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게실라오스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게실라오스 2세는 에우리폰티드 왕조 출신으로 기원전 400년부터 기원전 360년까지 스파르타의 왕이었다. 그는 다리에 장애가 있었지만, 왕위에 올라 페르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코린트 전쟁을 이끌었다. 그는 테베에 대한 강경한 정책으로 인해 레욱트라 전투에서 스파르타가 패배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지만, 만티네이아 전투에서 테베를 상대로 승리하며 스파르타를 지키는 데 기여했다. 말년에는 이집트에서 용병으로 활동하다가 사망했으며,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개인적인 미덕에도 불구하고, 테베에 대한 강경한 정책과 외교적 한계로 인해 스파르타의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아르키다모스 2세와 그의 두 번째 아내 에우폴리아의 아들인 아게실라오스 2세는 에우리폰티드 왕조 출신이다. 그는 고대 올림픽에서 처음 우승한 여성인 퀴니스카의 형제이며, 선왕 아기스 2세의 이복 동생이다.[1][2][11][12]
기원전 399년, 아게실라오스 2세는 2000명의 네오다모데스(자유민이 된 헤일로타이)와 6,000명의 동맹군을 이끌고 소아시아의 그리스 도시를 페르시아의 지배로부터 해방한다는 명분으로 소아시아 원정을 시작했다.[126] 코린토스, 아테네, 테베 등은 불참했다. 출정 전 아우리스에서 아가멤논을 따라 제물을 바치려 했으나, 테베 인의 방해로 무산되었다.[126]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지모가 뛰어난 반스파르타 경향의 티토라우스테스는 아게실라오스 2세를 소아시아에서 몰아낼 계책을 짜냈다. 그는 로도스인 티모크라테스라는 사람을 그리스에 보냈고, 강대해지는 스파르타에 경계심을 품고 있던 아테네, 아르고스, 테바이, 코린토스 등 국가의 유력자에게 뇌물을 건네 대 스파르타 전쟁을 시작하게 했다. 이것이 코린트 전쟁(기원전 395년 – 기원전 387년)이다.[122] 기원전 394년, 그리스 본토에서 일어난 전쟁으로 인해 아게실라오스 2세는 스파르타 본국으로 소환되었다.
스파르타와 테바이 사이에 전쟁이 발발하자, 아게실라오스 2세는 기원전 378년과 그 이듬해 두 차례에 걸쳐 보이오티아를 침공했다. 그러나 질병으로 인해 이후 5년 동안은 휴식을 취해야 했다. 기원전 371년 레욱트라 전투에서 에파메이논다스가 이끄는 테바이 군에게 패배하면서 스파르타는 그리스의 패권을 상실하게 된다.[106]
레욱트라 전투 이후 스파르타는 그리스의 패권을 다시 되찾을 정도의 국력을 회복하지 못했지만, 아게실라오스 2세는 스파르타 재건에 힘썼다.
아게실라오스 2세는 키가 작고 다리가 불편했지만, 용기, 절제, 검소함 등 스파르타의 전통적인 미덕을 갖춘 인물로 평가받았다.[127][124]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보였으나, 지나치게 강경한 외교 정책으로 스파르타의 패권을 약화시키기도 했다.
