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스테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티스테네스는 기원전 446년경에 태어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견유학파의 선구자로 여겨진다. 그는 윤리학, 논리학, 자연 철학, 언어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사상을 펼쳤으며, 덕을 최고의 선으로 여기고 쾌락을 경계하는 금욕적인 삶을 강조했다. 안티스테네스는 유명론을 주장하며 플라톤의 이데아를 비판했고, 자연에는 유일신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그의 사상은 제자들에게 이어져 견유학파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디오게네스와 같은 철학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65년 사망 - 프톨레마이오스 1세 (마케도니아)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기원전 4세기 마케도니아의 인물로, 알렉산드로스 2세를 암살하고 권력을 장악했으나, 페르디카스 3세에 의해 살해당했다. - 키니코스 철학자 - 테베의 크라테스
테베의 크라테스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막대한 재산을 포기하고 금욕적인 삶을 살았으며, 제논의 스승이자 스토아 철학 형성에 영향을 미쳤고, 히파르키아와 결혼하여 부부 간의 평등을 실천했다. - 키니코스 철학자 - 메가라의 텔레스
메가라의 텔레스는 기원전 3세기경 메가라에서 활동하며 이전 철학자들과 견유학을 가르친 철학자로, 그의 강연 발췌본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키니코스 강론으로서 헬레니즘 세계에 대한 통찰과 소크라테스, 디오게네스, 그리고 여러 철학자들의 작품 단편을 보존하고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소크라테스의 학생 - 플라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테네에 아카데메이아를 설립하여 철학, 수학 등을 가르치고 이데아론, 영혼론 등을 주요 사상으로 삼아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 소크라테스의 학생 - 알키비아데스
알키비아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활약한 고대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뛰어난 능력과 파란만장한 생애로 인해 논쟁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 안티스테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안티스테네스 |
| 로마자 표기 | Antisthenes |
| 그리스어 | Ἀντισθένης |
| 그리스어 발음 | an.tis.tʰén.ε:s |
| 생애 | |
| 출생 | 기원전 446년경, 아테네 |
| 사망 | 기원전 366년경 (약 80세), 아테네 |
| 철학 | |
| 분야 | 서양 철학 |
| 시대 | 고대 그리스 철학 |
| 주요 관심사 | 금욕주의 윤리학 언어 문학 논리학 |
| 학파 | 견유학파 |
| 주요 사상 | 견유학파 철학의 기초를 세움 지시 대상과 의미 구분 |
| 영향 받음 | 소크라테스, 고르기아스 |
| 영향 줌 | 시노페의 디오게네스 테베의 크라테스 견유학파 스토아 학파 |
2. 생애
안티스테네스는 기원전 446년경 아테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아테네인이었으나 어머니는 트라키아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5][35] 젊은 시절 타나그라 전투(기원전 426년)에 참전했으며, 처음에는 소피스트 고르기아스 등에게 수사학을 배웠으나 이후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어 그의 사상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12][36] 그는 소크라테스의 가르침을 듣기 위해 매일 피레우스에서 아테네까지 먼 거리를 걸어 다닐 정도로 열정적이었으며,[12][38] 스승이 죽음을 맞이할 때도 곁을 지켰다.[8]
