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팬아메리칸 하이웨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팬아메리카 하이웨이는 북미와 남미를 연결하는 범대륙 고속도로 시스템이다. 원래 철도로 구상되었으나, 1923년 범미주 회의에서 고속도로 건설이 제안되어 1937년 여러 국가 간 협약 체결을 통해 건설이 추진되었다. 이 도로는 다양한 기후대와 지형을 지나며, 일부 구간은 통행이 제한되기도 한다. 주요 구간은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로 나뉘며, 캐나다, 미국, 멕시코를 포함한 북부 구간과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칠레, 아르헨티나를 포함한 남부 구간으로 구성된다. 다리엔 갭으로 인해 파나마와 콜롬비아 사이는 미연결 상태이며, 지선으로 CANAMEX 회랑, 시몬 볼리바르 고속도로 등이 있다.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여행, 스포츠 등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과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 도로 - 유럽 고속도로
    유럽 고속도로는 1950년 최초의 E-도로 네트워크 정의를 시작으로, 1975년 유럽 협정을 통해 노선 번호 시스템을 설정하고 도로 표준을 개선했으며, 녹색 바탕에 흰색 숫자로 표지판을 표시하여 유럽, 중앙 아시아, 코카서스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 및 지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 국제 도로 - 범유럽 교통로
    범유럽 교통로는 유럽 대륙 내 교통 효율성 증진과 국가 간 연결성 강화를 목표로 도로, 철도, 수로 등 다양한 교통망을 구축하는 계획이다.
팬아메리칸 하이웨이

2. 역사

범아메리카 고속도로 구상은 원래 철도로 제안되었다. 1884년 미국 의회는 범미주 철도 시스템 건설 계획을 담은 법안을 통과시켰다.[3] 1903년 파나마가 독립하고 파나마 운하 공사가 시작된 후, 이 구상은 폐기되었다.[3]

철도 대신 고속도로를 건설하려는 구상은 1923년 제5차 범미주 회의에서 제기되었는데, 이는 자동차 및 기타 차량이 여객 및 화물 운송에서 철도를 대체하기 시작한 이후였다. 고속도로 건설과 관련된 첫 번째 회의는 1925년 10월 5일에 열렸다.

대공황 말기인 1937년 7월 29일,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 멕시코, 니카라과, 파나마, 페루, 캐나다, 미국은 '범미주 고속도로 협약'에 서명하여 모든 적절한 수단을 통해 신속한 건설을 달성하기로 합의했다.[4] 1950년, 멕시코는 고속도로 구간을 완공한 최초의 라틴 아메리카 국가가 되었다.[5]

범아메리카 고속도로 정비 구상은 1923년 칠레의 산티아고에서 개최된 제5회 미주 국제 회의에서 처음 제안되었다. 도로 정비를 위한 구체적인 조정의 장으로서 관계국을 멤버로 하는 범아메리카 고속도로 회의가 설치되어, 1925년 제1회 회의 이후 도로 정비 진척에 맞춰 부정기적으로 개최되어 왔다.

범아메리카 고속도로 회의 개최 연도와 개최 도시
횟수개최 연도개최 도시
제1회1925년부에노스아이레스
제4회1941년(불명)
제5회1944년(불명)
제8회1960년(불명)
제9회1963년워싱턴 D.C.
제11회1971년키토
제13회1979년카라카스
제14회1982년부에노스아이레스
제15회1986년멕시코시티
제_회1991년몬테비데오



각국의 도로 정비는 계획·건설에서 건설비에 이르기까지 미국이 대폭적인 지원을 하였으며, 특히 1940년대부터 1950년대에 걸쳐 그 정비가 대폭적으로 진행되었다.

1941년 미국 공병대가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하기 전까지 코스타리카와 파나마 사이에는 도로가 없었다.[1]

실현되지 않은 쿠바의 제안은 "카리브해 순환 도로"(circuito del Caribe)를 포함하는 것이었다. 이 계획은 고속도로를 멕시코 푸에르토후아레스 (칸쿤)까지 확장하고, 거기서 페리를 이용하여 쿠바 피나르델리오로 이동한 다음, 도로를 통해 아바나로 이동하고, 다시 페리를 이용하여 플로리다주 키웨스트와 오버시즈 하이웨이로 연결하는 것이었다.[2] 1959년 쿠바 혁명 이후 쿠바와 미국 간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이 프로젝트에 대한 논의는 중단되었다.

1946년 팬아메리카 고속도로 지도(미국 제외)

3. 특징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기존 도로들을 연결하여 네트워크화한 개념적인 도로이다. 각 국가 내에서는 해당 국가의 도로 명칭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예: 칠레 하이웨이 5호선) 캐나다미국 내 구간은 공식적인 정의가 내려진 적이 없어, 자료마다 경로가 다를 수 있다.

이 도로는 다양한 기후대와 지형, 국가를 통과하며, 도로의 규격과 상태는 구간별로 차이가 있다. 건기에만 통행 가능한 구간, 자연재해로 인한 통행 금지 구간, 치안 문제 등으로 통행이 어려운 구간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본선으로 여겨지는 루트는 알래스카주 페어뱅크스를 기점으로 북아메리카 대륙 서안에서 중서부를 거쳐 멕시코에서 중미로 빠져나와, 남아메리카 대륙의 서안을 거쳐 칠레의 산티아고에서 동쪽으로 루트를 바꿔 안데스 산맥을 횡단하여, 부에노스 아이레스로 이어진다.

4. 구간

팬아메리칸 하이웨이는 원래 철도로 제안되었던 구상이었다. 1884년 미국 의회는 범미주 철도 시스템 건설 계획 법안을 통과시켰고,[3] 1889년 제1차 범미주 회의에서 논의되었으나 건설은 시작되지 않았다. 1903년 파나마 독립과 운하 공사 시작 후 이 구상은 폐기되었다.[3]

1923년 제5차 범미주 회의에서 철도 대신 고속도로 건설 구상이 제기되었는데, 이는 자동차 등이 여객 및 화물 운송에서 철도를 대체하기 시작한 이후였다. 1925년 10월 5일 고속도로 건설 관련 첫 회의가 열렸다.

1937년 7월 29일, 대공황 말기에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 멕시코, 니카라과, 파나마, 페루, 캐나다, 미국은 '범미주 고속도로 협약'에 서명하여 신속한 건설을 합의했다.[4] 1950년, 멕시코는 고속도로 구간을 완공한 최초의 라틴 아메리카 국가가 되었다.[5]

미국에서는 알래스카를 제외하고 범미주 고속도로의 미국 구간으로 지정되거나 표시된 단일 노선은 없다. 그러나 25번 주간 고속도로는 뉴멕시코, 콜로라도 등 일부 주에서 범미주 고속도로로 표시되어 있다. 연방 교통부에 따르면,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이 미국의 고속도로 구간이다. 캐나다에서는 고속도로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고속도로의 상당 부분이 Vía Panames 또는 Vía Panamericanaes로 표시되어 있다.

