- 투팍 샤커(Tupac Shakur) 유해 안치 장소: 미국 래퍼 투팍 샤커의 유해가 이곳에 안치되었다는 주장이 있다.[51][52]
6. 교통
소웨토 교외 지역은 역사적으로 고용 센터가 부족하여 거의 모든 주민이 도시의 다른 지역으로 통근한다.[42] 주요 교통 수단으로는 요하네스버그 중심부와 연결되는 메트로레일 통근 열차, N1, N12, N17, M70(소웨토 고속도로), R553 등 다수의 고속도로 및 간선 도로가 있다. 또한, 미니버스 택시는 매우 대중적인 교통 수단이며,[45] 급행 버스 시스템인 레아 바야(Rea Vaya)[46]와 PUTCO 버스 서비스도 운영되고 있다.
6. 1. 철도
메트로레일(Metrorail)은 소웨토와 요하네스버그 중심부 사이를 오가는 통근 열차를 운행한다. 요하네스버그 공원역에서 소웨토의 날레디역까지는 약 42분에서 52분이 소요된다. 소웨토 내에는 날레디(Naledi), 메라페(Merafe), 인흘라자네(Inhlazane), 이크웨지(Ikwezi), 두베(Dube), 페페니(Phefeni), 포몰롱(Phomolong), 음짐흘로페(Mzimhlophe), 뉴 캐나다(New Canada), 믈람란쿤지(Mlamlankunzi), 올랜도(Orlando), 낸스필드(Nancefield), 클립타운(Kliptown), 치아웰로(Chiawelo), 미드웨이(Midway) 역이 있다.[43]6. 2. 도로
소웨토 교외 지역은 역사적으로 고용 중심지가 부족하여, 거의 모든 주민이 도시의 다른 지역으로 통근한다.[42]

N1 고속도로는 소웨토의 동쪽 경계를 따라 지나간다. 이 도로는 요하네스버그와 루데포르트로 이어지는 번화한 고속도로로, 소웨토 지역 여러 곳으로 효율적인 도로 접근을 제공하지만, 통근자들은 주로 기차와 택시에 의존한다.
N12 도로는 모로카 우회도로(Moroka Bypass)라고도 불리며, 소웨토의 남쪽 경계를 이루고 레나시아와 분리한다.
N17 도로의 새로운 구간이 건설되어 소웨토와 나스렉을 4차선 왕복 도로로 연결했다.[44]
M70은 소웨토 고속도로(Soweto Highway)로도 알려져 있으며, 나스렉과 부이센스를 경유하여 소웨토를 요하네스버그 중심부와 연결한다. 이 도로는 다차선 도로이며, 나스렉에 있는 사커 시티 옆을 지나고, 소웨토에서 부이센스와 요하네스버그 중심부까지 전용 택시 차로가 있다.
소웨토 남동부(엘도라도 파크)를 통과하는 주요 간선도로는 R553 골든 고속도로이다. 이 도로는 N1 고속도로, N12 도로, M1 고속도로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미니버스 택시는 인기 있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2000년에는 바라가와나스(Baragwanath) 택시 정류장에서만 약 2,000대의 미니버스 택시가 운행된 것으로 추산된다.[45]
급행 버스 시스템(BRT)인 ''레아 바야(Rea Vaya)''는 매일 약 16,000명의 통근자에게 교통 서비스를 제공한다.[46]
PUTCO 역시 수년 동안 소웨토 주민들에게 버스 통근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7. 사회 및 문화
소웨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장 큰 흑인 도시 지역으로,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하에서 흑인 분리 정책의 일환으로 조성되었다.[10]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소웨토는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저항과 투쟁의 상징적인 장소가 되었다. 특히 1976년 소웨토 학생운동은 아프리칸스어 교육 강제에 반대한 대규모 시위로, 헥터 피에터슨을 포함한 많은 학생들이 희생되었으며[32], 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레지나 문디 가톨릭 교회와 같은 장소는 아파르트헤이트 시절 정치 집회 장소로 활용되기도 했다.
오늘날 소웨토는 활기찬 문화 중심지로 다양한 행사와 축제가 열린다.
- 소웨토 와인 페스티벌: 2004년부터 매년 9월 첫 주말에 요하네스버그 대학교 소웨토 캠퍼스에서 열리는 3일간의 축제이다. 6,000명 이상의 와인 애호가와 100개 이상의 남아프리카 와이너리가 참여하여 900종 이상의 와인을 선보인다.
- 소웨토 프라이드(Soweto Pride): 매년 9월 마지막 토요일에 열리는 연례 프라이드 퍼레이드로, 2004년에 시작되었다. 흑인 레즈비언, 퀴어, 트랜스젠더 여성 및 비이성애자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을 기념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내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소웨토의 인구는 주로 흑인이며,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모어는 줄루어이다.[39]
다음은 소웨토의 주요 명소이다.