소크라테스 사후, 안티스테네스는 아테네 교외의 키노사르게스 체육관에서 자신의 학파를 열었다.[12][37] 그는 소크라테스가 강조한 덕을 중시하며 청빈하고 소박한 삶을 강조하고 실천했으며, 이러한 가르침은 많은 이들, 특히 가난한 계층의 지지를 받았다.[12][39] 그의 상징적인 복장은 소매 없는 망토와 지팡이, 그리고 지갑(혹은 자루)이었다.[12][39]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에 따르면 안티스테네스는 10권에 달하는 저서를 남겼으나 현재는 단편들만 전해진다.[12] 그는 주로 대화 형식을 사용했으며, 그의 글 중 일부는 알키비아데스, 고르기아스, 플라톤과 같은 동시대 인물들을 날카롭게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3] 그의 문체는 명료하고 우아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14] 키케로는 그를 "배움보다 지성이 뛰어난 인물"이라고 평했다.[15] 안티스테네스는 상당한 재치와 풍자 감각을 지녔으며 말장난을 즐겼다고 전해진다. 예를 들어, 그는 아첨꾼(κόλακες|콜라케스grc)에게 먹히느니 차라리 까마귀(κόρακες|코라케스grc)에게 먹히는 것이 낫다고 말했는데, 까마귀는 죽은 자를 먹지만 아첨꾼은 산 자를 먹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들었다. 그의 별명은 '개(犬)'를 의미하는 ἁπλοκύων|하플로키온grc이었다.[16][17][18]
그는 기원전 371년 레욱트라 전투 이후에도 생존했으며,[9] 기원전 365년경 약 80세의 나이로 아테네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안티스테네스는 기원전 446년경 아테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아테네인이었으나, 어머니는 트라키아 출신으로 여겨진다.[5][35] 일설에는 어머니가 프리게아 출신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안티스테네스 자신이 완전한 아테네 시민이 아니라는 비난에 대해 "신들의 어머니(키벨레)도 프리기아인이다"라고 응수한 것에서 비롯된 이야기로 보인다.[6][7]젊은 시절에는 기원전 426년에 벌어진 타나그라 전투에 참전한 경험이 있다. 교육 초기에는 유명한 소피스트인 고르기아스에게 배웠으며,[12] 히피아스, 프로디코스 등 다른 소피스트들에게서도 수사학 등을 배운 것으로 전해진다.[36]
이후 그는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는데, 스승의 가르침에 매우 열정적이어서 매일 피라이우스 항구에서 아테네까지 약 9km 거리를 걸어 통학하며 가르침을 들었고, 친구들에게도 함께 갈 것을 권유했다고 한다.[12][38] 안티스테네스는 소크라테스가 죽음을 맞이할 때 그의 곁을 지켰으며,[8] 스승을 박해한 이들을 용서하지 않고 그들이 처벌받도록 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2. 소크라테스와의 관계
소크라테스의 영향을 받기 전에는 고르기아스나 히피아스, 프로디코스와 같은 소피스트들에게서 수사학 등을 배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36] 이후 그는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다. 안티스테네스는 소크라테스의 가르침을 듣기 위해 매일 피라이우스 항구에서 아테네까지 약 9km의 거리를 걸어 다닐 정도로 열정적이었으며, 친구들에게도 함께 갈 것을 권유했다.[12][38]안티스테네스는 소크라테스가 강조한 덕의 개념을 깊이 받아들였고, 스승이 처형될 때 그의 곁을 지켰다.[8] 그는 소크라테스를 박해했던 이들을 용서하지 않았으며, 그들이 처벌받는 데 일조했다고 전해진다.
안티스테네스는 청빈한 삶을 추구하여 소매 없는 외투 한 벌과 지팡이, 자루만을 지니고 다녔다. 그의 추종자들도 이러한 복장을 따라 했으나, 소크라테스는 이를 다소 과시적인 행동으로 보고 "오 안티스테네스여, 내게는 외투 틈새로 너의 자만심이 보인다"라고 지적하기도 했다.[39]
2. 3. 키노사르게스 학파
소크라테스의 제자였던 안티스테네스는 스승의 가르침, 특히 덕(德)에 대한 강조를 이어받아 자신만의 학파를 열었다. 그는 아테네 교외에 위치한 키노사르게스(Κυνόσαργες)를 중심으로 활동했는데, 이곳은 외국인 어머니를 둔 아테네 시민들이 이용하던 체육관이었으며 헤라클레스 신전 근처에 있었다.[12][37] 안티스테네스 자신도 트라키아 출신 어머니를 두었기에[5][35] 이곳을 활동지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그는 소피스트에게서 배운 수사학보다는 소크라테스처럼 철학적 탐구와 실천을 중시했다.[36] 특히 청빈(淸貧)을 숭상하고 물질적 욕망에서 벗어난 단순한 삶을 강조했으며, 이러한 그의 사상과 생활 방식은 가난한 계층의 지지를 받았다.[12][39] 안티스테네스는 소매 없는 망토 한 벌을 걸치고 지팡이와 지갑(혹은 자루) 하나만을 소지하고 다녔으며, 이는 그의 추종자들의 상징적인 복장이 되었다.[12][39] 하지만 이러한 모습이 때로는 과시적으로 비춰지기도 하여, 스승 소크라테스로부터 "오 안티스테네스여, 내게는 외투 틈새로 너의 자만심이 보인다"라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39]
안티스테네스는 '개(犬)'를 의미하는 ἁπλοκύων|하플로키온grc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는데,[16][17][18] 이는 그가 주로 활동했던 장소인 키노사르게스('흰 개' 또는 '재빠른 개'라는 의미와 연관될 수 있음)나 그의 거침없고 소박한 생활 방식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별명은 이후 그의 학파를 견유학파(犬儒學派, Cynicism)라고 부르는 기원이 되었다.