2. 즉위까지
아게실라오스는 젊은 시절 뤼산드로스와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22][23] 기원전 400년 아기스 2세가 죽자, 아게실라오스는 아기스의 아들 레오튀키데스와 왕위를 두고 다투었다. 그는 레오튀키데스가 선왕 아기스 2세의 아내 티마이아와 알키비아데스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라는 소문을 이용하여 그를 추방하고, 40세의 나이에 왕위에 올랐다.[118][34][35]
아게실라오스의 즉위에는 뤼산드로스의 역할도 컸다. 뤼산드로스는 자신의 영향력을 회복하기 위해 아게실라오스를 지지했다.[40] 그러나 아게실라오스는 즉위 후 뤼산드로스를 멀리했고, 뤼산드로스의 기대는 빗나갔다.[118]
3. 페르시아 전쟁
소아시아의 태수들은 아게실라오스 2세의 갑작스러운 침공에 대비하지 못했다. 에페소스에 도착한 아게실라오스 2세에게 리디아와 카리아의 태수 티사페르네스는 3개월 휴전을 요청했고, 휴전 조약이 체결되었다. 티사페르네스는 휴전 기간 동안 전투를 준비했고, 카리아에 전력을 집중시켰다. 그러나 아게실라오스 2세는 프리기아를 침공하여 태수 파르나바조스를 격파하고 많은 전리품을 획득했다. 티사페르네스는 프리기아에 원군을 보내지 못했다. 아게실라오스 2세는 에페소스로 돌아가 겨울을 보냈다.
겨울이 끝날 무렵, 아게실라오스 2세는 사르디스로 진격한다고 선언했다. 티사페르네스는 카리아를 공격할 것이라 예상하고 군을 집중시켰으나, 아게실라오스 2세는 기원전 395년 봄에 리디아를 침공하여 승리했다. 티사페르네스가 사르디스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많은 거점이 함락된 후였다. 헤스모스 평원에서 아게실라오스 2세는 기병이 유리한 평야를 피하고, 보병에 유리한 위치로 티사페르네스를 유인하여 승리했다.[121] 티사페르네스는 패배의 책임을 지고 처형당했고, 후임으로 온 티트라우스테스는 아게실라오스 2세와 휴전 조약을 맺었다. 그 후 아게실라오스 2세는 다시 프리기아를 공격하여 이듬해 봄까지 약탈했다.
아게실라오스는 에페소스에서 만 명(키루스 2세가 고용한 그리스 용병) 중 일부를 자신의 군대에 편입시켰다. 그들은 크세노폰의 지휘 하에 페르시아에서 귀환했고, 크세노폰도 아게실라오스의 참모로 남았다.[64]
크세노폰은 아게실라오스가 아시아에서 더 동쪽으로 원정하여 아케메네스 왕조 백성들 사이에 불만을 일으키거나, 심지어 아시아를 정복하려 했다고 말한다.[78] 플루타르코스는 더 나아가 아게실라오스가 페르시아의 심장부인 수사까지 원정할 준비를 했다고 썼으며, 이는 그를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선구자로 만들었다.[80]
4. 코린트 전쟁
아게실라오스 2세는 아뷰도스에서 헬레스폰투스를 건너 트라키아, 마케도니아를 거쳐 그리스 중심부에 이르러, 8월 14일에 코로네이아 전투에서 아테네, 보이오티아 기타 동맹군을 이겼다.[122] 펠로폰네소스 반도로 가는 도중 델포이에서 그는 은퇴했다. 그러나 직후에 스파르타가 크니도스 해전에서 아테네, 페르시아 연합 함대에 대패하자, 아게실라오스 2세는 다시 검을 잡았다.[122]
이듬해 기원전 393년, 아게실라오스 2세는 아르고스를 휩쓸었고, 그 이듬 해에는 코린트령을 침공하여 레카이온과 피레아스를 점령하고 성공적으로 원정을 끝냈다.[122] 그러나 기원전 391년 레카이온 전투에서 스파르타 중장보병 부대가 이피크라테스가 이끄는 아테네의 경장보병 부대에 패해 아게실라오스 2세의 성공은 상쇄되었다. 기원전 389년에 그는 반 스파르타 동맹 측과 동맹을 맺고 있던 아카르나니아를 침공하여 승기를 거두었다. 그리고 2년 후인 기원전 387년에 〈안탈키다스 평화조약〉(대왕의 화평)을 맺고 전쟁을 종결했다.[122] 이때 아게실라오스 2세가 테바이의 대표인 에파메이논다스에게 “테바이는 (당시 테바이에 복속되었던) 보이오티아가 개별 조약을 맺는 것을 허용하는가?”라고 묻자 에파메이논다스는 “스파르타가 페리오이코이에게 도시마다 조약을 맺는 것을 허락하기 전에는 불허하오”라고 대꾸하는 등 이때 스파르타와 테바이의 대립은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다.[123]