북부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중앙 아메리카를 포함하여 14개 국가를 통과한다.[6] 남부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5개 국가를 통과하며, 볼리비아,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는 중요한 지선들을 통해 연결된다.

범아메리카 고속도로 통과 국가
북부 구간남부 구간
|



4. 1. 북아메리카 구간

팬아메리칸 하이웨이의 북아메리카 구간은 알래스카에서 시작하여 캐나다, 미국, 멕시코를 거쳐 중앙아메리카의 파나마까지 이어진다.

전체 루트 중 알래스카의 페어뱅크스에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의 도슨 크릭까지의 구간은 알래스카 고속도로로, 멕시코에서 파나마까지의 구간은 인터아메리카 고속도로로 불린다.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의 공식적인 기점은 미국-멕시코 국경 지대에 있으며, 그중에서도 텍사스주 라레도 또는 멕시코 측 누에보 라레도가 주로 언급된다. 라레도에서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85호선이 멕시코시티까지 이어지며, 멕시코시티에서는 190호선을 통해 과테말라 국경까지 연결된다. 과테말라부터는 중앙아메리카 고속도로 1호선(CA-1)으로 명칭이 바뀌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코스타리카를 거쳐 파나마 동부의 카니타까지 이어진다. 공식적으로 카니타가 북부 구간의 종점이지만, 실제로는 약 180km 남쪽의 야비사까지 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북부 구간의 주요 통과 도시는 다음과 같다. (단, 캐나다와 미국은 공식적인 본선이 특정되지 않아 일부 도시만 열거한다.)

북아메리카 구간 주요 통과 도시
국가주요 도시
미국 (알래스카)페어뱅크스
캐나다화이트호스, 도슨 크릭, 밴쿠버, 위니펙
미국시애틀, 포틀랜드,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샌디에이고, 노갈레스, 오클라호마시티, 라레도
멕시코누에보 라레도, 몬테레이, 멕시코시티, 오아하카
과테말라과테말라 시티
엘살바도르산살바도르
온두라스테구시갈파
니카라과마나과
코스타리카산호세
파나마파나마 시티, 카니타


4. 1. 1. 알래스카

알래스카 고속도로는 알래스카, 유콘, 브리티시컬럼비아를 지나며, 일반적으로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의 북쪽 연장선으로 간주된다. 이는 알래스카의 달튼 고속도로를 통해 더 북쪽으로 이어진다. 이 경로를 따라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프루도 베이, 데드호스 근처의 알래스카에서 시작된다.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경로는 달튼 고속도로 (알래스카 11번 국도)를 따라가다가 페어뱅크스 근처에서 알래스카 2번 국도, 즉 알래스카 고속도로의 알래스카 구간으로 변경된다. 페어뱅크스에서 경로는 알래스카 2번 국도를 따라 노스웨이 남동쪽의 캐나다-미국 국경과 테틀린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 인근까지 이어진다.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의 기점으로 간주되는 곳은 알래스카의 페어뱅크스이다. 그곳에서 캐나다의 유콘 준주,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등을 거쳐 미국 서부 해안(또는 중서부)을 통과하고, 더 나아가 멕시코와 중앙 아메리카 제국을 거쳐 파나마에 이른다. 전체 루트 중, 특히 페어뱅크스에서 캐나다의 브리티시컬럼비아 주(도슨 크릭)까지의 부분을 "알래스카 고속도로"라고 부른다.

북아메리카를 통과하는 범아메리카 고속도로 노선

4. 1. 2. 캐나다

캐나다에서는 특정 도로가 공식적으로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로 지정되지 않았다.[1] 국도 시스템은 캐나다 횡단 고속도로를 포함하지만, 캐나다의 유일한 공식적인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은 아니다.[1] 그러나 여러 캐나다 고속도로는 캐나다-미국 국경에 닿는 여러 주요 미국 고속도로의 자연스러운 연장선이다.[1]

브리티시컬럼비아주 97번 고속도로와 앨버타주 2번 고속도로는 알래스카 고속도로의 남쪽 종점이 끝나는 지점에서 시작된다.[1] 97번 고속도로는 캐나다-미국 국경에서 미국 97번 국도가 된다.[1] 브리티시컬럼비아주 99번 고속도로는 캐시 크릭 바로 북쪽에서 97번 고속도로에서 분기되는 대체 경로를 제공하며, 휘슬러밴쿠버를 통과하여 워싱턴주의 5번 주간 고속도로 북쪽 종점에서 캐나다-미국 국경에 도달하며, 이는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남쪽의 공식적인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의 시작점이다.[1] 한편, 앨버타주 2번 고속도로는 남쪽과 동쪽으로 앨버타주 3번 고속도로로 연결되어 레드브릿지로 이어지며, 그 후 앨버타주 4번 고속도로를 따라 남쪽으로 캐나다-미국 국경까지 연결되며, 이곳에서 몬태나주의 15번 주간 고속도로가 된다.[1] 이는 앨버타주 노선 남쪽의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의 첫 번째 공식 구간이며, 두 노선 모두 CANAMEX 복도의 일부이기도 하다.[1]

B.C. 하이웨이 97번 이후, 비공식 노선은 앨버타 하이웨이 43이 된다.[1] 약 7.2km 지점에서, 하이웨이 43은 첫 번째 정착지인 데밋(Demmitt)에 진입한다.[1] 약 75km 동안 하이웨이 43은 그랜드 프레리로 이어진다.[1] 클레어몬트에서 하이웨이 43은 앨버타 하이웨이 2로 꺾여 좌회전한다.[1] 하이웨이 43은 에드먼턴에 도달하기 전 455km를 지난다.[1] 비공식 노선은 두 갈래로 나뉘는데, 한 갈래는 로이드민스터, 미니애폴리스, 댈러스로 이어져 두 번째 갈래와 합류한다.[1] 두 번째 갈래는 캘거리와 미국 국경으로 이어진다.[1]

4. 1. 3. 미국

1966년, 미국 연방 고속도로청은 전체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을 범아메리카 고속도로 시스템의 일부로 지정했지만,[9][10] 이는 어떤 공식적인 주간 고속도로 표지판에도 명시되지 않았다. 이 매우 포괄적인 시스템을 구성하는 많은 고속도로 중에서, 주로 남북 방향을 따르고 주요 멕시코 노선 및 그 지선, 그리고 알래스카 고속도로와 연결되는 캐나다의 주요 노선과의 연결 때문에 몇몇 노선이 주목할 만하다.

다음은 이러한 노선에 포함된다.