명소 | 위치/설명 |
---|---|
크리스 하니 바라그와나스 학술 병원 | 디에프클로프(Diepkloof) 소재 |
자유의 탑(Freedom Towers) | |
만델라 하우스 | 빌라카지 거리(Vilakazi Street)에 위치한 넬슨 만델라의 옛집. 현재 박물관으로 운영된다. |
올란도 타워 | 오를란도(Orlando) 소재 |
레지나 문디 | 로크빌(Rockville) 소재 |
SAAF 1723 애브로 섀클턴 항공기 | 골든 하이웨이의 빅스 바이킹 가라지 주유소 지붕에 전시된 퇴역 군용기. |
소웨토 명예의 벽(Soweto Wall of Fame) | |
투투 하우스 | 빌라카지 거리에 위치한 데즈먼드 투투 대주교의 옛집. |
빌라카지 거리(Vilakazi Street) | 넬슨 만델라와 데즈먼드 투투 두 노벨 평화상 수상자가 살았던 거리. |
월터 시술 광장 | 클립타운(Kliptown) 소재 |
헥터 피터슨 박물관 | 오를란도 웨스트(Orlando West) 소재 |
넬슨 만델라 국립 박물관 | 오를란도 웨스트(Orlando West) 소재, 만델라 하우스 |
레지나 문디 교회 | 록빌(Rockville) 소재 |
트시에트시 마시니니 기념 아크 박물관 | 중앙 서부 자바부(Central Western Jabavu) 소재 |
투팍 샤커 유해 안치 장소 | 미국 래퍼 투팍 샤커의 유해가 안치된 곳.[51][52] |
7. 1. 미디어
가우텡(Gauteng)의 도시권에 속한 소웨토(Soweto)는 가우텡 주의 다른 지역과 대부분 동일한 미디어를 공유하지만, 소웨토 자체에 특화된 미디어도 있다.- 소웨토 온라인(Soweto Online)은 지역 기반 정보 공유 포털이다.[49]
- 소웨토 인터넷 라디오(Soweto Internet Radio)는 2008년에 설립된 디지털 미디어 네트워크 회사이다.
- 소웨토 TV(Soweto TV)는 DStv 채널 251에서 시청할 수 있는 지역 방송 채널이다. 이 채널은 가우텡 주에서는 지상파로 방송되며, DStv 유료 방송 서비스를 통해 남아프리카 공화국 구독자들에게도 채널 251을 통해 방송된다. 채널 스튜디오는 넬슨 만델라와 데스먼드 투투 대주교 두 노벨상 수상자의 역사적인 거주지가 있는 세계 유일의 거리인 빌라카지 스트리트(Vilakazi Street)에 위치해 있다. 소웨토 TV의 프로그램은 ICASA의 규정에 따라 60% 이상의 지역 콘텐츠를 포함하는 소웨토 관련 콘텐츠가 주를 이룬다.
- ''소웨탄(The Sowetan)'' 신문은 약 160만 명의 독자를 보유하고 있다.[50]
- ''카시비즈 마할라(Kasibiz Mahala)''는 2012년에 설립된 지역 소규모 사업체를 홍보하는 무료 지역 잡지이다.
7. 2. 교육
소웨토 지역에는 과거 비스타 대학 소웨토 캠퍼스가 있었으며, 현재는 요하네스버그 대학교의 일부이다.7. 3. 스포츠
소웨토는 남아프리카 프리미어 디비전 최상위 리그에서 활동하는 두 개의 축구팀, 카이저 치프스(Kaizer Chiefs F.C.)와 모로카 스왈로스(Moroka Swallows F.C.)의 연고지이다. 올랜도 파이러츠(Orlando Pirates F.C.)는 소웨토에서 시작했으나 현재는 호턴(Houghton Estate)으로 이전했다.[56]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랜도 파이러츠는 여전히 모로카 스왈로스와 지역 더비를 치른다. 특히 카이저 치프스와 올랜도 파이러츠 간의 라이벌 경기는 소웨토 더비로 알려져 있으며,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치열한 축구 라이벌리 중 하나로 꼽힌다.[57][58]테니스에서는 ATP 챌린저 투어의 일환인 소웨토 오픈(Soweto Open) 토너먼트가 매년 소웨토에서 개최된다.
또한 매년 소웨토를 가로지르는 42.2km 코스의 소웨토 마라톤이 열린다.
농구에서는 소웨토 팬서스(Soweto Panthers)가 농구 국가 리그(Basketball National League)에서 소웨토를 대표하는 팀으로 활동하고 있다.
소웨토 내 주요 경기 시설은 다음과 같다.
- FNB 스타디움(FNB Stadium):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장 큰 경기장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케이저 치프스의 홈구장이다.
- 엘도라도 파크 스타디움(Eldorado Park Stadium)
- 돕슨빌 스타디움(Dobsonville Stadium): 모로카 스왈로스의 홈구장이다.
- 자바부 스타디움(Jabavu Stadium)
- 노르드게지그 스타디움(Noordgesig Stadium)
- 올랜도 스타디움(Orlando Stadium): 올랜도 파이러츠의 홈구장이다.
- 메도우랜드 스타디움(Meadowlands Stadium)
7. 4. 소웨토의 지역구
2003년까지 대소웨토 지역은 요하네스버그의 행정 지역 6과 10에 속한 87개의 타운십으로 구성되었다.[60]소웨토 자체를 구성하는 주거 지역의 수에 대한 추정치는 크게 다르다. 어떤 집계는 소웨토가 29개의 타운십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하지만,[61] 다른 집계는 34개라고 한다.[62] 이러한 차이는 인접한 타운십(예: 레나시아와 엘도라도 파크)이 소웨토의 지역 6과 10에 통합되면서 발생하는 혼란 때문일 수 있다. 총 수는 또한 다양한 "확장 지역"과 "구역"을 별도로 계산할지 아니면 하나의 주요 교외 지역의 일부로 계산할지에 따라 달라진다. 2003년 지역 공간 개발 프레임워크는 다양한 확장 지역(예: 치아웰로의 5개)과 구역(예: 핌빌의 7개)을 별도로 계산하여 87개의 이름에 도달했다. 요하네스버그 시 웹사이트는 구역과 확장 지역을 하나로 묶어 32개로 집계하지만 노르트게지그와 메시 파크는 누락되어 있다.[63]
아래 목록은 소웨토의 일부 타운십이 설립된 날짜와 가능한 경우 이름의 유래 또는 의미를 보여준다.