5. 테바이 전쟁
이후 아게실라오스 2세는 에파메이논다스의 펠로폰네소스 침공과 헤일로타이, 페리오이코이 등의 반란과 음모로부터 스파르타를 방어하는 데 기여했다.[106] 기원전 364년에는 키오스의 지배자 아리오바자네스 2세가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를 상대로 일으킨 반란을 돕기도 했다.[107][108][110]
기원전 362년 만티네이아 전투에서는 아게실라오스 2세가 이끄는 스파르타-아테네 연합군이 에파메이논다스를 전사시켰다. 이 전투는 보이오티아 군의 승리였지만, 에파메이논다스를 잃은 테바이는 그리스의 패권을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1]
5. 1. 레욱트라 전투의 영향
기원전 371년 레우크트라 전투에서 에파미논다스가 이끄는 보이오티아 군에게 펠로폰네소스 동맹군이 패배하면서, 스파르타는 그리스의 패권을 잃었다.[1] 레욱트라 전투 이후 스파르타는 다시 그리스의 패권을 되찾거나 국력을 회복하지 못했지만, 아게실라오스 2세는 스파르타의 재건에 헌신했다.[1]
6. 말년과 죽음
기원전 361년, 아게실라오스 2세는 이집트로 가 네크타네보 2세와 섭정 테오스를 도와 용병대장으로서 페르시아와 싸웠다. 그는 네크타네보 2세의 즉위를 돕고 220 달란트를 받았다.[105] 귀국길에 아게실라오스 2세는 키레나이카에서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밀랍으로 보존되어 스파르타로 운구되어 안장되었다.[105]
그의 뒤를 이어 아들 아르키다모스 3세가 왕위에 올랐다.
7. 인물됨과 평가
크세노폰은 저서 《아게실라오스》에서 그를 이상적인 지도자로 묘사했지만,[85] 현대 역사가들은 그의 정책, 특히 테바이에 대한 강경책이 레욱트라 전투에서 스파르타의 패배와 패권 상실의 원인 중 하나라고 비판한다.[111]
아게실라오스 2세는 개인적인 감정에 치우쳐 정치적 판단을 흐리거나, 시민 인구 감소와 경제적 불평등 같은 스파르타 내부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스파르타의 쇠퇴를 가속화했다는 비판도 받는다.[48][49]
7. 1. 업적
아게실라오스 2세는 즉위 직후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와의 전쟁을 제안했다. 코르넬리우스 네포스에 따르면, 당시 페르시아의 황제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가 그리스 침공을 준비하고 있다는 소문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기원전 399년, 아게실라오스는 2,000명의 Neodamodes|네오다모데스영어 (자유를 얻은 헬로트)와 6,000명의 동맹군을 이끌고 소아시아의 그리스 도시를 페르시아의 지배로부터 해방하겠다고 선언하며 소아시아로 건너갔다. 그러나 코린토스, 아테네, 테바이 등 다른 그리스 강국들은 참전하지 않았다.[119] 출정 전, 그는 아울리스에서 아가멤논이 트로이 원정 전에 제물을 바친 것처럼 따라하려 했지만, 테바이 사람들의 난입으로 방해받았다.[120]
아게실라오스 2세의 침공에 소아시아의 태수들은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에페소스에 도착한 아게실라오스 2세에게 리디아와 카리아의 태수 티사페르네스는 3개월 휴전을 요청했고, 휴전 조약이 체결되었다. 티사페르네스는 전투 준비에 전념하여 휴전이 끝날 무렵에는 전쟁 준비를 마쳤다. 그는 궁전이 많고 부유한 땅이었던 카리아를 공격할 것으로 예상하고 전력을 그곳에 집결시켰다. 그러나 아게실라오스 2세는 프리기아를 침공해, 프리기아 태수 파르나바조스에게 승리하고 막대한 전리품을 챙겼다. 티사페르네스는 프리기아에 원군을 보내지 못하고, 대군을 놀리고 말았다. 아게실라오스 2세는 에페소스로 군사를 끌고 가 그해 겨울을 보냈다.
