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 마슈리크 인터내셔널 로드 네트워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랍 마슈리크 인터내셔널 로드 네트워크는 시리아, 이라크, 요르단, 팔레스타인, 레바논, 쿠웨이트,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오만, 예멘 등 13개국에서 비준된 국제 도로 네트워크이다. 주요 노선은 남북 방향과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유럽 국제 E-로드 네트워크, 아시아 고속도로 네트워크, 범아프리카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도로 교통 - 아시안 하이웨이
아시안 하이웨이는 유엔 주도로 1959년 시작된 아시아 지역 국제 도로망 확충 프로젝트로, 14만km에 달하는 55개 노선으로 아시아 국가 간의 연결을 통해 무역 활성화와 사회적 교류 증진을 목표로 한다. - 국제 도로 - 팬아메리칸 하이웨이
팬아메리칸 하이웨이는 북미와 남미를 연결하는 범대륙 고속도로 시스템이며, 1937년 여러 국가 간 협약을 통해 건설이 추진되었고, 다리엔 갭으로 인해 파나마와 콜롬비아 사이는 미연결 상태이다. - 국제 도로 - 유럽 고속도로
유럽 고속도로는 1950년 최초의 E-도로 네트워크 정의를 시작으로, 1975년 유럽 협정을 통해 노선 번호 시스템을 설정하고 도로 표준을 개선했으며, 녹색 바탕에 흰색 숫자로 표지판을 표시하여 유럽, 중앙 아시아, 코카서스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 및 지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 - 유엔 인권 위원회
유엔 인권 위원회는 1946년 창설되어 인권 증진, 조약 체결 지원, 인권 침해 조사를 수행했으며, 53개국으로 구성되어 특별 절차를 설립했으나, 구성원의 문제와 정치적 편향성으로 비판을 받았다. -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 - 유엔 통계국
유엔 통계국은 유엔 경제사회국 산하 기관으로서, 전 세계 경제, 사회, 환경 통계 데이터를 수집, 분석, 보급하고 SDGs 지표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발전 정책 수립 및 평가를 지원하며, 국제전기통신연합과 협력하여 신뢰할 수 있는 AI 개발을 추진한다.
아랍 마슈리크 인터내셔널 로드 네트워크 | |
---|---|
개요 | |
이름 | 아랍 마슈리크 인터내셔널 로드 네트워크 |
아랍어 명칭 | شبكة طرق المشرق العربي الدولية |
영어 명칭 | Arab Mashreq International Road Network |
프랑스어 명칭 | Réseau routier international du Machreq arabe |
시스템 정보 | |
종류 | 국제 도로망 |
관할 지역 | 아랍 마슈리크 |
구성 국가 | 이집트 이라크 요르단 레바논 팔레스타인 시리아 사우디 아라비아 |
총 길이 | 7,225 km (4,489 mi) |
주요 경로 | |
주요 도로 | M5 M10 M15 M20 M25 M30 M35 M40 M45 M50 M55 M60 M65 M70 M75 M80 M85 M90 M95 |
노선 | |
M05 | 시리아 - 요르단 - 사우디 아라비아 |
M10 | 시리아 - 이라크 |
M15 | 시리아 - 요르단 |
M20 | 사우디 아라비아 - 요르단 |
M25 | 사우디 아라비아 - 이라크 |
M30 | 사우디 아라비아 - 쿠웨이트 |
M35 | 요르단 - 이라크 |
M40 | 이집트 - 사우디 아라비아 |
M45 | 사우디 아라비아 - 예멘 |
M50 | 시리아 - 레바논 |
M55 | 시리아 - 팔레스타인 |
M60 | 요르단 - 팔레스타인 |
M65 | 사우디 아라비아 - 오만 |
M70 | 사우디 아라비아 - 카타르 |
M75 | 사우디 아라비아 - 아랍에미리트 |