다른 철학자들의 평가는 다소 엇갈린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를 교양이 부족하고 단순하다고 평했으며, 플라톤은 그의 변증법적 논의가 미흡하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는 당시 학파 간의 경쟁 의식 속에서 다소 부정적으로 표현되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반면, 후대의 스토아 철학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자신의 저서 『명상록』에서 안티스테네스를 언급하며 "선행을 하면서 검소하게 사는 것은 훌륭하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2. 4. 말년과 죽음
그는 레욱트라 전투 (기원전 371년) 이후에도 생존했으며, 이 전투에서 테베가 거둔 승리를 학생들이 스승을 때리는 것에 비유했다고 전해진다.[9] 에우도키아 마크렘볼리티사는 그가 70세에 사망했다고 기록했지만,[10] 실제로는 기원전 366년에도 생존했던 것으로 보이며,[11] 기원전 365년경 아테네에서 약 80세의 나이로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 철학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따르면 안티스테네스는 총 10권의 저작을 남겼으며, 주로 윤리학을 중심으로 언어 철학이나 자연 철학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고 한다.[41] 그는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대화편 형식을 선호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 그의 저작은 대부분 소실되고 일부 단편만이 전해지고 있어, 그의 사상 전체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른다.[42] 그의 철학은 이후 견유학파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1. 윤리학: 덕과 자족
안티스테네스는 자신의 자족적인 삶의 태도를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나는 내가 배고프지 않을 만큼, 목마르지 않을 만큼 가졌다. 벗지 않을 만큼 입었다. 밖에 있을 때는 저 부자 칼리아스보다도 더 떨지 않고 안락하다. 안에 있을 때는 따듯한데 왜 옷이 필요한가?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는 그의 저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에서 안티스테네스가 주로 다룬 윤리적 주제들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그는 덕은 가르칠 수 있으며, 고귀함은 오직 덕이 있는 사람에게만 속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덕은 정신력만 있다면 행복을 보장하기에 충분하며, 많은 말이나 배움보다는 행위를 통해 실현된다고 보았다. 현자는 스스로 만족하며 살아가고, 다른 사람의 모든 재산을 자신의 것으로 여길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심지어 악명이나 고통조차 좋은 것으로 간주했으며, 현자는 사회의 법규보다는 덕의 법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혼에 대해서는 가장 아름다운 여성과 결합하여 자녀를 얻으려 할 것이며, 사랑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왜냐하면 오직 현자만이 사랑받을 가치가 있는 사람을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안티스테네스는 스승 소크라테스로부터 덕이 삶의 궁극적인 목적이며 쾌락이 아니라는 핵심적인 윤리 원칙을 받아들였다. 그는 현명한 사람의 모든 행동은 완전한 덕과 일치한다고 말했으며, 쾌락은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명백한 악이라고 여겼다. 그는 고통[19]과 악명(ἀδοξία|아독시아el)까지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고 전해지며, "나는 쾌락을 느끼느니 차라리 미쳐버리겠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가 모든 종류의 쾌락을 부정했다기보다는, 감각적이거나 인위적인 욕구 충족에서 오는 쾌락만을 비판했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그는 "자신의 영혼으로부터" 우러나오는 쾌락[20]이나 현명하게 선택된 우정에서 오는 즐거움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안티스테네스에게 최고의 선은 덕에 따라 사는 삶이었다. 덕은 행동을 통해 이루어지며, 한번 체득하면 결코 잃어버리지 않고 현명한 사람을 오류로부터 지켜준다고 보았다. 덕은 이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실제로 행동으로 나타나 행복을 이루기 위해서는 '소크라테스의 힘'(Σωκρατικὴ ἱσχύς|소크라티케 히스퀴스el)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따르면 안티스테네스는 윤리학을 중심으로 언어 철학이나 자연 철학에 관한 내용까지 포함하여 총 10권의 저서를 남겼다고 한다.[41] 그는 생각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대화편 형식을 선호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현재는 그의 저작 중 일부 단편만이 남아 있어 그의 사상 전체를 명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렵다.[42]