겨울이 끝날 무렵, 아게실라오스 2세는 사르디스로 진격한다고 선언했다. 적이 카리아를 공격할 것으로 예상하고 군을 집중시켰던 티사페르네스는 또 다시 허탕을 쳤다. 기원전 395년 봄, 아게실라오스 2세는 다시 리디아를 침공하여 승리했다. 티사페르네스가 사르디스에 왔을 때는 이미 늦어, 아게실라오스 2세는 여러 거점을 함락시켜 막대한 전리품을 손에 넣고 있었다. 그 후, 헤스모스 평원에서 아게실라오스 2세는 기병에게 유리한 평야를 피하고, 보병에게 유리한 위치로 티사페르네스를 유인하여 수적으로 우세한 적을 물리쳤다.[121] 티사페르네스는 패배의 책임을 지고 처형되었고, 페르시아 왕이 보낸 티트라우스테스가 아게실라오스 2세와 대치하게 되었지만, 그는 아게실라오스 2세와 휴전 조약을 맺었다. 그 후 아게실라오스 2세는 다시 프리기아에 들어가 이듬해 봄까지 그곳을 황폐하게 만들었다.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반 스파르타적인 티트라우스테스는 아게실라오스 2세를 아시아에서 몰아낼 계책을 짜냈다. 그는 로도스인 티모크라테스를 그리스에 보내, 스파르타에 경계심을 품고 있던 아테네, 아르고스, 테바이, 코린토스 등의 유력자에게 뇌물을 건네 대 스파르타 전쟁을 시작하게 했다.[122] 코린토스 전쟁 (기원전 395년-기원전 387년)이 발발하자 기원전 394년, 아게실라오스 2세는 스파르타 본국으로 소환되었다.
그는 아비도스에서 다르다넬스 해협을 건너 트라키아, 마케도니아를 거쳐 그리스 중심부에 이르러, 8월 14일 코로네이아 전투에서 아테네, 보이오티아 등의 동맹군을 이겼다. 펠로폰네소스 반도로 가는 도중 델포이에서 그는 은퇴했다. 그러나 그 직후 스파르타가 크니도스 해전에서 아테네-페르시아 연합 함대에 대패하자, 아게실라오스 2세는 다시 검을 잡았다.
기원전 393년, 아게실라오스 2세는 아르고스를 휩쓸었고, 다음 해에는 코린트령을 침공하여 레카이온과 피레우스를 점령했다. 그러나 기원전 391년 레카이온 전투에서 스파르타 중장보병 부대가 이피크라테스가 이끄는 아테네 경장보병 부대에 패해 아게실라오스 2세의 성공은 상쇄되었다. 기원전 389년에 그는 반 스파르타 동맹 측과 동맹을 맺고 있던 아카르나니아를 침공하여 승리했다. 2년 후인 기원전 387년, 안탈키다스의 평화 조약으로 전쟁이 종결되었다. 이때 아게실라오스 2세가 테바이 대표 에파메이논다스에게 “테바이는 (당시 테바이에 복속되었던) 보이오티아가 개별 조약을 맺는 것을 허용하는가?”라고 묻자, 에파메이논다스는 “스파르타가 페리오이코이에게 도시마다 조약을 맺는 것을 허락하기 전에는 불허하오”라고 대꾸하는 등, 스파르타와 테바이의 대립은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다.[123]
그 후 스파르타와 테바이 사이에 전쟁이 발발했고, 아게실라오스 2세는 기원전 378년과 그 이듬해 두 차례에 걸쳐 보이오티아로 진군했지만, 질병으로 이후 5년은 휴식을 취했다. 기원전 371년 레우크트라 전투에서 에파메이논다스가 이끄는 보이오티아 군에 클레옴브로토스 1세가 이끄는 펠로폰네소스 동맹군이 패배하며 스파르타는 그리스의 패권을 상실하게 된다.
