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마으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마으문은 9세기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이다. 하룬 알 라시드의 아들로 태어나, 형 아민과의 내전에서 승리하여 칼리프가 되었다. 그는 학문과 과학을 장려하여 바그다드에 지혜의 집을 설립하고, 고대 문헌 번역을 지원했다. 또한 천문학, 수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발전을 이끌었다. 종교적으로는 무타질라 신학을 지지하며, 쿠란 창조설을 주장하고 미흐나(종교 재판)를 시행했다. 알마으문은 비잔틴 제국과의 교류를 통해 학문을 발전시키고, 이집트 원정을 수행했다. 833년 타르수스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 제국은 혼란에 빠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33년 사망 - 이븐 히샴
    이븐 히샴은 이븐 이스하크의 《시라투 라술리 르-라》를 편집하여 《알 시라 안나바위야》라는 무함마드 전기를 저술하고, 《히미야르 왕들의 왕관의 서》에 대한 해설을 저술한 문법학자이자 언어 및 역사 연구가이다.
  • 이라크계 이란인 - 모센 아라키
    모센 아라키는 이라크 나자프 출신의 이슬람 학자로, 나자프와 콤의 이슬람 학교에서 수학하고 아랍어, 영어, 페르시아어에 능통하며 12권의 책을 저술했고, 런던에서 이란 최고 지도자의 대변인과 영국 이슬람 센터의 장을 역임했다.
  • 이란계 이라크인 - 이븐 할리칸
    이븐 할리칸은 에르빌 출신의 법학자, 신학자, 문법학자로, 여러 도시에서 학업을 이어가며 이집트와 다마스쿠스에서 판사직을 역임했고, 역사적, 문학적 가치를 지닌 《저명한 인물들의 사망과 관련된 보고서와 시대의 소식》을 저술했다.
  • 이란계 이라크인 - 아부 마흐디 알무한디스
    아부 마흐디 알무한디스는 이라크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이슬람 다와당 가입 후 사담 후세인 정권의 탄압을 피해 이란으로 망명, 쿠웨이트 폭탄 테러의 주범으로 지목되기도 했으며, 이라크 전쟁 이후 귀국하여 인민동원군 부사령관을 맡았으나 미군의 공습으로 사망했다.
알마으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바스 칼리파 알마으문의 동전
알마으문의 금화 (830/1년 이집트에서 주조)
칭호칼리프
신도의 사령관
전체 이름아부 알-압바스 아브드 알라 알마으문 이븐 하룬 알라시드
가문아바스 왕조
종교무타질리 이슬람
출생일786년 9월 14일
출생지바그다드, 아바스 칼리파국
사망일833년 8월 7일
사망지타르수스, 아바스 칼리파국 (현재 메르신 주, 튀르키예)
매장지타르수스 대모스크
통치
즉위813년 9월 27일
퇴위833년 8월 7일
이전 통치자알아민
다음 통치자알무타심
가족 관계
아버지하룬 알라시드
어머니움 압달라 마라질
배우자움 이사 빈트 무사 알하디
부란 빈트 알하산 이븐 사흘
순두스
아리브
비다
무니사
타트리프
바달

나심
자녀무함마드
우바이드 알라
알아바스
하룬
아흐마드
이사
이스마일
무사
움 알-파들
움 하비브
카디자

2. 생애

하룬 알 라시드의 장남으로 786년 9월 14일에 태어났다. 본명은 압둘라였다. 어머니는 이란계 노예 마라질이었지만, 마으문이 태어난 직후 사망했기 때문에 하룬 알 라시드의 정실 부인 주바이데의 밑에서 자랐다.

압둘라는 장남이었지만, 794년 차남 무함마드(후의 칼리프 아민)가 제1계승자로 지명되었다. 주바이데는 제2대 칼리프 만수르의 손녀였고 하룬의 사촌이었으며, 무함마드는 부모 모두 아바스 가문의 사람이었기 때문에 그 귀족성은 의심할 여지가 없었다. 압둘라가 제2계승자로 지명된 것은 799년의 일이다.

809년 무함마드가 칼리프로 즉위하여 아민을 칭하자, 압둘라는 임지 마르우를 중심으로 하는 호라산으로 물러났다. 811년 아민은 맹세를 깨고 압둘라를 제쳐두고 아들 무사를 후계자로 삼으려 하자, 압둘라는 이맘을 칭하며 대항했다. 811년 3월, 아민이 토벌군을 보냈으나 마으문은 이란계 명장 타히르를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응전했다. 812년 3월, 압둘라는 공식적으로 칼리프 마으문을 칭한다.