3. 2. 논리학: 유명론과 보편자 문제
논리학 분야에서 안티스테네스는 보편자 문제를 깊이 고민했다. 그는 대표적인 유명론자로, 어떤 것을 정의하거나 설명하는 것은 거짓이거나 동어 반복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개별 사물은 그냥 그 자체일 뿐이며, 예를 들어 '은이 색깔 면에서 주석과 같다'는 식의 속성에 대한 설명 이상의 의미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23] 이런 관점에서 그는 플라톤이 제시한 이데아 이론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안티스테네스는 "말은 볼 수 있지만, 말다움은 볼 수 없다"고 말하며, 개별적인 것만 실재하고 보편적인 개념(이데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았다.[24] 그에게 정의란 단지 동일한 것을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예를 들어 "나무는 식물성 성장물이다"라는 정의는 논리적으로 "나무는 나무이다"라고 말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했다.3. 3. 자연철학: 유일신론
안티스테네스는 그의 자연 철학에 대한 저서(Physicus|피시쿠스lat)에서 신의 본성에 관한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믿는 여러 신들과 달리,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신은 오직 하나뿐이라고 주장하며 유일신론적 관점을 보였다.[21] 또한, 이 유일한 신은 지상의 어떤 존재와도 닮지 않았기 때문에, 어떠한 표현이나 형태로도 파악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22]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따르면 안티스테네스는 윤리학을 중심으로 언어 철학이나 자연 철학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고 한다.[41]3. 4. 언어 철학: 의미와 지시체
안티스테네스는 "발화의 의미에 부합할 수 있는 일반적인 대상"과 "외연적 지시의 특정한 대상"을 구별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그가 의미와 지시체를 구별했음을 시사한다.[25] 이 주장의 주요 근거는 알렉산드로스 아프로디시아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토피카'에 대해 쓴 논평에 나오는 다음 세 가지 구별이다.[26]# 의미론적 매개체, δι' ὧν λέγουσι|grc
# 의미론적 매개체 외부에 있는 대상, περὶ οὗ λέγουσιν|grc
# 사물의 직접적인 지시, σημαίνειν … τὸ …|grc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따르면 안티스테네스는 윤리학을 중심으로 언어 철학이나 자연 철학에 관한 저술을 남겼으며,[41] 서술 형식으로는 대화편을 선호했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는 그 저작들의 단편만이 남아있기 때문에 그의 사상, 특히 언어 철학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명확히 알기에는 어려움이 있다.[42]
4. 견유학파와의 관계
후대에 안티스테네스는 견유학(Cynicism)의 창시자로 여겨졌지만, 그가 이 용어를 직접 사용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한 세대 뒤의 아리스토텔레스는 안티스테네스[27]와 그의 추종자들을 "안티스테네스 학파"[23]라고 여러 번 언급했지만, 견유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다.[28]
시노페의 디오게네스가 안티스테네스의 제자이자 충실한 추종자였다는 이야기가 널리 퍼져 있지만,[29] 두 사람이 실제로 만났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기원전 350년에서 340년 사이에 제작된 시노페의 훼손된 동전을 근거로, 디오게네스가 안티스테네스가 사망한 후에야 아테네로 이주했다고 주장한다.[30] 또한, 안티스테네스와 디오게네스를 연결하는 이야기는 스토아 학파가 소크라테스에서 제논으로 이어지는 철학적 계보를 만들기 위해 안티스테네스, 디오게네스, 크라테스를 거쳐 의도적으로 만들어낸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31] 이 계보는 스토아 학파에게 매우 중요했다.[32] 반면, 다른 학자들은 동전 증거가 결정적이지 않으며 디오게네스가 기원전 340년 이전에 아테네로 왔을 수도 있다고 반박한다.[33] 디오게네스가 시노페에서 추방되기 전에 아테네를 방문하여 안티스테네스를 만났을 가능성도 제기된다.[30]