이후 에파메이논다스의 거듭된 펠로폰네소스 침공에, 헬로트, 페리오이코이, 심지어 스파르타인들 같은 성안의 적들과 성밖의 적들에 대한 반란과 음모로부터 스파르타를 지킨 이가 아게실라오스 2세였다. 크세노폰에 의하면, 군자금을 얻기 위해 아게실라오스 2세는 기원전 362년에 키오스의 지배자 아리오바르자네스가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를 상대로 일으킨 반란을 도왔다.
기원전 362년, 에파메이논다스의 네번째 펠로폰네소스 침공으로 일어난 만티네이아 전투에서 아게실라오스 2세가 이끄는 스파르타, 아테네 연합군은 에파메이논다스를 전사시키기에 이른다. 이 전투는 보이오티아 군의 승리였지만, 에파메이논다스를 잃은 테바이는 그리스의 패권을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레욱트라 이후 스파르타는 다시 그리스의 패권을 되찾을 정도의 국력을 회복할 수 없었지만, 아게실라오스 2세는 스파르타의 재건에 전력을 다했다.
기원전 361년에는 이집트로 가서, 네크타네보 2세와 섭정 테오스를 돕기 위해 용병대의 대장으로 페르시아와 싸웠다. 그는 네크타네보 2세의 즉위를 돕고 220달란트를 받았다.
7. 2. 한계
아게실라오스 2세는 테바이에 대한 지나치게 강경한 정책으로 기원전 371년 레욱트라 전투에서 스파르타 군이 패배하고, 그리스의 패권을 상실하는 결과를 초래했다.[106] 그의 외교 정책은 주변국들의 반발을 사 스파르타를 고립시켰다.
리산드로스와의 관계에서 알 수 있듯이, 개인적인 감정과 정치적 판단을 혼동하는 경향도 보였다. 그는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사적인 감정에 휩쓸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아게실라오스 2세는 스파르타 사회 내부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키나돈의 음모에서 드러났듯이, 시민 인구 감소(''올리가스앤트로피아'')와 경제적 불평등은 심각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했다.[48][49] 이는 스파르타 사회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참조
[1]
서적
Commentary on Agesilaos
[2]
서적
Agesilaus
[3]
서적
Agesilaos
[4]
서적
Commentary on Agesilaos
[5]
논문
Agesilaus and Sparta
[6]
서적
Commentary on Agesilaos
[7]
서적
Agesilaos
[8]
서적
A Companion to Sparta
[9]
서적
Agesilaus
[10]
논문
La datación de la ascensión
[11]
서적
Agesilaos
[12]
서적
Agesilaus
[13]
서적
Agesilaos
[14]
서적
Agesilaos
[15]
논문
Disability and Infanticide in Ancient Greece
[16]
간행물
Hellenica
[17]
서적
Agesilaos
[18]
서적
Agesilaus
[19]
서적
Agesilaos
[20]
서적
Commentary on Agesilaos
[21]
서적
Agesilaos
[22]
서적
Agesilaos
[23]
서적
Agesilaus
[24]
서적
Agesilaus
[25]
서적
Agesilaos
[26]
서적
Agesilaos
[27]
서적
Agesilaus
[28]
서적
Agesilaos
[29]
서적
Agesilaos
[30]
서적
Agesilaos
[31]
서적
Sparta's Bitter Victories
[32]
서적
Agesilaos
[33]
서적
Agesilaus
[34]
서적
Agesilaos
[35]
서적
Agesilaus
[36]
서적
Agesilaos
[37]
서적
Agesilaus
[38]
서적
Agesilaos
[39]
서적
Agesilaus
[40]
서적
Sparta and Lakonia
[41]
서적
Agesilaos
[42]
서적
Agesilaos
[43]
서적
Agesilaus
[44]
간행물
Spartan Justice
[45]
서적
Agesilaus
[46]
간행물
Spartan Justice
[47]
서적
Sparta and Lakonia
[48]
서적
Agesilaus
[49]
간행물
Spartan Justice
[50]
서적
Sparta's Bitter Victories
[51]
서적