M80 | 시리아 - 튀르키예 |
M85 | 요르단 - 이집트 |
M90 | 이라크 - 쿠웨이트 |
M95 | 이라크 - 이란 |
2. 역사
아랍 마슈리크 인터내셔널 로드 네트워크는 시리아, 이라크, 요르단, 팔레스타인, 레바논, 쿠웨이트,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오만, 예멘 등 13개국에서 비준되었다.[3][4]
3. 주요 노선
번호 요약 노선 비고 이라크, 아라비아 반도 동부 자코 - 모술 – 바그다드 – 사마와 – 바스라 – 사프완 압달리 – 쿠웨이트 시티 – 누와이세브 카프지 – 아부 하드리야 – 담맘 – 후푸프 – 살와 – 바타 – 알-구와이파트 – 아부다비 – 두바이 – 푸자이라 – 칼바 카트마트 말라하우 – 소하르 – 무스카트 – 니즈와 – 툼라이트 – 살랄라 담맘 – 후푸프 – 살와 구간은 완공 시 해안 도로(담맘 – 살와)로 대체될 예정. 유럽 국제 E-로드 네트워크의 유럽 고속도로 E90에 연결. 아부다비 – 소하르 아부다비 – 알-아인 – 알 부라이미 – 소하르 알-아인 – 니즈와 알-아인 – 마지야드 – 하피트 – 니즈와 북부 이라크 – 동지중해 하지 옴란 – 에르빌 – 모술 – 라비에 야루비아 – 카미실리 – 알레포 – 라타키아 아시아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AH2에 연결. 알레포 – 라마디 알레포 – 데이르 에조르 – 알부 카말 알카임 – 라마디 시리아 중부 카미실리 – 하사카 – 데이르 에조르 – 호므스 – 타르투스 석유 파이프라인 하디사 – 아르아르 – 하파르 엘 바틴 – 아부 하드리야 서부 이라크 – 동지중해 루트바 – 알-왈리드 탄프 – 다마스쿠스 – 제데예트 야부스 마스나 – 베이루트 아라비아 반도 중부 암만 – 아즈라크 – 오마리 하디사 – 사카카 – 하일 – 부라이다 – 리야드 – 알 카르지 이라크, 요르단, 팔레스타인, 지중해 남부 해안 문타레야- 하나킨 – 바그다드 – 라마디 – 루트바 – 타라빌 카라마 – 알 아즈라크 – 암만 – 킹 후세인 다리 – 예루살렘 – 아슈도드 – 가자 – 라파 – 아리쉬 – 칸타라 다리 – 포트 사이드 – 알렉산드리아 – 아스 살룸 아시아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AH2 및 범아프리카 고속도로 노선 1에 연결. 시리아 – 요르단 – 사우디아라비아 – 예멘 바브 알 하와 – 알레포 – 호므스 – 다마스쿠스 – 나시브 자베르 -알사르한 – 암만 – 케트라네 – 조로프 – 마안 – 알 무다와라 할라트 아마르 – 타부크 – 칼리바 – 메디나 – 메카 – 아브하 – 엘브 바킴 – 사나 – 타이즈 마안 – 아카바 마안 – 아카바 바그다드 – 카이로 바그다드 – 카르발라 – 알 누카이비 – 제데이다트 아르아르 제데이다트 아르아르 – 아르아르 – 사카카 – 칼리바 – 타부크 – 아드-두라 – 아카바 – 에일라트 – 누웨이바 – 네켈 – 샤트 – 카이로 동지중해 해안 카삽 – 라타키아 – 타르투스 – 다부시예 아부디예 – 트리폴리 – 베이루트 – 나쿠라 시나이 – 동홍해 아리쉬 – 나켈 – 누웨이바 에일라트 아카바 – 아드-두라 – 두바 – 얀부 – 라비그 – 제다 – 다르브 – 앗 투왈 하라드 – 호데이다 – 알-무카 서부 사우디아라비아 – 상부 이집트 두바 30px 사파가 – 케나 – 무트 홍해 – 서부 해안 이스마일리아 – 수에즈 – 사파가 – 할라예브 쿠웨이트 – 얀부 알-쿠웨이트 – 아스-살미 아르-루키 – 하파르 알 바틴 – 알 아르타위야 – 부라이다 – 메디나 – 얀부 이 노선에서 분기되어 아르타위야에서 주바일까지 동쪽으로 향하는 구간이 완공되면 추가될 예정. 나일강 계곡 알렉산드리아 – 카이로 – 케나 – 아르킨 마나마 – 제다 마나마 -킹 파드 코즈웨이- 담맘 – 리야드 – 메카 – 제다 도하 – 아드-다르브 도하 – 아부 삼라 아스 살와- 바타 – 하라드 – 알 카르지 – 술라일 – 아브하 – 아드-다르브 아라비아 반도 남부 툼라이트 – 마지우나 샤한 – 알 가이다 – 알-무칼라 – 아덴 – 타이즈 – 알-무카
노선 번호에서, 홀수는 남북 방향으로 뻗은 도로(주요 도로는 일의 자리가 5)이다.