812년 여름, 타히르가 이끄는 군대는 호라산에서 증원을 받아 바그다드를 포위했다. 아민은 잘 방어했지만 제국 여러 지방이 잇따라 마으문에게 기울었고, 813년 9월에 함락되어 아민은 체포되어 살해되었다.

마으문은 마르우에서 사태를 관망하다가, 816년 무함마드의 혈통으로 마디나(메디나)에 살고 있던 무함마드(시아파·12 이맘파의 제9대 이맘)를 817년에 후계자로 지명하고, 충성 맹세와 함께 아르 리다(신의 가납자)라는 칭호를 주었다. 아바스 가문의 상징색을 흑색에서 알리 가문의 녹색으로 바꾸었으나, 이는 아바스 가문과 이라크 주민들의 분노를 샀다.

818년 말, 마으문은 알리 아르 리다를 데리고 서쪽으로 향했으나, 투스 근교에서 알리 아르 리다는 급사했다. 시아파는 이를 마으문에 의한 독살로 여겼고, 그곳은 시아파 성지 마슈하드가 되었다. 마으문은 알리 아르 리다를 투스 근교 하룬 알 라시드의 묘소 근처에 매장하고, 즉위 6년 만인 819년에 바그다드에 입성했다.

그 후에도 바바크의 난 등 반란이 다발했다. 호라산 방면은 타히르에게 맡기고(타히르 왕조 건국), 만년에는 동로마 제국과의 싸움에 매달렸다. 830년 동로마 원정에서 시리아 하란 주민에게 경전 종교로 개종을 명한 것이 "하란의 사비아교도"의 기원이 된다.

마으문은 문화 발전에 힘썼으며, 아바스 왕조에서 가장 교양이 높고 학문을 사랑한 칼리프로 불린다. 827년알마게스트” 번역, 신자르 평원에서 위도 1에 상당하는 자오선호장 측량을 명했다. 830년경 바그다드에 "지혜의 집"을 짓고, 그리스 문헌 번역의 본거지로 삼았다.

833년 타르수스 근처 숙영지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알마으문은 786년 9월 13일에서 14일로 넘어가는 밤, 바그다드에서 하룬 알라시드와 그의 첩 마라질 사이에서 태어났다.[1] 마라질은 바드기스 출신 페르시아계 노예였다. 같은 날 밤은 훗날 "세 칼리프의 밤"으로 알려졌는데, 그의 삼촌 알하디가 사망하고 아버지 하룬 알라시드가 아바스 왕조의 통치자로 즉위한 날이었다.[1] 어머니 마라질은 그가 태어난 직후 사망했고, 알마으문은 하룬 알라시드의 정실 부인이자 칼리프 알만수르의 손녀인 주바이다에 의해 길러졌다.

어린 시절 알마으문은 철저한 교육을 받았다. 알키사이는 그에게 고전 아랍어를 가르쳤고, 아부 무하마드 알야지디는 ''아다브''(문학)를 가르쳤으며, 그는 음악과 시에 대한 교육도 받았다. 그는 알하산 알루루이로부터 ''피크''(이슬람 법학)에 대한 훈련을 받았으며, 특히 하나피 학파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였고, ''하디스''(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언행)에서도 스스로 전달자로서 활동했다.

2. 2. 후계자 지명과 호라산 총독 부임

794년, 하룬 알 라시드는 둘째 아들 무함마드(알 아민)를 첫 번째 후계자로 지명했고, 799년에 알 마문을 두 번째 후계자로 지명했다. 802년, 하룬 알 라시드는 메카 순례 중 상속 협정을 맺어 알 아민은 바그다드에서, 알 마문은 호라산 지역을 통치하도록 했다. 알 마문의 호라산 총독 임명은 압바스 혁명의 발상지이자 중요한 지역이었던 호라산의 특권적 지위와 알 마문의 페르시아계 배경을 고려한 결정이었다.[1]

2. 3. 아바스 왕조 내전 (제4차 피트나)

809년, 하룬 알 라시드가 사망한 후, 알 아민이 칼리프 자리에 올랐으나 알 마문과의 관계는 악화되었다.[2] 811년, 알 아민은 알 마문을 후계자 자리에서 제외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이에 알 마문은 이맘을 칭하며 반기를 들었다.[2]