  • 주간 고속도로 5번은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에서 워싱턴주 블레인까지 북쪽으로 뻗어 있으며, 이후 캐나다-미국 국경 북쪽의 브리티시컬럼비아주 고속도로 99번과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같은 주간 고속도로와 미국 국도 97번 시스템 간의 기술적으로 직접적인 연결은 캘리포니아주 위드 근처에서 찾을 수 있다. 미국 국도 97번은 이 분기점에서 북동쪽으로, 그리고 북쪽으로 오리건주와 워싱턴주를 통과하며, 캐나다와의 국경에서 브리티시컬럼비아주 고속도로 97번이 된다.
  • 주간 고속도로 15번은 샌디에고와 앨버타주 고속도로 2번을 연결하며, 앨버타주 고속도로 2번은 결국 브리티시컬럼비아주로 진입하여 알래스카 고속도로의 남쪽 종점에서 끝난다. 주간 고속도로 8번은 샌디에고에서 애리조나주 피닉스 근처의 주간 고속도로 10번까지 동서 연결을 제공한다. 후자는 투손까지 이어지며, 노갈레스 국경 검문소에서 멕시코를 통과하는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의 지선이 되는 주간 고속도로 19번과 연결된다.
  • 주간 고속도로 25번은 뉴멕시코주 라스크루세스에 있는 주간 고속도로 10번에서 출발하여 와이오밍주 버펄로에 있는 주간 고속도로 90번까지 북쪽으로 뻗어 있다. 이 노선은 캐나다로 직접 연장되지 않지만 주간 고속도로 15번과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뉴멕시코주 앨버커키의 주간 고속도로 25번은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로 명명되었으며,[11] 이는 멕시코시티 북쪽 85번 고속도로를 따라 있는 원래 노선까지 엘파소와 연결하는 멕시코 지선인 45번 고속도로의 연장선이다.[12] I-25의 이 부분은 대체로 역사적인 카미노 레알 데 티에라 아덴트로를 따르고 있으며, 따라서 범아메리카 시스템의 문화적으로 중요한 부분을 담당한다. I-15와 마찬가지로 주간 고속도로 25번의 전체 경로는 앨버타로 향하는 공식적인 북쪽 연장이며, 여기에서 2번 고속도로는 알래스카 고속도로와 직접적이지만 비공식적인 캐나다 연결을 제공한다.
  • 주간 고속도로 35번은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85번을 따르는 원래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의 북쪽 연장선이다. 텍사스주 라레도에서 미네소타주 둘루스 북쪽의 캐나다-미국 국경까지 뻗어 있으며, 매니토바주 위니펙 방향으로 더 서쪽으로 이어지는 지선인 주간 고속도로 29번이 있다.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 있는 주간 고속도로 35번 구간은 현지인들이 "팬 암 익스프레스웨이"라고 부른다. I-35는 멕시코 고속도로 85번의 북쪽 연장선으로, 멕시코의 원래 공식 노선이며, 미네소타주 둘루스에서 끝나며, 여기서 미네소타주 고속도로 61번이 온타리오주 썬더베이 근처의 캐나다-미국 국경까지 이어진다. 이 노선은 1932년 미국 의회에 제출된 법안에서 처음 제안되었다. 캐나다 횡단 고속도로는 위니펙과 썬더베이에서 앨버타와 알래스카 고속도로까지 연결을 제공하지만, 공식적으로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의 일부는 아니다.
  • 미국 국도 81번은 캔자스주 위치타에서 사우스다코타주 워터타운까지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의 일부로 간주되며, 여기서 주간 고속도로 29번과 별도로 운행된다.
  • 부분적으로만 완성된 추가 노선은 주간 고속도로 69번으로, 라레도 누에보 라레도 국경 검문소에서 캐나다의 윈저-퀘벡 시티 회랑까지 북동쪽으로 뻗어 있으며, 이 노선은 비공식적인 노선이 된다.


몇몇 북미 노선들은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명칭을 가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일부 구간이 완전한 고속도로 표준에 미치지 못하는 고속도로를 따르기 때문이다.

  • CANAMEX 회랑은 멕시코시티에서 애리조나에서 몬태나에 이르는 미국 서부까지 지정되어 있으며,[13] 캐나다 서부까지 북쪽으로 이어진다. 캐나다에서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에 대한 공식적인 지위는 없지만, 이는 캐나다, 미국, 멕시코를 통과하여 알래스카 고속도로와 멕시코시티의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유일한 공식 북미 고속도로이다. 미국의 남서부의 해당 범아메리카 노선과 달리, Canamex 고속도로는 라스베이거스의 I-15에서 피닉스의 I-10까지 여러 비주간 고속도로를 사용하여 노갈레스 국경 검문소에서 I-15로 접근하는 교통을 위한 지름길을 제공함으로써 샌디에고를 우회한다.
  • CanAm 고속도로는 엘파소에서 미국 국도 85번을 따라 콜로라도의 덴버 북쪽까지, 그리고 캐나다 서스캐처원 주로 이어지며, 지방 고속도로 35, 39, 6, 3, 2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따라 라 롱지에서 종착한다. 이 노선은 1920년대에 처음 제안되었지만 제대로 홍보되거나 개발되지 않았다. 서스캐처원 남부의 CanAm 구간은 포장도로가 아닌 상태로 악화되었다.[14]
  • NAFTA 슈퍼고속도로라는 태그는 텍사스주 라레도에서 캐나다 국경까지의 주간 고속도로 35호선과 관련하여 비공식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곳에서 고속도로가 아닌 노선으로 강등되어 온타리오주 썬더 베이에서 끝난다. 스퍼는 주간 고속도로 29호선을 따라 국경까지 이어지며, 이곳에서도 위니펙으로 뻗어 있는 간선 고속도로로 강등된다. NAFTA 고속도로는 때때로 비공식적으로 주간 고속도로 69호선을 포함하며, 이는 켄터키 서부에서 미시간주 포트 휴런의 캐나다-미국 국경까지 대부분 완공되었다. 캐나다에서는 온타리오 고속도로 402번 및 윈저-퀘벡 시티 회랑의 다른 고속도로가 이 버전의 NAFTA 슈퍼고속도로의 북동쪽 연장선으로 간주될 수 있다. 남서쪽으로는 켄터키 서부에서 멕시코 국경까지 아직 완공된 단일 슈퍼고속도로는 없다. I-69가 완공될 때까지 멕시코로 연결되는 주요 고속도로는 켄터키에서 테네시 서부까지 미국 국도 45번과 51번의 일부, 미주리로 들어가는 I-155, 미주리에서 아칸소까지 주간 고속도로 55번과 40번의 일부, I-30을 따라 텍사스에서 라레도의 멕시코 국경까지 이어지는 I-35 구간을 따른다. 켄터키 남쪽에서 완공될 I-69 구간은 결국 텍사스 걸프 해안까지 남서쪽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는 라레도를 통해 멕시코로 이어지는 원래의 범아메리카 노선으로 연결되는 스퍼와 파, 브라운스빌에서 국경을 넘는 멕시코 스퍼로 뻗어 있는 추가 지선이 있을 것이다.