3. 1. 남북 방향 노선
번호 | 노선 | 비고 |
---|---|---|
40px | 자코 - 모술 – 바그다드 – 사마와 – 바스라 – 사프완 압달리 – 쿠웨이트 시티 – 누와이세브 카프지 – 아부 하드리야 – 담맘 – 후푸프 – 살와 – 바타 – 알-구와이파트 – 아부다비 – 두바이 – 푸자이라 – 칼바 카트마트 말라하우 – 소하르 – 무스카트 – 니즈와 – 툼라이트 – 살랄라 | 담맘 – 후푸프 – 살와 구간은 완공 시 해안 도로(담맘 – 살와)로 대체될 예정. 유럽 국제 E-로드 네트워크의 유럽 고속도로 E90에 연결. |
40px | 아부다비 – 알-아인 – 알 부라이미 – 소하르 | |
40px | 알-아인 – 마지야드 – 하피트 – 니즈와 | |
40px | 하지 옴란 – 에르빌 – 모술 – 라비에 야루비아 – 카미실리 – 알레포 – 라타키아 | 아시아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AH2에 연결. |
40px | 알레포 – 데이르 에조르 – 알부 카말 알카임 – 라마디 | |
40px | 카미실리 – 하사카 – 데이르 에조르 – 호므스 – 타르투스 | |
40px | 하디사 – 아르아르 – 하파르 엘 바틴 – 아부 하드리야 | 석유 파이프라인 |
40px | 루트바 – 알-왈리드 탄프 – 다마스쿠스 – 제데예트 야부스 마스나 – 베이루트 | |
40px | 암만 – 아즈라크 – 오마리 하디사 – 사카카 – 하일 – 부라이다 – 리야드 – 알 카르지 | |
40px | 문타레야- 하나킨 – 바그다드 – 라마디 – 루트바 – 타라빌 카라마 – 알 아즈라크 – 암만 – 킹 후세인 다리 – 예루살렘 – 아슈도드 – 가자 – 라파 – 아리쉬 – 칸타라 다리 – 포트 사이드 – 알렉산드리아 – 아스 살룸 | 아시아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AH2 및 범아프리카 고속도로 노선 1에 연결. |
40px | 바브 알 하와 - 알레포 - 호므스 - 다마스쿠스 - 나시브 자베르 -알사르한 – 암만 – 케트라네 – 조로프 – 마안 – 알 무다와라 할라트 아마르 – 타부크 – 칼리바 – 메디나 – 메카 – 아브하 – 엘브 바킴 – 사나 – 타이즈 | |
40px | 마안 – 아카바 | |
40px | 바그다드 – 카르발라 – 알 누카이비 – 제데이다트 아르아르 제데이다트 아르아르 – 아르아르 – 사카카 – 칼리바 – 타부크 – 아드-두라 – 아카바 – 에일라트 – 누웨이바 – 네켈 – 샤트 – 카이로 | |
40px | 카삽 – 라타키아 – 타르투스 – 다부시예 아부디예 – 트리폴리 – 베이루트 – 나쿠라 | |
40px | 아리쉬 – 나켈 – 누웨이바 에일라트 아카바 – 아드-두라 – 두바 – 얀부 – 라비그 – 제다 – 다르브 – 앗 투왈 하라드 – 호데이다 – 알-무카 | |
40px | 두바 30px 사파가 – 케나 – 무트 | |
40px | 이스마일리아 – 수에즈 – 사파가 – 할라예브 | |