이름 | 설립 | 이름의 유래 |
---|---|---|
브람피슈빌 | ||
치아웰로 | 1956 | "휴식의 장소" (벤다어) |
딥클루프 | 1959 | |
드라미니 | 1956 | 알 수 없음, 응구니 가문의 이름. 마이클 마바소도 이곳 출신이다. 기차를 타고 출퇴근하는 노동 계급 인구가 거주하는 타운십이다. |
돕슨빌 | 돕슨빌 가든 포함 | |
도른콥 | "가시의 언덕" (아프리칸스어) | |
두베 | 1948 | 존 랑갈리바렐레 두베(1871–1946) 교육자,[64] 신문 창업자, 그리고 초대 ANC 회장(1912–17)의 이름을 따서 명명[65] |
엠데니 | 1958 | "모갈레 시티(당시 크루거스도르프 시) 바로 앞의 마지막 타운십, 국경" (코사어), 확장 지역 포함 |
그린빌리지 | ||
자바부 | 1948 | 데이비드슨 돈 텐고 자바부(1885–1959), 교육자이자 작가의 이름을 따서 명명 |
자불라니 | 1956 | "기뻐하다" (줄루어) |
클립스프루이트 | 1904 | "바위가 많은 개울" (아프리칸스어), 원래 농장이었다. |
클립타운 | "바위가 많은 마을", 아프리칸스어의 바위(klip)와 영어의 "town"에서 유래. | |
레이크사이드 | ||
마페틀라 | 1956 | 화가 난 사람 (세츠와나어) |
메도우랜드 | 별명 "Ndofaya" | |
메시 파크 | 불을 지피는 사람을 의미하는 세소토어 | |
모폴로 | 1954 | 토마스 모폴로(1876–1948), 세소토 작가, 번역가, 교육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 |
몰라포 | 1956 | 바소토 부족의 이름, 작은 계곡/개울을 의미하는 세소토어 |
몰레츠아네 | 1956 | 바타웅 족장의 이름, (바타웅은 사자 tau를 따서 명명된 바소토 씨족이다) |
모로카 | 1946 | 제임스 세베 모로카 박사(1891–1985)[66], 1952년 불복종 운동 당시 ANC 회장(1949–52)을 지낸 인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 |
날레디 | 1956 | "별" (소토어/페디어/츠와나어), 원래 이름은 Mkizi |
노르트게지그 | "북쪽 전망" (아프리칸스어) | |
오를란도 | 1932 | 에드윈 오를란도 리이크(1860–1935), 비유럽인 사무국장(1930–31), 요하네스버그 시장(1925–26)의 이름을 따서 명명 |
페페니 | ||
피리 | 1956 | "하이에나" (소토어/츠와나어) |
핌빌 | 1934 | 제임스 하워드 핌, 의원(1903–07), 퀘이커, 자선가, 포트 헤어 원주민 대학 후원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 원래 클립스프루이트의 일부였다. |
파워 파크 | 발전소 근처에 위치 | |
프로테아 글렌 | 알 수 없음 (프로테아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국화이다) | |
프로테아 노스 | ||
프로테아 사우스 | ||
세나오아네 | 1958 | 솔로몬 G 세나오아네(−1942), 비유럽인 사무국 최초의 스포츠 조직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 |
틀라디 | 1956 | "번개" (북부 소토어) |
졸라 | 1956 | "평온" (줄루어/코사어) |
존디 | 1956 | 알 수 없는 가문의 이름 (줄루어) |
소웨토의 다른 타운십으로는 포몰롱과 스네이크 파크가 있다.
8. 경제
아파르트헤이트 정권 하에서 소웨토의 경제 개발은 심각하게 제한되었다. 정권은 매우 제한적인 인프라만 제공했으며, 주민들이 스스로 사업을 창출하는 것을 막았다. 도로는 포장되지 않았고, 많은 주민들이 네 가구가 하나의 수도꼭지를 공유해야 하는 등 기본적인 기반 시설조차 부족했다. 소웨토는 본질적으로 요하네스버그의 백인 가정, 공장 및 산업체에서 일하는 흑인 아프리카인을 위한 기숙사 도시로 계획되었다.
1957년 원주민(도시 지역) 통합 법률 및 그 이전 법률들은 1923년부터 1976년까지 소웨토 내 자영업을 7가지 범주(일반 상점, 정육점, 식당 운영, 우유나 채소 판매, 행상)로 엄격히 제한했다. 이러한 허용된 사업체의 총 수도 엄격하게 통제되었다. 결과적으로 법적 테두리 밖에서 비공식적인 상거래가 발달할 수밖에 없었다.[33]
1976년까지 소웨토에는 영화관 두 곳과 호텔 두 곳만이 존재했으며, 주택의 83%에만 전기가 공급되었다. 상수도 접근이 불가능한 주민은 93%에 달했다. 요리와 난방을 위해 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호흡기 질환이 유발되었고, 이는 높은 유아 사망률(1976년 기준 1,000명당 54명, 백인의 18명과 비교됨[33])의 한 원인이 되었다.
1977년 경제 활동에 대한 제한이 일부 해제되면서, 부적절했던 버스 및 기차 교통 시스템의 대안으로 택시 산업이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33]
아파르트헤이트가 종식된 후에도 경제적 불평등은 여전하여, 1994년 소웨토 주민의 평균 소득은 요하네스버그 부유 지역 주민의 약 6.5분의 1 수준이었다(1994년 추정치). 소웨토 주민들은 요하네스버그 전체 세율 기여도에서 2% 미만을 차지한다. 여전히 많은 주민들이 빈곤에 시달리며, 일부는 서비스가 거의 제공되지 않는 판자촌에 거주하고 있다. 클립타운의 경우 약 85%가 비공식 주택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경제 개선의 조짐도 보인다. 요하네스버그 시의회는 가로등 설치를 늘리고 도로를 포장하는 등 기반 시설 개선에 나서고 있다. 민간 부문에서도 소웨토 주민들의 총 지출 능력(약 43억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을 겨냥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프로테아 몰(Protea Mall), 자불라니 몰(Jabulani Mall) 건설, 마포냐 몰(Maponya Mall) 개발, 클립타운의 고급 호텔 및 오를란도 에카야 엔터테인먼트 센터(Orlando Ekhaya Entertainment Centre) 건설 등이 대표적이다. 이를 통해 소웨토는 유흥과 문화의 중심지로도 부상하고 있다.