4. 1. 4. 멕시코

멕시코 내에서 팬아메리칸 하이웨이는 인터아메리카 고속도로로 불리며, 타마울리파스주 누에보 라레도에서 시작하여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85호선을 따라 멕시코시티까지 이어진다.[15] 멕시코시티에서 과테말라 국경까지는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190호선을 따른다.[17][18][19]

멕시코시티 남쪽으로는 쿠에르나바카를 지나 푸에블라주를 통해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190호선을 따라 동쪽으로 향한다. 오악사카주 우아후아판 데 레온에서 주도 오악사카까지 약 140km이다. 오악사카 시에서 멕시코 고속도로 190호선으로 약 230km 떨어진 후치탄 데 사라고사까지 동남쪽으로 계속 이어진다. 치아파스주와 고속도로가 대륙 분할대를 통과하는 국경까지는 90km 더 된다. 오악사카-치아파스 주 경계에서 치아파스 주도 툭스틀라 구티에레스까지는 160km이다. 그 후 고속도로는 과테말라-멕시코 국경의 치아파스주 시우다드 아우테목에서 국경을 넘는다.

본선 외에도 멕시코 내에는 여러 지선이 있다.

  • 노갈레스 지선: 애리조나주 노갈레스에서 멕시코시티까지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15호선을 따른다.
  • 엘파소 지선: 텍사스주 엘파소에서 멕시코시티까지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45호선을 따른다.
  • 이글 패스 지선: 텍사스주 이글 패스에서 멕시코시티까지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57호선을 따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 파 지선: 몬테레이에서 타마울리파스주 레이노사까지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40호선을 따른다.
  • 브라운즈빌 지선: 시우다드 빅토리아에서 타마울리파스주 마타모로스까지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101호선을 따른다.

4. 1. 5. 중앙 아메리카

과테말라에서 파나마까지는 중앙 아메리카 고속도로 1호선 (CA-1)으로 지정되어 있다.[1]

thumb 치말테낭고의 범아메리카 고속도로.]]

다비드, 치리키 주의 범아메리카 고속도로

  • '''과테말라'''

: 과테말라로 진입하면 멕시코 고속도로 190번은 중앙 아메리카 고속도로 1번이 되며, 국경 마을인 라 메실라에서 마야 문명 유적 근처의 웨웨테낭고 시까지 약 80km 이어진다.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다시 대륙 분할대를 지나 시에라 데 로스 쿠추마타네스 산맥으로 들어간다.

: 웨웨테낭고에서 치말테낭고까지는 대략 160km이며, 테크판 과테말라 바로 북쪽에 이심체에 마야 유적이 있다. 치말테낭고에서 중앙 아메리카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인 과테말라 시티까지는 약 35km에서 40km이다.

: 과테말라 시티에서 쿠일라파까지는 약 50km이며, 후티아파까지는 55km이다. 고속도로는 CA 고속도로 1번으로 계속 이어지며 과테말라-엘살바도르 국경에 접근한다. 산 크리스토발 프론테라의 국경 통과 지점까지는 50km이다.

: 과테말라에서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과테말라 시티를 통과하는 과테말라 주를 포함하여 10개의 과테말라의 행정 구역을 통과한다.

  • '''엘살바도르'''

: 엘살바도르는 팬아메리칸 하이웨이 노선 상에서 면적이 가장 작은 국가이다. 칸델라리아 데 라 프론테라에서 엘살바도르로 진입한 후,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중앙아메리카 고속도로 1번 노선으로 산타 아나 방향으로 이어진다. 국경에서 산타 아나까지는 약 13km이다.

: 산타 아나에서 산살바도르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까지는 약 45km이다. 누에바 산살바도르에서 고속도로는 산살바도르 화산 근처를 지난다.

: 산살바도르에서 코후테페케까지는 약 15km이며, 고속도로를 따라 남동쪽으로 산 미겔까지는 약 65km이다. 산 미겔에서 엘살바도르-온두라스 국경까지는 약 30km이다.

: 엘살바도르에서 고속도로는 또한 산타 테클라, 안티구오 쿠스카틀란, 산 마르틴 도시들을 통과한다.

  • '''온두라스'''

: 이 도로는 나카오메 근처의 엘 아마티요에서 온두라스 국경을 통과한다. 나카오메를 지나면 온두라스의 수도인 테구시갈파로 가는 고속도로가 북쪽으로 뻗어 있다. 남쪽으로 가면 온두라스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인 촐루테카까지 이어진다. 촐루테카에서 산 마르코스 데 콜론을 지나 국경까지 이어진다.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의 온두라스 내 총 길이는 약 148km이다.

  • '''니카라과'''

: 온두라스에서 니카라과의 엘 에스피노를 지나 소모토, 에스텔리, 세바코, 마나과, 히노테페, 리바스를 거쳐 코스타리카의 페냐스 블랑카스에서 코스타리카로 진입한다.

: 온두라스-니카라과 국경을 지나 고속도로는 중앙아메리카 고속도로 1번으로 이어져 오코탈 마을까지 약 42km이다. 오코탈에서 에스텔리까지는 약 58km이며, 세바코 마을까지는 약 46km이다. 이 지점에서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동남쪽에서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세바코에서 15km 떨어진 시우다드 다리오로 향한다. 시우다드 다리오에서 산 베니토 마을까지는 55km이다.

: 산 베니토에서 니카라과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인 마나과까지는 약 38km이며, 마나과 호수 기슭에 위치해 있다. 마나과에서 남쪽으로 히노테페 마을까지는 약 50km이며, 히노테페에서 리바스 마을까지는 약 70km이다. 이 지역 주변에서 고속도로는 중앙 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호수인 니카라과 호수가 보인다. 리바스에서 니카라과-코스타리카 국경까지는 약 35km이다.

  • '''코스타리카'''

: 코스타리카에서,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Carretera Interamericanaes(인터아메리카 고속도로)로 알려져 있으며, 국도 1호 (1번 국도)와 국도 2호 (2번 국도)의 두 구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이 도로는 리베리아, 산호세, 카르타고, 페레즈 셀레돈, 팔마레스, 네일리를 지나 파소 카노아스에서 파나마로 넘어간다.

: 범아메리카 고속도로 전체 구간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세로 데 라 무에르테 (죽음의 언덕)로, 카레테라 인터아메리카나 수르 구간에 위치하며, 해발 3335m이다.

: 대도시권과 세로 데 라 무에르테를 통과하지 않는 대륙 횡단 버스와 화물 운송에 사용되는 대체 경로는, 푼타레나스 칸톤의 23번 국도를 1번 국도에서 타고, 27번 국도와 34번 국도를 거쳐 오사 칸톤의 2번 국도를 이용하는 것이다.