40px | 알-쿠웨이트 – 아스-살미 아르-루키 – 하파르 알 바틴 – 알 아르타위야 – 부라이다 – 메디나 – 얀부 | 이 노선에서 분기되어 아르타위야에서 주바일까지 동쪽으로 향하는 구간이 완공되면 추가될 예정. |
40px | 알렉산드리아 – 카이로 – 케나 – 아르킨 | |
40px | 마나마 -킹 파드 코즈웨이- 담맘 – 리야드 – 메카 – 제다 | |
40px | 도하 – 아부 삼라 아스 살와- 바타 – 하라드 – 알 카르지 – 술라일 – 아브하 – 아드-다르브 | |
40px | 툼라이트 – 마지우나 샤한 – 알 가이다 – 알-무칼라 – 아덴 – 타이즈 – 알-무카 |
노선 번호에서, 홀수는 남북 방향으로 뻗은 도로(주요 도로는 일의 자리가 5)이다.
3. 1. 1. M5
자코 - 모술 – 바그다드 – 사마와 – 바스라 – 사프완 압달리 – 쿠웨이트 시티 – 누와이세브 카프지 – 아부 하드리야 – 담맘 – 후푸프 – 살와 – 바타 – 알-구와이파트 – 아부다비 – 두바이 – 푸자이라 – 칼바 카트마트 말라하우 – 소하르 – 무스카트 – 니즈와 – 툼라이트 – 살랄라 구간이다. 담맘 – 후푸프 – 살와 구간은 완공 시 해안 도로(담맘 – 살와)로 대체될 예정이다. 유럽 국제 E-로드 네트워크의 유럽 고속도로 E90에 연결된다.3. 1. 2. M15
알레포 - 데이르 에조르 - 알부 카말 알카임 - 라마디3. 1. 3. M25
하디사 - 아르아르 - 하파르 엘 바틴 - 아부 하드리야를 연결하는 석유 파이프라인이다.3. 1. 4. M35
암만 – 아즈라크 – 오마리 하디사 – 사카카 – 하일 – 부라이다 – 리야드 – 알 카르지3. 1. 5. M45
바브 알 하와 - 알레포 - 호므스 - 다마스쿠스 - 나시브 자베르 -알사르한 – 암만 – 케트라네 – 조로프 – 마안 – 알 무다와라 할라트 아마르 – 타부크 – 칼리바 – 메디나 – 메카 – 아브하 – 엘브 바킴 – 사나 – 타이즈3. 1. 6. M47
마안 – 아카바3. 1. 7. M55
아리쉬 – 나켈 – 누웨이바 에일라트 아카바 – 아드-두라 – 두바 – 얀부 – 라비그 – 제다 – 다르브 – 앗 투왈 하라드 – 호데이다 – 알-무카3. 1. 8. M70
알-쿠웨이트 – 아스-살미 아르-루키 – 하파르 알 바틴 – 알 아르타위야 – 부라이다 – 메디나 – 얀부 이 노선에서 분기되어 아르타위야에서 주바일까지 동쪽으로 향하는 구간이 완공되면 추가될 예정이다.3. 1. 9. M75
알렉산드리아 – 카이로 – 케나 – 아르킨3. 1. 10. M100
하지 옴란 – 에르빌 – 모술 – 라비에 야루비아 – 카미실리 – 알레포 – 라타키아 구간이다. 아시아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AH2에 연결된다.3. 2. 동서 방향 노선
하지 옴란 – 에르빌 – 모술 – 라비에 야루비아 – 카미실리 – 알레포 – 라타키아 노선은 아시아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AH2에 연결된다.카미실리 - 하사카 - 데이르 에조르 - 호므스 - 타르투스를 연결하는 시리아 중부 도로이다.