9. 유명 인물
소웨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역사, 특히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투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이러한 배경 속에서 수많은 유명 인사를 배출했다. 세계적인 지도자로 인정받는 넬슨 만델라와 데스몬드 투투가 대표적이며, 이 외에도 정치, 사회 운동, 문화 예술,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웨토 출신 또는 거주자들이 큰 족적을 남겼다. 이들은 남아프리카 공화국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9. 1. 소웨토 출신

소웨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많은 인물들을 배출했다. 특히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투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이 많다.
정치 및 사회 운동가
- 넬슨 만델라(Nelson Mandela) (1918–2013):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이자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의 상징적인 지도자. 소웨토에서 오랜 기간 거주했으며, 오를란도에 위치한 그의 옛집(넬슨 만델라 국립 박물관)은 현재 주요 관광 명소이다.
- 데스몬드 투투(Desmond Tutu) (1931–2021): 성공회 대주교이자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가. 비폭력 저항 운동을 이끌며 국제적인 지지를 얻었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 위니 만델라(Winnie Madikizela-Mandela) (1936–2018):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가이자 정치인. 넬슨 만델라의 전 부인으로, 남편의 투옥 기간 동안 투쟁을 이어갔다.
- 시릴 라마포사(Cyril Ramaphosa) (1952년생): 현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변호사, 강력한 노동조합 지도자 출신으로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에 참여했으며, 이후 사업가와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 프랭크 치케인(Frank Chikane) (1951년생):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가로 평생 소웨토에 거주하며 활동했다.
- 테보호 맥도널드 마시니니(Teboho MacDonald Mashinini) (1957-1990): 1976년 소웨토 학생운동 당시 주요 학생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 헥터 피에터슨(Hector Pieterson) (1963–1976): 1976년 소웨토 학생운동 당시 경찰의 총격으로 사망한 13세 소년. 그의 죽음을 담은 사진은 국제적으로 아파르트헤이트의 잔혹성을 알리는 상징이 되었다. 오를란도 웨스트에 그를 기리는 기념관과 박물관이 있다.
- 앤드류 믈랑게니(Andrew Mlangeni) (1925-2020): 정치 운동가이자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가. 리보니아 재판에서 넬슨 만델라 등과 함께 종신형을 선고받고 투옥되었다.
- 릴리안 응고이(Lilian Ngoyi) (1911–1980):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가. 여성 운동을 이끌었으며, 므짐흘로페에서 18년 동안 가택 연금을 당했다.
- 툴리 마돈셀라(Thuli Madonsela) (1962년생):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 감찰관(Public Protector), 변호사, 법학교수.
- 제임스 판자(James Mpanza) (1889–1970): '소웨토의 아버지'로 불리는 시민 지도자. 오르란도 파이러츠 축구 클럽을 창립했다.
- 도쿄 섹스왈레(Tokyo Sexwale) (1953년생): 사업가이자 전 정치인.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가로 활동했으며 정치범으로 투옥되기도 했다.
- 리처드 마포냐(Richard Maponya) (1920-2020): 사업가이자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가.
문화 예술인
- 트레버 노아(Trevor Noah) (1984년생): 세계적으로 유명한 코미디언, 작가, 정치 평론가. 미국의 유명 심야 토크쇼 데일리 쇼(The Daily Show)를 진행했다.
- 이본 샤카 샤카(Yvonne Chaka Chaka) (1965년생): 가수, 작사가, 배우, 기업가, 인도주의자, 교사. '아프리카의 공주'로 불린다.
- 졸라(Zola) (본명: 본기니코시 드라미니(Bonginkosi Dlamini)) (1977년생): 크와이토 음악가, 배우, 작가, TV 진행자, 시인.
- 레보 M(Lebo M) (1964년생): 작곡가. 애니메이션 영화 라이온 킹의 음악 작업으로 유명하다.
- 시포 마부세(Sipho Mabuse) (1950년생): '핫스틱스(Hotstix)'라는 예명으로 알려진 다재다능한 음악가.
- 기브슨 켄테(Gibson Kente) (1932–2004): 극작가. '타운십 연극의 아버지'로 불린다.
- 애그리 클라스테(Aggrey Klaaste) (1940–2004): 소웨탄(The Sowetan) 신문의 기자이자 편집자.
- 므자크웨 므불리(Mzwakhe Mbuli) (1959년 출생): '국민 시인'으로 알려진 시인, 음악가이자 배우.
- 테리 페토(Terry Pheto) (1981년 출생): 배우.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한 영화 쏘치(Tsotsi) (2005) 주연으로 잘 알려져 있다.
- 제라드 세코토(Gerard Sekoto) (1913–1993): 화가. 남아프리카 근대 미술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1947년 프랑스로 이민 가기 전 클립타운에 거주했다.[73]
- 샘띵 소웨토(Samthing Soweto) (1988년생): 가수 겸 작곡가. 아프로팝, 아카펠라 등 다양한 장르를 소화한다.
- 릴리안 두베(Lillian Dube) (1945년생): 배우, TV 진행자.
- 아비가일 쿠베카(Abigail Kubeka) (1941년생): 가수, 작사가, 배우.
- 바키티 쿠말로(Bakithi Kumalo) (1956년생): 베이스 기타 연주자.