알 마문은 이란계 명장 타히르 이븐 알 후세인을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알 아민의 군대에 맞섰다.[2] 811년 3월, 알 아민이 토벌군을 보냈으나 타히르가 이끄는 군대는 812년 여름 호라산에서 증원을 받아 바그다드를 포위했다. 알 아민도 잘 방어했지만 제국 여러 지방이 잇따라 알 마문에게 기울었고, 813년 바그다드가 함락되고 알 아민이 살해되면서 알 마문이 칼리프가 되었다.[2]

2. 4. 바그다드 입성과 통치

813년 아민이 살해된 후에도 알마으문은 바로 바그다드로 귀환하지 않고 메르브에 머무르며 사태를 관망했다. 816년에는 시아파 12 이맘파 제9대 이맘인 무함마드를 후계자로 지명하고, 아바스 왕조의 상징색을 검은색에서 알리 가문의 녹색으로 바꾸는 파격적인 조치를 취했다. 이는 시아파와의 화합을 위한 것이었으나, 아바스 왕조 지지자들과 이라크 주민들의 반발을 샀다.[5] 바그다드에서는 알마으문의 숙부가 칼리프로 추대되고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는 등 혼란이 계속되었다.[5]

818년 말, 알마으문은 알리 아르 리다를 데리고 서쪽으로 향했으나, 투스 근교에서 알리 아르 리다가 급사했다. 시아파는 이를 알마으문에 의한 독살로 의심했고, 그 장소는 시아파 성지 마슈하드가 되었다.[7][8] 알마으문은 알리 아르 리다를 하룬 알 라시드의 묘소 근처에 매장하고 819년에 바그다드에 입성했다.[10] 그는 복색을 다시 아바스 왕조의 전통적인 검은색으로 되돌렸다.[10]

바그다드 입성 후에도 알마으문의 치세에는 바바크의 난 등 잦은 반란이 일어났다.[9] 특히 호라산 지역에서는 타히르 왕조가 성장하여 중앙 정부의 통제력이 약화되기도 했다.

3. 통치 정책 및 업적

알 마으문은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 중 가장 학문을 사랑하고 교양이 높은 인물로 평가받는다. 794년 아민에 이어 제2계승자로 지명되었으나, 811년 아민이 맹세를 어기고 자신의 아들을 후계자로 삼으려 하자 대립하였다. 이후 내전에서 승리하여 칼리프가 되었다.[15]

그는 를 애호하고 천문학, 수학, 의학, 그리스 철학 등 다양한 학문에 조예가 깊었으며, 특히 유클리드의 기하학에 정통했다.[15] 그리스 학문을 존중하여 그리스 문헌 수집에 힘썼고, 아랍어로 번역하는 것을 장려했다.[14] 827년에는 알마게스트 번역을 지원하고, 신자르 평원에서 위도 1에 해당하는 자오선호장의 측량을 명했다. 830년경에는 바그다드지혜의 집을 설립하여 그리스 문헌 번역의 본거지로 삼고, 후나인 이븐 이스하크 등 뛰어난 학자들을 지원했다.[16]

816년에는 시아파 12 이맘파의 제9대 이맘 무함마드를 후계자로 지명하고, 아바스 왕조의 상징색을 검정에서 알리 가문의 녹색으로 바꾸는 등 파격적인 종교 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이는 이라크 주민과 아바스 가문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833년에는 미흐나(종교 재판)를 시행하여 꾸란 창조설을 주장하고, 이를 반대하는 학자들을 탄압했다.

만년에는 동로마 제국과의 전쟁에 매달렸으며, 832년 이집트 원정을 떠났다가 833년 타르수스 근처에서 사망했다. 타르수스 대 모스크에는 그의 무덤이 있다.[1]

3. 1. 지혜의 집 설립과 번역 사업

알 마문은 학문과 지식을 장려하는 정책을 펼쳤다. 그는 바그다드지혜의 집(바이트 알 히크마)을 설립하여[13] 고대 그리스, 인도, 페르시아 등 다양한 문명의 문헌들을 아랍어로 번역하는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특히,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를 비롯한[14] 천문학, 수학, 의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의 고전들이 번역되어 이슬람 세계의 지식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827년에는 “알마게스트”를 번역하고, 신자르 평원에서 위도 차이 1에 상당하는 자오선호장의 측량을 명했다. 830년경에는 바그다드에 "지혜의 집"을 짓고, 그리스어 학자들을 우대하여 마음껏 재능을 발휘하게 했다. 이곳은 그리스 문헌 번역의 본거지가 되었으며, 후나인 이븐 이스하크를 비롯한 탁월한 학자들이 많이 모여들었다. 지혜의 집에는 훌륭한 천문대와 도서관이 있었고, 경위도 측정, 천체의 운행표 작성 및 기타 활동도 이루어졌다.[16]