: 코스타리카에 진입한 후, 고속도로는 서쪽의 산타 로사 국립공원과 동쪽의 과나카스테 국립공원 두 국립공원을 구분한다. 니카라과-코스타리카 국경에서 리베리아 마을까지는 약 76.8km이다. 코스타리카 지역에서,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과나카스테 산맥의 바로 서쪽을 지난다. 이 산맥에는 활화산인 린콘 데 라 비에하와 미라바예스가 포함된다. 산호세 북쪽의 코스타리카를 지나는 동안 고속도로 경로는 CA 고속도로 1번 대신 코스타리카 1번 고속도로로 알려져 있다. 산호세에서 파나마 남쪽까지 고속도로 경로는 코스타리카 2번 고속도로로 알려져 있다.[22]

: 리베리아에서 바랑카 마을까지는 120km이며, 바랑카에서 틸라란 산맥을 인터아메리카 고속도로에서 볼 수 있다. 틸라란 산맥에는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화산 중 하나인 아레날이 포함되어 있다. 바랑카에서 고속도로는 산을 넘어 대륙 분기점을 다시 지나 동쪽으로 향한다. 바랑카에서 알라후엘라 마을까지는 약 77km이다.

: 알라후엘라를 지나면 센트럴 산맥이 인터아메리카 고속도로에서 보인다. 센트럴 산맥에는 포아스, 바르바, 이라수, 투리알바의 네 개의 큰 화산이 포함되어 있다. 알라후엘라에서 산호세까지는 약 15km이다.

: 산호세는 코스타리카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이다. 산호세를 떠나 인터아메리카 고속도로는 대략 남동쪽으로 굽이쳐 흐른다. 산호세에서 산 이시드로 데 엘 제네랄까지는 약 136km이다.

: 산 이시드로에서 탈라만카 산맥이 열대 우림 캐노피에서 솟아오른다. 비화산성인 탈라만카 산맥에는 코스타리카에서 가장 높은 산봉우리인 해발 3820m의 세로 치리포가 포함되어 있다. 산 이시드로에서 팔마르 수르까지는 약 122km이며, 팔마르 수르에서 코스타리카-파나마 국경까지는 약 91.9km이다.

  • '''파나마'''

: 코스타리카-파나마 국경에서 라 콘셉시온 마을까지는 약 20km이며, 라 콘셉시온에서 다비드 시까지는 약 25km이다. 이 고속도로는 일반적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며 파나마로 들어선다.

: 치리키 주의 주도인 다비드는 페드레갈 마을과 치리키 만에서 북쪽으로 약 8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다비드에서 고속도로는 동쪽으로 약 90km 떨어진 톨레로 이어진다. 톨레에서 산티아고 마을까지는 약 80km이며, 산티아고로 가는 중간 지점에서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산 파블로 강을 건넌다.

: 산티아고에서 아구아둘세까지는 약 61km이며, 이곳에서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열대 저지대로 다시 진입한다. 아구아둘세에서 페노노메까지는 약 48km이다. 이 구간의 고속도로는 산타 마리아 강을 건너간다.

: 페노노메에서 고속도로는 남동쪽으로 이동한 다음 북동쪽으로 이동하고, 파나마 중부 산맥으로 진입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대략 북쪽으로 루프를 그리며 이동한다. 페노노메에서 라 초레라까지는 약 100km이다. 라 초레라에서 파나마 시티 바로 서쪽에 위치한 발보아까지는 약 25km에 불과하다.

: 파나마 시티는 파나마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다. 시내로 진입하기 전에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센테니얼 다리를 통해 파나마 운하를 건넌다. 파나마 시티에서 고속도로는 북동쪽으로 방향을 튼다. 파나마 시티에서 체포까지는 약 55km이며, 체포에서 카니타까지는 25km이다.

: 카니타 마을에는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의 북부 노선의 옛 종점이 있다. 고속도로는 카니타를 지나 177km 떨어진 야비자 마을까지 이어진다. 야비자는 투이라 강과 추쿠나케 강이 만나는 지점 근처에 있는 마을이다. 이곳이 범아메리카 고속도로가 공식적으로 끝나는 지점이다. 이곳의 남동쪽에는 사실상 통과할 수 없는 다리엔 갭이 있으며, 험준한 산악 정글 지형으로 100km 뻗어 있다. 현재는 피노가나까지 6km 연장되고 있으며, 추쿠나케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가 건설될 예정이다.[23] 이 도로는 이전에는 파나마의 카니타에서 끝났으며, 현재 종점에서 북쪽으로 177km 떨어져 있었다.

: 미국 정부 자금은 미국이 운하를 관리하던 시절에 아메리카 대교를 파나마 운하 위에 건설하는 데 특히 중요했다.

4. 2. 남아메리카 구간



남아메리카 구간은 콜롬비아에서 시작하여 에콰도르, 페루, 칠레를 거쳐 아르헨티나까지 이어진다. 주요 경유 도시는 다음과 같다.

국가주요 도시
콜롬비아메데인, 보고타, 무리요, 칼리, 파스토
에콰도르키토, 쿠엔카
페루피우라, 치클라요, 트루히요, 친보테, 리마, 나스카, 아레키파, 타크나
칠레아리카, 안토파가스타, 라 세레나, 코킴보, 산티아고
아르헨티나멘도사, 산 루이스, 부에노스아이레스, 바이아 블랑카, 비에드마, 트레레우, 코모도로 리바다비아, 리오 가예고스, 우수아이아



thumb]]

콜롬비아 북서부에서 시작하는 남쪽 구간은 콜롬비아 고속도로 52호선을 따라 메데인까지 이어진다. 메데인에서 54호선을 통해 보고타로 연결되지만, 더 짧은 11호선이 우회로 역할을 한다. 보고타에서 72호선이 무리요에서 11호선과 합류하고, 에콰도르 국경까지 이어진다. 에콰도르에서는 에콰도르 고속도로 35호선으로 이름이 바뀌어 페루 국경까지 이어진다.

페루에서는 페루 고속도로 1호선을 따라 리마나스카를 지나 칠레 국경까지 이어진다. 고속도로 건설로 인해 지상 그림 일부가 파괴되기도 했다. 칠레 국경부터는 칠레 고속도로 5호선을 따라 산티아고 북부까지 이어진 후, 칠레 고속도로 60호선으로 진입하여 아르헨티나 국경을 넘어 아르헨티나 고속도로 7호선으로 부에노스아이레스까지 이어진다.

부에노스아이레스가 종점으로 여겨졌으나, 최근 도로 건설로 아르헨티나 고속도로 3호선이 티에라델푸에고우수아이아까지 연결되어 새로운 종점이 되었다. 우수아이아에는 "알래스카까지 17,848km"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4. 2. 1. 콜롬비아와 베네수엘라

팬아메리칸 하이웨이의 남쪽 구간은 콜롬비아 투르보에서 시작하여 콜롬비아 62번 고속도로를 따라 메데인까지 이어진다. 시몬 볼리바르 고속도로는 보고타에서 라 과이라까지 이어지며, 콜롬비아 고속도로 55번과 66번, 베네수엘라 고속도로 1번과 9번을 이용한다.[31]

시몬 볼리바르 고속도로는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베네수엘라 라 과이라까지 이어지는 경로이다. 이 도로는 콜롬비아 고속도로 55번과 66번을 거쳐 베네수엘라 국경까지 이어진다. 국경을 넘으면 베네수엘라 고속도로 1번을 통해 카라카스까지 연결되고, 베네수엘라 고속도로 9번을 따라 라 과이라에서 끝난다.