- 잭 레롤(Jack Lerole) (1940년경-2003년): 음악가, 페니휘슬 연주로 유명.
- 카벨로 마발라네(Kabelo Mabalane) (1976년생): 크와이토 음악가, 작사가, 배우.
- 아서 마포케이트(Arthur Mafokate) (1962년생): 크와이토 음악가, 프로듀서.
- 만도자(Mandoza) (1978-2016): 크와이토 음악가.
- 보니 엠불리(Bonnie Mbuli) (1979년생): 배우.
- 레타 엠불루(Letta Mbulu) (1942년생): 재즈 가수, 작사가.
- 소미지 흘롱고(Somizi Mhlongo) (1972년생): 텔레비전 진행자, 라디오 진행자, 안무가, 배우, 가수.
- 레필웨 모디셀레(Refilwe Modiselle) (1986년생): 모델, 연예인.
- 제리 모포켄(Jerry Mofokeng) (1956년생): 무대 및 영화 배우.
- 카모 엠펠라(Kamo Mphela) (1999년생): 가수, 무용수.
- 소피 엔다바(Sophie Ndaba) (1973년생): 배우.
- 템바 엔다바(Themba Ndaba) (1965년생): 배우.
- 두마 엔들로부(Duma Ndlovu) (1954년생): 시인, 영화 제작자, 프로듀서, 언론인, 극작가.
- 난디 녤베(Nandi Nyembe) (1950년생): 배우.
- 카보니나 쿠베카(Khabonina Qubeka) (1981년생): 배우, TV 진행자, 무용수.
- 마나카 라나카(Manaka Ranaka) (1979년생): 배우. 드라마 시리즈 "세대들: 유산(Generations: The Legacy)"의 루시 다일(Lucy Diale) 역으로 유명하다.
- 디네오 라나카(Dineo Ranaka) (1983년생): 라디오 및 텔레비전 진행자, 배우, DJ, TV 프로듀서.
- 템비 시테(Thembi Seete) (1977년생): 배우, 가수, 래퍼, 텔레비전 진행자, 모델.
- 메리 트왈라(Mary Twala) (1939년경-2020년): 배우, 소미지 흘롱고(Somizi Mhlongo)의 어머니.
- 셀로 치코 트왈라(Sello Chicco Twala) (1963년생): 음악가, 프로듀서.
- 조 마펠라(Joe Mafela) (1942–2017): 배우, 작가, 프로듀서, 감독, 가수, 사업가.
- 팰런스 드라들라(Pallance Dladla) (1992년 출생): 배우.
- 퍼시 코보자(Percy Qoboza) (1938–1988): 신문 기자이자 편집자.
- 로렌스 음두두지 엔들로부(Lawrence Mduduzi Ndlovu) (1984년생): 시인, 문화운동가, 연설가, 작가, 강사.
스포츠인
- 케이저 모타웅(Kaizer Motaung) (1944년생):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가장 인기 있는 축구 클럽 중 하나인 케이저 치프스 FC의 창립자이자 회장. 선수로도 활동했다.
- 조모 소노(Jomo Sono) (1955년생): '검은 왕자'로 불렸던 전설적인 축구 선수. 현재는 축구 클럽 조모 코스모스의 소유주이자 감독이다.
- 루카스 라데베(Lucas Radebe) (1969년생): 전 축구 선수. 리즈 유나이티드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을 역임했다.
- 닥터 쿠말로(Doctor Khumalo) (1967년생): 케이저 치프스 FC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한 은퇴한 축구 선수.
- 시피웨 차발랄라(Siphiwe Tshabalala) (1984년생): 케이저 치프스 FC 소속 축구 선수. 2010년 FIFA 월드컵 개막전에서 남아공의 첫 골을 기록하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 스티븐 피에나르(Steven Pienaar) (1982년 출생): 전 축구 선수. 아약스,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에버턴, 토트넘 홋스퍼 등 유럽의 여러 클럽에서 활약했다.
- 모건 골드(Morgan Gould) (1983년생): 수퍼스포츠 유나이티드 FC(Supersport United F.C.) 소속 축구 선수.
- 툴라니 흘라츠와요(Thulani Hlatshwayo) (1989년생): 수퍼스포츠 유나이티드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 마이크 망게나(Mike Mangena) (1960년생): 전 축구 선수, 축구 해설가.
- 에프라임 마샤바(Ephraim Mashaba) (1950년생): 축구 감독, 전 축구 선수.
- 포르티아 모디세(Portia Modise) (1983년생): 축구 선수.
- 테코 모디세(Teko Modise) (1982년생): 은퇴한 축구 스타.
- 코트소 모타우(Khotso Motau) (1981년생): 권투 선수, 2004년 올림픽 참가.
- 툴라니 세레로(Thulani Serero) (1990년생): 축구 선수.
- 딩간 토벨라(Dingaan Thobela) (1966년생): 전 프로 권투 선수, 두 번의 라이트급 세계 챔피언 및 슈퍼 미들급 세계 챔피언, "소웨토의 장미(Rose of Soweto)"로 알려짐.
- 베네딕트 빌라카지(Benedict Vilakazi) (1982년생): 축구 선수.
- 아서 즈와네(Arthur Zwane) (1973년생): 전 축구 선수, 축구 감독.
- 어빈 코자(Irvin Khoza) (1948년 1월 27일 출생):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행정가, 오르란도 파이러츠 회장.
기타
- 라시즈웨 담부자(Lasizwe Dambuza) (1998년생): 텔레비전 인물.
- 바세츠아나 쿠말로(Basetsana Kumalo) (1974년생): 1994년 미스 사우스아프리카(Miss South Africa), 1994년 미스 월드(Miss World) 1위, 텔레비전 인물, 사업가, 자선가.
- 코시 레틀라페(Kgosi Letlape) (1959년생):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흑인 안과의사.