분명한 것은 안티스테네스가 엄격한 금욕주의 생활 방식을 실천했으며,[34] 디오게네스를 비롯한 후대의 견유학파 철학자들에게 큰 영감을 준 여러 철학적 원리를 발전시켰다는 점이다. 그는 후대 견유학파가 발전시킨 사상의 기초를 마련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5. 저작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따르면 안티스테네스의 저작은 총 10권에 달하며, 주로 윤리학을 중심으로 언어 철학이나 자연 철학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고 한다.[41] 그러나 현재는 그의 저작 중 일부 단편만이 남아있어, 그의 사상을 명확하게 파악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42] 그는 글을 쓸 때 대화편 형식을 선호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평가와 영향
아리스토텔레스는 안티스테네스를 무교양하고 단순하다고 평가했으며, 플라톤은 그가 변증법의 어려움에 대해 헛된 노력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악평은 학파 간의 경쟁에 의해 적어도 어느 정도는 각색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스토아 철학의 입장에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그의 저서 『명상록』에서 안티스테네스를 언급하며 "선행을 하면서 검소하게 사는 것은 훌륭하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의 저서 『정치학』에서 안티스테네스가 남긴 것으로 보이는 토끼와 사자의 우화를 인용하기도 했다.[40]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따르면 안티스테네스의 저작은 10권에 달하며, 주로 윤리학을 중심으로 언어 철학이나 자연 철학에 대해서도 논했다고 한다.[41] 그는 서술 형식으로 대화편을 선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는 그의 저작 대부분이 소실되고 단편적인 부분만 남아 있어, 그의 사상 전체를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42]
7. 경구
안티스테네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내가 배고프지 않을 만큼, 목마르지 않을 만큼 가졌다. 벗지 않을 만큼 입었다. 밖에 있을 때는 저 부자 칼리아스보다도 더 떨지 않고 안락하다. 안에 있을 때는 따듯한데 왜 옷이 필요한가?
참조
[1]
서적
"Antisthenes' Portrayal of Socrates" from "Brill's Companion to the Reception of Socrates"
Brill
2019
[2]
서적
"Antisthenes' Portrayal of Socrates" from "Brill's Companion to the Reception of Socrates"
Brill
2019
[3]
서적
Cambridge English Pronouncing Dictiona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P
[4]
서적
"Antisthenes' Portrayal of Socrates" from "Brill's Companion to the Reception of Socrates"
Brill
2019
[5]
문서
Suda, Antisthenes
[6]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 Antisthenes
http://www.perseus.t[...]
2021-08-10
[7]
웹사이트
CYBELE (Kybele) - Phrygian Goddess, Mother of the Gods
https://www.theoi.co[...]
2021-08-10
[8]
문서
Phaedo
[9]
문서
Lycurgus
[10]
문서
Violarium
[11]
문서
Diodorus Siculus
[12]
간행물
Antisthenes
[13]
문서
Athenaeus
[14]
문서
Athenaeus
[15]
인용
"Κῦρος δ᾽, ε᾽ mihi sic placuit ut cetera Antisthenis, hominis acuti magis quam eruditi"
[16]
journal
Review of LE. Navia - Antisthenes of Athens: Setting the World Aright
http://bmcr.brynmawr[...]
2017-08-06
[17]
서적
The Ancient World: Dictionary of World Biography
Routledge
[18]
서적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
문서
Oration
[20]
문서
Symposium
[21]
문서
De Natura Deorum
[22]
문서
Stromata
[23]
문서
Metaphysics
[24]
문서
in Arist. Cat.
[25]
서적
Antisthenes of Athens: Texts, Translations, and Commentar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6]
문서
[27]
문서
Metaphysics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Diogenes the Cynic
[33]
문서
Diogenes the Cynic
[34]
문서
Symposium
[35]
서적
ギリシア文化史2
筑摩学芸文庫
[36]
서적
ギリシア哲学者列伝(中)
岩波文庫
[37]
서적
ギリシア宗教発展の五段階
岩波文庫
[38]
서적
ギリシア哲学者列伝(中)
岩波文庫
[39]
서적
ギリシア哲学者列伝(中)
岩波文庫
[40]
서적
政治学
岩波文庫
[41]
서적
ギリシア哲学者列伝(中)
岩波文庫
[42]
서적
ソークラテースの思い出
岩波文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