베네수엘라 고속도로 9번은 구리아에서 끝나는데, 이곳은 수크레 주의 작은 마을로, 트리니다드 토바고 서쪽 파리아 만 해안에 위치한다. 구리아에서 서쪽으로 76km 떨어진 야구아라파로 마을까지 이어진다.

야구아라파로에서 고속도로 9번은 서쪽으로 약 83km 떨어진 카사나이와 판토뇨 마을까지 이어진다. 카사나이에서는 남북 주요 고속도로인 베네수엘라 고속도로 10번과 교차한다. 카사나이와 인접한 판토뇨에서 서쪽으로 계속 이어져 카리아코 분지를 따라간다. 비야 프론타도에서는 모나가스 주로 이어지는 2차 고속도로 2번과 교차한다. 카사나이에서 쿠마나까지의 거리는 약 90km이다. 쿠마나에서 남서쪽으로 약 65km 떨어진 안소아테기 주와의 경계까지 이어진다.

안소아테기 주에 들어서면 거의 바로 바르셀로나시에 진입한다. 바르셀로나와 인근 푸에르토 라 크루스에서 서쪽으로 계속 이동한다. 약 47km 동안은 고속도로였다가, 푸에르토 피리투에서 다시 2차선 고속도로로 바뀐다. 62km 더 이동하여 미란다 주 경계인 보카 데 우치레 마을에 도달한다. 이 구간에는 베네수엘라 사바나인 ''야노스''를 통과하는 짧은 구간이 포함되어 있다.

보카 데 우치레에서 서쪽으로 약 34km 떨어진 지점에서 고속도로는 안데스 산맥의 중앙 산맥을 올라간다. 고속도로 9번은 여기서 시작하여 카리브해 해안선에서 더 멀리 이동한다. 보카 데 우치레에서 엘 과포까지의 거리는 65km이고, 엘 과포에서 카우카과까지는 59km가 더해진다.

카우카과에서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베네수엘라 고속도로 12번을 가로지른다. 고속도로 9번은 중앙 산맥을 통과하여 계속된다. 약 21km를 지나면 고속도로는 카라카스 수도권과 베네수엘라 연방구를 향해 서쪽으로 32km 동안 제한 출입 고속도로가 된다.

마라카이는 베네수엘라 중부에 위치한 아라과 주의 주도이다. 1701년 3월 5일 디에고 데 바뇨스 이 소토마요르 주교에 의해 북부 베네수엘라의 토코피오와 타파타파 계곡(현재 아라과 중부 계곡으로 알려진 곳)에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마라카이에서 고속도로는 산 호아킨을 지나고 쿠아카라 근처를 지나 발렌시아까지 약 44km 연장된다.

발렌시아는 카라보보 주의 주도이다. 발렌시아에서 고속도로는 북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코리아노 시스템의 일부인 산을 통과한다. 발렌시아와 카리브해에 있는 작은 마을인 엘 팔리토 사이의 거리는 약 40km이다. 엘 팔리토에서 도로는 10km 동안 베네수엘라 고속도로 3번과 합류한 다음, 모론에서 갈라진다. 모론에서 야라쿠이 주와의 주 경계와 구아레말 마을까지의 거리는 약 20km이다.

구아레말에서 산 펠리페까지의 거리는 약 26km이다. 이 도시는 고속도로 1번 인근에 위치해 있다. 이 도로는 산 펠리페에서 라라 주와의 주 경계(캄부랄 마을을 지난 곳에 위치)까지 73km 이어진다. 주 경계에서 바르키시메토까지의 거리는 약 16km이다.

바르키시메토에서 고속도로 1번은 대략 서쪽으로 계속 이어지다가, 아구아 살라다 부근에서 남서쪽으로 147km를 지나 엘 엠페드라도 부근의 트루히요 주 경계까지 이어진다.

트루히요 주에 들어서면(파라하 마을 근처)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남서쪽 방향으로 계속 이어진다. 이 도로는 트루히요 주도 시내를 통과하지 않고, 주 고속도로 3번과 1번을 통해 트루히요로 연결된다. 이 주에서의 고속도로 길이는 약 111km이다.

고속도로는 아라푸에이 근처에서 메리다 주에 들어선다. 트루히요와 마찬가지로, 고속도로는 주요 인구 밀집 지역을 통과하지 않으며, 가장 큰 곳은 메리다이다. 고속도로 1번은 88km에 달하는 메리다 주 고속도로 4번을 통해 메리다로 연결된다. 고속도로는 메리다에서 104km를 덮는다.

타치라 주에 진입하면 고속도로는 주 경계에서 베네수엘라 고속도로 6번과의 교차로까지 약 58km 연장된다. 교차로에서 산 크리스토발시까지의 거리는 44km이지만, 이 구간을 따라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와 평행하게 달리는 별도의 고속도로가 있다. 산 크리스토발에서 산 안토니오 데 타치라 근처의 베네수엘라-콜롬비아 국경까지의 거리는 32km이다.

4. 2. 2. 페루, 에콰도르 및 칠레

에콰도르 35번 고속도로는 에콰도르 전역을 통과한다. "Troncal de la Sierra"(고산 도로)라고도 불리는 이 도로는 에콰도르인들에게 "La Panamericana"로 널리 알려져 있다.[32] 툴칸 (콜롬비아 국경)에서 시작하여 수도인 키토를 거쳐 페루와의 남쪽 국경까지 시에라 지역의 도시와 마을을 연결한다. 일부 구간은 민간 사업자인 Panavial이 관리하는 유료 도로이다. 도로 상태는 매우 양호하지만 대부분 산을 통과하며, 카냐르 주 (국가 중심) 주변에 일부 열악한 구간이 있어 운전하기가 상당히 위험하다.

에콰도르 구간은 카르치 주의 콜롬비아 국경에서 시작하여 툴칸으로 이어진다. 툴칸에서 남쪽으로 125km를 달리면 이바라에 도착하고, 이바라에서 다시 남쪽으로 115km를 달리면 키토에 도착한다. 키토에서 남쪽으로 89km 지점에 라타쿵가가 있다.

라타쿵가에서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남쪽으로 47km를 달려 암바토에 도착하고, 암바토에서 다시 남쪽으로 52km를 달리면 리오밤바에 도착한다. 아소게스는 카냐르 주의 수도이다. 아소게스에서 도로는 1995년에 건설된 6차선(북쪽 3차선, 남쪽 3차선) 도로로 넓어져 쿠엥카까지 이어진다.

쿠엥카 북쪽에서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아베니다 시르쿤발라시온 수르(Avenue South Ring)라는 이름으로 남쪽으로 빠져나가다가, 2009년에 확장된 2차선(북쪽 1차선, 남쪽 1차선) 도로로 좁아져 로하에 도착한다.