- 카니 엠바우(Khanyi Mbau) (1985년생): 배우, 텔레비전 인물, 모폴로(Mofolo)에서 성장.
- 조드와 와반투(Zodwa Wabantu) (1985년생): 사교계 인사, 무용수.
- 치디마 아데츠히나(Chidimma Adetshina) (2001년생): 2024년 미스 사우스아프리카(Miss South Africa) 결선 진출자, 2024년 미스 유니버스 나이지리아(Miss Universe Nigeria).
이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소웨토 출신 인물들이 활동하고 있다.
9. 2. 기타 소웨토 거주자
- '''제임스 엠판자(James Mpanza)''' (1889–1970): 시민 지도자이자 오르란도 파이러츠의 창립자로, '소웨토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다.
- '''헥터 피터슨(Hector Pieterson)''' (1963–1976): 1976년 소웨토 항쟁 당시 경찰의 총격으로 사망한 첫 번째 학생으로, 항쟁의 상징적인 인물이 되었다. 그의 이름을 딴 기념관과 박물관이 오를란도 웨스트에 있다.
- '''위니 만델라(Winnie Mandela)''' (1936–2018):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넬슨 만델라의 전 부인이다.
- '''기브슨 켄테(Gibson Kente)''' (1932–2004): 극작가.
- '''어빈 코자(Irvin Khoza)''' (1948년 출생):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축구 행정가이자 오르란도 파이러츠 회장이다.
- '''애그리 클라스테(Aggrey Klaaste)''' (1940–2004): 신문 기자이자 편집자.
- '''넬슨 만델라(Nelson Mandela)''' (1918–2013):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을 지낸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혁명가이자 정치 지도자, 평화 운동가이다. 소웨토에서 수년간 거주했으며, 오를란도에 있는 그의 집은 현재 주요 관광 명소이다.
- '''헤이스팅스 흘로부(Hastings Ndlovu)''' (1961–1976): 1976년 소웨토 항쟁 당시 살해된 또 다른 학생이다.
- '''릴리안 응고이(Lilian Ngoyi)''' (1911–1980):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가로, 므짐흘로페에서 18년 동안 가택 연금 생활을 했다.
- '''조 마펠라(Joe Mafela)''' (1942–2017): 배우, 작가, 프로듀서, 감독, 가수, 사업가.
- '''므자크웨 므불리(Mzwakhe Mbuli)''' (1959년 출생): "국민 시인"으로 알려진 시인, 음악가이자 배우.
- '''테리 페토(Terry Pheto)''' (1981년 출생): 2005년 아카데미상 수상 영화 쏘치(Tsotsi)에서 미리엄 역으로 잘 알려진 배우이다.
- '''팰런스 드라들라(Pallance Dladla)''' (1992년 출생): 배우.
- '''스티븐 피에나르(Steven Pienaar)''' (1982년 출생): 국가 대표팀과 에버턴 FC에서 활동한 축구 선수이다.
- '''퍼시 코보자(Percy Qoboza)''' (1938–1988): 신문 기자이자 편집자.
- '''제라드 세코토(Gerard Sekoto)''' (1913–1993): 화가로, 1947년 프랑스로 이민 가기 전 클립타운에 거주했다.[73]
- '''데스몬드 투투(Desmond Tutu)''' (1931–2021): 1980년대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을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성직자이자 운동가이다.
10. 대중문화 속 소웨토
소웨토는 콰이토와 카시 랩(남아프리카공화국 특유의 힙합 스타일)의 발상지 중 하나로 여겨진다.[53][54] 이 음악 장르들은 하우스 음악, 미국 힙합, 전통 아프리카 음악의 요소를 결합하여 흑인 남아프리카인들 사이에서 큰 영향력을 끼쳤다.
소웨토 출신의 유명 음악가 및 그룹은 다음과 같다.
- 소웨토 복음 합창단: 2005년 미국 NPR의 '올 띵스 컨시더드'(All Things Considered)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노래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 소웨토 현악 사중주단
- 소웨토 멜로딕 보이스(Soweto Melodic Voices):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개막식 공연팀으로 선정되었으며, 영국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에서도 공연하며 명성을 얻었다.
또한 많은 국내외 음악가들이 소웨토를 주제로 삼거나 노래 가사에 언급했다.
- 클래런스 카터 - '소웨토의 소녀'(The Girl From Soweto) 또는 '소웨토에서 소녀는 어디로 갔을까'(Where did the girl go, from Soweto)
- UB40 - '수치의 짐'(Burden of Shame) (앨범 '사인 오프'(Signing Off), 1980)
- 조 스트러머 (더 클래시 출신) - 솔로 앨범 '스트릿코어'(Streetcore)의 '팔 벌려'(Arms Aloft)', 더 클래시의 앨범 '런던 콜링'(London Calling) 레거시 에디션의 '어디로 갈 거야(소웨토)'(Where You Gonna Go (Soweto))[71]
- 마타픽스 - '소웨토의 추억'(Memories Of Soweto) (앨범 '리듬 앤 힘'(Rhythm & Hymns), 2007)
- 에디 그랜트 -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노래 '조앤나에게 희망을 달라'(Gimme Hope Jo'anna) ("검은 소웨토의 모든 어머니들이 또 다른 아들의 죽음을 두려워하는 동안"이라는 가사로 당시 경찰의 잔혹 행위를 비판)
- 미리엄 마케바 - '소웨토 블루스'(Soweto Blues)
- 닥터 알반 - '소웨토를 해방시켜'(Free Up Soweto) (앨범 '누가 말하는지 봐'(Look Who's Talking), 1994)
- 티후아나 노! (멕시코 밴드) - '소웨토'(Soweto) (앨범 '노'(No))
- 히에로글리픽스 (힙합 그룹) - '소웨토'(Soweto)
- 뱀파이어 위켄드 (미국 밴드) - 자신들의 음악 스타일을 '어퍼 웨스트 사이드 소웨토'(Upper West Side Soweto)라고 칭함. 이는 폴 사이먼의 앨범 '그레이스랜드'(Graceland)의 음악 스타일에 대한 설명을 따른 것이다.