Agesilaus
[52]
서적
Sparta's Bitter Victories
[53]
서적
Agesilaus
[54]
서적
Agesilaos
[55]
서적
Agesilaus
[56]
서적
Agesilaos
[57]
서적
Agesilaus
[58]
서적
Agesilaus
[59]
서적
Agesilaos
[60]
서적
Agesilaos
[61]
서적
Agesilaus
[62]
서적
Agesilaus
[63]
서적
Agesilaus
[64]
서적
Agesilaos
[65]
서적
Agesilaos
[66]
서적
Agesilaus
[67]
서적
Agesilaus
[68]
서적
Agesilaos
[69]
서적
Agesilaus
[70]
서적
Agesilaos
[71]
서적
Agesilaus
[72]
서적
Agesilaos
[73]
서적
Agesilaus
[74]
서적
Sparta and Lakonia
[75]
서적
Sparta's Bitter Victories
[76]
서적
Agesilaos
[77]
서적
Agesilaus
[78]
서적
Agesilaos
[79]
서적
Coins and Currency: An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5
[80]
서적
Agesilaus
[81]
서적
Sparta's Bitter Victories
[82]
간행물
The Corinthian War
[83]
간행물
The Corinthian War
[84]
간행물
The Corinthian War
[85]
문서
Hell. iii. 3, to the end, Agesilaus
[86]
간행물
The Corinthian War
[87]
서적
Sparta's Bitter Victories
[88]
간행물
The Empire of the Spartans (404–371)
[89]
간행물
The Corinthian War
[90]
서적
Agesilaus
[91]
간행물
Thessalians Abroad
[92]
간행물
The Thessalian League
[93]
간행물
The Empire of the Spartans (404–371)
[94]
서적
Agesilaus
[95]
서적
Agesilaus
[96]
서적
Agesilaus
[97]
서적
Agesilaus
[98]
서적
Agesilaus
[99]
간행물
The Empire of the Spartans (404–371)
[100]
서적
Agesilaus
[101]
서적
Agesilaus
[102]
서적
Agesilaus
[103]
서적
Agesilaus
[104]
웹사이트
Agesilaus II
https://www.worldhis[...]
2021-03-16
[105]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Little, Brown and Company
[106]
웹사이트
Agesilaus
https://www.livius.o[...]
[107]
서적
War and Peace in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08]
서적
The North Aegean Wars, 371-360 B.C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Verlag
1997
[109]
서적
The Ancient Greeks: A Critical Histor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83
[110]
문서
Agesilaus
[111]
기타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12]
서적
A history of Greece to the death of Alexander the Great
Macmillan
[113]
문서
xiv. xv
[114]
문서
Description of Greece
[115]
문서
in vita
[116]
문서
Apophthegmata Laconica
[117]
문서
Agesilaos II
[118]
문서
III, 8-10
[119]
문서
III, 9, 1-3
[120]
문서
III, 9, 4
[121]
문서
IIi, 9, 6
[122]
문서
III, 9, 8
[123]
문서
IX, 13, 2
[124]
문서
『英雄伝』「XVII アゲシラオス」, 8
[125]
문서
III, 8-10
[126]
문서
III, 9, 4
[127]
문서
"영웅전" "XVII 아게시라오스" 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