페루 1번 고속도로는 페루 전역을 통과하여 칠레 국경까지 이어진다. 북쪽 종점은 에콰도르 국경의 아구아스 베르데스 (툼베스 지방)이다. 이 지점부터 수도 리마 중심부까지는 "Carretera Panamericana Norte"(북부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로 불린다.

리마에서 남쪽으로는 "Carretera Panamericana Sur"(남부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라고 불리며, 타크나에서 남쪽으로 36km 떨어진 산타 로사 국경 검문소 (타크나 지방)를 통해 칠레 국경까지 이어진다.

리마에서 카녜테까지는 148km이다.

칠레에서 고속도로는 칠레 5번 국도를 따라 산티아고 북쪽의 라이라이까지 남쪽으로 향한다. 여기서 고속도로는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하나는 칠레 영토를 지나 푸에르토몬트까지 이어지며, 다시 칠로에 섬의 케욘과 "Carretera Austral"로 갈라진다. 다른 하나는 칠레 60번 국도를 따라 동쪽으로 이동하여 안데스 산맥을 지나 파소 인터나시오날 로스 리베르타도레스 내의 그리스도 구세주 터널로 이어진다. 칠레-아르헨티나 국경은 터널 중간에 있다.[32]

4. 2. 3. 아르헨티나 및 파라과이

아르헨티나에서 아르헨티나 국도 7호선은 그리스도 구세주 터널에서 시작하여 부에노스아이레스까지 이어진다.[33]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파라과이 아순시온으로 향하는 지선은 아르헨티나 국도 9호선을 따라가다 로사리오에서 아르헨티나 국도 11호선으로 바뀌어 파라과이 국경을 통과한다.

4. 2. 4. 브라질 및 우루과이

팬아메리카 고속도로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페리를 이용하여 우루과이 콜로니아를 거쳐 브라질상파울루리우데자네이루로 연결된다. 우루과이 1번 국도를 통해 몬테비데오로 이어진다. 이후 우루과이 9번 국도와 브라질 471번 국도를 통해 펠로타스 인근까지 연결되며, 여기서 브라질 116번 국도를 통해 브라질 주요 도시로 연결된다.

4. 3. 다리엔 갭

다리엔 갭 지도, 파나마의 야비자에서 콜롬비아의 투르보 사이의 범아메리카 고속도로 단절 지점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파나마와 콜롬비아 사이에서 약 106km 길이의 다리엔 갭(Darién Gap)이라고 알려진 습지대로 인해 단절되어 있다.[23] 고속도로는 콜롬비아 투르보와 파나마 야비자에서 끝난다. 늪, 습지, 강으로 인해 건설 비용이 매우 많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도보로 건널 수는 있지만, 매우 어렵고 위험하다.

수십 년 동안 범아메리카 고속도로의 단절 구간을 연결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여러 문제로 인해 논란이 되어왔다. 1971년 미국 자금 지원을 받아 건설 계획이 시작되었으나,[24] 환경 운동가들의 우려로 인해 1974년에 중단되었다. 1992년에 도로 건설을 위한 또 다른 노력이 시작되었지만, 1994년 유엔 기구는 도로와 그에 따른 개발이 광범위한 환경 피해를 일으킬 것이라고 보고했다. 엠베라-우나안과 쿠나 역시 도로 건설로 인해 그들의 문화가 잠재적으로 침식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다리엔 갭은 수년 동안 모험가들에게 도전 과제였다. 1962년에는 세 대의 쉐보레 코르베어 후방 엔진 자동차와 두 대의 지원 트럭으로 구성된 탐험대가 시카고에서 출발하여 콜롬비아 국경까지의 여정을 완주했다.[25] 1971년부터 1972년까지 알래스카에서 아르헨티나까지 가는 영국 탐험대가 두 대의 표준 생산 레인지 로버를 사용하여 다리엔 갭 통과를 시도했으며, 랜드로버 팀이 지원했다. 그들은 극심한 지형을 헤쳐 나가는 데 간신히 성공했다.[26] 1979년에는 마크 스미스가 이끄는 팀이 표준 생산 CJ7 모델 지프를 몰고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동하여 다리엔 갭을 어렵게 통과했다.[27] 1984년에는 로렌 업턴과 패티 업턴이 1966년 지프 CJ-5 '샌드쉽 디스커버리'를 사용하여 다리엔 갭을 처음으로 "모든 육로" 차량으로 횡단했다. 다리엔 갭의 생존하기 힘든 정글을 헤쳐나가기 위해 몇 달 동안 험난한 여정을 거치고, 윈치를 사용하고, 땅을 파는 작업을 해야 했다.[28][29]

다리엔 갭을 연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콜롬비아에서 파나마의 새로운 페리 항구까지 짧은 페리 연결[30]과 기존 파나마 고속도로의 연장을 통해 환경 문제를 최소화하며 고속도로를 완성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서비스를 운영하려는 과거의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

다리엔 갭은 중남미에서 가장 다양한 식물상을 가진 지역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다리엔 국립공원(파나마), 로스 카티오스 국립공원(콜롬비아)은 세계유산에 등록되어 있다. 또한 엠베라(Embera)족, 우난(Wounaan)족, 쿠나(Kuna)족 등 몇몇 원주민이 숲에 의존한 생활을 하고 있어, 열대 우림 보호와 원주민의 생활 보호 관점에서 도로 건설에 반대하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한다.

그 외에도, 열대성 질환과 구제역의 북미 지역 침입 예방, 파나마로의 콜롬비아인 불법 이민 증가 억제 등도 도로 건설 반대의 이유로 꼽힌다.

5. 지선

멕시코를 통과하는 팬아메리칸 하이웨이는 멕시코시티에서 여러 갈래로 나뉘어 미국 국경까지 이어진다. 주요 경로는 다음과 같다.


  • 노갈레스 지선: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15호선을 따라 멕시코시티에서 애리조나주 노갈레스까지 이어진다.
  • 엘파소 지선: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45호선을 따라 멕시코시티 북쪽에서 치와와주 시우다드 후아레스까지 이어진다.
  • 이글 패스 지선: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57호선을 따라 멕시코시티에서 코아우일라주 피에드라스 네그라스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 파 지선: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40호선을 따라 몬테레이에서 타마울리파스주 레이노사까지 이어진다.
  • 브라운즈빌 지선: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101호선을 따라 시우다드 빅토리아에서 타마울리파스주 마타모로스까지 이어진다.


멕시코시티에서 과테말라 국경까지는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190호선을 따른다.[17][18][19]

서인도 제도를 팬아메리칸 하이웨이 시스템에 포함시키려는 계획도 논의되었다. 이 계획은 페리 시스템을 통해 고속도로 종착점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쿠바, 아이티, 도미니카 공화국, 푸에르토리코를 연결하고, 쿠바 서쪽 끝에서 유카탄 반도까지 페리를 포함하는 구상이었다.