- 밥 제임스와 커크 월럼 - '소웨토'(Soweto) (앨범 '조인드 앳 더 힙'(Joined at the Hip) 첫 번째 트랙)
- 자방 (브라질 싱어송라이터) - '소웨토'(Soweto) (앨범 'Não É Azul, mas É Mar', 1987)[72] (브라질 파고데 그룹 '소웨토' 이름의 유래가 됨)
- 매그네틱 필즈 (미국 밴드) - '세계의 사랑'(World Love) (앨범 '69 Love Songs', 1999)
'''영화'''
소웨토는 여러 영화의 배경이 되거나 중요한 소재로 다루어졌다. 특히 1976년 소웨토 항쟁은 여러 작품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묘사된다.
- '마른 흰 계절' (A Dry White Season, 1989): 1976년 소웨토 항쟁 이후 희생된 흑인 주민들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밝히려는 백인 교사의 이야기를 다룬다. 도널드 서덜랜드, 말론 브란도, 수잔 서랜든이 출연했다.
- '스탠더' (Stander, 2003):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의 부패에 저항하여 은행 강도가 된 경찰 국장 안드레 스탠더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영화에서 소웨토 항쟁은 스탠더의 삶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건으로 그려진다.
- '소웨토 서핑' (Surfing Soweto, 2006): 사라 블레처와 리미 라파토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로, 소웨토 청소년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위험한 열차 서핑 문화와 그 이면에 있는 사회 문제를 조명한다.
- '제9지구' (District 9, 2009):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상공에 불시착한 외계인들을 소웨토를 모델로 한 가상의 수용소 '제9지구'에 격리하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다룬 SF 영화이다. 영화의 일부는 실제 소웨토의 트시아웰로 지역에서 촬영되었으며,[68]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남아공의 인종 차별과 외국인 혐오 문제를 외계인이라는 소재를 통해 비판적으로 그리고 있다.
- '사라피나!' (Sarafina!, 1992): 소웨토 항쟁 당시 학생들의 이야기를 다룬 뮤지컬 영화이다.
- '납치 이야기' (Hijack Stories, 2000): 소웨토를 배경으로 한 범죄 드라마 영화이다.
- '타우 야 소웨토' (Tau Ya Soweto, 2005)
'''문학'''
문학 작품에서도 소웨토는 중요한 공간적 배경이나 소재로 등장한다.
- 트레버 노아 - 《범죄자로 태어나서》(Born a Crime, 2016):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코미디언 트레버 노아의 자서전. 아파르트헤이트 하에서 혼혈로 태어나 소웨토 등지에서 보낸 그의 유년기와 성장 과정을 유머러스하면서도 진솔하게 담아냈다.[70]
- 요나스 요나손 - 《스웨덴 국왕을 구한 소녀》(The Girl Who Saved the King of Sweden, 2013): 1961년 소웨토의 빈민가에서 태어난 비범한 소녀 놈베코 마예키의 파란만장한 일대기를 그린 소설이다.
- 린지 글래스(Linzi Glass) - 《루비 레드》(Ruby Red): 2008년 카네기 메달 후보작. 소설 내용 중에 소웨토 학생 시위가 간략하게 언급된다.
- 쉴라 고든(Sheila Gordon) - 《비를 기다리며》(Waiting for the Rain, 1987): 소설의 배경 중 하나로 소웨토가 등장한다.
- 로렌스 므두두지 흘로부(Lawrence Mduduzi Ndlovu) - 시집 《조용한 영역》(In Quiet Realm): 소웨토 출신 시인인 흘로부는 이 시집에 실린 "나의 모든 것인 소웨토"(Soweto My Everything)라는 시를 통해 자신의 고향을 기리고 있다.[69]
참조
[1]
웹사이트
Soweto
https://www.geonames[...]
[2]
웹사이트
Main Place Soweto
http://census2011.ad[...]
[3]
논문
Letters, words, worlds: the naming of Soweto
[4]
서적
An Introduction to South Africa's Geological and Mining Heritage
Mintek
[5]
서적
An Introduction to South Africa's Geological and Mining Heritage
[6]
서적
The Rand at War
University of Natal Press
[7]
서적
Afrikaners in die Goudstad
Hollandsche Afrikaansche Uitgevers
[8]
서적
Afrikaners in die Goudstad
[9]
서적
The Rand at War
[10]
웹사이트
Soweto
https://www.sahistor[...]
2018-10-31
[11]
서적
The Saga of Johannesburg
John R Shorten (Pty) Limited
[12]
판례
Tshewu v Registrar of Deeds
[13]
법률
Natives Land Act
[14]
논문
James Mpanza and the Sofasonke Party in the development of local politics in Soweto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15]
서적
Seventy Golden Years, 1886–1956
Municipal Public Relations Bureau
[16]
논문
James Mpanza and the Sofasonke Party in the development of local politics in Soweto
[17]
논문
James Mpanza and the Sofasonke Party in the development of local politics in Soweto
[18]
논문
James Mpanza and the Sofasonke Party in the development of local politics in Soweto
[19]
논문
James Mpanza and the Sofasonke Party in the development of local politics in Soweto
[20]
서적
Soweto – A History
Maskew Miller Longman
[21]
서적
Soweto – A History
[22]
웹사이트
The Chris Hani Baragwanath Hospital, South Africa – The World's 3rd Biggest Hospital, in South Africa – Contact Details (Address, Phone Numbers, Email Address) and Map
https://www.chrishan[...]