3. 2. 과학 발전 장려

알-마문은 를 애호했으며, 천문학, 수학, 의학, 그리스 철학에 조예가 깊었고, 특히 유클리드의 기하학에 정통했다. 그는 그리스 학문을 존중하여 그리스 문헌 수집에 힘썼고, 그 문헌을 아랍어로 번역하는 것을 장려했다.[15] 827년에는 알마게스트 번역을 지원하고, 신자르 평원에서 위도 차이 1에 상당하는 자오선호장의 측량을 명했다. 마이클 해밀턴 모건은 그의 저서 "잃어버린 역사"에서 알-마문을 '학문을 사랑하는' 사람으로 묘사하며, 알-마문이 비잔틴 황제를 전투에서 물리치고 조공으로 기원후 150년경에 쓰여진 프톨레마이오스의 헬레니즘 천문학 저서인 ''알마게스트''의 사본을 요구했다고 적었다.[14]

830년경, 알-마문은 바그다드에 지혜의 집을 설립하고 우수한 그리스어 학자들을 우대하여 마음껏 재능을 발휘하게 했다. 이곳은 그리스 문헌 번역의 본거지가 되었으며, 후나인 이븐 이스하크를 비롯한 탁월한 학자들이 모여들었다. 지혜의 집에는 훌륭한 천문대와 도서관이 있었고, 경위도 측정, 천체의 운행표 작성, 대지의 크기 계산 등 현대 과학과 거의 유사한 수준의 활동이 이루어졌다.[13] 또한, 알-마문은 이집트에 갔을 때 피라미드에 구멍을 뚫게 하여 내부 조사를 지시하기도 했다.

알-마문은 연금술 발전에도 기여했다. 자비르 이븐 하얀과 그의 제자 유수프 루크와는 알-마문의 후원을 받았으며, 비록 변환에는 실패했지만, 이들의 방법은 제약 화합물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15]

3. 3. 종교 정책과 미흐나

알 마문은 무타질라 신학을 지지하여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신학적 논의를 장려했다.[13] 그는 833년 미흐나(종교 재판)를 시행하여 꾸란 창조설을 주장하고, 이를 반대하는 학자들을 탄압했다.[13] 미흐나의 대상은 사회적 영향력이 높은 전통적인 학자들이었다. 알 마문은 칼리프 기관에 종교 권력을 집중시키고 신하들의 충성을 시험하려는 의도로 미흐나를 도입했다. 엘리트, 학자, 판사 및 기타 정부 관리들은 미흐나를 거쳐야 했으며, 신학과 신앙과 관련된 일련의 질문을 받았다. 핵심 질문은 꾸란의 창조성에 관한 것이었는데, 심문 대상자가 꾸란이 창조되었다고 진술하면 자유롭게 직업을 계속할 수 있었다.

미흐나에 대한 논쟁은 알 마문의 무타질라 신학 및 기타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견해에 대한 동정심으로 더욱 악화되었다. 무타질라 신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과 그리스 합리주의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신앙과 실천의 문제는 추론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아흐마드 이븐 한발 등 전통주의적이고 문자주의적인 입장에 반대되는 것이었는데, 그 입장에 따르면 신앙과 실천에 대해 신자가 알아야 할 모든 것은 꾸란과 하디스에 문자적으로 명시되어 있었다. 더욱이, 무타질라는 꾸란이 신과 영원히 함께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되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자힘파와 시아파의 일부 등이 공유하는 신념이었지만 꾸란과 신성함이 영원히 함께 존재한다는 전통주의 수니파의 의견과 모순되었다.

알 마흐디가 칼리프는 이단으로부터 이슬람을 보호하는 자이며 정통성을 선언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선포했지만, 이슬람 세계의 종교 학자들은 알 마문이 미흐나에서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고 있다고 믿었다. 미흐나의 처벌은 울레마가 더욱 확고해지고 반대에 더욱 단결하면서 시행하기 점점 더 어려워졌다. 비록 미흐나는 두 명의 칼리프의 통치를 거쳐 지속되었지만, 알 무타와킬은 851년에 이를 포기했다.