루트바 – 알-왈리드 탄프 – 다마스쿠스 – 제데예트 야부스 마스나 – 베이루트
문타레야-하나킨 – 바그다드 – 라마디 – 루트바 – 타라빌 카라마 – 알 아즈라크 – 암만 – 킹 후세인 다리 – 예루살렘 – ''아슈도드'' – 가자 – 라파 – 아리쉬 – 칸타라 다리 – 포트 사이드 – 알렉산드리아 – 아스 살룸 구간이다. 아시아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AH2 및 범아프리카 고속도로 노선 1에 연결된다.
바그다드 - 카르발라 - 알 누카이비 - 제데이다트 아르아르 제데이다트 아르아르 - 아르아르 - 사카카 - 칼리바 - 타부크 - 아드-두라 - 아카바 ''– 에일라트 –'' 누웨이바 - 네켈 - 샤트 - 카이로
카삽 – 라타키아 – 타르투스 – 다부시예 아부디예 – 트리폴리 – 베이루트 – 나쿠라
이스마일리아 - 수에즈 - 사파가 - 할라예브를 잇는 도로이다.
마나마 -킹 파드 코즈웨이- 담맘 – 리야드 – 메카 – 제다
도하 – 아부 삼라 아스 살와- 바타 – 하라드 – 알 카르지 – 술라일 – 아브하 – 아드-다르브
3. 2. 1. M10
하지 옴란 – 에르빌 – 모술 – 라비에 야루비아 – 카미실리 – 알레포 – 라타키아 노선은 아시아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AH2에 연결된다.3. 2. 2. M20
카미실리 - 하사카 - 데이르 에조르 - 호므스 - 타르투스를 연결하는 시리아 중부 도로이다.3. 2. 3. M30
루트바 – 알-왈리드 탄프 – 다마스쿠스 – 제데예트 야부스 마스나 – 베이루트3. 2. 4. M40
문타레야-하나킨 – 바그다드 – 라마디 – 루트바 – 타라빌 카라마 – 알 아즈라크 – 암만 – 킹 후세인 다리 – 예루살렘 – ''아슈도드'' – 가자 – 라파 – 아리쉬 – 칸타라 다리 – 포트 사이드 – 알렉산드리아 – 아스 살룸 구간이다. 아시아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AH2 및 범아프리카 고속도로 노선 1에 연결된다.3. 2. 5. M50
바그다드 - 카르발라 - 알 누카이비 - 제데이다트 아르아르 제데이다트 아르아르 - 아르아르 - 사카카 - 칼리바 - 타부크 - 아드-두라 - 아카바 ''– 에일라트 –'' 누웨이바 - 네켈 - 샤트 - 카이로3. 2. 6. M51
카삽 – 라타키아 – 타르투스 – 다부시예 아부디예 – 트리폴리 – 베이루트 – 나쿠라3. 2. 7. M60
두바 사파가 – 케나 – 무트3. 2. 8. M65
이스마일리아 - 수에즈 - 사파가 - 할라예브를 잇는 도로이다.3. 2. 9. M80
마나마 -킹 파드 코즈웨이- 담맘 – 리야드 – 메카 – 제다3. 2. 10. M90
알-아인 – 니즈와 구간의 도로이다. 알-아인을 출발하여 마지야드 – 하피트를 거쳐 니즈와에 도달한다.4. 비판 및 논란
5.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문서
AGREEMENT ON INTERNATIONAL ROADS IN THE ARAB MASHREQ
https://treaties.un.[...]
[2]
웹사이트
Agreement on International Roads in the Arab Mashreq
https://www.unescwa.[...]
[3]
문서
AGREEMENT ON INTERNATIONAL ROADS IN THE ARAB MASHREQ
https://treaties.un.[...]
[4]
웹사이트
Agreement on International Roads in the Arab Mashreq
https://www.unescwa.[...]
[5]
문서
마슈리크는 시리아, 이라크, 요르단, 팔레스타인, 레바논, 이집트,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오만, 예멘 등이 이에 해당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