2019-01-14
[23]
서적
Soweto – A History
[24]
서적
Seventy Golden Years, 1886–1956
[25]
웹사이트
An African Village
http://wiredspace.wi[...]
2018-11-01
[26]
서적
Soweto – A History
[27]
서적
Soweto – A History
[28]
서적
Soweto – A History
[29]
서적
Soweto – A History
[30]
판례
Mngomezulu & Others v City Council of Soweto
[31]
서적
Soweto – A History
[32]
웹사이트
Soweto Uprising
https://web.archive.[...]
2010-12-01
[33]
서적
The Urban Challenge in Africa: Growth and Management of Its Large Cities
https://archive.org/[...]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2009-11-16
[34]
논문
Urban Governance and Turning African Cities Around: City of Johannesburg.
http://www.pasgr.org[...]
[35]
논문
Correlates of children's travel to school in Johannesburg-Soweto—Evidence from the Birth to Twenty Plus (Bt20+) study, South Africa
[36]
웹사이트
THE WHITE RIGHT
https://journals.co.[...]
2024-12-16
[37]
웹사이트
White Supremacists Claim Responsibility for Bombing in South Africa - 2002-11-11
https://www.voanews.[...]
2024-12-16
[38]
웹사이트
At least 21 killed in spate of shootings at South African bars, police say
https://abcnews.go.c[...]
ABC News
2022-07-14
[39]
보고서
Language diversity in Gauteng
https://www.gcro.ac.[...]
Gauteng City-Region Observatory
2022-00-00
[40]
웹사이트
Census 2011: Main Place: Soweto
https://census2011.a[...]
2019-01-14
[41]
웹사이트
Climate: Soweto – Climate graph, Temperature graph,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2013-09-25
[42]
웹사이트
About Region D
https://www.joburg.o[...]
[43]
웹사이트
West Wits
http://www.metrorail[...]
Metrorail
2009-11-16
[44]
웹사이트
R360m 'Nasweto' highway to be completed by year-end
http://www.engineeri[...]
Engineering News (Creamer Media)
2009-11-16
[45]
웹사이트
Bara taxi rank set for major upgrade
http://www.joburg.or[...]
City of Johannesburg
2009-11-16
[46]
웹사이트
16 000 commuters use Rea Vaya daily
http://www.sabcnews.[...]
SABC
2009-11-16
[47]
논문
Hostels for African migrants in greater Johannesburg
1986-00-00
[48]
웹아카이브
http://pennybrothers[...]
2013-07-26
[49]
웹사이트
Visit the Soweto Online Portal
http://sowe2online.c[...]
[50]
웹사이트
Sowetan introduces jobs online
http://www.bizcommun[...]
2009-11-17
[51]
뉴스
Rapper's ashes to be buried in Soweto
https://www.theguard[...]
2024-04-28
[52]
뉴스
Tupac to be given final resting place in Soweto
https://mg.co.za/art[...]
2024-04-28
[53]
서적
Globalization and Gangster Rap: Hip Hop in the Post-Apartheid City
Pluto Press
2006-00-00
[54]
웹사이트
The Vinyl Ain't Final
http://copac.ac.uk/s[...]
2009-08-13
[55]
웹사이트
SOWETO ENTREPRENEURS TARGETED
https://www.joburg.o[...]
City of Joburg
2018-11-01
[56]
웹사이트
Original Soweto derby: How Swallows' rise highlights Orlando Pirates' demise
https://www.goal.com[...]
2022-12-07
[57]
웹사이트
Where does Soweto Derby rank among Africa's biggest derbies?
https://www.goal.com[...]
2022-12-07
[58]
웹사이트
5 of Africa's fiercest derby rivalries
https://trueafrica.c[...]
2022-12-07
[59]
웹사이트
Mandela gets Soweto Award
https://www.news24.c[...]
2018-11-01
[60]
웹사이트
Regional Spatial Development Framework
https://web.archive.[...]
City of Johannesburg
2009-11-16
[61]
웹사이트
Soweto
http://www.saweb.co.[...]
2009-11-16
[62]
웹사이트
Background to the study area: Soweto
http://upetd.up.ac.z[...]
University of Pretoria
2009-11-16
[63]
웹사이트
Suburbs
https://www.joburg.o[...]
2023-01-11
[64]
웹사이트
Dube, John Langalibalele (Mafukuzela)
https://web.archive.[...]
UNISA
2009-11-16
[65]
웹사이트
John Langalibalele Dube
https://web.archive.[...]
African National Congress
2009-11-16
[66]
웹사이트
Dr James Sebe Moroka
http://www.sahistory[...]
SAHistory
2009-11-16
[67]
웹사이트
The Soweto Electricity Crisis Committee
http://www.ukzn.ac.z[...]
University of KwaZulu-Natal
2009-11-16
[68]
뉴스
The real District 9
http://www.mg.co.za/[...]
2011-03-10
[69]
서적
In Quiet Realm
Write-On Publishing
2018-00-00
[70]
웹사이트
Born a Crime: Trevor Noah charts his rise from South Africa's townships
https://www.theguard[...]
2020-11-13
[71]
웹사이트
London Calling (Legacy Edition)
https://www.amazon.c[...]
2009-11-16
[72]
웹사이트
Soweto – Djavan
https://www.letras.m[...]
2019-01-14
[73]
웹사이트
Gerard Sekoto's 'illustrious album'
http://www.southafri[...]
2004-11-01
[74]
뉴스
南ア 黒人暴動のソエトを見る 移動の自由もない「武器は石と労働拒否」
朝日新聞
1976-09-03
[75]
웹사이트
バーで銃乱射、15人死亡 南アフリカ
https://www.cnn.co.j[...]
CNN
2022-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