울레마와 주요 이슬람 법학파는 알 마문의 시대에 진정으로 정의되었고, 수니파는 법률주의의 종교로서 병행적으로 정의되었다. 수니파와 시아파 이슬람 사이의 교리적 차이가 더욱 두드러지기 시작했다. 이븐 한발, 한발리 법학파의 창시자는 미흐나에 반대하여 유명해졌다.

3. 4. 대외 관계

알 마문은 비잔틴 제국과의 전쟁을 지속하면서도, 학문 교류를 추진했다. 요한 그라마티쿠스를 비롯한 사절단을 비잔틴 제국에 보내 고대 그리스 문헌을 수집하고 아랍어로 번역하도록 했다.[11] 비잔틴 황제와의 평화 조약의 일환으로 매년 여러 개의 그리스 필사본을 받았는데, 그 중 하나가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문학 저서인 ''알마게스트''였다.[12]

압바스 칼리프 알 마문이 테오필로스에게 사절을 보낸 모습

3. 5. 이집트 원정과 사망

832년, 알 마문은 이집트에서 발생한 바슈무리트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원정을 떠났다. 833년 타르수스 근처에서 사망했는데, 알 타바리는 알 마문이 강가에 앉아 주변 사람들에게 물이 얼마나 훌륭한지 이야기했다고 전한다. 그는 이 물과 가장 잘 어울리는 것이 무엇이냐 물었고, 신선한 대추야자라는 대답을 들었다. 보급품에서 대추야자를 확인한 그는 사람들을 초대해 함께 즐겼으나, 모두 병에 걸렸다. 다른 사람들은 회복했지만 알 마문은 833년 8월 9일에 사망했다. 그는 자신의 정책을 계속 유지하고 백성에게 감당할 수 있는 것 이상의 짐을 지우지 말라고 후계자에게 권했다.

알 마문은 타르수스 근처에서 사망했으며, 타르수스 대 모스크에는 그의 무덤이 있다.[1] 그는 공식적인 후계자를 지명하지 않았지만, 아들 알 아바스는 지휘 경험은 있었으나 후계자로 지명되지 않았다. 알 타바리에 따르면, 알 마문은 임종 직전 형제 알 무타심을 후계자로 지명하는 편지를 받아썼다. 알 무타심은 8월 9일에 칼리프로 추대되었으나, 군대 일부는 알 아바스를 지지했다. 알 아바스가 내전을 피하려는 바람에서 삼촌에게 충성을 맹세했을 때 병사들은 알 무타심의 계승에 동의했다.[1]

4. 평가

마으문은 학문과 과학을 장려하고, 다양한 문화를 포용하는 개방적인 정책을 펼친 군주로 평가받는다. 그는 시를 애호하고 천문학, 수학, 의학, 그리스 철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특히 유클리드의 기하학에 정통했다.[4] 그는 그리스 학문을 존중하여 그리스 문헌 수집에 힘썼고, 그 문헌을 아랍어로 번역하는 것을 장려했다.[4] 827년에는 "알마게스트" 번역과 신자르 평원에서의 위도 차이 1에 상당하는 자오선호장 측량을 명했다.[4]

830년경, 마으문은 바그다드에 "지혜의 집"을 설립하고, 우수한 그리스어 학자들을 우대하여 마음껏 재능을 발휘하게 했다.[4] 이곳은 그리스 문헌 번역의 본거지가 되었으며, 후나인 이븐 이스하크를 비롯한 뛰어난 학자들이 많이 모여들었다.[4] 지혜의 집에는 훌륭한 천문대와 도서관이 있었고, 경위도 측정, 천체의 운행표 작성 및 기타 활동도 이루어졌다.[4] 대지의 크기 계산 등은 거의 현대의 그것과 다름없었다고 한다.[4] 또한, 마으문은 이집트에 갔을 때 피라미드에 구멍을 뚫게 하여 내부 조사를 하게 했다.[4]

그러나 마으문의 치세에는 바바크의 난 등 많은 반란이 발생했다.[4]

5. 가족 관계

부인자녀
움 이사무함마드 알 아스가르, 압달라[16]
부란
자녀
순두스알-아바스, 하룬, 아흐마드, 이사, 이스마일[18]
아리브[17]
비다[17]
무니사[17]
타트리프[19]
바다알[19]
누언[20]
나심[21]
무사[17], 움 하비브, 움 알 파들, 하디자[19]