6. 문화적 영향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여행, 문학, 음악 등 다양한 문화 영역에 영감을 주었다. 여행 작가 팀 케이힐은 아르헨티나 티에라델푸에고우수아이아에서 미국 알래스카 주 프루도 베이까지 전문 장거리 운전자 개리 소어비와 함께 24일 만에 운전하여 기록을 세운 여정에 대한 책, 『로드 피버』를 썼다.[34]

영국의 자동차 쇼 ''탑 기어''에서는 진행자들이 볼리비아 스페셜에서 오프로드 차량으로 도로의 한 구간을 운전하기도 했다.

범아메리카 고속도로는 장거리 자동차 경주, 사이클링 등 스포츠 기록 경신의 무대가 되기도 한다. 2003년, 장거리 라이딩 선수인 케빈 샌더스는 34일 만에 오토바이로 고속도로를 가장 빨리 횡단하여 기네스 세계 기록을 깼다.[35]

2018년, 영국의 사이클 선수 딘 스토트는 110일 만에 아메리카 대륙을 횡단할 계획이었으나, 해리 왕자와 메건 마클의 결혼식에 초대받아 일정을 앞당겨 100일 미만으로 완주하여 2015년 멕시코의 카를로스 산타마리아 코바루비아의 기록을 17일 앞당겼다.[36][37] 그러나 스토트의 기록은 두 달 만에 오스트리아의 지구력 사이클 선수 미하엘 슈트라서가 84일 11시간 50분(2018년 7월 23일 – 10월 16일) 만에 완주하며 깨졌다.[38][39]

2024년에는 미국의 지구력 사이클 선수 본드 알만드 4세가 75일 17시간 55분(2024년 8월 31일 – 11월 15일)의 기록으로 슈트라서의 기록을 경신했다.[40][41]

참조

[1] 뉴스 The birth of the Pan-American Highway in Costa Rica https://ticotimes.ne[...] 2021-11-19
[2] 서적 La Carretera Panamericana y el circuito del Caribe: Pinar del Río, puente de América: conferencia pronunciada en la sesión celebrada por el Club de Leones de la Habana, en el Hotel Sevilla, el martes 15 de septiembre de 1953 none
[3] 서적 Hot spot: Latin America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2008
[4] 문서 Text of the Convention http://treaties.un.o[...]
[5] 간행물 Highway Run 2006-07
[6] 웹사이트 Where does the Pan-American Highway start and finish? How long is it? https://en.as.com/la[...] 2023-04-11
[7] 웹사이트 Yukon road map http://www.hpw.gov.y[...] 2017-08-06
[8] 웹사이트 Road map of British Columbia http://www.hellobc.c[...] 2017-08-06
[9] 서적 American Motorist https://books.google[...]
[10] 서적 State of New Mexico Memorial Designations and Dedications of Highways, Structures and Buildings http://www.nmshtd.st[...]
[11] 서적 Albuquerque Remembere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2013-02-13
[12] 웹사이트 Datos Viales de Hidalgo http://dgst.sct.gob.[...] Dirección General de Servicios Técnicos, Secretaría de Comunicaciones y Transportes 2012-01-26
[13] 웹사이트 Federal Definition http://www.canamex.o[...] Canamex coalition
[14] 뉴스 'Super corridor' theories simply updated old idea http://www.canada.co[...] 2008-04-15
[15] 간행물 The opening of the Pan American Highway. Tourism and stereotypes between Mexico and United States http://www.scielo.or[...] 2017-08
[16] 웹사이트 Road Tips http://www.go-paname[...] Pan-American Highway
[17] 웹사이트 Datos Viales de Puebla http://dgst.sct.gob.[...] Dirección General de Servicios Técnicos, Secretaría de Comunicaciones y Transportes 2012-03-29
[18] 웹사이트 Cruce fronterizo vehicular formal: Ciudad Cuauhtémoc, México — La Mesilla, Guatemala http://portal.sre.go[...] Comisión Internacional de Límites y Aguas, Secretaría de Relaciones Exteriores 2012-04-06
[19] 웹사이트 República de Guatemala – Red Vial con Distancias http://www.siinsan.g[...] Instituto Geografico National (IGN); Ministerio de Comunicaciones Infraestructura y Vivienda (CIV) 2012-04-09
[20] 간행물 "La carrera de la muerte": Death, Driving, and Rituals of Modernization in 1950s Mexico https://www.utexaspr[...] 2011-06
[21] 간행물 British Honduras 1917
[2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transito.[...] 2010-06-26
[23] 웹사이트 Construcción de la nueva carretera de Yaviza a Pinogana alcanza un 16% de avance https://www.metrolib[...]
[24] 웹사이트 Linking the Americas: Progress and Problems of the Darien Gap Highway https://www.gao.gov/[...] 2024-02-15
[25] Youtube Daring The Darien https://www.youtube.[...] 2016-02-21
[26] 웹사이트 Range Rover Darien Gap - Range Rover Classic http://www.range-rov[...] 2017-12-08
[27] Youtube The Greatest Jeep Adventure Ever! Mark Smith & The Darien Gap - Dirt Every Day Ep. 39 https://www.youtube.[...] 2015-05-12
[28] 웹사이트 Romantic High Adventure Expeditions http://www.outbackof[...] 2021-02-19
[29] 웹사이트 Roadless Jungle, Irate Kunas and Guerrilla Encounters - Darien Gap Expedition https://adventurerid[...]
[30] 웹사이트 The Coming Era of Mega Systems, Part 1 – Transportation http://www.futurists[...] 2014-12-16
[31] Google maps Membrillo, Darién Province https://www.google.c[...] 2024-08-11
[32] 문서 Source: Atlas Caminero de Chile
[33] 웹사이트 Pan-American Highway – MSN Encarta http://encarta.msn.c[...] 2008-09-19
[34] 서적 Road Fever https://archive.org/[...] Vintage
[35] 뉴스 How to have a real adventure: Take a train or get on a bike to experience the thrill of travel as it used to be https://www.independ[...] 2010-08-03
[36] 웹사이트 Special Forces soldier breaks record for cycling the Pan-American Highway https://www.guinness[...] 2018-06-05
[37] 뉴스 British cyclist smashes Pan American Highway record after learning of royal wedding invitation https://road.cc/cont[...] 2018-10-02
[38] 웹사이트 Fastest cycle journey of the Pan-American Highway https://www.guinness[...] 2020-11-19
[39] 웹사이트 The Austrian endurance rider set a new world record in 2018 when he cycled 22,642km from Alaska to Patagonia in 84 days. Here are all the need-to-know facts, figures and quotes from his big journey. https://www.redbull.[...] 2020-11-19
[40] 웹사이트 Pan-American Finish: Ushuaia, Argentina https://www.strava.c[...] 2024-11-15
[41] 웹사이트 Bond Almand bicycle trip progress https://www.google.c[...] 2024-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