알 마으문은 804년에 그의 삼촌 알 하디의 딸 움 이사와 결혼하여 두 아들, 무함마드 알 아스가르와 압달라를 두었다.[16] 817년에는 재상 알 하산 이븐 사흘의 딸인 부란과 결혼하여 825년 12월에서 826년 1월 사이에 결혼 생활을 마무리했다.[17]

그는 여러 첩을 두었는데, 그중 순두스는 알 마으문의 통치 말기에 고위 군사 지휘관이 된 알-아바스를 포함하여 다섯 아들을 낳았다.[18] 다른 첩으로는 아리브,[17] 비다,[17] 그리스 출신 무니사,[17] 타트리프,[19] 바다알,[19] 누언,[20] 나심[21] 등이 있었다.

알 마으문에게는 무사라는 아들과[17] 움 하비브, 움 알 파들, 하디자[19]라는 세 딸도 있었다.

참조

[1] 간행물 al-Maʾmūn https://referencewor[...] 2012-04-24
[2] 서적 The Prophet and the Age of the Caliphates Pearson Longman
[3] 간행물 Separation of state and religion in early Islamic society https://www.jstor.or[...] 1975
[4] 간행물 Separation of state and religion in early Islamic society https://www.jstor.or[...] 1975
[5] 간행물 Separation of state and religion in early Islamic society https://www.jstor.or[...] 1975
[6] 웹사이트 Why was Imam al-Reza (A.S.) Invited to Khurasan? https://www.imamreza[...] 2021-07-03
[7] 웹사이트 Alī Al-Reżā, the eighth Imam of the Imāmī Shiʿites. http://www.iranicaon[...] 2011-08-01
[8] 서적 The life of Imām 'Ali Bin Mūsā al-Ridā http://maaref-founda[...] 2014-09-22
[9] 서적 Religious Authority and Political Thought in Twelver Isla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07-03
[10] 문서 The History of al-Ṭabarī, v. 32, p. 95
[11] 서적 Discourses of Power: Grammar and Rhetoric in the Middle Ages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2] 서적 Encyclopedia of Space and Astronomy https://books.google[...] Infobase
[13]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Middle East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14] 문서 Michael Hamilton Morgan "Lost History", p. 57
[15] 문서 "Encyclopaedia of Islam|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https://books.google[...]
[16] 뉴스 World: Historian Reveals Incredible Contributions of Muslim Cartographers http://www.rferl.org[...]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04-10-15
[17] 서적 Book of Gifts and Rarities Center for Middle Eastern Studies of Harvard University
[18] 서적 The History of al-Ṭabarī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 서적 The Slave Girls of Baghdad: The Qiyan in the Early Abbasid Era Bloomsbury Academic
[20] 서적 The Book of Monasteries NYU Press
[21] 서적 The Poetry of Arab Women from the Pre-Islamic Age to Andalusia Taylor & Francis
[22] 문서 gpn|196
[23] 문서 Naqawī, "Taʾthīr-i qīyāmhā-yi ʿalawīyān", p. 141.
[24] 문서 Dhahabī, Siyar aʿlām al-nubalāʾ, vol. 11, p. 236; Ibn Kathīr, al-Bidāya wa l-nihāya, vol. 10, pp. 275–279; Ibn khaldūn. al-ʿIbar, vol. 2, p. 272; Suyūṭī, Tārīkh al-khulafāʾ, p. 363.
[25] 웹사이트 Item #13113 Abbasid (Medieval Islam), al-Ma'mun (AH 194–218), Silver dirham, 204AH, Isfahan mint , with Ali ibn Musa al-Rida as heir, Album 224 https://www.vcoins.c[...]
[26] 문서 Suyūṭī, Tārīkh al-khulafāʾ, p. 364.
[27] 웹사이트 Disputations on 'the Necessity of Imamate' in the Mu'tazilite Political Theory https://khartoumspac[...]
[28] 서적 'The Shi'ite Religion: A History of Islam in Persia and Irak. Burleigh Press'
[29] 문서 According to Madelung the unexpected death of the Alid successor, "whose presence would have made any reconciliation with the powerful ʿAbbasid opposition in Baghdad virtually impossible, must indeed arouse strong suspicion that Ma'mun had had a hand in the deaths."
[30] 서적 "The Shi'ite Religion: A History of Islam in Persia and Iraḳ" AMS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